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637A - 서랍장 - Google Patents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637A
KR20210128637A KR1020200046515A KR20200046515A KR20210128637A KR 20210128637 A KR20210128637 A KR 20210128637A KR 1020200046515 A KR1020200046515 A KR 1020200046515A KR 20200046515 A KR20200046515 A KR 20200046515A KR 20210128637 A KR20210128637 A KR 2021012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s
wire
chest
side wall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382B1 (ko
Inventor
김형렬
Original Assignee
김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렬 filed Critical 김형렬
Priority to KR102020004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3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1Furniture units made of wire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이 얇은 목재로 구성되는 서랍장에 있어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측벽이 벌어지지 아니하게 하는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서랍을 수납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서랍(200)들을 포함하는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벽(110, 120)을 연결하여 상기 양 측벽(110, 1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300)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300)는 양 측벽(110, 120)에 설치되는 체결부(111, 121)에 의해 양 측벽(110, 120)과 체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부에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랍장{A DRAWERS}
본 발명은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이 얇은 목재로 구성되는 서랍장에 있어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측벽이 벌어지지 아니하게 하는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서랍장은 옷 등을 수납하는 보편적인 가구이다. 이러한 서랍장은 가구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적정한 수준의 내구성이 요구된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들을 소개한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018호 '안전성 및 견고함을 구비한 다단 서랍장'은, 전방이 개구되며 내측에 다층을 이루는 지지대들이 설치되는 서랍장 몸체부; 상기 지지대들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하면서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랍; 상기 개구 근방에서 상기 지지대들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스토퍼 레일; 및 상기 복수의 서랍들 각각의 후단에서 상기복수의 서랍의 양측부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스토퍼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서랍을 인출하면 상기 복수의 제 1스토퍼 레일과, 상기 복수의 제 2스토퍼 레일은 서로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593호 '경량 시스템 서랍장'은 서랍장의 전체 무게가 경량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별도의 구조변경을 할 필요가 없이도 다양한 크기의 서랍을 필요에 따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경량 시스템 서랍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구조가 금속 각재를 연결하여 측면지지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측면지지대를 전면바와 후면바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전면바와 후면바의 상단에 플라스틱 레일을 현수 연결하여 레일을 구비하고, 그 레일과 맞물리게 서랍의 하단에는 돌출레일을 형성하여 서랍이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드 작동되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서랍장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서랍의 좌,우 폭을 단위서랍을 좌,우 폭을 기준으로 배수로 이루어지도록 다양하게 형성하면서서랍이 수납되는 삽입공간에는 한 층에 여러 쌍의 레일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서랍을 호환하여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은 종래의 저가의 얇은 목재로 구성된 서랍장의 내구성 향상에 적용하기에는 적절치 아니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018호 '안전성 및 견고함을 구비한 다단 서랍장' 공고일자 2017년07월20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593호 '경량 시스템 서랍장' 공고일자 2014년09월26일
측벽이 얇은 목재로 구성되는 저가형 서랍장은 오랜 기간 사용시 양 측벽이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측벽이 얇은 목재로 구성되는 저가형 서랍장이 장시간 사용하여도 양 측벽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서랍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랍을 수납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서랍(200)들을 포함하는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벽(110, 120)을 연결하여 상기 양 측벽(110, 1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300)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300)는 양 측벽(110, 120)에 설치되는 체결부(111, 121)에 의해 양 측벽(110, 120)과 체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부에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이 얇은 목재로 구성되는 저가형 서랍장이 장시간 사용하여도 양 측벽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서랍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와이어만을 연결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추가비용이 작으며, 종래의 서랍장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서랍장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서랍장의 제1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서랍장의 제2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서랍장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서랍장의 제1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서랍을 수납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서랍(200)들을 포함하는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벽(110, 120)을 연결하여 상기 양 측벽(110, 1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300)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300)는 양 측벽(110, 120)에 설치되는 체결부(111, 121)에 의해 양 측벽(110, 120)과 체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부에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을 제공한다.
도2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0)는 양 측벽(110, 120)에 설치되는 체결부(111, 121)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111, 121)는 상기 양 측벽(110, 120)의 내측에 나사 내지 못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111, 121)가 상기 양 측벽(110, 120)의 외측에 나타나지 아니하게 되어 미려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상기 체결부(111, 121)는 양 측벽(110, 12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와이어(300)가 보다 튼튼하게 체결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을 구비한다. 도2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300)는 두 가닥의 꼬인 철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은 상기 두 가닥의 꼬인 철사 사이를 관통하는 막대(311)와, 상기 막대(3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312, 313)로 구성된다. 사용자은 상기 손잡이(312, 313)를 이용하여 상기 막대(311)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300)의 꼬인 회전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300)의 텐션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312, 313)는 인접한 횡벽(130)에 접하게 되어 비조작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도3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부(111, 121)는 두 개의 통공을 가진 체결구이며, 상기 와이어(300)가 상기 두 개의 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은 와이어(300)의 각 말단에 설치되며 서로 나사결합을 하는 연결부재(320, 330)들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20, 330)들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300)가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각 연결부재(320, 330)의 나사결합의 정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3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의 각 연결부재(320, 330)들의 나사를 돌림으로써 와이어(300)의 텐션 및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프레임
110, 120. 측벽
111, 121. 체결부
130. 횡벽
200. 서랍
300. 와이어
310. 와이어길이조절수단
311. 막대
312, 313. 손잡이
320. 330. 연결부재

Claims (2)

  1. 서랍을 수납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서랍(200)들을 포함하는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벽(110, 120)을 연결하여 상기 양 측벽(110, 1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300)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300)는 양 측벽(110, 120)에 설치되는 체결부(111, 121)에 의해 양 측벽(110, 120)과 체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중앙부에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1, 121)는 두 개의 통공을 가진 체결구이며, 상기 와이어(300)가 상기 두 개의 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와이어길이조절수단(310)은 와이어(300)의 각 말단에 설치되며 서로 나사결합을 하는 연결부재(320, 330)들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20, 330)들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300)가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각 연결부재(320, 330)의 나사결합의 정도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KR1020200046515A 2020-04-17 2020-04-17 서랍장 KR102416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15A KR102416382B1 (ko) 2020-04-17 2020-04-17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15A KR102416382B1 (ko) 2020-04-17 2020-04-17 서랍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37A true KR20210128637A (ko) 2021-10-27
KR102416382B1 KR102416382B1 (ko) 2022-07-01

Family

ID=7828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515A KR102416382B1 (ko) 2020-04-17 2020-04-17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3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2179A (en) * 1969-12-17 1972-01-04 Jon D Vredevoogd Furniture unit constituted of sections held together by a tension cable
US4044448A (en) * 1975-08-25 1977-08-30 Kazuko Watanabe Method of assembling articles of furniture
JP3068328U (ja) * 1999-10-20 2000-05-12 勤築企業股▲ふん▼有限公司 枠組の補強ステ―
KR200262095Y1 (ko) * 2001-10-29 2002-02-06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천막의 지지로프
KR200474593Y1 (ko) 2013-06-07 2014-09-26 김승현 경량 시스템 서랍장
KR200484018Y1 (ko) 2016-11-08 2017-07-20 주식회사 이퍼니 안전성 및 견고함을 구비한 다단 서랍장
KR20190066818A (ko) * 2017-12-06 2019-06-14 오병석 안전 서랍장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2179A (en) * 1969-12-17 1972-01-04 Jon D Vredevoogd Furniture unit constituted of sections held together by a tension cable
US4044448A (en) * 1975-08-25 1977-08-30 Kazuko Watanabe Method of assembling articles of furniture
JP3068328U (ja) * 1999-10-20 2000-05-12 勤築企業股▲ふん▼有限公司 枠組の補強ステ―
KR200262095Y1 (ko) * 2001-10-29 2002-02-06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천막의 지지로프
KR200474593Y1 (ko) 2013-06-07 2014-09-26 김승현 경량 시스템 서랍장
KR200484018Y1 (ko) 2016-11-08 2017-07-20 주식회사 이퍼니 안전성 및 견고함을 구비한 다단 서랍장
KR20190066818A (ko) * 2017-12-06 2019-06-14 오병석 안전 서랍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382B1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203B1 (ko) 조립식 라운드 수납장
US20170282349A1 (en) Assembled tool cabinet
KR20110007318A (ko) 조립식 수납박스
US3643529A (en) Furniture construction
KR102416382B1 (ko) 서랍장
US2729529A (en) Bookrack or the like
CN204970178U (zh) 一种高空间利用率的安全型更衣柜
US10575634B1 (en) Over and under closet rod and shelf supports
KR102092626B1 (ko) 시스템 가구 구조
KR102165605B1 (ko) 서랍이 구비된 침대
KR20210154783A (ko) 시스템 선반
US4440460A (en) Furniture and drawer therefor
KR101542034B1 (ko) 디자인 가변형 가구
KR102552100B1 (ko) 빌트인 수납장
KR100365553B1 (ko) 조립식 장롱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91068B1 (ko) 조립식 책상
KR200200758Y1 (ko) 조립식 가구
KR200369562Y1 (ko) 벽면 설치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KR200495081Y1 (ko) 붙박이장
KR200310209Y1 (ko) 수납장
KR200319069Y1 (ko) 붙박이장용 문짝
KR200348220Y1 (ko) 서랍장
KR200311569Y1 (ko)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CN208658224U (zh) 一种框架式衣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