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731A -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731A
KR20210121731A KR1020200038942A KR20200038942A KR20210121731A KR 20210121731 A KR20210121731 A KR 20210121731A KR 1020200038942 A KR1020200038942 A KR 1020200038942A KR 20200038942 A KR20200038942 A KR 20200038942A KR 20210121731 A KR20210121731 A KR 20210121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ort
door
bent
u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수
김우주
김시환
서호성
이동명
장홍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731A/ko
Priority to PCT/KR2021/003900 priority patent/WO2021201553A1/en
Priority to EP21780979.7A priority patent/EP4058736A4/en
Priority to CN202180010549.7A priority patent/CN115038910A/zh
Priority to US17/301,359 priority patent/US20210302026A1/en
Publication of KR2021012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8Stov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가 개시된다. 가전기기는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랜지,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랜지, 상기 사이드 플랜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지지 플랜지로서, 상기 어퍼 플랜지가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일단이 상기 밴딩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모서리 부분의 구조를 개선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조리실 또는 세척실 등 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챔버를 가지고,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도어의 외관을 이루는 섀시, 글라스 및 내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섀시는 한 장의 판재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상하좌우로 밴딩되어 도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섀시의 코너부는 밴딩을 위해 절개될 수 있고, 코너부에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단면이 형성되는 코너부를 용접하거나, 별도의 캡부재로 전단면을 차폐하는 구조를 적용하였기에, 도어의 제작에 있어서 용접작업이 추가되거나, 별도의 캡부재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의 날카로운 모서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섀시를 포함하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별도의 부품이나 용접 등의 추가 공정 없이 생산할 수 있는 섀시를 포함하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기기는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랜지와,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사이드 플랜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지지 플랜지로서, 상기 어퍼 플랜지가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일단이 상기 밴딩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평면 형상을 갖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지지면과 연결되는 만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의 일단의 모서리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만곡면의 경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은 상기 어퍼 플랜지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어퍼 플랜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밴딩부와 분리되는 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랜지의 일단과 상기 사이드 플랜지의 외측면을 포함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평판부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어퍼 플랜지의 일부는 상기 평판부의 상면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랜지는 제1 지지 플랜지이고, 상기 도어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리어 플랜지와, 상기 어퍼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 플랜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제2 지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이고, 상기 밴딩부는 제1 밴딩부이며, 상기 제2 지지 플랜지는 상기 어퍼 플랜지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어퍼 플랜지의 하면과 접촉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타단이 상기 제2 밴딩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랜지는 제1 리어 플랜지이고, 상기 도어는 상기 어퍼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3 지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리어 플랜지와, 상기 어퍼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체결홀과 대응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2 리어 플랜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리세스부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 및 상기 사이드 플랜지와 연결되는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에서 절곡되고, 상기 사이드 플랜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측단에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사상에 따른 도어는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도어로서,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 측면과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섀시와, 상기 어퍼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섀시의 코너 상부에 형성되고, 평면 형상을 갖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과 연결되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일단이 상기 지지면과 상기 만곡면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만곡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리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섀시의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1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2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1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지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상기 어퍼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2 리어 플랜지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세스부와, 리세스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의 어퍼 플랜지에 형성된 날카로운 모서리를 지지 플랜지의 만곡면과 접하게 연결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모서리에 의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어 코너부의 모서리를 용접 작업이나 별도의 부품없이 커버함으로써 도어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섀시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섀시에서 어퍼 플랜지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B-B'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B-B'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C-C'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C-C'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섀시의 평판부와 어퍼 플랜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의 섀시에 있어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게,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주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경우 가전기기 중 오븐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븐(1)은 내부케이스(미도시) 및 외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미도시)에는 복수의 챔버(30,30a)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20)는 내부케이스(미도시)의 외측에 결합되어 오븐(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미도시)와 외부케이스(20)는 각각 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챔버(30,30a)는 제1 챔버(30) 및 제2 챔버(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30)는 제2 챔버(30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챔버(30,30a)는 조리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음식을 수납하도록 이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일 수 있다.
오븐(1)은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챔버(30,30a)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100,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00,100a)는 제1 챔버(30)를 개폐하는 제1 도어(100) 및 제2 챔버(30a)를 개폐하는 제2 도어(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100)는 외부에서 오븐(1)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전면글라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100a) 역시 제2 전면글라스(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100) 전면의 상부에는 제1 도어(100)가 제1 챔버(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1 도어핸들(11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어(100a) 전면의 상부에도 제2 도어(100a)가 제2 챔버(3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2 도어핸들(110a)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챔버(30,30a)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스(미도시)와 오븐(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20) 사이의 공간에는 오븐(1)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부속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품을 수용하는 전장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오븐(1)의 도어(100,100a) 및 챔버(30,30a,)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도어(100) 및 하나의 챔버(30)를 가지는 오븐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도어(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은 제2 도어(100a)에도 동일하게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섀시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섀시에서 어퍼 플랜지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B-B'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C-C'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 도 7을 참조하면, 제1 도어(100)(이하 도어로 명명)는 도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섀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섀시(200)의 자세한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어(100)는 후면글라스(160) 및 후면글라스(160)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글라스(160)는 고정 프레임(15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후면글라스(160)는 제1 챔버(30)를 밀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는 후면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패널(140)은 도어(100)의 후방에 장착되어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패널(140)은 도어(100)가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을 커버하여 도어(100)의 후면 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어(100)는 복수의 락킹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락킹장치(120)는 도어(100)가 본체(1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도어(100)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락킹장치(120)는 후면패널(1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락킹장치(120)는 복수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100)는 하나의 락킹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도어의 전면, 상면, 하면, 측면 및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섀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10)은 한 장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패널(210)의 가장자리는 각각 절곡되어 섀시(200)는 대략 일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210)은 절곡되어 도어(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과 연결되는 복수의 플랜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00)는 후술하는 어퍼 플랜지(310), 사이드 플랜지(320), 지지 플랜지(330), 제1,2 리어 플랜지(361,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10)과 복수의 플랜지(300)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섀시(200)는 하나의 금속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측부에서 절곡되어 도어(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랜지(320)는 어퍼 플랜지(310)에 대해서 수직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플랜지(320)는 전면패널(210)의 양측단에서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내측 방향이란 오븐(10)의 챔버(3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과 나란하게 사이드 플랜지(320)로부터 절곡되어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리어 플랜지(3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어 플랜지(361)는 사이드 플랜지(320)의 일단에서 도어(10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상부에서 절곡되어 도어(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랜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는 전면패널(210)의 상단에서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과 나란하게 어퍼 플랜지(310)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리어 플랜지(3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리어 플랜지(362)는 어퍼 플랜지(310)의 후단에서 절곡될 수 있다. 사이드 플랜지(320)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제2 리어 플랜지(362)의 길이는 사이드 플랜지(320)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어퍼 플랜지(31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리어 플랜지(362)의 양옆에 어퍼 플랜지(310)의 후면(310a)과 후단 모서리(310b)가 배치될 수 있다. 후단 모서리(310b)는 어퍼 플랜지(310)의 후면(310a)과 어퍼 플랜지(310)의 하면(310c)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310b)에 해당될 수 있다.
섀시(200)는 사이드 플랜지(320)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제1 지지 플랜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랜지(331)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0) 각각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플랜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랜지(331)는 어퍼 플랜지(310)와 접촉될 수 있고, 어퍼 플랜지(3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랜지(331)는 어퍼 플랜지(310)와 접촉되는 제1 지지부(341)와, 제1 지지부(341)를 사이드 플랜지(320)에 연결시키는 제1 밴딩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41)는 어퍼 플랜지(310)와 나란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341)는 어퍼 플랜지(310)의 하면(310c)과 접촉될 수 있는 제1 지지면(341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면(341a)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지지부(341)의 상면에 해당될 수 있다.
제1 밴딩부(351)는 일단이 사이드 플랜지(3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지지부(3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밴딩부(351)는 구부러진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밴딩부(351)는 곡면 형상인 제1 만곡면(3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만곡면(351a)은 일정하거나 변화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만곡면(351a)은 제1 밴딩부(351)의 외측면에 해당될 수 있고, 제1 지지면(341a)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만곡면(351a)과 제1 지지면(341a)이 연결됨에 따라 경계(H)가 형성될 수 있고, 경계(H)를 기준으로 제1 지지부(341)와 제1 밴딩부(351)가 구별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는 측부가 제1 지지부(341)와 제1 밴딩부(351)의 경계(H) 상에 위치하도록 제1 지지부(3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플랜지(310)가 제1 지지면(341)과 접촉함에 따라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는 제1 밴딩부(351) 상부에 해당되면서 제1 지지면(341a)과 제1 만곡면(351a)의 경계(H)인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는 어퍼 플랜지(310)의 측면(310g)과 어퍼 플랜지(310)의 하면(310c)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310f)에 해당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의 측면(310g)은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로부터 제1 지지면(341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어퍼 플랜지(310)의 측면(310g)은 제1 지지면(341a)과 제1 만곡면(351a)의 경계(H)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B-B'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퍼 플랜지(310)는 측부가 제1 밴딩부(351) 상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제1 지지부(3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플랜지(310)가 제1 지지면(341a)과 접촉함에 따라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는 제1 지지면(341a)과 제1 만곡면(351a)의 경계(H)와 사이드 플랜지(320)의 외측면(320a)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밴딩부(351) 상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의 측면(310g)은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로부터 제1 지지면(341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어퍼 플랜지(310)의 측면(310g)은 제1 지지면(341a)과 제1 만곡면(351a)의 경계(H)와 사이드 플랜지(320)의 외측면(320a)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밴딩부(351) 상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는 곡면인 제1 만곡면(351a)과 접하여 연결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제1 지지부(341) 옆으로 돌출되는 정도 및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날카로운 어퍼 플랜지(31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퍼 플랜지(310)와 사이드 플랜지(320)가 접하여 형성되는 도어(100)의 모서리를 마감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접작업 또는 결합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플랜지(320)는 제1 밴딩부(351)의 제작을 위하여 사이드 플랜지(3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개부(321)를 포함할 수 있고, 절개부(321)에 의해 제1 밴딩부(351)와 분리되는 평판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321)는 제1 밴딩부(351)를 제작하기 위하여 금속 판재를 구부리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섀시의 평판부와 어퍼 플랜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어퍼 플랜지(310)의 일부는 평판부(322)의 상면(322a)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와 사이드 플랜지(320)의 외측면(320a)을 포함하는 평면(P) 사이의 거리(ℓ)는 사이드 플랜지(320)의 두께(t)와 동일한 평판부의 두께(t)보다 작을 수 있다.
평판부(322)의 두께(t)란 사이드 플랜지(320)의 외측면(320a)과 내측면(320b) 사이의 거리(t)에 해당하므로, 사이드 플랜지(320)의 외측면(320a)을 포함하는 평면(P)과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 사이의 거리(ℓ)가 평판부(322)의 두께(t)보다 작다면,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는 평판부(322)의 상면(322a) 상에 위치하게 되고 어퍼 플랜지(310)의 하면(310c)은 평판부(322)의 상면(322a) 일부를 커버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어퍼 플랜지(310)의 측단 모서리(310f)는 제1 지지면(341a)과 제1 만곡면(351a)의 경계(H)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지지면(341a)과 제1 만곡면(351a)의 경계(H)와 사이드 플랜지(320)의 외측면(320a)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평판부(322)의 날카로운 단면(322a)이 어퍼 플랜지(310)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여 평판부(322)의 단면에 의한 상해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어퍼 플랜지(310)는 평판부(322)의 상면(322a)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판부(322)의 상면(322a)은 온전히 노출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제1 리어 플랜지(361)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제2 지지 플랜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랜지(332)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0) 각각으로부터 절곡되는 한 쌍의 제1 리어 플랜지(361) 각각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제2 지지 플랜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랜지(332)는 어퍼 플랜지(310)와 접촉될 수 있고, 어퍼 플랜지(3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랜지(332)는 어퍼 플랜지(310)와 접촉되는 제2 지지부(342)와, 제2 지지부(342)를 제1 리어 플랜지(361)에 연결시키는 제2 밴딩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342)는 어퍼 플랜지(310)와 나란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342)는 어퍼 플랜지(310)의 하면(310c)과 접촉될 수 있는 제2 지지면(342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면(342a)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지지부(342)의 상면에 해당될 수 있다.
제2 밴딩부(352)는 일단이 제1 리어 플랜지(36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지지부(3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밴딩부(352)는 구부러진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밴딩부(352)는 곡면 형상인 제2 만곡면(35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만곡면(352a)은 일정하거나 변화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만곡면(352a)은 제2 밴딩부(352)의 외측면에 해당될 수 있고, 제2 지지면(342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만곡면(352a)과 제2 지지면(342a)이 연결됨에 따라 경계(V)가 형성될 수 있고, 경계(V)를 기준으로 제2 지지부(342)와 제2 밴딩부(352)가 구별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는 후단부가 제2 지지부(342)와 제2 밴딩부(352)의 경계(V)상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부(3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플랜지(310)가 제2 지지면(342a)과 접촉함에 따라 어퍼 플랜지(310)의 후단 모서리(310b)는 제2 밴딩부(352) 상부에 해당되면서 제2 지지면(342a)과 제2 만곡면(352a)의 경계(V)인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의 후면(310a)은 어퍼 플랜지(310)의 후단 모서리(310b)로부터 제2 지지면(342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어퍼 플랜지(310)의 후면(310a)은 제2 지지면(342a)과 제2 만곡면(352a)의 경계(V)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섀시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 플랜지와 어퍼 플랜지를 보조선 C-C'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어퍼 플랜지(310)는 후단부가 제2 밴딩부(352) 상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부(3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플랜지(310)가 제2 지지면(342a)과 접촉함에 따라 어퍼 플랜지(310)의 후단 모서리(310b)는 제2 지지면(342a)과 제2 만곡면(352a)의 경계(V)와 제1 리어 플랜지(361)의 외측면(361a)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밴딩부(352) 상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의 후면(310a)은 어퍼 플랜지(310)의 후단 모서리(310b)로부터 제2 지지면(342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어퍼 플랜지(310)의 후면(310a)은 제2 지지면(342a)과 제2 만곡면(352a)의 경계(V)와 제1 리어 플랜지(361)의 외측면(361a)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밴딩부(352) 상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랜지(332)는, 제1 지지 플랜지(331)와 유사하게, 어퍼 플랜지(310)의 후단 모서리(310b)와 제1 리어 플랜지(361)의 외측면(361a)을 포함하는 평면(Q) 사이의 거리는 제1 리어 플랜지(361)의 두께(t)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섀시(200)는 하나의 금속 판재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제1 리어 플랜지(361)의 두께(t)는 사이드 플랜지(320)의 두께(t)와 동일할 수 있다.
어퍼 플랜지(310)의 후단 모서리(310b)는 곡면인 제2 만곡면(352a)과 접하여 연결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제2 지지부(342) 옆으로 돌출되는 정도 및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날카로운 어퍼 플랜지(31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퍼 플랜지와 제1 리어 플랜지가 접하여 형성되는 도어의 모서리를 마감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접작업 또는 결합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섀시(200)가 제1 지지 플랜지(331)와 제2 지지 플랜지(332)를 포함하는 경우, 섀시(200)의 후방 코너에 지지 플랜지(330)가 마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플랜지(320)와 제1 리어 플랜지(361)에 의해 형성되는 섀시(200)의 코너 상단에 지지 플랜지(330)가 마련되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섀시(200)는 제3 지지 플랜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플랜지(333)는 사이드 플랜지(320)로부터 제1 리어 플랜지(361)가 절곡되는 코너에 형성될 수 있고, 제3 지지 플랜지(333)는 제1 지지 플랜지(331)와 제2 지지 플랜지(33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랜지(332)와 마찬가지로 제3 지지부(343), 제3 밴딩부(353), 제3 지지면(343a), 제3 만곡면(35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랜지(331), 제2 지지 플랜지(332) 및 제3 지지 플랜지(3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랜지(330)는 제1 지지 플랜지(331), 제2 지지 플랜지(332), 제3 지지 플랜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랜지(330)의 지지부(340)는 제1 지지부(341), 제2 지지부(342), 제3 지지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랜지(330)의 밴딩부(350)는 제1 밴딩부(351), 제2 밴딩부(352), 제3 밴딩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40)의 지지면(340a)은 제1 지지면(341a), 제2 지지면(342a), 제3 지지면(343a)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부(350)의 만곡면(350a)은 제1 만곡면(351a), 제2 만곡면(352a), 제3 만곡면(353a)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의 섀시에 있어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섀시(400)에서 제2 지지 플랜지(332) 및 제3 지지 플랜지(33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어 플랜지(361)의 상단에는 지지 플랜지(330)가 마련되지 않기에 금속 판재를 밴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리어 플랜지(361)의 상단에 지지 플랜지가 마련되는 경우보다 사이드 플랜지(320)와 수직한 방향으로의 제1 리어 플랜지(361)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섀시(400) 제작에 사용되는 판재의 양 및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좀 더 작은 도어용 섀시(400)를 제작할 수 있다.
제1 리어 플랜지(361)는 제1 체결홀(361b)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리어 플랜지(362)는 제1 체결홀(361b)과 대응되는 제2 체결홀(362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어 플랜지(361)는 도어(100)의 후면을 이루는 외측면(361a)에 대해서 전면패널(210)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리세스부(36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체결홀(361b)은 리세스부(363)를 형성하고 전면패널(210)과 나란한 리세스부(363)의 일면(363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홀(362a)은 제1 체결홀(361b)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 리어 플랜지(36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363)에는 제2 리어 플랜지(362)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리세스부(363)에 삽입되는 제2 리어 플랜지(362)의 일부분은 제2 체결홀(362a)이 형성된 부분이므로 제2 리어 플랜지(362)의 일부분이 제1 리어 플랜지(361)의 리세스부(363)에 삽입되면 제1 체결홀(361b)과 제2 체결홀(362a)을 포개어질 수 있다. 제1 체결홀(361b)과 제2 체결홀(362a)을 관통하는 통상적인 리벳, 핀,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제1 리어 플랜지(361)와 제2 리어 플랜지(362)는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별도의 용접작업이나 특수하게 제작되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통상적인 리벳, 핀,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제2 리어 플랜지를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할 수 있고, 그 체결부재의 숫자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섀시 및 도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오븐; 1
복수의 챔버; 30,30a
도어; 100,100a
섀시; 200,400
전면패널; 210
어퍼 플랜지; 310
사이드 플랜지; 320
절개부; 321
평판부; 322
평판부 상면; 322a
제1 지지 플랜지; 331
제2 지지 플랜지; 332
제3 지지 플랜지; 333
제1 지지부; 341
제1 지지면; 341a
제2 지지부; 342
제2 지지면; 342a
제3 지지부; 343
제3 지지면; 343a
제1 밴딩부; 351
제1 만곡면; 351a
제2 밴딩부; 352
제2 만곡면; 352a
제3 밴딩부; 353
제3 만곡면; 353a
제1 리어 플랜지; 361
제1 체결홀; 361b
리세스부; 363
제2 리어 플랜지; 362
제2 체결홀; 362a

Claims (20)

  1.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랜지;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랜지;
    상기 사이드 플랜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지지 플랜지로서, 상기 어퍼 플랜지가 접촉되는 지지부와, 상기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일단이 상기 밴딩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평면 형상을 갖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지지면과 연결되는 만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의 일단의 모서리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만곡면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어퍼 플랜지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어퍼 플랜지를 지지하는 가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밴딩부와 분리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랜지의 일단과 상기 사이드 플랜지의 외측면을 포함하는 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평판부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어퍼 플랜지의 일부는 상기 평판부의 상면 일부를 커버하는 가전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는 제1 지지 플랜지이고,
    상기 도어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리어 플랜지;
    상기 어퍼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 플랜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제2 지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이고, 상기 밴딩부는 제1 밴딩부이며,
    상기 제2 지지 플랜지는
    상기 어퍼 플랜지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 밴딩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어퍼 플랜지의 하면과 접촉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타단이 상기 제2 밴딩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랜지는 제1 리어 플랜지이고,
    상기 도어는
    상기 어퍼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3 지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리어 플랜지;
    상기 어퍼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되는 가전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체결홀과 대응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2 리어 플랜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홀은 상기 리세스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전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결합되는 가전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 및 상기 사이드 플랜지와 연결되는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에서 절곡되고, 상기 사이드 플랜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측단에서 절곡되는 가전기기.
  16.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도어로서,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 측면과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섀시;
    상기 어퍼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섀시의 코너 상부에 형성되고, 평면 형상을 갖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과 연결되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랜지는
    일단이 상기 지지면과 상기 만곡면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만곡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면과 접촉되는 도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리어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섀시의 코너에 형성되는 도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 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1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2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1 지지 플랜지와 상기 제2 지지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는 도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어퍼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리어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되는 도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2 리어 플랜지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리세스부와, 리세스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리어 플랜지는 상기 제1 리어 플랜지에 고정되는 도어.
KR1020200038942A 2020-03-31 2020-03-31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210121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42A KR20210121731A (ko) 2020-03-31 2020-03-31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PCT/KR2021/003900 WO2021201553A1 (en) 2020-03-31 2021-03-30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EP21780979.7A EP4058736A4 (en) 2020-03-31 2021-03-30 DOOR AND HOUSEHOLD APPLIANCE WITH SAID DOOR
CN202180010549.7A CN115038910A (zh) 2020-03-31 2021-03-30 门和具有门的家用电器
US17/301,359 US20210302026A1 (en) 2020-03-31 2021-03-31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42A KR20210121731A (ko) 2020-03-31 2020-03-31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731A true KR20210121731A (ko) 2021-10-08

Family

ID=7785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942A KR20210121731A (ko) 2020-03-31 2020-03-31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02026A1 (ko)
EP (1) EP4058736A4 (ko)
KR (1) KR20210121731A (ko)
CN (1) CN115038910A (ko)
WO (1) WO2021201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8808B1 (en) * 2020-09-30 2023-05-03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a door latch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9988A (en) * 1981-05-21 1982-12-15 Ti Domestic Appliances Ltd Composite panel structures e.g. oven doors
GB2186967B (en) 1986-02-22 1989-11-08 Edward Rose Oven door
US5029571A (en) * 1990-08-23 1991-07-09 Mills Products, Inc. Oven door window unit
US5568712A (en) 1995-03-21 1996-10-29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US6709029B2 (en) * 2001-12-21 2004-03-23 Emerson Electric Co. Door latch mechanism and associated components for a self-cleaning oven
US6830045B2 (en) * 2003-03-12 2004-12-14 Maytag Corporation Gas burner module for a cooking appliance
KR100641444B1 (ko) 2004-08-09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CN201416937Y (zh) * 2009-07-21 2010-03-03 岑乾光 一种烤箱门体结构
DE102010027918A1 (de) * 2010-04-19 2011-10-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blat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ürblatts und Kältegerät mit einem Türblatt
KR20130011485A (ko) 2011-07-21 201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도어
CN202885035U (zh) * 2012-10-26 2013-04-17 宁波吉盛电器有限公司 一种烤炉的炉门结构
KR101717531B1 (ko) * 2015-05-12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0485330Y1 (ko) * 2015-07-03 2017-12-22 임우창 가구용 문 조립체
US10113749B2 (en) * 2015-08-27 2018-10-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Panel assemblies and methods for forming panel assemblies
KR101847278B1 (ko) * 2016-08-10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10051253A (ko) * 2019-10-30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38910A (zh) 2022-09-09
EP4058736A1 (en) 2022-09-21
WO2021201553A1 (en) 2021-10-07
EP4058736A4 (en) 2022-12-21
US20210302026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1345Y2 (ja) 開閉装置
JPH06221042A (ja) ラッチ
US10208963B2 (en) Cooking appliance
KR20210121731A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JP6029487B2 (ja) ハンドル装置
KR20210051253A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JP6494542B2 (ja) 折戸
JPWO2021112186A5 (ko)
KR20210012205A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JP2015021328A (ja) ロック装置
US5360244A (en) Lock assembly
CN111691156B (zh) 洗衣机
JPH0426814Y2 (ko)
JP2000062464A (ja)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チェック機構
JP2002262993A (ja) 炊飯ジャーの蓋セット
US3334376A (en) Cabinets or the like having hinged closures and hinge for use therein
JP3428340B2 (ja) 扉付き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ラッチシャフト取付構造
JPH0426815Y2 (ko)
JP2022113223A (ja) ハーネスクリップ
JP6357868B2 (ja) ベルトラインモールの取り付け部材
KR95000291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힌지 구조
JP3976569B2 (ja) 板金シャーシ
JP2004137763A (ja) ドアハンドル装置及びドアハンドルの組み付け方法
JPH0311619Y2 (ko)
JPH09109682A (ja) ドアトリムのプルハンドル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