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431A - 레이저 고속 타이어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고속 타이어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431A
KR20210128431A KR1020217029238A KR20217029238A KR20210128431A KR 20210128431 A KR20210128431 A KR 20210128431A KR 1020217029238 A KR1020217029238 A KR 1020217029238A KR 20217029238 A KR20217029238 A KR 20217029238A KR 20210128431 A KR20210128431 A KR 20210128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ath
machining
positioning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힐만
아민 크라우스
안드레 랑게
Original Assignee
4제트 테크놀로기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8174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1284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4제트 테크놀로기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4제트 테크놀로기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2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35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 B08B7/004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by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B29D2030/0686Incorporating sealants on or into ty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therefore, e.g. preparation of the ty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타이어(108)의 내부 표면(118)을 세정하기 위한 타이어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표면을 가지며 원주 방향과 타이어 회전축(110)을 규정하는 타이어를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장치(106, 128), 방사 경로(114)를 위치 설정하도록 및 방사 경로를 따라 타이어의 내부 표면상으로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세정 헤드 및, 방사 경로(114)와 내부 표면(118)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120)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132)의 상대 이동은 타이어(108)의 내부 표면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144) 및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속도를 규정하고, 상기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132)의 평균 속도는 5 m/s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를 세정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식으로 세정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 고속 타이어 세정 장치
본 발명의 대상은 타이어 세정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EP 2 674 287 B1호는 차량 공기 타이어 내측면에 자체 밀봉 펑크 방지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을 갖는다.
a) 가황 완료된 타이어를 세정 장치 내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가황으로 인해 타이어 내측면에 윤활제 잔류물이 부착되는, 단계,
b) 지지 장치와 함께 레이저 광학 장치를 세정 장치 내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레이저 광학 장치의 레이저 빔은 타이어 내측면으로 정렬될 수 있는, 단계,
c) 레이저 빔을 활성화하는 단계로서, 타이어 내측면으로 향하는 레이저 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이어 윤활제 잔류물을 관통하고, 표면의 에너지 조사 및 열에 의한 가열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윤활제 잔류물이 타이어 내측면의 표면으로부터 탈착되고, 타이어 내측면으로부터 탈착될 때 윤활제 잔류물은 동시에 분말 상태로 바뀌고, 상기 레이저 빔은 타이어 내측면을 향하는 선형 투영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타이어 숄더 사이의 타이어 내측면은 선형 레이저 빔으로 조사되는, 단계,
d) 흡입 장치로 분말 윤활제 잔류물을 흡입하는 단계 및,
e) 윤활제 잔류물이 세정된 차량 공기 타이어의 타이어 내측면에 자체 밀봉 펑크 보호층을 제공하는 단계.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특성들로 타이어 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특허 청구항의 대상들에 의해 고려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대상들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장치, 특히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타이어 세정 장치가 개시된다.
제 1 양상의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타이어 세정 장치가 개시되고, 상기 타이어 세정 장치는, 내부 표면을 가지며 원주 방향과 타이어 회전축을 규정하는 타이어를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장치, 방사 경로를 위치 설정하도록 및 방사 경로를 따라 타이어의 내부 표면상으로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세정 헤드 및,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의 상대 이동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 및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속도를 규정하고,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는 5 m/s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제 2 양상에 따라 타이어 세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 2 양상의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 세정 시스템이 개시되고, 타이어 세정 시스템은 제 1 양상 또는 그것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세정 장치 및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소스를 포함한다.
제 3 양상의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가 개시된다.
제 3 양상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표면을 갖는 타이어가 개시되며, 상기 내부 표면은 제 1 양상 또는 그것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세정 장치를 이용해서 세정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제 4 양상에 따라 타이어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제 4 양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내부 표면을 가지며 원주 방향과 타이어 회전축을 규정하는 타이어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 방사 경로를 위치 설정하고 방사 경로를 따라 타이어의 내부 표면상으로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단계 및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내부 표면과 상기 방사 경로의 교차점의 상대 이동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 및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속도를 규정하고, 이 경우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는 5 m/s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제 5 양상에 따라 프로그램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특히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제 5 양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특히 비 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되고, 이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요소가 프로세서 장치에서 실행될 때, 제 4 양상 또는 그것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다양한 양상 및 실시예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 사이의 상대 이동의 평균 속도가 크게 선택됨으로써, 세정 방법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사상에 기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는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 사이의 높은 상대 속도를 허용한다. 높은 상대 속도는 또한 높은 평균 출력을 갖는 레이저 (여기에서 레이저 소스라고도 함)의 사용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평균 출력은 높은 펄스 주파수를 통해 달성된다. 펄스 에너지(레이저 펄스당 에너지)는 임의로 높아질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레이저의 빔 경로(특히 예를 들어 유리 섬유와 같은 광 가이드)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다중 광자 흡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더 높은 출력의 레이저는 일반적으로 더 개선된 (더 높은) 출력/비용 비율을 갖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는 타이어의 내부 표면의 더 효율적인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 사이의 상대 이동의 방향이 변경되는) 반전점의 개수 또는 (레이저 광선이 내부 표면상으로 방출되지 않는) 휴지점 또는 휴지 구간의 치수는 종래의 해결 방식에 비해 감소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 사이의 상대 이동의 평균 속도는 예를 들어, 위치 설정 경로의 방향 변경 개수 및/또는 방향 변화량이 감소함으로써, 크게 선택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방향 변경은 방향 변경 시 속도에 대한 제한을 제공하며, 그렇지 않으면 기계적 구성 부분들의 가속과 부하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세정하는 단계는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형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형제는 일반적으로, 가황 중에 타이어를 타이어 몰드 안으로 가압하는 타이어 바에 타이어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기능적 요소들, 예를 들어 소음 저감 재료 및/또는 타이어의 기능을 개선하는 부품들(예를 압력 센서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형제는 제거되어야 한다.
제 1 양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특히 제 1, 제 2, 제 3, 제 4 및/또는 제 5 양상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제 2 양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특히 제 1, 제 2, 제 3, 제 4 및/또는 제 5 양상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제 3 양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특히 제 1, 제 2, 제 3, 제 4 및/또는 제 5 양상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제 4 양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특히 제 1, 제 2, 제 3, 제 4 및/또는 제 5 양상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제 5 양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특히 제 1, 제 2, 제 3, 제 4 및/또는 제 5 양상의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추가 장점 및 특징들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예시적인 설명에 제시되지만, 본 개시 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도면의 개별 도들은 개략적인 것으로만 간주되어야 하고 반드시 축척에 맞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세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세정 시스템의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다른 내부 표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다른 내부 표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다른 내부 표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세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타이어 세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되고, 예를 들어 타이어 세정 장치, 타이어 세정 시스템, 타이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인용된다. 강조하자면, 물론 다양한 양상, 실시예 및 예들의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이 가능하다. 특히, 일부 실시예는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한편, 다른 실시예는 타이어 세정 장치, 타이어 세정 시스템, 또는 타이어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양한 양상, 실시예 및 예들의 특징들이 조합될 수 있고,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은 본 출원에 의해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전술한 및 후속하는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파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관련된 특징도 타이어 세정 장치, 타이어 세정 시스템 또는 타이어와 관련된 특징과 조합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타이어 세정 장치, 타이어 세정 시스템 또는 타이어와 관련된 실시예의 특징은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관련된 대응하는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방법, 방법의 실시예 또는 작동의 공개 내용과 함께,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와 함께 작용하며 방법 또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제어 장치의 기능도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장치의 특징들 없이 작동을 규정하는 해당하는 방법은 장치의 작동의 공개 내용에 의해 공개된 것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대한 참조는 프로그램 요소 및/또는 프로그램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대한 참조와 동등하며, 이 경우 프로그램 요소는, 전술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 및/또는 조정하기 위해 프로세서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다.
프로그램 요소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 코드로서, 예를 들어 JAVA, C#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동식 디스크,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임베디드 메모리/프로세서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 코드는 의도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장치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조작 가능하다. 프로그램 요소는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World Wide Web에서 제공 가능하고, 이것으로부터 프로그램 요소가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은 프로그램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은 하나 이상의 특정 전자 회로 또는 하드웨어를 이용해서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은 하이브리드 형태로, 즉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의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수치값은 ±5% 간극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즉 예를 들어, 5 m/s의 속도 표시는 실시예에 따르면 (5±5%) m/s = [4.75 m/s; 5.25 m/s]의 구간 내의 속도를 포함하고, 50%의 백분율 값은 실시예에 따르면 50%±5% = [47.5%; 52.5%]의 구간 내의 백분율 값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수치값은 ±10% 간극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타이어 세정 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장치는 타이어를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는 내부 표면을 갖고 원주 방향과 타이어 회전축을 규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장치는 방사 경로를 위치 설정하도록 및 방사 경로를 따라 타이어의 내부 표면상으로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세정 헤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장치는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의 상대 이동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 및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속도를 규정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는 5 m/s 이상이다. 따라서 상기 속도값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에 대한 하한 속도를 규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는, 예를 들어 5 m/s 이상, 10 m/s 이상, 15 m/s 이상, 20 m/s 이상,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5 m/s 이상이다.
상응하게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다음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타이어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타이어는 내부 표면을 갖고 원주 방향과 타이어 회전축을 규정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방사 경로를 위치 설정하고 방사 경로를 따라 타이어의 내부 표면상으로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의 상대 이동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 및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속도를 규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한 속도 이상, 예를 들어 5 m/s 이상이다.
타이어 회전축은, 사용 시 타이어가 회전하는 축이다. 따라서 타이어 회전축은 기능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원주 방향은 타이어의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은 타이어의 생산 공정으로부터 이형제 잔류물의 제거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시 타이어의 내부 표면의 고무의 일부가 제거되고 및/또는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확대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은 타이어의 프로파일 또는 접지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내부 표면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은 타이어의 측벽의 내부 표면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으로 내부 표면에 대한 교차점의 평균 속도가 시간 간격에 걸쳐 규정된다 (즉, 내부 표면에 대한 교차점의 속도가 시간 간격에 걸쳐 평균화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간격은 타이어의 세정의, 즉 타이어 공급 시작부터 다음 타이어 공급 시작까지의 사이클 타임에 의해 규정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간격은 상기 타이어와의 제 1 레이저 접촉으로부터 마지막 레이저 접촉까지의 내부 표면의 세정 시간에 의해 규정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간격은 내부 표면의 (임의의) 부분 영역, 예를 들어 부분 영역 > 10㎠의 세정 시간에 의해 규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간격은 미리 결정된 시간 범위, 예를 들어 20초의 시간 범위(20s)에 의해 규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시간 범위는 10초 (또는 5초, 또는 2초)이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1초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시간 범위는 적어도 0.1초, 0.3초, 0.5초이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0.9초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간격은 360도만큼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의 서로에 대해 회전에 의해 규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 이동의 적어도 5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요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 이동의 적어도 70%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9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요소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요소는 다음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타이어, 방사 경로, 광학 소자.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상대 이동은 타이어의 회전 및/또는 방사 경로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 이동은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선형 이동에 의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상대 이동은 부분적으로 세정 헤드 및/또는 타이어의 선형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이동은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타이어 회전축에 대한 경사각에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각은 최대 45도, 예를 들어 최대 30도 또는 최대 20도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헤드는 선형 이동을 위해 구성되고, 위치 설정 장치는 타이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이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캔 영역 내에서 방사 경로를 선회시키는 스캐너가 필요하지 않다. 스캐너가 생략됨으로써 타이어 세정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라 높은 세정 속도가 달성될 수 있다. 상응하게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경로는 선회될 수 없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경로(존재하는 경우)의 이동 가능성은 회전 가능성 또는 선형 이동 가능성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정 헤드의 선형 이동에 의한) 방사 경로의 선형 이동은 세정 헤드가 회전되는 실시예에 비해 방사 경로 (또는 세정 헤드)에 인접한 오염물의 흡입이 간단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는 (위치 설정 경로의) 각각의 지점에서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경로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경로 방향은 원주 방향의 제 1 방향 성분과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제 2 방향 성분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위치 설정 경로의 한 지점에서 경로 방향을 규정하는 벡터는 원주 방향의 제 1 방향 성분과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제 2 방향 성분으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설정 경로의 한 지점에서 경로 방향을 3차원으로 규정하는 벡터는 전체적으로 원주 방향의 제 1 방향 성분, 타이어 축에 대해 평행한 제 2 방향 성분 및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수직 및 원주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사 방향의 제 3 방향 성분에 의해 정의된다. 제 2 방향 성분은 축상 방향 성분으로도 지칭될 수 있고, 제 3 방향 성분은 방사상 방향 성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접지면 반대편에 배치된 내부 표면은 대략적으로 실린더 표면으로 설명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방사 방향의 제 3 방향 성분은 0이거나 어쨌든 비교적 작다. 타이어 측벽에 배치된 내부 표면의 경우, 적어도 위치 설정 경로의 일부 섹션에 대해 방사 방향의 제 3 방향 성분은 0이 아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 성분과 제 2 방향 성분은 각각의 경우에 제 3 방향 성분의 양과 무관하게 규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한 지점에서의 경로 방향은 이 지점을 통과한 위치 설정 경로에 대한 접선에 의해 규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50%에서 제 1 방향 성분은 제 2 방향 성분보다 크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70%에서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80% 또는 적어도 90%에서) 제 1 방향 성분은 제 2 방향 성분보다 크다.
실시예에 따르면 명시된 백분율에서 (예를 들어,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70%에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제 1 방향 성분은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제 2 방향 성분의 적어도 2배이다(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3배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 2 방향 성분은 0이다(즉, 위치 설정 경로의 상기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위치 설정 경로 상에 다수의 레이저 스팟을 생성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상의 다수의 레이저 스팟의 각각의 레이저 스팟은 내부 표면상에 가공 스팟을 하나씩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은 레이저 스팟에 의해 세정되고, 이로써 가공 스팟이 생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내부 표면상의 다수의 연속하는 가공 스팟(특히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가공 스팟)은 가공 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가공 경로를 따라서 내부 표면이 세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는 평행한 원형 경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가공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는 직선 섹션 및 직선 섹션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횡방향 섹션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직선 섹션은 (평행한) 원형 경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가공 경로는 2개 이상의 평행한 섹션을 갖는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섹션은 인접한 평행한 원형 경로 사이의 경로 차이를 연결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 섹션은 적어도 10도, 예를 들어 적어도 20도, 적어도 30도 또는 적어도 50도의 각도 영역에 걸쳐 (즉, 각 세그먼트에 걸쳐)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360도에 걸쳐 연장되는 횡방향 섹션은 나선형 가공 경로에 상응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 영역은 최대 180도, 예를 들어 최대 120도 또는 최대 90도이다. 각도 영역이 클수록, 횡방향 섹션의 기울기가 작아지고 제 1 평행한 원형 경로로부터 인접한 제 2 평행한 원형 경로로 변경 시 타이어 세정 장치의 부분들에 대한 기계적 부하가 작아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 섹션이 적어도 하나의 평행한 원형 경로와 교차하는 것이 (즉, 적어도 하나의 평행한 원형 경로와 중첩)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레이저 스팟은 위치 설정 경로 상에 생성된 모든 레이저 스팟의 실제 부분 집합이며, 즉 다수의 레이저 스팟은 위치 설정 경로 상에 생성된 모든 레이저 스팟을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위치 설정 경로 상에 다수의 레이저 스팟을 생성하고, 이 경우 인접한 레이저 스팟들은 서로 중첩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인접한 2개의 레이저 스팟은, 제 1 방향의 레이저 스팟 중 하나의 폭의 0%, 50%, 67%, 75%, 80% 또는 90%인 길이에 걸쳐 제 1 방향을 따라 중첩한다. 명시된 수치값들에 대해 균일한 제거(균일한 세정)가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명시된 수치값들에 대해 내부 표면은 제 1 방향을 따라 특정 개수의 레이저 스팟으로 균일하게 조사된다. 예를 들어, 50% 중첩 시 (1/2 중첩) 내부 표면은 (또는 내부 표면의 각각의 부분)은 제 1 방향을 따라 레이저 스팟으로 두 번 조사되고, 67% 시 (2/3 중첩) 세 번 조사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으로 인접한 레이저 스팟들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레이저 스팟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으로 인접한 레이저 스팟들은,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즉, 축 방향으로) 중첩하는 레이저 스팟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스팟은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서는 물론 위치 설정 경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및 축 방향으로 중첩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중첩이 67%이고, 위치 설정 경로에 대해 수직인 중첩도 67%인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중첩 영역들은 하나의 레이저 스팟으로 총 9회 조사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회전축 방향으로 인접한 타이어 원주 방향의 레이저 스팟의 적어도 일부는 그 폭의 10% 이상만큼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인접한 레이저 스팟의 원주 방향으로 변위는 원주 방향의 가공 스팟의 폭의 적어도 15%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20%)이다.
중첩은 예를 들어 ±5% 퍼센티지 포인트의 정확도를 갖는 일반적인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규정된다. 예를 들어, 50%의 중첩은 따라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45% 내지 55%의 중첩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즉, (제 1 방향으로) 인접한 레이저 스팟들이 직접 서로 인접할 때,] 특히 0%의 중첩 영역에서 허용 오차는 ±10 퍼센티지 포인트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레이저 스팟의 50%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레이저 스팟과 대응하는 중첩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은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레이저 스팟은 시간적으로 바로 연속하는 레이저 스팟이고, 제 1 방향은 시간적으로 바로 연속하는 2개의 레이저 스팟 사이의 거리 벡터의 방향에 상응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은 시간적으로 바로 연속하지 않는 인접한 2개의 레이저 스팟, 예를 들어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레이저 스팟 사이의 거리 벡터의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다수의 레이저 스팟/가공 스팟을 시간적으로 차례로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레이저 스팟은 펄스식 레이저의 사용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레이저 스팟의 펄스 중첩은 레이저의 펄스 주파수, 레이저 스팟의 크기 및 교차점(타이어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과 타이어 내부 표면 사이의 상대 속도에 의해 규정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스위치 오프되거나 셔터에 의해 차단되고, 중첩은 레이저의 스위치 온/셔터의 개방 시점에 의해 규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스팟(즉, 레이저 빔의 스팟)은 내부 표면이 가공(세정)되는 내부 표면상의 가공 스팟(즉, 표면 영역)을 규정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내부 표면상으로 레이저 빔이 방출되었던 위치 설정 경로의 일부는 가공 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가공 경로를 따라 내부 표면이 가공된다. 따라서 가공 경로의 경로 방향은 적어도 부분 영역에서 (예를 들어 휴지 지점을 제외하고) 위치 설정 경로의 관련 경로 방향과 일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위치 설정 경로의 100%에 걸쳐,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95%에 걸쳐서만 (또는 적어도 90%,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80%에 걸쳐) 내부 표면상으로 방출된다. 레이저 빔이 방출되지 않는 위치 설정 경로의 영역에서 레이저는 예를 들어 스위치 오프되거나 레이저 빔이 셔터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와 가공 경로는 100% 일치한다.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와 가공 경로는 적어도 95%, 적어도 90% 및 적어도 80% 일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장치는 타이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제어 장치는 타이어를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점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헤드는 방사 경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세정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광학 소자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헤드는 방사 경로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 경로를 회전시킴으로써, 특히 타이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 경로를 회전시킴으로써 교차점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헤드는 빔 방출 부재 (예를 들어 광학 소자)를 갖고, 상기 부재로부터 방사 경로가 내부 표면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빔 방출 부재는 회전 가능하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빔 방출 부재는 세정 헤드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세정 헤드와 함께 회전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빔 방출 부재는 세정 헤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장치는, 방사 경로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레이저 빔의 회전을 보상하는 보상 부재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보상 부재는 레이저 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또는 방사 경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또는 레이저 스팟의 중심점을 중심으로)한 레이저 스팟의 회전을 보상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부재는 레이저 빔의 방사 경로에 (특히 레이저 소스와 빔 방출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상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회전하는 광학 소자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부재는 도브(Dove) 프리즘이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n은 자연수인 2n+1개의 직렬 미러의 어셈블리이다. 빔 방출 부재가 회전하는 광학 소자인 경우,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부재는 회전하는 빔 방출 부재의 각속도의 1/2 또는 2배로 회전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점의 상대 이동의 90% 이상이 (예를 들어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한 또는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10도 미만만큼 기울어진 축을 중심으로 한) 타이어의 회전에 의해 및/또는 방사 경로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점의 상대 이동의 80% 이상은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95% 이상) 타이어의 회전에 의해 및/또는 방사 경로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이어의 회전 및/또는 방사 경로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장치는 타이어의 세정에 의해 생기는 불순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를 갖는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는 불순물이 흡입되는 흡입 개구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개구는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개구는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을 트래킹한다. 예를 들어, 흡입 개구는 세정 헤드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세정 헤드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는, 타이어의 전체 내부 공간 (상기 내부 공간은 특히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의해 규정됨)을 흡입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의 체적 흐름은 흡입 개구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대해 조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펄스식 레이저 빔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적어도 500와트(500 W)의 평균 출력을 갖는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적어도 1000 W의 평균 출력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1 kW 내지 10 kW의 평균 출력에서 1 kHz 내지 1000 kHz의 펄스 주파수를 갖는 펄스식 레이저 빔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펄스 주파수는 1 kW 내지 3 kW, 예를 들어 2 kW의 평균 츌력에서 10 kHz 내지 300 kHz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펄스 주파수는 3 kW 내지 5 kW, 예를 들어 4 kW의 평균 출력에서 30 kHz 내지 500 kHz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펄스당) 플루언스는 1J/㎠ 내지 3J/㎠, 예를 들어 1.5J/㎠ 내지 2.5J/㎠이다. 교차점의 속도는 사용된 레이저 파라미터 (출력, 펄스 중첩 및 플루언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2000 W의 출력에서 실시예에 따른 교차점의 속도는 10m/s 내지 25 m/s이다. 1000 W에서 교차점의 속도는 5 m/s 내지 12.5 m/s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스팟은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 특히 더 긴 변과 더 짧은 변을 갖는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이고, 이 경우 더 긴 변은 레이저 스팟의 더 짧은 변(너비)의 치수의 적어도 1.5배인 치수(길이)를 갖는다. 레이저 스팟의 형상 (또는 레이저 빔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섬유 횡단면을 갖는 섬유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스팟은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이고,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70%에서 경로 방향은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의 한 변과 80° 내지 100°의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이 더 긴 변과 더 짧은 변을 갖는 실시예에서 경로 방향은 추가 실시예에 따라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의 더 긴 변과 80°내지 100°의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80%에서, 경로 방향은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의 한 변 (예를 들어, 더 긴 변)과 80° 내지 100°의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더 긴 변과 더 짧은 변을 갖고, 상기 더 긴 변이 경로 방향과 80도 내지 10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은, 교차점과 내부 표면 사이의 상대 속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경로 방향으로 인접한 레이저 펄스의 일정한 중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장치는 레이저 소스 없이 판매되어 외부 레이저 소스에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타이어 세정 장치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른 타이어 세정 장치를 갖는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은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소스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소스는 타이어 세정 시스템 내에 교환 가능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 및 전환 장치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환 장치를 이용해서 레이저 빔은 택일적으로 타이어 세정 장치에 (예를 들어, 제 1 타이어 세정 장치) 또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예를 들어, 제 2 타이어 세정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전환 장치에 의해 레이저 소스의 출력은 제 1 및 제 2 세정 장치 (및 가능한 경우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에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세정 장치가 제 1 타이어를 세정하는 동안, 제 2 타이어가 제 2 세정 장치 내에 위치 설정되고, 제 1 타이어를 세정한 후에 레이저 소스가 제 2 세정 장치로 전환되는 것이 (스윙 모드) 제공될 수 있다. 스윙 모드는, 위치 설정 시간에 비해 세정 시간이 짧을수록 경제적이다. 따라서 전환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를 구현할 때 특히 유용하며, 이는 종래의 해결 방법에 비해 세정 시간을 단축하고, 결과적으로 세정 장치 내에 타이어를 위치 설정하는데 필요한 지속 시간은 특히 타이어의 위치 설정과 타이어의 내부 표면의 세정을 포함하는 전체 세척 주기에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장치 또는 세정 시스템은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들의 이동 및/또는 위치 설정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프로그램 요소를 실행하도록 (또는 프로그램 요소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 장치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하나의 양상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라 세정되는 내부 표면을 갖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에 내부 표면이 제공되며, 이 경우 내부 표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세정 장치를 이용해서 세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는 가공 경로를 갖고, 상기 경로를 따라 내부 표면이 세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는 (가공 경로의) 각각의 지점에서 가공 경로를 따라 경로 방향을 규정하며, 이 경우 경로 방향은 원주 방향의 제 1 방향 성분과 타이어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제 2 방향 성분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의 적어도 70%에서 제 1 방향 성분은 제 2 방향 성분보다 크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의 적어도 70%에서 제 1 방향 성분은 제 2 방향 성분의 적어도 2배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의 적어도 70%에서 제 1 방향 성분은 제 2 방향 성분의 적어도 3배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방향 성분의 상술한 내용은 가공 경로의 적어도 80%에 대해 적용되고, 또는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의 90%에 대해 적용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이동 방향에 관한 상기 설명이 상응하게 적용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는 다수의 가공 스팟을 가지며, 인접한 가공 스팟들은 서로 중첩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가공 스팟 각각은 제 1 방향으로 가공 스팟들 중 하나의 폭의 0%, 50%, 67%, 75%, 80% 또는 90%인 길이에 걸쳐 제 1 방향을 따라 중첩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는 평행한 원형 경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가공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스팟은 직사각형 가공 스팟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의 적어도 90%에서, 경로 방향은 직사각형 가공 스팟의 한 변과 80° 내지 100°의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가공 스팟은 더 긴 변과 더 짧은 변을 갖고, 경로 방향은 직사각형 가공 스팟의 더 긴 변과 함께 80°내지 100°의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회전축 방향으로 인접한 타이어 원주 방향의 가공 스팟들은 그 폭의 10% 이상만큼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원주 방향으로의 변위는 원주 방향의 가공 스팟들의 폭의 적어도 15%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20%)이다.
계속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요소들 또는 구성 부분들의 일부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되거나, 첫 번째 자릿수 및/또는 수반된 자릿수만 다른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다른 도면에서 해당 특징들 또는 구성 부분들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기능적으로 동일한 특징들 또는 구성 부분들은 후속 텍스트에서 처음 나타날 경우에만 자세히 설명되고 이러한 특징들 및 구성 부분들 (또는 해당 참조 번호들)이 이어서 나타날 경우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전술한 규정들은 실시예에 따라 후속 실시예에 유효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특징들 및 실시예들은 후술하는 특징들 및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세정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100)은 타이어 세정 장치(102)와 레이저 소스(104)를 갖는다. 타이어 세정 장치(102)는 타이어(108)를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장치(106)를 갖는다. 타이어(108)는 타이어(110)의 회전축을 규정한다. 타이어 세정 장치(102)는 방사 경로(114)를 위치 설정하도록 및 방사 경로(114)를 따라 타이어(108)의 내부 표면(118) 상으로 레이저 빔(116)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세정 헤드(112)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세정 헤드(112)는 119로 표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소스(104)에 광학적으로 결합된다.
타이어 세정 장치(102)는, 방사 경로(114)와 내부 표면(118)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12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20)는 제어를 위해 제 1 액추에이터(122)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액추에이터(122)는, 제어 장치(120)의 제어 신호(124)에 응답하여 타이어 회전축(110)에 대해 평행하게 선형 이동(126)으로 세정 헤드(112)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20)는 제어를 위해 제 2 액추에이터(128)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액추에이터(128)는, 제어 장치(120)의 제어 신호(124)에 응답하여 위치 설정 장치(106)에 의해 지지되는 타이어(108)와 함께 위치 설정 장치(106)를 회전시키도록 (130으로 표시됨)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헤드 또는 그 부분들은, 제어 장치(120)의 제어 신호(124)에 응답하여 세정 헤드(112)의 기능을 (예를 들어, 셔터, 광학 소자 등)제어하도록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20)에 의해 레이저 소스(104)를 제어하도록, 레이저 소스는 제어를 위해 제어 장치(120)에 연결된다(도 1에 도시되지 않음).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2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121)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20)는 프로그램 요소를 실행하도록 (또는 프로그램 요소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 장치(123)를 더 포함한다.
방사 경로(114)와 내부 표면(118)은 내부 표면(118)과 방사 경로(114)의 교차점(132)을 규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장치(102)는 내부 표면(118)에 레이저 빔(116)을 가함으로써 발생하는 불순물을 흡입하기 위한 [즉, 내부 표면(118)의 세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순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134)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134)는 제어 신호(124)를 통해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장치(134)는 세정 헤드(112)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세정 헤드에 고정될 수 있어서), 흡입 장치(134)는 세정 헤드(112)와 함께 이동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100)은, 타이어를 위치 설정 장치(106)로 이송하기 위한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인 이송 장치(136)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장치(136)는 제어 신호(124)를 통해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세정 시스템(100)의 일부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장치(136) 상의 타이어(108)를 규정된 위치로 가져 오는 (예를 들어 센터링하는) 센터링 장치(138)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에서 타이어(108)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 설정 장치(106)에 의해 픽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108)는 제어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적절한 판독 장치를 이용해서) 판독 가능한 정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타이어 세정 시스템(100)의 구성 부분을 제어하기 위해 정보(140)에 의존해서 제어 신호를 [예를 들어,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제어 신호(124)] 송출하도록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140)는 디지털 형태, 예를 들어 QR 코드 또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와 같은 매트릭스 코드 형태일 수 있다.
타이어(108)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142)을 규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경로(114)와 내부 표면(118)은 타이어(108)의 회전(130)에 의해 및/또는 가공 헤드(112)의 선형 이동(126)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된다(도 1 참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경로(114)와 내부 표면(118)의 상대 이동은 내부 표면(118)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 (도 2에 도시되지 않음) 및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내부 표면(118)에 대해 교차점(132)의 속도를 규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즉, 내부 표면(118)에 대해], 원주 방향(142)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는 5 m/s 이상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내부 표면(118)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116) (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은 위치 설정 경로(144) 상에 다수의 레이저 스팟을 생성하고, 상기 레이저 스팟 중 도 3에는 예시적으로 제 1 레이저 스팟(146)과 제 2 레이저 스팟(148)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팟(146, 148)은 동시에 생성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펄스식 레이저의 개별 펄스에 의해 시간적으로 차례로 생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144)는 위치 설정 경로의 각각의 지점에서 위치 설정 경로(144)를 따른 경로 방향(145)을 규정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레이저 스팟은 내부 표면(118) 상에, 가공 스팟(150), 즉 내부 표면(118)이 세정되는 내부 표면(118)의 영역을 생성한다. 이로써 물론, 레이저 스팟, 예를 들어 레이저 스팟(146 및 148)은 정해진 지속 시간 동안만 (예를 들어 레이저 빔의 펄스 지속 시간 동안) 존재하는 한편, 가공 스팟들은 [예를 들어 가공 스팟(150)] 내부 표면(118) 상에 영구적으로 생성된다. 도 3에는 그 중에 가공 스팟(150)이 도시된 가공 스팟들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118) 상에 가공 경로(152)를 규정하고, 상기 경로를 따라 내부 표면(118)이 세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 경로(144) 상에, 다수의 레이저 스팟, 특히 레이저 스팟(146, 148)을 생성하고, 이 경우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레이저 스팟(146, 148)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레이저 스팟(146, 148)은 길이(156)에 걸쳐 제 1 방향(154)을 따라 중첩하고, 상기 길이는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154)으로 레이저 스팟들 중 하나의 폭(158)의 50%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155)은 경로 방향(145)에 대해 평행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144) 또는 가공 경로(152)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14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스팟(146, 148)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이다. 상응하게, 실시예에 따른 가공 스팟(150)도 직사각형 가공 스팟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다른 내부 표면(118)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152)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도 4는 타이어 회전축(110; 도 1 참조)의 방향(166)으로 중첩되는 3개의 가공 경로 섹션(160, 162, 164)을 도시한다. 이 경우 구분이 용이하도록, 가공 경로 섹션(160, 164)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가공 경로 섹션(162)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으로 중첩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으로 가공 경로(152)의 폭(168)의 50%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중첩은 67% 또는 75%일 수 있다(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실시예에서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은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향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경로 방향(145)은 위치 설정 경로 또는 가공 경로의 각각의 지점에서 원주 방향(142)의 제 1 방향 성분(170) 및 타이어 회전축(110)에 대해 평행한 [즉,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의] 제 2 방향 성분(172)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경로의 적어도 70%에서 제 1 방향 성분(170)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 성분(172)보다 크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다른 내부 표면(118)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118)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으로 중첩하는 제 1 가공 경로 섹션(160)과 제 2 가공 경로 섹션(162)을 나타낸다. 가공 경로 섹션(160, 162) 각각은 다수의 가공 스팟을 가지며, 그 중 일부는 도 5에서 150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점선은, 가공 스팟의 열이 경로 방향(145)으로 계속됨을 나타낸다.
가공 스팟은 원주 방향(142)으로 폭을 가지며, 이는 도 5에 158로 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으로 인접한 가공 스팟들(150) [즉, 제 1 가공 경로 섹션(160)의 가공 스팟(150) 및 제 2 가공 경로 섹션(162)의 가공 스팟(150)]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경로(174)만큼 원주 방향(142)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 경로(174)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의 가공 스팟들의 폭(158)의 10% 이상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 경로(174)는 폭(158)의 15% 이상이거나, 또는 다른 추가 실시예에서는 20% 이상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스팟들(150)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142)으로 중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공 스팟들(150)은 원주 방향(142)으로 서로 직접 인접할 수 있다(중첩 0%). 이러한 경우에, 특히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으로 가공 스팟들의 중첩에 의해 완전한 세정이 보장된다. 추가 실시예(도 5에 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가공 스팟들(150)은 원주 방향(142)으로는 물론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으로도 중첩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다른 내부 표면(118)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다수의 가공 스팟(도 6에 도시되지 않음)은 내부 표면(118) 상에 가공 경로를 규정하고, 상기 경로를 따라 내부 표면(118)이 세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152)는, 예를 들어 도 6의 각도 영역(세그먼트)(176, 178)에서처럼, 평행한 원형 경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152)는, 예를 들어 도 6의 각도 영역(180)에서처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경로(152)는 상이한 가공 경로 섹션(181, 182, 183)을 갖고, 상기 가공 경로 섹션들은 상이한 평면에서 타이어 회전축의 방향(166)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평면들 사이의 전환 (즉, 경로 차이의 브릿징)은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에서 횡방향 섹션이라고도 하는 각도 영역에서, 예를 들어 도 6의 각도 영역(180)에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 영역(180)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0도에 걸쳐 원주 방향(142)으로 연장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세정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세정 장치(102)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 예를 들어 2개의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202, 302)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단일 레이저 소스(104)가 타이어 세정 시스템(200)의 적어도 2개의 타이어 세정 장치(102, 202, 302)에 할당된다. 방사 경로(도 7에 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선(184)이 레이저 소스(104)로부터 전환 장치(186)로 공급되고, 상기 전환 장치는 레이저 광선(184)을 타이어 세정 장치(102, 202, 303) 중 하나로, 예를 들어 타이어 세정 장치(102)로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202, 302)로 레이저 광선(184)의 선택적 전달은 도 7에 점선(188)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환 장치(186) 및/또는 레이저 소스(10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예를 들어, 도 1과 관련하여 개시된 제어 장치(1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타이어 세정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타이어 세정 시스템(300)은 후속해서 설명되는 일부 변경을 제외하고, 도 1의 타이어 세정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 8에 도시된 해당 특징들의 설명은 도 8과 관련하여 반복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시스템(300)은 방사 경로(114)와 내부 표면(118)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120)를 구비한 타이어 세정 장치(402)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제어를 위해 제 1 액추에이터(122)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액추에이터(122)는, 제어 장치(120)의 제어 신호(124)에 응답하여 타이어 회전축(110)에 대해 평행한 선형 이동(126)으로 운송 장치(136)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장치(136)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설정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헤드(112)는, 방사 경로(11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 헤드(112) 자체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를 위해 제어 장치(120)에 연결된 제 2 액추에이터(128)에 의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액추에이터(128)는, 제어 장치(120)의 제어 신호(124)에 응답하여 세정 헤드(112)를, 특히 타이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토크 전달부(190), 예를 들어 샤프트를 따라 세정 헤드(112)와 레이저 소스(104)의 결합 및 세정 헤드(112)와 제어 장치(120)의 제어를 위한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에 세정 헤드(112)가 제 2 액추에이터(128)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20)는 방사 경로(114)를 회전시킴으로써, 특히 타이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방사 경로(114)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점(132)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 세정 장치(402)는 타이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방사 경로(11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중심축(194)을 중심으로 한 레이저 빔(116)의 회전을 보상하도록 설정된 보상 부재(192)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116)은 보상 부재(192) 없이 중심축(194)을 중심으로 회전할 것이다. 그 결과 방사 경로(114)의 회전 시 [및 따라서 타이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레이저 빔(116)의 회전 시], 레이저 스팟은 추가로 그 중심축(194)을 중심으로도 회전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부재(192)는 도브 프리즘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요소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위치 설정 장치, 운송 장치, 액추에이터 등)은 일부 실시예에 설명된 결정적인 개체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은 명시된 특정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개체(예를 들어, 장치, 요소, 특징 및 방법 단계)는 일부 실시예에 설명된 결정적인 개체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오히려, 여기에 설명된 대상들은 명시된 기능들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장치 수준, 방법 수준 또는 소프트웨어 수준에서 다양한 세분화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작동들 각각에 대해 별도의 개체가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2개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개체가 여기에 설명된 작동을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구현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가능한 변형 실시예 중 제한적인 선택만을 도면에 도시하는 것이 참조된다. 따라서, 개별 실시예의 특징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당업자에게는 여기에서 명백한 변형 실시예들로 다수의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a" 또는 "an"과 같은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포함하는" 또는 "가지고 있는"과 같은 용어는 추가 특징들 또는 방법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가지고 있는" 또는 "포함하고 있는"과 같은 용어는 각각 "그 외에도 포함하고 있는" 및 "구성되는"의 두 가지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예시적인 타이어 세정 시스템, 타이어 세정 장치 및 타이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들의 여러 실시예의 특정 조합을 나타내지만, 실시예들의 임의의 다른 조합도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 의해 공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대상들의 실시예의 바람직한 조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타이어 세정 장치는, 내부 표면을 가지며 원주 방향과 타이어 회전축을 규정하는 타이어를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장치, 방사 경로를 위치 설정하도록 및 방사 경로를 따라 타이어의 내부 표면상으로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세정 헤드 및, 방사 경로와 내부 표면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과 방사 경로의 교차점의 상대 이동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 및 위치 설정 경로를 따른 속도를 규정하고, 상기 위치 설정 경로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교차점의 평균 속도는 5 m/s 이상이다.

Claims (20)

  1.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타이어(108)의 내부 표면(118)을 세정하기 위한 타이어 세정 장치(102, 202, 302)로서, 상기 타이어 세정 장치(102, 202, 302)는,
    내부 표면(118)을 가지며 원주 방향(142)과 타이어 회전축(110)을 규정하는 타이어(108)를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장치(106, 128, 136, 138);
    방사 경로(114)를 위치 설정하도록 및 상기 방사 경로(114)를 따라 상기 타이어(108)의 상기 내부 표면(118) 상으로 레이저 빔(116)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세정 헤드(112);
    상기 방사 경로(114)와 상기 내부 표면(118)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12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표면(118)과 상기 방사 경로(114)의 교차점(132)의 상대 이동은 상기 타이어(108)의 상기 내부 표면(118)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144) 및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를 따른 속도를 규정하고,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를 따라 상기 원주 방향(142)으로 상기 교차점(132)의 평균 속도는 5 m/s 이상인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의 적어도 5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요소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고,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가능한 요소는:
    타이어(108); 방사 경로(114);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는 각각의 지점에서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를 따른 경로 방향(145)을 규정하고, 상기 경로 방향(145)은 상기 원주 방향(142)의 제 1 방향 성분(170)과 상기 타이어 회전축(110)에 대해 평행한 제 2 방향 성분(172)을 가지며,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의 적어도 70%에서 상기 제 1 방향 성분(170)은 상기 제 2 방향 성분(172)보다 큰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116)은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 상에 다수의 레이저 스팟(146, 148)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레이저 스팟(146, 148)의 각각의 레이저 스팟(146, 148)은 상기 내부 표면(118) 상에 가공 스팟을 하나씩 생성하고;
    상기 타이어(108)의 상기 내부 표면(118) 상의 다수의 연속하는 가공 스팟(150)은 가공 경로(152)를 규정하고, 상기 가공 경로를 따라 상기 내부 표면(118)이 세정되며;
    상기 가공 경로(152)는 평행한 원형 경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가공 경로(15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116)은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 상에 다수의 레이저 스팟(146, 148)을 생성하고, 인접한 레이저 스팟(146, 148)은 서로 중첩하고, 특히 인접한 2개의 레이저 스팟(146, 148)은, 제 1 방향으로 상기 레이저 스팟(146, 148) 중 하나의 폭의 0%, 10%, 50%, 67%, 75%, 80% 또는 90%인 길이에 걸쳐 제 1 방향을 따라 중첩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장치(106, 128, 136, 138)는, 상기 타이어(108)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120)는, 상기 타이어(108)를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교차점(132)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헤드(112)는, 상기 방사 경로(11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120)는, 상기 방사 경로(114)를 회전시킴으로써, 특히 상기 타이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방사 경로(114)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교차점(132)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8. 제 2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들을 갖는 타이어 세정 장치(102, 202, 302)로서, 상기 교차점(132)의 상대 이동의 90% 이상은 상기 타이어(108)의 회전에 의해 및/또는 상기 방사 경로(114)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9. 제 2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상 부재(1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부재는 상기 방사 경로(11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중심축(194)을 중심으로 한 상기 레이저 빔(116)의 회전을 보상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스팟(146, 148)은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146, 148)이고,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의 적어도 70%에서 상기 경로 방향(145)은 상기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146, 148)의 한 변과 80° 내지 100°의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하고, 특히 상기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146, 148)은 더 긴 변과 더 짧은 변을 가지며, 상기 경로 방향(145)은 상기 직사각형 레이저 스팟(146, 148)의 더 긴 변과 80° 내지 100°의 각도,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장치.
  11. 타이어 세정 시스템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이어 세정 장치(102, 202, 302); 및
    레이저 빔(116)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소스(104)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202, 302); 및
    상기 레이저 빔(116)을 택일적으로 타이어 세정 장치(102) 또는 추가 타이어 세정 장치(202, 302)에 공급할 수 있는 전환 장치(186)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세정 시스템.
  13. 내부 표면(118)을 갖는 타이어(108)로서, 상기 내부 표면(118)은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이어 세정 장치(102, 202, 302)를 이용해서 세정되는 것인 타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가공 경로(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 경로를 따라 상기 내부 표면(118)이 세정되고;
    특히, 상기 가공 경로(152)는 각각의 지점에서 상기 가공 경로(152)를 따라 경로 방향(145)을 규정하며, 상기 경로 방향(145)은 원주 방향(142)의 제 1 방향 성분(170)과 타이어 회전축(110)에 대해 평행한 제 2 방향 성분(172)을 가지며;
    상기 가공 경로(152)의 적어도 70%에서 상기 제 1 방향 성분(170)은 상기 제 2 방향 성분(172)보다 큰 것인 타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로(152)는 다수의 가공 스팟(150)을 갖고, 인접한 가공 스팟들(150)은 서로 중첩하거나 접촉하며, 특히 인접한 2개의 가공 스팟(150) 각각은, 제 1 방향으로 상기 가공 스팟들(150) 중 하나의 폭의 0%, 50%, 67%, 75%, 80% 또는 90%인 길이에 걸쳐 제 1 방향을 따라 중첩하는 것인 타이어.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로(152)는 평행한 원형 경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가공 경로(15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인 타이어.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가공 스팟은 직사각형 가공 스팟이고, 상기 가공 경로(152)의 적어도 90%에서 상기 경로 방향(145)은 상기 직사각형 가공 스팟(150)의 한 변과 80° 내지 100°,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하며, 특히 직사각형 가공 스팟은 더 긴 변과 더 짧은 변을 갖고, 상기 경로 방향(145)은 상기 직사각형 가공 스팟(150)의 더 긴 변과 80° 내지 100°, 특히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인 타이어.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 회전축(110)의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타이어(108)의 상기 원주 방향(142)의 가공 스팟들(150)은 그 폭(158)의 10% 이상만큼 원주 방향(142)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것인 타이어.
  19. 타이어(108)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내부 표면(118)을 가지며 원주 방향(142)과 타이어 회전축(110)을 규정하는 타이어(108)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
    방사 경로(114)를 위치 설정하고 상기 방사 경로(114)를 따라 상기 타이어(108)의 상기 내부 표면(118) 상으로 레이저 빔(116)을 방출하는 단계,
    상기 방사 경로(114)와 상기 내부 표면(118)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표면(118)과 상기 방사 경로(114)의 교차점의 상대 이동은 상기 타이어(108)의 상기 내부 표면(118)에 걸친 위치 설정 경로(144) 및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를 따른 속도를 규정하고;
    상기 위치 설정 경로(144)를 따라 상기 원주 방향(142)으로 상기 교차점(132)의 평균 속도는 5 m/s 이상인 것인 방법.
  20. 프로그램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요소가 프로세서 장치에서 실행될 때, 제 19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17029238A 2019-02-19 2020-02-18 레이저 고속 타이어 세정 장치 KR20210128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100947.0U DE202019100947U1 (de) 2019-02-19 2019-02-19 Hochgeschwindigkeits-Reifenreinigungsvorrichtung
DE202019100947.0 2019-02-19
PCT/EP2020/054202 WO2020169579A1 (de) 2019-02-19 2020-02-18 Laserhochgeschwindigkeits-reifenreinigung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431A true KR20210128431A (ko) 2021-10-26

Family

ID=6581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238A KR20210128431A (ko) 2019-02-19 2020-02-18 레이저 고속 타이어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27475B1 (ko)
JP (1) JP2022520534A (ko)
KR (1) KR20210128431A (ko)
CA (1) CA3129138A1 (ko)
DE (1) DE202019100947U1 (ko)
WO (1) WO2020169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7250A1 (en) * 2020-12-23 2022-06-30 Ceat Limited Cleaning an inner liner of a tire
DE102021203878A1 (de) * 2021-04-19 2022-10-2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Entfernen von anhaftenden Materialschichten von Fahrzeugreifen
DE202022102642U1 (de) * 2022-05-13 2022-06-13 4Jet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zum Öffnen von Ventilen, Laserreinigungsvorrichtung und Formenbearbeitungsanordnung
CN114904848B (zh) * 2022-06-07 2023-03-31 山东力创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轮胎模具全自动清洗装置
CN115156130B (zh) * 2022-07-01 2024-01-23 富利美(深圳)工业清洗设备有限公司 一种工件表面清洗用激光清洗设备及清洗方法
DE202023107514U1 (de) 2023-12-19 2024-01-24 4Jet Technologies Gmbh Baugruppe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Baugrupp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015A1 (de) 2012-06-11 2013-12-1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selbstdichtenden Pannenschutzschicht auf der Reifeninnenseite eines Fahrzeugluftreifens
DE202012104243U1 (de) * 2012-11-05 2014-02-06 Slcr Lasertechnik Gmbh Reinigungsvorrichtung
DE102013220066B3 (de) * 2013-10-02 2014-12-18 4Jet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Oberfläche eines Hohlraums
KR101929763B1 (ko) * 2015-11-11 2018-12-17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의 세정 시스템
US10099440B2 (en) * 2015-12-01 2018-10-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laser cleaning a tire inner surface, and a tire
EP3281810B1 (en) * 2016-08-10 2020-12-16 4JET Technologies GmbH Tire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batch of tires
CN108325951A (zh) * 2018-04-04 2018-07-27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激光清洗系统、激光清洗头
CN108941067A (zh) * 2018-09-06 2018-12-07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高速激光清洗方法及应用该方法的激光清洗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9100947U1 (de) 2019-03-04
EP3927475C0 (de) 2023-08-16
EP3927475A1 (de) 2021-12-29
WO2020169579A1 (de) 2020-08-27
CA3129138A1 (en) 2020-08-27
EP3927475B1 (de) 2023-08-16
JP2022520534A (ja)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8431A (ko) 레이저 고속 타이어 세정 장치
US11162873B2 (en) Tire processing method
JP6989578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145978B2 (ja) 光造形装置及び方法
US105836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three-dimensional objects
JP6603727B2 (ja) 改良された光学ユニットを備える光造形機
EP2459361A1 (en) 3d printing on a rotating cylindrical surface
CN110621426A (zh) 处理方法及处理系统
WO1998049593A1 (en) Laser beam distributor
CN106061712A (zh) 一种用于研磨通过增材制造定制的工件的机器
CN104931079A (zh) 一种应用增量式编码器进行绝对位置检测的装置及其方法
CN108436283B (zh) 激光打标机及其打标方法
KR102272649B1 (ko) 작업 품질 검사 기능을 구비한 레이저 클리닝 장치 및 그 방법
JP2002018967A (ja) 目的物生成装置
ES2829827T3 (es) Procedimiento para generar una estructura de imagen impresa
JP4639322B2 (ja) 光造形装置及び方法
CN105264762B (zh) 步进马达的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US20200290392A1 (en) Printer device using acoustic levitation
JP2004167744A (ja) 金型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113874194B (zh) 用于在能围绕转动轴线转动的底座上制造固体层的方法
JP5135592B2 (ja) 描画方法および描画装置
CN109753015B (zh) 数值控制装置、数值控制方法以及数值控制程序
JP2022075588A (ja) 表面にコーティング製品を適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設備
CN114472105A (zh) 用于选择性涂层施加的方法
KR101638347B1 (ko) 차량용 홀 가공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