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24B1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24B1
KR101136924B1 KR1020100057172A KR20100057172A KR101136924B1 KR 101136924 B1 KR101136924 B1 KR 101136924B1 KR 1020100057172 A KR1020100057172 A KR 1020100057172A KR 20100057172 A KR20100057172 A KR 20100057172A KR 101136924 B1 KR101136924 B1 KR 101136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button
vowel
detected
consonan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7128A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김연수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riority to KR102010005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24B1/en
Publication of KR2011013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밀려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sonant button of any one of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ed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one vowel selected from the vowel groups set differently for each push direction is selected A step of sequentially selecting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jungles;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 syllables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음버튼에 대해 밀기 방식으로 모음을 선택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and has a feature of selecting a vowel in a push manner with respect to a consonant button.

모바일이나 PDA, PC 등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할 경우, 통상적으로 컴퓨터의 키보드나 모바일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다. When inputting Hangul in a mobile, PDA, PC, etc., a user generally inputs through a computer keyboard or a mobile keypad.

모바일이나 PDA 등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할 경우 통상적으로 별도의 키패드를 사용하거나 터치식 모바일의 경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자모음 입력키를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하여 한글을 입력한다.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in a mobile or PDA, a separate keypad is normally used, or in the case of a touch mobile, the Hangul input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is touched with a finger or a stylus pen to input Hangul.

예컨대, PC의 키보드를 통해 입력할 경우, 키보드의 왼편에 자음을, 오른편에 모음을 배치시켜, 왼손으로 자음을 입력하게 하고 오른손으로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취한다. 모바일이나 PDA의 경우, 모바일 키패드의 한쪽에 모음 버튼을 배치시키고 다른 쪽에 자음버튼을 배치시켜 단어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For example, when inputting through a PC keyboard, a consonant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and a vowel is placed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consonant is input by the left hand and the vowel is input by the right hand. In the case of a mobile or PDA, a vowel button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mobile keypad and a consonant button is placed on the other side to enable word entry.

PC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보드로 양손 모든 손가락으로 사용하여 손쉽게 단어 입력 가능하지만, 모바일이나 PDA의 경우는 양손 엄지나 검지만으로 일일이 키패드의 한정된 자판을 찾아 입력하거나, 터치스크린의 경우도 한 손가락이나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쥐고 소형 사이즈의 한정된 자판을 통해 한글 자모음을 각각 별도로 선택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즉,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선택하여 음절을 만들어가면서 단어를 입력해야 하므로, 입력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그 어려움이 한층 가중된다. 특히,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의 위치를 정확하게 암기하지 못하는 사용자는 문자입력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PC, a separate keyboard can be used to input words using both hands.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or a PDA, only a two-finger thumb or black can be used to find and enter a limited keyboard on a keypad. It is inconvenient to hold the stylus pen and input the Hangul consonants separately through the limited size keyboard. In other words,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to select the consonants to create a word while making a word, not only takes a lot of input time but also the difficulty is further increased. In particular, a user who does not correctly memorize the positions of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very long time for text inpu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음버튼 조작만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음절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input a syllable consisting of consonants and vowels only by consonant button operation, the object to provide a text input method that is configured to enter a more convenient and fast character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밀려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sonant button of any one of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ed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one vowel selected from the vowel groups set differently for each push direction is selected Becoming;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 syllables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또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모음획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추가되어 선택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vowel, the vowel set differently for each direction of the vowel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onsonant of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stroke is sequentially add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shes.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밀려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은 밀림 방향이 선택된 이후 밀림이 정지된 시점부터 밀림이 해제되는 시간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when one of the consonant button pressing of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ed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onsonant of the consonant button, selecting one of the vowel groups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jungle, and sequentially selecting one of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ccording to the time for which the jungle is maintained;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 syllables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Here, the time that the jungle is maintained is characterized in that from the time the jungle is stopped after the jungle direction is selected from the time the jungle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려진 방향대로 자판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when one of the consonant button pressing of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Displaying a keyboard moving in the pushed direction when a push in the up, down, left, right, left, top, left, bottom and right directions is detect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consonant button, if a jungle movement in the up, down, left, right, top, right, left, bottom and right directions is selected,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for each jungle direction;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 syllables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에 따라 상기 자음버튼이 이동하여 표시되는 단계; 상기 자음 버튼 밀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및상기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oving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butt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push when one of the consonant button of the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are detected; Selecting different vowels in response to the consonant button sliding; An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selected vowel are combined and displayed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또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된다.The selecting of the vowels may include selecting one vowel group among different vowel groups set by the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and sequentially selecting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s. do.

또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된다.The selecting of the vowel may include selecting one vowel group among different vowel groups that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and sequentially selecting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Configured to be selected.

또한, 상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자음버튼 이외에 모음획 추가버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의 눌림 또는 밀림이 있으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 음절의 모음에 모음획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urther comprises a collection bar addition button in addition to the consonant button, and if there is a push or push of the collection bar addition butt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ding a collection stroke to the collection of syllables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do.

또한, 상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리면 'ㅗ,ㅛ'를 포함하는 제1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리면 'ㅜ, ㅠ'를 포함하는 제2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리면 'ㅓ, ㅕ'를 포함하는 제3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리면'ㅏ, ㅑ'를 포함하는 제4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may include selecting one of the first vowel groups including 'ㅗ, ㅛ'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and including 'TT, ㅠ'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downward. When one vowel of the second vowel group is selected, and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to the left, one vowel is selected from the third vowel group including 'ㅓ, ㅕ', an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to the right, 'ㅏ, ㅑ The vowels of the fourth vowel group containing 'are selected.

또한, 상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은,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상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밀림방향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 상의 이동궤적을 통해 감지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the touch screen,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the contact mean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n one push direction in a position on the touch pad is fixed The touch means is detect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pad, or the contact mean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s sensed through the movement trajectory on the touch pad.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된 영어 버튼이 어느 일측으로의 밀림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영어 버튼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에 따라 상기 영어 버튼이 이동하여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버튼 밀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알파벳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glish button is assigned to two or more different alphabets, when the jungle of any one side is detected, if the English button jungle is detected by moving the English butt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jungle; And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ush, different alphabets being selected and displayed on a word input window.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모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when one of the consonant button pressing of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If the vowel of the vowel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vowel group for each plunging direction is detected, the vowel button being moved in the pushing direction and displayed; And one vowel selected from the vowel groups differently set by the direction of the jungle, and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jungles, and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s one syllable in the word input window. It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또한, 본 발명은 밀림 방향별로 다른 자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의 방향에 대응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자음그룹 중 하나의 자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그룹에 포함되는 자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모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vement of the consonant button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the consonant button is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consonant group by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consonant button is displayed in the direction of the pushing;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jungle of the detected consonant button, Selecting one consonant among consonant groups differently set for each direction, and sequentially displaying consonants included in the consonant group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shes and displaying the consonants in the word input window; If the vowel of the vowel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vowel group for each plunging direction is detected, the vowel button being moved in the pushing direction and displayed; And when a jungle of a vowel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vowel group by the direction of the jungle is detected, one of the vowel groups differently set by the direction of the jungle is selected, and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jungles. And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nd displayed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또한, 상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이 최초 이동 방향으로 몇 회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contact means is kept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and reciprocating in one direction, the contact means in 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It detects how many times it has moved and recognizes it as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

또한, 상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이동과, 분리되는 이격이 반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의 이동횟수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consonant button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and the contact means may include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contact means when the movement on the touch pad is repeated and a separated separation is repeated. Recognize it as the number of pushes of the button.

또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만이 감지된다.In addition,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and when the push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extends to a neighboring second consonant button, the push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not detected and the first consonant button Only jungles are detected.

또한, 상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경우, 상기 제2 자음버튼의 자음은 상기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text input method,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and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extends to a neighboring second consonant button, and the push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terminated. In this case, the consonant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as a support letter of a syllable combined wi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또한, 상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중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을 지나 제3 자음버튼까지 연장되고, 제3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의 눌림 및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3 자음버튼의 자음은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text input method,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and the push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extends through the one or more second consonant buttons in the middle to the third consonant button, When the push of the three consonant buttons is terminated, the press and push of the one or more second consonant buttons are not detected and the consonants of the third consonant buttons are detected as the letters of the syllables in which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s are combined. do.

또한, 상기 자음버튼이 밀려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 상기 자음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정도는 밀림 횟수 또는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In addition, in the step in which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ed direction, the degree to which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of the push or the time for which the push is maintained.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자음버튼 조작만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음절을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you input a syllable consisting of consonants and vowels by operating the consonant button but also minimizes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본 발명에 의해서, 자음버튼을 조작할 때에, 자음버튼이 어떤 방향으로 조작되는지 바로 사용자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타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판 위에서 손가락을 드래그한다는 생각보다 자판을 직접 민다는 생각을 갖고 입력을 하기 때문에, 보다 자판 입력에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operated, the user can immediately confirm in which direction the consonant button is operated, so that a typographical erro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user inputs with the idea of pushing the keyboard directly rather than thinking of dragging a finger on the keyboard, the user may be more interested in the keyboard inpu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여덟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키패드 배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실시예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 및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자음 및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 조작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keypad arrangement configured to use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yllable input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operated in four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syllables input when the consonant buttons are operated in e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keypad arrangement show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syllables input when the consonant buttons are operated in four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third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keypad arrangement configured to use a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vowel selected when the vowel button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usage stat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nsonant butt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usage state diagrams showing consonants and vowels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button operations for entering alphabet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keypad arrangement configured to use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 consonant butt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yllables input when operated in four directions.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버튼은 없고 자음버튼만이 있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즉,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음절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S11), 해당 자음이 선택된다(S12). 이때, 선택된 자음은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는 즉시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자음버튼의 눌림이 해제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이후 설명할 '모음 선택(S15) 단계'이후 선택된 모음과 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at is, a syllable that combines consonants and vowels using a keypad having no vowel buttons, as shown in FIG. As illustrated in FIG. 1, when one of the two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the consonant is selected (S11). In this case, the selected consonants may be displayed in the text input window as soon as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or display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released. It can be displayed in syllables.

이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S13),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자음버튼 밀림 방향으로 해당 자판이 움직이고,자판이 움직인 방향에 대응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된다(S14). 즉, 상기 자음버튼은 상향으로 밀리는 경우 'ㅗ, ㅛ, ㅚ, ㅘ, ㅙ'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측으로 밀리는 경우 'ㅏ, ㅑ, ㅐ, ㅒ, ㅢ'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자음버튼이 하측으로 밀리는 경우 'ㅜ, ㅠ, ㅟ, ㅝ, ㅞ, ㅡ'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측으로 밀리는 경우 'ㅓ, ㅕ, ㅔ, ㅖ, ㅣ'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된다. 이때, 상기 자음버튼이 밀림에 따라 선택되는 모음은 상기 자음버튼이 밀리는 횟수에 따라 교번으로 선택된다(S15).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ush is detect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S13), and when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the corresponding keyboard moves in the push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an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keyboard moves, the push direction One vowel from among vowel groups set differently is selected (S14). That is,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one of the vowel groups including '모음, ㅛ, ㅚ, ㅘ, ㅙ' is selected, an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to the right, 'ㅏ, ㅑ, ㅐ, ㅒ One of the vowel groups including ',' is selected, and if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downward, one of the vowel groups including 'TT, ㅠ, ㅟ, ㅝ, ㅞ, ㅡ' is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to the left, one vowel is selected from the vowel groups including 'ㅓ, ㅕ, ㅔ, ㅖ, ㅣ'. At this time, the vowel selected as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altern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 (S15).

이와 같이 자음버튼의 누름과 밀림에 의해 자음과 모음이 각각 선택되면,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서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S16).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음버튼이 눌러진 후 상측으로 1회 밀리면, 'ㄴ'자음과 'ㅗ'모음이 결합되어 '노'라는 음절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며, 'ㄴ'자음버튼이 눌러진 후 좌측으로 3회 밀리면, 'ㄴ'자음과 'ㅔ'모음이 결합되어 '네'라는 음절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When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by pressing and pushing the consonant buttons,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nd displayed as one syllable in the text input window (S16).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b'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once, the 'b' consonant and the 'ㅗ' vowel are combined to display a syllable of 'no' in the text input window. If the 'b'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to the left, the 'b' consonant and the 'ㅔ' vowel are combined to display a 'Yes' syllable in the text input window.

또한, 자음버튼의 밀림을 감지하는 단계(S13)에서 자음버튼의 밀림이 일정시간 이내에 감지되지 아니하거나 또 다른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자음만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문자입력이 종료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S13 of detecting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if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the press of another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the character input is displayed in the text input window with only the consonant. It ends.

이와 같이, 자음버튼의 밀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모음버튼을 별도고 구비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음 버튼이 밀리는 방향으로 해당되는 자판이 움직이도록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방향으로 자판을 밀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에러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자판이 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정도를 일괄적으로 정할 수도 있으며, 밀림이 일어나는 시간에 비례하여 다르게 표시하거나, 밀림이 일어나는 횟수에 비례하여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when characters are input by using the consonants of the consonant buttons, the characters can be efficiently input without having the vowel buttons separately. In addi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is displayed to move, the user can easily know in which direction the user is pushing the keyboard, thereby reducing the error and efficiently displaying the characters. You can enter Here,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keyboard may be determined collectively, and may be collectively determined, and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in proportion to the time when the jungle occurs or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jungle occur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음버튼만을 조작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이 매우 용이해지고, 보다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키패드에 모음버튼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키패드 구성을 자음 버튼 위주로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characters can be input by operating only the consonant button without separately using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so that the character input becomes very easy and the character can be input more quick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 addition, when us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vowel button on the keypad has the advantage that the keypad configuration can be more freely around the consonant butt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여덟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서는 자음버튼이 상, 하, 좌, 우 네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도4에서와 같이, 자음버튼이 상, 하, 좌, 우 뿐만 아니라 각 대각선 방향(좌상향, 우상향, 좌하향, 우하향)으로 밀림으로써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4 is a state diagram showing syllables input when the consonant buttons are operated in e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by pushing the consonant buttons up, down, left, and right in four directions. As shown in FIG. 4, the consonant buttons are not only up, down, left, and right, but also diagonally. Different vowels may be selected by pushing in a direction (left upward, right upward, left downward, right downward).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리면 'ㅗ,ㅛ'를 포함하는 제1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리면 'ㅜ, ㅠ'를 포함하는 제2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리면 'ㅓ, ㅕ, ㅔ, ㅖ'를 포함하는 제3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리면'ㅏ, ㅑ, ㅐ, ㅒ'를 포함하는 제4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자음버튼이 우상향으로 밀리면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ㅗ'와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ㅏ, ㅐ'가 각각 결합된'ㅘ, ㅙ'를 포함한 제5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하향으로 밀리면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ㅜ'와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ㅓ, ㅔ'가 각각 결합된 'ㅝ, ㅞ'를 포함한 제6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one vowel is selected from the first vowel group including 'ㅗ, ㅛ', an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downward, it includes 'TT, ㅠ'. When one of the second vowel groups is selected and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to the left, one of the third vowel groups including ',', ',', 'is selected, and the consonant button is directed to the right. When pressed, one of the fourth vowel groups including 'ㅏ, ㅑ, ㅐ, ㅒ' is selected, an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the 'ㅗ' and the consonant button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are turned to the right. When one of the fifth vowel groups including 'ㅘ and ㅙ' combined with 'ㅏ and ㅐ' selected when being pushed is selected, and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downward, the 'vowel'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downward TT 'and the consonant are pushed to the left One vowel may be selected from the sixth vowel group including 'ㅝ and ㅞ' in which the selected 'ㅓ, ㅔ' is combined.

이때, 상기 언급된 이외의 모음 즉, 'ㅚ, ㅡ, ㅣ, ㅢ, ㅟ'은 자음버튼이 좌상향이나 우하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도록 배열되거나, 상기 제1 모음그룹 내지 제5 모음그룹에 적절하게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owel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ie, 'ㅚ, ㅡ, ㅣ, ㅢ, ㅟ' are arranged to be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or downward or suitably for the first to fifth vowel groups. May be included.

상기 자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 4개의 방향으로만 한정되는 경우에는, 'ㅙ, ㅢ, ㅣ'모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음버튼을 5회에 걸쳐 밀어야하고, 'ㅡ'모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음버튼을 6회에 걸쳐 밀어야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음방향이 8개의 방향을 밀리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을 최대 4회에 걸쳐 미는 조작만으로 모든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8개 각 방향으로 3개의 모음을 각각 배열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을 최대 3회에 걸쳐 미는 조작만으로 모든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is limited to only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3,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five times to select the 'ㅙ, ㅢ, ㅣ' vowels. You have to push the consonant button six times to select the 'ㅡ' vowel. However,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sonant directions are configured to push eight directions, all the vowels can be selected by only pushing the consonant button up to four times. Furthermore, when arranging three vowels in each of eight directions, all vowels can be selected by only pushing the consonant button up to three time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키패드 배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keypad arrangement show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의 <a>에는 'ㅂ' 자판을 상향으로 밀어서 '보'를 입력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ㅂ' 자판을 상향으로 밀어서 'ㅗ'가 입력되도록 할 때에 'ㅂ' 자판이 위로 올려진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ㅂ' 자판을 위로 밀어올리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In FIG. 5A, the 'ㅂ' keyboard is pushed upward to input 'BO'. When the 'ㅂ' keyboard is pushed upward to input 'ㅗ', the 'ㅂ' keyboard is displayed in a rais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he is currently pushing the 'ㅂ' keyboard up.

도5의 <b>에는 'ㄱ' 자판을 우측으로 밀어서 '가'를 표시하고, 계속해서 'o' 자판까지 밀어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강'을 입력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ㄱ' 자판이 우측으로 밀려지는 것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가' 문자를 제대로 입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을 입력하기 위해 'o' 까지 자판을 밀때, 밀기가 'o'에서 종료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있는 자판인 'ㄴ', 'ㅅ' 자판은 입력되지 않는다. In FIG. 5B, the 'a' keyboard is pushed to the right to display 'ga', and the 'o' keyboard is pushed to the right to finally input the desired 'river'. In this case, since the 'a' keyboard is displayed to be pushed to the right, the user can know that he or she is inputting the 'a' character correctly. In addition, when pushing the keyboard to 'o' to input the 'river', the push is terminated at 'o', so the keyboards 'b' and 'ㅅ' are not entered.

도5의 <c>에는 '돼' 라는 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ㄷ' 자판을 위로 밀어 우선 '도'를 입력하고, 다시 우측으로 자판을 밀어서 결국 우상향으로 밀려지면, 'ㅐ'가 입력되어, 최종적으로 '돼'가 입력된다(도4 참조). 이 경우에도, 'ㄷ' 자판이 위로 밀려올라간 것 처럼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도'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돼' 입력을 위해 'ㄷ' 자판을 우상향으로 미는 것까지 자판이 밀려 올려지도록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돼'를 입력하는 경우에 'ㄷ' 자판이 위로 밀려 올려지는 것까지 표시할 수도 있고, 위로 올려지는 것 및 다시 우상향으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모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FIG. 5, it is illustrated that a letter 'pi' is input. To do this, push the 'c' keyboard up and enter 'do' first, then push the keyboard to the right again and eventually push upwards, 'ㅐ' is input, and finally 'ha' is input (see Fig. 4). . Even in this case, since the 'c' keyboard is displayed to be pushed up, the user can easily know that he or she is entering the 'degree' correctly. Also, in this case, the keyboard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keyboard is pushed up until the 'c' keyboard is pushed upward for input. That is, when inputting 'h', the 'c' keyboard may be displayed up to be pushed up, o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both being pushed up and pushed upward again.

도5의 <d>에는 별로의 모음 자판을 구비하여, '기' 라는 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ㄱ' 를 먼저 입력하고, 모음 자판을 아래로 밀어서 '기'를 입력하게 되는데, 모음 자판이 아래로 밀려지도록 표시됨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기' 라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In FIG. 5, there is shown a vowel keyboard with a star, and the letter 'ki' is input. In this case, you enter 'ㄱ' first, and then push down the vowel keyboard to enter 'ki'. The vowel keyboard is displayed to be pushed dow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nter the letter 'ki'. Able to know.

밀기(드래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경우 특정방향으로 자판을 드래그할 경우 실질적으로는 터치스크린 자판 위에 궤적을 그리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정확한 방향(예를 들어 4방향중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했는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출력창에 나타난 자모음 결합 음절을 보고 차후적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빠르게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하고 있는지 매순간 정확하게 알기가 어렵다.When you input text by pushing (drag) method, when you drag the keyboard in a specific direction, you are actually drawing the trajectory on the touch screen keyboar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check whether the user drags in the correct direction (for example, in 4 directions). I can't figure it out, but I can't help but see it after seeing the consonant syllables in the output window. Therefore, when entering letters quickly,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know exactly how every moment he or she is entering letters correctly.

그러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방향으로 드래그시 해당 자판이 그 방향으로 움직이면, 사용자는 드래그 즉시 제대로 궤적을 그렸는지 파악이 용이하여 오타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5, when the corresponding keyboard moves in the direction when dragging in a specific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grasp whether or not the trajectory is properly drawn immediately,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a typo.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기본 4방향(상하좌우)으로 자판을 밀때에, 상은 'ㅗ' 하는 'ㅜ' 좌는'ㅓ', 우는 'ㅏ'방향으로 자판이 움직여 옆에 있는 자판과 접하게 되어 방향 입력을 그 즉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자판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다른 자판으로 이동시(즉 종성 선택) 자판을 떼는 순간까지는 계속 처음 자판이 옆 자판과 접한 상태로 있어 현재 입력 진행 상태임을 쉽게 알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when pushing the keyboard in the basic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the keyboard moves in the direction of 'ㅗ', '상' which is 'ㅗ', and '우' which is right. You can check immediately. In addition, when the keyboard is dragged in a specific direction to move to another keyboard (ie, the final selection), the first keyboard is in contact with the next keyboard until it is released.

만약 '아'를 입력하기 위해 'ㅇ' 자판을 우측으로 움직였는데, 터치되는 부분의 궤적이 잘못되어 상향으로 자판이 이동되어 표시될 경우, 자판을 떼면 '우'가 그래도 입력되겠지만, 자판을 떼지 않고, 계속해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자판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표시되고, '아'로 수정되어 입력된다. If you move the 'ㅇ' keyboard to the right to input 'ah', and the track of the touched area is wrong and the keyboard moves upward, it will be displayed when you release the keyboard. If you continue to move to the right, the keyboard will move to the right and displayed.

'돼'를 입력할 경우 ㄷ + ㅗ + ㅏ + ㅣ 결합시 일련의 자판 궤적에 있어서 순차적인 자판 이동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입력 가능하므로 특히 특정 자판 내에서 연속적인 궤적시 오타 발생이 현저히 감소한다. 즉, 사용자가 'ㄷ'를 'ㄷ' 자판을 이용하여 먼저 입력하고, 상향으로 자판을 민다음 이어서 우측으로 밀때 'ㄷ' 자판이 우측으로 이동하였다가 우상향 방향으로 이동되면, 사용자는 쉽게 '돼'가 정확하게 입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case of inputting 'Ho',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result of sequential keyboard movement in the sequence of keyboard trajectory when combining ㄷ + ㅗ + ㅏ + ㅣ In particular, in case of continuous trajectory within a specific keyboard, the occurrence of typos is significantly reduced. .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enters the 'c' using the 'c' keyboard first, pushes the keyboard upward, and then pushes the right side, the 'c' keyboard moves to the right and moves upwards, You can see that 'is entered correctly.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판을 밀어서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미는 방향으로 자판이 이동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판 위에서 손가락을 드래그한다는 생각보다 자판을 직접 민다는 생각을 가지고 문자입력이 가능하므로 보다 흥미롭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As we have seen, when the user pushes the keyboard and inputs, the keyboard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direction that the user pushes, so that the character input is made with the idea that the user pushes the keyboard directly rather than the user dragging a finger on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enter characters more interestingly.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2 실시예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에 따라 선택된 모음그룹 중 모음이 하나씩 선택되는 조건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가 아니라 자음버튼의 밀림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6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syllables input when the consonant buttons are operated in four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In addition,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ition that the vowels are selected one by one among the selected vowel groups according to the push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s is not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s but the push time of the consonant buttons as shown in FIG. Can be set.

즉,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S21) 해당 자음이 문자입력창에 선택되고(S22),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S23),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는 경우 밀리는 방향으로 자음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고,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된다(S24).That is,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when any one of the consonant button pressing of two or mor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S21)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are selected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 S22), by determining whether the push is detect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S23), if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ing direction, and different collections according to the push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The group is selected (S24).

이때,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고(S25),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음절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S26). At this time,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time for which the consonant button is maintained (S25), and the syllables formed by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layed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S26).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음버튼을 상향으로 미는 시점에는 'ㅗ'모음이 선택되어 '노'라는 음절이 단어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고, 'ㄴ'자음버튼의 밀림이 0.5초 이상 유지되면 'ㅛ'모음이 선택되어 '뇨'라는 음절이 단어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며, 'ㄴ'자음버튼의 밀림이 1.0초 이상 유지되면 'ㅚ'모음이 선택되어 '뇌'라는 음절이 단어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음버튼의 밀림이 유지될 때 0.5초 주기로 선택모음이 변경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자음버튼의 밀림 유지 시 선택모음이 변경되는 주기는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when the 'b'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the 'ㅗ' vowel is selected, and a syllable of 'no' is displayed on the word input window, and the 'b' consonant button is pushed for 0.5 second. If longer than '' collection is selected and 'urine' syllables are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if the 'b' consonant jungle for more than 1.0 seconds, the 'ㅚ' collection is selected and the word 'brain' syllable It is displayed in the input window.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in which the selection vowel is changed every 0.5 seconds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maintained in the jungle, but the period in which the selection vowel is chang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kept in the jungl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Can be.

또한, 상기와 같이 자음버튼의 밀림 유지시간에 따라 선택모음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방향은 도 4에 도시된 경우처럼 8개의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election ba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olding time of the consonant button as described above,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may be set in e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 4.

또한, 여기서도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인 자판이 밀리는 방향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자음버튼을 어떤 방향으로 밀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따라서, 자음버튼의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선택된 원하는 모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keyboard, which is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in the push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know in which direction the user pushes the consonant button. Thus, the desired vowel select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is maintained. Can be easily entered.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third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 keypad arrangement configured to use a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a vowel selected when the vowel button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에 의해 모음이 선택되었을 때 밀림이 이루어진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즉, 자음버튼의 눌림을 감지하는 단계 없이 자음버튼의 밀림을 감지하는 단계만으로 음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밀리는 방향으로 자판이 이동되어 표시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coupled with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is made when the vowel is selected by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button, that is, without the step of detecting the pressing of the consonant button of the consonant button The syllable may be configured by only detecting the syllable. Also in this case, the keyboard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ing direction.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밀림이 감지되면(S31),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이 선택되고(S32),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된 후(S33), 상기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S34)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when one of the two consonant buttons of the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S31), different by the direction of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After the set vowel group is selected (S32),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s (S33),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selected vowel are combined and one The syllable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S34).

이때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나 밀림시간에 따라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하나의 모음만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electing of the vowe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button. In addition, the selection vowel may 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shes or the push time of the consonant button when the vowel of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but only one vowel may be selected for each push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을 미는 방식으로 모음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별도의 모음획 추가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모음에 모음획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add a collection stroke to the selected collection by operating a separate collection stroke addition button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selecting the collection by pushing the consonant button.

이때,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밀릴 때 선택 모음의 상측에 모음획을 추가하고, 우향으로 밀릴 때 세로방향의 모음획을 추가하고, 하향으로 밀릴 때 선택 모음의 하측에 모음획을 추가하고, 좌향으로 밀릴 때 가로방향의 모음획을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모음획 추가버튼은 미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the add collection button adds a collection stroke to an upper side of the selection collection when pushed upward, adds a collection coll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pushed rightward and selects the selection collection when pushed downward. It may be configured to add a collection stroke at the bottom of the and to add a collection stro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pushed to the left. Also in this case, the collection stroke adding button is displayed in a direction moving in advance.

이와 같이 모음획 추가버튼이 구성되는 경우, 'ㄴ'자음버튼을 밀어 'ㅏ'모음을 선택하여 '나'를 단어 입력창에 입력한 이후,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을 오른쪽으로 밀어 'ㅏ'에 세로획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단어 입력창에 '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이 밀리는 방향에 따라 추가되는 모음획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collection bar butt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ush the 'b' consonant button to select the 'ㅏ' vowel and enter 'I' into the word input box, and then push the collection bar button to the right to 'ㅏ'. By adding a vertical stroke, 'my' may be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Of course, the collection arrangement arrangement to be add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lection collection button is pushed may be variously changed.

또한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은, 눌림 횟수에 따라 상측 모음획, 세로방향 모음획, 하측 모음획, 가로방향 모음획이 순차적으로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음획 추가버튼을 1회 내지 4회 누름에 따라 상측 모음획, 세로방향 모음획, 하측 모음획, 가로방향 모음획이 추가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ㄴ'자음버튼을 밀어 '나'를 단어 입력창에 입력한 이후,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을 2회 눌러 세로방향 모음획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단어 입력창에 '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ection bar addition button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add the upper collection stroke, the vertical collection stroke, the lower collection stroke, the horizontal collection strok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For example, if the upper collection stroke, the vertical collection stroke, the lower collection stroke, and the horizontal collection stroke are configured to be added by pressing the add collection stroke button once or four times, push the 'b' consonant button to After inputting into the word input window, by pressing the add vowel stroke button twice to add a vertical vowel stroke to 'my' can be displayed on the word input window.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11 and 12 are usage stat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nsonant butt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자음버튼은,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 등 다양한 하드웨어 구조로서 구현할 수 있는데,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The consonant button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hardware structures such as a keypad or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키패드로 자음 버튼을 구현할 경우, 키패드 내의 각 자음 버튼이 누름 감지뿐만 아니라 밀림 감지도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를 가져야 한다. 즉, 하나의 자음 버튼마다 누름 버튼 구조를 기본적으로 하되,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의 측면 밀림이 가능하며 버튼의 대향 측변 접촉을 통해 밀림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누름 및 밀림 감지의 버튼 구조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10-0829660호의 "전자제품용 버튼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제품용 버튼 구조"의 등록 특허에서의 버튼을 본 발명에서의 각각의 하나의 자음 버튼별로 구현함으로써, 각 자음 버튼에서 눌림 및 밀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When a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by a keypad, each consonant button in the keypad must have a hardware structure that can detect not only a push but also a push. That is, the push button structure of each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should be basically, but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can be pushed, and the side of the button should be able to detect the push through the opposite side contact. The button structure of the push and push detection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button structure for electronic products" of the Korean Patent No. 10-0829660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at is, by implementing the button in the registered patent of the "button structure for electronic products" for each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ressing and push in each consonant button.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자음 버튼을 구현할 경우에는, 터치패드에 구현되는 각 자음 버튼마다 촉각센서(tactile sensor)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한다. 상기 촉각센서는 하나의 센서로 상측,하측,좌측,우측,눌림이라는 5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촉각센서를 터치패드 상의 각 자음 버튼에 구비하여, 터치패드 상의 각 자음 버튼에 닿는 사람 손가락의 밀림을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using the touch pad of the touch screen, a tactile sensor method is applied to each consonant button implemented in the touch pad. The tactile sensor may detect movement in five directions of up, down, left, right, and pressing with one sensor. Such a tactile sensor may be provided in each consonant button on the touch pad to detect the push of a human finger touching each consonant button on the touch pad.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이러한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개발이 완료되어 있으며,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눌러지는 힘 분포를 감지하여 밀림의 방향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the development of a touch screen using such a tactile sensor has been completed, and the direction of the jungle can be known by detecting a force distribution pressed by a human finger.

상기 자음버튼이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은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상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밀림방향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 상의 이동궤적을 통해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general touch screen,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is a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pad in one push direction by a contact means contacting the touch pad in a fixed position on the touch pad. The contact means detected by or touched by the touch pad may be configured to be sensed through a movement trajectory on the touch pad.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터치패드 형식의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 상에서 손가락을 이동하지 아니하고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a user operates a touch pad type consonant button with his or her finger, the user simply applies pressur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out moving the finger on the consonant button.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may be configured to be detected. .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패드 형식의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을 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 하, 좌, 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일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방법과,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자음버튼에서 떼어내는 조작을 반복하는 방법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when a user operates a touch pad type consonant button with a stylus pen,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upward, downward, left, and rearward while the stylus pen is in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 The jungle may be configured to be sensed. 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s with the stylus pen, the method of reciprocating the stylus pen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sonant buttons, and moving the stylus pen to one side and then removing it from the consonant button There is a way to repeat the operation.

이때,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시킨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상기 접촉수단이 최초 이동 방향으로 몇 회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향 이동 -> 하향 이동 -> 상향 이동 하는 경우, 해당 자음버튼은 최초의 상향 이동과 최후의 상향 이동에 따른 상향 밀림만이 2회 감지되고, 중간의 하향 이동은 하향 밀림으로 감지되지 아니한다.In this case, when using the method of reciprocating the stylus pen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t detects how many times the contact means has moved in the initial movement direction, and recognizes this as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 For example, when the stylus pen is moved upwards-> downwards-> upwards, the consonant button detects only two upward movements according to the first upward movement and the last upward movement, and the intermediate downward movement is It is not detected as a downward jungle.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이동과 이격을 반복하는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반복되는 이동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즉, 이격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접촉수단의 이동횟수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 반대로,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이격된 시간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반복되는 이동이 각각 별개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ㄴ'자음버튼을 우측으로 미는 2번의 동작이 기준치 이상의 시간차를 두어 이루어지는 경우, 'ㄴ'자음버튼을 1번씩 미는 문자입력이 각각 별개로 인식되는바, '냐'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나'문자가 2번 입력된다.
In addition, when the stylus uses a method of repeating movement and separation on the touch pad, when the repeated movement is rapidly performed, that is, when the time for maintaining the separation stat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contact means is determined. It is recognized as the number of times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Conversely, when the time that the stylus pen is spaced apart on the touch pa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repeated movements are separately recognized. For example, when two operations of pushing the 'b' consonant button to the right are made with a time difference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haracter input pushing the 'b' consonant button once is recognized separately. Rather, the letter 'I' is entered twice.

또한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더라도,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만이 감지된다. 이는,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해당 자음버튼을 벗어나도록 너무 멀리까지 이동시키는 경우 문자입력 오류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even if the push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extends to a neighboring second consonant button, the push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not detected and the Only jungle is detected. This is to prevent a character input error from occurring if the user accidentally moves the stylus pen too far away from the consonant butt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ㄴ'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향 이동시키다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ㅁ'자음버튼에 접촉되더라도, 'ㅁ'자음버튼과 연관된 문자는 입력되지 아니하게 된다.For example, even if the user moves the stylus down with the 'b' consonant button and the stylus pen contacts the 'ㅁ' consonant button, the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ㅁ' consonant button is not input. .

자음버튼 밀기 방식이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작게 제작되더라도 사용자는 문자입력 오류의 우려 없이 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consonant button pushing method is configured in this way, even if the consonant button is made sm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more conveniently without fear of character input error.

또한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자음은 상기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결합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when the push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extends to a neighboring second consonant button and the push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terminated, the consonant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and the vowel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is combined with the letters of the syllables combin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ㄴ'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향 이동하여 'ㅁ'자음버튼 위치에서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경우, 'ㄴ + ㅜ = 누'음절과 'ㅁ' 음절이 받침문자로 결합되어 '눔'이라는 음절이 입력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downward with the finger touching the 'b' consonant button and the consonant button is canceled at the position of the 'ㅁ' consonant button, the 'b + TT = no' syllable and the 'ㅁ' syllable This syllable is combined with the syllable 'Num'.

또한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중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을 지나 제3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제3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의 눌림 및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3 자음버튼의 눌림은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결합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the push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may extend through the at least one second consonant button in the middle to the third consonant button to terminate the push of the third consonant button. When the at least one second consonant button is pressed and pushed, the third consonant button is pressed, and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are combined with the consonant letter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ㄴ'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향 이동하여 'ㅁ'자음버튼을 지나 'ㅇ' 자음버튼 위치에서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경우, 'ㄴ + ㅜ = 누'음절과 'ㅇ' 음절이 받침문자로 결합되어 '눙'이라는 음절이 입력된다. 이 경우 중간에 경유된 'ㅁ'자음버튼은 감지되지 아니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downward with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b' consonant button and passes through the 'ㅁ' consonant button and the consonant button is canceled at the position of the 'ㅇ' consonant button, 'b + TT = The syllable of '눙' is inputted by combining syllable 'sy' syllable and 'ㅇ' syllable. In this case, the 'ㅁ' consonant button passing through is not detected.

자음버튼 밀기 방식이 이와 같이 구성되면 한 번의 조작으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에 받침문자까지 간단히 입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익숙한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consonant button pushing method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easily inputted to the syllables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so that a user who is familiar with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ter a character more quickly.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 전술한 다양한 키패드의 한 버튼이 일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밀려진 방향으로 버튼이 이동되어 보여질 수 있어야 한다. 터치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전자제품용 버튼 구조"를 이용하여 밀리는 방향으로 버튼이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키패드일 경우 키패드 자체가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키패드의 이동이 보여질 수 있도록 별도로 구현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button of the various keypads described above is pushed in one direction, the button should be moved and viewed in the pushed direction. When using a touchpad, it can be implemented in a display. In addition, by using the above-described "button structure for electronic products" may be implemented to move the button in the pushing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keypad can be implemented to move the keypad itself, it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so that the movement of the keypad can be seen on the display screen.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 및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자음 및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13 and 14 are usage state diagrams showing consonants and vowels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밀림 방향별로 다른 자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하나의 자음버튼으로 모든 자음을 선택할 수 있고,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하나의 모음버튼으로 모든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밀리는 방향으로 자음버튼 및 모음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된다.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consonants can be selected by one consonant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consonant group by the direction of the jungle, and all the collections are selected by one vowel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vowel group by the direction of the jungle. It may be configured to. In this case,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are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ing direction.

이때, 상기 자음버튼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 방향과 각 대각선 방향으로 밀렸을 때 서로 다른 자음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자음그룹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그룹에 포함되는 자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13, the consonant group is set to include a different consonant when pushed i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and each diagon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13, the consonant included in the consonant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ush These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nd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또한, 상기 모음버튼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 방향과 각 대각선 방향으로 밀렸을 때 서로 다른 모음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자음그룹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된 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4, the consonant group is set to include a different vowel when pushed in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d each diagon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14 is selected, the vowel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After these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nd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예를 들어, 자음버튼을 상향으로 2번 밀면 'ㅋ'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음버튼을 하향으로 2번 밀면 'ㅠ'가 선택된 후 상기 'ㅋ'과 결합되어 '큐'라는 음절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For example, if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two times, 'ㅋ' is selected and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In this state, if the user pushes the vowel button downward twice, 'ㅠ' is selected and then combined with the 'ㅋ' The syllable 'cue' is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이와 같은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하나의 자음버튼과 하나의 모음버튼으로 모든 종류의 음절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할 때와 같이 다수의 자음버튼 중 원하는 자음버튼을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Using this type of text input method, all syllables can be input with one consonant button and one vowel button.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find a desired consonant button among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as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keypa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ntered more easily and quickly.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 조작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Fig. 1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button operations for entering alphabet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할 수도 있다.The alphabet may be input us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알파벳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자음버튼은 영어입력 모드로의 전환 시 각각 다른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자음버튼에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되는 구성은 종래의 키패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order to enable the alphabet input, the consonant button is configured to be assigned two or more different alphabets each when switching to the English input mode. As suc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wo or more alphabets are assigned to one consonant button is similarly applied to a conventional keypa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알파벳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문자입력 모드를 영어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영어입력 모드로 문자입력 모드가 전환된 이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거나 상기 자음버튼의 어느 일측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리는 방향으로 자음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고, 눌림 및 밀림 방향에 따라 할당된 알파벳 중 서로 다른 알파벳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If you want to enter the alphabet, first switch the character input mode to the English input mode. After the letter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English input mode, if the pressing of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or if a push toward one side of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pushing direction and assigned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pushing direction. Different alphabets are selected from the selected alphabets and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음버튼에 A, B, C 알파벳이 할당될 경우,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A가 선택되고, 좌향으로 밀리면 B가 선택되며, 우향으로 밀리면 C가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자음버튼이 이와 같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알파벳을 선택하기 위해 자음버튼을 여러 번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 B, and C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b' consonant button, as shown in FIG. 15, A is selected when the pressing of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and B is selected when the button is pushed to the left. Can be set to be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does not need to press the consonant button several times to select a desired alphabet, and thus the alphabet can be input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A, B, C 중 가운데 알파벳인 B가 선택되게 하고 우향으로 밀리면 A가, 좌향으로 밀리면 B가 선택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알파벳의 사용 빈도수 및 사용상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Of course, in some cases,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ressed, the letter B of the letters A, B, and C may be selected, and if it is pushed to the right, A may be selected and if it is pushed to the left, B may be selected. Such a setting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lphabet and the convenience of use.

본 실시예에서도 영어입력 모드인 경우에도 사용자는 상기 자음버튼이 어느 일측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자판이 이동되어 표시기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쉽게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Even in the English input mod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in any one direction, the keyboard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alphabe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밀려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Implemented by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selec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when one of the two consonant buttons indica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If the consonant is detect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Moving to a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touch pad on the touch pad in a stopped state;
Selecting one vowel from among vowel groups differently set for each direction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onsonant button sliding;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m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모음획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추가되어 선택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selecting the vowel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onsonants of the consonant button, the vowels set differently for each direction of the jungle is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vowel strokes are sequentially add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jungle is selected.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밀려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Implemented by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selec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when one of the two consonant buttons indica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moving the consonant button in the pushed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stopped stat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onsonant of the consonant button, selecting one of the vowel groups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jungle, and sequentially selecting one of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ccording to the time for which the jungle is maintained;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m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은 밀림 방향이 선택된 이후 밀림이 정지된 시점부터 밀림이 해제되는 시간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ime for which the jungle is maintained is a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rom the time the jungle is stopped after the jungle direction is selected from the time the jungle is released.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려진 방향대로 버튼이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에 응답하여,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Implemented by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selec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when one of the two consonant buttons indica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If a push in the up, down, left, right, left, top, left, bottom and right directions is detected in the pressed state of the consonant button, moving the button in the pushed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stopped stat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consonant button, if a jungle movement in the up, down, left, right, top, right, left, bottom and right directions is selected,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for each jungle direction;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m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에 따라 상기 자음버튼이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자음 버튼 밀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Implemented by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and when one of the two consonant buttons represen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n a stopped stat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push;
Selecting different vowels in response to the consonant button sliding; And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selected vowel are combined and displayed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문자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selecting the vowel,
One vowel group among the vowel groups set differently for each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s is selected, and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문자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selecting the vowel,
One vowel group among the vowel groups set differently by the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is selected, and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jungle of the consonant button.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음버튼 이외에 모음획 추가버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의 눌림 또는 밀림이 있으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 음절의 모음에 모음획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a collection bar addition button in addition to the consonant button, and further comprising adding a collection bar to a collection of syllables displayed in a word input window when the collection bar addition button is pressed.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리면 'ㅗ,ㅛ'를 포함하는 제1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리면 'ㅜ, ㅠ'를 포함하는 제2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리면 'ㅓ, ㅕ'를 포함하는 제3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리면'ㅏ, ㅑ'를 포함하는 제4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f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upward, one vowel is selected from the first vowel group including 'ㅗ, ㅛ', and if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downward, one vowel from the second vowel group including 'TT, ㅠ' is selected. Is selected, and if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to the left, one of the third vowel groups including 'ㅓ, 그룹' is selected, and if the consonant button is pushed to the right, the fourth vowel group includes 'ㅏ, ㅑ'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one vowel is selected.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은,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상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밀림방향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 상의 이동궤적을 통해 감지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consonant button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the touch screen,
The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pad in one push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mean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s fixed, or the contact mean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s Character input method detected through the movement trajectory on the touch pad.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된 영어 버튼이 어느 일측으로의 밀림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영어 버튼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에 따라 상기 영어 버튼이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버튼 밀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알파벳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It is implemented as a touch pad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English button assigned to two or more different alphabets is detected to one side, when the English button is detected the English button is moved and stopp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lide Represented by; And
In response to the button press, different alphabets are selected and displayed on a word input window;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모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로 표시되는 단계; 및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Implemented by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select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when one of the two consonant buttons indicating different consonants is detected;
If the vowel of the vowel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vowel group for each of the sliding directions is detected, moving the vowel button in the pushing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stopped state; And
One vowel is selected among the vowel groups that are differently set by the direction of the jungle, and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jungles, and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nd displayed in the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step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밀림 방향별로 다른 자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자음버튼의 밀림의 방향에 대응하여,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자음그룹 중 하나의 자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그룹에 포함되는 자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상기 모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Implemented by a touch pad of a touch screen, and when a consonant of a consonant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consonant group for each of the sliding directions is detected, moving the consonant button in a pushing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stopped stat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irection of the consonant button, one consonant among consonant groups differently set for each direction is selected, and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consonant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shes and displayed on the word input window. Becoming;
If the vowel of the vowel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vowel group for each plunging direction is detected, the vowel button being moved in the pushing direction and displayed; And
When a jungle of a vowel button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vowel group by the direction of the jungle is detected, one of the vowel group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jungle is selected, and the vowels included in the vowel group are sequentially select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jungles.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m in a word input window as one syllabl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되는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이 최초 이동 방향으로 몇 회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6, 7, 7, 13, and 14,
When the contact mean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d is moved back and forth in one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with the touch pad,
And detecting how many times the contact means has moved in the initial moving direction, and recognizing this as the number of pushes of the consonant button.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이동과, 분리되는 이격이 반복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의 이동횟수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6, 7, 7, 13, and 14,
If the contact means repeats the movement on the touchpad and the separation separation is repeated,
Character input method for recognizing the number of movement of the contact means as the number of push of the consonant button.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중 하나인 상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만이 감지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6, 7, 13, and 14,
When the push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which is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is extended to the neighboring second consonant button, the push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not detected, and only the push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Way.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중 하나인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경우, 상기 제2 자음버튼의 자음은 상기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6, 7, 13, and 14,
When the push operation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which is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extends to a neighboring second consonant button, and the push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terminated, the consonant of the second consonant button is Character input method that is detected as a consonant of syllables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중 하나인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중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을 지나 제3 자음버튼까지 연장되고, 제3 자음버튼의 밀림이 해지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의 눌림 및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3 자음버튼의 자음은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되는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6, 7, 13, and 14,
One or more second consonants are pushed by the first consonant button, which is one of the consonant buttons, and extends through the at least one second consonant button in the middle to the third consonant button. The pressing and pushing of the button is not detected and the consonant of the third consonant button is detected as a consonant letters of the syllable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of the first consonant button.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이 밀려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
상기 자음버튼이 이동되어 표시되는 정도는 밀림 횟수 또는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6, 7, 13, and 14,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in the pushed direction,
The degree to which the consonant button is moved and displayed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jungle or the time the jungle is maintained.
KR1020100057172A 2010-06-16 2010-06-16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1369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172A KR101136924B1 (en) 2010-06-16 2010-06-16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172A KR101136924B1 (en) 2010-06-16 2010-06-16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28A KR20110137128A (en) 2011-12-22
KR101136924B1 true KR101136924B1 (en) 2012-04-20

Family

ID=4550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172A KR101136924B1 (en) 2010-06-16 2010-06-16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79A (en) 2020-01-15 2021-07-23 선영진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267A (en) * 2003-09-05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80010760A (en) * 2006-07-28 2008-01-31 오장훈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80034110A (en) * 2008-03-31 2008-04-18 박병진 Button extension type letter input system for touch screen
KR20100062739A (en) * 2008-12-02 2010-06-10 김연수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267A (en) * 2003-09-05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80010760A (en) * 2006-07-28 2008-01-31 오장훈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80034110A (en) * 2008-03-31 2008-04-18 박병진 Button extension type letter input system for touch screen
KR20100062739A (en) * 2008-12-02 2010-06-10 김연수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79A (en) 2020-01-15 2021-07-23 선영진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28A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4190B (en) Software keyboard entry method for implementing composite key on screen of electronic equipments
US20120306769A1 (en) Multi-touch text input
KR101039284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0599210B1 (en)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101063100B1 (en) Device for inputting data
KR10113692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01774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089397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325653B1 (en) Interface for inputting character
KR101744124B1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ual fuction of inputs and ouputs in character outputs area
JP4907296B2 (en) Input device
KR102332178B1 (en)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KR201200041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touch-screen
KR101624255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195625B1 (en) The method to input character in touch screen
KR101921586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Hangul
KR20100023548A (en)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101263013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483170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KR1012536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KR20130025306A (en) Device for inputting data
CN107085500A (en) A kind of touch keyboard
KR102307004B1 (en)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KR1011522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put window using touchscreen
KR201500662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on a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