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484A - Braille slate - Google Patents

Braille s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484A
KR20200036484A KR1020180116171A KR20180116171A KR20200036484A KR 20200036484 A KR20200036484 A KR 20200036484A KR 1020180116171 A KR1020180116171 A KR 1020180116171A KR 20180116171 A KR20180116171 A KR 20180116171A KR 20200036484 A KR20200036484 A KR 2020003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pin
memo device
fram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8799B1 (en
Inventor
김상언
Original Assignee
(주)오버플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버플로우 filed Critical (주)오버플로우
Priority to KR102018011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799B1/en
Publication of KR2020003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braille fram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or rows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portion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t pins which are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s, and are pressed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to be locked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s; and an unlock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djacent to the braille frame, and moves the braille frame to one side in a state where the dot pin is pressed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dot pin.

Description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BRAILLE SLATE}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BRAILLE SLATE}

본 발명은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점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braille for the visually impaired.

점자(Braille)란 시각 장애인용 문자로서, 전맹 및 농맹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 또는 평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으로 돌출시킨 것을 의미한다. 시각장애인은 돌출된 점자를 손가락 끝으로 만지거나 점자에 내재된 문자 및 부호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점자는 4개, 6개 또는 8개의 점자용 도트를 이용하여, 문자, 사전에 약정된 약자 및 숫자 등을 각각 표현할 수 있다.Braille is a character for the visually impaired, meaning that it protrudes as a certain point on the ground or plane so that the blind or low-vision blind can identify i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touch the protruding braille with his fingertips or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and symbols embedded in the braille. Braille can be used to represent letters, abbreviations and numbers, etc. that have been committed in advance, using four, six, or eight braille dots.

기존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도구는 점자판, 점관 및 점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점자도구는 종이가 없이는 점자를 읽고 쓸 수 없어 환경적인 제약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Existing braille t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sist of braille plates, divination and scribbles. These existing braille tools had a problem that they could not read and write braille without paper, and thus had environmental restrictions.

또한, 기존의 점자도구는 점자를 쓰는 중간에 계속해서 점자를 확인하며 써야 하는 경우 상당한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방정식과 같은 수학문제를 풀 경우, 비장애인도 암산으로 풀 수 없기 때문에 종이에 공식을 써가며 풀 듯이 시각장애인도 종이에 점자로 수학공식을 쓰면서 풀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existing braille tool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whe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heck and write the braille in the middle of writing the braille. For example, when solving math problems such as equations, even non-disabled people cannot solve with mental arithmetic, so visually impaired people must also solve by writing math formulas in braille on paper.

이때, 수학공식을 점자로 쓰면서 중간에 계속해서 점자를 확인할 수 밖에 없는데, 종이를 점자판에 끼워 맞추고 점자를 쓴 후, 읽기 위해 다시 종이를 빼서 뒤집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At this time, while writing the mathematical formula in Braille, I had to check the braille continuously in the middle. There was a inconvenience in that I had to fit the paper into the braille board, write the braille, and then remove the paper again to rea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0470호 (2018.05.1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60470 (2018.05.16)

본 발명은 별도의 종이 없이도 점자를 읽고 쓸 수 있고, 입력된 점자의 초기화가 가능하며, 점자의 오타를 즉각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having a function to read and write braille without separate paper, initialize input braille, and immediately correct typo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복수개의 열 또는 행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점핀 누름부가 형성되는 점자 프레임;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서 록킹되는 점핀; 및 상기 점자 프레임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점핀이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점자 프레임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점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braille frame disposed in a plurality of columns or rows inside the housing, and forming a plurality of push pin pusher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dot pin which is arranged in a row and a row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and is pressed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and locked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And an unlock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djacent to the braille frame and moving the braille frame to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dot pin is pressed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dot pin.

상기 점자 프레임은 일방으로 긴 프레임 형상이고, 상기 점핀 누름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The braille frame has a long frame shape in one direction, and the push pin pressing portion may be divided by a partition member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점자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록킹해제 부재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 경사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n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for interlocking with the unlocking member may be inclined on one side of the braille frame.

상기 점핀 누름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점핀의 록킹을 위한 걸림단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 locking end for locking the dot pi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at an edge of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상기 점핀은, 원통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의 하단이 걸어지는 지지 플랜지; 및 상기 지지 플랜지의 상방에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점핀이 눌러질 때 상기 걸림단이 타고 넘어가서 상기 점핀이 록킹되게 하는 록킹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int pin,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A support flange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o which a lower end of the engaging end is hooked; And a locking flange that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above the support flange so that the locking pin is locked when the point pin is pressed and locked.

상기 록킹 플랜지의 측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flang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록킹해제 부재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록킹해제를 위해 누르기 위한 누름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At one end of the unlocking member, a push button for a user to press for unlocking may be provided, and the push button may be install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록킹해제 부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록킹해제 경사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해제 경사부는 상기 연동 경사부와 접촉하여 상기 록킹해제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눌러지면 상기 연동 경사부를 밀어내어 상기 점자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In the unlocking member, an unlocking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nlocking inclined portion contacts the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and pushes the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when the unlocking member is 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ush the braille frame It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록킹해제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록킹해제 부재가 초기 상태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unlocking memb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unlocking member moves to an initial state.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점핀을 누르기 위한 점필이 자력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housing, a dot pen for pressing the dot pin may be detachably installed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를 읽고 쓰기 위해 별도의 종이가 없어 시각장애인이 환경적인 제약이 없이 편리하게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paper for reading and writing braille, the visually impaired can conveniently use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without environmental restrictions.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된 점자의 초기화가 가능하며, 점자의 오타를 즉각적으로 수정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itialize the input braille, and can correct the typographical errors immediately, thereby maximizing the usa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에서 점필이 분리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록킹해제 부재를 눌러 점핀의 록킹이 해제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점자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점핀의 정면도.
도 7은 점핀의 록킹 상태와 록킹해제 상태를 보인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tylus is separated from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locking of the pin is released by pressing the un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ille frame.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jump pin.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ocked state and unlocked state of the jump p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에서 점필이 분리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록킹해제 부재를 눌러 점핀의 록킹이 해제된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stylus is separated in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locking of the pin is released by pressing the un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는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복수개의 열 또는 행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점핀 누름부(12)가 형성되는 점자 프레임(10); 상기 점핀 누름부(12) 상에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점핀 누름부(12) 상에서 록킹되는 점핀(30); 및 상기 점자 프레임(10)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점핀(30)이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점자 프레임(10)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점핀(30)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 A braille frame 10 disposed in a plurality of columns or rows inside the housing 1 and having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portions 12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dot pin (30) arranged in a row and a row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12) and being pressed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o be locked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12); And adjacent to the braille frame 1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 and moving the braille frame 10 to one side in a state where the jump pin 30 is pressed to lock the jump pin 30. It may include a unlocking member 50 to releas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은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점자 프레임(10), 점핀(30) 및 록킹해제 부재(50) 등의 구성이 설치된다. 1 and 2, the housing 1 is a flat plate shape, and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Inside the housing 1, a configuration such as a braille frame 10, a dot pin 30, and an unlocking memb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하우징(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점핀 누름부(12)에 대응되게 점핀창(3)이 형성된다. 점핀창(3)은 점핀 누름부(12)에 대응되는 크기로 복수개의 열 및 행으로 형성되고, 사용자는 점핀창(3)을 통해 점필(5)을 이용하여 점핀(30)을 누르게 된다.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1, a point pin window 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int pin pressing portion 12. The point pin window 3 is form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rows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oint pin pressing portion 12, and the user presses the point pin 30 using the point pen 5 through the point pin window 3.

그리고, 하우징(1)의 일측면에는 점필(5)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점필(5)은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과 자력에 의해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평소에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의 측면에 부착한 상태로 휴대하다가 점자를 읽고 쓸 때에는 점필(5)를 분리하여 점핀(30)을 누르는 데에 사용하게 된다. Then, the stylus 5 is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 The stylus 5 is provided with a magnet therein and can be configured to be easily detachable by a magnet and a magne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 That is, the user normally carries it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 as shown in FIG. 1, and when reading and writing the braille, the stylus 5 is separated and used to press the dot pin 30.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의 내부에는 점자 프레임(10)이 4열로 설치되는데, 이는 일 예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도 점자 프레임(10)은 복수개의 열 및 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점자 프레임(1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a braille frame 1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 in four columns, which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braille frame 1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r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raille fram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점자 프레임(10)은 일방으로 긴 프레임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점자 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점핀 누름부(12)가 전후방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점핀 누름부(12)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구획부재(14)에 의해 구획된다. 실제로 구획부재(14)는 점자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된다. The braille frame 10 is made of a long frame shape in one direction. The braille frame 10 is formed by passing a plurality of dot pin pressing portions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int pin pressing portion 12 is divided by a partition member 14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fact, the partition member 1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ille frame 10.

점핀 누름부(1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지며, 점핀 누름부(12)의 가장자리에는 6개의 걸림단(16)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단(16)은 한 세트로 이루어진 6개의 점핀(30)에 대응되게 6개가 3열, 2행으로 배치된다. 걸림단(16)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점핀(30)의 록킹을 위해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point pin pressing portion 1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six locking ends 16 are formed to protrude inward at the edge of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12.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end 16 is arranged in three rows and two rows, so as to correspond to six dot pins 30 formed as a set. The locking end 1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ut is a part provided for locking the pin 30, and is formed by bending the end toward the inside.

점자 프레임(10)의 일측면에는 록킹해제 부재(50)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 경사부(18)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연동 경사부(18)는 점자 프레임(10)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동 경사부(18)는 후술할 록킹해제 경사부(56)에 연동하여 점핀(30)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점자 프레임(1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On one side of the braille frame 10, an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18 for interlocking with the unlocking member 50 is formed to be inclined. A plurality of interlocking slopes 18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braille frame 10, and the interlocking slopes 18 may be linked to the unlocking slopes 56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in 30 It serves to move the braille frame 10 so that the locking of the can be released.

한편, 점자 프레임(10)의 양측에는 각각 하우징 결합부(20)가 구비되어 점자 프레임(10)이 하우징(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평면도 기준)이 되도록 점자 프레임(10)을 하우징(1)에 결합시킨다. 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braille frame 10 are provided with a housing coupling portion 20, respectively, so that the braille frame 10 is moved up and down (based on a plan view)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 1).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점핀 누름부(12) 상에는 6개의 점핀(30)이 승강되게 설치된다. 점핀(30)은 사용자가 점필(5)을 사용하여 점자를 누르는 부분으로서, 점핀(30) 6개는 한 세트로 구성되어 하나의 글자를 구성할 수 있다. 점핀(3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again, six point pins 30 are installed on the point pin pressing portion 12 to be elevated. The jump pin 30 is a part where a user presses a braille using a stylus 5, and six jump pins 30 are configured as a set to form a single lette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jump pin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점핀(30)은 원통 형상의 몸체부(32); 상기 몸체부(32)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16)의 하단이 걸어지는 지지 플랜지(34); 및 상기 지지 플랜지(34)의 상방에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점핀(30)이 눌러질 때 상기 걸림단(16)이 타고 넘어가서 상기 점핀(30)이 록킹되게 하는 록킹 플랜지(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int pin 3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32; A support flange 34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2 to which a lower end of the engaging end 16 is hung; And a locking flange 36 that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above the support flange 34, so that when the point pin 30 is pressed, the engaging end 16 rides over and locks the point pin 30. It can contain.

지지 플랜지(34)는 몸체부(3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를 사용하기 전(초기 상태)에는 걸림단(16)의 하단이 걸어진 상태가 된다.The support flange 34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2, and before the user uses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initial state),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end 16 is in a engaged state.

이때, 사용자가 점필(5)을 이용하여 점핀(30)을 누르면, 점핀(30)이 하강하면서 걸림단(16)은 록킹 플랜지(36)를 타고 넘어가고 록킹 플랜지(36)에 하단이 지지되어 록킹된다. 록킹 플랜지(36)의 측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점핀(30)이 눌러지면서 걸림단(16)이 보다 록킹 플랜지(36)를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oint pin 30 using the stylus 5, while the point pin 30 descends, the locking end 16 rides on the locking flange 36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locking flange 36. Locked.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flange 36 is formed to be inclined such that the diameter increases as it goes upward. This is to allow the locking pin 36 to smoothly ride over the locking flange 36 as the point pin 30 is pressed.

점핀(30)의 록킹 및 록킹해제 상태는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점핀(30)을 누르면 점핀(30)의 하단은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며 사용자는 이를 손으로 만지면서 점자를 읽게 된다.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jump pin 30 is well illustrated in FIG. 7. 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presses the point pin 30, the lower end of the point pin 3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 and the user reads the braille while touching it by han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록킹해제 부재(50)는 점자 프레임(10)의 개수에 대응되게 총 4개가 설치된다. 록킹해제 부재(50)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록킹해제를 위해 누르기 위한 누름버튼(52)이 구비된다. 누름버튼(52)은 하우징(1)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록킹해제 부재(50)의 일단부에는 록킹해제 부재(50)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4)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3 again, a total of four unlocking members 50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braille frames 10. One end of the unlocking member 50 is provided with a push button 52 for a user to press for unlocking. The push button 52 is install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housing 1.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5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nlocking member 5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unlocking member 50 moves to an initial position.

또한, 록킹해제 부재(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록킹해제 경사부(56)가 형성된다. 록킹해제 경사부(56)는 록킹해제 부재(50)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동 경사부(18)와 접촉하여 록킹해제 부재(50)가 길이방향으로 눌러지면 연동 경사부(18)를 밀어내어 점자 프레임(1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즉, 록킹해제 부재(5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점자 프레임(1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록킹해제 부재(50)의 좌우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점자 프레임(1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Further, the unlocking member 50 is formed with an unlocking inclined portion 56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nlocking inclined portion 56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unlocking member 50, and when the unlocking member 50 is 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18, the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 18) The braille frame 10 is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pushing it out. That is, the unlocking member 50 is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braille frame 10 is installed t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raille frame 10 is vertically link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unlocking member 50. Will be moved.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록킹해제 부재를 눌러 점핀의 록킹이 해제된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locking of the pin is released by pressing the un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를 사용하기 전(최초 상태)에는 점핀(30)이 도 7에서와 같이 록킹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즉, 걸림단(16)이 지지 플랜지(34)의 하단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Referring to FIG. 3, before the user uses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initial state), the pin 30 maintains the unlocked state as shown in FIG. 7. That is, the retaining end 16 maintains the state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lange 34.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점핀(30)을 누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점핀(30)이 하강하면서 걸림단(16)이 록킹 플랜지(36)를 타고 넘어가서 록킹 플랜지(36)에 하단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점핀(30)의 하단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손으로 만져 점자를 읽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oint pin 30 to input the desired character, as shown in FIG. 7, while the jump pin 30 descends, the locking end 16 rides on the locking flange 36 and passes over the locking flange 36. The bottom is supported. In this case, since the lower end of the pin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 the user touches it by hand to read the braille.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점자를 읽다가 오타를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점핀(30)의 하단을 손으로 강하게 눌러 걸림단(16)이 다시 록킹 플랜지(36)를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점핀(30)이 초기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점자 오타의 수정이 손쉽게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needs to correct the typo while reading the braille. At this time, the user presses the lower end of the jump pin 30 with his hand, so that the locking end 16 rides on the locking flange 36 again. In this case, since the pin 30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it is possible to easily correct the typos.

다음으로, 사용자는 1열의 점자를 모두 다 입력한 상태에서 하우징(1)을 뒤집어서 읽게 된다. 점자를 읽은 후에 이를 초기화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록킹해제 부재(50)의 누름버튼(52)을 누르면 된다. 록킹해제 부재(50)가 눌러져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록킹해제 경사부(56)와 연동 경사부(16)의 연동에 의해 점자 프레임(10)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전체적으로 점핀(30)이 아래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점핀(30)이 걸림단(16)의 사이로 이동되면서 걸림단(16)과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점핀(30)은 중력에 의해 중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Next, the user reads the housing 1 inverted while all the brailles of the first row are input. In the case of initializing it after reading the braille, the push button 52 of the unlocking member 50 may be pressed as shown in FIG. 4. When the unlocking member 50 is pressed and moved to the right, the braille frame 10 moves downward by interlocking the unlocking inclined portion 56 and the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16. In this case, since the point pin 30 is moved downwardly as a whole,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end 16 may be released as the point pin 30 moves between the locking ends 16. At this time, the pin 30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gravity by gravit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종이 없이 직접 점자를 입력하여 읽고 쓸 수 있으며, 점자 오타의 수정이 용이하고 1열의 점자들을 초기화하는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점자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the user can directly read and write Braille without paper, and it is easy to correct Braille typos and to initialize the first row of Braille, making it easier to learn Braille. Improve i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1 : 하우징 5 : 점필
10 : 점자 프레임 12 : 점핀 누름부
14 : 구획부재 16 : 걸림단
18 : 연동 경사부 20 : 하우징 결합부
30 : 점핀 32 : 몸체부
34 : 지지 플랜지 36 : 록킹 플랜지
50 : 록킹해제 부재 52 : 누름버튼
54 : 탄성부재 56 : 록킹해제 경사부
1: housing 5: stylus
10: Braille frame 12: Push pin pusher
14: partition member 16: hanging end
18: interlocking slope 20: housing coupling
30: jump pin 32: body portion
34: support flange 36: locking flange
50: unlocking member 52: push button
54: elastic member 56: unlocking inclined portion

Claims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복수개의 열 또는 행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점핀 누름부가 형성되는 점자 프레임;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점핀 누름부 상에서 록킹되는 점핀; 및
상기 점자 프레임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점핀이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점자 프레임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점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housing;
A braille frame disposed in a plurality of columns or rows inside the housing, and forming a plurality of push pin pusher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dot pin which is arranged in a row and a row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and is pressed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and locked on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And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including an unlock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djacent to the braille frame and moves the braille frame to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dot pin is depressed to unlock the jumper p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프레임은 일방으로 긴 프레임 형상이고, 상기 점핀 누름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raille frame has a long frame shape in one direction, and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member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록킹해제 부재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 경사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ocking slope for interlocking with the unlocking member is inclined on one side of the braill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핀 누름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점핀의 록킹을 위한 걸림단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end for locking the dot pin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t an edge of the dot pin press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핀은,
원통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의 하단이 걸어지는 지지 플랜지; 및
상기 지지 플랜지의 상방에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점핀이 눌러질 때 상기 걸림단이 타고 넘어가서 상기 점핀이 록킹되게 하는 록킹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ot pin,
Cylindrical body portion;
A support flange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o which a lower end of the engaging end is hooked; And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flange that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above the support flange so that the hook pin is locked when the point pin is pressed and lock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랜지의 측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locking flang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부재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록킹해제를 위해 누르기 위한 누름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one end of the un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ush button for the user to press for unlocking, the push button is install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부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록킹해제 경사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해제 경사부는 상기 연동 경사부와 접촉하여 상기 록킹해제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눌러지면 상기 연동 경사부를 밀어내어 상기 점자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nlocking member, an unlocking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nlocking incline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when the unlocking member is 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ushes the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braille frame is moved vertically, the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록킹해제 부재가 초기 상태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one end of the un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unlocking member is moved to the initial stat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점핀을 누르기 위한 점필이 자력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Braille learning and mem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installed detachably by a magnetic force for pressing the dot pin.

KR1020180116171A 2018-09-28 2018-09-28 Braille slate KR102098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71A KR102098799B1 (en) 2018-09-28 2018-09-28 Braille s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71A KR102098799B1 (en) 2018-09-28 2018-09-28 Braille s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84A true KR20200036484A (en) 2020-04-07
KR102098799B1 KR102098799B1 (en) 2020-04-08

Family

ID=7027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71A KR102098799B1 (en) 2018-09-28 2018-09-28 Braille s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7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7985A1 (en) * 2019-12-09 2021-06-17 ㈜오버플로우 Braille memo device
WO2021206311A1 (en) * 2020-04-10 2021-10-14 ㈜오버플로우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braille memo device u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85B1 (en) * 2016-05-02 2017-04-11 서인식 Display module for visually impaired
KR20170119941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오파테크 Smart braille learning device and braille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60470B1 (en) 2015-11-18 2018-05-23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Brail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70B1 (en) 2015-11-18 2018-05-23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Braille terminal
KR20170119941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오파테크 Smart braille learning device and braille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25185B1 (en) * 2016-05-02 2017-04-11 서인식 Display module for visually impair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7985A1 (en) * 2019-12-09 2021-06-17 ㈜오버플로우 Braille memo device
WO2021206311A1 (en) * 2020-04-10 2021-10-14 ㈜오버플로우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braille memo device user
KR20210126332A (en) * 2020-04-10 2021-10-20 (주)오버플로우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for user of braille s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799B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799B1 (en) Braille slate
RU2126555C1 (en)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panel which holds unit and is designed for unit for communi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US7819433B2 (en) Letter guide sheet
KR20210158371A (en) Braille slate
KR20170035036A (en) Sliding type korean characters teaching aids
KR100599210B1 (en)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JPH06503655A (en) manual braille typewriter
US20130183641A1 (en) Braille reading-writing device
CN2806685Y (en) Intelligent mechanical cipher lock cylinder
KR200331839Y1 (en) The hangul teaching tool with puzzle model
KR200336712Y1 (en) Studing instrument for child
KR102669243B1 (en) Braille unit device for matching writing direction with reading direction of braille and braill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384676B2 (en) Keyboard device and keyboard cover
KR200367206Y1 (en) Studing instrument for child
KR10101774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200474241Y1 (en) White board for children having learning function
TW201028298A (en) Braille device
KR10113692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JP2005212275A (en) Teaching material for practicing how to write character or figure, and teaching material set for practicing how to write
JP3139778U (en) Finger health tool for brain training
US20080193909A1 (en) Magnetic drawing apparatus
KR20090083249A (en) A safty abacus
JPH0152768B2 (en)
CN202186183U (en) Chinese character-western letter writing aid board for junior-school-age crowds with vision disorder
Calbry-Muzyka Technical development of an electromechanical braille labe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