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006A -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006A
KR20210123006A KR1020200040150A KR20200040150A KR20210123006A KR 20210123006 A KR20210123006 A KR 20210123006A KR 1020200040150 A KR1020200040150 A KR 1020200040150A KR 20200040150 A KR20200040150 A KR 20200040150A KR 20210123006 A KR20210123006 A KR 2021012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osmetic composition
skin
mixed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티바리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티바리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티바리빙
Priority to KR102020004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006A/ko
Publication of KR2021012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신령버섯(Agaricus blazeii), 저령(Polyporus umbellatus) 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이 염증 작용과 관련된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의 생성 억제, 세포독성 완화, 자외선 조사에 의 한 홍반 생성 억제, 락틱산 등의 자극원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 항염증 효과 등을 통해 피부 트러블 완화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f skin trouble containing mixing extract of Sparassis crispa, Agaricus blazeii and Polyporus umbellatus}
본 발명은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신령버섯(Agaricus blazeii), 저령(Polyporus umbellatus) 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 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 합 추출물이 염증 작용과 관련된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의 생성 억제, 세포독성 완화, 자 외선 조사에 의한 홍반 생성 억제, 락틱산 등의 자극원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 항염증 효과 등을 통해 피부 트 러블 완화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전 표면을 덮고 있고, 외부의 환경 및 자극으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수분증발 억제 및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장벽으로서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는 항상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 조사량 증가, 스트레 스, 유해 화학 물질 등에 항상 노출되어 피부의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활성이 감소하게 되고, 콜라겐 합 성능력 및 엘라스틴 합성능력의 감소, 수분보유능력 감소, 건조 피부 증가, 외부 감염원에 대한 방어능력 감소 등으로 인해 외부자극에 민감하게 작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홍반, 부종, 여드름, 가려움 등의 피부 트러블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각종 자극원에 의한 피부 자극 및 염증을 감소시키고, 특 히 세정제 및 화장품에 함유된 합성 계면활성제들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하 여 현대인의 피부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피부 트러블 완화 효능이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은 자극이나 염증, 알레르기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 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개인 관리 제품(Personal care products)을 사용하는 사람 중 10% 이상 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 이상이 자신 을 민감성 피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최근의 화장품은 피부에 실질적인 효과(real effect)를 줄 수 있는 기능성화장품(cosmeceutical)에 치중하는 동향이어서 화장품 등의 개인 관리 제품의 사용 으로 인한 피부 부작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여 진다.
이처럼 민감 피부라고 느끼고 있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요인은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 조사량 증가, 생활 공간의 건조화, 개인의 알레르기 체질, 스트레스, 화학 유해 물질의 증가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한편으로 최근 소비자의 지향이 자연 친화적, 저자극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도 민감 피부에 대한 의식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되 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의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는 20종에서 50여종까지의 원료를 사용하게 된 다. 이들 원료들은 피부자극 검사를 통하여 그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나 제품에 적용됨으로써 피부에 염증, 가려 움증 및 알레르기 등의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반응들이 모든 사람에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특정인에게만 일어날 수도 있다.
종래, 피부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으며, 예를 들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 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기능성 원료 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이와 같 은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락틱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살리실산(salicylcic acid), 레티노이드 (retinoid) 등은 피부세포 재생의 촉진 또는 항주름의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 함유되지만 피 부자극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NaOH나 KOH 등의 강알칼리를 자극 유발 기능성 원료에 첨가하여 산도를 중화시켜 자극을 완화하고자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이와 같은 처방은 기존 원료의 효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세포간의 면역유발물질들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CGRP(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물질 P(sunstance P) 등의 신경 펩티드류 (Neuropepetides), 조직이나 혈장에서 스트레스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bradykinin)과 같은 키닌류 (kinins) 등, 피부세포와 면역세포에서 다양한 사이토카인(cytokine) 및 PGE2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 여하여 염증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 제, COX 억제제 등이 피부염증 및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로 제시되어 왔으며, 자극완화에 대한 화장료를 살펴보면 비타민 복합체를 이용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자극의 완화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0-0058730호),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 추출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 0015654호),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공개특허 제2002-0063987호) 등이 있으나 뚜렷한 효과를 나 타내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및 자유 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천연 성분을 찾아내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이 피부 트러블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 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 는 자외선에 의한 홍반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따른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홍반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따른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20 중량%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이 1: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 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 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신령버섯(Agaricus blazeii), 저령(Polyporus umbellatus)으로 이루 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이 염증 작용과 관련된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고, 세포독성 완화, 자외선 조사에 의한 홍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과, 락틱산 등의 자극원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피부자극완화용 및 자 외선에 의한 홍반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버섯이다. 전 세계에 1과 1속 2종이 보고되 어 있다. 자실체는 하얀 꽃 모양으로 10~25㎝ 크기의 꽃양배추 모양을 하고 있다. 색은 전체적으로 담황색 또는 흰색이고 두께는 1mm 정도로 평평하며 갓 둘레는 물결 모양인데 표면은 백색에서 담황색의 색깔을 지니고 있다. 가을에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너도밤나무, 메밀잣나무 등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뿌리 부근 땅 위나 그루터기 위에 단생하는 근주심재 갈색 부후성 버섯이다. 흔하게 발견되지 않아 귀하게 대접받는 버섯중의 하나이다. 꽃 송이버섯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식용버섯으로서 씹 는 맛이 좋고 송이버섯과 같은 향이 나므로, 꽃모양을 하고 있는 송이버섯과 같다고 하여 '꽃송이버섯'이라고 부른다. 특히 꽃송이버섯은 일본 동경 약학대학의 연구 그룹에서 발표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꽃송이버섯 자실체 생산에 대한 인공재배는 1998년 봄, 일본 사이타마현 쿠마가야 농업고등학교의 후쿠시마 선 생이 연구하여 성공하여 인공재배가 가능해졌다. 최근의 연구에서 면역력을 높이고 암을 방지하는 성분은 베타 (1→3)D 글루칸이라고 해명되었는데 꽃송이버섯의 성분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상상도 못할 만큼 베타글루칸이 많 이 함유되어 있는데, 브라질산 아가리쿠스버섯보다 약 3배 이상이나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상기 신령버섯(Agaricus blazeii)은 아가리쿠스버섯(Agaricus) 또는 흰들버섯이라고도 하며, 분류상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원산지는 아메리카, 분포지역은 미국 플로리다주 일대와 라틴아메리카 북부 고원지대, 자생지는 미 국 플로리다주 및 브라질의 산간지대, 크기는 자루 5~10㎝, 갓 6~12㎝로, 생김새는 양송이와 비슷하지만, 자루 가 양송이보다 두껍고 길다. 그리고 갓의 겉부분은 발생 조건에 따라 흰색·갈색 또는 옅은 갈색을 띠지만, 자루는 희고 들에서 자생하는 버섯 가운데 가장 무거운 편에 속하며, 포자의 갈변(褐變)이 늦고, 마른 오징어나 멸치 냄새 같은 구수한 향이 나며, 씹으면 단맛이 난다. 1944년 미국 플로리다주(州)에서 처음 발견된 뒤, 1960 년대 중반 브라질의 산악지대인 피아다데의 원주민들이 식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 으며, 북아메리카와 중남미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 다른 지역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단백질·지방·섬유질·비타민·무기염류·아미노산·필수지방산·핵산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고, 암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에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1990년대를 전후해 인공재배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92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인공재배에 성공하였고, 현재는 한국·중국에서도 인공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자연 상태로 채취하면 바로 썩기 시작하기 때문에 날것으로는 보관하기 어렵고, 주로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해 보관한 다.
상기 저령(Polyporus umbellatus)은 주령, 시령, 저시령, 지오도, 희령, 가저시 등의 이명으로도 불리며, 분류 상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가을에 활엽수림 내의 특히 오리나무, 참나무, 단풍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산뿌리에 기생하며 그 성미는 달고 쓰다. 주로 한국·일본·유럽·중국·미국 등에 분포하며, 자루는 밑동에서 몇 번 갈라지며 갓은 각 가지의 끝에 핀다. 높이는 10~20cm, 지름은 10~30cm이다. 균핵은 불규칙한 괴상으로 생강과 비슷한 것이 많고 표면은 특이한 형태를 보이며 황백색 또는 족제비색이다. 마치 돼지 변과 비슷하여 ‘저령’이란 명칭이 붙었다. 자실체는 복잡하게 가지친 자루와 갓으로 된다. 불규칙 한 긴 덩어리이거나 원형에 가까운 덩어리로 크기는 고르지 않으며 긴 것은 대개 굽어 있거나 생강처럼 갈라지 며 길이 5~25cm이다. 표면은 흑색이거나 흑갈색으로 쭈그러져 있거나 혹은 혹모야의 돌기가 있다. 가볍고 질기 며 단면은 유백색이거나 황백색을 띤다. 저령은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소변을 잘 보지 못하 거나 온몸에 부종이 있을 때 이용하고 임신중에 소변을 잘 보지 못하고 다리가 붓는 증상, 소화기능이 약하여 속이 차고 설사를 하는 증상에 좋다.
본 발명에 의한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을 다양한 조성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꽃송이버 섯, 신령버섯, 저령을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상기 추출 물은 여과되고, 동결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2 ~ 10 배로 한다.
상기 침적 온도는 30 ~ 9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침적 시간은 5 ~ 20 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시간이다.
상기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 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 시키고, 상층액을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2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 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 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 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 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 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 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 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 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 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 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제조예 1]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의 제조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g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정제수 500ml에 침지시켜 70℃ 수욕조에서 10시간 이상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여 혼합 추 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꽃송이버섯 추출물의 제조
꽃송이버섯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꽃송이버섯 100g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정제수 500ml에 침지시켜 70℃ 수욕조에서 10시간 이상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 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여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신령버섯 추출물의 제조
신령버섯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신령버섯 100g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정제 수 500ml에 침지시켜 70℃ 수욕조에서 10시간 이상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 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여 신령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저령 추출물의 제조
저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저령 100g을 파쇄기에 곱게 파쇄하여 정제수 500ml 에 침지시켜 70℃ 수욕조에서 10시간 이상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 하여 여과액을 취하여 저령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생성 억제효과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에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생쥐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10 씩 세포를 분주하여 10%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아스피린(aspirin)을 최종 농도가 500μM이 되도록 첨가하여 세포에 잔존하는 프로스타 글란딘 생합성 효소(prostaglandin H2 synthetase, 또는 cyclooxygenase)의 활성을 억제시켰다. 아스피린 처리 2시간 후에 RAW264.7 세포가 들어있는 각 웰을 PBS로 2회 세척하고, 각 웰에 1㎍/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함유한 10% FBS-DMEM 배지를 200㎕씩 넣었다(대조군에는 LPS가 없는 배지를 가함). 그런 다음, 상기 제조예의 추출물을 최종농도 1%가 되도록 처리한 후,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16시간 동안 생합성된 PGE2를 정량함으로서 상기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 다. PGE2의 양은 ELISA 판독기 450 nm에서 측정하여 정량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이 제조예 2내지4의 추출물에 비해 매우 우수한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제조예1의 혼합 추출물이 항염증에 매우 유용한 성분일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세포독성 완화 효과 시험
4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를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의 각 웰에 5x10 세포를 분주하여 10% 우
태아 혈청이 함유된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후 우태아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체하고, 상기 제조예 1 ~ 4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배양액 내에 최종농도 100ppm이 되도록 첨가한 후, 4시간 후에 0.02%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 SDS)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에 5㎎/㎖의 황 색 테트라졸리움염(MTT) 용액을 웰당 10㎕ 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황색 테트라졸리움염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 칠설폭시드(DMSO)를 웰당 100㎕씩 가한 다음, 10분간 용해하여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70nm의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표 2
[0054] 시 료 세포생존율 (%)
음성대조군(-SDS) 100.0 양성대조군(+SDS) 12.5 SDS + 제조예1 89.5 SDS + 제조예2 65.1 SDS + 제조예3 58.4 SDS + 제조예4 54.9
[0055]
[0056] [0057]
[0058]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이 제조예 2~4의 추출물에 비해 가장 우수한 세포독성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항염증 효과 평가법-카라기난 족부 부종(Carrageenan foot edema)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확인하기 위 하여 제조예 1 및 제조예 2~4의 추출물을 각각 10-100 ㎎/㎏을 마우스 복강으로 투여 한 후 1시간 뒤, 0.1% 카 라기난 용액 0.5 ㎖을 실험 동물의 뒷 발바닥에 주입하여 염증을 유발했다. 카라기난 주입 직후와 주입 후 4시 간 뒤의 쥐의 발부피의 변화를 측정하여 억제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구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억제율=(1-ΔV처리군/ΔV 대조군) x 100 (ΔV : 발 부피의 변화)
표 3
[0059] 투여용량 (㎎) %억제율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10 32.7 21.5 22.6 19.6 50 49.3 40.6 39.5 35.9 100 65.4 51.6 49.4 46.3
-7-
-----------------------------------------------------Page 7-----------------------------------------------------
?
[0060]
[0061] [0062]
공개특허 10-2011-0037464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1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이 제조예 2~4에 비하여 탁월
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제조예 1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고,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각
각 꽃송이버섯 추출물, 신령버섯 추출물, 저령 추출물이 함유된 비교예 및 상기 추출물이 결여된 화장료 조성 물을 하기 표 4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표 4
[0063] 구분 함량(중량%)
성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
4.0 - - - -
(제조예 1)
꽃송이버섯 추출물 (제조예 2) - 4.0 - - - 신령버섯 추출물 (제조예 3) - - 4.0 - - 저령 추출물 (제조예 4) - - - 4.0 -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 5.0 5.0 5.0 5.0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5.0 5.0 5.0 5.0 5.0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
2.0 2.0 2.0 2.0 2.0
[0064] [0065]
[0066]
우레스-7
폴리소르베이트60 1.7 1.7 1.7 1.7 1.7 솔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3 1.3 1.3 1.3 1.3 향료, 방부제 정량 정량 정량 정량 정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4: 자외선 조사 시 홍반생성 억제효과
상기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하여 자외선 조사 시 홍 반생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색차계 (Minolta, Chromameter CR 300)를 이용하여 a값을 산출하였다. 실내에 서 건강한 여성 50명 (평균연령 28.9세)을 대상으로 각각 10명씩 5 그룹으로 분리하여 피검자의 팔 위쪽 부위에 실시예 및 비교예 1~4에 의한 시료를 2회/1일, 1주일간 도포한 후 자외선을 0.88 J/㎠, 1회/1일 3회 조사하였다. 조사 전의 a값과 조사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a값의 차이인 △a 값을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구하 여 홍반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수학식 2
홍반생성 억제효과(%)= (조사후의 a값-조사전의 a값)/조사전의 a값 x 100
표 5
[0067] 구 분 홍반생성 억제효과 (%)
실시예 82.0 비교예1 63.2 비교예2 59.1 비교예3 48.6 비교예4 12.0
[0068]
[0069]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가 비교예 1~4에 비하여 자외선에 의한 홍반생성을 억제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인체 피부 첩포시험
-8-
-----------------------------------------------------Page 8-----------------------------------------------------
?
[0070]
[0071]
공개특허 10-2011-0037464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인체 피부 첩포시험을 통하여 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 자극 물질인 락틱산 5.0%를 자극원으로 첨가한 실시예 및 비교예 1~4를 사용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 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 ㎍씩 핀챔버(Finn chamber, 100x10, EPITEST, 핀란드)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 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마킹펜으로 시 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표시 후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 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나있 다.
*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0072] 기 호 점수 평가 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수학식 3
[0073]
평균피부반응도 (mean response rate)=(점수 x 반응 수 x 100 x 1/2) / [3(최대 점수) x 총피검자수(n)]
표 6
[0074] 시험물질 1 시간 후 24 시간 후 반응도 (%)
± + ++ ± + ++
(n=20)
실시예 + 5% 락틱산 비교예1 + 5% 락틱산 비교예2 + 5% 락틱산 비교예3 + 5% 락틱산 비교예3 + 5% 락틱산
6 - - 7 1 - 9 1 - 8 1 -
12 2 -
1 - - 2 - - 2 - - 1 1 - 2 1 -
2.92 4.58 5.42 5.42 8.33
[0075]
[0076]
[0077] [0078]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가 비교예 1~4에 비하여 락틱산에 의해 유발된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앞선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 장료 조성물을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 다.
[제형예 1]유연 화장수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 표 7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
다.
표 7
[0079] 원료 함량(중량%)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
1.00
(제조예 1)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9-
-----------------------------------------------------Page 9-----------------------------------------------------
?
[0080] [0081]
공개특허 10-2011-0037464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영양 크림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 표 8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표 8
[0082] 원료 함량(중량%)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
4.0
(제조예 1)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4)

  1.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3.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홍반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40150A 2020-04-02 2020-04-02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3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50A KR20210123006A (ko) 2020-04-02 2020-04-02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50A KR20210123006A (ko) 2020-04-02 2020-04-02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06A true KR20210123006A (ko) 2021-10-13

Family

ID=7811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50A KR20210123006A (ko) 2020-04-02 2020-04-02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0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9408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미백효과를 갖는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4502139B (zh) 富含2,5-二甲酰基呋喃的阿拉伯辣木种子提取物、其获得方法及其在化妆品组合物中的用途
KR102400179B1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3006A (ko) 버섯 등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6747B1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83029B1 (ko) 쌀 유래 배아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흡수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80017679A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313715B1 (ko) 은행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5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1150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8572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4652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10008657A (ko) 감 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항염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