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772A -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 Google Patents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772A
KR20210128772A KR1020200046847A KR20200046847A KR20210128772A KR 20210128772 A KR20210128772 A KR 20210128772A KR 1020200046847 A KR1020200046847 A KR 1020200046847A KR 20200046847 A KR20200046847 A KR 20200046847A KR 20210128772 A KR20210128772 A KR 2021012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box
mails
postal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320B1 (ko
Inventor
정만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Priority to KR102020004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3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08Means for collecting objects, e.g. containers for sorted mail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수작업 구분 완료된 우편물에 대한 구분 오작업을 검증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에 있어서, 함체; 트레이에 적재된 복수개의 우편물을 1매씩 구분하여 이송 컨베이어로 차례로 투입시키는 우편물 투입기;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우편물 투입기를 통해 공급되는 우편물을 스캐닝 영역을 거쳐 우편물 투입기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되어 온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상기 함체의 타단의 측벽에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어 오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오구분함; 상기 오구분함에 인접하여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어 정상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정상 구분함; 스캐닝 영역에서 스캐닝된 후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어 온 우편물을 구분하여 상기 오구분함 또는 정상 구분함 중 어느 한 곳의 구분함으로 구분하여 투입시키는 우편물 구분기; 우편물 배송지가 포함된 배송지 정보가 바코드 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DB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기; 상기 우편물 투입기, 이송 컨베이어, 스캐너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Apparatus for postal matter sort verification}
본 발명은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로서, 수작업되어 구분된 우편물을 검증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편물이 우체국에 접수될 때 접수정보(날짜, 발송인, 수취인, 수취인 주소, 우편번호, 우편물 무게 등)를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바코드를 발행하여, 우편물에 부착한다. 부착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우편물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배송상태 정보를 우편물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하고, 오배송(잘못된 주소지 배달) 여부, 배송지연 사유 등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집중국, 우체국 등의 우편물 취급점에 접수된 우편물의 바코드에 수록된 내용을 판독하여 행선지 별로 신속하게 구분하여 줌으로써, 우편물이 신속하게 구분 처리된다. 즉, 각각의 우편물 취급점에 설치된 통상우편물 구분작업대에서 작업자 육안 검색한 후 구분 작업을 진행한다. 작업이 완료된 우편물은 개별 체결 및 전수 검수를 진행한다. 검수 작업이 완료되면 동일 행선지 우편물들을 배송상자에 담은 후 배송상자체결 후에 발송된다.
우편물 구분 과정을 도 1과 함께 상술하면, 우편물 정보 전산 입력 과정(S10), 바코드 라벨 부착 과정(S20), 관할 집중국 우편물 배송 과정(S30), 우편물 체결 및 구분 작업 과정(S40), 배송 준비 과정(S50), 업데이트 체결 작업 과정(S60)을 가지게 된다.
우편물 정보 전산 입력 과정(S10)은, 우체국 직원이 우편물 정보(날짜, 발송인, 수취인, 수취인 주소, 우편번호, 우편물 무게 등)를 전산 입력하는 과정이다.
바코드 라벨 부착 과정(S20)은, 순차 또는 임의 부여된 고유의 13자리 바코드값에 해당 정보가 입력되고, 우편물에 13자리 바코드 라벨이 부착되도록 한다. 즉, 13자리 바코드는 정보를 검색하는 고유번호(접수정보)가 되고, 우정사업본부 정보센터(이하 정보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할 때 사용되는 인덱스 값이 된다.
관할 집중국 우편물 배송 과정(S30)은, S20과정 완료 후, 우체국에서 접수한 우편물을 관할 우편집중국으로 배송하는 과정이다.
우편물 체결 및 구분 작업 과정(S40)은, 우편집중국에 도착한 우편물을 체결작업(스캐너(300)로 13자리 바코드 입력)을 하여, 정보센터에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우편물 도착/발송, 파손여부등)를 업데이트하고, 이후, 구분작업을 통해 도착 배송지(타 우편집중국 또는 관할 우체국)로 구분하는 과정이다.
배송 준비 과정(S50)은, 구분 완료된 우편물을 함께 배송될 다른 우편물들과 함께 배송상자에 담겨지게 하고, 배송 준비가 완료되면, 다시 체결작업(개별체결 후 묶음체결)을 통해 정보센터에 배송준비완료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이다.
업데이트 체결 작업 과정(S60)은, 배송지에서 도착한 모든 우편물들에 대해 체결작업(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업데이트)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최종 수취인에게 배달하기 위해 집배원 팀별 또는 집배원별 구분작업이 이루어지고, 수취인 배송 전 다시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최종 수취인이 우편물을 수령하면, 집배원은 최종 체결작업으로 우편물 배달정보를 정보센터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하도록 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우편물 배송을 위해서는 출발지, 제1중간기점지, 제2중간기점지, 제3중간기점지, 배달국 등의 우편물 취급점 각각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우편물 구분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어느 우편물 취급점에서 우편물 구분 작업을 하지 않은 실수가 발생할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고 내역이 보이지 않고 입고 내역만 보이게 된다. 상기의 도 2와 같이 되었을 경우, 만약 배송이 수취인에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동안 우편집중국'에서 책임소지가 있다. 일반 소포물량은 단순 변상을 하면 되지만, 우체국 통상우편물, 특히 특수통상 우편물은 법적효력이 발생하므로, 우편물 손실 및 오배송을 막기 위한 수작업 구분 후의 검수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검증 작업을 위해 수작업으로 구분된 우편물에 대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스캐너(300)를 통해 체결작업(바코드 인식작업)을 통해 검수 작업을 진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검증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구분 작업 이후, 같은 작업자의 육안작업을 통한 전수 개별체결작업 및 검수작업의 2중 작업 진행으로 업무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비숙련자의 작업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명절등 특수기에 우편물 증가로 인한 업무량 증가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작업율과 신뢰성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작업자의 노동환경 개선과 우편물 오구분 검수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5812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우편물 오구분 검수 자동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수작업 구분 완료된 우편물에 대한 구분 오작업을 검증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에 있어서, 함체; 트레이에 적재된 복수개의 우편물을 1매씩 구분하여 이송 컨베이어로 차례로 투입시키는 우편물 투입기;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우편물 투입기를 통해 공급되는 우편물을 스캐닝 영역을 거쳐 우편물 투입기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되어 온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상기 함체의 타단의 측벽에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어 오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오구분함; 상기 오구분함에 인접하여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어 정상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정상 구분함; 스캐닝 영역에서 스캐닝된 후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어 온 우편물을 구분하여 상기 오구분함 또는 정상 구분함 중 어느 한 곳의 구분함으로 구분하여 투입시키는 우편물 구분기; 우편물 배송지가 포함된 배송지 정보가 바코드 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DB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기; 상기 우편물 투입기, 이송 컨베이어, 스캐너를 제어하며,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된 우편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를 DB 서버에 조회하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가 미리 등록된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정상 구분함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하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가 상기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경우 상기 오구분함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상기 우편물 구분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우편물 구분 결과가 표시되는 모니터; 상기 함체에서 돌출되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광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정상 구분함 또는 오구분함으로 구분되는 우편물 검증 결과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며, 상기 조회된 우편물 배송지가 상기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우편물인 경우 상기 경광등을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우편물 구분기는, 슬라이딩 패널로 구현되어, 상기 제어기는, 조회된 우편물 배송지가 미리 등록된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정상 구분함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끝단이 정상 구분함으로 향하도록 제어하며, 조회된 우편물 배송지가 상기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경우 상기 오구분함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끝단이 오구분함으로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정상 구분함으로 구별된 우편물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검증 완료된 우편물로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체결 작업할 수 있다.
동일한 우편물 배송지로 수작업 구분된 우편물들을 우편물 집합체라 할 때, 우편물 투입기에 적재되는 우편물 집합체의 제일 첫 장에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가 위치되도록 하며, 우편물 투입기에 적재되는 우편물 집합체의 제일 마지막장에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가 검출된 후 마지막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검출될 때까지 우편물들을 스캔하여, 상기 정상 구분함으로 구분된 우편물들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하나의 단위로 묶음처리하여 우편물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체결 작업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우편물 센터 서버로부터 각 우편 취급국의 우편물 처리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설정된 임계 처리량 이상으로 우편물이 배정된 우편물 취급점인 업무량 초과 우편물 취급점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업무량 초과 우편물 취급점을 우편물 배송지로서 묶음처리된 우편물들에 대한 배송지를 우편물 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업무량 초과 우편물 취급점에 가장 가까운 우편물 취급점으로 변경하는 우편물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체결 작업할 수 있다.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의 인쇄가 기준치 이하로 흐릿하게 인쇄되어 있어 스캐닝 영역에서 우편물 접수번호와 우편물 배송지가 판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스캔되는 바코드 라벨의 이미지를 보정 처리하여 보정 이미지를 대상으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함체의 내부에 우편물 배송상자가 수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며, 함체의 바닥면에 이동 바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상기 오구분함과 정상 구분함이 탑재된 수납함으로서,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 수납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납함은, 상기 우편물 구분기의 설치 위치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납함은, 측벽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있어 함체 측벽에 구비된 자성체와 자력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나 주소지 판독을 통해,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송지와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구분된 통상우편물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우편물 체결작업(정보 업데이트)을 진행함으로써. 이로 인해 기존 수작업으로 정보 업데이트 작업을 자동으로 구현하여, 작업의 업무 효율, 시간 단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구분된 우편물 발견시, 우편집중국과 우체국, 상호간 오배송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특히 오배송으로 발생되는 추가 물류비용, 특수/속달우편물의 법정소송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발생되는 오구분 검수작업과 체결작업(정보 업데이트)에 비해, 업무의 정확도와 처리속도 향상, 인력 감축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우편물 구분 작업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2는 체결작업 하지 않은 우편국이 표시된 우편물 조회화면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상 구분함 또는 오구분함으로 우편물이 구분되어 투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와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를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상 구분함과 오구분함에 함체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상 구분함 또는 오구분함으로 우편물이 구분되어 투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와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상 구분함과 오구분함에 함체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우편물"이라는 우편 배송되는 것으로서, 일반우편물, 특수우편물, 등기우편물, 속달 우편물 등과 같이 서류나 봉투에 담긴 모든 형태의 우편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수작업 구분 완료된 우편물에 대한 구분 오작업을 검증함에 있어서, 배송지에 따라서 수작업 구분된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나 주소지 판독을 통해,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송지와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구분된 통상우편물에 대해서는 우편물 체결작업(정보 업데이트)을 자동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수작업 구분 완료된 우편물에 대한 구분 오작업을 검증하는 본 발명의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10), 우편물 투입기(100), 이송 컨베이어(200), 스캐너(300), 오구분함(500), 정상 구분함(600), 우편물 구분기(400), 유무선 통신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모니터(900)와 경광등(950)이 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검증 수작업을 위한 핸들 스캐너(300)와 컴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함체(10)는, 트레이, 우편물 투입기(100), 이송 컨베이어(200), 스캐너(300), 오구분함(500), 정상 구분함(600), 우편물 구분기(400), 유무선 통신기(700), 제어기(800)가 구비된 본체이다. 함체(10)의 크기는 예컨대, 가로×세로×높이가 700×1500×800(mm)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함체(10)의 바닥면에는 이동 바퀴가 구비되어 함체(10)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작업 구분 작업이 끝난 우편물을 작업대로 함체(10)를 이동시켜, 바로 구분 검증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 구분 우편물 정리 및 수레 이동 작업을 없앨 수 있다.
우편물 투입기(100)는, 트레이에 적재된 복수개의 우편물을 1매씩 구분하여 이송 컨베이어(200)로 차례로 투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레이에 적재된 복수개의 우편물을 낱개로 하여 이송 컨베이어(200)로 차례로 투입시키는 것으로서, 복사기 등에 사용되는 공지된 투입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우편물 투입기는 트레이에 적재된 우편물들 중에서 맨 밑장부터 차례로 이송 컨베이어(200)로 투입시키는 기구적 동작을 하도록 한다.
이송 컨베이어(200)는, 함체(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우편물 투입기(100)를 통해 공급되는 우편물을 스캐닝 영역을 거쳐 우편물 투입기(100)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송 컨베이어(200)는 경량 재질로 제작한 소형 벨트 컨베이어로 구현되어 함체(1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된다.
스캐너(300)는, 이송 컨베이어(200)를 통해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되어 온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우편물이 우체국에 접수될 때 접수정보(날짜, 발송인, 수취인, 수취인 주소, 우편번호, 우편물 무게 등)가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13자리의 바코드가 기록된 바코드 라벨을 발행하여 우편물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바코드 라벨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다만,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의 인쇄가 기준치 이하로 흐릿하게 인쇄되어 있어 스캐닝 영역에서 우편물 접수번호와 우편물 배송지가 판독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작업자는 판독되지 않는 바코드 라벨의 바코드 번호를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수동으로 타이핑하여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수작업 입력은 번거롭기 때문에, 제어기(800)는, 스캔되는 바코드 라벨의 이미지를 보정 처리하여 보정 이미지를 대상으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캐너(300)는, 적외선 스캐너와 이미지 스캐너를 혼용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지 스캐너 사용시, 스캐너(300)에서 수집된 이미지를 OCR프로그램을 통해 보정하여 바코드 정보나 문자를 배코드를 인식하여 실시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오구분함(500)은, 함체(10)의 타단의 측벽에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300)에 의해 스캔되어 오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수납함이다.
정상 구분함(600)은, 오구분함(500)에 인접하여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300)에 의해 스캔되어 정상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수납함이다. 오구분함(500)과 정상 구분함(600)은, 박스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서 트레이에 장착된 배송상자 구조물, 포대 구조물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우편물 구분기(400)는, 스캐닝 영역에서 스캐닝된 후 이송 컨베이어(200)를 따라 이송되어 온 우편물을 구분하여 오구분함(500) 또는 정상 구분함(600) 중 어느 한 곳의 구분함으로 구분하여 투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편물 구분기(400)는 함체(10)의 끝단에 슬라이딩 패널(sliding panel)로 구현되는데, 회동체에 의해 슬라이딩 패널의 끝단이 오구분함(500)의 상측 또는 정상 구분함(6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무선 통신기(700)는, 우편물 배송지가 포함된 배송지 정보가 바코드 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DB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는 바코드를 이용한 우편물 위치 정보가 수시로 업데이트되는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구서구내 우체국에서 접수된 A 우편물의 우편물 배송지는 대구서Sub로 업데이트 되며, 대구서Sub에 도착한 A 우편물의 우편물 배송지는 다음 취급점인 군포 Hub로 업데이트 되며, 군포 Hub에 도착한 A 우편물의 우편물 배송지는 다음 취급점인 동안Sub로 업데이트된다. 이와 같이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는 배송상태 정보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데, 유무선 통신기(700)는 DB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이러한 배송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러한 유무선 통신 방식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800)는, CPU와 같은 연산 유닛과 메모리와 같은 저장체를 구비한 연산 처리 장치로서, 우편물 투입기(100), 이송 컨베이어(200), 스캐너(300), 유무선 통신기(700), 우편물 구분기(400)를 제어한다.
즉, 제어기(800)는,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된 우편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를 DB 서버에 조회한다. 그리고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가 미리 등록된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일치하는 경우 정상 구분함(600)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우편물 구분기(400)를 제어한다. 우편물 구분기(400)는 슬라이딩 패널로 구현된 경우, 제어기(800)는, 조회된 우편물 배송지가 미리 등록된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일치하는 경우 정상 구분함(600)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끝단이 정상 구분함(600)으로 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수작업 구분한 결과 A 우편물의 우편물 배송지가 군포 Hub인 경우 군포 Hub로 향하는 배송상자에 담기게 된다. 이렇게 군포 Hub 배송상자에 담긴 우편물들은 본 발명의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의 스캐너(300)의 판독을 통해 검증에 들어가는데, 스캐너(300)를 통해 판독하여 DB 서버에 조회한 결과 A 우편물의 배송지가 군포 Hub인 경우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인 군포 Hub와 일치하기 때문에 도 5(a)와 같이 슬라이딩 패널을 정상 구분함(600)의 상측으로 위치시켜 이송 컨베이어(200)를 따라 흘러온 A 우편물이 정상 구분함(600)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에,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된 우편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를 DB 서버에 조회한 후,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가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경우 오구분함(500)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우편물 구분기(4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수작업 구분 후에 군포 Hub 배송상자에 담긴 우편물들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군포 Hub 배송상자에 담긴 우편물의 어느 하나인 B 우편물에서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가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대전 Hub인 경우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인 군포 Hub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도 5(b)와 같이 슬라이딩 패널을 오구분함(500)의 상측으로 위치시켜 이송 컨베이어(200)를 따라 흘러온 B 우편물이 오구분함(500)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검증 과정에서 오구분된 우편물 발견시, 우편집중국과 우체국, 상호간 오배송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특히 오배송으로 발생되는 추가 물류비용, 특수/속달우편물의 법정소송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발생되는 오구분 검수작업에 비해, 업무의 정확도와 처리속도 향상, 인력 감축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참고로, 오구분 우편물 발생 시에 2가지 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데, 하나는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오구분함으로 자동 분류되도록 하는 방안이고, 다른 하나는 오구분 발생시에 이송 컨베이어(200)를 중지시키고 작업자가 오구분 우편물을 별도로 수거한 후 이송 컨베이어(200)를 재가동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우편물 구분 결과가 표시되는 모니터(900)와, 함체(10)에서 돌출되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광등(9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800)는, 정상 구분함(600) 또는 오구분함(500)으로 구분되는 우편물 검증 결과를 모니터(90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에서 비교 검증 결과가 모니터(900)에 표시됨으로써, 관리자는 즉시 검증 결과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기(800)는, 조회된 우편물 배송지가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우편물인 경우 경광등(950)을 발광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에서 오구분으로 판정된 우편물의 경우, 별도로 구비된 핸들 스캐너(300)와 컴퓨터를 통하여 오구분 판정된 우편물의 정확한 배송지를 수작업으로 업데이트 갱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스캐닝 및 구분함 분류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검증된 우편물이 정상 구분함(600)에 적재되게 되는데, 제어기(800)는, 이와 같이 정상 구분함(600)으로 구별된 우편물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검증 완료된 우편물로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체결 작업한다. 이러한 업데이트 체결 작업은, 예를 들어, 수작업 구분을 통해 군포 Hub 배송상자에 담긴 우편물들을 본 발명의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를 통해 자동 검증하여, 정상 구분함(600)에 검증 완료된 군포 Hub를 배송지로 하는 우편물들이 모이게 되는데, 이렇게 정상 구분함(600)으로 집합된 우편물들의 배송지를 군포 Hub로 하는 내용을 DB 서버의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체결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여기서 체결 작업이라 함은, 우편물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된 바코드 정보에 우편물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다음단계 배송지, 우편물 도착/발송, 파손여부 등)을 DB에 업데이트 하는 것인데, 본 발명의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에서 체결 작업이라 함은, 수작업 구분된 우편물들에 대해서 정상이라고 검증된 우편물들에 대하여 다음 단계 배송지를 업데이트 갱신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이와 같이 정상 구분함(600)으로 구별된 우편물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검증 완료된 우편물로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체결 작업함에 있어서, 묶음처리하여 체결 작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안양우체국'에 배송될 통상우편물이 3개의 배송상자에 나누어 담겨져 있으면, 이 3개의 배송상자를 동일 배송지로 이동할 것을 전산상으로 묶는 것을 말한다. 이것도 우편물 위치추적을 위함이다.
<안양우체국 묶음처리 예시>
제1배송상자 : 안양우체국우편물#001 ~ #100
제2배송상자 : 안양우체국우편물#101 ~ #200
제3배송상자 : 안양우체국우편물#201 ~ #300
배송상자가 99개가 있으면, 전산상으로 제1배송상자 ~ 제3배송상자가 안양우체국이라고 묶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해야 한다. 이것은 우체국 시스템에 맞게 전산처리 되는 부분이다. 또한 우편물 추적을 위한 부분으로, 만약 안양우편물 #155가 없어지면, 제1배송상자~제3배송상자를 모두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제2배송상자를 우선 검색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와 같은 전산상 묶음처리 절차는 구분이 완료된 우편물이 배송상자에 꽉차면, (1)배송상자 번호생성 -> (2)배송지 정보 입력 -> (3)마지막 처리된 우편물 바코드 입력 으로 전산처리되어 한다.
이러한 묶음처리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우편물 배송지로 수작업 구분된 우편물들(동일 배송상자에 들은 우편물들)을 우편물 집합체라 할 때, 우편물 투입기(100)에 적재되는 우편물 집합체의 제일 첫 장에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가 위치되도록 하며, 우편물 투입기(100)에 적재되는 우편물 집합체의 제일 마지막장에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를 우편물 집합체의 제일 윗부분에 위치시키고,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를 우편물 집합체의 제일 아랫 부분에 위치시킨 채로 본 발명의 우편물 투입기(100)에 적재시킨 차례로 이송시켜 스캔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기(800)는,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가 검출된 후 마지막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검출될 때까지 우편물들을 스캔하여, 정상 구분함(600)으로 구분된 우편물들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하나의 단위로 묶음처리하여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체결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안양우체국우편물#001 ~ #100이 들어있는 제1 배송상자에 대한 검증을 할 때, 우편물#001 전단에 자동체결 시작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를 위치시키고, 우편물#100 후단에 자동체결 종료 바코드가 부착된 용지를 위치시킨 후, 본 발명의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를 통해 차례로 스캐닝을 진행해간다. 검증결과 #018, #073의 2개의 우편물만이 오구분함(500)으로 수납되고 나머지 98개의 우편물이 정상 구분함(600)으로 수납된 경우, #018, #073 우편물을 제외한 나머지 98개의 우편물들을 안양우체국우편물의 제1배송상자로서 묶음처리하는 업데이트 체결 작업을 하는 것이다.
한편, 명절이나 기념일 등과 같은 특별소통기간 중에는 우편물이 급증하여 각 우편국, 집중국 등의 우편물 취급점에 업무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명절이나 기념일 등과 같은 특별소통기간에 급증하는 우편물들에 대한 구분 검증시에 분산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800)는, 우편물 센터 서버로부터 각 우편 취급국의 우편물 처리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설정된 임계 처리량 이상으로 우편물이 배정된 우편물 취급점인 업무량 초과 우편물 취급점이 검출되는 경우, 업무량 초과 우편물 취급점을 우편물 배송지로서 묶음처리된 우편물들에 대한 배송지를 우편물 센터 서버와 연동하여, 업무량 초과 우편물 취급점에 가장 가까운 우편물 취급점으로 변경하는 우편물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체결 작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A(발송국-대전우편집중국) -> B(중계국-동서울우편집중국) -> C(도착국-광화문우체국)으로 배송처리가 된다고 가정할 때, A(발송국)의 작업자들은 구분계획에 맞추어 B(중계국)으로 우편물을 구분하는데, 본 발명의 자동 검증 과정에서 B(중계국)에서 처리물량이 많아지던지, 정전 사고 등이 발생되었다고 파악되는 경우, B(중계국)으로 구분된 배송상자의 우편물들의 배송지를 새로운 배송지인 C(도착국)으로 변경하여 업데이트 체결 작업을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우편물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접수된 우편물의 발송지 구분 검증 기능 및 최종 배송지 구분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를 활용하게 되면, 중간 기점지(우편집중국)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최초 또는 최종 기점지(우체국)에서 직접 '우편물 자동 검증' 작업이 가능하여, 특별소통기간(명절, 기념일 등) 중에 발생하는 극한적으로 늘어나는 우편물에 대해 분산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1차 중간 기점지에 문제 발생 시에, 최초 접수처에서 2차 중간 기점지 또는 최종 기점지의 상황에 맞게 분류가 되었는지 검증 및 체결(정보 업데이트)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하여, 비상시 업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함체(10)의 내부에 배송상자가 수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다수의 배송상자가 함체(10)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검증이 완료된 우편물들은 배송상자에 담겨 수납 공간에 탑재되고, 함체(10)의 바퀴 이동에 의하여 작업대 이송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오구분함(500)과 정상 구분함(600)은, 도 3과 같이 함체(10)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이 오구분함(500)과 정상 구분함(600)이 탑재된 이동 수납함으로 되어 함체(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수납함은, 우편물 구분기(400)의 설치 위치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우편물 구분기(400)에서 낙하되는 우편물이 오구분함(500) 또는 정상 구분함(600)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이동 수납함에는 바퀴가 달려있어 함체(10)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동 수납함의 측벽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있어 함체(10) 측벽에 구비된 자성체와 자력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함체 100:우편물 투입기
200:이송 컨베이어 300:스캐너
400:우편물 구분기 500:오구분함
600:정상 구분함 700:유무선 통신기
800:제어기

Claims (7)

  1. 수작업 구분 완료된 우편물에 대한 구분 오작업을 검증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에 있어서,
    함체;
    트레이에 적재된 복수개의 우편물을 1매씩 구분하여 이송 컨베이어로 차례로 투입시키는 우편물 투입기;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우편물 투입기를 통해 공급되는 우편물을 스캐닝 영역을 거쳐 우편물 투입기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되어 온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스캐너;
    상기 함체의 타단의 측벽에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어 오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오구분함;
    상기 오구분함에 인접하여 위치한 수납함으로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어 정상구분 판정된 우편물이 투입되는 정상 구분함;
    스캐닝 영역에서 스캐닝된 후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어 온 우편물을 구분하여 상기 오구분함 또는 정상 구분함 중 어느 한 곳의 구분함으로 구분하여 투입시키는 우편물 구분기;
    우편물 배송지가 포함된 배송지 정보가 바코드 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DB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기;
    상기 우편물 투입기, 이송 컨베이어, 스캐너 및 우편물 구분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캐닝 영역으로 이송된 우편물의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를 DB 서버에 조회하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가 미리 등록된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정상 구분함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하며, 판독된 바코드 정보에 할당된 우편물 배송지가 상기 배송상자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경우 상기 오구분함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도록 상기 우편물 구분기를 제어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우편물 구분 결과가 표시되는 모니터;
    상기 함체에서 돌출되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광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정상 구분함 또는 오구분함으로 구분되는 우편물 검증 결과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며, 상기 조회된 우편물 배송지가 상기 바구니 우편물 배송지와 다른 우편물인 경우 상기 경광등을 발광시키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정상 구분함으로 구별된 우편물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검증 완료된 우편물로서 우편물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체결 작업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라벨의 인쇄가 기준치 이하로 흐릿하게 인쇄되어 있어 스캐닝 영역에서 우편물 접수번호와 우편물 배송지가 판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스캔되는 바코드 라벨의 이미지를 보정 처리하여 보정 이미지를 대상으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함체의 내부에 배송상자가 수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며,
    함체의 바닥면에 이동 바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는,
    상기 오구분함과 정상 구분함이 탑재된 수납함으로서,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 수납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납함은, 상기 우편물 구분기의 설치 위치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KR1020200046847A 2020-04-17 2020-04-17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KR10238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847A KR102384320B1 (ko) 2020-04-17 2020-04-17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847A KR102384320B1 (ko) 2020-04-17 2020-04-17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72A true KR20210128772A (ko) 2021-10-27
KR102384320B1 KR102384320B1 (ko) 2022-04-08

Family

ID=7828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847A KR102384320B1 (ko) 2020-04-17 2020-04-17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89A (ko) * 2021-05-10 2022-11-17 (주)디앤디 봉투 우편물 멀티 인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260A (ko) * 2010-08-18 2012-02-28 케어캠프 주식회사 라벨 자동 부착 장치
US20120061207A1 (en) * 2001-07-13 2012-03-15 Dewitt Robert 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going bulk mail
KR101232126B1 (ko) * 2012-11-30 2013-02-15 (주)이씨에이시스템 우편물 수작업 시스템 개선을 위한 타건 및 라벨출력 시스템
KR20140058125A (ko) 2012-11-06 2014-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811600B1 (ko) * 2017-04-27 2017-12-22 대한민국 집중국 등기통상 수작업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1207A1 (en) * 2001-07-13 2012-03-15 Dewitt Robert 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going bulk mail
KR20120017260A (ko) * 2010-08-18 2012-02-28 케어캠프 주식회사 라벨 자동 부착 장치
KR20140058125A (ko) 2012-11-06 2014-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 자동구분을 위한 구분칸 자동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232126B1 (ko) * 2012-11-30 2013-02-15 (주)이씨에이시스템 우편물 수작업 시스템 개선을 위한 타건 및 라벨출력 시스템
KR101811600B1 (ko) * 2017-04-27 2017-12-22 대한민국 집중국 등기통상 수작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89A (ko) * 2021-05-10 2022-11-17 (주)디앤디 봉투 우편물 멀티 인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320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68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including space efficient distribution stations and automated output processing
US202202971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or the processing of objects in vehicles
US118844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provided in vehicles
CN110199231A (zh) 用于处理物体的系统和方法
JP7156929B2 (ja) 物品の配送方法及び配送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869896B1 (ko) 물품 자동분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3378A (ko)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71915B1 (en) Mail handling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s
EP3484635B1 (en) Separation of machinable parcels from non-machinable parcel stream
US114726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including semi-autonomous stations and automated output processing
US8863961B2 (en) Method and system of sorting items for delivery to a recipient
KR102384320B1 (ko) 우편물 구분 검증 장치
KR100734627B1 (ko) 무선 인식(rfid)을 이용한 우편 물류 처리 장치 및방법
KR100749807B1 (ko) 전파식별을 이용한 운송물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2126B1 (ko) 우편물 수작업 시스템 개선을 위한 타건 및 라벨출력 시스템
US8857706B2 (en) Mail processing system with loaded tray validation
US10706639B2 (en) Mobile scanning system for processing non-machinable, undeliverable-as-addressed mail
JP2017065888A (ja) 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の配送情報管理サーバ、配送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荷物積載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の配送方法
JP2017000954A (ja) 配達物処理装置、配達物処理支援装置、配達物処理システム、配達物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配達物処理支援プログラム
JPH0552954U (ja) 集配物の照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