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700A -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700A
KR20210121700A KR1020200038877A KR20200038877A KR20210121700A KR 20210121700 A KR20210121700 A KR 20210121700A KR 1020200038877 A KR1020200038877 A KR 1020200038877A KR 20200038877 A KR20200038877 A KR 20200038877A KR 20210121700 A KR20210121700 A KR 2021012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customer
persona
information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5728B1 (en
Inventor
박성훈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filed Critical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Priority to KR102020003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728B1/en
Publication of KR2021012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part that collects custom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part that extracts at least one among the behavior information, the tendency information, and the reading competenc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 persona diagnosis part that diagnoses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a persona model pre-stored in a storage DB; a reading index calculation part that calculates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competency information; and a content generation part that generates a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effect of recommending a book that meets the needs of the customers.

Description

퍼소나 모델을 활용하여 도서 추천을 수행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at recommends books using a persona model and a method of managing reading cont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퍼소나 모델을 활용하여 도서 추천을 수행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for recommending a book by using a persona model, and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독서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online reading that is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is increasing.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독서는 특성상, 모든 독자 개개인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도서를 제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도서 추천 시스템의 경우,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단순히, 회원가입정보에 기초한 개인 프로파일링에 의존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such online reading,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customized book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all reade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book recommendation system, even if personalized content is provided, it merely relies on personal profiling based on member registration information.

이에, 고객의 개인별 성향 및 니즈에 따라, 맞춤형 도서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that can provide customized book contents onlin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tendency and needs of customers.

이를 위해, 고객의 유형이나 패턴을 사회학적 또는 인류학적 관점에서 분류하여 마케팅이나 영업 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To this end, the need for research to classify customer types or patterns from a sociological or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nd use them in marketing or sales activities has been raised.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출원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 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writte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applica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개인적인 정보에 기초한 퍼소나 모델을 활용하여,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도서를 추천할 수 있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capable of recommending a book that meets a customer's needs by using a persona model based on a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and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는,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부; 수집된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부;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행동 정보 및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부;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부; 및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독서 지수 산출부는,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부를 포함한다.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the persona 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the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endency information; a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and a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wherei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includes a concentration index, a comprehension index, a language ability index, and an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It includes a competency score derivation unit for each domain that derives competency scores for each domain according to the 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dom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소나 진단부는, 행동 정보를 저장 DB에 저장된 복수의 행동 모델에 매칭시켜 고객 행동 모델을 선택하는 행동 모델 선택부; 성향 정보를 저장 DB에 저장된 복수의 성향 모델에 매칭시켜 고객 성향 모델을 선택하는 성향 모델 선택부; 및 고객 행동 모델 및 고객 성향 모델을 조합하여 고객 퍼소나를 생성하는 고객 퍼소나 결정부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 diagnosis unit includes: a behavior mode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ustomer behavior model by matching behavior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behavior models stored in a storage DB; a propensity model selector for selecting a customer propensity model by matching propensity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propensity models stored in a storage DB; and a customer persona determiner configured to combine the customer behavior model and the customer disposition model to generate a customer person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은,

Figure pat00001
이고, 여기서 R은 영역별 역량 점수이며, t는 퍼소나 유형, n은 지표 영역이고,
Figure pat00002
은 영역별 고객 점수,
Figure pat00003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가중치,
Figure pat00004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지표 점수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is:
Figure pat00001
where R is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t is the persona type, n is the indicator domain,
Figure pat00002
is the customer score by area,
Figure pat00003
is the weight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Figure pat00004
is an index score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person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지수 산출부는, 영역별 역량 점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종합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종합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종합 역량 점수 도출부; 및 영역별 역량 점수로부터 최상위 및 최하위 영역을 나타내는 독서 코드를 생성하는 독서 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includes: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according to a preset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based on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and a reading code generator generating reading codes indicating the highest and lowest regions from the competency scores for each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종합 역량 점수 산출식은,

Figure pat00005
이고, 여기서 S는 종합 역량 점수, R은 영역별 역량 점수, N은 지표 영역의 개수이며, t는 퍼소나 유형, n은 지표 영역이고,
Figure pat00006
은 영역별 고객 점수,
Figure pat00007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가중치,
Figure pat00008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지표 점수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is,
Figure pat00005
where S is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R is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N is the number of indicator domains, t is the persona type, n is the indicator domain,
Figure pat00006
is the customer score by area,
Figure pat00007
is the weight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Figure pat00008
is an index score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person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생성부는,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를 기초로 콘텐츠의 분야 및 독서 수준을 설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선별하는 콘텐츠 선별부; 및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컬러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선별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콘텐츠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인터페이스 설계부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generation unit, by setting the field and reading level of the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the cont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n image of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a color histogram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and an interface design unit for designing a content interface corresponding to a customer persona based on a preset interface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는, 고객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고객 평가 정보를 저장 DB에 저장하고, 독서 지수 산출 시, 고객 평가 정보를 반영하여 독서 지수를 재산출한다.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customer terminal in a storage DB, and when calculating the reading index, reflects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to recalculate the reading inde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맞춤형 콘텐츠는 학습자 대상 콘텐츠 및 지도자 대상 콘텐츠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ized content includes learner-targeted content and instructor-targeted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 단계;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행동 정보 및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 단계;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 단계; 및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독서 지수 산출 단계는,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 persona diagnosis step of diagnosing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a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and a cont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wherei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is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the comprehension index, the language ability index, and the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 including a step of deriving competency points for each area in which the competency points for each area are derived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 단계;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행동 정보 및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 단계;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 단계; 및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독서 지수 산출 단계는,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includes: a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 persona diagnosis step of diagnosing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a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and a cont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wherei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is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the comprehension index, the language ability index, and the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 including a step of deriving competency points for each area in which the competency points for each area are derived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고객의 개인적인 정보에 기초한 퍼소나 모델을 활용하여,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도서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applying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recommending a book that meets the customer's needs by using a persona model based on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소나 진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소나 모델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지수 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생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지수 산출 및 콘텐츠 선별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분석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
1 illustrates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persona diagno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amples showing a method for diagnosing a persona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ding index cal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content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reading index and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examples illustrating an imag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illustrating an interfac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0)은,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100), 저장 DB(200), 고객 단말(300), 네트워크(5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 a storage DB 200 , a customer terminal 300 , and a network 50 .

먼저,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고객 정보에 기반하여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고, 진단된 고객 퍼소나를 기반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may collect customer information, diagnose a customer persona based on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diagnosed customer persona.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50)를 통해 고객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 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로컬애드혹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지원하도록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등에 임베딩 되거나, 이들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50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 To this end,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upport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satellite communication, Microware, serial communication, PLC local ad hoc network, Internet, etc. ), a microprocessor, an ASIC, or the like, o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ontrolled by them.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 수집부, 고객 정보 추출부, 퍼소나 진단부, 독서 지수 산출부, 콘텐츠 생성부, 콘텐츠 출력부를 포함한다.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a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 persona diagnosis unit, a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a content generation unit, and a content output unit.

이어서, 저장 DB(200)는 고객 정보 및 인구통계학 정보에 기초한 퍼소나 모델 정보가 저장하며, 퍼소나 모델별로 기설정된 독서 분야, 및 독서 수준에 따라 분류 및 저장되는 독서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Subsequently, the storage DB 200 stores persona model information based on customer information and demographic information, and functions to store reading content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a reading field and reading level preset for each persona model. .

이외에도, 저장 DB(200)는 고객의 퍼소나 모델을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 키워드, 성향 키워드를 저장하며, 각각의 키워드들을 기준으로 관리자에 의해 분류되는 행동 모델, 성향 모델 및 퍼소나 모델들을 사전에 생성, 분류,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DB 200 stores behavioral keywords and propensity keywords necessary for diagnosing the persona model of the customer, and the behavioral model, the propensity model and the persona models classified by the manager based on each keyword in advance It functions to create, classify, store and manage.

또한, 저장 DB(200)(200)에는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저장되는 지표 영역별 기준 점수와 영역별 가중치 정보, 고객 평가 정보(별점, 코멘트, 전문가 의견)가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고객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DB 200 , 200 may store reference scores for each index area, weight information for each area, and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star points, comments, expert opinions) which are previously stored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Furthermore, all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to customers may be stored.

이어서, 고객 단말(300)은 맞춤형 고객 모델을 제공받기 위해 각 고객이 소지한 단말로서, 후술할 네트워크(50)를 통해 맞춤형 모델 관리 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고객 단말(300)은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셀 폰들, 스마트 폰,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들 (PDAs),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custom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each customer in order to receive a customized customer model, and is connected to a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through a network 5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data transmission/reception is possible. The customer terminal 300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 portable terminal, or television, and may include cell phones, smart phones, desktop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comput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wearable devices, and the like. may be

또한, 고객 단말(300)은 맞춤형 모델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 등의 웹페이지(Web Page)를 가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될 수 있도록 통상의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구비되고, 맞춤형 모델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웹서비스(Web Service)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stomer terminal 300 brings a web page (Web Page) such as various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documents provided from the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with a normal web browser (Web Browser). ) is provided, and may be any typ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various web services by accessing the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고객 단말(30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맞춤형 모델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조회가 불가능한 운영체제에 적용 가능하며, 운영체제로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심비안(SYMBIAN), 바다(BADA) 등의 모바일 운영체제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들을 합쳐서 모바일 환경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ustomer terminal 300 accesses the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50 , and an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to use the service. In particular, it can be applied to an operating system where data inquiry between applications is not possible, and the operating system may include mobile operating systems such as IOS, Android, SYMBIAN, and BADA, and by combining these conditions, a mobile environment is formed. can be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고객 단말(300)이 하나인 경우를 전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 맞춤형 모델 관리 서버가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도면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 단말(300)은 아동이 사용하는 아동 단말일 수 있으며, 부모가 사용하는 부모 단말 혹은 관리자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단말이 서로 고객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is illustrat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only one customer terminal 30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differently from the drawings in an environment in which an actual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is used. For example, the customer terminal 300 may be a child terminal used by children, and may be a parent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used by a parent. Such a plurality of terminals may be provided to share customer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이어서, 네트워크(5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한다. 네트워크(5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로 제공를 의미한다.Next, the network 5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The network 50 includes a TCP/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its upper layers, namely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etc. are provided as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네트워크(50)는 고객 단말(300)과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100)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PAN, 3G, 4G, LTE, Ethernet, BcN, 위성 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로컬 애드혹 네트워크, 인터넷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들을 포함한다. 인터넷은,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예를 들어, TCP/IP)를 사용하는 글로벌 시스템일 수 있다. TCP/IP는 데이터가 목적지에서 어떻게 포맷팅되고, 어드레싱되고, 송신되고, 라우팅되며 수신되어야만 하는지를 명시하는 통신 규약이다.The network 50 includes all wired/wireless networks that can connect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for example, Wi-Fi, Bluetooth,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WPAN, 3G, 4G, LTE, Ethernet, BcN, Satellite Communication, Microware, Serial Communication, It may be a PLC local ad hoc network, the Internet, etc. Here, the Internet includes a number of routing agents and processing agents. The Internet may be a global system using standard Internet protocols (eg, TCP/IP). TCP/IP is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specifies how data should be formatted, addressed, transmitted, routed and received at a destination.

이와 같은 네트워크(50)를 활용하면 상술한 맞춤형 모델 관리 서버와 고객 단말(300)을 서로 연결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f such a network 50 is utilized, the above-described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and the customer terminal 3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고객 정보 수집부(110)는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한다.Referring to FIG. 1 , first, the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custom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고객 정보 수집부(110)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가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설문, 문진, 혹은 사전 평가의 결과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를 수집한다.The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customer information based on a result of a questionnaire, questionnaire, or pre-evaluation provided by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o the customer terminal.

고객 정보는 인적 사항(연령, 성별, 성격)을 포함하며, 직업, 생활 공간(유치원, 학교, 자택), 생활 패턴, 보호자 정보(부모, 선생님)와 같은 생활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ustomer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age, gender, personality), and may include l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occupation, living space (kindergarten, school, home), life pattern, and guardian information (parent, teacher).

이어서, 고객 정보 추출부(120)는 수집된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Next, the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cap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고객 정보는, 이외에도, 독서 습관 정보, 선호 정보, 및 비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include reading habit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non-preference information.

행동 정보는, 행동 특성, 핵심 욕구, 행동 동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행동 모델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성향 정보는, 선호 요인, 기피 요인, 수용 태도와 같은 고객의 성향을 파악하여 성향 모델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된다.Behavioral information may include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re needs, and behavioral motives, and is used to diagnose a behavior model to be described later. It is used to diagnose the propensity model.

독서 역량 정보는 집중력, 이해력, 언어력, 지적 호기심 영역별 고객의 독서 역량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가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사전 평가의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이 때, 사전 평가는 문제 풀이 형식의 테스트 항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전 평가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독서 역량 정보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독서 역량 정보는 후술할 독서 지수 산출부(140)에서 고객의 집중력, 이해력, 언어력, 지적 호기심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된다.The reading capability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reading capability of the customer for each area of concentration, comprehension, language, and intellectual curiosity, and may be extracted based on a result of a pre-evaluation provided by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o the customer terminal. In this case, the pre-evaluation may be provided as a test item in the form of problem solving, and the result of the pre-evaluation may be scored and extracted as reading competency information. This reading ability information is used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customer's concentration, comprehension, language, and intellectual curiosity i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14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독서 습관 정보는 일평균 독서량, 일평균 독서 가능 시간, 1회 독서 시간, 독서 빈도, 독서 목적(주분야 부가 학습, 모르는 분야 간접 학습, 다양한 분야 간접 체험, 자기계발, 취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독서 습관 정보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때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Reading habit information may include average daily reading amount, average daily reading time, one reading time, reading frequency, reading purpose (main field additional learning, unknown field indirect learning, various field indirect experience, self-development, hobbies, etc.) have. Such reading habit information may be used as a material for setting an interface when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선호 정보는, 관심 학습 분야(언어,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등), 취미, 특기, 장래 희망, 희망 도서와 같은 관심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선호 정보는, 무관심 분야, 잘 모르는 분야, 비선호 도서, 기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 정보와 비선호 정보는 맞춤형 콘텐츠의 독서 분야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P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interest information such as interest learning fields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etc.), hobbies, specialties, future hopes, hope books, and non-preference information, indifferent fields, unfamiliar areas Fields, non-preferred books, and avoidable areas may be included. The p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non-preference information may be used to set a reading field of the customized cont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소나 진단부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persona diagno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소나 모델을 진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3 and 4 are examples showing a method for diagnosing a persona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퍼소나 진단부(130)는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행동 정보 및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한다. 퍼소나 진단부(130)는, 상술한 행동 모델 선택부(131), 성향 모델 선택부(132), 및 고객 퍼소나 결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 the persona diagnosis unit 130 diagnoses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behavior information and dis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a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The persona diagnosis unit 13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behavior model selection unit 131 , a disposition model selection unit 132 , and a customer persona determination unit 133 .

행동 모델 선택부(131)는 행동 정보를 저장 DB에 저장된 복수의 행동 모델에 매칭시켜 고객 행동 모델을 선택한다. 성향 모델 선택부(132)는 성향 정보를 저장 DB에 저장된 복수의 성향 모델에 매칭시켜 고객 성향 모델을 선택한다.The behavior model selection unit 131 selects a customer behavior model by matching behavior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behavior models stored in the storage DB. The propensity model selection unit 132 selects a customer propensity model by matching propensity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propensity models stored in the storage DB.

행동 모델과 성향 모델은 고객의 개인 기질 특성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후술할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기초가 된다.Behavior models and disposition mode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ustomer's personal temperament, and are the basis for diagnosing customer person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행동 모델은 행동 특성, 핵심 욕구에 따라 4가지의 모델로 분류될 수 있으며, 성향 모델은 선호 및 기피 요인과 수용 태도에 따라 4가지 모델로 분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for example, the behavior model may be classified into four models according to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core desires, and the propensity model may be classified into four models according to preference and avoidance factors and acceptance attitudes.

고객 행동 모델과, 고객 성향 모델은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며, 상기 각 4가지 모델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공된다.A customer behavior model and a customer disposition model are selected based on customer information, and any one of the four models is provided to be selected.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고객 퍼소나 결정부(133)는 상기에서 선택된 고객 행동 모델 및 고객 성향 모델을 조합하여, 고객 퍼소나를 생성한다.3 and 4 , the customer persona determining unit 133 generates a customer persona by combining the customer behavior model and the customer tendency model selected above.

퍼소나 모델은 도시된 것과 같은 총 16가지의 퍼소나 모델이 기 설정될 수 있다. 고객 퍼소나 결정부(133)는, 고객 성향 모델 및 고객 행동 모델을 조합하여 16가지의 퍼소나 모델 중 어느 하나를 고객 퍼소나로 결정한다.As for the persona model, a total of 16 persona models as shown may be preset. The customer persona determining unit 133 determines any one of 16 persona models as the customer persona by combining the customer disposition model and the customer behavior model.

이렇게 결정된 고객 퍼소나는 콘텐츠 생성부(150)로 제공되어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기초가 된다.The determined customer persona is provided to the content generating unit 150, which is a basis for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지수 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ding index cal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독서 지수 산출부(140)는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하며,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부(141), 종합 역량 점수 도출부(142), 및 독서 코드 생성부(143)로 구성된다. 이 때, 독서 지수는 종합 역량 점수 및 독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140 functions to calculate a reading index based on reading competency information, and includes a competency score deriving unit 141 for each area,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deriving unit 142 , and reading. and a code generation unit 143 . In this case, the reading index may include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and a reading code.

먼저,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부(141)는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한다.First, the competency score derivation unit 141 for each area calculates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area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comprehension index, language ability index, and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derive

이 때,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is as follows.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여기서 R은 영역별 역량 점수이며, t는 퍼소나 유형, n은 지표 영역이고,

Figure pat00010
은 영역별 고객 점수,
Figure pat00011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가중치,
Figure pat00012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지표 점수이다.where R is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t is the persona type, n is the indicator domain,
Figure pat00010
is the customer score by area,
Figure pat00011
is the weight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Figure pat00012
is an index score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persona.

상기 영역별 지표 점수는 퍼소나 모델에 따라 각 영역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index score for each area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area according to a persona model.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퍼소나 모델이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내지 16번 타입으로 설정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지표 점수가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for example, when the persona model is set to types 1 to 16 as shown, index scores may be set as follows.

3번 퍼소나 모델 “리틀 에디슨(Little Edison) 타입”의 영역별 지표 점수는 집중력, 이해력, 언어력, 지적 호기심 영역 순으로, 25점 만점에 17점, 18점, 15점, 22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index score for each area of Persona Model No. 3 “Little Edison type” will be set to 17 points, 18 points, 15 points, and 22 points out of 25 points in the order of concentration, comprehension, language ability, and intellectual curiosity. can

9번 퍼소나 모델 “해피 바이러스(Happy Virus) 타입”의 경우, 영역별 지표 점수는 집중력, 이해력, 언어력, 지적 호기심 영역 순으로, 25점 만점에 18점, 19점, 18점, 16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persona model number 9 “Happy Virus Type”, the index score for each area was 18, 19, 18, and 16 out of 25, in the order of concentration, comprehension, language, and intellectual curiosity. can be set.

또한, 퍼소나 모델별 지표 점수를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에는, 영역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 점수와의 변별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중치 또한 퍼소나 모델에 따라 영역별로 차등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ex score for each persona model is greater or less than, weights for each area may be provided to increase discrimination from the average score, and the weights may also be differentially set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have.

상기와 같이 퍼소나 모델에 따라, 영역별 지표 점수 및 가중치를 설정하는 이유는, 특정 영역에서 퍼소나 모델에 따라 매우 높은 점수 또는 낮은 점수가 산출되어 사전 평가의 신뢰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setting the index score and weight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as described above is that a very high score or a low sco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in a specific area, which may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prior evaluation. .

예를 들면, 다른 퍼소나 모델보다 호기심이 많은 기질을 갖는 3번 퍼소나 모델의 경우, 지적 호기심 영역에서 평균 퍼소나 모델 대비 매우 높은 성향을 지니므로, 영역별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변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테스트 결과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렵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persona model 3, which has a more curious temperament than other persona models, it has a very high tendency compared to the average persona model in the area of intellectual curiosity, so the score for each area is inevitably calculated relatively high. .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discrimination power is lowered,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nalyze the test result.

하지만, 퍼소나 모델 각각에 따라 영역별 지표 점수 및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경우, 퍼소나 모델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보다 정확한 영역별 역량 점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index score and weight for each domain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persona mode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sona model.

일 예를 살펴보면, 7번 퍼소나 모델 “척척박사(Know-It-All) 타입”의 2번 이해력 영역의 지표 점수가 25점 만점에 20점이고, 이해력 영역의 가중치를 0.5로 설정하는 것을 전제하면, 이해력 영역의 역량 점수가 아래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Looking at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dex score of the 2nd comprehension domain of the 7th persona model “Know-It-All type” is 20 out of 25 and the weight of the comprehension domain is set to 0.5 , the competency score in the comprehension domain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즉, 이해력 영역의 7번 퍼소나 모델의 고객 점수가 19점인 경우, 다른 퍼소나 모델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라 하더라도, 지표점수가 20점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이해력 영역의 역량 점수가 감산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customer score of the 7th persona model in the comprehension area is 19, even if the average score is higher than other persona models, the index score is set to 20. The competency score of the domain may be subtracted.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상기와 같이, 영역별 지표 점수 및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퍼소나 모델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평균 점수와의 변별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고객의 성향 및 역량을 더욱 정확하게 반영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the index score and weight for each area,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 model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discrimination from the average score, so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score that more accurately reflects the propensity and capability of the customer. .

이어서, 종합 역량 점수 도출부(142)는 상기에서 도출된 영역별 역량 점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종합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종합 역량 점수를 도출한다.Next, the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derivation unit 142 derives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according to a preset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based on the area-specific competency scores derived above.

이 때, 종합 역량 점수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is as follows.

[식 2][Equation 2]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여기서 S는 종합 역량 점수, R은 영역별 역량 점수, N은 지표 영역의 개수이며, t는 퍼소나 유형, n은 지표 영역이고,

Figure pat00015
은 영역별 고객 점수,
Figure pat00016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가중치,
Figure pat00017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지표 점수이다.where S is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R is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N is the number of indicator domains, t is the persona type, n is the indicator domain,
Figure pat00015
is the customer score by area,
Figure pat00016
is the weight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Figure pat00017
is an index score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persona.

아래에서는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Below, it will be explained by way of an example.

먼저, 3번 퍼소나 모델 “리틀 에디슨(Little Edison) 타입”의 영역별 지표 점수는 집중력, 이해력, 언어력, 지적 호기심 영역 순으로, 25점 만점에 17점, 18점, 16점, 22점이고, 영역별 가중치는 0.5, 0.8, 0.5, 1로 설정된 것을 전제한다.First, the index score for each area of Persona Model No. 3 “Little Edison type” is 17 points, 18 points, 16 points, and 22 points out of 25, in the order of concentration, comprehension, language ability, and intellectual curiosity. It is assumed that the weights for each area are set to 0.5, 0.8, 0.5, and 1.

고객 점수가 상기 영역 순서대로 19점, 18점, 20점, 20점인 것을 가정하면, 영역별 역량 점수는 아래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customer scores are 19 points, 18 points, 20 points, and 20 points in the order of the domains, the competency scores for each domain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상기 영역별 역량 점수에 대한 고객의 종합 역량 점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Calculating the customer's overall competency score with respect to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is as follows.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이렇게 산출되는 종합 역량 점수는 후술할 콘텐츠 생성부(150)에서 독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게 된다.The total competency score calculated in this way is used to set the reading level in the content generation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독서 코드 생성부(143)는 상기 영역별 역량 점수로부터 최상위 및 최하위 영역을 나타내는 독서 코드를 생성한다.Then, referring back to FIG. 5 , the reading code generator 143 generates reading codes indicating the highest and lowest regions from the competency scores for each region.

상기 독서 코드는 영역별 역량 점수로부터 최상위 점수를 획득한 영역부터 최하위 점수를 획득한 영역의 순서대로 생성될 수 있으며, 최상위 및 최하위 2개의 영역을 추출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The reading code may be generated in the order of the area obtaining the lowest score from the area obtaining the highest score from the competency scores for each area, or may be generated by extracting the highest and lowest two areas.

예를 들어, 3번 퍼소나 모델 “리틀 에디슨(Little Edison) 타입”의 영역별 영역별 역량 점수가 집중력, 이해력, 언어력, 지적 호기심 영역 순으로, 20점, 16점, 22점, 18점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각각의 영역을 최상위 점수를 획득한 영역순으로 나열하면, 언어력(L), 집중력(C), 지적 호기심(I), 이해력 영역(U)이 되고, 이에 기초하여 독서 코드는 “LCIU” 혹은 “LU”로 생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of the persona model No. 3 “Little Edison type” was 20 points, 16 points, 22 points, and 18 points in the order of concentration, comprehension, language ability, and intellectual curiosity. Assume At this time, if each area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area that obtained the highest score, it becomes the language ability (L), concentration (C), intellectual curiosity (I), and comprehension area (U). Based on this, the reading code is “LCIU” ” or “LU”.

이렇게 생성된 독서 코드는 후술할 콘텐츠 생성부(150)에서 독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The generated reading code may be used to set a reading area in the content generating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에서 살펴본, 독서 지수 산출부(140)는 고객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고객 평가 정보를 저장 DB에 저장하고, 독서 지수 산출 시, 고객 평가 정보를 반영하여 독서 지수를 재산출 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to store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customer terminal in a storage DB, and to recalculate the reading index by reflecting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when calculating the reading index.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생성부를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 content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콘텐츠 생성부(150)는,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하며, 콘텐츠 선별부(151), 이미지 분석부(152), 및 인터페이스 설계부(153)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tent generation unit 150 functions to generate customized content based on a customer persona and a reading index, and a content selection unit 151 , an image analysis unit 152 , and an interface design unit ( 153) can be configured.

콘텐츠 선별부(151)는 퍼소나 진단부(130)로부터 수신되는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 산출부(140)로부터 수신되는 독서 지수를 기초로 콘텐츠의 분야 및 독서 수준을 설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선별한다.The content selection unit 151 sets the field of content and the reading level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received from the persona diagnosis unit 130 and the reading index received from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140,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select

먼저, 콘텐츠 선별부(151)는 상기에서 산출된 독서 지수 중 종합 역량 점수에 기초하여 독서 수준을 설정한다. 독서 수준은 상기 종합 역량 점수와 고객의 연령에 따라 기 설정된 독서 수준 설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First, the content selection unit 151 sets the reading level based on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among the reading index calculated above. The reading level may be set based on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and a reading level setting table prese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ustomer.

예를 들면, 8세의 A고객과 12세의 B고객의 종합 역량 점수가 모두 90점이라고 하더라도, 고객의 연령을 고려하여 A고객의 독서 수준 보다 12세의 독서 수준이 높은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even if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of 8-year-old customer A and 12-year-old customer B is both 90 points, considering the age of the customer, the reading level of the 12-year-old may be set higher than that of customer A. have.

이어서, 콘텐츠 선별부(151)는 상기 독서 코드 생성부(143)에서 수신되는 독서 코드에 기초하여 독서 영역을 설정한다.Next, the content selection unit 151 sets a reading area based on the reading code received from the reading code generation unit 143 .

독서 영역은 독서 코드와 함께 고객 퍼소나별 기 설정된 독서 추천 영역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독서 코드로부터 독서 역량을 반영하여, 고객 퍼소나로부터 독서 성향을 모두 반영하여 고객의 니즈에 더욱 부합하는 독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The reading area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reading recommendation area preset for each customer persona together with the reading cod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ading ability can be reflected from the reading code and the reading propensity can be reflected from the customer persona to set a reading area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customer.

이외에도 고객 정보 추출부(120)로부터 추출된 선호 정보 및 비선호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고객이 설정한 콘텐츠 비율을 반영하여 독서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non-preferenc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20 may be used, and a reading area may be set by reflecting the content ratio set by the customer.

콘텐츠 선별부(151)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독서 수준 및 독서 영역에 기초하여 독서 콘텐츠를 선별함으로써, 고객의 독서 역량과 선호 분야를 모두 고려하여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독서 콘텐츠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ent selection unit 151 selects reading content based on the reading level and reading area set as described above, so that reading content that meets the customer's needs can b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reading capability and the preferred field of the customer.

이렇게 도출된 독서 콘텐츠는 후술할 이미지 분석부(152) 및 인터페이스 설계부(153)를 통해 콘텐츠의 컬러, 디자인, 인터페이스, 및 전달 방식 등이 설정되어 최종 고객 단말로 제공되는 맞춤형 콘텐츠로 생성되게 된다.The derived reading content is created as customized content provided to the end customer terminal by setting the color, design, interface, and delivery method of the content through the image analysis unit 152 and the interface design unit 153 to be described later.

이미지 분석부(152)는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컬러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선별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분석한다.The image analyzer 152 analyzes an image of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a color histogram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이미지 분석은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컬러 히스토그램을 콘텐츠에 적용하여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집중도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Image analysis is performed to arouse customer interest and maintain concentration by applying a color histogram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to the content.

고객에 적합한 이미지를 도출해내기 위해서는 고객 퍼소나와 고객 정보로부터 추출된 인적 사항, 성향 정보, 행동 정보, 선호 정보, 및 비선호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컬러 클래스를 구분하는 단계가 필요하며,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In order to derive an image suitable for the customer,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color class by databaseiz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pensity information, behavior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non-preferenc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ustomer persona and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following algorithm is required. technology can be appli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분석은 컬러 히스토그램(Color histogram), 주 색상 분석(Dominant color), 컬러 형태(color layout)를 이용한 이미지 색상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may be performed using an image color analysis algorithm using a color histogram, a dominant color, and a color layout.

또한, 상기 방법으로 분석된 색상 정보를 학습 알고리즘 (Neural network/Boosting/SVM/etc.), 및 KNN(K-Nearest Neighbor)을 비롯한 기계 학습을 통해 분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lor information analyzed by the above method may be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including a learning algorithm (Neural network/Boosting/SVM/etc.) and K-Nearest Neighbor (KN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의 정보를 딥 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직접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또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학습 알고리즘(Neural network/Boosting/SVM/etc.) 혹은 KNN(K-Nearest Neighbor)를 이용함으로써, 클래스를 구분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may be analyzed using a direct learning algorithm such as deep learning. Alternatively, by extracting features of an image using deep learning, a learning algorithm (Neural network/Boosting/SVM/etc.) or KNN (K-Nearest Neighbor) may be used to classify the class.

이어서, 인터페이스 설계부(153)는 퍼소나 진단부(130)로부터 제공되는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콘텐츠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Next, the interface design unit 153 designs a content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based on a preset interface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provided from the persona diagnosis unit 130 .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설계부(153)는 고객 퍼소나 이외에도 고객 정보 추출부(120)로부터 추출된 독서 습관 정보를 더 기초하여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는 UI(User Interface) 이외에도 UX(User Experience) 디자인을 함께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terface design unit 153 may design an interface based on the reading habi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20 in addition to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interface is a user interface (UX) in addition to a user interface (UI). Experience) design may be provided to include.

이로 인해, 고객 퍼소나 및 고객의 독서 습관과 독서 성향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 설계가 가능함으로써, 콘텐츠를 구성하는 레이아웃, 텍스트 디자인, 전달 방식을 고객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sign an interface that matches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habit and reading tendency of the customer, so that the layout, text design, and delivery method constituting the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custom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 분석부(152) 및 인터페이스 설계부(153)를 포함하는 경우, 선별된 콘텐츠의 컬러, 디자인, 인터페이스, 및 전달 방식 등을 고객 니즈에 부합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고객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image analysis unit 152 and the interface design unit 153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color, design, interface, and delivery method of the selected content to meet customer needs, the custom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customized content.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콘텐츠는 학습자 대상 콘텐츠 및 지도자 대상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Also, in an embodiment, the customized content may be provided to include learner-targeted content and instructor-targeted content.

예를 들어, 고객이 청소년, 아동, 혹은 영유아인 경우, 고객의 퍼소나 모델을 고려하여 학습자 대상 콘텐츠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학습자 대상 콘텐츠에 상응하는 지도자 대상 콘텐츠가 함께 생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ustomer is a teenager, a child, or an infant, learner-targeted content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stomer's persona model, and at the same time, leader-target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arner-targeted content may be generated together.

지도자 대상 콘텐츠는, 학습자의 독서 지도를 위한 콘텐츠일 수 있으며, 학습자 대상 콘텐츠, 학습자의 퍼소나 모델 및 연령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leader content may be content for a learner's reading instruction, 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learner content, the learner's persona model, and an age.

이 때, 학습자 대상 콘텐츠는 선호, 욕망요인 중심의 도서의 비중이 크게 설정되고, 지도자 대상 콘텐츠는 기피, 개선요인 중심의 도서의 비중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호 분야의 콘텐츠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비선호 분야의 콘텐츠의 경우, 지도자의 지도 하에 효과적인 독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for the content for learners, a large proportion of books centered on preference and desire factors may be set, and for the content for leaders, a large proportion of books centered on avoidance and improvement factors may be set.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t only content in the preferred field is provided, but content in various fields can be provided,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ntent in a non-preferred field, effective reading can be made under the guidance of a leader.

콘텐츠 출력부(160)는, 콘텐츠 생성부(150)로부터 수신되는 학습자 대상 콘텐츠 및 지도자 대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고객 단말로 출력하는 기능을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content output unit 160 may be provided to output customized content including learner-targeted content and leader-targeted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generating unit 150 to the customer terminal.

콘텐츠 출력부(160)는, 고객 단말은 학습자 단말 및 지도자 단말 모두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학습자 대상 콘텐츠 및 지도자 대상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 및 지도자 단말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output unit 160, the customer terminal may be provided to both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ader terminal, and may transmit the learner-targeted content and the instructor-targeted content to the learner's terminal and the leader's terminal, respectively.

만약, 독서 대상이 영유아 혹은 아동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출력부(160)는, 학습자 대상 콘텐츠와 지도자 지도 콘텐츠를 모두 지도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출력 방식은 고객 단말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다.If the reading target corresponds to an infant or child, the content output unit 160 may transmit both the learner target content and the leader guidance content to the leader terminal, and such an output method may be preset by the customer terminal. have.

상기와 같이, 학습자 뿐만 아니라 지도자 대상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독서 대상이 영유아 혹은 아동인 경우에도, 지도자에 의해 올바른 독서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content for not only learners but also lead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rrect reading instruction can be made by the leader even when the target of reading is infants or children.

이상에서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를 이용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above, we looked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using the above-described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지수 산출 및 콘텐츠 선별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 reading index calculation and content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8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기재하며,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7 및 8에 도시한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로 가정한다.In the process of explaining each step of FIGS. 7 and 8 ,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will be omitted or simply described, and FIGS. 1 to 6 will be referred to together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s assumed that the subject performing each step shown in FIGS. 7 and 8 is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S. 1 to 6 .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 the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먼저,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 단계(S110)가 수행된다.First, the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10) of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is performed.

이후, 수집된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 단계(S120)가 수행된다. 고객 정보 추출 단계(S120)에서는, 고객 정보에서 행동 정보를 추출하는 행동 정보 추출 단계(S121)와 성향 정보를 추출하는 성향 정보 단계(S122)가 수행된다.Thereafter,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120)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cap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is perform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120), the behavio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S121) of extracting behavio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step (S122) of extracting the tendency information are performed.

이후,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행동 정보 및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 단계(S130)가 수행된다. 퍼소나 진단 단계(S130)는 행동 모델 선택 단계(S131), 성향 모델 선택 단계(S132), 및 고객 퍼소나 결정 단계(S133)의 순서로 수행된다. The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the persona diagnosis step (S130) of diagnosing the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disposi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The persona diagnosis step S130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behavior model selection step S131 , the propensity model selection step S132 , and the customer persona determination step S133 .

이후,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 단계(S140)가 수행된다. Thereafter, a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 S140 ) of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is performed.

도 8을 참조하면, 독서 지수 산출 단계(S140)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 단계(S141), 종합 역량 점수 도출 단계(S142), 및 독서 코드 생성 단계(S143)의 순서로 진행된다.Referring to FIG. 8 ,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 S140 ) proceeds in the order of the area-specific competency score deriving step ( S141 ), the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deriving step ( S142 ), and the reading code generation step ( S143 ).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 단계(S141)에서는,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가 도출된다. 이 때, 고객 퍼소나에 기초하여 상기 지표들의 영역별 가중치를 차등 부여하여 고객 퍼소나의 특성이 반영된 역량 점수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tep of deriving competency scores for each domain ( S141 ),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comprehension index, language ability index, and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is derived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area do. In this case, the weight of each area of the indicators is differentially assigned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so that a competency scor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persona can be derived.

종합 역량 점수 도출 단계(S142)에서는, 상기에서 도출된 영역별 역량 점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종합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종합 역량 점수가 도출된다. In the step of deriving the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 S142 ),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is derived according to a preset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based on the above-derived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이후, 독서 코드 생성 단계(S143)에서는 영역별 역량 점수로부터 최상위 및 최하위 영역을 나타내는 독서 코드가 생성된다. 후술할 콘텐츠 선별 단계(S151)에서 이러한 독서 코드를 적용하는 경우, 고객 퍼소나와 고객이 수행한 사전 평가 결과를 모두 충족하는 독서 분야를 도출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after, in the reading code generation step ( S143 ), reading codes indicating the highest and lowest regions are generated from the competency scores for each region. When this reading code is applied in the content selection step S1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reading field that satisfies both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pre-evalu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customer can be derived.

이후,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 단계(S150)가 수행된다.Thereafter, a content creation step ( S150 ) of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is performed.

콘텐츠 생성 단계(S150)는, 아래와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creation step S150 may include the following detailed steps.

먼저,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를 기초로 콘텐츠의 분야 및 독서 수준을 설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선별하는 콘텐츠 선별 단계(S151)가 수행된다.First, the content selection step (S151) of setting the field and reading level of the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and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performed.

해당 단계에서는 종합 역량 점수와 고객 연령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독서 수준 설정 테이블을 토대로 아래 단계들을 거쳐 독서 수준을 설정한다.In this step, the reading level is se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based on the reading level setting table set in advance based on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and the age of the customer.

먼저, 종합 역량 점수에 상응하는 독서 수준을 설정하는 단계(S1511)가 수행된다. 이후, 고객 연령에 따라 기 설정된 독서 수준 범위와 종합 역량 점수를 비교하는 단계(S1512)가 수행된다. 만약, 고객 연령보다 독서 수준이 상위에 위치하는 경우, 독서 수준을 한 단계 낮추고, 고객 연령보다 독서 수준이 하위에 위치하는 경우, 독서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등급 재조정 단계(S1513)가 수행된다. 상기 등급 재조정 단계(S1513)는 고객 연령에 따라 설정된 독서수준의 범위 안에 설정된 독서 수준이 위치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First, the step of setting the reading level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S1511) is performed. Thereafter, a step ( S1512 ) of comparing a preset reading level range and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according to the customer's age is performed. If the reading level is higher than the customer's age, the reading level is lowered by one level, and when the reading level is lower than the customer's age, the level readjustment step ( S1513 )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reading level by one level. The grade readjustment step ( S1513 ) may be performed until the reading level set within the range of the reading level se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ustomer is located.

이후, 상기에서 생성된 독서 코드에 가장 상응하는 독서 추천 영역을 선별하는 독서 추천 영역 선별 단계(S1514)가 수행된다. 이후, 선별된 독서 영역이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15)가 수행된다. 해당 단계는 선별된 독서 영역과 고객 퍼소나가 상응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이후,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독서 영역을 선별하여 최종 독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516)가 수행된다. 이후, 설정된 독서 영역에 따라 콘텐츠를 선별하는 콘텐츠 선별 단계(S1517)가 수행된다. 해당 단계에서는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된 고객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콘텐츠의 비율이 제어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Thereafter, a reading recommendation region selection step ( S1514 ) of selecting a reading recommendation region most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reading code is performed. Thereafter, a step ( S1515 )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ed reading area corresponds to the customer persona is performed. This step may continue until the selected reading area and customer persona correspond. Thereafter, a step ( S1516 ) of setting a final reading area by selecting a rea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is performed. Thereafter, a content selection step ( S1517 ) of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et reading area is performed. In this step,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atio of the cont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custom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is controlled.

예를 들어, 고객이 선호 영역, 필수보완 영역, 및 무관심 영역의 비율을 0.6, 0.3, 0.1로 설정한 경우, 콘텐츠 선별 단계(S1517)에서 해당 비율에 기초하여 콘텐츠 후보군을 선별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콘텐츠가 상기 설정 비율과 유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stomer sets the ratio of the preferred area, the essential supplementary area, and the indifferent area to 0.6, 0.3, or 0.1, the content candidate group is select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ratio in the content selection step (S1517), and finally generated The content to be use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imilar to the set ratio.

이후,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컬러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선별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 단계가 수행된다.Thereafter, an image analysis step of analyzing an image of the selected content is performed based on a color histogram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분석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9 and 10 are examples illustrating an imag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이미지 분석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선별 단계에서 선별된 도서 후보군들에 대해 도서 이미지를 필터링하여 고객의 성향에 부합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image analysis step is performed to derive customized content that meets the customer's tendency by filtering the book image for the book candidates selected in the content selection step.

여기서 도서 이미지는 컬러, 명도, 레이아웃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ok image may include color, brightness, layout information, and the like.

예를 들면, 외향적인 성향을 갖는 퍼소나 모델의 경우 채도가 높은 컬러 히스토그램이 적용될 수 있고, 반대로 내향적 성향을 갖는 경우 채도가 낮은 컬러 히스토그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감성적인 성향을 갖는 경우 명도가 높고, 이성적 성향을 갖는 경우 명도가 낮은 컬러 히스토그램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 color histogram with high saturation may be applied to a persona model having an extroverted tendency, and a color histogram having a low saturation may be applied to a persona model having an introverted tendency. In addition, a color histogram having a high brightness when having an emotional tendency and a low brightness when having a rational tendency may be applied.

이외에도, 각각의 퍼소나 모델의 성향 및 성격에 따라, 따듯한 계열, 차가운 계열, 맑은 계열, 탁한 계열의 컬러 히스토그램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lor histogram of a warm series, a cold series, a clear series, and a cloudy serie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propensity and character of each persona model.

예를 들어, 13번 퍼소나 모델 “아이돌 워너비(Idol Wannabe) 타입”의 퍼소나 모델의 경우, 선호요인 컬러는 원색(고채도), 화려한 컬러(고명도) 스펙트럼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분류 형태는 불규칙 그리드, 입체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핵심 소재로는 인물, 상상오브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피요인은 한색, 무채색(저채도, 저명도) 스펙트럼이 적용될 수 있고, 분류 형태는 정형적, 규칙적 스타일로 설정되며, 핵심 소재는 자연, 상상오브제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ersona model of the 13th persona model “Idol Wannabe type”, the preferred color can be set as a primary color (high saturation) and a colorful color (high brightness) spectrum, and the classification type is Irregular grids and three-dimensional shapes can be applied, and the core material can be set as a person or an imaginary object. In addition, as the avoidance factor, cold and achromatic (low saturation, low brightness) spectrums can be applied, the classification form is set to a formal and regular style, and the core material can be nature or imaginary objects.

상기와 같은 이미지 분석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아래 단계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using an image analysis algorithm, and may be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steps.

먼저, 고객 퍼소나에 기초한 도서 이미지 필터링 단계가 수행된다. 해당 단계에서는 고객 퍼소나에 기초한 개인 기질, 선호 요인, 및 기피 요인을 이용한 컬러군과 디자인 형태, 핵심소재를 포함하는 1차 도서 이미지 식별이 이루어진다.First, a book image filtering step based on a customer persona is performed. In this step, the primary book image identification including color group, design form, and core material using personal temperament, preference factor, and avoidance factor based on customer persona is made.

이후, 고객의 영역별 역량 점수와 독서 코드를 포함하는 독서 지수에 기초한 도서 이미지 필터링 단계가 수행된다. 해당 단계에서는 고객의 독서 습관 정보, 독서 성향 정보, 선호 정보, 및 비선호 정보가 함께 고려될 수 있다.Thereafter, a book image filtering step based on a reading index including a reading code and a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of the customer is performed. In this step, the customer's reading habit information, reading tendency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non-preference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together.

상기 단계들에서 필터링된 도서 이미지를 기초하여 고객 맞춤형 콘텐츠를 도출하는 경우,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컬러 히스토그램을 콘텐츠에 적용하여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집중도를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고객의 성향과 가까운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친근하고 편안한 독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custom content is derived based on the book image filtered in the above steps, a color histogram set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is applied to the content to arouse the interest of the customer and maintain the concentration. .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creating a friendly and comfortable reading environment by providing a feeling close to the customer's tendency.

나아가, 컬러 및 이미지 뿐만 아니라 독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퍼소나 모델별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interface design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persona model in a way that not only colors and images but also reading content are deliver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11 is an example illustrating an interfac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설계 단계에서는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콘텐츠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작업이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interface design step, a content interface corresponding to a customer persona is designed based on an interface preset according to a persona model.

인터페이스의 종류로는 기본형, 와이드형, 팝업형, 나열형, 이미지형 등의 레이아웃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다.As the type of interface, layout design such as basic type, wide type, pop-up type, array type, image type, etc. may be applied.

기본형의 경우, 한번 독서를 시작하면 많은 시간, 많은 양의 독서 패턴을 보이는 아동들에 적합하며 독서 중 몰입을 깨지 않도록 기본형의 텍스트를 제공하며, 중간중간 다양한 패턴의 인터페이스를 함께 끼워 넣어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asic type, it is suitable for children who show a lot of time and a large amount of reading pattern once they start reading. It can be used to maintain interest.

와이드 형과 이미지형의 경우, 언어 능력, 주의력, 이해력이 성장기에 있는 영유아들에게 적합한 인터페이스로, 간단한 텍스트와 함께 이미지를 활용하여 스토리의 이해력을 높이며,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wide type and the image type, the interface is suitabl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o are in the growth stage of language ability, attention, and comprehension. there is an advantage

나열형은, 많은 양의 독서를 오래 지속하기 힘든 아동들에 적합한 방식으로, 정보 탐색을 독서 목적으로 하며, 간단 요약 정리를 선호하는 타입을 위한 방식으로, 핵심만을 추출하여 나열식으로 제공하여 이해력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이다.The list type is a method suitable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reading a lot of reading for a long time, and the purpose of information search is for reading, and it is a method for the type that prefers to organize a simple summary. It is a design that can be done.

팝업형의 경우, 주의력, 집중도가 다소 부족하고 산만한 타입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전달 방식으로, 상기 타입의 아동들은 금방 흥미를 잃기 때문에 팝업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새로운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주의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In the case of the pop-up type, it is a delivery method that is provided to the type of customer who lack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nd is distracted. Since these types of children lose interest quickly, by applying a pop-up type interface to induce new interest, attention can be regained. It is mainly used to provide

상기 인터페이스 유형들은 고객 퍼소나 혹은 연령, 독서 습관과 같은 고객 정보를 기초로, 필요에 따라 서로 혼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콘텐츠 제공 후 고객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고객 평가 정보에 따라 기본 설정이 변경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types may be provided mixed with each other as needed, based on customer information such as customer persona or age and reading habits, and basic settings are provid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customer terminal after the content is provided it might be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고객 콘텐츠, 보호자 대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단말로 출력하는 콘텐츠 출력 단계가 수행된다.Referring back to FIG. 7 , a content output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customer content and the content for guardians generated in the content creation step to the customer terminal is performed.

이후, 고객 단말에서 콘텐츠의 사용 이후, 고객 평가 정보를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로 피드백 제공하는 독서 평가 단계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Thereafter, after the content is used in the customer terminal, a reading evaluation step of providing feedback to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with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further performed.

이 때, 고객 평가 정보는, 독서 수준 평가 정보, 출력 분야 비율 재설정 정보, 코멘트, 및 별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고객 단말로 제공되는 설문에 대한 응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ading level evaluation information, output field ratio reset information, comments, and star point information,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sponse to a questionnaire provided from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o the customer terminal. have.

이렇게 수신되는 고객 평가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독서 콘텐츠에 대해 퍼소나별 이미지, 독서역량, 선호, 결핍지수, 만족도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컨텍스트 분석 고도화에 활용하여 고객 니즈에 더욱 적합한 도서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독서 수준 및 독서 분야를 재조정 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점차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By applying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is way, for each reading content, the image, reading ability, preference, deficiency index, and satisfaction information for each persona are accumulated and stored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which is utilized for the advancement of context analysis and is more suitable for customer needs. It has the effect of recommending a book.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gradually improved by providing that the reading level and reading field desired by the customer can be readjuste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및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이용하면, 고객의 개인적인 정보에 기초한 퍼소나 모델을 활용하여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도서 추천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using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book recommend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the customer by using the persona model based on th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

나아가, 상술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활용하면,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구현할 수도 있다.Furthermore, by utilizing the above-describe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may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 단계;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행동 정보 및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 단계;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 단계; 및 고객 퍼소나 및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독서 지수 산출 단계는,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 단계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includes: a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 persona diagnosis step of diagnosing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a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and a cont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wherei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is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the comprehension index, the language ability index, and the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tep of deriving competency scores for each domain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domai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tated, so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 독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
100 :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110 : 고객 정보 수집부
120 : 고객 정보 추출부
130 : 퍼소나 진단부
131 : 행동 모델 선택부
132 : 성향 모델 선택부
133 : 고객 퍼소나 결정부
140 : 독서 지수 산출부
141 :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부
142 : 종합 역량 점수 도출부
143 : 독서 코드 생성부
150 : 콘텐츠 생성부
151 : 콘텐츠 선별부
152 : 이미지 분석부
153 : 인터페이스 설계부
160 : 콘텐츠 출력부
200 : 저장 DB
300 : 고객 단말
50 : 네트워크
1000: Read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110: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persona diagnosis unit
131: behavior model selection unit
132: propensity model selection unit
133: customer persona decision unit
140: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141: Competency score derivation unit for each area
142: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derivation unit
143: reading code generation unit
150: content creation unit
151: content selection unit
152: image analysis unit
153: interface design unit
160: content output unit
200: storage DB
300: customer terminal
50: network

Claims (10)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부;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행동 정보 및 상기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부;
상기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부; 및
상기 고객 퍼소나 및 상기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 지수 산출부는, 상기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부를 포함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cap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 persona 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a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and
A content generator for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is,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comprehension index, language ability index, and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competency for each area to derive competency scores for each area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are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score deriv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소나 진단부는,
상기 행동 정보를 상기 저장 DB에 저장된 복수의 행동 모델에 매칭시켜 고객 행동 모델을 선택하는 행동 모델 선택부;
상기 성향 정보를 상기 저장 DB에 저장된 복수의 성향 모델에 매칭시켜 고객 성향 모델을 선택하는 성향 모델 선택부; 및
상기 고객 행동 모델 및 상기 고객 성향 모델을 조합하여 고객 퍼소나를 결정하는 고객 퍼소나 결정부를 포함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 diagnosis unit,
a behavior mode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ustomer behavior model by matching the behavior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behavior models stored in the storage DB;
a propensity mode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ustomer propensity model by matching the propensity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propensity models stored in the storage DB;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customer person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customer persona by combining the customer behavior model and the customer tendency mod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은,
Figure pat00020
이고,
여기서 R은 상기 영역별 역량 점수이며, t는 퍼소나 유형, n은 지표 영역이고,
Figure pat00021
은 영역별 고객 점수,
Figure pat00022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가중치,
Figure pat00023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지표 점수인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is,
Figure pat00020
ego,
where R is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t is the persona type, n is the index area,
Figure pat00021
is the customer score by area,
Figure pat00022
is the weight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Figure pat00023
is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at is a preset index score for each area according to person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지수 산출부는,
상기 영역별 역량 점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종합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종합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종합 역량 점수 도출부; 및
상기 영역별 역량 점수로부터 최상위 및 최하위 영역을 나타내는 독서 코드를 생성하는 독서 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unit,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according to a preset comprehensive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based on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and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ing a reading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reading codes indicating the highest and lowest regions from the competency scores for each reg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역량 점수 산출식은,
Figure pat00024
이고,
여기서 S는 상기 종합 역량 점수, R은 상기 영역별 역량 점수, N은 지표 영역의 개수이며, t는 퍼소나 유형, n은 지표 영역이고,
Figure pat00025
은 영역별 고객 점수,
Figure pat00026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가중치,
Figure pat00027
은 퍼소나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별 지표 점수인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is,
Figure pat00024
ego,
where S is the overall competency score, R is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domain, N is the number of index areas, t is the persona type, n is the index area,
Figure pat00025
is the customer score by area,
Figure pat00026
is the weight for each area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Figure pat00027
is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at is a preset index score for each area according to perso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고객 퍼소나 및 상기 독서 지수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의 분야 및 독서 수준을 설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선별하는 콘텐츠 선별부; 및
상기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컬러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선별된 상기 콘텐츠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퍼소나 모델에 따라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콘텐츠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인터페이스 설계부를 포함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content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select a corresponding content by setting a field and a reading level of the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and
an imag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image of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a color histogram preset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n interface design unit for designing a content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based on a preset interface according to the persona mod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고객 평가 정보를 상기 저장 DB에 저장하고, 상기 독서 지수 산출 시, 상기 고객 평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독서 지수를 재산출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that stores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in real time in the storage DB, and recalculates the reading index by reflecting th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when calculating the reading inde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콘텐츠는 학습자 대상 콘텐츠 및 지도자 대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customized content is a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learner-targeted content and leader-targeted content.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상기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 단계;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행동 정보 및 상기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 단계;
상기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 단계; 및
상기 고객 퍼소나 및 상기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 지수 산출 단계는, 상기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cap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 persona diagnosis step of diagnosing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a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and
A content creation step of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I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comprehension index, language ability index, and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is derived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area. A method for managing reading content, including the step of deriving competency scores.
제9항의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독서 콘텐츠 관리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고객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상기 고객 정보로부터 행동 정보, 성향 정보, 및 독서 역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고객 정보 추출 단계;
저장 DB에 기 저장된 퍼소나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행동 정보 및 상기 성향 정보에 상응하는 고객 퍼소나를 진단하는 퍼소나 진단 단계;
상기 독서 역량 정보를 기초로 독서 지수를 산출하는 독서 지수 산출 단계; 및
상기 고객 퍼소나 및 상기 독서 지수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독서 지수 산출 단계는, 상기 고객 퍼소나에 상응하는 집중력 지표, 이해력 지표, 언어력 지표, 및 지적 호기심 지표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별 역량 점수 산출식에 따라 영역별 역량 점수를 도출하는 영역별 역량 점수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claim 9,
The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includes: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 customer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behavior information, tendency information, and reading capability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stomer information;
a persona diagnosis step of diagnosing a customer persona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 model pre-stored in the storage DB;
a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reading index based on the reading ability information; and
A content creation step of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customer persona and the reading index,
In the reading index calculation step, based on the concentration index, comprehension index, language ability index, and intellectual curios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persona, the competency score for each area is derived according to a preset competency score calculation formula for each area.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rising the step of deriving a competency score.
KR1020200038877A 2020-03-31 2020-03-31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2395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77A KR102395728B1 (en) 2020-03-31 2020-03-31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77A KR102395728B1 (en) 2020-03-31 2020-03-31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700A true KR20210121700A (en) 2021-10-08
KR102395728B1 KR102395728B1 (en) 2022-05-09

Family

ID=7861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77A KR102395728B1 (en) 2020-03-31 2020-03-31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72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60B1 (en) * 2022-08-12 2023-08-03 주식회사 트레바리 A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o recommend a reading group service by using user information
KR102613096B1 (en) * 2023-04-21 2023-12-13 박성순 Method for providing bibliotherapy service and system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024A (en) * 2012-07-02 2014-01-10 주식회사 아이북랜드 User-customized boo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90038236A (en) * 2017-09-29 2019-04-08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System for providing persona design guideline based on customer patter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94093A (en) * 2018-01-15 2019-08-12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and customized model manag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024A (en) * 2012-07-02 2014-01-10 주식회사 아이북랜드 User-customized boo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90038236A (en) * 2017-09-29 2019-04-08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System for providing persona design guideline based on customer patter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94093A (en) * 2018-01-15 2019-08-12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and customized model management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60B1 (en) * 2022-08-12 2023-08-03 주식회사 트레바리 A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o recommend a reading group service by using user information
KR102613096B1 (en) * 2023-04-21 2023-12-13 박성순 Method for providing bibliotherapy service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728B1 (en)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1620B2 (en) Method for recommending a teacher in a network teaching system
Montibeller et al. Causal maps and the evaluation of decision options—a review
Raamkumar et al. Using author-specified keywords in building an initial reading list of research papers in scientific paper retrieval and recommender systems
Dunkel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studying collective reactions to events in location-based social media
US20130132339A1 (en) Mind Map with Data Feed Linkage and Social Network Interaction
Park et al.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mobile learning acceptance and experience based on the perceived attributes, system quality and resistance
KR102395728B1 (en) Reading content management server performing book recommendation using persona model and read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Nguyen et al. Check out this place: Inferring ambiance from airbnb photos
Adhikary et al. Micro-modelling of individual tourist’s information-seeking behaviour: a heterogeneity-specific study
Lin et al. Constructing a hybrid hierarchical value map to understand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social networking sites
KR20180039019A (en) Methods and systems associated with a situation-specific recording framework
Su et al. Research on the improvement effect of machine learning and neural network algorithms on the prediction of learning achievement
US20160217139A1 (en) Determining a preferred list length for school ranking
KR102189457B1 (en) Customized model management server and customized model management method
Nogueira et al. A proposed model for consumer-based brand equity analysis on social media using data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ang et al. Big-five personality traits in P2P accommodation platforms: similar or different to hotel brands?
Havinga et al. Understanding the sentiment associated with cultural ecosystem services using images and text from social media
Mathias et al. Personalized sightseeing tours: a model for visits in art museums
JP74055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MartÍn et al. Comparing social factors affecting recommender decisions in online and educational social network
Kastner et al. Mapping segments accessing user‐generated content and website applications in a joint space
JP2007102635A (en) Blog community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KR101373825B1 (en)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KR202001254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ng travel tribute language
Barker User perceptions about self-efficacy, features and credibility as antecedents to flow on social networking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