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337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337A
KR20210127337A KR1020200045017A KR20200045017A KR20210127337A KR 20210127337 A KR20210127337 A KR 20210127337A KR 1020200045017 A KR1020200045017 A KR 1020200045017A KR 20200045017 A KR20200045017 A KR 20200045017A KR 20210127337 A KR20210127337 A KR 20210127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ctronic device
condition information
arrangement direction
menu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7337A/ko
Priority to PCT/KR2021/002311 priority patent/WO2021210773A1/ko
Publication of KR2021012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전자장치는 외부의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트를 수신하여, 그에 기초한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자장치가 선택된 소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에는 컨텐트를 제공 가능한 복수의 소스에 대응하는 메뉴항목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컨텐트, UI 등의 영상을 시청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설치 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화면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UI의 메뉴항목들은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항목들의 배열 방향이 디스플레이의 화면모드와 매치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피로를 유발하거나, 메뉴항목의 표시 또는 선택에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UI를 표시하는데 있어, 메뉴항목의 배열특성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배열방향으로 메뉴항목들의 배열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복수의 메뉴항목은, 제1메뉴항목과 제1메뉴항목의 하위 계층인 적어도 하나의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의 배열 특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계층방향의 특성 또는 항목방향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현재 화면모드가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않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식별하고,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으로 복수의 메뉴항목이 재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에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메뉴항목은, 제1메뉴항목과 제1메뉴항목의 하위 계층인 적어도 하나의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의 배열 특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계층방향의 특성 또는 항목방향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현재 화면모드가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않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으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메뉴항목이 재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방법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에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으로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게 표시함으로써, 메뉴항목의 표시 및 그 선택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도 1의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를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서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도시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조건정보로서 입력수단의 종류에 대응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대응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대응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소스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메뉴항목이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110)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화면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화면모드는 디스플레이(110)의 배치 상태에 대응하며,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화면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 대응하는 가로모드(landscape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스탠드(100)에 대해 수평으로 위치하며, 종횡비로서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화면을 가지게 된다.
스탠드(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화면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피봇(pivot)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L 위치 및 P 위치 사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도 1의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를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L 위치의 수평 상태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도 1의 수평 상태로부터 소정 각도, 예를 들면 90도의 회전에 기초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위치에서 스탠드(100)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화면모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 대응하는 세로모드(portrait mode) 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스탠드(100)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며, 종횡비로서 세로길이가 가로길이 보다 긴 화면을 가지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화면모드 즉, 가로모드와 세로모드가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모드가 세로모드인 디스플레이(110)는, 세로모드로 제작된 영상, 다시 말해, 스마트폰의 화면을 세로로 한 상태에서 촬영하여 제작된 컨텐트를 풀 스크린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화면모드는 가로모드와 세로모드뿐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가 소정 각도, 예를 들면 45도, 기울어진 대각선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각선모드는 디스플레이(110)가 기울어진 방향, 예를 들면 좌측 또는 우측, 및 기울어진 각도, 다시 말해, 기울기에 따라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에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 전자장치(1)의 구현 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는 스탠드(100)를 포함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110)가 회전 가능하게 벽면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외부의 신호공급원 즉,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예를 들면 컨텐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트 데이터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0)가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장치(1)의 구현 형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는,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로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박스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 전자장치(1)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에는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가 텔레비전인 경우, 전자장치(1)는 직접 또는 전자장치(1)와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부가기기, 예를 들면, 셋탑박스(set-top box, STB), OC 박스(one-connect box), 미디어박스 등을 통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와 부가기기의 연결 방식은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무선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 컨텐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자장치(1)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에서, 방송 컨텐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 수신 가능하며, 신호공급원, 즉, 소스는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도 4의 12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F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DVI,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썬더볼트(Thunderbolt), RGB 케이블,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ecepteurs et Televiseur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전자장치(1)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전자장치(1)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처리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 예를 들어,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과 같은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모니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1)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단말장치(terminal)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1)는 내부/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컨텐트 제공을 위한 소스로서, 서버, 단말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들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통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12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컨텐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장치(1)를 포함한 다양한 기기로 컨텐트를 전송할 수는 컨텐트 프로바이더로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미디어파일이나 웹컨텐트 등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는 복수의 서버 각각에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각 서버로부터 다양한 컨텐트를 제공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예를 들면, 유튜브(YouTube)와 같은 웹서버나, 넷플릭스(Netflix)와 같은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OTT 서버로부터 VOD와 같은 미디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컨텐트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VO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로부터 컨텐트를 수신 및 그 수신한 컨텐트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컨텐트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출력 즉,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된 단말장치로부터, 이른바 화면 미러링(screen mirroring)에 의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장치(1)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의 화면에서 표시되는 컨텐트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화면 미러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와 단말장치 간 컨텐트의 전송은, 단말장치가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상태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자장치(1)로 전송하는 미러링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1)와 단말장치 간 컨텐트의 전송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로서, 디코딩되지 않은 컨텐트의 데이터, 예를 들면, 컨텐트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캐스트(cast)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캐스트 방식에서는, 컨텐트가 전자장치(1)의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단말장치에서 표시되는 컨텐트의 영상을 전자장치(1)를 통해 제공하는 화면 미러링을 수행하는데 있어, 그 컨텐트의 전송은 미러링 또는 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방송국, 서버, 단말장치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며, 복수의 소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UI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항목을 선택하면, 전자장치(1)는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소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고, 그에 기초한 영상이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4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1)는, 도 4에 구성된 구성의 일부가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 예를 들면 구동부(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에는 소스로부터 수신한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메뉴항목은 시각적 형상을 가지는 문자 또는 그래픽의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은 소정 방향,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대각선 등으로 배열되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은 각각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서 부유하는 입자, 즉, 파티클(particl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UI에 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그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장치(1)가 서버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HDMI, HDMI-CFC, USB, 컴포넌트(Component), 디스플레이 포트(DP), DVI, 썬더볼트, RGB 케이블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소스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여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지상파/위성방송 등 방송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연결되거나, 케이블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등과 같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1)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하는 비디오/오디오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수신된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튜너와 디모듈레이터는 통합된 형태의 단일 칩으로 설계되거나, 상호 분리된 2개의 칩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외부 마이크 또는 마이크를 구비한 외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헤드셋,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과 같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통해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기기,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서버 등과 1:1 또는 1:N (N은 자연수)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기기에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각각 별개로 전송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자장치(1)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전자장치(1)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억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으로 전자장치(1)와 외부장치 사이에 1 대 1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등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가 외부장치와 다이렉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40)에는 통신 대상 기기인 외부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성능에 따라 무선랜유닛과 무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자기장을 포함하는 EM 통신, 가시광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등의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외부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적외선 통신규격에 따라 IR(Infrared)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하거나, 다른 외부장치로 리모컨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른 방식의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와 리모컨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마이크(microphone)와 같은 음성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음성의 정보로서 소정 데이터를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태/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해당 사용자음성의 처리 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내부 또는 외부의 스피커(loudspeaker)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로서, 사용자음성을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전자장치(1)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가 STT(speech to text)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전자장치(1)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음성에 대응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에서,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는, 서버와 이더넷 모뎀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리모컨과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1)에서,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서버 및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전자장치(1)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1)는 사용자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전자장치(1)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전자장치(1)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장치(1)로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remote control)(201), 게임콘솔(game console)(202),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등을 포함하며, 전자장치(1)와 이격 분리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201)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201)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201)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장치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203)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하다.
입력장치는 전자장치(1)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가 되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사운드를 수신하는 음성입력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250)는 사용자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microphone)로서 구현되며, 마이크는 전자장치(1)에 마련되거나, 전자장치(1)와 이격 분리되어 마련되거나, 또는 전자장치(1)와 이격 분리된 다른 장치, 예를 들면, 리모컨(201)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 다시 말해, 핸드 제스처(hand gesture)(이하, 제스처 라고도 한다)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모션감지부(204)는 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등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사용자입력부(130)로서 모션감지부(204)를 사용하도록 하는 트리거가 감지되면, 그에 대한 트리거 피드백을 디스플레이(110)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모션감지부(20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스처의 모션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획득된 모션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보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대응하는 커맨드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자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을 수 있으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1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40)에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가 저장되며, EDID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EDID는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된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UI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또는 이미지,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40)에는 전자장치(1)가 텔레비전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TV 어플리케이션 또는 TV 클라이언트와, 서버와 같은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가 재생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VOD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4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전자장치(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40), 프로세서(170) 내 롬(ROM)(도시되지 아니함), 램(RAM)(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장치(1)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전자장치(1)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50)는, 예를 들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회전축을 가진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50)는 스탠드(100)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110)의 후방에 접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구동부(150)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구동부(150)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그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150)에 전달되는 제어신호는, 예를 들면, 스탠드(100)에 마련된 프로세서(17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어신호는, 리모컨과 같은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구동부(150)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구동부(150)의 회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가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을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방향감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60)는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 또는 화면모드의 전환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향감지부(160)는 스탠드(100) 내부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감지부(160)는 항상 처음에 설정한 일정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또는 디스플레이(110)의 움직임 즉,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의 배열방향이, 방향감지부(160)에 의해 식별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와 대응, 즉, 매치되는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0)는,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가 되도록, 구동부(15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UI의 배열방향이 세로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세로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자장치(1)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7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에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전자장치(1)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1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는, 예를 들어, H.264 디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 또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디코더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디코더로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영상처리부가 처리하는 컨텐트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컨텐트는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뿐 아니라, JPEG 파일과 같은 사진, 배경화면 등의 정지화상, UI의 메뉴항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에는 튜너,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7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에서, 프로세서(170)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전자장치(1)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장치(1)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에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프로그램은 컴퓨터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례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복수의 메뉴항목의 배열특성과 같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메뉴항목은 제1메뉴항목, 다시 말해, 메인메뉴 항목과 제1메뉴항목의 하위 계층인 적어도 하나의 제2메뉴항목, 다시 말해, 서브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메뉴항목은 계층과 개별항목의 2개의 차원(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메뉴항목은 계층에 대응하는 방향(이하, 계층방향 이라고도 한다)과 단일 계층 내 항목(들)에 대응하는 방향(이하, 항목방향 이라고도 한다)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일례로, 계층방향은 가로방향에, 항목방향은 세로방향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해,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으로서 계층방향의 특성 또는 항목방향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층방향의 특성과 항목방향 특성은 제1메뉴항목와 제2메뉴항목을 구성하는 각 단위 항목의 크기(폭 또는 높이), 배열 간격, 디스플레이(1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계층방향의 길이와 항목방향의 길이를 비교하고, 더 큰 값을 가지는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층방향의 길이가 항목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 UI의 배열방향은 계층방향, 다시 말해, 가로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항목방향의 길이가 계층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 UI의 배열방향은 항목방향, 다시 말해, 세로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계층방향의 길이와 항목방향의 길이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 양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계층방향의 메뉴의 단계 수, 예를 들면, 제1메뉴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제2메뉴항목으로 이루어진 계층 구조에서 각 계층에 대응하는 단계 수를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과 비교하고, 메뉴의 단계 수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UI의 배열방향이 계층방향, 다시 말해, 가로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1기준값은, 제1메뉴항목와 제2메뉴항목을 구성하는 각 단위 항목의 크기(폭 또는 높이), 배열 간격, 디스플레이(1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그 값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항목방향의 메뉴의 개수, 예를 들면, 단일 단계에서의 메뉴항목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과 비교하고, 메뉴항목의 개수가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UI의 배열방향이 항목방향, 다시 말해, 세로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2기준값은. 제1메뉴항목와 제2메뉴항목을 구성하는 각 단위 항목의 크기(폭 또는 높이), 배열 간격, 디스플레이(1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그 값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 사용자의 선호도, 히스토리 정보,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 등 전자장치(1)에서 획득 또는 도출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식별 조건정보로서, 사용자의 선호도와 히스토리 정보는 저장부(140) 또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70)는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학습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UI의 배열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식별 조건정보로서,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는 방향감지부(160)의 출력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가 가로모드이면 UI의 배열방향을 가로방향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정보의 획득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세서(170)는, 예를 들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방향감지부(160)를 포함하여 전자장치(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출력 데이터 등으로부터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고(301),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302),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에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303).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170)의 동작은 전자장치(1)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대관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프로세서(17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전자장치에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7에서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401, 402, 403, 404, 405)를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은 각각이 전자장치(1)와 연결 가능하며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소스(source)에 대응하며, 도 7은 소스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UI 화면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서 부유하는 입자, 즉, 파티클(particle) 형태의 메뉴항목들(401, 402, 403, 404, 405)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에서, 도 7의 UI 화면은 전자장치(1)의 노 시그널(no signal) 상황과 소스 선택 상황의 분리/구분 없이,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 시그널 화면에서 소스메뉴가 선택되거나, 인터페이스(110)에 특정 소스가 연결되면, 화면이 전환되는 관련기술과 대비하여, 본 발명은 노 시그널 단계와 소스 선택 단계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부입력으로서 소정 소스가 선택 또는 연결되기 전, 전자장치(1)가 최초로 설치 또는 전원 연결되는 때, 디스플레이(110)에는 초기화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가능한 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401, 402, 403, 404, 405)이 부유, 즉, 화면 내에서 움직이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복수의 메뉴항목(401, 402, 403, 404, 405)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위치, 예를 들면, 중앙에서 반복적/지속적으로 분출, 즉, 흘러 나오는 형태의 애니메이션으로 루핑(looping)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와 같이 UI 화면이 표시, 즉,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130)를 이용하여 메뉴항목들(401, 402, 403, 404, 405) 중 어느 하나(405)를 선택함으로써, 전자장치(1)와 연결되는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어느 하나의 소스, 즉, 연결하고자 하는 소스의 메뉴항목(405)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됨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메뉴항목(405, 406, 407)을 점차로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메뉴항목(405, 406, 407)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른 바 줌인(zoom in)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되어 메뉴항목(405, 406, 407)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전체로 점차 확대되면서, 전자장치(1)가 선택된 메뉴항목(405, 406, 407)에 대응하는 소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연결된 소스로부터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며, 그에 대응하는 영상(408)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연결된 소스가 없는 노 시그널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소스를 선택하고, 해당 소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제공하기까지, 시각적인 단절 없이, 사용자에게 심리스(seamless)한 경험을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다양한 조건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UI의 레이아웃(layout)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는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레이아웃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UI의 레이아웃은, 복수의 메뉴항목의 배열방향을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건정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전술한 바와 같이, UI에 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조건정보로서 입력수단의 종류에 대응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 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입력부(130), 다시 말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단의 종류 별로 그에 대응하는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게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수단의 종류 별 UI의 배열방향은, 해당 입력수단을 사용 시, 사용자 입력이나 입력 결과의 확인에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한 소정방향으로서, 디폴트로 미리 설정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30)로서 리모컨(201)이 사용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메뉴항목(501, 502, 503)이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도록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메뉴항목(501, 502, 503)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에 대응하는 것을 일례로 하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리모컨(201)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메뉴항목(501, 502, 503)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501)을 선택하면, 도 9와 같이, 선택된 항목(501)이 크기, 형상,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식별되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그 사용자입력부(130), 다시 말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단의 종류에 대응하여 UI의 레이아웃이 변화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601, 603, 604)이 부유하는 입자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130)로서 마이크와 같은 음성입력부(205)를 통해 어느 하나의 항목(601)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도 10과 같이, 선택된 항목(601)이 디스플레이(110)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된 항목(602)이 줌인, 다시 말해, 점차로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701, 702, 703, 704)이 부유하는 입자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130)로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 다시 말해, 제스처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240)가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스처입력에 대한 트리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트리거 피드백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스처입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이콘에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트리거 피드백 제공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감지부(240)를 통해 감지되는 손의 움직임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한 가상의 포인터(704)가 디스플레이(110)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포인터(70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도 11과 같이 제스처 입력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손을 형상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메뉴항목(701, 702, 703, 704) 중 포인터(704)에 근접한 항목(701)이 포인터(704)에 맞닿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와 같이 포인터(704)에 달라붙은 근접 항목(701)을 선택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70)는, 도 11과 같이, 선택된 항목(701)이 줌인, 다시 말해, 점차로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는, 입력수단의 종류에 따라 UI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은 제1메뉴항목과, 제1메뉴항목의 하위 계층인 적어도 하나의 제2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UI는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들)로 이루어진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로서 제1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조건정보, 즉,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기초하여 UI 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으로 UI의 메뉴항목들이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은, 예를 들면, 계층방향의 특성 또는 항목방향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대응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으로서, 계층방향(가로방향)의 길이가 항목방향(세로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 UI의 배열방향을 계층방향에 대응하여 가로방향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계층방향의 메뉴의 단계 수가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UI의 배열방향을 가로방향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1기준값은, 예를 들어, 3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가 메인메뉴(801, 802), 제1서브메뉴(803, 804, 805), 제2서브메뉴(806, 807)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단계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UI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각 단계에서 리모컨(201)과 같은 사용자입력부(130)를 조작하여 포인팅 커서를 통해 항목들(802, 805, 807)을 한눈에 확인하면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으로서 항목방향(세로방향)의 길이가 계층방향(가로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 UI의 배열방향을 항목방향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항목방향의 메뉴의 개수가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UI의 배열방향을 세로방향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2기준값은, 예를 들어, 8로 설정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가 메인메뉴(901, 902)와 서브메뉴(903, 904, 905)를 포함하며, 항목방향의 메뉴의 개수로서 서브메뉴(903, 904, 905)가 8개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진 경우, UI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많은 개수의 서브메뉴의 항목들(903, 904, 905)을 한눈에 확인하면서, 리모컨(201)과 같은 사용자입력부(130)를 조작하여 포인팅 커서를 이동시켜, 선택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표시하고자 하는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의 구성이,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으로서 미리 설정된 계층방향의 특성 또는 항목방향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계층방향의 길이와 항목방향의 길이가 동일 또는 그 차이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내이거나, 또는 계층방향의 메뉴의 단계 수가 제1기준값 미만이고, 항목방향의 메뉴의 개수가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미리 정해진 디폴트 방향, 예를 들면, 가로방향에 대응하여 메뉴항목들이 배열된 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예는,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자장치(1)가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이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더 식별하여,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에서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게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1201). 여기서,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메뉴항목의 배열특성,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 사용자의 선호도,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1201에서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1202).
예를 들어,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이고, 계층방향의 길이가 항목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 UI의 배열방향은 계층방향에 대응하여 가로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가 메인메뉴(801, 802), 제1서브메뉴(803, 804, 805), 제2서브메뉴(806, 807)를 포함하여, 계층방향의 메뉴의 개수가 제1기준값 이상인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UI의 배열방향은 가로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이고, 항목방향의 길이가 계층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 UI의 배열방향은 항목방향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가 메인메뉴(901, 902)와 서브메뉴(903, 904, 905)를 포함하며, 항목방향의 메뉴의 개수로서 서브메뉴(903, 904, 905)가 제2기준값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진 경우, UI의 배열방향은 세로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1203).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가 가로모드(landscape mode)인지, 또는 세로모드(portrait mode)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10)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저장부(140)로부터 EDID를 읽음으로써, 현재 화면모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방향감지부(160)로부터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현재 화면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1202에서 식별된 UI의 배열방향과 단계 1203에서 식별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가 대응, 다시 말해, 매치(match)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1204).
프로세서(170)는, UI의 배열방향과 화면모드가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예를 들어, 단계 1202에서 UI의 배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식별되고, 단계 1203에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가 세로모드로 식별된 경우(단계 1204에서 NO), 단계 1203에서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1205). 예를 들어, UI의 배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식별된 경우, 세로모드인 디스플레이(1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150)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로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단계 1205에서 회전된 디스플레이(110) 상에, 단계 1205에서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206). 그에 따라, 단계 1202에서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의 디스플레이(110)에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가, 제1메뉴항목(메인메뉴항목)과 제2메뉴항목(서브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회전모드를 전환하여 UI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 안정감과 사용자 입력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메뉴항목의 배열특성에 대응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실시예는,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자장치(1)가,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으로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된 상태에서, 조건정보 의 변경의 감지하고,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여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을 재배열하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의 프로세서(17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1301). 여기서,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메뉴항목의 배열특성,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 사용자의 선호도,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1301에서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1302). 여기서, UI의 배열방향은, 도 12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어느 하나로 식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1302에서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303). 예를 들어, 단계 1302에서 UI의 배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식별된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뉴항목(1401, 1402, 1403, 1404)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컨(201)과 같은 사용자입력부(130)를 조작하여 포인팅 커서를 이동시키면서,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뉴항목(1401, 1402, 1403, 1404)에 대한 사용자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선택 등에 의해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1304).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뉴항목(1401, 1402, 1403, 1404)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메인메뉴의 항목들 중 제1항목(1204)을 선택하고, 그 서브메뉴의 항목들(1403, 1404) 중 제2항목(1403)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2항목(1403)의 서브메뉴가 제2기준값 이상의 개수로 구성된 경우,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단계 1304에서 조건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단계 1304에서 YES), 프로세서(170)는, 단계 1304에서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디스플레이(110)가 회전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1305). 예를 들어,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UI의 배열방향이 세로방향으로 식별된 경우, 도 16과 같이 가로모드였던 디스플레이(1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150)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단계 1305에서 회전된 디스플레이(110) 상에, 단계 1304에서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306). 그에 따라,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회전된 세로모드의 디스플레이(110)에 복수의 메뉴항목이 재배열된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가 방향식별 조건정보 의 변경을 감지하고,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UI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더 시각적 안정감과 사용자입력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각각이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의 UI를 표시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가 선택된 소스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10)의 현재 화면모드를 식별하고, 선택된 소스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소스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소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1501, 1502)을 포함하는 UI가 가로모드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 일례로 화면에서 움직이도록 애니메이션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3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항목(1501)을 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항목(1501, 1503, 1506)에 대응하는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항목(1501, 1503, 1506)에 대응하는 소스가 스마트폰과 같이 세로모드로 촬영된 컨텐트를 제공하는 장치인 경우, 그 대응하는 화면모드는 세로모드로서, 디스플레이(110)가 세로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컨텐트를 풀 스크린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17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항목(1501, 1503, 1506)을 줌인 애니메이션 효과에 의해 점차 확대하여 표시되도록 하면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가 전환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로서 선택되지 않은 항목(1504, 1505)에 대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입자 회전 트랜지션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각도 또는 기울기 값에 대응하여 선택되지 않은 항목들(1504, 1505)에 대해 입자 회전 트랜지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회전된 항목들(1504, 1505)은, 소스로 선택된 항목(1501, 1503, 1506)의 확대에 따라 점차 화면 내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는, UI의 배열방향이 가로 또는 세로방향이거나, 화면에서 입자가 부유하는 형태로 배열된 경우를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UI의 배열방향은 가로와 세로 외 다른 방향, 일례로 대각선 방향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메뉴항목이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가 복수 개 마련된 시스템 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장치(1) 각각의 디스플레이(1610, 1620, 1630, 1640, 1650, 1660)에는 복수의 항목들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1610, 1620, 1630, 1640, 1650, 1660)는, 예를 들면, 공공장소나, 건물 로비, 사무실 등의 벽면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게 설치 가능하며, 일례로, 도 19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1610, 1620, 1630, 1640, 1650, 1660)는 자신이 설치 또는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뉴항목을 표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시스템 내에서 각 디스플레이(1610, 1620, 1630, 1640, 1650, 1660)가 설치 또는 배치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중앙 상부에 배치된 제1디스플레이(1610)에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메뉴항목(1611, 1612)를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 하부에 배치된 제4디스플레이(1640)에도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메뉴항목(1641, 1642)를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제2디스플레이(1620) 및 제3디스플레이(1630)에는 그 설치 또는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복수의 메뉴항목(1621, 1630)이 배열된 UI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제5디스플레이(1650) 및 제6디스플레이(1660)에는 그 설치 또는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복수의 메뉴항목(1651, 1661)이 배열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디스플레이(1620, 1630, 1650, 1660)의 UI의 배열방향 즉, 대각선의 각도와 그 방향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각 디스플레이(1610, 1620, 1630, 1640, 1650, 1660)에서,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메뉴항목들(1611, 1612, 1621, 1631, 1641, 1642, 1651, 1661)을 소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에서는 메뉴항목들(1611, 1612, 1621, 1631, 1641, 1642, 1651, 1661)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UI가 활용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 전자장치
100 : 스탠드 110 : 디스플레이
120 : 인터페이스부 121 : 유선 인터페이스부
122 : 무선 인터페이스 130 : 사용자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구동부
160 : 방향감지부 170 :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상기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배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은, 제1메뉴항목과 상기 제1메뉴항목의 하위 계층인 적어도 하나의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상기 제1메뉴항목과 상기 제2메뉴항목의 배열 특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메뉴항목과 상기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계층방향의 특성 또는 항목방향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현재 화면모드가 상기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않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이 재배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1.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상기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에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은, 제1메뉴항목과 상기 제1메뉴항목의 하위 계층인 적어도 하나의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상기 제1메뉴항목과 상기 제2메뉴항목의 배열 특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메뉴항목과 상기 제2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계층방향의 특성 또는 항목방향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사용자입력이 수신 가능한 입력수단의 종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현재 화면모드가 상기 식별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않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뉴항목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이 재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조건정보에 기초한 UI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식별 조건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모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UI에 관한 방향식별 조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I의 배열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배열방향으로 상기 UI의 복수의 메뉴항목이 디스플레이에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200045017A 2020-04-14 2020-04-1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7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17A KR20210127337A (ko) 2020-04-14 2020-04-1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02311 WO2021210773A1 (ko) 2020-04-14 2021-02-2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017A KR20210127337A (ko) 2020-04-14 2020-04-1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37A true KR20210127337A (ko) 2021-10-22

Family

ID=7808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017A KR20210127337A (ko) 2020-04-14 2020-04-1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27337A (ko)
WO (1) WO20212107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949B1 (ko) * 2010-04-21 201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200135B1 (ko) * 2010-06-29 2012-11-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288251B1 (ko) * 2011-03-23 2013-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20160048305A1 (en) * 2014-08-14 2016-02-18 Microsoft Corporation Group-Based User Interface Rearrangement
KR20150021977A (ko) * 2015-01-19 2015-03-03 인포뱅크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ui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773A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842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045324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1825153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1025255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366441A1 (en) Display device
US8872765B2 (en) Electronic device, portable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23033359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5038665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1064150B2 (en) High resolution user interface
KR2017012481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574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2017020179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11284147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22001884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754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776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733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4005A (ko)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N112585983B (zh) 显示装置和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10327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37796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805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