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270A - 미세 먼지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먼지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270A
KR20210128270A KR1020200046269A KR20200046269A KR20210128270A KR 20210128270 A KR20210128270 A KR 20210128270A KR 1020200046269 A KR1020200046269 A KR 1020200046269A KR 20200046269 A KR20200046269 A KR 20200046269A KR 20210128270 A KR20210128270 A KR 2021012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channel forming
gas
mixed fluid
liquid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선
육세진
박기태
송기현
안익현
최형우
강진규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270A/ko
Priority to US17/038,339 priority patent/US11338240B2/en
Publication of KR2021012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50/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4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using a gas-liquid mixing column or tower

Abstract

개시된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물 분사부와, 미세 유로 형성부와, 임팩터를 구비한다. 물 분사부를 이용하여 덕트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기-액 혼합 유체를 형성한다. 기-액 혼합 유체는 미세 유로 형성부에 마련된 다수의 미세 유로를 통과한 후에 임팩터의 충돌판에 충돌한다. 공기 중의 미세 먼지 액적 또는 미세 유로와 충돌판에 형성된 액막에 포집된다. 미세 유로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은 제1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Description

미세 먼지 포집장치{particulate matter collector}
기체 중의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기체, 예를 들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산업용 집진 설비, 건물 내 공조/환기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여과법이 있다. 여과법은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방법이다. 여과법은 먼지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다양한 형태의 먼지를 공기 중으로부터 걸러낼 수 있다. 필터에 포집된 미세 먼지의 양이 증가되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필터에 의한 압력 강하가 커질 수 있다. 필터는 주기적으로 관리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습식 미세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주기적인 관리 부담이 적은 미세 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공기가 흐르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 물을 분사하여 기-액 혼합 유체를 형성하는 물 분사부;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통과되는 다수의 미세 유로를 구비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를 통과한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충돌하는 다수의 충돌판을 구비하는 임팩터;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출구는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충돌판은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열과 대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충돌판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는,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2층 이상 적층된 다수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는 상기 다수의 비드 사이의 공극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와 상기 임팩터 사이에 위치되며 규칙적인 개구가 형성된 개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는,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드의 직경이 나머지 미세 유로 형성부의 비드의 직경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임팩터는,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각각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임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공기가 흐르는 덕트; 덕트 내에 물을 분사하여 기-액 혼합 유체를 형성하는 물 분사부; 유로 형성 프레임과, 상기 유로 형성 프레임에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2층 이상 적층되어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통과되는 다수의 미세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를 구비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를 통과한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충돌하며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충돌판을 구비하는 임팩터;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충돌판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비드의 직경은 불균일할 수 있다. 상기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와 상기 임팩터 상에 위치되며 규칙적인 개구가 형성된 개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비드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는,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드의 직경이 나머지 미세 유로 형성부의 비드의 직경과 다를 수 있다.상기 임팩터는,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각각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임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표면에 상기 물에 의한 액막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 형성 프레임에는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1물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충돌판의 표면에 상기 물에 의한 액막이 형성되며, 상기 임팩터는 상기 다수의 충돌판에 묻어서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2물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미세 먼지 포집 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1차적으로 미세 유로 형성부에 의하여 기-액 혼합 유체 중의 미세 먼지가 액적에 포집되어 걸러지며, 미세 유로 형성부를 통과한 기-액 혼합 유체 중의 미세 먼지는 임팩터에 의하여 액적에 포집되어 걸러지므로,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며 높은 집진 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
미세 먼지가 포집된 액적이 중력에 의하여 다수의 비드의 표면으로부터 흘러내려서 배출되므로, 미세 유로 형성부의 주기적인 관리 또는 교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미세 먼지 포집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 유로 형성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 유로 형성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세 유로 형성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임팩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임팩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임팩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2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는 6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0과 도 11은 다수의 충돌판과 다수의 미세 유로의 출구들과의 배치 구조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12는 미세 먼지 포집 효율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다단 구조의 미세 유로 형성부의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 16 내지 도 18는 다단 구조의 미세 유로 형성부와 다단 구조의 임팩터의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 19은 미세 먼지 포집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미세 먼지 포집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 유로 형성부(3)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 유로 형성부(3)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미세 유로 형성부(3)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임팩터(4)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임팩터(4)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임팩터(4)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미세 먼지 포집 장치는, 공기가 흐르는 덕트(1), 덕트(1) 내에 물을 분사하여 기-액 혼합 유체를 형성하는 물 분사부(2), 기-액 혼합 유체가 통과되는 다수의 미세 유로(31)와 다수의 미세 유로(31)로부터 플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1물 배출구(39-2)를 구비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3),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통과한 기-액 혼합 유체가 충돌하는 다수의 충돌판(41)을 구비하는 임팩터(4)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유로 형성부(3)는 유로 형성 프레임(39)과, 유로 형성 프레임(39)에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2층 이상 적층되어 기-액 혼합 유체가 통과되는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32)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충돌판(41)은 서로 간격(42)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덕트(1)는 공기 유동로를 형성한다. 덕트(1)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덕트(1)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덕트(1)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이다. 예를 들어, 송풍기(5)에 의하여 미세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입구(11)를 통하여 덕트(1)로 공급된다. 공기는 덕트(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 유동로를 따라 이동되어 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된다.
물 분사부(2)는 덕트(1) 내에 물을 분사한다. 물 분사부(2)는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조(6)에 저장된 물은 펌프(7)에 의하여 가압되어 분사 노즐(21)을 통하여 미세한 액적 형태로 덕트(1) 내에 분사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의 일부는 액적에 포집된다. 덕트(1) 내에는 공기와 액적이 혼합된 기-액 혼합 유체가 형성된다. 기-액 혼합 유체는 덕트(1)를 따라 입구(11)에서 출구(12) 쪽으로 흐른다.
미세 유로 형성부(3)는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미세 유로 형성부(3)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2층 이상 적층된 다수의 비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미세 유로(31)는 다수의 비드(32) 사이의 공극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미세 유로 형성부(3)는 유로 형성 프레임(39)을 구비한다. 유로 형성 프레임(39)에는 다수의 비드(32)가 패킹되는 패킹부(39-1)가 마련된다. 패킹부(39-1)의 형상과 크기는 덕트(1)의 단면 형상과 크기에 부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비드(32)는 구형체이다. 다수의 비드(32)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다수의 비드(32)는 다양한 형태로 패킹부(39-1)에 패킹될 수 있다. 다수의 비드(32)의 패킹 형태는, 예를 들어, 단순 입방(PCC: premitive centered cubic) 구조, 면심 입방(FCC: face centered cubic) 구조, 체심 입방(BCC: body centered cubic) 구조 등의 입방 구조, 육방(HCP: Hexagonal Closed- Packed) 구조, 등 다양할 수 있다. 단순 입방 구조의 공극률은 약 48.6%이다. 면심 입방 구조의 공극률은 약 26% 이다. 체심 입방 구조의 공극률은 약 32% 이다.
다수의 미세 유로(31)는 인접하는 적어도 3개의 비드(32)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미세 유로(31)는 전체적으로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다수의 비드(32)의 패킹 형태와 적층 층수에 따라서 다수의 미세 유로(31)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다수의 미세 유로(31)의 단면적은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게 된다. 기-액 혼합 유체가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통과하는 동안에 미세 먼지가 포집된 액적 중 일부는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에 충돌하여 부착된다. 미세 먼지가 포집되지 않은 액적 중 일부도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에 충돌하여 부착된다. 액적들에 의하여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에는 액막이 형성된다. 액적에 포집되지 않은 미세 먼지는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통과하는 동안에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에 형성된 액막에 접촉되어 액막에 포집된다. 액막은 중력에 의하여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미세 유로 형성부(3)는 다수의 미세 유로(31)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1물 배출구(39-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물 배출구(39-2)는 유로 형성 프레임(39)에 마련되어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한다. 제1물 배출구(39-2)는 패킹부(39-1)의 하방에 아래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린 액적은 제1물 배출구(39-2)를 통하여 배출된다. 액적에 포집된 미세 먼지는 액적과 함께 제1물 배출구(39-2)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통과하는 동안에 기-액 혼합 유체와 다수의 비드(32)와의 접촉 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비드(32)는 적어도 2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8는 2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비드(32)를 포함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3)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6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비드(32)를 포함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3)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미세 유로(31)는 입구(33)와 출구(34) 사이에서 적어도 한 번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입구(33)와 출구(34) 사이에서 미세 유로(31)의 단면적은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기-액 혼합 유체와 다수의 비드(32)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져서 미세 먼지 포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미세 유로 형성부(3)는 체심 입방 구조로 패킹된 4층 구조의 다수의 비드(32)를 포함한다. 미세 유로(31)는 인접하는 4개의 비드(4)에 의하여 정의된다. 다수의 비드(32)는 직경이 일정한 구형체이다. 따라서, 다수의 미세 유로(31)의 출구들(도 4: 34)은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다.
다수의 비드(32)의 공극률이 작을수록 또 적층 층수가 클수록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은 커지나, 기-액 혼합 유체의 차압(압력 강하량)이 커져서 공기 정화 유속이 감소된다. 반면에 다수의 비드(32)의 공극률이 클수록 또 적층 층수가 작을수록 공기 정화 효율은 작아지나, 기-액 혼합 유체의 차압(압력 강하량)이 작아서 공기 정화 유속이 커진다. 다수의 비드(32)의 패킹 형태와 적층 층수는 요구되는 공기 정화 유속, 공기 정화 효율, 공극률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임팩터(4)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미세 유로 형성부(3)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임팩터(4)는 다수의 충돌판(41)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임팩터(4)는 임팩터 프레임(49)를 구비한다. 임팩터 프레임(49)에는 다수의 충돌판(41)이 배열되는 중공부(49-1)가 마련된다. 중공부(49-1)의 형상과 크기는 덕트(1)의 단면 형상과 크기에 부합될 수 있다.
다수의 충돌판(41)은 간격(42)을 두고 배열된다. 도 10과 도 11은 다수의 충돌판(41)과 다수의 미세 유로(31)의 출구들(34)과의 배치 구조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10과 도 11에서는 미세 유로 형성부(3)의 하류측과 다수의 충돌판(41)만이 간략하게 도시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다수의 충돌판(41)은 중력 방향(G)으로 연장되고, 중력 방향(G)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42)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기-액 혼합 유체는 다수의 충돌판(41)에 충돌한 후에 다수의 충돌판(41) 사이의 간격(4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수의 충돌판(41)은 다수의 미세 유로(31)의 출구들(34)과 대향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미세 유로(31)의 출구들(34)은 중력 방향(G)과, 중력 방향(G)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미세 유로(31)의 출구들(34)은 중력 방향(G)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출구 열(3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충돌판(41)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열(35)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충돌판(41)은 각각 하나의 출구 열(35)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충돌판(41)은 각각 두 개의 출구 열(35)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충돌판(41) 각각은 둘 이상의 출구 열에 대응될 수도 있다. 다수의 충돌판(41)의 갯수는 요구되는 공기 정화 유속, 공기 정화 효율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충돌판(41)은 미세 유로 형성부(3)으로부터 흐름 방향(F)으로 이격된다. 다수의 충돌판(41)과 미세 유로 형성부(3) 사이의 간격은 공기 정화 효율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통과한 기-액 혼합 유체는 다수의 충돌판(41)에 충돌한다.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통과하는 동안에 기-액 혼합 유체가 가속되어 다수의 충돌판(41)에 충돌하므로, 액적이 비산되면서 기-액 혼합 유체에 포함된 미세 먼지가 액적에 추가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미세 먼지가 포집된 액적과 미세 먼지가 포집되지 않은 액적은 다수의 충돌판(41)에 부착된다. 액적들에 의하여 다수의 충돌판(41)의 표면에 액막이 형성된다. 액적에 포집되지 않은 기-액 혼합 유체 중의 미세 먼지는 다수의 충돌판(41)의 표면에 형성된 액막에 접촉되어 액막에 포집된다. 액막은 중력에 의하여 다수의 충돌판(41)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임팩터(4)는 다수의 충돌판(41)에 묻어서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2물 배출구(49-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물 배출구(49-2)는 중공부(49-1)의 하방에 아래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다수의 충돌판(41)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린 액적은 제2물 배출구(49-2)를 통하여 배출된다. 액적에 포집된 미세 먼지는 액적과 함께 제2물 배출구(49-2)를 통하여 배출된다. 임팩터(4)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덕트(1)의 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수의 충돌판(41)이 중력 방향(G)으로 연장되고, 중력 방향(G)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충돌판(41)에 부착된 액적들이 중력에 의하여 충돌판(41)을 타고 용이하게 제2물 배출구(49-2)로 흘러내릴 수 있다. 또한, 충돌판(41)을 타고 흘러내리는 액적이 덕트(1)의 출구(12)로 배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미세 유로 형성부(3)에 의하여 기-액 혼합 유체 중의 미세 먼지가 액적에 포집되어 걸러지며, 미세 유로 형성부(3)를 통과한 기-액 혼합 유체 중의 미세 먼지는 임팩터(4)에 의하여 액적에 포집되어 걸러지므로, 높은 공기 정화 효율이 구현될 수 있다.
미세 유로 형성부(3)의 공극률을 조절함으로써, 미세 유로 형성부(3)와 임팩터(4)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 즉 압력 강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여과법에 비하여 압력 강하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비드(32)에 의하여 미세 먼지 및 액적과 다수의 비드(32)와의 접촉 확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여과법에 비하여 높은 공기 정화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미세 먼지가 포집된 액적이 중력에 의하여 다수의 비드(32)의 표면으로부터 흘러내려서 제1물 배출구(39-2)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종래의 여과법과 달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다수의 미세 유로(31)가 막히지 않는다. 따라서, 미세 유로 형성부(3)의 주기적인 관리 또는 교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세 유로 형성부(3)를 교체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다수의 미세 유로(31)를 통과하는 동안에 기-액 혼합 유체가 가속되어 다수의 충돌판(41)에 충돌되므로, 액적이 비산되면서 기-액 혼합 유체 중의 미세 먼지가 용이하게 액적에 추가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덕트(1)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 배출구(13)(14)가 마련될 수 있다. 기-액 혼합 유체가 덕트(1)의 내벽에 부딪히면 덕트(1)의 내벽에 액막이 형성되며, 미세 먼지가 액막에 포집될 수 있다. 액막은 덕트(1)의 내벽을 타고 중력방향(G)으로 흘러 내리며, 물 배출구(13)(14)를 통하여 덕트(1) 밖으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물 배출구(13)는 물 분사부(2)와 미세 유로 형성부(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 배출구(14)는 임팩터(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물 배출구(13)(14), 및 제1, 제2물 배출구(39-2)(49-2)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수집 탱크(8)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2는 미세 먼지 포집 효율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에서 곡선(C1)은 물 분사부(2)만 배치한 경우의 미세 먼지 포집 효율, 곡선(C2)는 물 분사부(2)와 미세 유로 형성부(3)를 배치한 경우의 미세 먼지 포집 효율, 곡선(C3)는 물 분사부(2), 미세 유로 형성부(3), 및 임팩터(4)를 배치한 경우의 미세 먼지 포집 효율을 나타낸다.
시험 조건은 아래와 같다.
비드: 지름 10mm의 글라스 비드
패킹 구조: 체심입방구조, 4층, 공극률 32%
공기 면유속: 2 m/s
공기 유량: 1200 L/min
물 분사량: 1.1 L/min, 수압 노즐(Full cone nozzle)
미세 먼지: NaCl
다수의 충돌판(41)과 미세 유로 형성부(3) 사이의 간격: 10mm
도 12를 참조하면, 곡선(C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물 분사부(2)만 배치한 경우에는 미세 먼제 포집 효율은 10% 이하이다. 곡선(C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미세 유로 형성부(3)를 배치하면 미세 먼지 포집 효율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곡선(C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임팩터(4)를 추가하면 곡선(C2)에 비하여 미세 먼지 제거 효율이 거의 10%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12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미세 유로 형성부(3)와 충돌판(41)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수록 미세 먼지 포집 효율이 저하됨이 확인된다. 미세 유로 형성부(3)와 충돌판(41) 사이의 거리는 소망하는 공기 정화 효율와 공기 정화 속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미세 유로 형성부(3)와 임팩터(4) 중 적어도 하나는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미세 유로 형성부(3)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방향(F)으로 적층된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드의 직경이 나머지 미세 유로 형성부의 비드의 직경과 다를 수 있다. 하나의 임팩터(4)가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임팩터(4)는,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각각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임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임팩터 중 적어도 하나는 충돌판의 폭이 나머지 임팩터의 충돌판의 폭과 다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다단 구조의 미세 유로 형성부의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 13을 참조하면, 미세 유로 형성부(3-1)는 제,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를 구비한다.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미세 유로 형성부(3)과 동일하다.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를 형성하는 비드(32)의 직경은 동일하다. 제1임팩터(4a)는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 중에서 흐름 방향(F)으로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2미세 유로 형성부(3b)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충돌판(41a)은 제2미세 유로 형성부(3b)의 출구(34b)와 대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다수의 비드(32)의 적층 층수가 큰 미세 유로 형성부가 필요할 때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미세 유로 형성부에 예를 들어 다수의 비드(32)를 8층으로 적층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각각 4층 구조를 갖는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를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배치함으로써, 8층 구조를 갖는 미세 유로 형성부(3-1)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미세 유로 형성부(3-2)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제1, 제3미세 유로 형성부(3a)(3c)를 구비한다. 제1, 제3미세 유로 형성부(3a)(3c)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미세 유로 형성부(3)과 동일하다. 다만, 제3미세 유로 형성부(3c)를 형성하는 비드(32c)의 직경은 제1미세 유로 형성부(3a)를 형성하는 비드(32)의 직경보다 크다. 제3임팩터(4c)는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3미세 유로 형성부(3c)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충돌판(41c)은 제3미세 유로 형성부(3c)의 출구(34c)와 대향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미세 유로 형성부(3-3)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제3, 제1미세 유로 형성부(3c)(3a)를 구비한다. 제1임팩터(4a)는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1미세 유로 형성부(3a)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충돌판(41a)은 제1미세 유로 형성부(3a)의 출구(34)와 대향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구조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의 압력 강하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는 다단 구조의 미세 유로 형성부와 다단 구조의 임팩터의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 16을 참조하면, 미세 유로 형성부(3-4)는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를 구비한다.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미세 유로 형성부(3)과 동일하다.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를 형성하는 비드(32)의 직경은 동일하다. 임팩터(4-1)는 제1, 제2임팩터(4a)(4b)를 구비한다. 제1, 제2임팩터(4a)(4b)는 각각 제1, 제2미세 유로 형성부(3a)(3b)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1임팩터(4a)의 충돌판(41a)은 제1미세 유로 형성부(3a)의 출구(34)와 대향된다. 제2임팩터(4b)의 충돌판(41b)은 제2미세 유로 형성부(3b)의 출구(34)와 대향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미세 유로 형성부(3-5)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제1, 제3미세 유로 형성부(3a)(3c)를 구비한다. 제3미세 유로 형성부(3c)를 형성하는 비드(32c)의 직경은 제1미세 유로 형성부(3a)를 형성하는 비드(32)의 직경보다 크다. 임팩터(4-2)는 제1, 제3임팩터(4a)(4c)를 구비한다. 제1, 제3임팩터(4a)(4c)는 각각 제1, 제3미세 유로 형성부(3a)(3c)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충돌판(41a)은 제1미세 유로 형성부(3a)의 출구(34)와 대향되며, 충돌판(41c)은 제3미세 유로 형성부(3c)의 출구(34c)와 대향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미세 유로 형성부(3-6)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제3, 제1미세 유로 형성부(3c)(3a)를 구비한다. 임팩터(4-3)는 제3, 제1임팩터(4c)(4a)를 구비한다. 제3, 제1임팩터(4c)(4a)는 각각 제3, 제1미세 유로 형성부(3c)(3a)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도 16 내지 및 도 18에 도시된 구조에 따르면, 2단계에 걸쳐 미세 먼지의 포집이 가능하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구조는,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F)으로의 압력 강하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에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2단의 미세 유로 형성부, 2단의 미세 유로 형성부와 2단의 임팩터가 채용되나, 필요에 따라서 3단 이상의 미세 유로 형성부, 3단 이상의 미세 유로 형성부와 3단 이상의 임팩터가 채용될 수도 있다.
도 19은 미세 먼지 포집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미세 유로 형성부(3d)와 임팩터(4d)가 도시되어 있다. 미세 유로 형성부(3d)는 다수의 미세 유로(31d)를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32d)의 직경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미세 유로 형성부(3)와 동일하다. 다수의 비드(32d)는 구형체가 아닐 수 있다. 다수의 비드(32d)의 형태는 다수의 비드(32d)가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배열될 때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다수의 비드(32d)는 크기, 예를 들어 직경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비드(32d)는 직경이 다른 다종의 구형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비드(32d)는 모양이 다른 다종의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임팩터(4d)의 다수의 충돌판(41d)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다수의 미세 유로(31d)의 출구들(34d)과 대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미세 유로(31d)의 출구들(34d)의 배열이 불규칙할 수 있다. 임팩터(4d)의 다수의 충돌판(41d)을 다수의 미세 유로(31d)의 출구들(34d)과 높은 확률로 대향시키기 위하여, 미세 유로 형성부(3d)와 임팩터(4d) 사이에는 규칙적인 개구들(91)이 형성된 개구판(9)가 위치될 수 있다. 개구들(91)은 규칙성을 가지는 한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들(91)은 중력 방향(G)과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2차원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개구들(91)은 중력 방향(G)으로 연장되고,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임팩터(4d)는 개구들(91)과 대향되고 중력 방향(G)으로 연장되며,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충돌판(41d)을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충돌판(41d) 각각은 둘 이상의 개구(91)와 대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미세 유로 형성판(3d)을 통과한 기-액 혼합 유체가 다수의 충돌판(41d)에 충돌될 확률을 높일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구판(9)는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미세 먼지 포집 장치의 실시예들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덕트 2...물 분사부
21...분사 노즐 13, 14...물 배출구
3...미세 유로 형성부 31...미세 유로
32...비드 33, 34...미세 유로의 입구와 출구
35...미세 유로의 출구 열 39...유로 형성 프레임
39-1...패킹부 39-2...제1물 배출구
4...임팩터 41...충돌판
42...충돌판 사이의 간격 49...임팩터 프레임
49-1...중공부 49-2...제2물 배출구
5...송풍기 6...수조
7...펌프 8... 수집 탱크
9...개구판 91...개구

Claims (20)

  1. 공기가 흐르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 물을 분사하여 기-액 혼합 유체를 형성하는 물 분사부;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통과되는 다수의 미세 유로와 상기 미세 유로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1물 배출구를 구비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를 통과한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충돌하는 다수의 충돌판을 구비하는 임팩터;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출구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 먼지 포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돌판은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열과 대향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돌판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미세 먼지 포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는,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2층 이상 적층된 다수의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는 상기 다수의 비드 사이의 공극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와 상기 임팩터 사이에 위치되며 규칙적인 개구가 형성된 개구판;을 포함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는,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를 구비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드의 직경이 나머지 미세 유로 형성부의 비드의 직경과 다른 미세 먼지 포집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터는,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각각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임팩터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0. 공기가 흐르는 덕트;
    덕트 내에 물을 분사하여 기-액 혼합 유체를 형성하는 물 분사부;
    유로 형성 프레임과, 상기 유로 형성 프레임에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2층 이상 적층되어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통과되는 다수의 미세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를 구비하는 미세 유로 형성부;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를 통과한 상기 기-액 혼합 유체가 충돌하며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충돌판을 구비하는 임팩터;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돌판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비드의 직경은 불균일한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와 상기 임팩터 상에 위치되며 규칙적인 개구가 형성된 개구판;을 포함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비드의 직경은 동일한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유로 형성부는, 상기 기-액 혼합 유체의 흐름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를 구비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드의 직경이 나머지 미세 유로 형성부의 비드의 직경과 다른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터는,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 형성부 각각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임팩터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표면에 상기 물에 의한 액막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 형성 프레임에는 상기 다수의 미세 유로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1물 배출구가 마련된 미세 먼지 포집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돌판의 표면에 상기 물에 의한 액막이 형성되며, 상기 임팩터는 상기 다수의 충돌판에 묻어서 흘러내리는 물을 배출하는 제2물 배출구를 구비하는 미세 먼지 포집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 배출구가 마련된 미세 먼지 포집 장치.
KR1020200046269A 2020-04-16 2020-04-16 미세 먼지 포집장치 KR20210128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69A KR20210128270A (ko) 2020-04-16 2020-04-16 미세 먼지 포집장치
US17/038,339 US11338240B2 (en) 2020-04-16 2020-09-30 Particulate matter coll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69A KR20210128270A (ko) 2020-04-16 2020-04-16 미세 먼지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270A true KR20210128270A (ko) 2021-10-26

Family

ID=7808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269A KR20210128270A (ko) 2020-04-16 2020-04-16 미세 먼지 포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38240B2 (ko)
KR (1) KR202101282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021A (ko) * 2020-10-27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 먼지 포집장치
CN113648775A (zh) * 2021-09-17 2021-11-16 华东理工大学 气体降温-洗涤装置与方法
CN116380574B (zh) * 2023-06-06 2023-08-18 四川发展环境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温室气体收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6436A (en) * 1958-04-09 1961-10-31 S & C Mfg Co Air washer
KR20060026926A (ko) 2006-02-16 2006-03-24 오재성 분진이나 액적 또는 가스상물질을 포집하기 위한미로(迷路)형 스크러버
WO2008055208A1 (en) 2006-11-01 2008-05-08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Aerogel-based filtration of gas phase systems
CN204582864U (zh) * 2015-04-08 2015-08-26 华南理工大学 一种自适应式浮球除雾器
US20170209824A1 (en) 2016-01-25 2017-07-27 J&K Management Inc. Low Water Usage Wet Scrubber
KR20180128792A (ko) 2017-05-24 2018-12-04 변규민 습식형 미세먼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22917A1 (en) 2021-10-21
US11338240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8270A (ko) 미세 먼지 포집장치
US4437867A (en) Removal of undesired components from gases
EP1998868B1 (en) Method and means for simultaneously generating an aqueous froth and numerous micro-droplets for use in filtering a contaminated air stream
US538737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ss transfer between liquid and gaseous media
US4443233A (en) Mist separator
US9005340B2 (en) Fiber bed assembly including a re-entrainment control device for a fiber bed mist eliminator
CA1059445A (en) Gas scrubbing plant
JP6871370B2 (ja) 微細構造化通路ノズル
JP2020505529A5 (ko)
US20040007132A1 (en) Pocket vane particle and droplet eliminator
US11400400B2 (en) Separating unit having an impaction surface
RU2720787C2 (ru) Распылитель и корпус распылительной форсунки
US3699748A (en) Wet scrubber dust collector
KR20170013180A (ko) 분진 적체 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KR20140142979A (ko) 노즐을 구비한 집진기용 에어 블로우 장치
CN202921125U (zh) 烟气净化塔
CA1106777A (en) Removal of undesired components from gases
US8404033B2 (en) Multi-target scrubber
CN202876600U (zh) 一种用于烟气净化的塔
US20220126234A1 (en) Particulate matter collector
JP5915351B2 (ja) 除塵装置
SU9807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мелкодисперсных аэрозолей пластификаторов
JP2018001094A (ja) 湿式集塵装置
JP5349796B2 (ja) 冷却塔に水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14513254U (zh) 一种卧式油气分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