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242A -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242A
KR20210125242A KR1020200042687A KR20200042687A KR20210125242A KR 20210125242 A KR20210125242 A KR 20210125242A KR 1020200042687 A KR1020200042687 A KR 1020200042687A KR 20200042687 A KR20200042687 A KR 20200042687A KR 20210125242 A KR20210125242 A KR 20210125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transaction
user
atm
smartphon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787B1 (ko
Inventor
김경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링크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426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787B1/ko
Priority to KR102020004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787B1/ko
Priority to JP2020200318A priority patent/JP7171078B2/ja
Priority to US17/117,109 priority patent/US11393298B2/en
Priority to PCT/KR2021/004441 priority patent/WO2021206481A1/en
Priority to CN202180025648.2A priority patent/CN115362462A/zh
Priority to EP21785121.1A priority patent/EP4133444A4/en
Priority to TW110112706A priority patent/TW202139107A/zh
Priority to ARP210100929A priority patent/AR121795A1/es
Publication of KR2021012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242A/ko
Publication of KR10266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8Use of an ATM as a switch or hu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4Loading of a stored value token using an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금융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금융거래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ATM Being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And Fin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금융거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금융거래 정보 입력 및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사람에 의해서 이루어지던 은행 업무 중에서 많은 부분이 자동 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이중에서 AMT(Automated Teller Machine)기기로 대표되는 금융거래 자동화기기는 은행 뿐 아니라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되어 많은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현금을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계좌이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한 입출금 업무를 넘어 계좌이체나 공과금의 납부 등 ATM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 은행은 ATM기기를 이용하여 더 많은 금융 서비스를 자동화 함으로써 은행이 금융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보다 더 ATM기기를 많이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금융거래의 특성상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는 보안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많은 은행들이 현금카드나 통장 없이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만으로 ATM기기에서 현금을 출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만으로 그 계좌의 소유자를 인증하게 되므로, 보안의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TM 기기에 "번호 입력시 입력하는 손을 가리고 번호를 입력하라"는 등의 주의 문구가 게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금카드를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는 경우에도, 현금카드를 소지하고 비밀번호를 아는 경우에는 누구라도 그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하거나 타인의 계좌로 계좌이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안 우려가 높을 뿐 아니라, 타인의 명의로 개설한 계좌인 일명 대포통장 거래에도 사용되어 다양한 금융거래 사기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금융거래 자동화기기 사용시에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금융거래 자동화기기에 금융거래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대신 금융거래 자동화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통해 금융거래에 관한 정보 입력 및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금융거래의 보안을 강화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출금방식 및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상기 스마트폰 정보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의한 상기 금융거래 인증번호 확인에 따라 금융거래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게 출금할 금액 및 권종을 포함하는 거래관련 정보를 확인 받는 단계 및 현금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은 금융거래번호를 생성 및 전송하고, 금융거래를 인증하는 금융거래 승인시스템과, 실행내역을 수신하여 실행하고, 사용자의 거래정보 확인에 따라 현금을 토출하는 ATM 기기와, 상기 ATM 기기에 부여된 ATM ID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ATM ID 제공부와,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금융거래번호 및 상기 ATM ID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ATM ID를 전송하는 사용자 스마트폰 및 상기 ATM 기기에서 실행할 실행내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실행내역 및 상기 금융거래번호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상기 ATM 기기에 전송하는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금융거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금융거래 정보 입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스마트폰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2는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ATM기기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3은 도1 및 도2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금융거래 시스템의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스마트폰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금융거래 시스템의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ATM기기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7은 도6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1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8은 도6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2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1은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스마트폰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한편, 도2는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ATM기기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31)을 사용하여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설치된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스마트폰(31)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화면을 표출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증 이외에 현금인출이나 계좌이체의 경우에 공인인증서를 통해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1a).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31)을 통해 출금계좌 및 금액 정보를 입력한다(1b). 또한, 추가적으로 출금계좌 및 금액정보 입력 이전 혹은 이후에 출금을 위한 출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1c).
인증이 완료되면, 스마트폰(31)을 통해 인증번호가 표출된다(1d).
한편, 사용자는 스마트폰(31)을 이용하여 ATM기기(32)로부터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ATM기기(32)의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모바일출금 메뉴를 선택한다(2a). 사용자가 모바일출금 메뉴를 선택하면, ATM기기(32)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표출한다(2b).
사용자가 ATM기기(32)에 자신의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31)에는 현금 인출을 위한 금융거래 인증번호가 표출된다(1d).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표출된 모바일 인증번호를 ATM기기(32)에 입력하고(2c) 거래정보 확인을 수행하면(2d), ATM기기로(32)부터 현금이 인출된다.
도3은 도1 및 도2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31)을 사용하여 ATM기기로부터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301), 금융기관의 승인시스템(33)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302).
사용자는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출할 금액과 관련된 정보, 인출할 계좌번호 등과 같은 금융거래 관련정보를 스마트폰(31)에 입력한다(1b, S303). 그리고, 보안을 강화화기 위해 금융거래를 위한 계좌 비밀번호를 추가적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1c).
스마트폰(31)은 금융거래 승인시스템(33)에 금융거래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승인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금융거래 승인시스템(33)은 수신한 금융거래 승인요청메시지를 이용하여 금융거래 승인 절차를 수행하고(S305), 스마트폰(31)을 통해 요청된 금융거래 승인요청메시지에 대응되는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생성하여(S306) 스마트폰(41)에 전송한다(S307). 이때, 금융거래 인증번호는 스마트폰(31)으로부터 금융거래 승인요청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일회성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ATM기기(32)에 표출된 다양한 출금 방식(2a) 중에서 스마트폰 인증을 통한 모바일 출금 방식을 선택하고,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하면(2b, S308), ATM기기(3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스마트폰 번호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33)에 전송한다(S309)
금융거래 승인시스템(33)에서는 수신한 스마트폰 번호를 이용하여 거래 승인이 완료된 스마트폰(31)의 거래 요청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310), ATM기기(32)에 인증번호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S311).
사용가 금융거래 승인시스템(33)으로부터 스마트폰(31)으로 수신한 인증번호(1d)를 ATM기기(32)에 입력하면(2c, S312), ATM기기(32)는 입력받은 인증번호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33)에 전송한다(S313).
금융기관 승인시스템(33)은 ATM기기(42)로부터 수신한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확인하고(S314), 확인이 완료되면 인출할 금액, 권종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승인정보를 ATM기기(32)에 전송한다(S315).
사용자는 ATM기기(32) 화면을 통해 인출할 금액, 권종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2d)(S316) ATM기기(32)로부터 현금을 인출한다(S317).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은 스마트폰(41), ATM기기(42),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 ATM ID 제공부(44), 명령어 생성서버(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금융거래 시스템의 ATM기기(42)에서 스마트폰(41)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스마트폰(41)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한편, 도6은 도4에 도시된 금융거래 시스템의 ATM(42)기기에서 스마트폰(41)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할 때, ATM기기(42)의 사용자 화면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41)을 사용하여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설치된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스마트폰(41)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화면을 표출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증 이외에 현금인출이나 계좌이체의 경우에 공인인증서를 통해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5a).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41)을 통해 출금계좌 및 금액 정보를 입력한다(5b). 또한, 추가적으로 출금계좌 및 금액정보 입력 이전 혹은 이후에 출금을 위한 출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5c).
한편, 사용자는 스마트폰(41)을 이용하여 ATM기기(42)로부터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ATM기기(42)의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모바일출금 메뉴를 선택한다(6a). 사용자가 모바일출금 메뉴를 선택하면, 스마트폰(41) 및 ATM기기(32)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면을 표출한다(5d, 6b).
사용자는 스마트폰(41) 및/또는 ATM기기(42)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스마트폰을 ATM기기(42)에 설치되어 있는 ATM ID 제공부(44)에 태그함으로써 스마트폰(41)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한편, 보안을 강화할 필요가 있거나, 출금액이 일정금액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41)에 추가인증을 위한 금융거래 인증번호가 표출된다(5e).
사용자가 스마트폰(41)에 전송된 금융거래 인증정보를 ATM기기(42)에 입력(6c)함으로써 추가인증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거래정보 확인을 수행하면(6d), ATM기기(42)로부터 현금이 인출된다.
도7은 도6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1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41)을 사용하여 ATM기기(42)로부터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701),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702).
사용자는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출할 금액, 인출할 계좌번호 등과 같은 금융거래 관련정보를 스마트폰(41)에 입력한다(5b, S703). 그리고, 보안을 강화화기 위해 금융거래를 위한 계좌 비밀번호를 추가적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5c).
스마트폰(41)이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에 금융거래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번호 생성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S704),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금융거래번호를 생성하여(S705) 스마트폰(41)에 전송한다(S706).
이때,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스마트폰(41)으로부터 금융거래번호 생성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일회성으로 금융거래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ATM기기(42)에 표출된 다양한 출금 방식(6a) 중에서 스마트폰 인증을 통한 모바일 출금 방식을 선택하고(S707), 스마트폰(41)을 ATM기기(42)에 설치되어 있는 ATM ID 제공부(44)에 태그하면(5d, 6b), 스마트폰은 ATM ID 제공부(44)로 부터 ATM ID 정보를 획득한다(S708). 여기서, ATM ID 제공부는 스마트폰에 ATM ID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떤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NFC를 이용한 태그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스마트폰(41)이 ATM ID 제공부(44)로부터 ATM ID 정보를 획득하면(S708), ATM ID 정보, 금융거래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를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에 전송한다(S709). 이때,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에는 금융거래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 이외에 인출하고자 하는 금액 및 권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를 수신한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는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에 포함된 ATM ID 정보를 활용하여 어느 ATM기기에 금융거래정보를 전달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ATM기기에서 실행할 내역을 생성한다(S710). 그리고,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는 ATM기기(42)에서 실행할 내역, 금융거래번호, 스마트폰 번호 및 실행 내역을 포함하는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해당 ATM기기에 전송한다(S711).
ATM기기(42)가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로부터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수신하면,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스마트폰 번호 및 금융거래번호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에 전송한다(S712). 이때, 스마트폰 번호 및 금융거래번호는 금융거래 인증요청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금융거래 인증요청메시지를 통해 스마트폰 번호 및 금융거래번호를 수신한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금융거래번호 생성요청메시지를 통해 수신한(S704) 스마트폰 번호와 금융거래 인증요청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S712) 스마트폰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금융거래승인시스템에서 생성한(S705) 금융거래번호와 금융거래 인증요청메시지를 통해 수신한(S712) 금융거래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스마트폰 번호의 일치 여부 및 이와 대응되는 금융거래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금융거래 인증을 수행하고(S713), 인증결과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인증결과 메시지를 ATM기기(42)에 전송한다(S714).
ATM기기(42)가 금융거래 인증결과 메시지를 수신하면,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실행내역을 실행한다(S715).
예를 들어, ATM기기(42)에서 실행할 실행내역은 도6d 와 같은 ATM기기(42) 화면에 거래금액, 인출할 권종 등의 정보를 표출시키는 것이다. 즉,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가 사용자 스마트폰(41)로부터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를 통해 인출할 금액, 권종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709), 이를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ATM기기(42)로 전송하면(S711), ATM기기(42)는 도6의 6d와 같은 사용자 화면에 인출할 금액 및 권종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41)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인출할 금액 및 권종을 입력하기만 하면, 별도로 ATM기기(42)에 이와 같은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ATM기기(42) 화면에 표시된 정보가 자신의 스마트폰(41)에 입력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실행내역은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2)에서 명령어 형태로 생성되어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ATM기기(42)는 명령어 형태로 생성된 실행내역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명령어 형태로 생성된 실행내역을 실행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이미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식이 정해져 있는 ATM기기(42)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형식에 맞추어 금액 및 권종 정보를 키보드 입력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ATM기기(42)가 금융거래 실행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도6의 6d와 같은 화면을 표출시키면(S715),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화면 혹은 ATM기기(42)에 설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출금 금액 및 권종 정보를 확인한다(S716). 확인 결과가 입력되면, ATM기기(42)는 출금 금액 및 권종에 해당하는 현금을 토출한다(S717).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41)에 출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ATM기기(42)에 설치된 NFC 태그(44)에 자신의 스마트폰(41)을 접촉하는 것 만으로 도6의 6d 와 같은 화면에 이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ATM 기기를 통해 수행하는 인증 과정이 없어짐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는 출금하고자 하는 금액 및 권종에 대한 정보가 ATM 기기에 표시되고 소비자가 이를 확인하는 절차만으로 출금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인증만 스마트폰을 통해 수행하고 출금 금액 및 권종에 대한 정보는 도6의 6d 화면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8은 도6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ATM기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현금을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2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7에서는 추가인증에 해당하는 도5의 5e 과정 및 도6의 6c에 해당하는 과정이 없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도8에서는 추가인증에 해당하는 도5의 5e 과정 및 도6의 6c에 해당하는 과정이 존재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41)을 사용하여 ATM기기(42)로부터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801),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802).
사용자는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출할 금액, 인출할 계좌번호 등과 같은 금융거래 관련정보를 스마트폰(41)에 입력한다(5b, S803). 그리고, 보안을 강화화기 위해 금융거래를 위한 계좌 비밀번호를 추가적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5c).
스마트폰(41)이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에 금융거래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번호 생성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S804),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금융거래번호를 생성하여(S805) 스마트폰(41)에 전송한다(S806).
이때,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스마트폰(41)으로부터 금융거래번호 생성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일회성으로 금융거래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ATM기기(42)에 표출된 다양한 출금 방식(6a) 중에서 스마트폰 인증을 통한 모바일 출금 방식을 선택하고(S807), 스마트폰(41)을 ATM기기(42)에 설치되어 있는 ATM ID 제공부(44)에 태그하면(5d, 6b), 스마트폰은 ATM ID 제공부(44)로 부터 ATM ID 정보를 획득한다(S808). 여기서, ATM ID 제공부는 스마트폰에 ATM ID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떤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NFC를 이용한 태그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스마트폰(41)이 ATM ID 제공부(44)로부터 ATM ID 정보를 획득하면(S808), ATM ID 정보, 금융거래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를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에 전송한다(S809). 이때,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에는 금융거래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 이외에 인출하고자 하는 금액 및 권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를 수신한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는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에 포함된 ATM ID 정보를 활용하여 어느 ATM기기에 금융거래정보를 전달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ATM기기에서 실행할 내역을 생성한다(S810). 그리고,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는 ATM기기(42)에서 실행할 내역, 금융거래번호, 스마트폰 번호 및 실행 내역을 포함하는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해당 ATM기기에 전송한다(S811).
ATM기기(42)가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로부터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수신하면,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스마트폰 번호 및 금융거래번호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에 전송한다(S812). 이때, 스마트폰 번호 및 금융거래번호는 금융거래 인증요청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금융거래 인증요청메시지를 통해 스마트폰 번호 및 금융거래번호를 수신한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금융거래번호 생성요청메시지를 통해 수신한(S804) 스마트폰 번호와 금융거래 인증요청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S812) 스마트폰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금융거래승인시스템에서 생성한(S805) 금융거래번호와 금융거래 인증요청메시지를 통해 수신한(S812) 금융거래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스마트폰 번호의 일치 여부 및 이와 대응되는 금융거래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금융거래 제1인증을 수행하고(S813),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생성하여(S814), 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41)에 전송한다(S815). 사용자의 스마트폰(41)은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도5의 5e와 같이 화면에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표출한다(S816).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이 ATM기기(42)에 금융거래 인증번호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면(S817), ATM기기(42)는 도6의 6c 와 같이 금융거래 인증번호 입력 요청 화면을 표출하고(S818), 사용자로부터 스마트폰(41)에 표출된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에 전송한다(S819).
금융거래 승인시스템(43)은 자신이 생성하여(S814) 사용자의 스마트폰(41)에 전송한(S816) 금융거래 인증번호와 ATM기기(42)로부터 수신한(S819)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금융거래 제2인증을 수행하고(S820), 그 결과를 금융거래 인증결과 메시지를 통해 ATM기기(42)에 전송한다(S821).
ATM기기(42)가 금융거래 인증결과 메시지를 수신하면,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실행내역을 실행한다(S822).
예를 들어, ATM기기(42)에서 실행할 실행내역은 도6d 와 같은 ATM기기(42) 화면에 거래금액, 인출할 권종 등의 정보를 표출시키는 것이다. 즉,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5)가 사용자 스마트폰(41)로부터 금융거래 정보전달 메시지를 통해 인출할 금액, 권종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809), 이를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ATM기기(42)로 전송하면(S811), ATM기기(42)는 도6의 6d와 같은 사용자 화면에 인출할 금액 및 권종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41)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인출할 금액 및 권종을 입력하기만 하면, 별도로 ATM기기(42)에 이와 같은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ATM기기(42)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가 자신의 스마트폰(41)에 입력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실행내역은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42)에서 명령어 형태로 생성되어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ATM기기(42)는 명령어 형태로 생성된 실행내역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명령어 형태로 생성된 실행내역을 실행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이미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식이 정해져 있는 ATM기기(42)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형식에 맞추어 금액 및 권종 정보를 키보드 입력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ATM기기(42)가 금융거래 실행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도6의 6d와 같은 화면을 표출시키면(S822),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화면 혹은 ATM기기(42)에 설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출금 금액 및 권종 정보를 확인한다(S823). 확인 결과가 입력되면, ATM기기(42)는 출금 금액 및 권종에 해당하는 현금을 토출한다(S824).
도8의 실시예는 도7의 실시예에 추가적인 인증을 더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한 것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 및 금융기관은 더욱 안전한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41 : 사용자 스마트폰 42 : ATM기기
43 : 금융거래 승인시스템 44 : ATM ID 제공부
45 :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 46 : 통신망

Claims (4)

  1. 사용자로부터 출금방식 및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스마트폰 정보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의한 상기 금융거래 인증번호 확인에 따라 금융거래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출금할 금액 및 권종을 포함하는 거래관련 정보를 확인 받는 단계; 및
    현금을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융거래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2. 사용자로부터 출금방식을 입력받는 단계;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로부터 금융거래번호 및 실행내역을 포함하는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금융거래번호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인증요청 메시지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으로부터 금융거래 인증결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내역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출금할 금액 및 권종을 포함하는 거래관련 정보를 확인 받는 단계;
    현금을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융거래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3.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로부터 금융거래번호 및 실행내역을 포함하는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금융거래번호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인증요청 메시지를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금융거래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으로부터 금융거래 인증결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실행내역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출금할 금액 및 권종을 포함하는 거래관련 정보를 확인 받는 단계; 및
    현금을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융거래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4. 금융거래번호를 생성 및 전송하고, 금융거래를 인증하는 금융거래 승인시스템;
    실행내역을 수신하여 실행하고, 사용자의 거래정보 확인에 따라 현금을 토출하는 ATM 기기;
    상기 ATM 기기에 부여된 ATM ID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ATM ID 제공부;
    상기 금융거래 승인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금융거래번호 및 상기 ATM ID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ATM ID를 전송하는 사용자 스마트폰 및
    상기 ATM 기기에서 실행할 실행내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실행내역 및 상기 금융거래번호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실행메시지를 상기 ATM 기기에 전송하는 금융거래정보 전달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KR1020200042687A 2020-04-08 2020-04-08 금융거래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금융거래 시스템 KR102669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87A KR102669787B1 (ko) 2020-04-08 금융거래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금융거래 시스템
JP2020200318A JP7171078B2 (ja) 2020-04-08 2020-12-02 移動通信端末機と通信が可能な金融取引端末機、これを利用した金融取引システム及び金融取引方法
US17/117,109 US11393298B2 (en) 2020-04-08 2020-12-10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N202180025648.2A CN115362462A (zh) 2020-04-08 2021-04-08 金融交易系统及方法
PCT/KR2021/004441 WO2021206481A1 (en) 2020-04-08 2021-04-08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EP21785121.1A EP4133444A4 (en) 2020-04-08 2021-04-08 SYSTEM AND PROCEDURES FOR FINANCIAL TRANSACTIONS
TW110112706A TW202139107A (zh) 2020-04-08 2021-04-08 金融交易系統及金融交易方法
ARP210100929A AR121795A1 (es) 2020-04-08 2021-04-08 Sistema y método de transacción financi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87A KR102669787B1 (ko) 2020-04-08 금융거래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금융거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6620A Division KR20240081464A (ko) 2024-05-22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42A true KR20210125242A (ko) 2021-10-18
KR102669787B1 KR102669787B1 (ko) 2024-05-28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1078B2 (ja) 2022-11-15
US20210319672A1 (en) 2021-10-14
TW202139107A (zh) 2021-10-16
AR121795A1 (es) 2022-07-13
JP2021168109A (ja) 2021-10-21
EP4133444A1 (en) 2023-02-15
CN115362462A (zh) 2022-11-18
US11393298B2 (en) 2022-07-19
WO2021206481A1 (en) 2021-10-14
EP4133444A4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408B2 (en) Multi-signature verification network
US10467604B1 (en) ATM transaction with a mobile device
US11308481B1 (en) Cardless ATM authentication
WO2012042262A1 (en) Mobile payment system
KR101807764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8616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rd interactions
US20120197796A1 (en) Cash dispensing at atm
US1039524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rd interactions
US201802042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authentication using dynamic wireless beacon devices
CN111886618A (zh) 数字访问代码
JP7171078B2 (ja) 移動通信端末機と通信が可能な金融取引端末機、これを利用した金融取引システム及び金融取引方法
KR101865879B1 (ko) 선승인에 의한 금융거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9787B1 (ko) 금융거래 자동화기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금융거래 시스템
US20220327518A1 (en) Multi-Purpose Physical Smartcard
CA29948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authentication using dynamic wireless beacon devices
KR202400814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금융거래단말기, 이를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US20220405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banking device
US20240070670A1 (en) Hybrid transaction operations
KR101133271B1 (ko) 금융 거래를 위한 승인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17893207A (zh) 一种基于微信小程序的转账方法、装置、终端及介质
KR20050103642A (ko) 안전 금융 거래 방법
KR20150020854A (ko) 대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