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830A -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 Google Patents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830A
KR20210121830A KR1020200039173A KR20200039173A KR20210121830A KR 20210121830 A KR20210121830 A KR 20210121830A KR 1020200039173 A KR1020200039173 A KR 1020200039173A KR 20200039173 A KR20200039173 A KR 20200039173A KR 20210121830 A KR20210121830 A KR 20210121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ading
buffer
coupled
disposed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111B1 (ko
Inventor
허영우
이성열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42Bucket elevators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하역컨베이어를 통하여 지상으로 운반하는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역컨베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선박 내부의 하역물을 채취하는 하역부; 및 상기 연결부와 하역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Unloading apparatus and Continuous ship unload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부에 존재하는 하역물을 지상으로 운반하는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식 하역기란, 항만에 접안된 선박으로부터, 선박에 적체된 다양한 화물(하역물)을 부두로 하역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선박에 적체된 하역물은 석탄, 곡물, 시멘트, 광물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식 하역기는, 스크류 타입과 버켓 타입으로 구분된다. 스크류 타입은 수직바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선박에 적체된 하역물을 이송하는 것이며, 버켓 타입은 버켓으로 하역물을 채취한 후 버켓을 상부로 이동시켜 하역물을 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연속식 하역기는, 지상에 설치되는 지지장치와, 지지장치에 설치되며 하역물을 지송으로 이송하는 하역 컨베이어와, 하역 컨베이어의 단부에 설치되어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하역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하역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종래의 연속식 하역기에 의하면, 선박이 해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파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선박 내부의 하역물을 채취하기 위해 선박 측으로 접근한 하역장치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로 인해 하역장치가 손상,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선박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도록 개선된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하역컨베이어를 통하여 지상으로 운반하는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역컨베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선박 내부의 하역물을 채취하는 하역부; 및 상기 연결부와 하역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하역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지상으로 운반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있어서, 항만의 지상에 설치되는 지지장치; 상기 지지장치에 설치되며, 하역물을 지상으로 이송하는 하역 컨베이어; 및 상기 하역 컨베이어에 결합되며,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상기 하역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하역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역장치는, 상기 하역컨베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선박 내부의 하역물을 채취하는 하역부와, 상기 연결부와 하역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지지부재와,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하역부에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완충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수단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배치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완충수단의 일단이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 또는 유압실린더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하역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퀴와, 상기 회전바퀴에 감겨지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설치되며, 하역물을 채취하는 버켓과, 상기 회전바퀴와 완충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타 측에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역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완충지지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안착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상기 제1안착부재 반대 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완충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안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장치는, 지상에 안착되며, 상기 하역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하역 컨베이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완충수단보다 변형계수(Modulus of deformation)가 큰 보조완충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의 강도 및 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완충부와 상기 완충수단의 각 변형계수의 차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의하면, 연결부와 하역부의 사이에서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선박이 해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하역부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완충부가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의하면, 완충수단보다 변형계수가 더 큰 보조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미세한 충격은 완충수단이 흡수하고 보다 큰 충격은 보조완충부가 흡수하는 2중의 충격흡수 구조를 구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장치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하역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하역장치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하역부에 충격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10)는, 항만(Port)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항만에 정박된 선박(1)에 적체된 하역물(2)을 지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10)는, 지지장치(11), 하역 컨베이어(15) 및 하역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장치(11)는, 항만의 지상에 설치되며, 상기 하역 컨베이어(15)와 하역장치(10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장치(11)는, 지지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는, 항만의 지상에 안착되며, 상기 하역 컨베이어(15)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하역 컨베이어(12)는, 상기 지지부(1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하역장치(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역 컨베이어(15)는, 상기 하역장치(100)가 선박(1)으로부터 취출하는 하역물(2)을 공급받아, 이를 지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역 컨베이어(15)는, 상기 지지부(12)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12)의 상측에서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역장치(100)는, 상기 하역 컨베이어(15)에 설치되며, 선박(1)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2)을 상기 하역 컨베이어(15)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역장치(100)는, 연결부(110), 하역부(120) 및 완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하역 컨테이너(15)의 단부에 설치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하역부(120) 및 완충부(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하역부(120)가 채취한 하역물(2)이 내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송되며, 상측으로 이송된 하역물(2)을 상기 하역 컨베이어(15)로 공급한다.
상기 하역부(120)는, 상기 연결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선박(1)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2)을 채취한다. 상기 하역부(12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연결부(110)와 하역부(1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박(1)이 해상에서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하역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완충부(130)는, 완충지지부재(131), 이동부재(132), 완충수단(133), 회전부재(134), 고정부재(135) 및 보조부재(136)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지지부재(131)는, 연결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부재(131)는,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부재(132)는, 상기 한 쌍의 완충지지부재(131)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32)의 하단에는, 상기 하역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수단(133)은, 하단이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이동부재(13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133)은, 상하 길이가 가변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완충수단(133)은, 스프링 또는 유압실린더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역부(120)가 하역물(2)의 채취를 위하여 선박(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선박(1)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선박(1)과 상기 하역부(120)가 충돌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3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역부(120)에 가해진 충격을 상기 완충수단(133)이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역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10)에 의하면, 연결부(110)와 하역부(120)의 사이에서 완충부(130)가 하역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선박(1)이 해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하역부(120)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완충부(130)가 하역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34)는,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132)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부재(134)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한 쌍의 완충지지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34)는, 상기 이동부재(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132)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132)는, 상기 하역부(120)에 충격이 가해질 시에, 상기 한 쌍의 완충지지부재(131)의 사이에서 비틀림 없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회전부재(134)를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결합부재(13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재(134a)는,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의 타 측으로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34)는,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의 타 측에서 상기 회전결합부재(13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결합부재(134a)는, 상기 회전부재(134)를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35)는, 상기 한 쌍의 완충지지부재(131)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수단(133)의 하단이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135)는,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의 수평방향 일 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133) 역시, 상기 이동부재(132)의 수평방향 일 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수평방향 일 측이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도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136)는, 상기 이동부재(132)의 수평방향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완충수단(133)의 일단이 결합된다. 즉, 상기 완충수단(133)은, 상기 보조부재(136)를 통해 상단이 상기 이동부재(132)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135)를 통해 하단이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에 고정된다.
상기 하역부(120)는, 회전바퀴(121), 이송레일(122), 버켓(123), 중간부재(124), 제1안착부재(125) 및 제2안착부재(12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퀴(121)는, 상기 이동부재(13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레일(122)은, 상기 회전바퀴(121)에 감겨지며, 상기 연결부(110)의 내부로 배치된다. 상기 버켓(123)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레일(122)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켓(123)은, 상기 이송레일(122)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선박(1)에 배치된 하역물(2)을 채취하여 상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중간부재(124)는, 상기 회전바퀴(121)와 완충지지부재(131)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132)의 수평방향 타 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수평방향 타 측이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도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부재(124)는,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와 직교를 이루도록,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재(125)는, 상기 중간부재(124)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레일(122)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재(125)는, 상기 완충지지부재(131)와 평행하게, 즉 지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안착부재(126)는, 상기 중간부재(124) 중 상기 제1안착부재(125)가 결합된 곳과는 반대 측 부위에 결합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이송레일(122)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2안착부재(126)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완충지지부재(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이송레일(122)은, 상기 제1안착부재(125)에서는 상승하고, 상기 제2안착부재(126)에서는 하강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안착부재(126)를 따라 하강하는 버켓(123)은, 상기 제2안착부재(126)를 따라 경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선박(1)에 적재된 하역물(2)을 채취한 후, 상기 제1안착부재(125)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부(11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하부터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20)에서, 지지장치(11)는, 상기 지지부(12) 이외에 보조완충부(13) 및 제어부(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완충부(13)는, 상단이 상기 하역 컨베이어(15)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부(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완충부(13)는, 상하 길이가 가변되도록 설계된다. 이때, 상기 보조완충부(13)는, 상기 완충수단(133)보다 변형계수(Modulus of deformation)가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변형계수란, “물체의 변형률”에 대한 “물체에 가해지는 응력”의 비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변형계수가 작은 물체일수록 물체에 가해지는 응력 대비 해당 물체의 변형이 크게 나타나고, 변형계수가 큰 물체일수록 물체에 가해지는 응력 대비 해당 물체의 변형이 작게 나타난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완충수단(133)의 변형계수가 상기 보조완충부(13)의 변형계수보다 작게 설계되는 경우, 선박(1)의 미세한 상하 움직임에 의한 장치의 충격은 상기 완충수단(133)이 흡수하고, 선박(1)의 큰 움직임에 의한 장치의 충격은 상기 보조완충부(13)가 흡수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조건이 비교적 양호한 상태에서, 선박(1)이 상하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경우, 상기 하역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보조완충부(13)의 상하 길이는 변하지 않으면서, 상기 완충수단(133)의 상하 길이만이 변함에 따라, 상기 완충수단(133)만이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반대로 해상 조건이 비교적 악화된 상태에서, 선박(1)이 상하로 크게 움직이게 되는 경우, 상기 하역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완충수단(133)의 상하 길이가 변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완충부(13)의 상하 길이 역시 변함으로써, 상기 완충수단(133)과 보조완충부(13)가 함께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10)에 의하면, 완충수단(133)보다 변형계수가 더 큰 보조완충부(13)를 구비함으로써, 미세한 충격은 완충수단(133)이 흡수하고 보다 큰 충격은 보조완충부(13)가 흡수하는 2중의 충격흡수 구조를 구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장치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30)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하역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상기 이동부재(132)의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부재(132)의 수평방향 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근접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센서가 스트레인 게이지가 되는 경우, 일단은 상기 이동부재(1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완충지지부재(131)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가 근접센서가 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132)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된 물체(예를 들면, 완충지지부재(131))와 이동하는 물체(예를 들면, 중간부재(124))와의 상대적인 거리차를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센서는 변위센서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지지부(12)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센서가 측정한 값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는,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역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의 강도 및 빈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는, 산출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완충부(13)와 상기 완충수단(133)의 각 변형계수의 차이를 조절한다.
만약,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가, 선박(1)이 상하로 미세하게 또는 드물게 움직이는 조건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완충수단(133)의 변형계수와 상기 보조완충부(13)의 변형계수의 차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는, 선박(1)이 상하로 미세하게 또는 드물게 움직이는 조건에서는, 상기 완충수단(133)만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가, 선박(1)이 상하로 급격하게 또는 빈번하게 움직이는 조건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완충수단(133)의 변형계수와 상기 보조완충부(13)의 변형계수의 차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는, 선박(1)이 상하로 급격하게 또는 빈번하게 움직이는 조건에서는, 상기 완충수단(133)과 보조완충부(13)가 함께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10, 20 : 연속식 하역기 11 : 지지장치
12 : 지지부 13 : 보조완충부
14 : 제어부 15 : 하역 컨베이어
100 : 하역장치 110 : 연결부
120 : 하역부 130 : 완충부

Claims (22)

  1.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하역 컨베이어를 통하여 지상으로 운반하는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역 컨베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선박 내부의 하역물을 채취하는 하역부; 및
    상기 연결부와 하역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하역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지지부재와,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하역부에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하역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완충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역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역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수단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역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하역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완충수단의 일단이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역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 또는 유압실린더 중 하나인 하역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역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퀴와,
    상기 회전바퀴에 감겨지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설치되며, 하역물을 채취하는 버켓과,
    상기 회전바퀴와 완충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타 측에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하역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역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완충지지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안착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상기 제1안착부재 반대 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완충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역장치.
  11.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지상으로 운반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있어서,
    항만의 지상에 설치되는 지지장치;
    상기 지지장치에 설치되며, 하역물을 지상으로 이송하는 하역 컨베이어; 및
    상기 하역 컨베이어에 결합되며, 선박 내부에 배치된 하역물을 상기 하역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하역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역장치는,
    상기 하역컨베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선박 내부의 하역물을 채취하는 하역부와,
    상기 연결부와 하역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지지부재와,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하역부에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완충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속식 하역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수단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완충지지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연속식 하역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완충수단의 일단이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 또는 유압실린더 중 하나인 연속식 하역기.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역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퀴와,
    상기 회전바퀴에 감겨지며,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설치되며, 하역물을 채취하는 버켓과,
    상기 회전바퀴와 완충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방향 타 측에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하역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완충지지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안착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상기 제1안착부재 반대 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완충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지상에 안착되며, 상기 하역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하역 컨베이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완충수단보다 변형계수(Modulus of deformation)가 큰 보조완충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역부에 가해지는 충격의 강도 및 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완충부와 상기 완충수단의 각 변형계수의 차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KR1020200039173A 2020-03-31 2020-03-31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KR10238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73A KR102380111B1 (ko) 2020-03-31 2020-03-31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73A KR102380111B1 (ko) 2020-03-31 2020-03-31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30A true KR20210121830A (ko) 2021-10-08
KR102380111B1 KR102380111B1 (ko) 2022-03-30

Family

ID=7861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73A KR102380111B1 (ko) 2020-03-31 2020-03-31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1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887A (ko) * 2011-11-29 2013-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
KR20160024541A (ko) * 2014-08-26 2016-03-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887A (ko) * 2011-11-29 2013-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
KR20160024541A (ko) * 2014-08-26 2016-03-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111B1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01081B (zh) 一种长臂机器人
JP4926750B2 (ja) スキップ式搬送装置
KR102380111B1 (ko)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CN209683520U (zh) 集装箱装卸车月台及集装箱装卸车系统
KR20190014425A (ko) 레일 이송장치
JP6648601B2 (ja) 連続式アンローダの制御方法
JP6331872B2 (ja) シュート装置及びばら物充填装置
TWI591009B (zh) Continuous unloader, continuous unloader, and continuous unloader operation
CN114194871B (zh) 双向移动式装船机及其装船方法
US91149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ying packaged good and/or bulk goods
GB2257680A (en) Conveying equipment.
JP7084790B2 (ja) 搬送装置及びバランス制御方法
WO2010135488A1 (en) Apparatus for transport of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102361365B1 (ko) 하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
RU2625042C1 (ru) Конвейерные весы конвейеров прямого и реверсивного хода
CN216334719U (zh) 工件篮运输机构
CN213949609U (zh) 物料静态计量的输送装置
KR100743561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KR101365529B1 (ko) 스태커
JP7480085B2 (ja) 船舶用アンローダー
KR20230093756A (ko) 벨트컨베이어용 마모방지장치
KR102237624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CN209720821U (zh) 一种物流配送自动指示系统
JP2022146612A (ja) 船舶用アンローダー
KR200261876Y1 (ko) 자동화 창고의 화물운반용 리프터 밸런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