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401A - 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 Google Patents

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401A
KR20210125401A KR1020200132475A KR20200132475A KR20210125401A KR 20210125401 A KR20210125401 A KR 20210125401A KR 1020200132475 A KR1020200132475 A KR 1020200132475A KR 20200132475 A KR20200132475 A KR 20200132475A KR 20210125401 A KR20210125401 A KR 20210125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booth
inspection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9573B1 (en
Inventor
안여현
Original Assignee
안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여현 filed Critical 안여현
Publication of KR2021012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4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4Dust-free rooms or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chitecture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performing non-contact sampling. The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includes: a body part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plurality of glove parts provid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body part. The glove parts are arranged in multiple directions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so that an inspector can collect the subject's specimen in multiple direction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love parts are provided in multiple directions, inspection and disinfection are alternate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 sample collection operation.

Description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본 발명은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스의 외측면에 다방향으로 구비되는 장갑부에 의해 검사 및 소독이 교호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and more particularly,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that allows inspection and disinfection to be alternately performed by an armor part provided in multi-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oth. This is a possible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OVID-19를 비롯한 바이러스 검사 등에서 호흡기 검체 채취 시에 공기나 비말 전파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기 때문에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압 또는 음압부스를 활용해 왔다. 그러나, 부스의 일측에 구비된 검사용 장갑을 교체할 때, 부스의 내부와 외부간에 유동으로 인하여 바이러스 등과 같은 균이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압부스의 경우, 부스 내부 소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며, 검사를 받는 환자가 부스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에 불안감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Positive pressure or negative pressure booths have been used to prevent secondary infection because infection occurs due to air or droplet transmission when respiratory specimens are collected for COVID-19 and other virus test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bacteria such as viruses may leak due to the flow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oth when replacing the inspection glov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oth.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egative pressure booth,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and manpower is required to disinfect the inside of the booth, and the patient who is being tested feels anxious about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oth.

이러한 종래의 양압 또는 음압부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088호에서는 내부공간이 음압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외부로 감염균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As a prior art documen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booth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33088 has a respiratory infection that prevents the spread of infectious bacteria to the outside by forming the inner space at negative pressure. Disclosed is a booth for patient sample collec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피검사자의 검체 채취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일정 주기로 장갑부가 소독되어야 하므로, 검체 채취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sample collection operation may be reduced because the glove part must be disinfected at a certain period as the sample collection operation of the subject is progress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088호 (2017.12.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3088 (2017.12.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스의 외측면에 장갑부가 다방향으로 구비되어 검사와 소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ored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oth in multiple directions so that inspection and disinfe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격리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에 있어서, 내부가 외부보다 높은 압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검사자가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한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in which the inspector can collect the specimen of the inspected in a non-contact manner in a state in which the inspector and the inspected are isola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interior is formed at a higher pressure than the exterior, the A body part that allows the inspector to be located inside and the inspected to be located outside, so that the inspector and the inspected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an inspection unit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body part so that an inspection can be made on the inspected person located outside the body part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채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검사자의 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는 장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pection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inspector can collect the specimen of the inspected person and the inspector's h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ttached glove portion.

또한, 상기 복수개의 검사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검사자가 다방향으로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spection units, respectively, by being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main body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pector can collect the subject's specimen in multiple directions.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유동시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ve pressure device to flow the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portion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to form a positiv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상기 적어도 2개의 검사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2개의 검사부 중 어느 하나에서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검사부에 대한 소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t least two inspection units are located at point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o that an inspection of the subject is performed in any one of the two inspection units, and a disinfection operation of the other inspection unit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by having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장갑부가 다방향으로 구비됨으로써, 검사와 소독이 교호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검체 채취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By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ample collection operation by alternately performing inspection and disinfection by providing the glove unit in multiple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양압기와 음압기가 구비됨으로써, 부스의 내부에 적용되는 압력의 전환이 가능하고, 층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부스의 내부 가 빠르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inside of the booth to be quickly ventilated by allow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oth to be switched and laminar flow to be formed by providing a positive pressure and a negative pressur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음압 또는 양압이 작용되는 부스에 수용됨으로써, 바이러스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protected from viruses by being accommodated in a booth to which negative or posi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examiner or the su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와 장갑부가 결합된 모습을 부스의 내부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를 이용하여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모습으로, (A)는 부스의 일면에 위치한 피검사자를 검사함과 동시에 부스의 후면에 배치된 장갑부를 소독하는 모습, (B)는 부스의 타면에 위치한 피검사자를 검사함과 동시에 부스의 전면에 배치된 장갑부를 소독하는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의 양압기와 음압기에 의해 본체부 내부가 환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갑부를 개구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갑부를 개구부에 결합시킨 후 검사가 완료되면 장갑부를 개구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부가 개구부를 차폐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갑부가 개구부에 장착됨으로써, 차폐부가 유연하게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the armored portion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inside of the booth.
3 is a state in which an inspector collects a specimen of an inspected person using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pecimen coll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inspection of the inspected pers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oth; Simultaneously disinfecting the armored part placed at the rear of the booth, (B) is a view of inspecting the subjec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oth and disinfecting the armored portion placed in the front of the booth at the same tim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ventilated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machines of the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armor portion to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detaching the armored portion from the opening when the inspection is completed after coupling the armored portion to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portion shields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 is flexibly deformed by mounting the armor part in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는, 도 1을 참조하면,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격리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 가능한 워크스루 부스에 있어서, 내부가 외부보다 높은 압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검사자가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 외부에 위치한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검사부(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contact method in which the inspector and the inspected are isolated, and the inspector can collect the specimen of the inspected walk-through. In the booth, in a state where the inside is formed with a higher pressure than the outside, the body part 100 and the body part 100 so that the inspector is located inside and the inspected is located outside, so that the inspector and the inspected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inspection units 5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re included so that an externally-located subject can be inspected.

먼저, 상기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외부와 구획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외부와 구획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도면 미도시) 또는 상기 본체부(100)를 들어올리기 용이하도록 하는 걸이부(도면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검사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에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출입문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검사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body part 100 is provided. The body part 100 has an empty space therein, so that an examiner or a subject performing a medical treatment inside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Here,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examiner or the subject can be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wheel (not shown) that is detachably formed to facilitate transport of the body part 100 or a hook part (not shown) for easy lifting of the body part 100. . For example, the body part 100 is formed in a box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so that an examiner can be accommodated therein.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oor that is formed so that the examiner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door formed to allow an examiner to enter and exit the main body 100 and a handle 14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 addition, the body part 1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within a rang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part 100 by an examiner.

다음으로, 상기 검사부(50)가 마련된다. 상기 검사부(50)는, 상기 본체부(100) 외부에 위치한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부(5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1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채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10)와, 상기 검사자의 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10)에 부착되는 장갑부(200)를 포함한다.Next, the inspection unit 50 is provided. The inspection unit 50 allows the inspection of the subject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00 to be performed. Here, the inspection part 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00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and an opening 110 that allows the inspector to collect the specimen of the inspected person; , and a glove part 200 attached to the opening 110 so that the hand of the examiner can be accommodat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외부를 연통시킨다. 즉, 상기 개구부(110)는 중공형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와 본체부(100)의 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openings 110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 That is, the opening 110 is hollow,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개구부(110)에는 상기 장갑부(200)가 탈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장갑부(200)가 덮어 씌우는 형태로 장착되기 위한 외주면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armor part 2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ing 110 .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2 , the opening 110 protrud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mounting in the form of covering the armor part 200 .

따라서,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개구부(110)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결합된 후, 상기 장갑부(200)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개구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를 관통하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남아 있는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뒤집어져 상기 개구부(110)의 돌출된 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refore, after the rear end of the armored part 200 is combined in an inverted state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10 , the remaining part of the armored part 200 passes through the opening 110 . In a manner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 the armor part 200 may be mounted on the opening 110 . Alterna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armored part 200 is placed to pass through the opening 110 , the rear end of the armored part 200 remaining inside the main body 100 is turned over to protrude the opening 110 . In a manner of enclosing a portion of the armored part, the armor part 200 may be mounted on the opening 110 .

이후, 원형 고무링과 같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부재(201)가 상기 뒤집어진 장갑부(200)의 후단부를 결박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상기 개구부(110)의 돌출된 부분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1)는 상기 장갑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1)에 의하여, 상기 장갑부(200)와 상기 개구부(110)의 사이 틈이 보다 완벽하게 차폐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 흐름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Thereafter, a fixing member 201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circular rubber ring binds the rear end of the inverted armor part 200 . For this reason, the rear end of the armored portion 200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pening 110 , so that the armored portion 200 can be mounted on the opening 110 .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20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capable of fixing the armor part 200 . By the fixing member 201, the gap between the armor part 200 and the opening 110 is more completely shielded, so that the air flow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can be blocked. .

그리고,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장갑부(200)의 내부 공간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검사자는 상기 장갑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와 접촉되지 않으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And, si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armored part 200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armored part 200 is mounted on the opening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100 , the main body The inspector accommodated in the part 10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through the glove part 200 and can collect the test subject's sample.

한편, 상기 복수개의 검사부(50)는 각각,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검사자가 다방향으로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적어도 2개의 지점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0) 각각에 상기 장갑부(200)가 장착됨으로써, 검사자가 다방향으로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inspection units 5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main body unit 100 , so that the inspector can collect the subject's specimen in multiple directions. That is, a plurality of the openings 110 are formed at at least two points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glove unit 200 is mounted in each of the openings 110 , so that the examiner can view the subject's specimen in multiple directions. to enable it to be harvested.

이때, 상기 복수개의 검사부(50) 중, 적어도 2개의 검사부(50)는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2개의 검사부(50) 중 어느 하나에서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검사부(50)에 대한 소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among the plurality of inspection units 50 , at least two inspection units 50 are located at point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100 , and in any one of the two inspection units 50 , At the same time that the inspection is performed, the disinfection operation of the other inspection unit 50 may be performed.

보다 상세하게,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와 같이 먼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한 명의 검사자(D)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검사자(D)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장갑부(200a)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외측에 위치한 제1피검사자(P1)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검사자(D)가 상기 제1피검사자(P1)에 대한 검사를 끝내면,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장갑부(200a)의 외부 노출면을 소독액에 침전하여 상기 장갑부(200a)의 외부 노출면이 소독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도 3의 (B)와 같이 상기 검사자(D)는, 뒤로 돌아 상기 본체부(100)의 타면에 배치된 상기 장갑부(200b)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타면 외측에 위치한 제2피검사자(P2)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피검사자(P2)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사이에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장갑부(200a)는 충분히 소독됨으로써, 상기 검사자(D)는 다시 뒤로 돌아 제3피검사자(P3)에 대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에서 상기 제1피검사자(P1)가 검사를 받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타면 검사부(50)에 대한 소독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고, 상기 제1피검사자(P1)의 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제2피검사자(P2)가 검사를 받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검사부(50)에 대한 소독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피검사자(P1,P2,P3,P4)에 대한 검사 작업이 소독 과정에 의한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3 , as shown in FIG. 3A , first, one examiner D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00 . Then, the examiner (D) proceeds with the examination of the first inspected (P1) located on the outside of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using the armor portion (200a)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do. In addition, when the inspector D finishes the inspection of the first subject P1, the external exposed surface of the glove unit 200a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is deposited in a disinfectant solution to deposit the glove unit. Ensure that the external exposed surface of (200a) is disinfect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B) of FIG. 3 , the examiner (D) turns back and uses the armor part 200b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Inspection of the located second subject P2 is carried out. And while the test on the second test subject P2 is in progress, the glove part 200a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is sufficiently disinfected, so that the inspector D turns back again and the third test subject (P3) can be inspected. That is, while the first test subject P1 is being test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00 as shown in FIG. 3A , the disinfection process for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100 is performed simultaneously After the inspection of the first subject P1 is completed, the second subject P2 is inspected as shown in (B) of FIG. Since the disinfection process is performed, the inspection work on the subjects P1, P2, P3, and P4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interruption due to the disinfection process.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120,130)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조절부(120,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팬(도면 미도시)과, 상기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팬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외부 공기가 강제로 유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ody part 100 further includes adjustment parts 120 and 130 that allow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to be formed by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s 120 and 130 are fans (not show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order to forcibly flow air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under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and a motor (not shown)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fan. That is,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of the body part 100 is forcibly flowed by the fan to generate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so that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is subjected to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to be formed into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조절부(120,130)에 의하여,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으로 형성되는 검사자수용모드와,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음압으로 형성되는 피검사자수용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 body 100 is, by the adjusting units 120 and 130, so that the examiner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subject can proceed with the examination in a state where the subject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00. , so that the inspector accommodation mode in which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is formed with positive pressure, and the inspector are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part 100 and the inspector can proceed with the inspection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body part 100 , it can be switched to any one of the subject accommodation mode in whic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by negative pressure.

다시 말하면,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검사자수용모드로 전환되어 사용된다. 또한,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검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피검사자수용모드로 전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즉,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를 검사자수용모드 및 피검사자수용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워크스루부스의 활용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examiner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subject needs to be inspected while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s switched to the examiner accommodation mode. and is used In addition, when the examiner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subject needs to be inspected whil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s switched to the subject accommodation mode and used will become That is, since the body part 100 can be selectively switched to any one of an examinee accommodation mode and an examinee accommodation mode as needed, the usability of the walk-through booth can be further increased.

여기서, 상기 조절부(120,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압기(12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음압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양압기(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음압기(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adjusting units 120 and 130 include a positive pressure device 120 to form a positive pressure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a negative pressure device 130 to generate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body part 100 . include The positive pressure device 1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 and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

또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양압기(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양압필터(121)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강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압팬(122)을 포함한다. 상기 양압기(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검사자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부터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A , the positive pressure device 120 includes a positive pressure filter 121 that filters the air sucked into the body 100 to be purified, and the body 100 ) includes a positive pressure fan 122 to force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 positive pressure device 120 forms a positiv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when an examin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viruses, bacteria, etc. It can block the entry of pathogens.

그리고,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음압기(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음압필터(131)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강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압팬(132)을 포함한다. 상기 음압기(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피검사자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 4 (b),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130 includes a negative pressure filter 131 that filters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o be purified, and the main body 100 ) includes a negative pressure fan 132 to force the internal air to flow out of the main body 100 .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130 forms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when a subject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viruses, bacteria, etc. of pathogens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또한, 종래와 같이 하나의 필터로 양압과 음압을 모두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양압에서 음압으로, 음압에서 양압으로 공기 유동의 방향이 전?c됨에 따라 필터의 표면에 남아 있을 지도 모르는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체가 의도치 않았던 방향으로 퍼지게 되면서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부스에서 양압에서 음압으로, 음압에서 양압으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환하기 전에 필터를 훈증소독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when both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are used with one filter as in the prior art, viruses and bacteria that may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as the direction of air flow is changed from positive pressure to negative pressure and from negative pressure to positive pressure. As the pathogen spreads in an unintended direction, the risk of infection may increase.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switch from positive pressure to negative pressure and from negative pressure to positive pressure in a conventional booth, there is a hassle of fumigating or replacing the filter before switching.

이와 달리,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양압필터(121)와 음압필터(131)가 별개로 구비되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양압 또는 음압으로 전환되더라도 상기 양압필터(121) 및 음압필터(131)를 통한 공기 유동 방향은 동일하므로, 상기 양압필터(121) 및 음압필터(131)의 표면에 남아 있는 병원체가 검사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positive pressure filter 121 and the negative pressure filter 131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s converted to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the positive pressure filter Since the direction of air flow through 121 and the negative pressure filter 131 is the same, the risk of exposure of pathogens remaining on the surfaces of the positive pressure filter 121 and the negative pressure filter 131 to the examiner can be minimized.

예를 들어, 검사자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피검사자가 검사를 받는 경우에는, 상기 양압기(120)와 양압필터(121)를 이용한 흡기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결핵환자의 객담 검사와 같이 피검사자가 수용되어 검사를 받고,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검사자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압기(130)와 음압필터(131)를 이용한 배기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압필터(121) 및 음압필터(131)에 잔존하는 병원체의 확산 위험없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이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aminer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examinee receives the examin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0 , intake air using the positive pressure device 120 and the positive pressure filter 121 . only can be done In addition, when the subject is accommodated and test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such as tuberculosis patient's sputum test, and the examiner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100, the negative pressure device 130 and the negative pressure Only exhaust using the filter 131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pressur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can be smoothly switched without risk of spreading the pathogen remaining in the positive pressure filter 121 and the negative pressure filter 131 .

다른 한편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양압기(120)와 음압기(13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를 클린룸이나 청정수술실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경우, 상기 양압기(120)와 음압기(130)를 동시에 가동시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층류(유체의 규칙적인 흐름)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가 보다 더 빠르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4 , intake and exhaust are simultaneously made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by the positive pressure unit 120 and the negative pressure unit 130 so that the inside of the body unit 100 is reduced. to be ventilated. 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00 is used for purposes such as a clean room or a clean operating room, the positive pressure unit 120 and the negative pressure unit 130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o create a laminar flow (fluid) inside the main body unit 100 . of the regular flow) is form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can be ventilated more quick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의 제2실시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차폐부(30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hielding unit 300 is provid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for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110)를 차폐하는 차폐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300)는 아이리스 밸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차폐부(300)는, 상기 개구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0)를 차폐하는 개폐부(310)와, 상기 개구부(110)와 연통되어 상기 개구부(110)에 탈부착되는 프레임부(32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5 to 7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part 300 for shielding the opening 110 . In this case, the shielding part 3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ris valve. In more detail, the shielding part 300 is cu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pening 110 ,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for shielding the opening 110 , and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110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It includes a frame portion 320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110 .

먼저, 상기 프레임부(320)는 상기 개구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부(320)의 일면과 상기 개구부(110)의 일면에 각각 나선홈이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부(320)를 상기 개구부(110)에 인접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320)는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검사자의 손이 상기 프레임부(320) 및 개폐부(310)를 관통하여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된 상기 장갑부(2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frame part 320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coupled to the opening 110 . For example, a spiral groov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part 320 and one surface of the opening 110 , respectively, and the frame part 320 is rotated in a state adjacent to the opening 110 so that they can be coupled. . In addition, the frame part 32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the hand of the examiner penetrates the frame part 320 and the opening/closing part 310 to wear the glove part 200 mounted in the opening 110 . make it possible

다음으로, 상기 개폐부(310)는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 공간을 차폐하는 복수개의 부채꼴 형상으로, 유연성과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차단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갑부(200)를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할 시, 상기 개폐부(310)는 상기 장갑부(200)를 미는 힘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갑부(200)의 교체가 필요하여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이탈할 시에는, 상기 개폐부(310)가 자체적인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 공간을 차폐함으로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Next, the opening/closing part 310 has a plurality of sector-shaped shapes for shielding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110 and is formed of a blocking film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Therefore, when the armor part 200 is mounted on the opening 11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may be opened while being flexibly deformed by the force pushing the armor part 200 . And, when the armor part 200 needs to be replaced and the armor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11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restoring force and the opening 110 . ) can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by shielding the inner space.

보다 상세하게,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부(310)가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개구부(110)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장착된 후, 상기 고정부재(201)에 의해 상기 장갑부(200)의 후단부가 단단히 고정된다. 이후, 상기 장갑부(200)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개구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될 시, 상기 개폐부(310)는 상기 장갑부(200)의 나머지 부분과 같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0)에 상기 프레임부(320)가 결합되면서 상기 장갑부(2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d)를 참조하면, 검사자가 손을 상기 장갑부(200)에 인입시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A , the opening/closing part 310 is provided inside the opening 110 to block external air from flowing into the body part 100 . In this state, referring to FIG. 5 (b), after the rear end of the armor part 200 is mounted in an inverted state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10, the fixing member 201 The rear end of the armor part 200 is firmly fixed by the. Thereafter, when the remaining part of the armored part 200 passes through the opening 110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is opened like the rest of the armored part 200 . It is in a state protruding outward. Thereafter, referring to FIG. 5C , as the frame part 320 is coupled to the opening 110 , the mounting of the armor part 200 is completed. In this state, referring to (d) of FIG. 5 , the examiner inserts a hand into the glove unit 200 to allow the examination to proceed.

다음으로,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된 상기 장갑부(2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개폐부(310)는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차폐한다.Next,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armored part 200 mounted on the opening 110 , when the armored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11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is closed by restoring force. I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shield the opening 110 .

즉, 도 6의 (a)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가 상기 개폐부(310)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에 상기 장갑부(200)가 장착되어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개구부(110)에 장착된 상기 장갑부(200)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32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장갑부(200)가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식으로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310)는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차폐한다. 즉, 상기 장갑부(200)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장갑부(200)를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이탈시키더라도 상기 개구부(110)는 차폐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검사자가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110 is shield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and the test is performed on the subject. Thereafter,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armor part 200 mounted on the opening 110 , referring to FIG. 6 ( c ), the frame part 320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part 110 , and , the armor part 200 is removed from the opening 110 and is removed in such a way that it is drawn out of the body part 100 .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to shield the opening 110 . That is, even if the armored part 200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110 for replacement of the armored part 200, the opening 110 maintains a shielded state, so that external polluted air is introduced and inspected. This is to avoid the risk of self-infection.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 검사부
100 : 본체부
110 : 개구부
120 : 양압기
121 : 양압필터
122 : 양압팬
130 : 음압기
131 : 음압필터
132 : 음압팬
140 : 손잡이
200, 200a, 200b : 장갑부
201 : 고정부재
300 : 차폐부
310 : 개폐부
320 : 프레임부
D : 검사자
P1 : 제1피검사자
P2 : 제2피검사자
P3 : 제3피검사자
P4 : 제4피검사자
50: inspection unit
100: body part
110: opening
120: positive pressure device
121: positive pressure filter
122: positive pressure fan
130: negative pressure
131: negative pressure filter
132: negative pressure fan
140: handle
200, 200a, 200b: Armor part
201: fixing member
300: shield
310: opening and closing part
320: frame part
D: inspector
P1: 1st subject
P2: 2nd test subject
P3: 3rd subject
P4: 4th subject

Claims (5)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격리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 가능한 워크스루 부스에 있어서,
내부가 외부보다 높은 압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검사자가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사자 및 피검사자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한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적어도 2개로 구비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
In a walk-through booth in which the inspector and the inspected can collect the specimen in a non-contact manner in a state in which the inspector and the inspected are isolated,
a body part configured to separate the examiner and the examinee from each other by placing the examiner inside and the examine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inside is formed with a higher pressure than the outside; and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comprising a; at least two inspection units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that a test subject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can be insp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검사자가 상기 피검사자의 검채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 및
상기 검사자의 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는 장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
According to claim 1,
The inspection unit,
an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examiner can collect the specimen of the subject; and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love part attached to the opening so that the hand of the examiner can be accommod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사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검사자가 다방향으로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inspection units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the main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inspector can collect the subject's specimen in multiple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유동시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comprising: a positive pressure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low the external air of the main body into the main body to form a positiv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boot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검사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검사부 중 어느 하나에서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검사부에 대한 소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다방향 워크스루 부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t least two inspection units are positioned at point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o that an inspection of a subject is performed in any one of the at least two inspection units, and a disinfection operation of the other inspection unit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 multi-directional walk-through booth capable of non-contact sample collection.
KR1020200132475A 2020-04-08 2020-10-14 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KR1024295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743 2020-04-08
KR20200042743 2020-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401A true KR20210125401A (en) 2021-10-18
KR102429573B1 KR102429573B1 (en) 2022-08-04

Family

ID=7827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75A KR102429573B1 (en) 2020-04-08 2020-10-14 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5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25A (en) 2021-12-24 2023-07-03 박성철 Anti-pollution acrylic case for washing dish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889A (en) * 2004-04-15 2005-10-27 Dalton Corp Isolator
CN204274876U (en) * 2014-11-28 2015-04-22 绍兴市妇幼保健院 A kind of movable semi-closed protection medical care precess cabin
KR20170133088A (en)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Phlegm collecting Boo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889A (en) * 2004-04-15 2005-10-27 Dalton Corp Isolator
CN204274876U (en) * 2014-11-28 2015-04-22 绍兴市妇幼保健院 A kind of movable semi-closed protection medical care precess cabin
KR20170133088A (en)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Phlegm collecting Boo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25A (en) 2021-12-24 2023-07-03 박성철 Anti-pollution acrylic case for washing dis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573B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5361B1 (en) Filter unit
KR101958709B1 (en) Clean air apparatus
KR20130126596A (en) Device for bodily fluids
KR102429573B1 (en) 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JP6964081B2 (en) A sample cassette that collects tissue samples from a fluid stream and has multiple capture trays for holding multiple samples.
KR102180927B1 (en)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Virus Inspection
JP5629502B2 (en) Isolator device
JP3227227U (en) Protective equipment
KR102416625B1 (en) Walking-through booth with ambient air shut-off part
JP5689255B2 (en) Air cleaning filter unit and isolator device
KR102335224B1 (en) Screening clinics that can be screened separately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JP6636626B2 (en) Safety cabinets and isolators
KR102489332B1 (en) Booth Capable For 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KR20220053195A (en) Movable Protect Booth
JP2004351283A (en) Safety cabinet and aftertreatment method after exchange of air cleaning means
JP2012063056A (en) Pass box, and isolator device including same
JP5547558B2 (en) Equipment for removing pollutants
KR102335025B1 (en) Uncontactable clinic and glove box for uncontactable clinic
JP5009408B2 (en) Biohazard safety cabinet
KR102452959B1 (en) Clinic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JP2003254574A (en) Bio-safety exhaust processing device
WO2022244754A1 (en) Protective panel, door with protective panel, and box with protective panel
KR20230078400A (en) Medical Inspection Booth
JP2003214675A (en) Internal negative pressure clean working table
KR102464658B1 (en) Dual type walk-through sample Collection Apparatus for Virus Insp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