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273A -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273A
KR20210127273A KR1020200044494A KR20200044494A KR20210127273A KR 20210127273 A KR20210127273 A KR 20210127273A KR 1020200044494 A KR1020200044494 A KR 1020200044494A KR 20200044494 A KR20200044494 A KR 20200044494A KR 20210127273 A KR20210127273 A KR 2021012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transfer robot
charging
unmanned
charg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571B9 (ko
KR102435571B1 (ko
Inventor
정성환
박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4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5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571B1/ko
Publication of KR10243557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57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은 다수 개의 이동형 배터리;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이송하여 전기차에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이송 로봇; 및 상기 이송 로봇과 통신하면서 상기 이송 로봇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은 수의 이송 로봇을 이용해 많은 수의 이동형 배터리가 동시에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도입 및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Unmanned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적절하게 분리하여 경제적인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전기차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종래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한정된 주차 구역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정해진 주차 구역이 수용 가능한 대수를 초과하는 수의 전기차가 충전을 요청하면 동시에 모든 전기차에 대한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없다. 또한, 전기차 이외의 차량이 충전 구역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기차에 대한 충전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등록번호 제10-1410272호의 '전기차 충전용 로봇'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30)를 내장한 다수의 전기차 충전용 로봇(100)이 주차 구역을 이동하면서 전기차에 대한 충전 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는 전기차가 정해진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지 않더라도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는 있지만, 전원공급부와 통신 수단 등을 구비하는 로봇이 다수 필요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410272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봇을 기능적으로 분리하되 로봇과 관련된 동작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경제적으로 도입 및 운용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 개의 이동형 배터리;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이송하여 전기차에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이송 로봇; 및 상기 이송 로봇과 통신하면서 상기 이송 로봇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은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이동형 배터리와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서 대기하도록 할 수 잇다.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통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은 상기 통합 서버에 무선 통신으로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서버에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에 관한 맵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로봇과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수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에서 수용 가능한 전기차의 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수는 상기 이송 로봇의 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용량은 다양하고, 상기 통합 서버는 전기차의 필요 충전량에 맞는 용량의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전기차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견인하여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통신에 의해 통합 서버에서 전기차의 충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충전 요청 수신단계; 상기 통합 서버가 하나의 이송 로봇에 전기차에 대한 충전 명령을 전송하는 충전 명령 전송단계; 상기 이송 로봇이 다수 개의 이동형 배터리에서 대기 상태에 있는 것 중 하나를 전기차로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 로봇이 이송한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전기차에 연결하는 배터리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은 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기능별로 분리하여 시스템의 도입 및 운용을 경제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는 하나의 통합 서버를 통해 이송 로봇 등을 관리하므로,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수정 작업을 일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동작에 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을 이루는 구성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동작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은 다수 개의 이동형 배터리(10), 1개 이상의 이송 로봇(20) 및 통합 서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형 배터리(10)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서, 전기차(2)에 연결되어 전기차(2)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동형 배터리(10)는 스스로 이동할 수는 없지만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하단부에 다수 개의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형 배터리(10)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이송 로봇(20)은 이동형 배터리(10)를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2)로 이송하여 전기차(2)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동형 배터리(10)와 달리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형 배터리(10)를 이송할 때 이송 로봇(20)에 이동형 배터리(10)를 고정하고 전기차(2) 위치로 이송한 이동형 배터리(10)를 전기차(2)와 연결할 수 있도록 이송 로봇(20)에는 매니퓰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 로봇(20)은 바퀴가 달린 이동형 배터리(10)를 견인하는 방식으로 이송하여, 이동형 배터리(10)를 들어올리거나 하는 작업 없이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동형 배터리(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 로봇(20)은 1개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되되, 어느 한 이동형 배터리(10)가 전기차(2)를 충전하고 있는 중에는 다른 이동형 배터리(10)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이동형 배터리(10)에 비하여 적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통합 서버(30)는 상기한 이송 로봇(20)과 통신하면서 이송 로봇(20)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통합 서버(30)는 전기차에 대한 충전 요청이 들어오면 이송 로봇(20)에 명령을 전송하여 이송 로봇(20)이 충전을 요청한 전기차(2)의 위치로 이동형 배터리(10)를 이송하도록 하고, 전기차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작업을 진행했던 이동형 배터리(10)를 대기 위치로 이송하도록 할 수 있다.
통합 서버(30)는 이송 로봇(2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이송 로봇(20)과 별도로 구비되어 무선 통신에 의해 이송 로봇(20)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이송 로봇(20)이 다수 개인 경우에는 통합 서버(30)가 이송 로봇(20)과 별도로 구비되어 동일한 스펙의 이송 로봇(20)들을 하나의 통합 서버(30)에서 관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통합 서버(30)는 각 이송 로봇(20)의 작업 상황 등을 고려하여 각 이송 로봇(20)에 적절하게 작업을 배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은 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기능별로 분리하여 시스템의 도입 및 운용을 경제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스로 구동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인 이송 로봇(20)을 적은 수로 구비하더라도, 어느 한 이동형 배터리(10)가 전기차(2)를 충전하고 있는 동안 다른 이동형 배터리(10)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저가인 이동형 배터리(10)를 이송 로봇(20)보다 많이 구비하여 동시에 여러 전기차(2)에 대해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는 하나의 통합 서버(30)를 통해 이송 로봇(20) 등을 관리하므로,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수정 작업을 일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이하에서 보다 확실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은 도킹 스테이션(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40)에서는 이동형 배터리(10)와 이송 로봇(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동형 배터리(10)와 이송 로봇(2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 중이지 않은 경우에 이동형 배터리(10)와 이송 로봇(20)은 도킹 스테이션(40)에서 대기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40)에는 이동형 배터리(10)와 이송 로봇(20)의 수를 합한 개수만큼의 충전부(41)가 구비되어, 대기 중인 모든 이동형 배터리(10)와 이송 로봇(20)에 대해 충전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배터리(10)와 이송 로봇(20)은 즉시 전기차(2)의 충전 작업에 투입될 수 있는 상태를 거의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40)은 이동형 배터리(10)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형 배터리(10)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에는 이동형 배터리(10)의 충전 상황,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충전 중의 온도, 충전 가능한 최대 용량, 예측 수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통합 서버(30)가 전기차(2)의 충전에 사용될 이동형 배터리(10)를 선택하고 이동형 배터리(10)가 충전되는 상황, 그리고 이동형 배터리(10)가 전기차를 충전하는 상황을 관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이동형 배터리(10)의 폐기 여부 등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통합 서버(30)는 도킹 스테이션(40)을 관리하고, 도킹 스테이션(40)을 통해 이동형 배터리(10)를 관리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40)은 또한 이송 로봇(20)에 내장된 배터리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 서버(30)로 전송하여, 이동형 배터리(10)의 이송시 사용될 이송 로봇(20)의 선택 등에 데이터가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 로봇(20)은 통합 서버(30)와 자체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내장된 배터리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 통합 서버(30)로 전송하여, 통합 서버(30)가 이송 로봇(20)을 관리하는 데 활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통합 서버(30)가 도킹 스테이션(4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통합 서버(30)는 도킹 스테이션(40) 및 이송 로봇(20) 등에 대해 원격으로 위치하고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합 서버(30)에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A)에 관한 맵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차(2)가 대기 구역(A)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만 알면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과정 없이 이송 로봇(20)이 이동형 배터리(10)를 전기차(2)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이동형 배터리(10)의 이송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차의 대기 구역(A)은 예를 들어 전기차 전용 또는 비전용의 주차장일 수 있다.
상기 맵 데이터는 예를 들어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Building) 등의 기술로 작성될 수 있으며, 맵 데이터의 작성에 이송 로봇(20)이 사용될 수 있다.
이송 로봇(20)은 카메라를 내장하여 전기차(2)가 대기 구역(A)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알지 못하더라도 전기차(2)를 찾아갈 수 있다. 이송 로봇(20)은 카메라로, 예를 들어 전기차(2)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충전을 요청한 전기차(2)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서버(30)는 전기차(2)의 번호판에 관한 데이터를 이송 로봇(20)에 전송하고 해당 데이터와 일치하는 번호판을 가지는 전기차(2)를 찾을 것을 명령해주어야 할 것이다.
이송 로봇(20)이 카메라를 이용해 충전을 요청한 전기차(2)를 찾아가는 경우에도 맵 데이터는 활용될 수 있다. 즉, 맵 데이터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A)에 관한 정보이고, 이러한 맵 데이터를 참고하여 이송 로봇(20)은 전기차(2)가 대기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한정된 구역 내에서만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기차(2)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이송 로봇(20)은 이동하는 중에 다른 이송 로봇(20)이나 전기차(2) 등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접 센서와 같은 충돌방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로봇(20)에 구비된 카메라는 충돌방지센서와 함께 이송 로봇(20)이 다른 전기차(2) 등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송 로봇(20)은 비젼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로봇(20)이 충전을 요청한 전기차(2)를 찾아가더라도 전기차(2)가 세워진 세부적인 위치나 각도에 따라 전기차(2)의 충전 단자에 이동형 배터리(10)를 정확하게 연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 비젼 센서를 이용하여 전기차(2) 충전 단자의 위치와 각도를 정확하게 확인함으로써 전기차(2)의 충전 단자에 이동형 배터리(10)를 정확하게 연결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송 로봇(20)과 이동형 배터리(10)의 수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A)에서 수용 가능한 전기차(2)의 수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에 투입되지 않고 대기하는 이송 로봇(20) 등이 필요 이상으로 많거나 전기차(2)가 충전을 위해 오랜 시간 대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통합 서버(30)에 무선 통신으로 전기차(2)에 대한 충전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50)에서 보낸 충전 요청이 통합 서버(30)에서 접수되면, 통합 서버(30)는 대기 중인 이송 로봇(20)에 대해 대기 중인 이동형 배터리(10) 중 하나를 가지고 전기차(2)로 이동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50)에는 통합 서버(3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미리 통합 서버(30)로부터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을 사용할 것을 인증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충전 요청 신호와 함께 전기차(2)에 내장된 배터리의 상태나 전기차(2)의 위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합 서버(30)가 이송 로봇(20)의 이동이나 이동형 배터리(10)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기기일 수도 있고, 전기차(2)에 내장된 기기일 수도 있다.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은 상기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차 대기 구역(A)에 대한 전기차(2)의 출입과 전기차 대기 구역(A) 내에서 전기차(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C1, C2)를 구비하여, 카메라를 통해 새로운 전기차(2)가 들어온 것이 확인되면 이송 로봇(20)에 대기 중인 이동형 배터리(10) 중 하나를 가지고 전기차(2)로 이동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은 다양한 용량의 이동형 배터리(10)를 구비하고, 통합 서버(30)는 전기차(2)의 필요 충전량에 맞는 용량의 이동형 배터리(10)를 전기차(2)로 이송하도록 이송 로봇(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이동형 배터리(10)로 전기차(2)가 완충되지 않거나 필요 이상으로 큰 용량의 이동형 배터리(10)로 전기차(2)를 충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차(2)의 필요 충전량은 사용자 단말(50)에 의해 통합 서버(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기차 무인 충전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서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1)에서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방법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 무인 충전 방법은 충전 요청 수신단계(S10), 충전 명령 전송단계(S20), 배터리 이송단계(S30) 및 배터리 연결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충전 요청 수신단계(S10)에서는 무선 통신에 의해 통합 서버(30)에서 전기차(2)의 충전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충전 요청 신호는 전기차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50)에 의해 통합 서버(30)로 전달될 수 있다. 충전 요청 신호에 의해 통합 서버(30)는 도킹 스테이션(40)에서 대기 중인 이송 로봇(20) 중 이송 작업이 가능한 하나의 이송 로봇(20)을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도킹 스테이션(40)에서 대기 중인 이동형 배터리(10) 중 충전 작업이 가능한 하나의 이동형 배터리(10)를 선택한다.
대기 중인 이송 로봇(20)이 없는 경우, 통합 서버(30)는 작업 중인 이송 로봇(20)이 작업을 완료 하는 데 예상되는 시간이나 전기차 대기 구역(A) 내에서 작업 중인 이송 로봇(20)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대기 중인 이동형 배터리(10)를 가장 빠르게 전기차로 이송해줄 수 있는 이송 로봇(20)을 선택할 수 있다.
대기 중인 이동형 배터리(10)가 없는 경우, 통합 서버(30)는 사용자 단말(50)에 예상 대기 시간을 전송해줄 수 있다.
충전 명령 전송단계(S20)에서는 통합 서버(30)가 선택한 이송 로봇(20)에 전기차(2)에 대한 충전 명령을 전송한다. 충전 명령에는 전기차(2)의 위치와 충전에 사용될 이동형 배터리(10)에 관한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 이송단계(S30)에서는 이송 로봇(20)이 대기 중인 이동형 배터리(10) 중 통합 서버(30)가 선택한 이동형 배터리(10)를 전기차(2)로 이송한다. 통합 서버(30)에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A)에 관한 맵 데이터가 저정되어 있어, 이송 로봇(20)이 충전을 요청한 전기차(2)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제어해줄 수 있다.
배터리 연결단계(S40)에서는 이송 로봇(20)이 이송한 이동형 배터리(10)를 전기차(2)에 연결한다. 이송 로봇(20)은 비젼 센서를 구비하여 전기차(2)의 충전 단자에 이동형 배터리(10)를 정확하게 연결해줄 수 있다.
이동형 배터리(10)와 전기차(2)의 연결에 의해 전기차(2)는 충전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이송 로봇(20)은 전기차(2)와 이동형 배터리(10)를 분리한 후 이동형 배터리(10)를 도킹 스테이션(40)으로 이송한 후 이동형 배터리(10)가 다시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전기차(2)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는 시간은 이동형 배터리(10)의 성능과 전기차(2)의 필요 충전량 등을 고려하여 통합 서버(30)에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10 : 이동형 배터리 20 : 이송 로봇
30 : 통합 서버 40 : 도킹 스테이션
50 : 사용자 단말

Claims (11)

  1. 다수 개의 이동형 배터리;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이송하여 전기차에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이송 로봇; 및
    상기 이송 로봇과 통신하면서 상기 이송 로봇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배터리와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서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서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통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에 무선 통신으로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에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에 관한 맵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로봇과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수는 전기차의 대기 구역에서 수용 가능한 전기차의 수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수는 상기 이송 로봇의 수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배터리의 용량은 다양하고,
    상기 통합 서버는 전기차의 필요 충전량에 맞는 용량의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전기차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견인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11. 무선 통신에 의해 통합 서버에서 전기차의 충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충전 요청 수신단계;
    상기 통합 서버가 하나의 이송 로봇에 전기차에 대한 충전 명령을 전송하는 충전 명령 전송단계;
    상기 이송 로봇이 다수 개의 이동형 배터리에서 대기 상태에 있는 것 중 하나를 전기차로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 로봇이 이송한 상기 이동형 배터리를 전기차에 연결하는 배터리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무인 충전 방법.
KR1020200044494A 2020-04-13 2020-04-13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43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94A KR102435571B1 (ko) 2020-04-13 2020-04-13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94A KR102435571B1 (ko) 2020-04-13 2020-04-13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273A true KR20210127273A (ko) 2021-10-22
KR102435571B1 KR102435571B1 (ko) 2022-08-24
KR102435571B9 KR102435571B9 (ko) 2022-12-05

Family

ID=7827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94A KR102435571B1 (ko) 2020-04-13 2020-04-13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11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에바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식 충전 모듈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623904B1 (ko) * 2022-11-18 2024-01-10 이현 차량 에너지원의 비대면 보충 시스템
KR20240047672A (ko) 2022-10-05 2024-04-12 현대위아 주식회사 무인 충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401A (ja) * 1998-04-28 1999-11-09 Denso Corp 移動ロボットシステムにおける充電管理装置
KR101410272B1 (ko) 2013-04-25 2014-06-23 (주)세화하이테크 전기차 충전용 로봇
KR20190030613A (ko) * 2017-09-14 2019-03-22 포테닛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4032A (ko) * 2018-04-25 2019-11-04 한국전력공사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8828A (ko) * 2018-08-13 2020-02-21 안희태 전기차 배터리 교체용 로봇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401A (ja) * 1998-04-28 1999-11-09 Denso Corp 移動ロボットシステムにおける充電管理装置
KR101410272B1 (ko) 2013-04-25 2014-06-23 (주)세화하이테크 전기차 충전용 로봇
KR20190030613A (ko) * 2017-09-14 2019-03-22 포테닛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4032A (ko) * 2018-04-25 2019-11-04 한국전력공사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8828A (ko) * 2018-08-13 2020-02-21 안희태 전기차 배터리 교체용 로봇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11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에바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식 충전 모듈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47672A (ko) 2022-10-05 2024-04-12 현대위아 주식회사 무인 충전 시스템
KR102623904B1 (ko) * 2022-11-18 2024-01-10 이현 차량 에너지원의 비대면 보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571B9 (ko) 2022-12-05
KR102435571B1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571B1 (ko) 전기차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9509177B2 (en) Portable device capable of wireless power reception and transmission
KR102618527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방법
US9662995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US9479012B2 (en) Portable device capable of sensing an amount of wirelessly transferred power and optimizing coil selection
US20180290561A1 (en) Use of an autonomous range extender vehicle and autonomous range extender vehicle
RU2598491C1 (ru) Система бесконтактной по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CN103358924B (zh) 用于管理电动车辆充电站的方法和装置
US20200361329A1 (en) Mobile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transportation vehicle
KR10119137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주차타워 시스템
RU2594175C1 (ru) Система бесконтактной по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CN110997398A (zh) 停车载具、用于停放电动车辆和给电动车辆的蓄电池充电的方法和停车位系统
CN111391681B (zh) 可移动无线充电发射端的充电系统以及充电管理平台
CN110325441A (zh) 基于无人机的货物运输
JP2010246271A (ja) 電動車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126096A (ko) 카트로봇 주행 시스템
CN116261530A (zh) 自动电磁电动车充电系统
CN107074044B (zh) 轮胎监控系统和用于其的方法
CN111247024B (zh) 用于自动地给电动车辆充电的模块化充电系统和方法
JP4735520B2 (ja) 移動体用充電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充電装置
JP2023545358A (ja) 複数ロボットの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995117B (zh) 基于机器人的充电系统及方法
JP2022143327A (ja) 給電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JP2014020106A (ja) 機械式駐車場
WO2023216480A1 (zh) 服务基地电能补给和被补给车通过物联网架构的补给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