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135B1 -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135B1
KR101200135B1 KR1020100091344A KR20100091344A KR101200135B1 KR 101200135 B1 KR101200135 B1 KR 101200135B1 KR 1020100091344 A KR1020100091344 A KR 1020100091344A KR 20100091344 A KR20100091344 A KR 20100091344A KR 101200135 B1 KR101200135 B1 KR 10120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iewing mode
display
layo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65A (ko
Inventor
홍승표
주신홍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0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가지 형태의 보기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보기모드가 제1 보기모드이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보기모드가 제2 보기모드이면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 구성부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화면의 출력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Terminal device supported pivot function and method for display thereof}
본 발명은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보기모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레이아웃의 메뉴를 표시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통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길게 제작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하 이동장치, 틸팅(tilting) 장치, 및 좌우 회전장치가 구비된 스탠드와 결합된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탠드에 구비된 좌우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회전시킬 경우,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된 상태로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를 회전시켜 스탠드와의 연결 구조를 변경한 상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피벗(pivot) 기능이라 한다.
피벗 기능을 사용할 때, 단순히 모니터의 방향만을 회전시키게 되면 통상 가로방향으로 표시되던 데이터들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모니터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면, 데이터의 가로 방향 폭을 좁혀 모니터의 현재 가로 방향의 사이즈에 맞게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모니터의 현재 세로 방향으로는 더 많은 양의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피벗 기능이 보편화됨에 따라, 피벗 기능을 이용하여 모니터를 회전시켰을 때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의 배치에 관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모니터 화면 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화면의 출력 방향에 따라 최적화된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가지 형태의 보기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보기모드가 제1 보기모드이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보기모드가 제2 보기모드이면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 구성부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보기모드는 세로방향 보기모드이고, 상기 제2 보기모드는 가로방향 보기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을 복수의 칼럼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칼럼 중 하나에 주메뉴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의 일부에 세로방향으로 주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주메뉴의 측부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보기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보기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드라이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드라이버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보기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회전을 감지하는 화면 감지부, 상기 화면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서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 화면을 구성하거나 또는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기모드가 제1 보기모드이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보기모드가 제2 보기모드이면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보기모드는 세로방향 보기모드이고, 상기 제2 보기모드는 가로방향 보기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을 복수의 칼럼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칼럼 중 하나에 주메뉴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의 일부에 세로방향으로 주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주메뉴의 측부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보기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보기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보기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은 단말장치의 화면 출력상태에 따라 일괄적으로 공통된 레이아웃을 제공하지 않고, 화면 출력상태에 따라 서로 상이한 레이아웃을 제공함으로써, 화면 상의 빈공간을 최소화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화면상의 빈공간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보다 많은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한 화면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한 화면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이하, "단말장치"라 한다)(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센서부(120), 드라이버부(130), 화면 감지부(140), 판단부(150), 화면 구성부(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같은 모니터를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일 수 있고, 휴대용 단말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본체가 각각 구비된 형태 및 디스플레이부(110)와 본체가 하나의 몸체에 구비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라면 그 형태와 상관없이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화면 구성부(160)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보기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피벗(pivot) 기능을 지원한다. 여기서, 피벗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10)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화면의 출력 방향이 전환되는 것과, 보기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화면의 출력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후술하겠지만,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회전시키는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미도시)의 기능의 일부로서 구현(예를 들면, 드라이버부(130)의 기능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되는 것을 '물리적 회전', 소프트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회전되는 것을 '소프트웨어적 회전'이라고 각각 언급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기모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 상태에 따라 화면이 어떤 방향으로 보이는지를 결정하는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1 보기모드와 제2 보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기모드는 세로방향 보기모드이고, 제2 보기모드는 가로방향 보기모드일 수 있다.
통상, 디스플레이부(110)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방향으로 공급 및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의 길이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방향으로 사용될 때의 화면 출력 상태(즉, 지평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가, 지평선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보다 긴 상태)를 본원 명세서에서는 가로방향 보기모드로 언급하기로 한다.
피벗 기능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원하는 바에 따라 기존의 가로방향 보기모드를 다른 보기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방향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화면 출력 상태를 본원 명세서에서는 세로방향 보기모드라고 언급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부(110)는 피벗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회전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의해 세로방향 보기모드 혹은 가로방향 보기모드로 전환되어 화면이 출력된다.
센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20)는 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고도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센서들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20) 대신에 소프트웨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회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 회전을 감지하는 소프트웨어(미도시)가 센서부(120) 대신 또는 센서부(120)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이하, '회전 감지용 소프트웨어'라고 함)는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의 운영체제(OS)의 일부로서 동작되거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서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구동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는,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120)와 소프트웨어적으로 회전을 감지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드라이버)를 '회전감지수단'이라는 용어로서 통칭하기로 하되, 양자 간에 구별의 실익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드라이버부(130)는 통상 주변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드라이버'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드라이버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물리적으로 회전되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회전은 센서부(120)를 통해 혹은 드라이버부(130)를 통해서도 감지할 수 있다. 즉, 드라이버부(130)는 상술한 회전 감지용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부(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부(130)는 보기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드라이버부(130)에서 제공하는 UI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로방향 보기모드 혹은 세로방향 보기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라이버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로방향 보기모드 혹은 세로방향 보기모드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물리적으로 회전되지 않더라도, 선택된 가로방향 보기모드 혹은 세로방향 보기모드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화면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회전을 감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방향에 따라 그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도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방향과 그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화면 감지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이 변경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태 혹은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방향과 무관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물리적으로 회전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면, 화면 감지부(14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판단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보기모드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현재 화면 출력상태에 따라 가로방향 보기모드로 화면을 출력해야 할 것인지 혹은 세로방향 보기모드로 화면을 출력해야 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50)는 보기모드의 판단 결과를 화면 구성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150)는 센서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이 감지되면, 혹은 화면 감지부(14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회전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 혹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회전이 감지된 시점에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보기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50)는 드라이버부(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보기모드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그 선택신호에 따라 보기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판단부(150)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80)와 별도의 기능블록으로 구현이 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판단부(150)의 기능을 제어부(180)의 기능에 통합시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다르게는 판단부(150)의 기능을 드라이버부(130)의 기능에 통합시키거나 센서부(120)의 기능에 통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드라이버부(13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서 보기모드까지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센서부(120)도 회전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보기모드까지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면 구성부(16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화면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면 구성부(160)는 판단부(150)의 보기모드 판단 결과에 따라, 보기모드가 제1 보기모드이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고, 보기모드가 제2 보기모드이면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보기모드는 세로방향 보기모드일 수 있고, 제2 보기모드는 가로방향 보기모드일 수 있다. 그러므로, 화면 구성부(16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가 세로방향 보기모드이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가 가로방향 보기모드이면,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한다.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은 아코디언(Accordion)과 같이 서브메뉴가 접혔다 펼쳐졌다 한다는 의미에서 명명된 통상의 아코디언 메뉴와 동일한 레이아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주메뉴와 서브메뉴가 하나의 메뉴표시창에 표시되는 형태의 레이아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을 복수의 칼럼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칼럼 중 하나에 주메뉴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일 수 있다. 또한,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의 일부에 세로 방향으로 주메뉴를 표시하고, 주메뉴의 측부에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일 수 있다.
화면 구성부(16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보기모드에 따라 적용되는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 및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70)는 본 단말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일 예로, 저장부(170)는 화면 구성부(160)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보기모드에 따라 적용할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 및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저장부(170)는 단말장치(100)가 가지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저장 수단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0)는 플래쉬 메모리, 램, 하드 디스크, 레지스터 등과 같이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수단을 통칭하며, 그러한 저장 수단들을 통칭하여 본원 명세서에는 저장부(170)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만, 특별히 그러한 저장 수단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어부(180)는 본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0), 센서부(120), 드라이버부(130), 화면 감지부(140), 판단부(150), 및 화면 구성부(16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센서부(120)가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센서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이 감지되면, 그 감지 결과 즉, 회전 시점 및 회전 방향을 판단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드라이버부(130)를 통해 보기모드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보기모드를 판단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각각의 기능 블록들(제어부, 디스플레이부, 센서부, 드라이버부, 화면 감지부, 판단부 등)은, 서로 통합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된 기능블록의 단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이나, 이들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장치로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서로 원격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한 화면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가 제1 보기모드인 경우로서, 화면 구성부(160)에서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였을 때의 주메뉴 표시창(200)을 도시한 것이다.
주메뉴 표시창(200)에 표시된 주메뉴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느 하나의 아이템(A)이 선택되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템(A)의 하단에 부메뉴(A')가 표시된 부메뉴 표시창(200')이 출력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는 가로방향 길이보다 세로방향 길이가 더 긴 상태로 주메뉴 표시창(200)에 세로방향으로 많은 아이템이 출력될 수 있고, 가로방향으로 불필요한 영역이 생기지 않으므로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한 화면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3의 (a)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가 제2 보기모드인 경우로서, 화면 구성부(160)에서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였을 때의 주메뉴 표시창(300)을 도시한 것이다.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메뉴표시창이 2개의 칼럼으로 구분되고, 도면 상에서 좌측에 주메뉴가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주메뉴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템(B)을 선택하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아이템(B)에 해당하는 부메뉴(B')가 도면상에서 우측에 표시된다.
도 2 및 도 3을 비교하여 살펴본다.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가 세로방향 보기모드일 때에는 도 2에서 도시한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많은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가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가로방향 보기모드일 경우에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을 적용한다면, 도 3 (a)의 주메뉴 표시창(300)의 가로 방향의 길이에 맞추어 아이템의 가로 방향도 결정된다. 그러므로, 부메뉴(B')가 표시된 영역만큼은 불필요한 영역이 발생하며, 세로방향의 길이가 짧음에 따라 많은 아이템을 표시할 수도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가 가로방향 보기모드일 때에는 종래의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변형된 아코디언 메뉴를 사용한다. 변형된 아코디언 메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아코디언 메뉴에서 주메뉴 하단에 구성되는 부메뉴를 가로방향 보기 모드일 경우에 전용 레이아웃 영역에 할당하여 보여준다. 이에 따라, 주메뉴 표시창(300)에 불필요한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메뉴 표시창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판단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보기모드를 판단한다(S400). S400 단계는 단말장치(100)가 턴 온 되었을 때 혹은 단말장치(100)의 사용중에라도 센서부(120) 혹은 드라이버부(130)로부터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이 감지되었을 때에 수행될 수 있다.
판단부(150)의 보기모드 판단 결과, 보기모드가 제1 보기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S410-Y), 화면 구성부(160)는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한다(S420). 이때의 화면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형태일 수 있다.
판단부(150)의 보기모드 판단 결과, 보기모드가 제2 보기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S410-N), 화면 구성부(160)는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한다(S430). 이때의 화면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S420 혹은 S430 단계에서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 혹은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출력한다(S440).
S400 내지 S440 단계는 단말장치(100)가 턴 온 되었을 때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이 감지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사용중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물리적으로 회전시키거나 혹은 자신의 선택에 의해 출력 방향을 변경할 때, 변경된 출력방향에 적합하게 구성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센서부(120) 및 드라이버부(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화면 감지부(14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도 4에서 설명한 절차에 의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 혹은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을 실제로 단말장치(100)에 적용하였을 때의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단말장치(100)로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본체와 통합되어 있는 형태의 휴대용 단말장치를 예시하였다.
(a)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출력상태와 무관하게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을 적용하였을 때의 단말장치(100)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방향 보기모드의 단말장치(1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로방향 보기모드가 된다. 하지만, 종래의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을 적용한다면, 각 아이템의 가로 방향 길이가 디스플레이부(110)의 가로 방향의 길이에 맞게 늘어나게 된다. 이에 의해, 화면상에 빈공간(C)이 발생한다.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표시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화면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세로방향 보기모드의 단말장치(1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로방향 보기모드가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a)와 같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을 사용하지 않고,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을 적용한다. 그러므로, 주메뉴와 부메뉴가 하나의 창에 표시됨으로써, 빈공간(C)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에서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0)의 물리적인 방향은 가로방향이지만,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세로방향의 화면(D)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하였다. 이때, 사용자의 요청 혹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지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세로방향의 화면(D)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화면(D')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감지부(140)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화면이 세로방향의 화면(D)에서 가로방향의 화면(D')으로 회전되었음을 감지한다. 화면 감지부(14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화면의 방향이 회전되었음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방향에 따라 보기모드가 결정되고, 결정된 보기모드에 따라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 혹은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의 세로방향의 화면(D)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아코디언 메유 레이아웃에 의해 구성된 화면이 표시되고, (b)의 가로방향의 화면(D')에는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구성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보기모드와 제2 보기모드 2가지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3가지 이상의 보기모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본원 발명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센서부 130 : 드라이버부
140 : 화면 감지부 150 : 판단부
160 : 화면 구성부 170 : 저장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적어도 두가지 형태의 보기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드라이버부;
    상기 드라이버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서 상기 보기모드가 제1 보기모드인 경우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보기모드가 제2 보기모드인 경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 구성부에 의해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기모드는 세로방향 보기모드이고, 상기 제2 보기모드는 가로방향 보기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을 복수의 칼럼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칼럼 중 하나에 주메뉴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의 일부에 세로방향으로 주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주메뉴의 측부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보기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드라이버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회전을 감지하는 화면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드라이버부 및 상기 화면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9. 적어도 두가지 형태의 보기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단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보기모드에 대한 선택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보기모드가 제1 보기모드이면 아코디언 메뉴 레이아웃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판단된 보기모드가 제2 보기모드이면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에 의해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기모드는 세로방향 보기모드이고, 상기 제2 보기모드는 가로방향 보기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을 복수의 칼럼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칼럼 중 하나에 주메뉴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기모드 전용 레이아웃은, 메뉴표시창의 일부에 세로방향으로 주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주메뉴의 측부에 상기 주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하는 부메뉴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보기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화면 표시 방법.
KR1020100091344A 2010-06-29 2010-09-17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200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376 2010-06-29
KR1020100062376 2010-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65A KR20120001565A (ko) 2012-01-04
KR101200135B1 true KR101200135B1 (ko) 2012-11-12

Family

ID=4560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344A KR101200135B1 (ko) 2010-06-29 2010-09-17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0397B (zh) * 2013-01-30 2018-06-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旋屏界面展示方法及装置
KR20210127337A (ko) * 2020-04-14 2021-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65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5304B2 (en) Display mode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6597384B1 (en) Automatic reorienting of screen orientation using touch sensitive system
JP58309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66272B1 (ko)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US8300022B2 (en) Dynamically reconfigurable touch screen displays
JP611290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面スクロール方法及びその装置
JP4921538B2 (ja) 携帯電子表示装置、携帯電子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子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EP3301663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20060097986A1 (en) Image display system
US9377811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579753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split screen
JP5663916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2030509A4 (en) Automated controls for sensor enabled user interface
JP200913949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846661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40134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29689A (ja)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入力装置、その入力受付方法
KR101200135B1 (ko)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JP2011064891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164819B1 (ko)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시스템
JP2006332728A5 (ko)
US11455091B2 (en) Display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011474B1 (ko)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KR20070047622A (ko) 디스플레이장치
RU2024114074A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устройств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