KR20210129837A -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 Google Patents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837A
KR20210129837A KR1020200047864A KR20200047864A KR20210129837A KR 20210129837 A KR20210129837 A KR 20210129837A KR 1020200047864 A KR1020200047864 A KR 1020200047864A KR 20200047864 A KR20200047864 A KR 20200047864A KR 20210129837 A KR20210129837 A KR 2021012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unit
cutting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환설
Original Assignee
(주)청담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담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청담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20004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9837A/en
Publication of KR2021012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83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oasted laver processing automation, which includes: a container supply and conveyance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packaging container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 desiccant pack supply unit for placing a desiccant pack into each packaging container conveyed by the container supply and conveyance unit; a roasted laver supply unit for conveying stacked roasted lavers to a cutting posi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accommodating the roasted laver conveyed from the roasted laver supply unit inside, accommodating the packaging container for cut roasted laver storage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simultaneously and automatically performing roasted laver cutting and storage in a packaging container with a single ascending and descending stroke; a container packaging unit conveying rows of the packaging containers storing the cut roasted laver so as to be separ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enabling sealed packaging; and a control unit performing control such that each of the above units are capable of operating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ry process from roasted laver cutting to storage in a packaging container and sealed packaging can be automated for unmanned operation, and thus a considerable improvement in processing productivity can be achieved.

Description

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Laver processing automation system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본 고안은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김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내 수납 및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함으로 써 가공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 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autom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an automatic roasting processing automation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processing productivity by realizing unmanned automation of the entire process from cutting of roasted seaweed to storage in packaging and sealed packaging. is about

우리나라와 일본 등 몇몇 국가의 식생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전통적인 주요 반찬류 중의 하나로서 김을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가정에서 별도로 조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원료김을 직접 구입 하기보다는, 기름과 소금 등의 조미료를 가미하여 김 가공장치로 구운 후 취식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다수 절 등분하여 포장한 즉석식품 형태의 구이김을 구입하여 간편하게 취식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는 추세이다.Seaweed is one of the main traditional side dishes that cannot be omitted in the diet of some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In the case of Korea, most modern people do not directly purchase raw laver, which is cumbersome to cook separately at home, but add seasonings such as oil and salt, bake it with a laver processing device, and then cut it into pieces suitable for consumption. There is a tendency to prefer to buy baked laver in the form of ready-to-eat food that is packaged for consumption with convenience.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다양한 형태의 김 가공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어 이미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김의 가공단계 로부터 판매 가능한 형태로 단위 포장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 다.Thanks to this trend, various types of laver processing equipment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and are already being used. Currently, much effort is being made to automate all processes from the processing stage of laver to the stage of unit packaging in a form that can be sold. all.

이와 같이 구이김을 제품화하기 위한 전체 공정은, 원료김에 기름과 조미료 등을 가미한 후 구워내는 김 조미공정과, 상기 구이김을 다수 장(통상적으로 10장)씩 적층시킨 상태에서 절단(통상적으로 9등분 절단)하고 그 절단된 구이김을 포장용기 내에 수납한 후 상기 구이김이 수납된 포장용기를 장기보관이 가능한 상태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밀봉포장 하는 등의 구이김 가공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As such, the whole process for commercializing roasted laver includes a seaweed seasoning process in which raw seaweed is added with oil and seasonings and then baked, and cut (usually 9 After cutting into equal parts) and storing the cut roasted seaweed in a packaging container, it can be classified into a roasting processing process such as sealing and packaging the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the roasted seaweed is stored in a state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그러나 상기 구이김 가공공정에 있어서, 절단된 적층 구이김의 용기내 수납을 위한 구이김 처리공정은 그 작업조건이 까다로워 현재까지도 상기 수납공정을 제외한 프레스에 의한 절단공정에 대해서만 부분적 자동화를 이룸으로써 포장 용기 내에 절단 구이김을 수납하는 공정에 많은 인원이 동원되어 수작업으로 공정을 수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 다.However, in the roasting process, the roasting treatment process for storing the cut laminated roaster in the container is difficult, so even to this day, only the cutting process by the press except for the accommodation process is partially automat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were mobilized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cut and roasted food in the container, and the process had to be performed manually.

또한, 구이김이 수납된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각각의 포장용기를 포장지로 포장하는데 필요한 소정 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용기 사이가 각각 이격된 상태로 재배열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구이김 가공장 치에서는 이러한 특성에 적합한 컨베이어 구조를 구현하지 못함으로써 원활한 밀봉포장공정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aling the packaging container containing the baked goods, the packaging containers should be re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so as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required for packaging each packaging container with a wrapping pap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mooth sealing and packaging process could not be performed because of the inability to implement a conveyor structure suitable for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roasted laver processing equipmen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이김의 절단으로부터 포장 용기내 수납 및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significantly improve processing productivity by realizing unmanned automation of the entire process from cutting of roasted seaweed to storage in packaging containers and sealed packaging. It is to provide an automated roast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은, 다수의 포장용기를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소정개수만큼씩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과,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각 포장용기 내에 방습제 팩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방습제 팩 공급유닛과,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절단 가공할 위치 로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켜주기 위한 구이김 공급유닛과,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구이김을 내 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절단된 구이김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를 그 하부에 수용하여 일회의 승강행정으 로써 구이김의 절단 및 포장용기내 수납을 동시에 자동 수행하는 김 절단 및 수납유닛과, 절단 구이김이 수납된 다수 열의 포장용기들을 밀봉포장이 가능 한 적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이송시켜주는 용기 포장유닛과, 상기 각 유닛이 순차 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ast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by a predetermined number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and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desiccant pack supply unit for putting the desiccant pack into each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d by the In addition to accommodating the roasted seaweed transferred from the laver supply unit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cut roasted seaweed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so that the cutting of the roasted seaweed and storage in the packaging container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one lifting stroke. An automatic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a container packaging unit that transports a plurality of rows of packaging containers containing cut and roasted seaweed at an appropriate interval that can be sealed and packaged, and a container packaging unit that allows each unit to be operated sequenti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여기서,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은,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다수열의 인접한 순환궤도를 형성하되 그 선단부쪽의 각 궤도가 소정 폭으로 이격된 다수열의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한 쌍의 스프라킷과,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상에 포장용기를 연속적으로 안착시켜 그 이송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각 궤도사이와 양측변에 설치된 트로프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포장용기를 이송방 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셔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후단부 상에 각각 입설되어 적층된 다수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상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랙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frame for supporting the entire device, and a plurality of rows of adjacent circulation tracks that are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ame and circulate in either direction, but each A plurality of rows of chain conveyors with track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 pair of sprockets for driving each chain conveyor, and a packaging container are continuously seated on each chain conveyor to ensure stability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 trough installed between each track and on both sides so as to be guided, a pusher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hain of each chain conveyor to push the packaging container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rear end of each chain convey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ainer supply rack for separating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that are respectively standing and stacked on the top one by one and supplying them on each of the chain conveyor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구이김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내 수납 및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 다. 실제로, 종래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절단된 구이김을 포장용기 내에 담아주는 과정에서 4인1조의 인원이 투입되 었으나 본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그 소요인원을 타 공정으로 배치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인력관리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또한, 분당 60개의 구이김 포장이 가능하였던 종래의 경우에 비해 본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분당 120 내지 150개의 구이김 포장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ast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remarkably improving the processing productivity by realizing unmanned automation of the entire process from the cutting of the roasted seaweed to storage in the packaging container and sealed packaging. . In fact, in the conventional case,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cut roasted seawe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a group of 4 people was usually put in. However, according to this automated system, the required number of people can be arranged and utilized in other processes, so it is difficult to manage human resources. It is very efficient, an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ase where 60 roasts per minute were possible, according to this automated system, 120 to 150 roasts per minute are possible, so that productiv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작업으로 구이김을 포장용기 내에 담는 과정에서 구이 김이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품질 및 위생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구이김의 절단 및 수납공정이 완전 무인자 동화됨으 로써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risk of the roasted seaweed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manually placing the roasted seawe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as in the conventional case, so that not only quality and hygiene are improved, but also the cutting and storing process of roasted seaweed This completely unmanned automa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due to carelessness.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에 적용된 용기 공급 및 이송용 컨베이어는 구이김의 절단 및 포장용기내 수납 후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분기되는 이송궤도의 구조를 이룸으로써 용기의 포장시 작업상 필요한 포장용기 간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veyor for supply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applied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n appropriate interval after cutting and storing in the packaging container and forms a diverging transport trajectory, thereby reducing the space between packaging containers necessary for the packaging of containers.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work efficiency because it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 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come up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t is very natural that these equivalent embodim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Hereinafter, a roast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의 각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자동화 시스템 전체의 기구적 구성 및 공정의 흐름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블럭도, 도 2 및 도 3은 본 자동화 시스템의 각 장치부간 배 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된 방 습제 팩 공급유닛(B)의 구체적 인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 5는 본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된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 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5 show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roast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and process flow of the entire automated system, FIGS. 2 and FIG. 3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between each device part of this automated system,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desiccant pack supply unit (B) applied to this automated system, FIG. 5 is It show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applied to this automated system, respectively.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포장용기(2)를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소정개수만큼씩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과,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에 의해 이송되는 각 포장용기(2) 내에 방습제 팩(3)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방습제 팩 공급유닛(B)과,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 1)을 절단 가공할 위치로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켜주기 위한 구이김 공급유닛(C)과,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C)으 로부터 이송된 구이김(1)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절단된 구이김(1)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2)를 그 하부에 수용하여 일회의 승강행정으로써 구이김(1)의 절단 및 포장용기(2)내 수납을 동시에 자동 수행하는 김 절단 및 수납유닛(D)과, 절단 구이김(1)이 수납된 다수열의 포장용기(2)들을 밀봉포장이 가능한 적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이 송시켜주는 용기 포장유닛(E)과, 상기 각 유닛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제어유닛(미도시)으로 구 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각 장치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간의 순차적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 해주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러한 메커니즘을 제 어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이 가능한 것이라 하겠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roast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2) by a predetermined number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and , desiccant pack supply unit (B) for putting desiccant pack 3 into each packaging container (2) transported by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and a plurality of stacked roasting (1) A roasting supply unit (C) for transferring to the position to be cut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and a roasting product (1) transferred from the roasting supply unit (C) are accommodated inside and the cut roast Laver cutting and storage that automatically performs the cutting of the roasted laver 1 and the storage in the packaging container 2 at the same time by accommodating the packaging container 2 for accommodating the laver 1 in its lower part and by one lifting stroke A container packaging unit (E) for transporting a unit (D) and a plurality of rows of packaging containers (2) in which the cut and roasted foods (1) are accommodated at an appropriate interval that can be sealed and packaged, and each unit is sequentially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so that it can be operated. Here,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device parts to control the sequential operation between them, and not only a wide variety of configurations are possible, but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circuit for controlling these mechanisms Since it is assumed that the configuration is possib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구성을 공정 흐름에 따라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용기 공급 및 이 송유닛(A)의 복수열 궤도를 따라 복수개 의 포장용기(2)가 이송될 때 상기 방습제 팩 공급유닛(B)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개의 방습제 팩(3)이 각 포장용기(2) 내에 동시 투입된 채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C)으로부터 는 그 궤도를 따라 적층 구이김(1)이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 일측의 투입구(46a)까지 운반되어 그 내부로 인입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셋팅환경에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절단용 실린더(41)가 하강하여 상기 구이김(1)을 절단함과 아울러 각 절단 구이김(1)을 그 하부에 마련된 각 포장용기(2)내로 즉시 수납한 후 원상태로 복 귀되고, 정지되어있던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이 그 궤도를 따라 다시 작동됨으로써 구이김(1) 및 방습제 팩(2 )을 수납한 각 포장용기(2)들은 포장에 적합한 이격상태로 상기 용기 포장유닛(E)의 궤도상에 이송되어 각각 밀봉포 장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Briefly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first, when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2 are transported along the multiple-row trajectory of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the desiccant pack supply unit (B) is supplied from A plurality of desiccant packs 3 ar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while being simultaneously put in each packaging container 2, and are stacked along the track from the roasted seaweed supply unit C. The roasted laver (1) is transported to the inlet (46a) on one side of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to maintain the state drawn into it. In this setting environment, the cutting cylinder 41 of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descends to cut the roasted seaweed (1), and each cut and roasted seaweed (1) is placed in each packaging container ( 2) Each packaging container containing the baked goods (1) and desiccant pack (2) by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immediately after being stored inside, and the stopped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is operated again along the track (2) is transported on the track of the container and packaging unit (E) in a spaced state suitable for packaging, and repeats the process of being sealed and packaged.

본 고안의 각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은 상기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작동시마다 용기공급랙(16)으로부터 3개의 포장용기(2)가 동시에 3열의 체인컨베이어(10)상에 떨어지도록 되어 있 고, 상기 3열의 체인컨베이어(10)는 동시에 1스텝(Step)씩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has three packaging containers (2) from the container supply rack (16) for each opera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5 . ) fall on the chain conveyor 10 in three rows at the same time, and the chain conveyor 10 in the three rows advances one step at a time at the same time.

이러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구조는,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5)과, 상기 프레임(5)상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다수열의 인접한 순환궤도를 형성하되 그 선단부쪽의 각 궤도가 소정 폭으로 이격된 다수열의 체인컨베이어(10)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구동스프 라킷(13), 종동스프라킷(14) 및 지지스프라킷(15)과, 상 기 각 체인컨베이어(10)상에 포장용기(2)를 연속적으로 안착 시켜 그 이송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각 궤도사이와 양측변에 설치된 트로프(Trough)(11)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의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포장용기(2)를 이송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 셔(12)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의 후단부 상에 각각 입설되어 적층된 다수의 포장용기(2)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 기 각 체인컨베이어(10)상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랙(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공급랙(16)내 에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2)를 하나씩 분리하여 아래로 떨어뜨리기 위한 수단으로는, 상기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 와 원주면이 인접하도록 용기공급랙(16) 내에 입설된 회전원통체 구조의 용기분리캠(17)을 적용한 것으로서, 그 원주 면상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그 나선홈 내에 분리할 최하단쪽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가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분 리캠(17)이 나사체결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면 경사진 상기 나선홈이 쐐기 역할을 수행하여 최하단의 포장용기(2)를 아래로 분리시키도록 된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includes a frame 5 for supporting the entire device, and a plurality of adjacent circulation lines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ame 5 and circulating in any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rows of chain conveyors 10 that form a track, each track on the tip side of which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 driving sprocket 13 for driving each chain conveyor 10, and a driven sprocket 14 ) and support sprockets 15, and the packaging containers 2 on each chain conveyor 10, installed between each track and on both sides so that they can be stably guid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 trough (11), a pusher (12)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hain of each chain conveyor (10) to push the packaging container (2)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each chain conveyor It comprises a container supply rack 16 for separating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2) stacked and standing on the rear end of (10) one by one and supplying them on each of the chain conveyors (10). Here, as a means for separating the packaging containers (2) stacked in the container supply rack (16) one by one and dropping them down, the container supply rack so that the rim portion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container (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a container separation cam 17 of a rotating cylindrical body structure installed in (16) is applied, a spiral groove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edge of the lowermost packaging container 2 to be separated is hung in the spiral groove. When the container separation cam 17 rotates in place in the screwing direction, the inclined spiral groove functions as a wedge to separate the lowermost packaging container 2 downward.

또한, 상기 방습제 팩 공급유닛(B)은 상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일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1회 작동시마다 3개의 방 습제 팩(3)이 3개1조의 장치부로부터 동시에 각각 1개씩 절단되어 각 슈트(21)를 통해 3개의 각 포장용기(2)내로 담 겨지도록 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 단위장치부의 구성은, 프레임(20)과, 방습제 팩(3)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로울러(23a)(23b)(23c)(23d)와, 복수의 가압로울러(24a)(24b)와, 상기 방습제 팩(3)을 방습제 공급부(22)로부터 인 출하기 위한 구동인출로울러(27)와, 상기 구동인출로울러(27)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모우터(26)와, 상기 방습제 팩(3) 을 낱개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28)과, 상기 절단날(28)을 전후진 구동시켜주는 날 작동실린더(29)와, 상기 방습제 팩(3)의 마킹부(3a)를 인식하여 상기 날 작동실린더(29)가 정확한 절단시점에서 작동되도록 해주는 센서(25)를 포함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in the desiccant pack supply unit (B), as shown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2 and 4, three desiccant packs 3 are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three desiccant packs 3 at the time of one operation, one by one from the device unit of three sets. It is cut to form a structure to be put into each of the three packaging containers (2) through each chute (21).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unit includes a frame 20,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23a, 23b, 23c, and 23d for guiding the desiccant pack 3, and a plurality of pressure rollers 24a and 24b. and a driving pull-out roller 27 for drawing the desiccant pack 3 from the desiccant supply unit 22, a driving motor 26 for driving the driving take-out roller 27, and the desiccant pack 3 ) by recognizing the cutting blade 28 for cutting individually, the blade operating cylinder 29 for driving the cutting blade 28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marking part 3a of the desiccant pack 3, The blade actuating cylinder 29 has a structure including a sensor 25 to operate at the correct cutting point.

상기 방습제 팩(3)의 접합부위에 형성된 마킹부(3a)는 상기 센서(25)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표식으로 작용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절단날(28)의 작동시점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marking portion 3a form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desiccant pack 3 acts as a mark recognizable by the sensor 25 so that the operating time of the cutting blade 28 located below it can be accurately set. have.

상기 각 가이드로울러(23a)(23b)(23c)(23d)는 상기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방습제 공급부(22) 로부터 방습제 팩(3)을 일방향으로 안내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부로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 고, 상기 각 가압로울러(24a)(24b)는 상기 가이드로울러(23d) 및 구동인출로울러(27)와 각각 일조를 이뤄 각각의 로 울러(23d)(27)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상에 힌지축으로 연결된 각 힌지레버의 선단부쪽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자중작용에 의해 하향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인출로 울러(27)는 방습제 팩(3)이 투출구쪽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동모우터(26)의 축상에 직접 설치되어 구동된다. 상기 날 작동실린더(29)는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절단날(28)이 방습제 팩(3)의 인출방향에 대한 직교방 향으로 전후진 작동될 수 있도록 구동시켜주는 구동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Each of the guide rollers 23a, 23b, 23c, and 23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20 to guide the desiccant pack 3 from the desiccant supply unit 22 in one direction. are respectively sequentially arranged upwards with a ) is installed on the frame 20 so as to be rotatable from the tip end of each hinge lever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so that it can be rota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round the hinge shaft. (27)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26 so that the desiccant pack 3 can be drawn out toward the outlet and is driven. The blade operation cylinder 29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rame 20 and drives the cutting blade 28 to be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desiccant pack 3 as a driving source. play a role

또한,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C)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체인컨베이어(10) 의 3스텝 작동시마다 구동축(31)에 의해 벨트컨베이어(30)가 1회전하여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 일측의 투입구 (46a) 안쪽으로 운반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roasting supply unit (C) is a belt conveyor (30) by a drive shaft (31) every three steps of the chain conveyor (10) of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 is rotated once to be transported inside the inlet (46a) on one side of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한편,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은 상기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일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이김 공급 유닛(C)으로부터 투입구(46a)쪽으로 구이김(1)이 운반되면 인입용 실린더(48)의 작동에 의해 인입판(47)이 후진하면 서 장치 내측의 정위치까지 상기 구이김(1)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단용 실린더(41)가 1회 하강 및 상승하면서 상기 구이김(1)을 절단한 후 각 절단 구이김(1)을 그 하부에 마련된 각 포장용기(2)내로 즉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체인컨베이어(10)는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이 1회 승강작동시 3스텝 작동되므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하부에 9개의 포장용기(2)가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ver cutting and receiving unit (D), as shown in the examples shown in Figures 2 and 3 and 5, the roasting (1) from the roasting supply unit (C) toward the inlet (46a) When transported, the cutting cylinder 41 descends once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plate 47 is move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pulling cylinder 48 and the roasting 1 is drawn in to the correct position inside the device. And after cutting the roast (1) while ascending, each cut roast (1) can be immediately accommodated in each packaging container (2)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The chain conveyor 10 of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operates in three steps when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is lifted once, so nine packages ar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The container 2 is arranged to stand by.

이러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구성으로는, 장치 각부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구조물을 이루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의 상부에 고정된 구이김 절단용 승강구동원으로서의 절단용 실린더(41)와, 상기 절단용 실린더(41) 의 실린더 로드에 결합된 승강판(42)과, 구이김(1)을 각 절단영역별로 가압해주는 다수의 가압절판(44)과, 상기 승강 판(42)과 가압절판(44)간을 지지하는 다수의 가압봉(43)과, 구이김(1)을 수용하고 상기 가압절판(44)의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케이스(46)와, 구이김(1)을 상기 가이드케이스(46) 내부로 이송시켜주는 인입판(47)과, 상기 인입판 을 전후진 작동시켜주기 위한 인입용 실린더(48)와, 상기 가 압절판(44)의 하강시 구이김(1)을 일정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D), the frame 40 forming a structure for fixing and supporting each part of the device, and the cutting as a lifting driving source for cutting roasted seaweed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40 A cylinder 41, a lifting plate 42 coupled to the cylinder rod of the cutting cylinder 41,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lates 44 for pressing the roasting 1 for each cutting area,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A plurality of pressing rods 43 supporting between the plate 42 and the pressing plate 44, and a guide case 46 for accommodating the roasting 1 and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late 44, The lead-in plate 47 for transferring the roasting 1 to the inside of the guide case 46, the lead-in cylinder 48 for moving the lead-in plat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pressing plate 44 When descending, a structure including a cutting blade 45 for cutting the roasting 1 to a predetermined size can be applied.

여기서, 상기 각 가압절판(44)은 상기 승강판(42)으로부터 그 하부로 적정간격을 두고 평행을 유지하며 동일 판상에 배치되고 각각 균일 크기로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9개로 예시함) 분할 형성되어 있다.Here, each of the pressing plates 44 is arranged on the same plate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lifting plate 42 to the lower part, and arranged on the same plate, and a plurality of each of a uniform size (corresponding to a normal case in this embodiment) 9) is divided.

또한, 상기 각 가압봉(43)은, 상기 승강판(42)의 승강시 이와 함께 상기 각 가압절판(44)이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승강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판(42)과 각 가압절판(44)을 상호 연결시켜줌과 아울러 그 승강작동 과정에서 상기 각 가압절판(44)의 간극이 가변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각각 작동되는 일종의 분할된 형태의 실린더 로드로서의 기 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길이 중 상측지점에 대해서 임의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자유롭게 굴절될 수 있는 절 점(節點)을 구비하되, 상기 절점부의 구조로는 그 어느 한쪽 단부에 형성된 볼과 나머지 단부에 형성된 소킷에 의해 커플링되는 볼링크(Ball Link)가 적용된다. 이는, 상측 개구의 둘레에 소정 폭의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포 장용기(2)의 형상을 감안하여볼 때 이 포장용기(2)들이 최대한 밀접하게 배치된다하여도 그 인접한 포장용기(2)들의 양측면간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이와 같이 소정간극을 두로 이격 배치된 각 포장용기(2) 의 정 중앙위치에서 절단 구이김(1)이 각각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pressing rods 43 is provided with the lifting plate 42 and each pressing so that when the lifting plate 42 is lifted, each pressing plate 44 can be lifted and lower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s to perform the function as a kind of divided cylinder rod that is respectively operated so that the gap of each pressing plate 44 can be variably spaced apart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cut-out plate 44 and interconnecting the cutting plate 44, the It has a node that can be freely refra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oint of the entire length, and the structure of the node includes a ball formed at one end and a socket formed at the other end. The Ball Link is applied. This is in view of the shape of a normal packaging container (2) in which a rim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around the upper opening, even if the packaging containers (2) are arranged as closely as possible, the adjacent packaging container (2) A certain amount of gap inevitably occurs between both sides of the two sides, and thus, the cut and grilled food 1 is to be guided so that it can descend, respectively, from the central position of each packaging container 2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gap in this way. .

또한, 상기 절단날(45)은, 상기 가이드케이스(46)의 하부에 고정 배치되고 아래로 갈수록 그 두께가 선형적으로 넓어 지는 격자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평행 배치된 두 날의 각 외측면에 해당하는 경사면이 연직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진 대략 직각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두 날 사이의 압출공을 통해 절단 구이 김(1)을 원활히 하강시킬 수 있도록 그 마주보는 각 내측면이 연직면에 대해 각각 미소한 절단여유각을 갖게 함에 의 해, 상기 두 날 간의 상부 간격보다 그 하부 간격이 미소 폭만큼 증대된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the cutting blade 45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case 46 and forms a lattice-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is linearly widened as it goes down, and each outer surface of the two blades arranged in parallel. Form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approximately right-angled triangl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cut-roasted laver 1 is smoothly lowered through the extrusion hole between the two blades. By allowing each inner surface to have a minute cutting allowanc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rface, the lower gap between the two blades is increased by a minute width than the upper gap between the two blades.

상기한 바와 같은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순차적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이김(1)과 다수의 포장용기(2)가 장치 내에 셋팅된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절단용 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가 상사점에서 정지되어 있고 상기 인입판(47)이 상기 가이드케이스(46)로부터 완전 이탈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이김(1)이 절단날(45) 상에 정위치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절단용 실린더(41)가 작동하여 그 실린더 로드가 점진적으로 하강 신장되 면서 각 가압봉(43)의 하단부에 고정된 각각의 가압절판(44)들이 구이김(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각 가압절판(44) 들은 구이김(1)의 절단공정과 함께 격자형의 절단날(45) 사이의 각 압출공의 하부위치까지 지속적으로 가압된 후 상 승함으로써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단 구이김(1)이 각각의 포장용기(2)내에 수납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용 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가 상사점까지 복귀된 이후에는 상기 인입판(47)이 가이드케이스(46)의 내측으로 원상 투입되고, 또한 후속 일조의 포장용기(2)도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각 체인컨베이어(10)의 스텝모션 에 의해 상기 절단날(45)의 하부로 셋팅됨으로써 연속공정을 반복하게 된다.Briefly describe the sequential operation of the laver cutting and receiving unit (D)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First,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roasting 1 and the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2 are set in the device, the cylinder rod of the cutting cylinder 41 is stopped at top dead center, and the lead plate 47 is the guide case (46) is in a state of complete departure. As such, when the roasting (1) is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on the cutting blade (45), the cutting cylinder (41) is operated and the cylinder rod is gradually lowered and extended, each pressing rod (43). Each of the pressing plates 44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kiln presses the grilling (1), and each of the pressing plates 44 is between the lattice-shaped cutting blades 45 together with the cutting process of the grilling (1). As shown in FIG. 5, each cut-and-grilled dish 1 is stored in each packaging container 2 as shown in FIG. After the cylinder rod of the cutting cylinder 41 is returned to top dead center, the lead-in plate 47 is put into the inner side of the guide case 46, and the packaging container 2 of a subsequent set is also supplied with the container. And by setting the lower part of the cutting blade 45 by the step motion of each chain conveyor 10 of the transfer unit (A), the continuous process is repeated.

한편, 상기 용기 포장유닛(E)은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 도의 체인컨베이어(50)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각 체인컨베이어(10)로부터 전달된 구이김(1) 및 방습제 팩(3)을 수납한 각 포장용 기(2)들을 별도의 포장기(미도시)쪽으로 정렬하여 이송시켜주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packaging unit (E) is composed of a separate chain conveyor 5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each chain conveyor 10 of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Each packaging container (2) accommodating the baked goods (1) and desiccant pack (3) delivered from the aligning machine (not shown) is transferred to a separate packaging machine (not shown).

이상에서 설명한 각 장치부들은 이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유닛의 순차적 제어에 의해 일련의 동작들을 연속 적으로 수행하게 됨으로써 구이김(1)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2)내 수납 및 그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 동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device parts described above continuously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by sequential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from cutting the roasting 1 to the storage in the packaging container 2 and its sealed packaging.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unmanned automation of all processes.

Claims (2)

다수의 포장용기를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소정개수만큼씩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각 포장용기 내에 방습제 팩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방습제 팩 공급유닛;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절단 가공할 위치로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켜주기 위한 구이김 공급유닛;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구이김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절단된 구이김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를 그 하부에 수용하여 일회의 승강행정으로써 구이김의 절단 및 포장용기내 수납을 동시에 자동 수행하는 김 절단 및 수납유닛;

절단 구이김이 수납된 다수열의 포장용기들을 밀봉포장이 가능한 적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이송시켜주는 용기 포장유 닛; 및

상기 각 유닛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가 공 자동화 시스템.
a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by a predetermined number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a desiccant pack supply unit for respectively inputting desiccant packs into each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d by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a roasting supply unit for transferring a plurality of stacked roasts to a position to be cut and processed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In addition to accommodating the roasted seaweed transferred from the roasting supply unit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cut roasted seaweed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cutting of the roasted seaweed and storage in the packaging container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one lifting stroke. automatic laver cutting and storage unit;

a container packaging unit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rows of packaging containers containing cut-and-grilled food by separating them at appropriate intervals for sealing packaging; and

Roasting processing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은,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 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다수열의 인접한 순환궤도를 형성하되 그 선단부쪽의 각 궤도가 소정 폭으로 이격된 다수열의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한 쌍의 스프라킷과, 상기 각 체인컨베 이어상에 포장용기를 연속적으로 안착시켜 그 이송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각 궤도사이와 양측변 에 설치된 트로프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포장용기를 이송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셔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후단부 상에 각각 입설되어 적층된 다수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분리하 여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상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가공 자동 화 시스템.

The container supply and transfer unit includes a frame for supporting the entire device, and a plurality of adjacent circulation tracks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ame to circulate in any one direction, but each track on the tip side A plurality of chain conveyor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 pair of sprockets for driving each of the chain conveyors, and a packaging container are continuously seated on each chain conveyor, stably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 trough installed between each track and on both sides so as to be guided, a pusher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hain of each chain conveyor to push the packaging container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on the rear end of each chain conveyor Roasting processing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iner supply rack for separating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each standing and stacked on the chain conveyor one by one.

KR1020200047864A 2020-04-21 2020-04-21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KR202101298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64A KR20210129837A (en) 2020-04-21 2020-04-21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64A KR20210129837A (en) 2020-04-21 2020-04-21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37A true KR20210129837A (en) 2021-10-29

Family

ID=7823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864A KR20210129837A (en) 2020-04-21 2020-04-21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983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0190B2 (en) Tostada forming and cooking
KR101964205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kewered food
WO2021147341A1 (en) Food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KR100842870B1 (en) Apparatus for cutting stack of roasted lavers and putting the parts in each containers
CN106106596A (en)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CN102038139B (en) Equipment for processing instant packed meals
KR200344111Y1 (en)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US3279927A (en) Packer
KR101762810B1 (en) Compact apparatus for cutting and containing on the spot roasted la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15442B1 (en) Automation apparatus for cutting stack of roasted lavers and putting the parts in each containers
KR101762814B1 (en) Overhead equipment of seasoned laver
CN111772486A (en) Automatic flour cooking workstation and operation method
KR20210129837A (en)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roasted lavers
KR101532431B1 (en) Device for supplying lavar
CN211444082U (en) Cigarette conveying device with lifting function
US6349815B1 (en)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CN210321054U (en) Grading drying system
US201700713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ch cooking in continuous automated plant
CN218641261U (e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arranging and placing Chinese medicine packages
JPH043725A (en) Automatic feeder for refrigerated bread product
JPS5931217A (en) Automatic formation apparatus for fish-tray agglomerated body
JP3341172B2 (en) Baked pudding manufacturing equipment
CN217171056U (en) Full-automatic egg boxing device
JP2004182429A (en) Article supply device
CN217320829U (en) Automatic film coating equipment for edible mushroom packaging 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