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825B1 -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825B1
KR101373825B1 KR1020110019209A KR20110019209A KR101373825B1 KR 101373825 B1 KR101373825 B1 KR 101373825B1 KR 1020110019209 A KR1020110019209 A KR 1020110019209A KR 20110019209 A KR20110019209 A KR 20110019209A KR 101373825 B1 KR101373825 B1 KR 10137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rrent
current location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0363A (en
Inventor
최호진
정영섭
김승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1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825B1/en
Publication of KR2012010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로부터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하는 서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inferring and accumulat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context information; And a server that receives cumulatively sto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extracts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Description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based on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인터넷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검색효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어왔다. 검색어의 종류 및 영향에 대한 연구는 사람들로 하여금 각자의 직관적인 판단에 의한 검색어를 통해 전체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만들 수 있도록 발전해왔으며, 검색결과로 제공되는 URL들의 질적인 면, 및 양적인 면에서는 정확성 및 리콜(precision/recall) 차원에서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 각종 모델들이 제시되어 왔다.As the spread of the Internet has spread,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search efficiency. Research on the type and impact of search terms has evolved to help people create better overall results through their intuitive judgmen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URLs provided in search results. Various models with different performances have been proposed in terms of recall (precision / recall).

종래에는 페이지 랭크(page rank) 기법을 통해 각 웹 문서들의 중요도를 매김으로써 검색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이와 더불어, 사람들의 검색정보(clickthrough data) 자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집단의 선호정보를 얻으려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웹 문서와 웹 구조에 의지하지 않고, 사용자들의 검색정보에 기반한 연구는, 암묵적(implicitly)으로 집단의 선호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었다. 각 사용자들은 수동적인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데, 검색정보에 기반을 둘 경우, 사용자들이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 집단의 선호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improving the search efficiency by ranking the importance of each web document through a page rank technique has appeared. In addition, the user's or group's preference information is used by using people's clickthrough data itself. The study to get started. The research based on search information of users, without relying on web documents and web structure,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can implicitly identify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Each user does not prefer to provide passive feedback because, based on search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oup's preference information without the users noticing.

그러나, 웹상에서 검색정보(clickthrough data)를 이용하는 방식 또한 각 사용자가 컴퓨터 또는 단말기를 통해 웹에 접속하여 질문을 입력하고 선호하는 URL을 선택하는 정보에 기반하므로, 정보를 얻는 방식 자체에서 암묵적이지 못하고 사용자의 수동적 참여를 요구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이 드러나는 예로는, 상당한 수의 사람들은 웹이 아닌 신문이나 전화, 또는 친구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정보를 얻기도 하며, 컴퓨터의 사용을 꺼리는 사람들, 예를 들면 노인들의 경우, 이러한 정보수집의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the method of using clickthrough data on the web is also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each user accesses the web through a computer or a terminal, inputs a question, and selects a preferred URL. Therefore, the method of obtaining information is not implicit. There is a limitation that requires manual participation of the user. An example of this limitation is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obtain information through newspapers, telephones, or conversations with friends, not the web, and those who are reluctant to use the computer, such as the elderly, can Excluded from the subject, which is undesirable.

기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작년 7월에 한국에서 가장 인기 좋았던 식당은 어디인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기 위해서는, 각 단체 또는 지역 별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따로 존재하거나, 테이블과 속성 및 데이터 타입 등의 구성이 다른 경우가 존재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작년 7월”이라는 조건을 “작년 6월~8월”이라는 조건으로 바꿀 경우, 답변을 얻기 위해 동일한 비용이 들어가는 것이 불가피하다.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ere was the most popular restaurant in Korea last July?” Using existing database systems, database systems exist for each group or region, or tables, attributes, and data types. Since there is a case w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 and the like is different, there is a limit that a lot of time and cost are required. In particular, if you change the condition of “July last year” to “June-August last year,” it is inevitable that you will be charged the same cost to get an answer.

따라서, 웹상에서의 수동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보다 신뢰성이 있고 암묵적이고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of preferred context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which is more reliable, implicitly and automatically performed by avoiding the manual method on the web.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웹상에서의 수동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보다 신뢰성이 있고 암묵적이고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based on the current context information which is more reliable, implicitly and automatically performed by providing a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The purpos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로부터 사용자화된 추론을 적용하여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d stor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o accumulate and store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d and stor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to store the customized inference from the stored and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for inferring and stor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by applying; And a server for receiving cumulatively sto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extracting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거나, 상기 현재 위치정보의 변화가 설정 기준값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periodically obtai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r whenever the change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ceeds a set reference value, the current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group preferences to obtai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Provides 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Wi-Fi 또는 GPS로부터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Wi-Fi or GP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Wi-Fi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Wi-Fi에 대한 엑세스 포인트의 매체접근제어주소, 및 상기 Wi-Fi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를 원시 데이터로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btain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Fi, the mobile terminal of the access point to the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Wi-Fi,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F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using strength as raw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 시각정보를 합하여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to obtain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by adding the accumulated sto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의 최대 개수, 상기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의 최대 개수, 및 상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의 최대 개수가 설정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the maximum number of the cumulative stor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he maximum number of the stored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maximum number of the sto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is set Provide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provide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to extract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a user belongs through a data mining techniqu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로부터 사용자화된 추론을 적용하여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하는 제3단계; 및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step of acquiring and sto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second step of acquiring and storing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In the mobile terminal, inferring and accumulat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by applying customized inference from the stored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a fourth step of extracting, from the mobile terminal, cumulatively sto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o extract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계는, Wi-Fi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Wi-Fi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Wi-Fi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상기 Wi-Fi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지 않은 경우에, GPS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GPS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GPS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Wi-Fi; Acquiring and accumula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Wi-Fi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Wi-Fi;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Fi; And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GPS, acquiring and accumula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ists; Extracting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ists; And acquiring and storing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의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패턴유형을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유형으로부터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exists; Extracting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when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exists; Analyzing a pattern of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a pattern type of a user from the analyzed pattern; And inferring and accumulating the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pattern ty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8-11.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집단선호정보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기업, 단체 및 정부에 다양하고 다각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using a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and diversified information services to users, companie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의 편의를 위해 주변시설이나 기타 행정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고, 기업은 관련된 상품의 판매 및 홍보를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양질의 집단 선호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overnment may enhance the surrounding facilities or other administrative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public, the enterprise may further enhance the sale and promotion of related products, consumers receive a high quality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It is avail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S1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S2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S3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의 S4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집하여 집단 선호정보를 추론하는 서버모델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변형된 PLSA 기법을 이용하여 집단 선호정보를 추론하는 모델의 개략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embodying step S100 of FIG.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200 of FIG. 2.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300 of FIG. 2.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400 of FIG. 2.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ver model for inferring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by collect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del for inferring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using a modified PLSA technique among data mining techniques in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 (100)는 Wi-Fi 또는 GPS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모두 가능하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nd a server 20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ny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Wi-Fi or GPS. For example, a smartphone terminal may be used.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거나, 현재 위치정보의 변화가 설정 기준값을 초과할 때마다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정보를 Wi-Fi 또는 GPS와 같은 계측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현재 시각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 내부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다. 현재 위치정보를 Wi-Fi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Wi-Fi에 대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C)의 매체접근제어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및 Wi-Fi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를 원시 데이터로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nd sto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100 acqui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periodically, or obtai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ever a change i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ceeds a setting reference valu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a measurement device such as Wi-Fi or GPS,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information us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Wi-Fi,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Access Point (AC) for Wi-Fi, and the Wi-Fi.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the signal strength as raw data.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00)는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를 합하여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cquires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stores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by adding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로부터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nfers and stores the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cumulatively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의 최대 개수,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의 최대 개수, 및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의 최대 개수가 설정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t to the maximum number of cumulatively sto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maximum number of cumulatively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maximum number of cumulatively sto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을 통해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은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rule)이나 패턴(pattern)을 찾아내는 기법이다.The server 200 receives cumulatively sto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extracts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a user belongs through a data mining technique. Data mining is a method of finding statistical rules or patterns systematically and automatically in large-scale stored data.

본 발명의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만을 획득하기 때문에 개인정보 및 권리침해의 염려가 없으며, 서버(200)에서 추론된 집단의 선호정보는 각 사용자, 기업, 정부 또는 단체로부터의 직접적인 요구에 의한 서비스 또는 자동화된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only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visual information of the user, there is no fear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nfringement, and inference from the server 200. The preferred group's preferen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a service or automated service by direct request from each user, corporation, government or organiz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한다(S100). S100 단계에 대해서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First, the mobile terminal acquires and sto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100). The step S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S10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에서,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한다(S200). S200 단계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fter the step S100, the mobile terminal acquires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stores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S200). The step S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S20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에서,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로부터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한다(S300). S300 단계에 대해서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fter the step S200, the mobile terminal infers and stores the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S300). The step S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S300 단계 이후,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한다(S400). S400 단계에 대해서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After the step S300, the server receives the user intention information accumul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extract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S400). The S400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3은 도 2의 S1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 chart embodying step S100 of FIG.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가 Wi-Fi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Fi (S110).

S110 단계 이후, Wi-Fi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00)가 Wi-Fi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한다(S120). After the step S110,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Fi,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and sto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via the Wi-Fi (S120).

그러나, S110 단계 이후, Wi-Fi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GPS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0).However, after the step S110, if there is no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Fi,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130).

S130 단계 이후, GPS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00)가 GPS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한다(S140). 그러나, GPS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10 단계로 피드백 (feedback)한다.After the step S130, if there is an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and accumulates the stored (S140). However, if there is no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the feedback (feedback) to step S110.

S110 내지 S130과 관련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서는 환경설정이 가능한데, 환경설정은 Wi-Fi 데이터 또는 GPS 데이터의 입력대기에 대한 속성값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GPS 정보는 주기적으로 받을 수도 있고, 위치의 변화가 일정값(예를 들어, 10m)을 초과할 때마다 받게 하는 것 등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속성값들은 기본값을 설정해두되,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In connection with S110 to S130,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set in the environment, the environment setting means setting the attribute value for the input standby of the Wi-Fi data or GPS data. For example, the GPS information may be periodically received, and the GPS information may be adjusted whenever the change in position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10 m). These property values should be set to the default values, but allow the user to change them arbitrarily.

Wi-Fi 존(zone)이나 실내에서는 Wi-Fi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하고, GPS 신호가 수신되는 실외의 경우는 GPS 정보를 통해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한다. Wi-Fi 정보를 우선적으로 이용하는 이유는, GPS와는 달리 실내위치를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향후 Wi-Fi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가 더욱 커지게 되면 실외에서의 인식률 또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In the Wi-Fi zone or indoors,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and stored using the Wi-Fi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the outdoor where the GPS signal i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and stored through the GPS information. The reason for using the Wi-Fi information first is that, unlike GPS, the indoor location can be recognized relatively accurately, and when the infrastructure for the Wi-Fi service grows in the future, the recognition rate in the outdoors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위치정보는 원시 데이터로써 표현된다. 예를 들어, Wi-Fi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GPS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위도 36.39243721961975, 경도 127.39979445934296와 같은 원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위치정보는 상황정보의 취득을 위해 누적된다. Wi-Fi를 이용하는 경우에, 각 엑세스 포인트들의 매체접근제어 주소와 신호강도를 원시 데이터로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presented as raw data. For example, when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GPS in an area where Wi-Fi is not possible, raw data such as latitude 36.39243721961975 and longitude 127.39979445934296 can be obtaine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ccumulated for obtain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using Wi-Fi,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d signal strength of each access point as raw data.

도 4는 도 2의 S2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200 of FIG. 2.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10).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ists (S210).

S210 단계 이후,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한다(S220). 그러나,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210 단계로 피드백한다.After the step S210, if there is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extracts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220). However, if the accumulat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flow returns to step S210.

S22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한다(S230). S230 단계와 관련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통해 현재 장소를 인식하고, 현재 장소에 관한 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를 합쳐서 현재 상황정보를 구성한다. 모바일 단말기(100)에서는 환경설정이 가능한데, 환경설정은 현재 상황정보의 취득을 위해 설정이 요구되는 일체의 속성값, 예를 들면 누적위치정보의 최대 개수 등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After the step S220, the mobile terminal 100 obtains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stores the cumulative current information (S230). In relation to step S230, the current loca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place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100, environment setting is possible. The environment setting means setting any attribute value, for example, the maximum number of accumulated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required for setting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원시 데이터를 통하여 장소정보를 얻을 때는 미리 정의된 목록에서 선택된다. 만약, 장소정보의 목록을 정의할 때 커피숍에 대해서,‘할리스’,‘스타벅스’및‘커피숍’을 정의하면,‘할리스’와‘스타벅스’이외의 커피숍들은‘커피숍’이라는 장소로 인식된다.When plac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raw data, it is selected from a predefined list. If you define 'Hollis', 'Starbucks' and 'Coffee Shop' for the coffee shop when defining the list of place information, the coffee shops other than 'Hollis' and 'Starbucks' are called 'Coffee Shop'. It is recognized as a place.

장소정보의 목록이 세분화될수록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기준의 신뢰도가 높아지며,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더욱 다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the list of place information is segmented, the reliability of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user's intention is increased,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can be more diversified.

시각정보는 지속시간의 계산을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커피숍에 오전 08:50에 들어갔을 경우, 단지 커피숍에 들어갔다는 정보만을 상황정보의 구성에 이용하지 않는다. 오전 08:50에 들어가서 09:30에 나왔을 경우, 커피숍의 방문시간이 오전 08:50부터 40분간 지속되었다는 정보를 통해 상황정보를 구성한다. 따라서, 방문의 지속이 완료되었을 때 상황정보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Visual information is need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duration.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coffee shop at 08:50 am, only the information of entering the coffee shop is not used to construct the situation information. If you enter 08:50 am and go out at 09:30, you will be able to organize your situation with information that the coffee shop visit lasted for 40 minutes from 08:50 am. Thus, the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possible when the duration of the visit is completed.

상황정보는 위치정보, 장소정보 및 시각정보를 합쳐서 구성된다. 예를 들면,‘GPS, (36.39243721961975,.39979445934296), 커피숍, 2010.09.27.08:50, 2010.09.27.09:30, 0.00:40’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는, 위의 위도 및 경도에 위치한 커피숍에 오전 08:50에서 09:30까지 40분 동안 방문했다는 상황정보이다. 상황정보는 그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으므로, 의도정보 추론을 위해 누적된다.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location information, place information, and visual information. For example, 'GPS, (36.39243721961975, .39979445934296), coffee shop, 2010.09.27.08:50, 2010.09.27.09:30, 0.00: 40'. An example of this is situational information that a coffee shop located at latitude and longitude above was visited for 40 minutes from 08:50 am to 09:30 am. Since the situation information has no special meaning in itself, it is accumulated for intention information inference.

도 5는 도 2의 S3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300 of FIG. 2.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10).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exists (S310).

S310 단계 이후,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를 추출한다(S320). 그러나,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310 단계로 피드백한다.After the step S310, if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exists, the mobile terminal 100 extracts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S320). However, if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flow returns to step S310.

S32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의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패턴유형을 학습한다(S330). 모바일 단말기(100)에서는 환경설정이 가능한데, 환경설정은 의도정보의 취득을 위해 설정이 요구되는 일체의 속성값, 예를 들면 누적 상황정보의 최대 개수 등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화된 의도정보 추론을 위해서, 사용자의 일반적인 정보와 삶의 패턴을 사용한다. 사용자의 일반적인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확인 가능한 정보들, 예를 들면 성별과 나이를 들 수 있다. 삶의 패턴은 상황정보들을 누적하여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After the step S320, the mobile terminal 100 analyzes the accumulated pattern of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learns the pattern type of the user from the analyzed pattern (S330). In the mobile terminal 100, environment setting is possible. The environment setting means setting any attribute value, for example, the maximum number of cumulative situation information, which is required for setting intention information. To infer customized intention information, we use general information of users and patterns of life.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information that can be check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gender and age, without the user directly inputting. The pattern of life can be obtained by accumulat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pattern.

패턴분석을 위해 상황정보는 일, 주, 월 등의 단위로 누적된다. 예를 들어, 일 단위로 누적된 상황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거의 매일 아침에‘식당’을 가는 것을 알아낼 수 있으며, 주 단위의 상황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매주 월요일 저녁 식사 후에 ‘테니스장’에 가는 것을 알아낼 수 있으며, 월 단위로 누적된 상황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매달 한번씩‘치과’에 들른다는 사실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물론, 매년 누적시킴으로써 연 단위의 분석도 가능하다. 어느 정도의 단위로 누적할 것인지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상태에 의존한다.Status information is accumulated in units of days, weeks, and months for pattern analysis. For example, you can find out if a user goes to a restaurant almost every morning through the accumulated status information on a daily basis, and find out if the user goes to the tennis court after dinner every Monda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user visits the 'dental' once a month through the situation information accumulated on a monthly basis. Of course, by accumulating every year, it is possible to analyze annually. How many units to accumulate depends on the hardwar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또한, 분석된 삶의 패턴은 사용자가 서점을 방문하면 보통 몇 분 정도 소요되는지, 식사때는 몇 분 정도 소요되는지 등의 정보까지 포함한다. 왜냐하면, 식당에 10초 정도만 방문한 정보에서 식사를 했다는 의도정보를 추론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깜빡 잊고 두고 간 물건을 찾으러 왔다는 것이 오히려 신빙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매일 서점을 들르는 사람과 가끔씩 들르는 사람을 동일하게 책을 구매하러 왔다고 의도정보를 추론할 수는 없다. 매일 들르는 사람은 직원일 가능성이 높으며, 서점에서 얼마만큼의 시간을 보내는지의 정보를 통해 직원일 가능성을 더욱 정확히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analyzed life patterns include information such as how many minutes a user usually visits a bookstore or how long a meal takes. Because it is too much to deduce the intention information about eating from the information you visited in the restaurant for only 10 seconds, and it is rather credible that you came to find something you left behind. Also, you cannot deduce intention information if you come to buy a book the same day as someone who visits your bookstore and someone who visits you occasionally. People who stop by every day are more likely to be employees, and the information on how much time they spend at the bookstore can more accurately infer the likelihood of being an employee.

S33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에서, 패턴유형으로부터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한다(S340). 본 발명은 의도정보 추론을 위해 현재 상황정보를 이용하는데, 사용자화된 추론을 적용한다. 사용자화된 추론이 필요한 이유는, 각 사람마다 특정 장소 또는 시각이 의미하는 것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침에 잠시‘서점’에 들를 경우, 책을 구매하러 갔을 것이라는 일반적인‘의도’를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사람이 서점에서 일하는 사람일 경우는, 책을 구매하러 간 것이 아니라, 근무하러 갔다는 것이 더욱 신뢰성 있는‘의도’가 된다. 또한, 책을 구매하러 갔을지라도, 책을 구매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다. 예를 들어, 서점에 5초간 방문한 경우와 서점에 10시간 동안 방문한 경우, 책을 구매하러 갔다고 추론하기에는 두 경우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After operation S330, the mobile terminal infers and accumulates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pattern type at operation S340.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or intention information inference, and applies customized inference. The reason for the need for customized reasoning is that each person may have a different meaning for a particular place or time. For example, if you stop by the bookstore in the morning, you can infer the general intention that you might have gone to buy a book. However, if the person is a person who works at a bookstore, it's more reliable to know that going to work instead of buying a book. Also, even if you go to buy a book, the time it takes to buy a book varies widely from person to person. For example, if you visit a bookstore for 5 seconds and for a 10-hour visit, you will not be able to infer that you went to buy a book.

사용자 유형 학습을 통해 각 사람에 따라 특정 장소와 시간대에 대한 의도정보의 판단기준은 달라지게 되며, 이 의도정보는 미리 정해놓은 의도정보 목록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의도정보의 목록을 상세하게 만들수록 다각적인 집단 선호정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의도정보 목록에 대해서는 도 7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Through the user type learn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inten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place and time zone vary according to each person, and the intention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a predetermined list of intention information. The more detailed the list of intention information is, the more diverse th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becomes. The intention information lis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사용자화된 추론을 적용함으로써 취득하는 의도정보는 현재 상황정보와 의도정보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GPS, (36.39243721961975, .39979445934296), 커피숍, 2010.09.27.08:50, 2010.09.27.09:30, 0.00:40, 식후 음료’와 같은 의도정보는, 사용자가 2010년 9월 27일 오전 08:50부터 40분간 커피숍에 들렀고, 사용자화된 추론으로써 예상되는 의도는‘식후 음료’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도정보는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누적된다.
The intention information obtained by applying the customized reasoning consists of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inten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tention information such as 'GPS, (36.39243721961975, .39979445934296), coffee shop, 2010.09.27.08:50, 2010.09.27.09:30, 0.00: 40, after-drink drink' may be used by the user on September 27, 2010. I stopped at the coffee shop for 40 minutes from 08:50 am, and the intention expected by customized reasoning means 'after-drink drink'. This intent information is accumulated for transmission to the server.

도 6은 도 2의 S400 단계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400 of FIG. 2.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사용자 의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S410). 모바일 단말기(100)에서는 환경설정이 가능하데, 환경설정은 의도정보의 전송을 위해 설정이 요구되는 일체의 속성값, 예를 들면, 누적 의도정보의 최대 개수 등을 설정하는 것이다.First,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accumulat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exists (S410). In the mobile terminal 100, environment setting is possible. The environment setting is to set any attribute value, for example, the maximum number of cumulative inten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setting the intention information.

S41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0가 누적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출한다 (S420). 그러나, 누적된 사용자 의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410 단계로 피드백한다.After the operation S410, the mobile terminal 1000 extracts the accumulat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S420). However, if the accumulat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feedback is returned to the operation S410.

S42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가 누적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430).After operation S420,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accumulat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S430).

S430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가 사용자 의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440).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100)가 사용자 의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S410 단계로 피드백한다. 사용자 의도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때, 먼저 전송된 의도정보부터 서버(200)에 제출하도록 하며, 서버(200)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의도정보는 누적되어 대기하다가 새로운 누적정보가 들어왔을 때 다시 서버(200)와의 통신을 체크한다. 따라서, 서버(200)와의 통신이 가능할 때, 누적되어 있던 의도정보들은 순차적으로 서버(200)에 전송된다. 이것은 여러 가지의 이유로 서버(200)와의 통신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의도정보가 함부로 상실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누적되는 의도정보의 개수의 상한선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환경에 의존한다.After the step S430,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user inten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S440). However, if it is not possible for the mobile terminal 100 to transmit the user inten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the mobile terminal 100 feeds back to the step S410. When the user inten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inten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irst is submitted to the server 200. If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0 is not possible, the intention information is accumulated and waits for new cumulative information. When again check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0. Therefore, when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0 is possible, accumulated intention information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is is to prevent intentional information from being los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0 may be impossible for various reasons.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of cumulative intention information depends on the hardware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S440 단계 이후, 서버(200)가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한다(S450).
After step S440, the server 200 extracts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S45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집하여 집단 선호정보를 추론하는 서버모델의 개략도이다.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의도정보들을 누적하여 PLSA, LDA, 또는 이들의 변형된 모델의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집단 선호정보를 추론한다. 집단 선호정보는 지역, 날짜 차원에서 관리되고, 특정지역의 특정날짜에 해당하는 선호정보는 계층화된 레벨의 의도로써 표현됨으로써, 다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트리구조로 표현된 아침, 점심, 저녁은‘의도’의 예가 될 수 있다. 식사라는‘의도’는 아침, 점심, 저녁의‘상위의도’로서 표현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의도’는 계층화됨으로써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다각적인 서비스 제공에 대해서는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rver model for inferring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by collect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ccumulating the inten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th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is inferred through the data mining technique of PLSA, LDA, or a modified model thereof. Th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is managed at the region and date level,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ate of the specific region is expressed by the hierarchical level intention, thereby providing various services. Breakfast, lunch, and dinner represented by a tree structure can be examples of 'intention'. The term 'intention' is expressed as 'high intention'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As such, 'intention' is stratified to enable a multifaceted approach. Multilateral service provis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변형된 PLSA 기법을 이용하여 집단 선호정보를 추론하는 모델의 개략도이다. 각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의도정보는 수치로써 누적되는데, 이 수치데이터는 변형된 PLSA의 데이터 모델에서 확률계산의 일부에 사용된다.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del for inferring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using a modified PLSA technique among data mining techniques in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n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user's mobile terminal 100 is accumulated as a numerical value, which is used as part of the probability calculation in the modified PLSA data model.

누적되는 수치데이터는 날짜와 지역에 따라 일정 단위별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날짜는 월 단위, 지역은 시 단위로 저장하게 되면, 표기된 것과 같이‘2010년 6월 경기도 수원’이라는 단위로 누적되며,‘2010년 7월 경기도 수원’, ‘2010년 7월 경기도 안산’과 같이 각 날짜와 장소별로 저장된다. 따라서,‘2010년 6월 경기도 수원’에 해당하는 표는 2010년 6월 경기도 수원에서 수집된 의도 데이터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갖게 된다.Accumulated numerical data is stored in units of dates and regions. For example, if the date is stored in monthly units and the region is stored in hours, it is accumulated in units of 'Suwon, Gyeonggi-do, June 2010' as indicated. It is stored for each date and place. Therefore, the table corresponding to 'Suwon, Gyeonggi-do in June 2010' will have numerical data on intention data collected from Suwon, Gyeonggi-do in June 2010.

지역, 날짜 그리고 레벨이라는 3차원으로 표현되는 좌표는 이러한 수치 데이터들이 지역과 날짜 단위로 저장됨을 의미한다. 레벨차원의 화살표를 따라 올라가는 것은, 지역과 날짜단위를 합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경기도에 속한 모든 지역들, 이를테면 ‘경기도 안산’과 ‘경기도 수원’ 등의 지역 단위들이 뭉쳐서 경기도라는 상위급의 지역단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2010년 1월~12월까지의 단위를 합쳐서‘2010년’이라는 상위급의 날짜단위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날짜와 지역차원에서 레벨의 화살표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수치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즉,‘경기도 안산과 수원에서 2010년 5월부터 8월까지’의 수치 데이터를 다룰 수도 있다.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regions, dates, and levels mean that these numerical data are stored in units of regions and dates. Climbing along the level arrows means you can combine regions with date units. For example, all the regions in Gyeonggi-do, such as Ansan and Gyeonggi-do, are united together to form a higher-level regional unit called Gyeonggi-do. In addition, unit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can be combined to form a higher-level date unit called “2010.” Thus, various levels of access to numerical data are possibl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level arrows at the date and local levels. In other words, it can deal with the numerical data of 'May-August 2010 in Ansan and Suwon, Gyeonggi-do'.

날짜와 지역 차원에서 레벨의 화살표를 통하여 다양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때마다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경기도 안산과 수원에서 2010년 5월부터 8월까지’의 수치 데이터를 구할 때에는, 단순히 해당하는 수치 데이터의 표들을 합해서 구하지 않는다. 수치 데이터는 집단의 선호정보를 구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가장 하위 레벨의 수치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구한 집단의 선호정보들을 토대로, 날짜와 지역 차원에서 상위 레벨에 해당하는 집단의 선호정보를 유추하여 얻을 수 있다.Enabling multiple accesses through level arrows at the date and local level does not mean calculating on the basis of numerical data for each attempt. For example, when calculating the numerical data of “May-August 2010 in Ansan and Suwon, Gyeonggi-do,” simply do not combine the tables of the numerical data. Since numerical data is used to obtain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it can be obtained by inferring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the upper level at the date and region level based on th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obtained based on the lowest level numerical data. .

수치 데이터를 적용하여 반복적인 확률 계산을 실시할 때에는, P(c), P(i|c), P(l|c)를 이용하는 변형된 PLSA 모델에 기반한다. 여기서, c는‘의도’, i (interval)는 시각, l(location)은 장소를 각각 나타낸다.When performing iterative probability calculation by applying numerical data, it is based on a modified PLSA model using P (c), P (i | c), and P (l | c). Where c is 'intention', i (interval) is time, and l (location) is place.

수치 데이터는 변형된 PLSA 모델에 적용되어 확률계산의 일부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적용된 결과는 각‘의도’들에 대해 확률로 표현되는데, 이 값들은 집단의 선호도를 확률로써 표현한다. 트리구조로 표현된 아침, 점심, 저녁은‘의도’의 예가 될 수 있다. 식사라는‘의도’는 아침, 점심, 저녁의‘상위의도’로서 표현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의도’는 계층화됨으로써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경기도 안산과 수원에서 2010년 5월부터 8월동안 사람들이 아침식사를 제때 얼마나 챙겨먹었나?’와 같은 질문이 가능하며,‘경기도 안산과 수원에서 2010년 5월부터 8월동안 사람들이 제때 식사를 얼마나 챙겨먹었나?’라는 질문이 가능하다.Numerical data can be applied to the modified PLSA model and used as part of the probability calculation. The result is expressed as a probability for each 'intention', which expresses the group's preference as a probability. Breakfast, lunch, and dinner represented by a tree structure can be examples of 'intention'. The term 'intention' is expressed as 'high intention'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As such, 'intention' is stratified to enable a multifaceted approach. For example, you might ask, 'How long did people eat breakfast on time in May-August 2010 in Ansan and Suwon, Gyeonggi-do?' And 'From May-August 2010 in Ansan and Suwon, Gyeonggi-do. How much time did people eat on time? '

계층화된‘의도’중에서 가장‘하위 의도’는 수치 데이터로부터 구할 수 있지만, 시스템의 속도를 위해‘상위의도’는 수치데이터들에서 직접적으로 구하지 않는다. 가장‘하위 의도’들을 모두 구하면,‘상위의도’는‘하위 의도’들을 통해 적절히 유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계층구조는 여러 단계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Among the stratified 'intentions', the 'lowest intention' can be obtained from numerical data, but for the speed of the system, 'high intention' is not directly obtained from numerical data. Once all the "lower intentions" are found, "higher intentions" can be appropriately inferred through "lower intents," and this hierarchy can be extended to multiple levels.

그러나, 가장‘하위 의도’들은 그 개수만 정의할 수 있을 뿐, 각‘의도’들이 정말로 원하는‘의도’의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적절한 초기화 작업이 요구된다. 초기화 작업은 수치 데이터와 각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제공된‘의도’를 사용한다.However, only the most subordinate intents can be defined, and proper initiation is required in order for each intent to have the desired meaning.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uses numerical data and 'intention' provided by each mobile terminal 100.

한 사용자가 특정한 의도정보를 제출했을 경우, 서버의 집단 의도정보 추론에 이용되는 예를 들면,‘GPS, (36.39243721961975, .39979445934296), 커피숍, 2010.09.27.08:50, 2010.09.27.09:30, 0.00:40, 식후 음료’와 같은 의도정보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추론된 의도는‘식후 음료’이므로,‘식후 음료’라는‘의도’의 개수가 카운트된다. 이렇게 카운트된 정보는 P(c)의 초기화에 이용되며, 수치 데이터의 누적은 장소에서는‘커피숍’, 시간에서는 08:00~08:59 및 09:00~09:59에 모두 카운트된다. 이러한 수치 데이터는 P(i|c)와 P(l|c)의 초기화에 이용되며, 모델의 반복적인 확률계산에도 이용된다.When a user submits specific intention information, for example, 'GPS, (36.39243721961975, .39979445934296), Coffee Shop, 2010.09.27.08:50, 2010.09.27.09:30, 0.00 In the intention information such as '40, drink after meal ', since the inferred intention of the user is' after meal drink,' the number of 'intentions' as' after meal drink' is counted. The counted information is used for initialization of P (c), and the accumulation of numerical data is counted at the coffee shop at the place, at 08:00 to 08:59 and 09:00 to 09:59 at the time. Such numerical data is used to initialize P (i | c) and P (l | c), and it is also used for iterative probability calculation of the model.

날짜와 지역 차원으로 관리되는 수치 데이터를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다각적인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고, 계층화된‘의도’모델을 통해, 집단 선호정보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해진다.By adjusting the level of numerical data managed at the date and region level, multi-level data access is possible, and the hierarchical 'intention' model enables multi-faceted access to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변형된 PLSA가 아닌 LDA를 포함한 다른 응용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하여서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other applied data mining techniques including LDA rather than modified PLSA.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단 선호정보가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모델의 개략도이다. 집단 선호정보를 획득하는 서버(200)는 사용자들과 정부, 기업 및 단체를 대상으로 크게 2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는, 직접적인 요구에 의한 서비스이고, 둘째는 자동화된 서비스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del in which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is provided as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00 for acquiring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may provide two services to users and governments,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The first is a service by direct demand, and the second is an automated service.

직접적인 요구에 의한 서비스는, 각 사용자, 단체, 정부, 기업이‘경기도 안산과 수원에서 2010년 5월부터 8월동안 사람들이 아침식사를 제때 얼마나 챙겨먹었나?’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서버(200)에 직접 요청한 경우이다. 서버(200)는 적은 연산으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On demand service, each user, group, government, or company can answer questions such as 'How long have people eaten breakfast in May and August 2010 in Ansan and Suwon, Gyeonggi-do?' This is the case when the request is made directly to 200). The server 200 may provide an answer with fewer operations.

자동화된 서비스는 주로 각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제공된다. 각 모바일 단말기(100)는 해당 사용자에 최적화되어 사용자화된 의도 추론 모델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모델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서버(200)에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병원에서 나온 경우, 근처의 가까운 약국 또는 근방에서 지난달에 가장 인기가 좋았던 약국을 자동으로 추천해줄 수 있다.
Automated services are primarily provided for each user. Since each mobile terminal 100 has a customized intention inference model optimized for a corresponding user,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utomatically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using this model. For example, if a user leaves the hospital, he can automatically recommend the most popular pharmacy last month at or near a nearby pharmacy.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altera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Will be self-explanatory.

100 : 모바일 단말기
200 : 서버
100: mobile terminal
200: Server

Claims (12)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로부터 사용자화된 추론을 적용하여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Acquire and store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ccumulate and save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umulated and sto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infer user intention information by applying customized inference from the accumulated and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for receiving accumulat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extracting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거나, 상기 현재 위치정보의 변화가 설정 기준값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periodically acqui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r obtai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ever a change i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ceeds a set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Wi-Fi 또는 GPS로부터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i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to obtai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Fi or GP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Wi-Fi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Wi-Fi에 대한 엑세스 포인트의 매체접근제어주소, 및 상기 Wi-Fi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를 원시 데이터로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Wi-Fi, the mobile terminal uses the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access point for the Wi-Fi and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Fi as raw data.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 시각정보를 합하여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i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to obtai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by adding the accumulated stor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의 최대 개수, 상기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의 최대 개수, 및 상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의 최대 개수가 설정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i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maximum number of the accumulated sto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maximum number of the stored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maximum number of the stored stor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are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is a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urrent context information to extract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through a data mining technique.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누적 저장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누적 저장된 현재 상황정보로부터 사용자화된 추론을 적용하여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하는 제3단계; 및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누적 저장된 사용자 의도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속한 집단의 선호정보를 추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
A first step of acquiring and stor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in a mobile terminal;
A second step of acquiring and storing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In the mobile terminal, inferring and accumulat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by applying customized inference from the stored stor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A fourth step of receiving, at a server, preference information of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by receiving accumulated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the current context information,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Wi-Fi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Wi-Fi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Wi-Fi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상기 Wi-Fi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지 않은 경우에, GPS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GPS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GPS를 통해 상기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first step,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Wi-Fi;
Acquiring and accumula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Wi-Fi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Wi-Fi;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Fi; And
Acquiring and stor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when there is input o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the current context information,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각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step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ists;
Extracting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xists; And
Acquiring and storing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umulat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the current context information,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현재 상황정보의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패턴유형을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유형으로부터 사용자 의도정보를 추론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정보 기반의 집단선호정보 서비스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third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exists;
Extracting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when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exists;
Analyzing a pattern of the accumulate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a pattern type of a user from the analyzed pattern; And
Inferring and accumulating user intention information from the pattern type;
Group p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the current context information, including.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8-11.
KR1020110019209A 2011-03-04 2011-03-04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KR101373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09A KR101373825B1 (en) 2011-03-04 2011-03-04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209A KR101373825B1 (en) 2011-03-04 2011-03-04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63A KR20120100363A (en) 2012-09-12
KR101373825B1 true KR101373825B1 (en) 2014-03-11

Family

ID=4711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209A KR101373825B1 (en) 2011-03-04 2011-03-04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of collective preference informati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8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5531A (en) * 2014-12-26 2015-05-1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Statistical method for accumulated terminal using duration time and network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4185A (en) * 2014-09-23 2014-12-24 贝壳网际(北京)安全技术有限公司 Travel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217A (en) * 2003-04-14 2004-11-11 Sony Cor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group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side instru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oncerning them
KR20100058833A (en) * 2008-11-25 201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rest mining based on user's behavior sensible by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217A (en) * 2003-04-14 2004-11-11 Sony Cor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group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side instru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oncerning them
KR20100058833A (en) * 2008-11-25 201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rest mining based on user's behavior sensible by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5531A (en) * 2014-12-26 2015-05-1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Statistical method for accumulated terminal using duration time and net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63A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r Zee et al. Distribution of tourists within urban heritage destinations: a hot spot/cold spot analysis of TripAdvisor data as support for destination management
Choi et al. Social media marketing: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in the hotel industry
Alén et al. Profiling the segments of senior tourists throughout motivation and travel characteristics
Choe et al. Use of social media across the trip experience: An application of latent transition analysis
Hernández-Méndez et al. The influence of e-word-of-mouth on travel decision-making: consumer profiles
Wu A comparative study of using grey relational analysis in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aking problems
US8751427B1 (en) Location-centric recommendation service for users
US8631122B2 (en) Determining demographics based on user interaction
KR1012264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al search
Malodia et al. A study of carpooling behaviour using a stated preference web survey in selected cities of India
Zhai et al. Mapping the popularity of urban restaurants using social media data
US9679044B2 (en) Assigning social networking system users to households
Barreneche Governing the geocoded world: Environmentality and the politics of location platforms
Liang et al. Multilev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travel, online ratings, and management response: empirical evidence from international upscale hotels
CN112088390A (en) Personalized match score for a place
Roblek et al. Complexity of a sharing economy for tourism and hospitality
TW20151473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ed applications within a search results page
Kim et al. The accuracy of tourism forecasting and data characteristics: a meta-analytical approach
Kang et al. Understanding tourist information search behaviour: the power and insight of social network analysis
Hung et al. A multileve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tourism expenditure
Sun et al. An Investigation of Gen-Y's Online Hotel Information Search: The Case of Hong Kong
Roberts Social class and leisure during recent recessions in Britain
US10445386B2 (en) Search result refinement
Himelein Weight calculations for panel surveys with subsampling and split-off tracking
Ganzaroli et al. The influence of foreigners’ buzzing on TripAdvisor ranking of restaurants in Venice: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over-touristed heritage c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25

Effective date: 2014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