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862A -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862A
KR20210125862A KR1020200043648A KR20200043648A KR20210125862A KR 20210125862 A KR20210125862 A KR 20210125862A KR 1020200043648 A KR1020200043648 A KR 1020200043648A KR 20200043648 A KR20200043648 A KR 20200043648A KR 20210125862 A KR20210125862 A KR 2021012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information
automa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수향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5862A/ko
Publication of KR2021012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60N2002/02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를 식별하는 복수의 사용자 인식부; 및 복수의 상기 사용자 인식부의 사용자 식별에 따라 식별 정확도를 판단하여 단계별 인증을 수행한 후 단계별 인증에 따른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확인하여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자동으로 설정을 변경하는 차량 자동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Personalized automatic setting system of vehicle through driver recognition}
본 발명은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 인식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차량 자동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한 차량 자동 설정 방법은 차량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량 내부로 접근하는 것을 인식한 후 인식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 서비스 항목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한 차량 자동 설정 방법은 차량 내부로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인식여부에 따라 차량 자동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의 인식을 실패하는 경우, 상기 차량 자동 설정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 인식 실패 시에도 스마트폰 정보와 더불어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차량의 설정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은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를 식별하는 복수의 사용자 인식부; 및 복수의 상기 사용자 인식부의 사용자 식별에 따라 식별 정확도를 판단하여 단계별 인증을 수행한 후 단계별 인증에 따른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확인한 후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자동으로 설정을 변경하는 차량 자동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 서비스 제공자가 소지중인 스마트 단말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촬영된 영상에서 운전자의 체형을 검출할 수 있도록 차량으로 근접하는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중 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상기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에 의해,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통해 운전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에 대응되는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 후,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되어 사용자를 인식하면,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로 판단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세부 설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지 못하여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되지 않아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면(NO),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다른 사용자 인식 수단인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획득한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제 3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의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설정 정보 자동 보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별도의 서버에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식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 인증 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원거리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버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은 상기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에 의해,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를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 후,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에 의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제 2 단계의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이 인식되면,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로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의 자동 사용자 맞춤 세부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되지 않아 사용자가 식별되지 못하면(NO),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다른 사용자 인식 수단인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획득한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제 3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설정 정보 자동 보정부에 의해, 상기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의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별도의 서버에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식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 인증 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에 맞게 조정한다.
상기 서버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센싱부에 의해, 뒷 좌석의 동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뒷좌석의 착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을 복수의 과정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하위 단계인 스마트폰 인식에 실패하더라도 다른 사용자 인식 수단인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화 정보에 맞게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화 정보가 잘못 설정된 경우, 운전 습관 정보를 통해 개인화 정보를 보정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인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은 저장부(100), 복수개의 사용자 인식부(200) 및 차량 자동 설정부(300)를 포함한다.
저장부(100)는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는 사용자 ID, 홍체 정보, 지문 정보, 안면 인식 정보, 폰 정보, 폰 일련번호, 폰 블루투스 주소, 차량 설정 정보 및 운전 습관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식부(200)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로 복수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인식부(200)는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210),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220), 근거리 통신부(230) 및 영상 획득부(240)를 포함한다.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210)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한다.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22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220)는 지문, 홍체, 안면 인식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30)은 서비스 제공자가 소지중인 스마트 단말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240)는 촬영된 영상에서 운전자의 체형을 검출할 수 있도록 차량으로 근접하는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복수의 상기 사용자 인식부(200)의 사용자 식별에 따라 식별 정확도를 판단하여 단계별 인증을 수행한 후 단계별 인증에 따른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100)로부터 확인한 후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자동으로 설정을 변경하는 차량 자동 설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는, 전동시트(410), 전동 사이드 미러(420), 전동 룸 미러(430) 및 HUD(440)를 포함한다.
전동시트(410)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한다.
전동 사이드 미러(420)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반사경의 위치를 조절한다.
전동 룸 미러(430)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반사경의 위치를 조절한다.
HUD(440)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HUD의 조사 영역을 조절한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정보를 수신하고(S110),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S120) 사용자를 인식하면(YES),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통해 운전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에 대응되는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을 수행한다(S130).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단계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는 전동 시트로,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에 따라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운전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도록 전동 시트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210)를 통한 사용자 식별을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고 생체 인식 정보 획득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 획득을 통한 사용자 식별을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 후,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220)를 통해, 획득한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한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생체 인식 정보는 홍채 인식 장치, 지문 인식 장치 안면 인식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를 확인하여(S150) 사용자를 인식하면(YES),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로 판단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세부 설정을 수행한다(S160).
이와 같이, 복수의 단계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 인식의 정확도를 높여 줄 수 있고, 각 단계 즉, 사용자 식별의 정확도에 따라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단순히 전동 시트이 위치만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지 못하여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면(NO),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S170).
이후,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제 1 단계의 사용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에 대응되는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을 수행한다(S130).
한편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되지 않아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면(NO),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S18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을 복수의 과정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하위 단계인 스마트폰 인식에 실패하더라도 다른 사용자 인식 수단인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화 정보에 맞게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다른 사용자 인식 수단인 근거리 통신부(230)에 의해, 획득한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제 3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구성에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510)와 설정 정보 자동 보정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510)는 운행 중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수집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510)는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카메라를 통한 차로 정보 및 주위 차량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정 정보 자동 보정부(520)는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510)를 통해 수집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의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보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510)를 통해 차량 설정 이외에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한다. 한편, 차량 내 통신은 CAN 또는 Ethernet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가 새로 생성되었거나 또는 누적된 운전 습관 정보가 없을 수록 초보 운전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 차량 설정을 자동으로 재조정한다.
일 예로, 차량 좌측으로 다른 차량이 지나갈 때 차량 흔들림 또는 좌회전 시 좌측으로 치우침 등을 확인한 경우, 운전가가 좌측 사이드 미러(420)를 잘 못 본다고 판단하여 운전 습관 정보인 사이드 미러(420)의 각도를 자동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식부(20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 인증 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원거리 통신 모듈(3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서버 또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보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부(200)는 뒷 좌석의 동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뒷좌석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석 시트 위치는 추가적으로 2열에 사람 인식 여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2열 사람 인식 여부는 무게 센서 및 좌석벨트 체결 여부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만약, 2열 좌우 및 중앙 좌석벨트가 체결될 경우 사람이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어린이인지 또는 성인인지 판별한다. 예를 들어 20kg 이하의 어린이일 경우는 추가 조절을 하지 않는다. 만약 인식 무게가 20kg 이상일 경우, 운전석 시트 위치가 평균값보다 뒤쪽에 위치할 경우 2열 좌석이 좁다고 판단하여 운전석 시트를 약간 앞으로 자동 조절하여 2열의 사람이 여유롭게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운전석 시트가 조절되는 경우, 차량 자동 설정부(300)는 전동 사이드 미러 및 전동 룸 미러의 위치도 전동 시트 위치에 맞도록 자동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은 최초 운전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다.
먼저, 최초 차량 설정은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운전자가 차량 탑승 후, 생체 인증 장치를 통해 홍채/지문/안면 인식 중 하나 이상을 시도한다. 만약, 인식에 성공하는 경우,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저장한다.
이 경우 사용자 인식 2단계 실행이 가능하다.
운전자가 차량에 최초 스마트폰 등록 시 사용자 홍채/지문/안면 인식 데이터에 폰 정보를 추가로 등록한다. 폰 정보는 핸드폰 번호, 일련번호 및 블루투스 주소를 이용한다.
사용자가 폰 인증 후 원격 시동 등 기능이 가능하고, 이 경우 사용자 인식 1단계 실행이 가능하다.
데이터 저장은 서버 또는 차량 내 제어기를 이용한다.
사용자 정보를 특정할 수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에 차량의 각종 설정 값을 저장한다.
차량의 설정 값은 운전석 시트 위치, 운전석 등받이 각도, 사이드 미러 위치, 룸 미러 위치, H/U 내 설정 값일 수 있다.
이후, IGN Off 시, 사용자 정보와 현재 설정된 차량 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만약, 변경된 차량 정보가 있을 경우에도 변경된 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향후 사용자 인식 기능을 실행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가 데이터에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의 차량 설정 값을 상기 서버(600)로부터 읽어온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를 식별하는 복수의 사용자 인식부; 및
    복수의 상기 사용자 인식부의 사용자 식별에 따라 식별 정확도를 판단하여 단계별 인증을 수행한 후 단계별 인증에 따른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확인하여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자동으로 설정을 변경하는 차량 자동 설정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
    서비스 제공자가 소지중인 스마트 단말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촬영된 영상에서 운전자의 체형을 검출할 수 있도록 차량으로 근접하는 운전자를 촬영하여 운전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위치, 높이 및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는 전동시트;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반사경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동 사이드 미러;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반사경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동 룸 미러; 및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HUD의 조사 영역을 조절하는 HUD 중 하나 이상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상기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에 의해,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통해 운전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에 대응되는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 후,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되어 사용자를 인식하면,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로 판단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세부 설정을 수행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지 못하여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되지 않아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면(NO),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다른 사용자 인식 수단인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획득한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제 3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의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설정 정보 자동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별도의 서버에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식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 인증 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원거리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한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보정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뒷 좌석의 동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뒷좌석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12. 상기 원격 시동 정보 획득부에 의해,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시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를 식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제 1 단계의 사용자를 식별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식별 후,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에 의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한 운전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원격 시동 신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제 2 단계의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이 인식되면,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로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의 자동 사용자 맞춤 세부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되지 않아 사용자가 식별되지 못하면(NO), 제 2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다른 사용자 인식 수단인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획득한 스마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제 3 단계의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설정 정보 자동 보정부에 의해, 상기 운전습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운전자의 운전 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사용자 맞춤 설정 장치의 자동 사용자 맞춤 차량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동 설정부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별도의 서버에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인식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정보 인증 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장치의 설정을 사용자에 맞게 조정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자동 사용자 맞춤 정보를 보정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센싱부에 의해, 뒷 좌석의 동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뒷좌석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는 것인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방법.
KR1020200043648A 2020-04-09 2020-04-09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648A KR20210125862A (ko) 2020-04-09 2020-04-09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648A KR20210125862A (ko) 2020-04-09 2020-04-09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862A true KR20210125862A (ko) 2021-10-19

Family

ID=7822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648A KR20210125862A (ko) 2020-04-09 2020-04-09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5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0200A (zh) * 2022-01-29 2022-06-07 科世达(上海)机电有限公司 一种智能人机调节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0200A (zh) * 2022-01-29 2022-06-07 科世达(上海)机电有限公司 一种智能人机调节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541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occupant of a vehicle
CN110268408B (zh) 用于汽车的双因素生物测定认证
US9862352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personalized vehicle settings management system
US7439849B2 (en) User welcoming system for an automobile
KR101774661B1 (ko) 운전자세 제어장치 및 방법
EP3988402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US9174552B2 (en) Driving-environment setup system, in-vehicle device and program thereof, portable device and program thereof,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thereof
CN104024078B (zh) 用于学习运载工具乘员的身份的系统、方法和设备
WO2005032895A1 (ja) 生体認証装置
EP3185187A1 (en) Biometric based personalized settings for a driving apparatus
KR20210023163A (ko) 다중설정을 위한 생체인증 장치 및 방법
KR20210125862A (ko) 운전자 인식을 통한 차량의 개인 맞춤형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N113891290A (zh) 基于遥控钥匙登录车载系统的方法、系统及车辆
CN114013392A (zh) 基于车辆座舱的休息空间控制方法、装置、系统及设备
US11511703B2 (en) Driver personalization for vehicle-sharing fleet
JP2010108046A (ja) 顔認識装置
CN111717083B (zh) 一种车辆交互方法和一种车辆
JP2005067353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CN110126834A (zh) 一种基于身份识别的hud个性化调节方法及装置
JP7081447B2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2093858B1 (ko) 바이오메트릭스 기반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KR20150034336A (ko) 얼굴인식을 통한 운전자 인증 방법
CN112153610B (zh) 蓝牙设备选择系统和方法
CN113665511A (zh) 一种车辆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76213A (ko) 운전자 체형 정보를 이용한 운전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