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332A -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332A
KR20210126332A KR1020200044019A KR20200044019A KR20210126332A KR 20210126332 A KR20210126332 A KR 20210126332A KR 1020200044019 A KR1020200044019 A KR 1020200044019A KR 20200044019 A KR20200044019 A KR 20200044019A KR 20210126332 A KR20210126332 A KR 20210126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nput
user
educational content
mem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5079B1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주)오버플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버플로우 filed Critical (주)오버플로우
Priority to KR1020200044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079B1/en
Priority to PCT/KR2021/003471 priority patent/WO2021206311A1/en
Publication of KR2021012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3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character input in a character input window by a first user, and converting the character input into braille on the basis of a braille translation engine;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relating to a process of inputting, to a braille memo device, at least on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braille; and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first user. Accordingly, the user of the braille memo device can use the device smoothly.

Description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s of Braille memo devices

본 발명은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에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o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점자(Braille)란 시각 장애인용 문자로서, 전맹 및 농맹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 또는 평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으로 돌출시킨 것을 의미한다. 시각장애인은 돌출된 점자를 손가락 끝으로 만지거나 점자에 내재된 문자 및 부호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점자는 4개, 6개 또는 8개의 점자용 도트를 이용하여, 문자, 사전에 약정된 약자 및 숫자 등을 각각 표현할 수 있다.Braille is a charact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it means that it is protruded as a dot of a certain shape on the ground or flat so that the blind, deaf, or low-vision blind can identify it. The visually impaired can touch the protruding braille with their fingertips or recognize the meaning of characters and symbols inherent in braille. Braille can express characters, abbreviations and numbers agreed in advance, respectively, by using 4, 6, or 8 braille dots.

최근 별도의 종이 없이도 점자를 읽고 쓸 수 있고, 점자의 오타를 즉각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development of a braille memo device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Braille without a separate paper and immediately correcting errors in Braill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다만, 점자 메모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초보 사용자의 경우 혼자서 점자를 학습하는 것이 쉽지 않고 효과적으로 점자 메모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However, even if a braille memo device is used, it is not easy for a novice user to learn braille by himself, and the need for a service for a method for effectively using the braille memo device is emerging.

본 발명은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가 장치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장치의 사용 방법을 교육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service for educating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on how to use the device so that the device can be us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보드에 문장을 입력하면 이를 점자로 변환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점자 메모 장치에 점자를 입력하면 이를 설정된 언어의 문장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service in which, when a user inputs a sentence on a keyboard, it is converted into Braille and displayed, or when a user inputs Braille into a Braille memo device, it is converted into a sentence of a set language and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은, 글자 입력 창에 대한 제1 사용자의 글자 입력을 수신하고,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글자 입력을 점자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점자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이 상기 점자 메모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교육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character input of a first user to a character input window, and converting the character input into Braille based on a transliteration engine; ,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braille is input to the braille memo device, and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first us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역 파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파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이미지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ucational content may include a simulation imag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 transliteration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It can be any one of the image files for the input.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점형 입력 창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점형 입력을 수신하고, 역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점형 입력을 글자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글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dotted input from a second user for a dotted input window, and converting the dotted input into letters based on an inverse translation engin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verted letters to the second us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o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점자 메모 장치의 쓰기 모드(writing mode)에 대한 컨텐츠 및 상기 메모 장치의 읽기 모드(reading mode)에 대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ucational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ntent for a writing mo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and content for a reading mode of the memo devi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배속으로 재생될 수 잇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ucational content may be reproduced at a double speed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of the first us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점자 메모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열 또는 행으로 배치되는 점핀 누름부, 및 상기 점핀 누름부에 복수개가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져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 록킹되는 점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aille memo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units arranged in columns or rows in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units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and a pressing operation It may include a point pin that is locked on the point pin pressing part so that one end protrudes from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by being press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점자 메모 장치는, 누름 동작에 의해 눌려져 입력을 수신하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입력 사이의 공백을 설정하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름부는 6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aille memo device may include a first press unit that receives an input by being pressed by a press operation, and a second press unit that sets a space between the inputs. The first pressing unit may be composed of six butt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는, 글자 입력 창에 대한 제1 사용자의 글자 입력을 수신하고,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글자 입력을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변환된 점자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이 상기 점자 메모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교육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An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haracter input of a first user to a character input window, and converts the character input into Braille based on a transliteration engine a content generator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braille is input to the braille memo device; and a content providing part for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first user .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역 파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파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이미지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ucational content may include a simulation imag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 transliteration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It can be any one of the image files for the input.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점형 입력 창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점형 입력을 수신하고, 역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점형 입력을 글자로 변환하는 글자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변환된 글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may further include a character conversion unit that receives the dotted input of the second user for the dotted input window and converts the dotted input into letters based on the inverse translation engine. The content providing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nverted character to the second user.

본 발명은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가 장치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장치의 사용 방법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rvice for easily learning how to use the device so that a user of the braille memo device can use the devic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보드에 문장을 입력하면 이를 점자로 변환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점자 메모 장치에 점자를 입력하면 이를 설정된 언어의 문장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nline service in which, when a user inputs a sentence on a keyboard, it is converted into Braille and displayed, or when the user inputs Braille into a Braille memo device, it is converted into a sentence of a set language and display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the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the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점자 메모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ed therewith.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점자 메모 장치는 종이 없이 간편하게 점자를 쓰고 읽을 수 있는 휴대용 점자 필기도구를 의미한다. 점자 메모 장치는 쓴 내용을 횟수에 제한 없이 초기화할 수 있어서 점자를 배우는 초보 사용자에게도, 언제 어디서나 즉시 메모가 필요한 사용자에게도 모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braille memo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ortable braille writing instrument capable of writing and reading Braille without paper. Since the braille memo device can initialize the written content without limiting the number of times, it can be used usefully for both beginners learning Braille and users who need instant memo anytime, anywhere.

본 발명에서는 초보 사용자의 경우 혼자서 점자를 학습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정안인 가족 및 교사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점자 및 제품 사용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easy for a novice user to learn Braille by himself,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to help him learn Braille and how to use the product more effectively through his family and teacher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글자를 점자로 변환(점역)하여 점자 도구들(점자판, 휴대용 점자필기도구, 라벨 메이커, 점자 스마트워치)에 나타나는 점형을 표시하고 점자 입력 방법을 시뮬레이션 하여 화면상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are converted into Braille (braille translation), the dot shape displayed on braille tools (braille board, portable braille writing tool, label maker, braille smart watch) is displayed, and the braille input method is simul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provides

점자 도구들의 입력 방법이 각기 다르며, 점자 학습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일상생활에서 점자 도구들이 의사소통의 도구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Since the input methods of the Braille tools are different and the difficulty of learning Braille is high,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eat help in resolving the difficulty that the Braille tools are not properly utilized as a communication tool in daily life. this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통해 점자를 모르더라도 사용하고자 하는 점자 도구에 점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그 결과를 미리 확인하여 점자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손쉽게 점자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you do not know Braille, you can easily provide Braille to the visually impaired by learning a method of inputting Braille into a Braille tool to use, checking the result in advance, and using Braille.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점자 변환부(110), 컨텐츠 생성부(120), 컨텐츠 제공부(130), 및 글자 변환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100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ille converter 110 , a content generator 120 , a content provider 130 , and It includes a character conversion unit 140 .

점자 변환부(110)는 글자 입력 창에 대한 사용자의 글자 입력을 수신하고,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글자 입력을 점자로 변환할 수 있다. The braille conversion unit 110 may receive a user's character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window, and convert the character input into braille based on a transliteration engine.

예를 들어, 글자 입력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한글, 영어, 중국어 등)에 관한 문장 입력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may be a sentence input related to a language (Korean, English, Chinese, etc.) used by the user.

점역 엔진은 글자와 점자에 대한 매핑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글자 입력에 상응하는 점자를 추출할 수 있다. The transliteration engine may extract braill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input by the user based on a mapping algorithm for characters and braille.

컨텐츠 생성부(120)는 변환된 점자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이 상기 점자 메모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ent generator 120 may generate educational content for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braille is input to the braille memo device.

이때, 교육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역 파일,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파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이미지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ducational content may be any one of a simulation image for at least one braille input, a braille translation file for at least one braille input, a voice fi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braille input, or an image file for at least one braille input can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이 점자 메모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imulation imag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may mean an image simulating a process in which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is input to the braille memo device in chronological order.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역 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형을 모두 포함하며 확장자가 'brf'이고 점자 프린터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The braille translation file for at least one braille input includes all dot shapes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has an extension of 'brf', and may refer to a file that can be used in a braille printer or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을 안내하는 음성이 포함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음성의 스타일 및 크기 등의 설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The voice fil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may mean a file including a voice guiding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In this case, settings such as the style and size of the voic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이미지 파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 각각에 상응하는 이미지가 포함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의 스타일 및 크기 등의 설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The image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may mean a file includ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In this case, settings such as style and size of the imag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user input.

컨텐츠 제공부(130) 컨텐츠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unit 130 may provide the educational content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ng unit 120 to the user.

글자 변환부(140)는 점형 입력 창에 대한 사용자의 점형 입력을 수신하고, 역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점형 입력을 글자로 변환할 수 있다.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140 may receive the user's dot-type input to the dot-type input window, and convert the dot-type input into letters based on the inverse translation engine.

예를 들어, 점형 입력은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tted input may be a user input for the braille memo device.

역점역 엔진은 글자와 점자에 대한 매핑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점형 입력에 상응하는 글자를 추출할 수 있다. The inverse translation engine may extract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dot type input input by a user based on a mapping algorithm for characters and braill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the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 구현된 글자 입력 창(210)에 사용자가 글자(예를 들어, 국어 또는 영어)를 입력하고, 글자 입력에 상응하는 점자 입력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점역 버튼(220)을 클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 the user inputs characters (eg, Korean or English) into the character input window 210 implemented on the web page, and in order to extract th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the user presses the transliteration button (220) can be clicked.

사용자가 점역 버튼(220)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글자 입력 창(210)에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글자 입력이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점자로 변환될 수 있다. When the user clicks the translating button 220 , at least one character input input by the user into the character input window 210 may be converted into at least one braille based on the translating eng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사용자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for various Braille memo devices. 2A and 2B , user education content for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1 점자 메모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열 또는 행으로 배치되는 점핀 누름부, 및 상기 점핀 누름부에 복수개가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져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 록킹되는 점핀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units arranged in columns or rows in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units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and by pressing It may include a point pin that is pressed and locked on the point pin pressing part so that one end protrudes from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점자 메모 장치 탭(230)을 클릭하여 제1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 the user may click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tab 230 to generat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또한, 사용자는 제2 점자 메모 장치 탭(231)을 클릭하여 제2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할 수 도 있으며, 점자 메모 장치 추가 탭(232)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를 생성할 점자 메모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click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tab 231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and click the add braille memo device tab 232 to create a braille memo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You can add devices.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탭(240)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에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탭(240)을 클릭하면 선택된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유튜브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 the user may click the video play tab 240 to play a video related to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n educational content creation target.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the video playback tab 240 , a YouTube video for the selected braille memo device may be played.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 탭(241)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의 구매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 탭(241)을 클릭하면 해당 점자 메모 장치 또는 관련된 물품에 대한 구매 사이트가 실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 the user may click on the online shopping tab 241 to access a purchase site of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 target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the online shopping tab 241 , a purchase site for the corresponding Braille memo device or related items may be executed.

도 2a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는 제1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250)가 표시되고, 제1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시뮬레이션 속도, 음성, 파일 다운로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260)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image 250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and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 260)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260)에서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시뮬레이션 재생을 시작할 수 있고, 중지 버튼을 클릭하여 시뮬레이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the play button in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260 to start playing the simulation, and click the stop button to stop playing the simula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260)에서 음성 버튼을 클릭하여 제1 점자 메모 장치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제1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260)에서 파일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제1 점자 메모 장치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파일(예를 들어, brf 확장자 파일)을 제공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the voice button in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260 to receive a voice guide for the simulation of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and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260 ), a file (eg, brf extension file) for the simulation of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may be provided by clicking the file download butt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260)에서 시뮬레이션 속도 설정 버튼을 조작하여 제1 점자 메모 장치의 점형 입력 시뮬레이션에 대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속도 설정 버튼은 1초, 1.5초, 2 초, 2.5초, 3초, 3.5초, 4초, 4.5초, 5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dot-type input simulation of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by manipulating the simulation speed setting button in the simulation setting tab 260 of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For example, the simulation speed setting button may be set to 1 sec, 1.5 sec, 2 sec, 2.5 sec, 3 sec, 3.5 sec, 4 sec, 4.5 sec, 5 sec, and the like.

사용자는 제1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250)의 우측에 표시되는 다음(next) 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수동으로 다음 시뮬레이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제1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250)의 좌측에 표시되는 이전(previous) 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수동으로 이전 시뮬레이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may manually display the next simulator image by clicking a next button (not shown)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image 250 , and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image 250 . You can manually display the previous simulator image by clicking the previous button (not shown) displayed to the left of the .

도 2b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서는 제1 점자 메모 장치의 읽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250_1) 및 제1 점자 메모 장치의 쓰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250_2)가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 an image 250_1 for a read mode of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and an image 250_2 for a write mode of the first braille memo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web pag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the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 구현된 글자 입력 창(310)에 사용자가 글자(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선생님")를 입력하고, "안녕하세요 선생님"에 상응하는 점자 입력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점역 버튼(320)을 클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a user inputs text (eg, “Hello, Teacher”) into a text input window 310 implemented on a web page, and the user extracts a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Hello Teacher”. may click the divergence button 320 .

사용자가 점역 버튼(320)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글자 입력 창(310)에 입력한 "안녕하세요 선생님"에 상응하는 점형이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350) 상에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When the user clicks the dot translation button 320 , a dot shape corresponding to “Hello, teacher” input by the user into the text input window 310 may be simulated on the braille memo device image 350 .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탭(330)을 클릭하여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the user may click the Braille memo device tab 330 to generat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Braille memo device.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탭(340)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에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 탭(341)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의 구매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user may click the video playback tab 340 to play a video related to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n educational content creation target. Also, the user may click the online shopping tab 341 to access a purchase site of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 target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s.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360)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들을 조작하여 점자 메모 장치에 점형이 표시되는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화면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the user may adjust the simulation result screen for the process of displaying dots on the braille memo device by manipulating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360 .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360)에서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점형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재생을 시작할 수 있고, 중지 버튼을 클릭하여 점형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the play button on the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360 to start playing the simulation for the dotted input, and click the stop button to stop playing the simulation for the dotted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360)에서 음성 버튼을 클릭하여 점자 메모 장치의 점형 입력 시뮬레이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the voice button in the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360 to receive a voice guidance for the dotted input simulation of the braille memo device.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260)에서 파일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점자 메모 장치의 점형 입력 시뮬레이션에 대한 파일(예를 들어, brf 확장자 파일)을 제공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a file download button in the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260 to receive a file (eg, brf extension file) for the dotted input simulation of the braille memo device.

도 3b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서는 점자 메모 장치의 읽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350_1) 및 점자 메모 장치의 쓰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350_2)가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 an image 350_1 for a read mo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and an image 350_2 for a write mo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web page.

읽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350-1) 상에서는 "안녕하세요 선생님"에 상응하며 읽기 모드에 사용되는 점형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쓰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350-2) 상에서는 "안녕하세요 선생님"에 상응하며 쓰기 모드에 사용되는 점형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On the image 350 - 1 for the reading mode, a dot shape corresponding to “hello teacher” and used in the reading mode may be simulated. On the image 350 - 2 for the writing mode, a dot shape used in the writing mode may be simulated corresponding to “Hello, teacher”.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점자 메모 장치의 읽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350-1) 및 쓰기 모드에 대한 이미지(350-2) 각각의 경우,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360)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들의 조작을 통해 점형이 표시되는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3A and 3B, in each case of the image 350-1 for the read mode and the image 350-2 for the write mo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the braille memo device is included in the simulation setting tab 360. The simulation result screen for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dot shape may be adjust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setting items.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 구현된 글자 입력 창(410)에 사용자가 글자(예를 들어, 국어 또는 영어)를 입력하고, 글자 입력에 상응하는 점자 입력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점역 버튼(420)을 클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user inputs characters (eg, Korean or English) into a character input window 410 implemented on a web page, and in order to extract a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the user presses a transliteration button (420) can be clicked.

사용자가 점역 버튼(420)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글자 입력 창(410)에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글자 입력이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점자로 변환될 수 있다. When the user clicks the translating button 420 , at least one character input input by the user into the character input window 410 may be converted into at least one braille based on the translating eng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사용자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for various Braille memo devices. 4 and 5 , user education content for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2 점자 메모 장치는 누름 동작에 의해 눌려져 입력을 수신하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입력 사이의 공백을 설정하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름부는 6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may include a first press unit that receives an input by being pressed by a press operation, and a second press unit that sets a space between the inputs. The first pressing unit may be composed of six buttons.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점자 메모 장치 탭(431)을 클릭하여 제2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user may click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tab 431 to generat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탭(440)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에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 탭(441)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의 구매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user may click the video playback tab 440 to play a video related to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n educational content creation target. Also, the user may click on the online shopping tab 441 to access a purchase site of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 target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s.

도 4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는 제2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450)가 표시되고, 제2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시뮬레이션 속도, 음성, 파일 다운로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460)이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second braille memo device image 450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and a first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 460)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460)에서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시뮬레이션 재생을 시작할 수 있고, 중지 버튼을 클릭하여 시뮬레이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the play button in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460 to start playing the simulation, and click the stop button to stop playing the simula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460)에서 음성 버튼을 클릭하여 제2 점자 메모 장치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제2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460)에서 파일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제2 점자 메모 장치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파일(예를 들어, brf 확장자 파일)을 제공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the voice button in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460 to receive a voice guide for the simulation of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and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460 ), a file (eg, brf extension file) for the simulation of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may be provided by clicking the file download butt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460)에서 시뮬레이션 속도 설정 버튼을 조작하여 제2 점자 메모 장치의 점형 입력 시뮬레이션에 대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속도 설정 버튼은 1초, 1.5초, 2 초, 2.5초, 3초, 3.5초, 4초, 4.5초, 5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dot-type input simulation of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by manipulating a simulation speed setting button in the simulation setting tab 460 of the second braille memo device. For example, the simulation speed setting button may be set to 1 sec, 1.5 sec, 2 sec, 2.5 sec, 3 sec, 3.5 sec, 4 sec, 4.5 sec, 5 sec, and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상에 구현된 글자 입력 창(510)에 사용자가 글자(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선생님")를 입력하고, "안녕하세요 선생님"에 상응하는 점자 입력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점역 버튼(520)을 클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user inputs text (eg, “Hello, Teacher”) into the text input window 510 implemented on the web page, and the user extracts th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Hello Teacher”. may click the diverge button 520 .

사용자가 점역 버튼(520)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글자 입력 창(510)에 입력한 "안녕하세요 선생님"에 상응하는 점형이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550) 상에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When the user clicks the dot translation button 520 , a dot shape corresponding to “Hello teacher” input by the user into the text input window 510 may be simulated on the braille memo device image 550 .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550)의 우측에 위치하는 다음(next) 버튼을 클릭하여 수동으로 다음 시뮬레이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점자 메모 장치 이미지(550)의 좌측에 위치하는 이전(previous) 버튼을 클릭하여 수동으로 이전 시뮬레이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may manually display the next simulator image by clicking the next button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image 550 , and the previous (previous) imag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image 550 . ) button to manually display the previous simulator image.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탭(531)을 클릭하여 점자 메모 장치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user may click the Braille memo device tab 531 to generat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Braille memo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탭(540)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에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 탭(541)을 클릭하여 교육 컨텐츠 생성 대상인 점자 메모 장치의 구매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user may click the video playback tab 540 to play a video related to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n educational content creation target. In addition, the user may click the online shopping tab 541 to access a purchase site of a braille memo device, which is a target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s.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점자 메모 장치 시뮬레이션 설정 탭(560)에 포함되는 설정 항목들을 조작하여 점자 메모 장치에 점형이 표시되는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화면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user may adjust the simulation result screen for the process of displaying dots on the braille memo device by manipulating the setting items included in the braille memo device simulation setting tab 56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은, 글자 입력 창에 대한 제1 사용자의 글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610),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글자 입력을 점자로 변환하는 단계(S620), 변환된 점자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이 상기 점자 메모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630), 상기 교육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6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a text input of a first user to a text input window (S610), based on a transliteration engine Converting the text input into Braille (S620),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Braille input is input to the Braille memo device (S630), and the educational content It may include providing to the first user (S640).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역 파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파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이미지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ucational content may include a simulation imag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 transliteration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It can be any one of the image files for the input.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점형 입력 창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점형 입력을 수신하고, 역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점형 입력을 글자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글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dotted input from a second user for a dotted input window, and converting the dotted input into letters based on an inverse translation engin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verted letters to the second us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o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점자 메모 장치의 쓰기 모드(writing mode)에 대한 컨텐츠 및 상기 메모 장치의 읽기 모드(reading mode)에 대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ucational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ntent for a writing mo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and content for a reading mode of the memo devi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배속으로 재생될 수 잇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ducational content may be reproduced at a double speed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of the first us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점자 메모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열 또는 행으로 배치되는 점핀 누름부, 및 상기 점핀 누름부에 복수개가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져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 록킹되는 점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aille memo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units arranged in columns or rows in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units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and a pressing operation It may include a point pin that is locked on the point pin pressing part so that one end protrudes from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by being press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점자 메모 장치는, 누름 동작에 의해 눌려져 입력을 수신하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입력 사이의 공백을 설정하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름부는 6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aille memo device may include a first press unit that receives an input by being pressed by a press operation, and a second press unit that sets a space between the inputs. The first pressing unit may be composed of six button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100: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
110: 점자 변환부
120: 컨텐츠 생성부
130: 컨텐츠 제공부
140: 글자 변환부
250, 350, 450, 550: 점자 메모 장치
100: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device
110: Braille conversion unit
120: content generation unit
130: content providing unit
140: character conversion unit
250, 350, 450, 550: Braille memo device

Claims (10)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글자 입력 창에 대한 제1 사용자의 글자 입력을 수신하고,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글자 입력을 점자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점자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이 상기 점자 메모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haracter input of a first user into a character input window, and converting the character input into Braille based on a transliteration engine;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braille is input to the braille memo device; and
and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first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역 파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파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이미지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ducational content,
Any one of a simulation imag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 transliteration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or an image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How to characterize.
제1항에 있어서,
점형 입력 창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점형 입력을 수신하고, 역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점형 입력을 글자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글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dotted input from a second user to the dotted input window, and converting the dotted input into characters based on an inverse translation engine; and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verted character to the second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점자 메모 장치의 쓰기 모드(writing mode)에 대한 컨텐츠 및 상기 메모 장치의 읽기 모드(reading mode)에 대한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at least one of content for a writing mode of the braille memo device and content for a reading mode of the memo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배속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ducational cont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roduction is performed at a double speed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of the first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메모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열 또는 행으로 배치되는 점핀 누름부; 및
상기 점핀 누름부에 복수개가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져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 록킹되는 점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aille memo device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 plurality of point pin pressing units arranged in columns or rows in the housing; and
A method comprising: a plurality of jump pins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and locked on the point pin pressing part so that one end protrudes from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by being pressed by a press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메모 장치는,
누름 동작에 의해 눌려져 입력을 수신하는 제1 누름부; 및
상기 입력 사이의 공백을 설정하는 제2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누름부는 6 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aille memo device comprises:
a first pressing unit pressed by a pressing operation to receive an input; and
and a second pressing unit for setting a space between the inputs,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pressing unit consists of six buttons.
점자 메모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글자 입력 창에 대한 제1 사용자의 글자 입력을 수신하고, 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글자 입력을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변환된 점자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이 상기 점자 메모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에 대한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교육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
A device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user of a braille memo device, comprising:
a braille conversion unit that receives a character input of the first user to the character input window and converts the character input into braille based on a transliteration engine;
a content generator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 for a process in which at least one braill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braille is input to the braille memo device; and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first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점역 파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 파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자 입력에 대한 이미지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ducational content,
Any one of a simulation imag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 transliteration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or an image file for the at least one braille input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점형 입력 창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점형 입력을 수신하고, 역점역 엔진에 기반하여 상기 점형 입력을 글자로 변환하는 글자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변환된 글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haracter conversion unit that receives the dotted input of the second user to the dotted input window, and converts the dotted input into characters based on the inverse translation engine,
The content providing unit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verted character to the second user.
KR1020200044019A 2020-04-10 2020-04-10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KR102415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19A KR102415079B1 (en) 2020-04-10 2020-04-10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PCT/KR2021/003471 WO2021206311A1 (en) 2020-04-10 2021-03-22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braille memo device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19A KR102415079B1 (en) 2020-04-10 2020-04-10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332A true KR20210126332A (en) 2021-10-20
KR102415079B1 KR102415079B1 (en) 2022-06-30

Family

ID=7802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019A KR102415079B1 (en) 2020-04-10 2020-04-10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5079B1 (en)
WO (1) WO2021206311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639A (en) * 2007-07-09 2009-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brallie about korean alphabet into foreign language and outputting audio sound
KR20090008654A (en) * 2007-07-18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service by using brallie
US20160232817A1 (en) * 2015-02-10 2016-08-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braille assistance
KR20160113053A (en) * 2015-03-18 2016-09-28 노영관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KR20200036484A (en) * 2018-09-28 2020-04-07 (주)오버플로우 Braille sla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15B1 (en) * 2009-05-29 2011-12-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Braille Education Trainer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N205692437U (en) * 2016-03-30 2016-11-16 郑州大学 Braille learning machines based on three needle drivers
CN208781456U (en) * 2018-01-26 2019-04-23 燕山大学 Writing board for Brail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639A (en) * 2007-07-09 2009-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brallie about korean alphabet into foreign language and outputting audio sound
KR20090008654A (en) * 2007-07-18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service by using brallie
US20160232817A1 (en) * 2015-02-10 2016-08-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braille assistance
KR20160113053A (en) * 2015-03-18 2016-09-28 노영관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KR20200036484A (en) * 2018-09-28 2020-04-07 (주)오버플로우 Braille s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311A1 (en) 2021-10-14
KR102415079B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ten inputs in a computerized teaching system
US20210005097A1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Yurko et al. Learning English grammar online: the main resources
Fitriani et al. “I Think Our Writing Become Tidy, Clear and Also Perfect” Students’ Feedback on Writing Class with Technology Performance
JP2022067657A (en) Computeriz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curacy of written characters and stroke order and compliance with rules and providing visual and audio feedback
Ng et al. An adaptive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beginners to learn fundamental japanese language
Abd Majid et al. Children and teacher’s interaction for English pre-literacy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KR102415079B1 (en)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TW201816636A (en) Digitized book content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dding digitized values to physical texts and providing teachers with effective digitized assistance in teaching
Ţucă et al. Speech recognition in education: Voice geometry painter application
Cushion et al. Designing a CALL package for Arabic while learning the language ab initio
CN111580684A (e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realizing multidisciplinary intelligent keyboard based on Web technology
KR20130113218A (en) A electronic note function system and its operational method thereof
KR20140062919A (en) Http cash service system using network drive and method thereof
Watanabe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hinese Pronunciation Teaching Materials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Functions.
Buendgens-Kosten et al. Affordances of multilingual learning situations
TWM592580U (en) Image type pronunciation systems
US20100120003A1 (en) Holistic Approach to Learning to Type
Kamei-Hannan et al. Methods in creating the iBraille Challenge mobile app for braille users
Marciano et al. Japanese CALL web tools: identifying and evaluating their multimedia behaviour in android OS
Sheikh et al. Journal of ISOSS 2018 Vol. 4 (1), 57-72 A STUDY OF THE EFFECT OF INTERACTIVE WHITEBOARDS ON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STUDENTS
Mirkhalilovna et al. The Significance of Technologies in Development Language Proficiencies
Nabu The Lexicalization Across Languages (a Cultural Relativity in Mongondownese Students)
Eugenijus The Effectiveness of Multimodal Task Design in Second Language Teaching
Furuhata Learning Japanese in America: a survey of preferred teaching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