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691A -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 Google Patents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691A
KR20210121691A KR1020200038842A KR20200038842A KR20210121691A KR 20210121691 A KR20210121691 A KR 20210121691A KR 1020200038842 A KR1020200038842 A KR 1020200038842A KR 20200038842 A KR20200038842 A KR 20200038842A KR 20210121691 A KR20210121691 A KR 2021012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crosswalk
smart
safety
stre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운용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주)이노셈코리아
김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셈코리아, 김일규 filed Critical (주)이노셈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3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691A/en
Publication of KR2021012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6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72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instructions are given per vo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treet light with a pedestrian mobile safety usage limit, which can solve inconvenience of a pedestrian by displaying a previously executed program on the background without stopping the previously executed program even when a pedestrian safety screen is displayed. The smart street light with a pedestrian mobile safety usage lim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street light unit (100) which detects a pedestrian entering a detection area, and has a plurality of smart street lights (101) connected to an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through a network, to transmit measured informa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mart street lights (101) transmit a pedestrian safety message to the pedestrian's terminal;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200) which analyzes and predicts accumulated data formed as big data; and a manager smart device (300) which sets and controls each smart street light connected to the network.

Description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 smart street light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본 발명에서는 보행자가 도보 보행시 설정된 위험지역 내에 진입시 모바일에 위험지역 진입을 표시하여 도보시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며 위험알림 스크린을 전송하여 보행자에게 위험을 인지시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destrian enters a set danger zone when walking on foot, the entry into the danger zone is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to temporarily limit the use of the smartphone when walking, and a danger notification screen is transmitted to recognize the danger to the pedestrian and prevent accidents. It is about a smart street light that limits the use of pedestrian mobile safety.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 개개인마다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현재 스마트폰의 중독으로 인해 도보 중에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시야가 좁아져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고 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The prevalence of smartphones is high, and each individual possesses a smartphone. Due to smartphone addiction, the number of accidents occurring without recognizing the danger due to the narrowing of the field of vision while walking is increasing rapidly.

이에 따라 기존에는 횡단보도와 같은 위험지역에 감지영역을 설정하여 GPS 신호를 통해 감지영역을 도보로 지나가는 동안 보행자의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여 보행자의 스마트폰 사용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고, 위험지역임을 인식시켜주는 장치가 개발되었다.Accordingly, in the past, a detection area was set in a dangerous area such as a crosswalk, and a pedestrian safety screen was transmitted to the pedestrian's terminal while walking through the detection area through a GPS signal to temporarily suppress the use of a pedestrian's smartphone, and A device has been developed to recognize that

하지만 기존의 보행자 안전 스크린 전송장치는 감지영역 내에 가청 음파를 통해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여 보행자의 청각에 불필요한 잡음이 드려 불편함을 느끼고, 보행자의 단말기에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있어야 보행자 안전 스크린를 전송받을 수 있고, 보호자 안전 메시지가 화면이 표시되면 기존에 스마트폰으로 실행하던 프로그램들이 완전히 정지되고, 오류가 발생하여 보행자 안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기피하게 되고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pedestrian safety screen transmitter transmits the safety screen through audible sound waves within the detection area, causing unnecessary noise to the pedestrian's hearing and feeling uncomfortable. When the screen is displayed with a parental safety message, programs previously executed on the smartphone are completely stopped, and an error occurs, avoiding the use of the pedestrian safety application and reducing effectiveness.

또한, 기존에는 GPS 신호로 감지영역을 설정하여 오차범위가 커 횡단보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신호대기중인 인도나 횡단보도에 인접한 건물 실내에까지 감지영역이 도달하여 영향을 미쳐 횡단보도가 아닌 공간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어 보행하지 않는 모바일 사용자에게 제약이 발생하여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ast, the detection area was set with a GPS signal and the error range was large, so it was not limited to crosswalks, but the detection area reached and affected the inside of a building adjacent to a pedestrian crossing or a crosswalk waiting for a signal. There was a problem in that mobile users who do not walk because they cannot use their phones are restricted and inconvenienced.

또한, 도로의 사정에 따라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크기 및 형태가 각각 다르고, 횡단보도가 형성된 지면의 경사각이 달라 정확한 감지영역을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crosswalks and intersec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road condition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on which the crosswalk is formed is different, so it is difficult to set an accurate detection area.

등록특허공보 제10-1904929호 2018.09.2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04929 2018.09.28.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행안전 구역으로 지정된 보행구역 및 횡단보도와 같은 위험지역을 보행자가 지나가는 시간동안 스마트폰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멈추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감지영역 내에 진입시 자동 안전 스크린 전송 방식으로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적용받을 수 있고, 도로와 보행구역 사정에 따라 다른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크기 및 형태에 호환되도록 하는 위험감지영역을 설정하여 위험지역 외에서는 스마트폰의 사용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고, 보행자 안전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기존에 실행되던 프로그램이 정지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 표시되어 보행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ccidents are prevented by temporarily stopping the use of smartphones while pedestrians pass through dangerous areas such as pedestrian zones and crosswalks designated as pedestrian safety zones, and automatically when entering the detection zone. The safety screen transmission method can be applied even if the relevant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an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road and pedestrian zone, a danger detection area is set to be compatible with the size and shape of other crosswalks and intersection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mart streetlight that limits the use of mobile safety for pedestrians, which prevents pedestrians from being disturbed and displays a pedestrian safety screen in the background without stopping, even when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displaye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mart street lamp for limiting pedestrian mobile safety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횡단보도의 신호등 측면 일측에 각각 직립되어 설치되어 횡단보도의 설정영역을 설정하여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보행자의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스마트 가로등 다수개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연결되어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스마트 가로등부와,A number of smart street lights that are installed upright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detect pedestrians entering the detection area by setting the setting area of the crosswalk, and transmit a pedestrian safety message to the pedestrian's terminal, ar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through the network A smart street light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and transmits the measured information;

스마트 가로등부에서 감지된 측정정보에 대한 통합 측정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고, 측정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분석 및 예측하는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와,An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that stores and accumulates integ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data for measure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unit, shares measurement data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nalyzes and predicts the accumulated data into big data;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스마트 가로등부를 이루는 다수개의 스마트 가로등에서 감지된 실시간 정보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 가로등을 각각 설정 및 제어하는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This is achieved by being configured with a manager smart device that receives real-time information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smart street lights that are network-connected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and forms the smart street light unit and displays them in real time, and sets and controls the smart street lights connected to the network, respective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횡단보도와 같은 위험지역을 보행자가 지나가는 시간동안 스마트폰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멈추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감지영역 내에 진입시 보행안전 이미지 스크린 전송 방식으로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적용받을 수 있고, 도로의 사정에 따라 다른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크기 및 형태에 호환되도록 관리자가 감지영역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동일한 제품을 다양한 교통환경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위험지역 외에서는 스마트폰의 사용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고, 보행자 안전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기존에 실행되던 프로그램이 정지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 표시되어 보행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ccidents are prevented by temporarily stopping the use of a smartphone while pedestrians pass through a dangerous area such as a crosswalk, and when entering the detection area, the related applic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pedestrian safety image screen transmission method. It can be applied even if it is not installed, and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set the detection area to be compatible with the size and shape of other crosswalks and intersections depending on the road conditions, so the same product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ffic environments and used outside the hazardous area.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smartphone, and even if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displayed, the previously running program is not stopped but displayed in the background, which has a good effect in resolving the inconvenience of pedestri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스마트 가로등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가로등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역설정 감지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거리 도로에 설정된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설정 영역을 도시한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거리 도로에 설정된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설정 영역을 평면방향에서 도시한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삼거리 도로에 설정된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설정 영역을 평면방향에서 도시한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 2차선 도로의 횡단보도에 설정된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설정 영역을 평면방향에서 도시한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 2차선 도로에 무단횡단 방지를 위해 설정된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설정 영역을 평면방향에서 도시한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도와 인도가 구분이 안된 이면도로에 설정된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설정 영역을 평면방향에서 도시한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안전 감지영역 전입 전 보행자 단말기와, 보행안전 감지영역 진입 후 보행자 안전 스크린이 전송되어 표시된 보행자 단말기의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안전 감지영역 진입 전 차량 운전자 단말기와, 차량안전 감지영역 진입 후 차량 안전 스크린이 전송되어 표시된 차량 운전자 단말기의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영역 설정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mponents of a pedestrian mobile safety use restriction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 street light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rt street l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 smart stree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 smart stree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assemblin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 region setting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mbodiment diagram showing a detection setting area of a smart street light set on a three-way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mbodiment diagram showing a detection setting area of a smart street light set on a crossroad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ar direction;
9 is an embodiment diagram showing the detection setting area of a smart street light set on a three-way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ar direction;
10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detection setting area of the smart street lamp set in the crosswalk of a round-trip two-lane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ar direction;
11 is an embodiment diagram showing the detection setting area of a smart street light set to prevent trespassing on a round-trip two-lane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ar direction;
12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detection setting area of the smart street lamp set on the back road where the road and the sidewalk are not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ar direction;
13 is an embodiment view showing the changed state of the pedestrian terminal before entering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edestrian terminal displayed after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after entering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14 is an embodiment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d state of a vehicle driver terminal before entering a vehicle safety sens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driver terminal displayed after a vehicle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after entering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n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 manager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 sensing area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스마트 가로등부(100), 통합관리 제어서버부(200),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mponents of a pedestrian mobile safety use restriction smart street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mart street light unit 100 , an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200 , and a manager smart device 300 . is composed of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부(100)에 관해 설명한다.First, the smart street ligh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스마트 가로등부(100)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측면 일측에 각각 직립되어 설치되어 횡단보도의 보행안전영역을 설정하여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보행자의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는 스마트 가로등(101) 다수개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연결되어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smart street light unit 100 is installed upright on one side of the traffic light side of the crosswalk to set the pedestrian safety area of the crosswalk to detect a pedestrian entering the detection area, and to transmit a pedestrian safety screen to the pedestrian's terminal. A plurality of street lights 101 ar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serve to transmit measured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101)은 가로등 몸체부(110), 통신부(120), 영역설정 감지부(130), 스피커부(140), PCB 기판(150), 전원부(1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smart street light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eet light body unit 110 , a communication unit 120 , a region setting detection unit 130 , a speaker unit 140 , a PCB board 150 , and a power supply unit 160 . do.

상기 가로등 몸체부(110)는 직립된 가로등 형상으로 원기둥 형상의 가로등주(112) 상단 일측에 측면방향으로 가로등 헤드(111)가 형성되어 스마트 가로등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treet lamp body 110 has an upright street lamp shape, and a street lamp head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shaped street lamp pole 112 in the lateral direction to support the smart street lamp as a whole.

상기 통신부(120)는 가로등 헤드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고, 통합관리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스마트 가로등이 감지하는 횡단보도 보행안전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에게 보행자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treet lamp head, transmits and receives control signals transmit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unit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s a pedestrian safety screen to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pedestrian safety area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serves to transmit.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20)는 스마트 가로등의 보행안전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여 감지된 보행자의 단말기에 투명형태의 보행자 안전 스크린(121)을 전송하고 차량안전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여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단말기에 투명형태의 차량 안전 스크린(122)을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transparent type pedestrian safety screen 121 to the terminal of the pedestrian detected by entering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of the smart street light, and the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detected by entering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Transmits the vehicle safety screen 122 in a transparent form.

이때 보행자 안전 스크린(121)은 보행자의 단말기 화면에 투명형태로 표시되고, 하단에 터치식 스크린 잠금해제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고, 기존에 보행자가 사용하고 있던 프로그램은 정지되거나 다운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121 is displayed in a transparent form 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pedestrian, a touch screen unlock switch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program used by the pedestrian is not stopped or down, but is executed in the background. do.

여기서 보행자 안전 스크린은 스마트 가로등이 감지하는 횡단보도 영역 내에 진입한 단말기에만 비가청음파를 통해 전송되고,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Here,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through inaudible sound waves only to terminals that enter the crosswalk area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and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it leaves the sensing area of the smart street light.

또한, 보행자 안전 스크린은 비가청 음파를 통해 보행자의 단말기에 전송시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보행시 불필요한 소음이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transmits the inaudible sound wave to the pedestrian's terminal to prevent unnecessary noise from being heard when the pedestrian walks in the crosswalk.

이를 통해 보행자가 스마트 가로등의 설정된 감지영역 횡단보도 진입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송신이 아닌, 문자 메시지 또는 팝업창 형태로 기존의 단말기 화면 위에 투명형상으로 표시되며 감지영역을 벗어나기 전까지 유지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 및 보행안전구역에 진입시 단말기에 시선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각심을 주어 교통 사고 및 도로시설에 의한 보행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보행자 안전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기존에 실행되던 프로그램이 정지되거나 다운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 표시되며, 감지영역을 벗어날 경우 자동해제되어 보행자가 단말기를 계속 사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 pedestrian enters the crosswalk in the detection area set by the smart street light, it is displayed in a transparent shape on the existing terminal screen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or a pop-up window, rather than 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nd it is maintained until it leaves the detection area so that pedestrians can crosswalk and walk safety. Prevents the eyes from being focused on the terminal when entering the zone, gives awarenes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pedestrian accidents caused by road facilities It is displayed, and it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it leaves the detection area, so that inconvenience can be minimized when pedestrians continue to use the terminal.

이때, 보행자 안전 스크린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잠금해제버튼을 터치하여 한쪽 방향으로 밀면 잠금이 해제되어 급한 용무가 있는 보행자의 경우에는 단말기를 횡단보도 및 보행안전구역 통과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lock release butt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touched and pushed in one direction, the lock is released, so that in the case of a pedestrian with an urgent business, the terminal can be used even when passing a crosswalk and a pedestrian safety zone.

이때 차량 안전 스크린(122)은 차량의 운전자 단말기 화면에 투명형태로 표시되고, 하단에 터치식 스크린 잠금해제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고, 기존에 차량 운전지가 사용하고 있던 프로그램은 정지되거나 다운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vehicle safety screen 122 is displayed in a transparent form on the driver terminal screen of the vehicle, a touch screen unlocking switch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program used by the vehicle driver does not stop or download in the background. make it run

여기서 차량 안전 스크린은 스마트 가로등이 감지하는 횡단보도에 인접한 도로의 감지영역 내에 진입한 차량 운전자 단말기에만 전송되고,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Here, the vehicle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only to the vehicle driver's terminal that has entered the detection area of the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and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it leaves the detection area.

또한, 차량 안전 스크린은 비가청 음파를 통해 차량 운전자의 단말기에 전송시켜 차량 운전자가 감지영역을 통과하여 주행시 불필요한 소음이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safety screen transmits an inaudible sound wave to the vehicle driver's terminal to prevent the vehicle driver from hearing unnecessary noise while driving through the sensing area.

이를 통해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 가로등의 설정된 감지영역 도로 진입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송신이 아닌, 문자 메시지 또는 팝업창 형태로 기존의 단말기 화면 위에 투명형상으로 표시되며 감지영역을 벗어나기 전까지 유지되어 차량 운전자가 감지영역에 진입시 단말기에 시선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각심을 주어 교통 사고 및 도로시설에 의한 주행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차량 안전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기존에 실행되던 프로그램이 정지되거나 다운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 표시되며, 감지영역을 벗어날 경우 자동해제되어 차량 운전자가 단말기 사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vehicle driver enters the set detection area of the smart street lamp, it is displayed in a transparent shape on the existing terminal screen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or a pop-up window, rather than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nd is maintained until the vehicle driver enters the detection area. Prevents the eyes from being focused on the terminal and gives awarenes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driving accidents caused by road facilities. When it goes out of the sensing area, it is automatically released,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terminal.

이때, 차량 안전 스크린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잠금해제버튼을 터치하여 한쪽 방향으로 밀면 잠금이 해제되어 급한 용무가 있는 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단말기를 횡단보도 및 보행안전구역 통과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lock release butt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safety screen is touched and pushed in one direction, the lock is released, so that in the case of a vehicle driver with an urgent business, the terminal can be used even when passing a crosswalk and a pedestrian safety zone.

상기 영역설정 감지부(130)는 가로등 몸체부의 상단 일측에 횡단보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횡단보도 보행안전영역을 설정하여 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를 식별하고, 식별정보를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area setting detection unit 1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treet lamp body to face the crosswalk direction, sets a crosswalk pedestrian safety area to identify pedestrians entering the area,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serves to transmit.

이는 영상정보 카메라부(131), 지오펜스(132)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is is achieved by selectively forming one device among the image information camera unit 131 and the geo-fence 132 .

상기 영상정보 카메라부(131)는 횡단보도 방향으로 비춰지는 카메라 영상의 영역 중 선택적으로 인도, 횡단보도 대기구역 및 건물을 제외한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인접 차도 내의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 영역의 움직임 감지 유무를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image information camera unit 131 selectively sets an area within the crosswalk and crosswalk adjacent to the crosswalk except for sidewalks, crosswalk waiting areas and buildings among the areas of the camera image projected in the crosswalk direction,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et area It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and serves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상기 지오펜스(132)는 위도, 경도로 위치를 표시하고, 반경을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인도, 횡단보도 대기구역 및 건물을 제외한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인접 차도 내의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 영역의 움직임 감지 유무를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geo-fence 132 displays the location by latitude and longitude, adds a radius, and selectively sets the area within the crosswalk and crosswalk adjacent to the crosswalk except for sidewalks, crosswalk waiting areas and buildings,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et area It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and serves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영역설정 감지부(130)는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와 네트워크 연결된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 상황에 맞게 보행안전 감지영역과 차량안전 감지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area setting detec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t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and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field situation through the manager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and the network.

이는 스마트 가로등과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의해 연결된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도로의 사정에 따라 다른 횡단보도 및 교차로, 차도가 구분이 안된 이면도로의 크기 및 형태에 호환하여 보행안전 감지영역 및 차량안전 감지영역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t is compatible with the size and shape of other crosswalks, intersections, and roadways that do not distinguish between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s and vehicles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in real time through smart street lights and a manager smart device connect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The safety detection area can be easily set.

여기서, 보행안전 감지영역은 교통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및 교차로를 포함한 보행안전구역 내에 보행자가 진입할 경우 보행자의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이 푸쉬되고, 감지영역 외측으로 보행자가 벗어날 경우 보행자의 단말기에 푸쉬되었던 보행자 안전 스크린이 자동으로 해제된다.Here, in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when a pedestrian enters a pedestrian safety zone including a crosswalk and an intersection according to a traffic signal,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pushed to the pedestrian's terminal, and when the pedestrian leaves the detection zone, it is pushed to the pedestrian's terminal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that has been disabled is automatically released.

여기서, 차량안전 감지영역은 교통신호에 따라 횡단보도와 인접한 차도의 감지영역 내에 차량이 진입할 경우 차량 운전자의 단말기에 차량 안전 스크린이 푸쉬되고, 감지영역 외측으로 차량이 벗어날 경우 차량의 운전자 단말기에 푸쉬되었던 차량 안전 스크린이 자동으로 해제된다.Here, in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the vehicle safety screen is pushed to the terminal of the vehicle driver when a vehicle enters the detection area of the roadway adjacent to the crosswalk according to the traffic signal, and when the vehicle leaves the detection area, the vehicle's driver terminal The vehicle safety screen that has been pushed is automatically released.

이를 통해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는 다수의 보행자 및 차량의 운전자 단말기에 각각 보행자 안전 스크린, 차량 안전 스크린을 푸쉬하고,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하여,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와 인접한 차도를 포함한 보행안전감지영역 내에서 단말기의 사용을 방지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rough this, a pedestrian safety screen and a vehicle safety screen are pushed to the driver terminals of multiple pedestrians and vehicles entering the detection area of the smart street light, respectively, and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y leave the detection area, so that the crosswalk and the roadway adjacent to the crosswalk are cl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preventing the use of terminals within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including

또한, 영역설정 감지부(130)는 감지영역의 오차범위가 1m 이내로 형성되어 보행안전 감지영역 및 차량안전 감지영역에서만 보행자 안전 스크린 및 차량 안전 스크린이 푸쉬되도록 하고, 차량이 다니지 않는 인도나 인접건물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이 푸쉬되는 것을 방지하여 횡단보도에 진입하지 않은 사용자는 단말기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rea setting detection unit 130 allows the error range of the detection area to be formed within 1 m so that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and the vehicle safety screen are pushed only in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and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and the sidewalk or adjacent building where the vehicle does not pass. prevents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from being pushed on the user terminal, so that users who have not entered the crosswalk can use the terminal without any problems.

이는 스마트 가로등이 설치될 수 있는 산업현장 및 공사현장 등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지역에서 적용될 수 있다.This can be applied in areas that require user attention, such as industrial sites and construction sites where smart street lights can be installed.

상기 스피커부(140)는 가로등 몸체부의 중앙 일측에 형성되어 통신부에서 수신된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의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횡단보도 보행안전영역 내에 진입한 보행자에게 보행자 안전 방송을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speaker unit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street lamp body and outputs a voice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pedestrian safety broadcast to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pedestrian safety area. plays a role

이는 스마트 가로등과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의해 연결된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감지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에게 송출하는 스크린을 설정할 수 있다. This can set the screen to be transmitted to pedestrians entering the sensing area through the smart street light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connect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또한, 스마트 가로등과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의해 연결된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도로상황을 파악하여 무단횡단하는 보행자 및 교통사고 발생시 사고자에게 관리자의 음성을 직접 송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transmit the manager's voice to the pedestrians crossing the road or to the accident victim in case of a traffic accident by grasping the road condi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smart street lamp and the manager smart device connect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상기 PCB 기판(150)은 가로등 몸체부의 내측에 내장되고 통신부와 연결되어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의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스마트 가로등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PCB board 150 is built inside the street light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smart street light as a whol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상기 전원부(160)는 스마트 가로등에 전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하고, 비상 전원 배터리를 상시 충전하여 비상 상황을 대비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60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entire smart street lamp and drive it, and to prepare for an emergency situation by constantly charging the emergency power battery.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 제어서버부(20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통합관리 제어서버부(200)는 스마트 가로등부에서 감지된 측정정보에 대한 통합 측정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고, 측정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분석 및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200 stores and accumulates integ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data for measure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unit, shares measurement data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nalyzes and predicts the accumulated data into big data. plays a role

이는 데이터 저장서버(210), 데이터 분석서버(220), 교통 안전 알림서버(230), 교통흐름 패턴 예측 서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storage server 210 , a data analysis server 220 , a traffic safety notification server 230 , and a traffic flow pattern prediction server 240 .

상기 데이터 저장서버(21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위치별 스마트 가로등에서 감지된 보행자 및 차량의 감지된 데이터 정보를 시간, 날짜와 같이 기간별로 분류하고,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의 위치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The data storage server 210 classifies the detected data information of pedestrians and vehicles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s for each location installed in the crosswalk by period, such as time and date, and stores the data by classifying it by the location of the installed smart street light. serves to accumulate.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서버(210)는 위치별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영역에 진입한 보행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The data storage serve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nformation on pedestrians and vehicles that have entered the sensing area of the smart streetlight for each location into data.

상기 데이터 분석서버(220)는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시간별 패턴과 무단횡단, 신호위반 등 감지된 교통 위반사항의 위치 및 시간별 교통상황 및 흐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패턴을 비교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The data analysis server 220 detects the hourly pattern of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the location of the detected traffic violations such as jaywalking and signal violation, and the hourly traffic situation and flow change,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detected data pattern plays a role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분석서버(22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위치별 스마트 가로등에서 감지된 보행자 통행신호에서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감지횟수, 차량 신호위반 횟수와, 차량 통행신호에서 차량의 감지횟수, 보행자의 무단횡단 횟수 등 위치 및 시간별 교통상황 및 흐름변화를 감지하고, 교통신호에 따른 시간대별, 날짜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데이터화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다.The data analysis server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umber of detections of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the number of vehicle signal violations, and the number of detections of a vehicle in the vehicle traffic signal in the pedestrian traffic signal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amp for each location installed in the crosswalk. Detects traffic conditions and flow changes by location and time, such as the number of jaywalking by pedestrians,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detected data by converting it into data by time, date, month, quarter, and year according to traffic signals.

이를 통해 보행자의 무단횡단이나 차량의 신호위반이 잦은 횡단보도 위치와 시간대를 분석하여 신호위반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실시하거나 경고 문구 표시 및 경고 방송 등 집중 관리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duct intensive crackdown on signal violations by analyzing the location and time zone of crosswalks where pedestrians or vehicles frequently violate traffic signals, or to display warning texts and broadcast warnings intensively.

상기 교통 안전 알림서버(230)는 횡단보도의 보행안전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고, 차량안전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 단말기에 차량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ffic safety notification server 230 serves to transmit a pedestrian safety screen to a pedestrian terminal entering the pedestrian safety area of a crosswalk, and to transmit a vehicle safety screen to a vehicle driver terminal entering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상기 교통흐름 패턴 예측 서버(240)는 스마트 가로등의 식별 ID 별로 설정한 위치별 및 시간대별로 보행자 통행신호에서 감지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감지횟수 및 차량 신호위반 횟수, 차량 통행신호에서 감지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감지횟수 및 보행자의 무단횡단 횟수를 비교 분석하여 보행자의 보행패턴, 차량의 주행패턴을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ffic flow pattern prediction server 240 detects the number of times and vehicle signal violations of pedestrians entering the detection area in the pedestrian traffic signal for each location and time period set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the smart street light, and enters the detection area in the vehicle traffic signal. It plays a role in predicting pedestrian gait patterns and vehicle driving patter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umber of detections of vehicles and pedestrian crossings.

본 발명에 따른 교통흐름 패턴 예측 서버(240)는 데이터 저장서버와 데이터 분석서버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 가로등의 위치별 교통신호에 따른 보행자 통행신호에서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감지횟수, 차량 신호위반 횟수와, 차량 통행신호에서 차량의 감지횟수, 보행자의 무단횡단 횟수 등 시간대별, 날짜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 감지횟수를 기준으로 교통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The traffic flow pattern prediction server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umber of detections of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vehicle signal violations in the pedestrian traffic signal according to the traffic signal for each location of the smart streetlight received through the data storage server and the data analysis serve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raffic flow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number of times a vehicle is detected in a vehicle traffic signal, and the number of times detected by time, date, month, quarter, and year, such as the number of jaywalking by pedestrians.

이를 통해 스마트 가로등이 설치된 위치별로 각각 차량이 많아 도로가 막히거나 다수의 사람으로 번잡한 시간대의 적절한 신호주기를 파악하여 관할 경찰서 또는 도로교통공사에 정보를 전달하여 교통흐름이 원활해지도록 개선할 수 있고, 보행자 및 차량의 신호위반을 예측하여 신호위반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실시하거나 경고 문구 표시 및 경고 방송 등 집중 관리하여 무단횡단 및 신호위반을 예방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raffic flow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signal cycle at a time when the road is clogged or busy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due to the number of vehicles in each location where the smart streetlight is installed, and delivering the information to the competent police station or the Road Traffic Corporation. In addition,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predicting signal violations of pedestrians and vehicles to conduct intensive crackdown on signal violations, or by intensively managing warning texts and warning broadcasts to prevent trespassing and signal violations.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30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manager smart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스마트 가로등부를 이루는 다수개의 스마트 가로등에서 감지된 실시간 정보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 가로등을 각각 설정 및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manager smart device 300 is network-connected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receives real-time information sensed from a plurality of smart street lights constituting the smart street light unit, displays it in real time, and sets and controls the network-connected smart street light, respectively. do

이는 식별 ID 설정부(310), 감지영역 설정부(320), 교통 안전 스크린 설정부(330), 안내음성 설정부(340), 관리자 설정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is includes an identification ID setting unit 310 , a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0 , a traffic safety screen setting unit 330 , a voice guidance setting unit 340 , and a manager setting unit 350 .

상기 식별 ID 설정부(310)는 스마트 단말기 지도와 연동되어 위치별 횡단보도에 설치된 각각의 스마트 가로등에 식별 ID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The identification ID setting unit 31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terminal map to assign an identification ID to each smart street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for each location.

상기 감지영역 설정부(320)는 스마트 지도와 연동되어 위치별 횡단보도에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에 비춰지는 횡단보도의 거리 및 형태에 대응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감지영역을 특정하여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보행안전 감지영역 설정부(321), 차량안전 감지영역 설정(322)부로 구성된다.The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0 is linked with the smart map to specify and set the detection area of pedestrians and vehicles in response to the distance and shape of the crosswalk illuminated by the smart street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by location, It consists of a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1 and a vehicle safety sensing area setting unit 322 .

여기서, 보행안전 감지영역 설정부(321)는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보행자가 진입시 보행자의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이 전송되는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1 serves to set a detection area in which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pedestrian's terminal when the pedestrian enters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rosswalk and the intersection.

여기서, 차량안전 감지영역 설정부(322)는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차량이 진입시 차량의 운전자 단말기에 차량 안전 스크린이 전송되는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2 serves to set a detection area in which the vehicle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driver's terminal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s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rosswalk and intersec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행안전 감지영역 설정부(321), 차량안전 감지영역 설정부(322)는 도 7, 8, 9, 10,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도록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8, 9, 10, 11, and 12,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1 and the vehicle safety sensing area setting unit 3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rosswalk and the intersection The administrator can set it directly through the administrator smart device to correspond to the

이때, 보행안전 감지영역 설정부(321)의 보행안전 감지영역 범위 및 차량안전 감지영역 설정부(322)의 차량안전 감지영역 범위는 도로의 어린이 보호구역, 노인 보호구역, 제한속도, 경사면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range of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1 and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range of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2 are the child protection area of the road, the elderly protection area, the speed limit, the slope, etc. to be considered and set.

상기 교통 안전 스크린 설정부(330)는 보행 신호위반이나 횡단보도 밖으로 보행하는 보행안전 감지시 전송되는 보행자 안전 스크린의 문구 및 이미지를 설정하고, 신호위반 차량 감지시 전송되는 차량 안전 스크린의 문구 및 이미지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ffic safety screen setting unit 330 sets the text and image of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transmitted when a pedestrian safety screen is detected when a pedestrian signal violation or walking outside a crosswalk is detected, and the text and image of the vehicle safety screen transmitted when a signal violation vehicle is detected plays a role in setting

상기 안내음성 설정부(340)는 보행 신호위반이나 횡단보도 밖으로 보행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송출되는 보행자 안전 안내음성을 설정하고, 신호위반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안전 안내음성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voice guidance setting unit 340 detects a pedestrian signal violation or a pedestrian walking outside a crosswalk and sets a pedestrian safety guidance voice transmitted, and detects a signal violation vehicle to set a vehicle safety guidance voice.

상기 관리자 설정부(350)는 식별 ID를 부여받은 각각의 스마트 가로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위치별 스마트 가로등을 개별 또는 그룹화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manager setting unit 350 functions to collectively control each smart street light to which an identification ID is assigned, and to individually or group smart street lights for each lo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process of the pedestrian mobile safety use restriction smart stree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횡단보도의 신호등 측면 일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스마트 가로등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가로등부를 통합 관리 제어서버부에 연결한다.First, a smart streetlight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smart streetlights installed on one side of a traffic light side of a crosswalk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다음으로, 각각의 스마트 가로등에 식별 ID를 부여하고, 스마트 가로등이 설치된 도로의 횡단보도 및 교차로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보행안전 감지영역 및 차량안전 감지영역을 설정한다.Next, an identification ID is assigned to each smart street light, and a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and a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are set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rosswalk and intersection of the road where the smart street light is installed.

다음으로, 각각의 스마트 가로등의 보행자 안전 스크린 문구 및 이미지를 설정하고, 차량 안전 스크린 문구 및 이미지를 설정하며, 보행자 안전 안내음성을 설정한다.Next, set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text and image of each smart street lamp, set the vehicle safety screen text and image, and set the pedestrian safety guidance voice.

다음으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면 보행안전 감지영역에 감지되어 보행자의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이 비가청 음파를 통해 전송된다.Next, when a pedestrian crosses the crosswalk, it is detected in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and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pedestrian's terminal through inaudible sound waves.

이는 보행자 안전 스크린은 보행안전 감지영역 내에 보행자가 위치할 경우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보행안전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continuously maintained when a pedestrian is located within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area, and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it leaves the pedestrian safety detection zone.

이때, 보행자 안전 스크린 하단 일측에 형성된 잠금해제버튼을 터치하여 한쪽 방향으로 밀면 잠금이 해제되어 급한 용무가 있는 보행자의 경우에는 횡단보도 내에서도 해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ock release butt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is touched and pushed in one direction, the lock is released.

이를 통해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 때 단말기에 시선이 집중되어 시야가 좁아지고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대폭 개선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 pedestrian crosses a crosswalk, the eyes are focused on the terminal, narrowing the field of vision and reducing the ability to cop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다음으로, 차량이 횡단보도 방향으로 주행하며 차량안전 감지영역에 진입하면 차량 운전자 단말기에 차량 안전 스크린이 전송된다.Next, when the vehicle travels in the crosswalk direction and enters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the vehicle safety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driver terminal.

이는 차량 안전 스크린은 차량안전 감지영역 내에 차량이 위치할 경우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차량안전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The vehicle safety screen is continuously maintained when the vehicle is located within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and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it leaves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이때, 차량 안전 스크린 하단 일측에 형성된 잠금해제버튼을 터치하여 한쪽 방향으로 밀면 잠금이 해제되어 급한 용무가 있는 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횡단보도 내에서도 해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ock release butt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safety screen is touched and pushed in one direction, the lock is released.

이를 통해 차량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지나는 주행시 단말기에 시선이 집중되어 시야가 좁아지고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대폭 개선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driving through the crosswalk, the eyes are concentrated on the terminal, which narrows the field of vision and reduces the ability to cope, which can be greatly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100 : 스마트 가로등부 101 : 스마트 가로등
110 : 가로등 몸체부 120 : 통신부
130 : 영역설정 감지부 140 : 스피커부
150 : PCB 기판 160 : 전원부
200 : 통합관리 제어서버부 210 : 데이터 저장서버
220 : 데이터 분석서버 230 : 교통 안전 알림서버
240 : 교통흐름 패턴 예측 서버 300 :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
310 : 식별 ID 설정부 320 : 감지영역 설정부
330 : 교통 안전 스크린 설정부 340 : 안내음성 설정부
350 : 관리자 설정부
100: smart street light 101: smart street light
110: street light body 120: communication unit
130: area setting detection unit 140: speaker unit
150: PCB board 160: power unit
200: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210: data storage server
220: data analysis server 230: traffic safety notification server
240: traffic flow pattern prediction server 300: manager smart device
310: identification ID setting unit 320: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30: traffic safety screen setting unit 340: voice guidance setting unit
350: administrator setting unit

Claims (7)

횡단보도의 신호등 측면 일측에 각각 직립되어 설치되어 횡단보도의 설정영역을 설정하여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보행자의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스마트 가로등(101) 다수개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연결되어 측정된 정보를 전달하는 스마트 가로등부(100)와,
스마트 가로등부에서 감지된 측정정보에 대한 통합 측정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고, 측정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분석 및 예측하는 통합관리 제어서버부(200)와,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스마트 가로등부를 이루는 다수개의 스마트 가로등에서 감지된 실시간 정보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 가로등을 각각 설정 및 제어하는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
A plurality of smart street lights 101 that are installed upright on one side of the traffic light side of the crosswalk, set the setting area of the crosswalk, detect a pedestrian entering the detection area, and transmit a pedestrian safety message to the pedestrian's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 smart street light unit 100 that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and transmits measured information;
An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200 that stores and accumulates integ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data for measure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unit, shares measurement data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nalyzes and predicts the accumulated data into big data;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o receive real-time information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smart street lights constituting the smart street light unit and display it in real time, and consists of a manager smart device 300 that sets and controls the network-connected smart street light, respectively Pedestrian mobile safety use restriction smart street ligh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가로등(101)은
직립된 가로등 형상으로 원기둥 형상의 가로등주 상단 일측에 측면방향으로 가로등 헤드가 형성되어 스마트 가로등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가로등 몸체부(110)와,
가로등 헤드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고, 통합관리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스마트 가로등이 감지하는 횡단보도 보행안전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에게 보행자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는 통신부(120)와,
가로등 몸체부의 상단 일측에 횡단보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횡단보도 보행안전영역을 설정하여 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를 식별하고, 식별정보를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에 전송하는 영역설정 감지부(130)와,
가로등 몸체부의 중앙 일측에 형성되어 통신부에서 수신된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의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횡단보도 보행안전영역 내에 진입한 보행자에게 보행자 안전 방송을 송출하는 스피커부(140)와,
가로등 몸체부의 내측에 내장되고 통신부와 연결되어 통합관리 제어서버부의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스마트 가로등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PCB 기판(150)과,
스마트 가로등에 전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하고, 비상 전원 배터리를 상시 충전하여 비상 상황을 대비하는 전원부(16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
The smart street light (101) according to claim 1,
A street lamp body 110 that supports the smart street lamp as a whole by forming a street lamp hea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shaped street lamp pole in the shape of an upright street lamp;
A communication unit 120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treet light head,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hat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unit and the network, and transmits a pedestrian safety screen to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pedestrian safety area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Wow,
Installed to face the crosswalk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treetlight body, set the crosswalk pedestrian safety area to identify pedestrians entering the area, and area setting detection unit 130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Wow,
A speaker unit 140 that is formed on one central side of the streetlight body and outputs a voice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a pedestrian safety broadcast to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pedestrian safety area;
A PCB board 150 built in the inside of the street light body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smart street light as a whol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 smart street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smart street lamp and driving it, and constantly charging the emergency power battery to prepare for an emergency situation.
제2항에 있어서 통신부(120)는
스마트 가로등의 보행안전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여 감지된 보행자의 단말기에 투명형태의 보행자 안전 스크린(121)을 전송하고, 차량안전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여 감지된 차량 운전자의 단말기에 투명형태의 차량 안전 스크린(122)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ting the transparent type pedestrian safety screen 121 to the detected pedestrian's terminal by entering the pedestrian safety sensing area of the smart streetlight, and entering the vehicle safety sensing area and transmitting the transparent type of vehicle safety screen to the detected vehicle driver's terminal ( 122), a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 smart street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제3항에 있어서 보행자 안전 스크린(121)은
스마트 가로등이 감지하는 횡단보도 영역 내에 진입한 단말기에만 전송되고, 스마트 가로등의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
4.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121)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Pedestrian mobile safety restrictions smart street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only to terminals that enter the crosswalk area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 and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it leaves the detection area of the smart street light.
제2항에 있어서 영역설정 감지부(130)는
횡단보도 방향으로 비춰지는 카메라 영상의 영역 중 선택적으로 인도, 횡단보도 대기구역 및 건물을 제외한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인접 차도 내의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 영역의 움직임 감지 유무를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영상정보 카메라부(131)와,
위도, 경도로 위치를 표시하고, 반경을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인도, 횡단보도 대기구역 및 건물을 제외한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 인접 차도 내의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 영역의 움직임 감지 유무를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지오펜스(132)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rea setting detection unit 130
Among the areas of the camera image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rosswalk, selectively set the area in the crosswalk and the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excluding the sidewalk, crosswalk waiting area and building, and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by determining whether motion is detected in the set area. an image information camera unit 131;
The location is marked with latitude and longitude, and a radius is added to selectively set the area within the crosswalk and the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excluding sidewalks, crosswalk waiting areas and buildings, and detect motion in the set area by judging whether there is a detection signal.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 smart street light, characterized in that one device is selectively formed among the geo-fences 132 to transmit.
제1항에 있어서 통합관리 제어서버부(20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위치별 스마트 가로등에서 감지된 보행자 및 차량의 감지된 데이터 정보를 시간, 날짜와 같이 기간별로 분류하고,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의 위치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는 데이터 저장서버(210)와,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시간별 패턴과 무단횡단, 신호위반 등 감지된 교통 위반사항의 위치 및 시간별 교통상황 및 흐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패턴을 비교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서버(220)와,
횡단보도의 보행안전영역 내에 진입하는 보행자 단말기에 보행자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고, 차량안전 감지영역 내에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 단말기에 차량 안전 스크린을 전송하는 교통 안전 알림서버(230)와,
스마트 가로등의 식별 ID 별로 설정한 위치별 및 시간대별로 보행자 통행신호에서 감지영역에 진입하는 보행자의 감지횟수 및 차량 신호위반 횟수, 차량 통행신호에서 감지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감지횟수 및 보행자의 무단횡단 횟수를 비교 분석하여 보행자의 보행패턴, 차량의 주행패턴을 예측하는 교통흐름 패턴 예측 서버(24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
According to claim 1,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server unit 200
A data storage server 210 that classifies the detected data information of pedestrians and vehicles detected by the smart street lights for each location installed in the crosswalk by period, such as time and date, and stores and accumulates data by classifying them by location of the installed smart street lights. Wow,
A data analysis server 220 that detects the hourly pattern of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the location of detected traffic violations such as jaywalking and signal violation, and the hourly traffic situation and flow change,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detected data patterns;
A traffic safety notification server 230 that transmits a pedestrian safety screen to a pedestrian terminal entering the pedestrian safety area of a crosswalk, and transmits a vehicle safety screen to a vehicle driver terminal entering the vehicle safety detection area;
The number of detections of pedestrians entering the detection area and the number of vehicle signal violations in the pedestrian traffic signal by location and time period set by identification ID of the smart streetlight, the number of detections of vehicles entering the detection area in the vehicle traffic signal, and pedestrian crossing Pedestrian mobile safety use restriction smart street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ffic flow pattern prediction server 240 that predicts a pedestrian's walking pattern and a vehicle's driving patter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스마트 단말기 지도와 연동되어 위치별 횡단보도에 설치된 각각의 스마트 가로등에 식별 ID를 부여하는 식별 ID 설정부(310)와,
스마트 지도와 연동되어 위치별 횡단보도에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에 비춰지는 횡단보도의 거리 및 형태에 대응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감지영역을 특정하여 설정하는 감지영역 설정부(320)와,
보행 신호위반이나 횡단보도 밖으로 보행하는 보행자 감지시 전송되는 보행자 안전 스크린의 문구 및 이미지를 설정하고, 신호위반 차량 감지시 전송되는 차량 안전 스크린의 문구 및 이미지를 설정하는 교통 안전 스크린 설정부(330)와,
보행 신호위반이나 횡단보도 밖으로 보행하는 보행자를 감지하여 송출되는 보행자 안전 안내음성을 설정하고, 신호위반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안전 안내음성을 설정하는 안내음성 설정부(340)와,
식별 ID를 부여받은 각각의 스마트 가로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위치별 스마트 가로등을 개별 또는 그룹화하여 제어하는 관리자 설정부(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모바일 안전 사용제한 스마트 가로등.
According to claim 1, Manager smart device 300
An identification ID setting unit 310 that is linked with a smart terminal map and gives an identification ID to each smart streetlight installed in a crosswalk by location;
A detection area setting unit 320 that specifically sets the detection area of pedestrians and vehicles in response to the distance and shape of the crosswalk reflected by the smart streetlight installed at the crosswalk by lo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map;
Traffic safety screen setting unit 330 that sets the text and image of the pedestrian safety screen transmitted when a pedestrian signal violation or a pedestrian walking outside the crosswalk is detected, and sets the text and image of the vehicle safety screen transmitted when a signal violation vehicle is detected Wow,
A guide voice setting unit 340 that detects a pedestrian signal violation or a pedestrian walking outside the crosswalk and sets a pedestrian safety guidance voice transmitted, and detects a signal violation vehicle and sets a vehicle safety guidance voice;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 smart street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anager setting unit 350 that controls each smart street light given an identification ID in an integrated manner, individually or grouped smart street light for each location.
KR1020200038842A 2020-03-31 2020-03-31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KR202101216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42A KR20210121691A (en) 2020-03-31 2020-03-31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42A KR20210121691A (en) 2020-03-31 2020-03-31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691A true KR20210121691A (en) 2021-10-08

Family

ID=7811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42A KR20210121691A (en) 2020-03-31 2020-03-31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69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354B1 (en) * 2023-03-06 2023-08-07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System for managing walking safety of user using pair of speakers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ound wave signals having a relationsh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29B1 (en) 2018-01-31 2018-10-05 (주)패스넷 Intelligent smart pedestrian safety walk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29B1 (en) 2018-01-31 2018-10-05 (주)패스넷 Intelligent smart pedestrian safety walk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354B1 (en) * 2023-03-06 2023-08-07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System for managing walking safety of user using pair of speakers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ound wave signals having a relationship
KR102564353B1 (en) * 2023-03-06 2023-08-07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System for managing walking safety of user using speak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ound wave signals
KR102564352B1 (en) * 2023-03-06 2023-08-07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System for managing walking safety of u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988B1 (en) System for protecting pedestrian in non-traffic signal crosswalk
KR200397860Y1 (en) Multipurpose LED signal system for pedestrian.
KR100825761B1 (en) Information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crossroads environments beyond the driver's field of view
KR101683012B1 (en) Crosswalk pedestrian safety system using voice guidance and Method thereof
KR102296105B1 (en) A Crosswalk Pedestrian Safety Support System Based on Smart Sensor
CN210377838U (en) Vehicle-road cooperative safety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general traffic data acquisition source
JP2012003602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running support system
CN107316476B (en) Intelligent w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traffic road
KR100885402B1 (en) Multipurpose led signal system for pedestrian and traffic control.
KR20180046131A (en) A smart signal sharing system for the warlk safety and the effect of siganl oper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269068A (en) People-vehicle cooperative security system for pedestrians and right-turn vehicles at intersection
KR101855301B1 (en) Vehicle entry alarm system in traffic-walking dangerous zon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226533B1 (en) Smart road lighting system composed of an integrated lighting po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114347A (en) Safety speed control system for children's protection zone
KR20210121691A (en) Pedestrian mobile safety limitation smart street light
KR20100000306A (en) System for managing schoolzone traffic synthetically
KR101819420B1 (en) Highway Shelter Entry and Exit Notification System
KR101233929B1 (en) System for warning illegal walker and vehicle
KR20210012282A (en) Multifunctional street light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475453B1 (en) Jaywalking detection system
KR102298228B1 (en) Apparatus for no-parking/stopping guid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955005B2 (en) Virtual gate system of connected traffic signals, dynamic message signs and indicator lights for managing traffic
KR102250262B1 (en)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KR102134757B1 (en) System for crackdown of school zone
Naseer et al. Smart road-lights and auto traffic-signal controller with emergency over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