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238A - 5g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set 구성 - Google Patents

5g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set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238A
KR20210121238A KR1020217028504A KR20217028504A KR20210121238A KR 20210121238 A KR20210121238 A KR 20210121238A KR 1020217028504 A KR1020217028504 A KR 1020217028504A KR 20217028504 A KR20217028504 A KR 20217028504A KR 20210121238 A KR20210121238 A KR 2021012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ion level
aggregation
level
network nod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라메시 나미
Original Assignee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filed Critical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Publication of KR2021012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논제 사안은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CORESET)에 대한 적절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CORESET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적용을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송신하는 단계의 결과로서, 제2 디바이스는 후보 제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을 적용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집성 레벨은 제2 디바이스의 집성 레벨 용량,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제2 디바이스의 위치, 및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5G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SET 구성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5G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SET 구성”이라는 명칭으로 2019년 2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규 출원 일련 번호 제 16/277,60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 명확히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개시된 논제 사안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형 무선(NR) 액세스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CORESET)와 연관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는 데 적절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거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시스템, 및 무선 통신을 위한 제4 세대(4G) 표준의 사양의 하나 이상의 양상을 채용하는 시스템은 신형 무선(NR) 액세스로 또한 지칭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5 세대(5G) 표준으로 확장되고 있다. 기존 4G 기술과 비교하여, 5G는 낮은 레이턴시로의 훨씬 더 많은 스루풋을 목표로 정하고 더 높은 반송 주파수 및 더 넓은 대역폭을 활용하고 있으며, 동시에 에너지 소모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있다. 5G 네트워크는 장래 서비스를 위한 상이한 특성 및 연결 제어를 갖는 시스템 액세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또한 예상된다. 이러한 점에서, NR 설계는 매우 융통성 있고 새로운 요건에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PDCCH를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ESET 구성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신호 대 잡음비(SNR)에 따른 상이한 집성 레벨들에 대한 블록 오류율(BLER)을 예시하는 그래프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예시적 메시지 시퀀스의 신호 전송 도면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예시적 메시지 시퀀스의 신호 전송 도면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예시적 방법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다른 예시적 방법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CORESET와 연관된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UE 특정 집성 레벨을 수신하고 적용시키기 위한 예시적 방법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CORESET와 연관된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UE 특정 집성 레벨을 수신하고 적용시키기 위한 다른 예시적 방법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10은 개시된 논제 사안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의 예시적 개략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실행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실시예들 그리고/또는 실시예들의 적용 또는 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더욱이, 앞선 부문들 또는 상세한 설명 부문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표현되거나 시사되는 정보에 의해 얽매여 있기 위한 어떤 의도도 없다.
5G NR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많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들 및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들에 관한 정보와 같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UE에 전하고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중 입력/다중 출력(MIMO) 시스템들에 대하여, DCI는 전형적으로 스케줄링되는 MIMO 층의 수, 전송 블록 크기들,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한 변조, 혼성 자동 재송 요구들(HARQ)과 관련되는 파라미터들, 부대역 위치들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PDCCH의 특정 콘텐츠는 송신 모드 및 DCI 형식에 기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레거시 롱 텀 에볼루션(LTE) 제어 채널들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되어,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NR PDCCH들은 상세하게는 구성 가능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CORESET)에서 송신하도록 설계된다. CORESET는 UE가 후보 PDCCH들을 수신할 수 있는 UE에 대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 할당이다. CORESET는 LTE에서의 제어 영역과 유사하지만, CORESET가 위치되는 리소스 블록들(RBs)의 세트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들의 세트가 상응하는 PDCCH 탐색 공간들과 함께 구성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반화된다. 시간, 주파수, 숫자점들 및 작동 지점들을 포함하는 제어 영역들의 그러한 구성 융통성들은 NR가 광범위한 사용 경우를 다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CORESET의 크기 및 위치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반송파 대역폭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CORESET(CORESET0로 지칭됨)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 의해 초기 대역폭 부분의 구성의 일부로서 제공되고 네트워크로부터 남은 시스템 정보 및 부가 구성 정보를 UE가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 설정 후에, UE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신호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능하게는 중첩되는 CORESET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 NR 표준들에 따르면 시간 영역에서, CORESET는 지속 기간에서 3개까지의 OFDM 심볼이고 시간 슬롯 내의 어디에서든지 위치될 수 있다. 기존 NR 표준들은 반송파 대역폭까지의 6개의 리소스 블록의 배수들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CORESET를 추가로 한정한다. CORESET 구성에서의 주파수 할당은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일 수 있다.
PDCCH는 하나의 CORESET에 한정되고 제어 채널의 UE 특정 빔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그 자체의 복조 참조 신호(DMRS)로 송신된다. 기존 NR 표준들에 따르면, PDCCH는 레벨로부터 선택되는 집성 레벨을 이용하여 레벨-1, 레벨-2, 레벨-4, 레벨-8 및 레벨-16으로 지칭되는 5개의 가능한 집성 레벨의 세트가 인코딩된다. 이러한 각각의 집성 레벨은 PDCCH를 수용할 수 있는 상이한 제어 채널 리소스 요소들(CCEs)에 상응한다(예를 들어, 레벨-1은 1개의 CCE에 상응하며, 레벨-2는 2개의 CCE에 상응하며, 레벨-4는 4개의 CCE에 상응하는 등이다). 이러한 점에서, UE는 각각의 PDCCH의 상응하는 집성 레벨(예를 들어, 레벨-1, 레벨-2, 레벨-4, 레벨-8 또는 레벨-16)을 이용하여 각각의 PDCCH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 PDCCH에 대한 상이한 집성 레벨들(또는 CCE 할당들)은 PDCCH에 대한 상이한 DCI 페이로드 크기들 또는 상이한 코딩률들(또한 상이한 DCI 형식들로 지칭됨)에 부응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NR은 현재 4개의 상이한 DCI 크기/코딩률(또는 형식)을 한정한다. 구성에 따라, 하나의 크기/코딩률은 폴 백 DCI에 사용되고, 제2 크기/코딩률은 다운링크 승인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3 크기/코딩률은 업링크 승인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고, 제4 크기/코딩률은 슬롯 형식 표시 및 선취권 표시에 사용된다.
초기 NR 표준들에 따르면, UE들은 상이한 DCI 형식들 및 상이한 집성 레벨들의 다수의 PDCCH 후보를 맹목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UE에 할당되는 각각의 CORESET의 경우, UE는 (예를 들어, 현재 5개를 포함하는) 모든 가능한 집성 레벨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현재 4개를 포함하는) 모든 가능한 DCI 크기/형식을 맹목적으로 디코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각의 CORESET에 대한 각각의 디코딩 옵션의 갯수는 20개이고, UE는 다수의 CORESET(예를 들어, 현재 4개까지의 상이한 CORESET)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맹목적인 디코딩 처리와 연관된 복잡성 비용은 엄청나고 증가하는 수의 PDCCH 크기/형식 및 집성 레벨 조합까지 확장할 수 있지 않다.
모든 상이한 집성 레벨 등을 이용하여 모든 구성된 CORESET를 탐색하는/디코딩하는 데 UE측 복잡성을 제한하기 위해, UE가 탐색하고 디코딩할 한정된 세트의 탐색 공간들을 정의하는 일부 NR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탐색 공간은 UE가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어진 집성 레벨에서의 CORESET에 의해 형성되는 후보 제어 채널들의 세트로서 특성화될 수 있다. 다수의 CORESET가 있음에 따라, 다수의 탐색 공간이 있다. 일부 NR 프로토콜은 각각의 UE에 대해 10개 이하로 탐색 공간의 수를 제한하도록 제안되었다. 제한된 탐색 공간 기법들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UE에 한정된 탐색 공간 및 상응하는 집성 레벨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법들로, 많은 가능한 집성 레벨을 수반하는 탐색 공간들과 연관된 복잡성을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통상적 관행은 주어진 CORESET에 대한 집성 레벨을 일정한 값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어진 CORESET에 대한 집성 레벨에 대해 고정된 값을 이용하는 것은, PDCCH에 대해 불필요한 리소스들을 사용하는 것을 야기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 대한 이용 가능한 리소스들을 감소시키므로, 링크 및 시스템 스루풋을 감소시킴에 따라 5G 시스템들에 효율적이지 않다.
개시된 논제 사안은 UE 특정 기준들에 기반하여 각각의 UE 할당 CORESET에 대해 집성 레벨을 맞춤으로써 링크 및 시스템 스루풋을 최적화하면서, PDCCH 탐색 공간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알려진 집성 레벨 용량, 셀 내에서의 UE의 위치(예를 들어, UE로부터 네트워크 노드까지의 거리), 및/또는 UE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반하여 주어진 UE 구성 CORESET에 대한 적절한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UE 특정 탐색 공간에서의 주어진 CORESET에 대한 결정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UE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해 구성되는 주어진 CORESET에 대한 결정된 집성 레벨에 관해 UE에 알리기 위해 더 높은 층 신호 전송(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신호 전송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신호 전송)을 채용할 수 있다. UE는 주어진 CORESET에 상응하는 PDCCH 후보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을 적용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어, UE의 용량 및/또는 정황(예를 들어, 요구들)에 기반하여 사용되는 PDCCH 리소스의 양을 최적화하면서, 맹목적인 디코딩 시도의 횟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개시된 기법들이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의 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들이 최소화될 수 있어, 데이터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증가되는 데이터 송신 리소스들과 함께, 링크 및 시스템 스루풋이 상당히 개선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작동들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g노드B 등)가 제공된다. 이러한 작동들은 CORESET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데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에 의한 적용을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들은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는 후보 제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을 적용시키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집성 레벨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더 높은 층 신호 전송 프로토콜로서 분류되는 신호 전송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한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의 그룹으로부터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현에서, 집성 레벨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용량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집성 레벨은 제2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집성 레벨은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현으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한정된 거리 미만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 그리고 한정된 거리 초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2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집성 레벨은 제2 집성 레벨보다 더 낮다. 다른 구현에서, 집성 레벨은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현으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한정된 값 미만의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제1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 그리고 한정된 값 초과의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제2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집성 레벨은 제2 집성 레벨보다 더 높다.
다양한 부가 실시예들에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의 집성 레벨 용량에 적용 가능한 제1 기준,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제2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용 가능한 제2 기준, 그리고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에 적용 가능한 제3 기준으로 구성되는 기준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준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의 그룹으로부터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작동들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UE 등)가 제공된다. 이러한 작동들은 CORESET에 대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g노드B)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집성 레벨은 한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로부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다. 작동들은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CORESET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을 채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정된 기준은: 제1 디바이스의 집성 레벨 용량,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제1 디바이스의 위치, 그리고 제1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기준들의 그룹에 대하여 평가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집성 레벨 정보는 제1 집성 레벨 정보를 포함하며, 집성 레벨은 제1 집성 레벨을 포함하고, 작동들은 CORESET에 대한 제2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제2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제2 집성 레벨은 한정된 기준에 대한 변화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로부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다. 작동들은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제1 집성 레벨 대신에 제2 집성 레벨을 채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들과 관련되어 설명하는 요소들은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다른 형태와 같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논제 발명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하며, 유사 참조 번호들은 전체에 걸쳐 유사 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본 논제 사안의 특정 예시적인 양태들을 상세히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양태들은 본 논제 사안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중 아주 소수를 나타낸다. 개시된 논제 사안의 다른 양태들, 이점들 및 새로운 특징들이 제공되는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본 논제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많은 구체적 상세가 제시된다. 그러나, 본 논제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상세들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널리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논제 발명을 설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방식, 프로토콜, 구성 등이란 용어들은 정보를 형식화하거나,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한정된 방식을 지칭하도록 다양한 맥락으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도 1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PDCCH를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ESET 구성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시이다. 시스템(100)은 복수의 UE(102)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라는 비제한적인 용어는 셀룰러 또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하도록 본원에 사용된다. 일부 예시적 UE는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UE, 기계 대 기계(M2M) 통신이 가능한 기계 타입 UE 또는 UE,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 랩탑, 랩탑 내장 장비(LEE), 랩탑 장착 장비(LME), USB 동글, 착용 가능 디바이스, 가상 현실(VR) 디바이스,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디바이스, 스마트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UE(102)(및 네트워크 노드(104))는 2개 이상의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어, 위상 추적을 갖는 연계 5G NR 통신 방식들로의 다중 입력 및 다중 출력(MIMO) 통신을 지원한다. UE(102) 상에 제공되는 안테나의 수는 (예를 들어, 대용량 MIMO 시스템들에 부응하기 위해 2개에서부터 수백 개 이상까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MIMO 시스템이거나 이것을 포함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무선 시스템들의 데이터 운반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MIMO은 3GPP 및 4GPP 생성 무선 시스템들의 일체화된 부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송신기측 및 수신기측에서 수백 개의 안테나를 채용하는 5G NR에 의해 도입되는 대용량 MIMO 통신 프로토콜들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UE가 MIMO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하거나 하나 초과의 서빙 셀에 송신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는 MIMO와 함께 UE의 단일 반송파뿐만 아니라 다중 반송파(MC) 또는 반송파 집성(CA) 작동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본원에 설명하는 다양한 기법은 MIMO 시스템들에서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예를 들어, 업링크 및 측부 링크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이라는 용어는 또한 “다중 반송파 시스템”, “다중 셀 작동”, “다중 반송파 작동”, “다중 반송파” 송신 및/또는 수신이라 일컬어진다(예를 들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일컬어진다). 동일하게 개요가 서술된 해결책들이 일부 반송파 상의 다중 RAB(무선 베어러들)에 적용된다는(즉, 데이터에 더해 음향이 동시에 스케줄링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마찬가지로, 해결책들은 일부 UE(102)가 eMBB를 이용하여 스케줄링되고, 일부 UE(102)가 URLLC를 이용하여 스케줄링되고, 일부 UE(102)가 mMTC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적용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이것을 포함한다. UE들(102)은 네트워크 노드(104)를 통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UE(102)는 통신 데이터를 무선 링크 또는 채널들을 통하여 네트워크 노드(104)로 송신하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 예시적 UE1로의 점선 화살표 선들은 다운링크 통신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 선들은 업링크 통신을 나타낸다. 이러한 화살표 선들이 단지 UE와 네트워크 노드(104)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선들이 모든 도시된 UE(102)에 대해 도시되지는 않지만, 모든 도시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노드(104)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노드(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라는 비제한적인 용어는 UE(102)에 기여하고/하거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요소, 또는 UE(102)가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를 지칭하도록 본원에 사용된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은: 기지국(BS) 디바이스, 노드 B 디바이스, 다중 표준 무선(MSR) 디바이스(예를 들어, MSR BS), g노드B 디바이스, e노드B 디바이스, 네트워크 제어기 디바이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디바이스, 기지국 제어기(BSC) 디바이스, 중계기 디바이스, 도너 노드 디바이스 제어 중계기, 기지국(BTS)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AP) 디바이스, 송신 포인트 디바이스, 송신 노드, RRU 디바이스, RRH 디바이스,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DAS)에서의 노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위상 추적과 연관되는 다양한 MIMO 및/또는 대용량 MIMO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106)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노드(104) 및/또는 다양한 부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미도시)를 통하여 UE(102)를 포함하는 다양한 UE에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육각형으로 한정되는 영역은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해 제공되는 단일 무선 네트워크 셀(110)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스템(100)이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106)에 각각 통신적으로 결합되는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106)는: 셀룰러 네트워크, 펨토 네트워크, 피코셀 네트워크, 마이크로셀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와이파이 서비스 네트워크, 광대역 서비스 네트워크, 기업 내 네트워크,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타입의 이질적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시스템(100)은 다양한 지리학적 영역에 걸치는 대규모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이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106)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양한 부가 디바이스 및 구성 요소(예를 들어, 부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및 셀, 부가 UE들, 네트워크 서버 디바이스들 등)이거나 이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4)는 하나 이상의 귀로 링크(108)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10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귀로 링크(108)는: T1/E1 전화선, (예를 들어, 동기이거나 비동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비대칭적 DSL(ADSL), 광섬유 백본, 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선 링크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귀로 링크(108)는 지상 무선 인터페이스들 또는 심우주 링크들(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을 위한 위성 통신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송수신자간에 교신 가능한(LOS) 또는 비LOS 링크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무선 링크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논제 발명이 5G 또는 NR 통신 기술들을 채용하는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지만, 시스템(100)이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102)와 네트워크 노드(104)) 사이의 무선 라디오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PTRS 통합과 연관되는 CSI 추정을 위한 개시된 기법들은: 롱 텀 에볼루션(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FDD/TDD,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MDA), 고속 패킷 액세스(HSPA), WCMDA/HSPA,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3GGP, GSM/3GGP, WiFi, WLAN, WiMax, CDMA2000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UE가 작동하는 임의의 RAT 또는 다중 RAT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과 같은 NR 통신 시스템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수개의 가능한 구성 가능 PDCCH 중 하나를 이용하여 UE(102)로 DCI를 전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CORESET는 다양한 DCI 크기/형식의 수개의 상이한 PDDCH를 유지할 수 있고, UE(102)는 복수의 CORESET(예를 들어, 현재의 5G 사양들에 따라 하나 내지 4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후보 PDCCH는 수개의 가능한 집성 레벨(예를 들어, 레벨-1, 레벨-2, 레벨-4, 레벨-8 및 레벨-16)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UE(102)가 UE에 대해 구성되는 모든 CORSEST를 통해 많은 후보 PDCCH를 탐색하고 모든 가능한 집성 레벨(예를 들어, 1, 2, 4, 6, 8 또는 18)을 이용하여 각각의 후보 PDCCH를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NR 프로토콜들은 UE에 대한 제한된 탐색 공간들을 한정하였다. 단일 탐색 공간은 UE(102)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CORESET 내에서 그리고 단일 집성 레벨을 이용하여 UE가 디코딩하려 시도할 가능한 후보 PDCCH들을 나타낸다. 후보 PDCCH 및 상응하는 UE 디코딩 시도의 수와 연관된 복잡성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NR 프로토콜들은 주어진 CORESET에 대한 집성 레벨을 일정한 값으로 구성하도록 재분류하였다. 이는 네트워크 노드(104)가 셀(110)에서의 모든 UE(102)에 대해 각각의 CORESET의 각각의 PDCCH에 동일한 집성 레벨을 적용시켜, 수행 품질을 골라내지 않고 더 낮은 집성 레벨들이 이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들과 같은 많은 시나리오에서 불필요한 리소스들을 상당히 과잉 활용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시스템(100)은 UE(102) 특정 기준들에 기반하여 각각의 UE 할당 CORESET에 대해 집성 레벨을 맞춤으로써 링크 및 시스템 스루풋을 최적화하면서, PDCCH 탐색 공간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훨씬 더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특히, 셀(110)에서의 모든 UE(102)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CORESET에 동일한 집성 레벨을 적용시키는 것 대신에, 개시된 기법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하나 이상의 UE 특정 기준에 기반하여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해) UE(102)에 할당되는 주어진 CORESET에 대해 집성 레벨을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하나 이상의 UE 특정 기준에 기반하여 한정된 세트의 가능한 집성 레벨들로부터 PDCCH를 인코딩하는 데 적절한 집성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정된 세트의 집성 레벨들은 NR 집성 레벨-1, 레벨-2, 레벨-4, 레벨-8 및 레벨-1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하나 이상의 UE 특정 기준에 기반하여 주어진 UE(102) 및 할당된 CORESET에 대해 PDCCH를 인코딩하기 위한 새로운, UE 특정 집성 레벨(예를 들어, 집성 레벨-1, 레벨-2, 레벨-4, 레벨-8 및 레벨-16 사이의 또는 이것들 너머의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UE 특정 기준들은 미리 정해진 성능 기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UE 특정 기준들은: UE(102)의 알려진 집성 레벨 용량, 셀 내에서의 UE(102)의 위치(예를 들어, UE(102)로부터 네트워크 노드(104)까지의 거리), 그리고/또는 UE의 기하학적 구조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에서, UE(102)는 모든 가능한 집성 레벨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UE는 가능한 집성 레벨들의 하나 또는 서브세트(예를 들어, 레벨-1, 레벨-2, 레벨-4, 레벨-8 및 레벨-16을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집성 레벨들의 하나 또는 서브세트)만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UE(102)는 더 낮은 레벨 집성 레벨들 1, 2 및 4만을 지원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UE들(102)은 더 높은 집성 레벨들 8 및 16만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UE 집성 레벨 용량 정보를 UE(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2)는 초기 링크 설정 시에, 네트워크 제공자에 UE의 등록 시에,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UE 집성 레벨 용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에 대한 알려진 정보(예를 들어, UE의 타입, UE에 대한 고유 식별자 등)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 데이터베이스에서 UE 집성 레벨 용량을 검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4)가 UE(102)에 대한 집성 레벨 용량 정보를 얻는 방식에 관계 없이, 네트워크 노드(104)는 UE가 지원할 수 있는 집성 레벨들에 기반하여 PDCCH에 대한 이용에 가능한 집성 레벨들을 제한하기 위해 UE 집성 레벨 용량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UE 용량이 인지되지 않거나 결정될 수 없는 일부 구현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디폴트 집성 레벨 용량 제한을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집성 레벨 용량 제한은 가능한 집성 레벨들의 미리 정해진 서브세트(예를 들어, 하나 이상)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용량이 인지되지 않거나 결정될 수 없으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UE가 한 디폴트 집성 레벨(예를 들어, 레벨-8) 또는 디폴트 집성 레벨들의 서브세트(예를 들어, 레벨-4 및 레벨-8)를 지원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UE 위치에 기반한 집성 레벨의 선택은 상이한 집성 레벨들에서의 셀 내의 UE 위치와, 신호 대 잡음비(SNR)와, 블록 오류율(BLER) 사이의 관측된 상관 관계에서 근원을 갖게 된다. 특히, SNR은 전반적으로, UE(102)가 네트워크 노드(104)에 더 근접하게 이동함에 따라 증가하고, UE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감소한다. 예를 들어, 더 낮은 SNR이 셀(110) 에지에서 더 빈번하게 관측되는 반면에, 더 높은 SNR이 셀(110) 중심에서 더 빈번하게 관측된다.
도 2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신호 대 잡음비(SNR)에 따른 상이한 집성 레벨들에 대한 블록 오류율(BLER)을 예시하는 그래프(200)를 제공한다. 그래프(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ER 성능은 집성 레벨 및 특정 SNR에 의존한다. 이러한 점에서 모든 집성 레벨에 대해, BLER은 SNR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더 낮은 집성 레벨들(예를 들어, AL-2 및 AL-4)은 더 높은 SNR 레벨들에서 충분히 낮은 BLER(예를 들어, 양호한 성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낮은 집성 레벨들(예를 들어, AL-1, AL-2 및 AL-4)은 SNR이 높은 시나리오들에서 양호한 BLER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SNR이 낮을 때, 더 높은 집성 레벨들(예를 들어, AL-8 및 AL-16)이 양호한 BLER 성능을 달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102)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적절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도록/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UE(102)가 네트워크 노드(104)에 더 근접할수록 SNR은 더 낮으므로 집성 레벨은 더 낮다. 예를 들어, UE(102)가 네트워크 노드(104)에 더 가까울 때, 네트워크 노드(104)는 더 낮은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 AL-2 또는 AL-4)을 이용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셀 중심에서 UE가 전반적으로 높은 SNR을 가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UE(102)가 셀 에지에 있을 때, 네트워크 노드(104)는 더 높은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8 또는 AL-16)을 이용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적절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들 또는 임계치들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2)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n” 미터 미만의 거리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을 적용시킬 수 있으며, “n” 미터 초과이고 “m” 미터 미만의 거리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집성 레벨보다 더 높은 제2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2)을 적용시킬 수 있으며, “m” 미터 초과이고 “p” 미터 미만의 거리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2 집성 레벨보다 더 높은 제3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4)을 적용시킬 수 있는 등이다.
네트워크 노드(104)가 UE에 의해 겪게 되는 SNR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하거나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SNR에 기반하여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으며, 더 낮은 집성 레벨들은 높은 SNR들에 사용되고 더 높은 집성 레벨들은 낮은 SNR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들로, 네트워크 노드(104)는 상이한 집성 레벨들에 할당되는 유사한 SNR 임계치들 및/또는 범위들을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는: “x” 미만의 SNR들이 제1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6)이 할당될 수 있으며; “x” 초과의 SNR들이 제1 집성 레벨 미만의 제2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8)이 할당될 수 있는 등과 같이 SNR 레벨 기준들에 대한 한정된 집성 레벨을 채용할 수 있다.
주어진 CORESET에 대해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는 것과 연관되는 UE에 적용시킬 것을 지시하는 데 적절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위치 기준에 더하여 그리고/또는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 UE 기하학적 구조 기준이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해 채용될 수도 있다. UE의 기하학적 구조는 UE(102)에 의해 보고되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 비(SINR) 및/또는 CQI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에서, UE 기하학적 구조는 SINR,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 추정치들을 평균화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및/또는 UE 및 UE에 의해 보고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UE 기하학적 구조는 UE에 의해 보고되는 CQI를 평균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UE 기하학적 구조에 대하여, 네트워크 노드(104)는 더 높은 집성 레벨들을 더 낮은 UE 기하학적 구조들(예를 들어, 더 낮은 SINR)에, 그리고 더 낮은 집성 레벨들을 더 높은 UE 기하학적 구조들(예를 들어, 더 높은 SNR)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는: “y” 미만의 기하학적 구조들이 제1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8)이 할당될 수 있으며; “y” 초과의 기하학적 구조들이 제1 집성 레벨보다 더 낮은 제2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4)이 할당될 수 있는 등과 같이 UE 기하학적 구조 기준들에 대한 한정된 집성 레벨을 채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주어진 CORESET에 대한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는 것과 연관되는 UE에 의한 적용을 위한 적절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앞서 주목된 기준들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앞서 주목된 기준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UE가 하나 초과의 CORESET를 갖도록 구성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CORESET들 모두에 대한 단일 집성 레벨을 결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CORESET들 중 2개 이상에 대해 상이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 특정 기준들에 기반하여 각각의 CORESET에 대해 집성 레벨을 맞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부 구현에서, UE에 할당되는 2개 이상의 CORESET는 상이한 집성 레벨 할당들을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4)는 PDCCH가 제공되는 CORESET에 대한 결정되거나 선택된 집성 레벨로 PDCCH를 추가로 인코딩할 수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 노드(104)는 상응하는 CORESET에 대한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는 것과 연관되는 결정되거나 선택된 집성 레벨만을 적용시킬 것을 UE(102)에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주어진 CORESET에 대한 선택된/결정된 집성 레벨에 관해 UE에 통지할 수 있다. 주어진 CORESET에 대한 선택된/결정된 집성 레벨을 식별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반하여, UE(102)는 주어진 CORESET에 상응하는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선택된/결정된 집성 레벨을 적용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에 대해 구성되는 주어진 CORESET에 대한 결정된 집성 레벨에 관해 UE에 알리기 위해 더 높은 층 신호 전송(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신호 전송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신호 전송)을 채용할 수 있다.
UE(102)의 알려진 용량, 위치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UE(102)에 대해 할당되는/구성되는 CORESET에 대해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해 PDCCH 집성 레벨을 선택하고/결정하고, 그러한 CORESET와 연관된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선택된/결정된 집성 레벨만을 적용시킬 것을 UE(102)에 지시하는 개시된 기법들로, UE에 의해 필요로 되는 맹목적인 디코딩 시도의 횟수가 상당히 감소된다. 게다가, 셀(110)에서의 집합적 UE들에 대한 PDCCH들에 사용되는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이 UE의 UE 용량 및/또는 (예를 들어, 요구들)에 기반하여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송신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양이 증가되어, 링크 및 시스템 스루풋을 강화시킨다.
도 3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예시적 메시지 시퀀스(300)의 신호 전송 도면을 제공한다. 메시지 시퀀스(300)는 특히 5G/NR 시스템들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메시지 시퀀스(300)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해 UE(예를 들어, UE(102))에 대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고, 집성 레벨을 UE로 전하는 것을 수반한다. 메시지 시퀀스(300)는 또한 집성 레벨의 수신에 기반한 UE측 응답을 예시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유사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302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표준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개시에 따라 셀 특정/UE 특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파일럿 또는 참조 신호들로부터, UE는 채널 추정치들을 컴퓨팅하고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컴퓨팅한다. UE(102)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 시에 또는 정기적으로 업링크 피드백 채널을 통하여 네트워크 노드(104)로 CSI 보고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스케줄러는 UE의 스케줄링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데 CSI 정보를 이용한다. 네트워크 노드(104)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에서의 DCI로서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을 UE로 송신한다. 그 후, 실제 데이터 전송이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 UE로 일어날 수 있다.
5G/NR 신호 전송에 따르면, DCI는 UE(102)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CORESET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가능한 PDCCH 중 하나에서 인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CORESET는 UE 관점에서 한정되고 UE(102)가 PDCCH 송신들을 수신할 수 있는 곳(예를 들어, 탐색 공간들)만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해 UE에 할당되는 CORESET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104)가 PDCCH를 UE로 송신할 것이거나 송신하였다는 확증을 UE에 제공하지 않는다. 게다가, 네트워크 노드(104)는 PDCCH가 송신되면 그리고 송신될 때, PDCCH가 상세하게 구성될 장소/방법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하나 초과의 CORESET가 UE에 할당되면, PDCCH가 있을 특정 CORESET, 특정 DCI 크기/형식, 사용될 특정 시간/주파수 리소스들, 사용될 특정 숫자점 등)를 UE(102)에 제공하는 법이 없다.
그러나 개시된 신호 전송 기법들로, 304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 특정 집성 레벨 기준들에 기반하여 UE에 할당되는 각각의 CORESET에 대한 (PDCCH를 인코딩하기/디코딩하기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알려진 집성 레벨, 네트워크 노드(104)에 관한 UE의 위치,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의 신호들(예를 들어, 참조 신호들)의 수신과 연관되는 UE에 의해 보고되는 SNR, 및 UE의 기하학적 구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PDCCH를 인코딩하기/디코딩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 AL-2, AL-4, AL-8 또는 AL-16)을 결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에서, UE가 복수의 CORESET를 갖도록 구성되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상이한 CORESET들 중 2개 이상에 사용할 UE에 대해 상이한 집성 레벨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UE가 복수의 CORESET를 갖도록 구성되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CORESET들 모두에 적용시킬 UE에 대해 단일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306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각각의 CORESET에 대한 선택된/결정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CORESET 특정 집성 레벨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더 높은 층 신호 전송(예를 들어, RRC 신호 전송 프로토콜 및/또는 MAC 신호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E에 집성 레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308에서, UE는 업링크 피드백 채널을 통하여 피드백(예를 들어, CSI 피드백)을 네트워크 노드(104)에 송신할 수 있다. 31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복수의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으로부터의 한 PDCCH를 통하여 가능한 DCI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312에서, UE는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기 위해 CORESET 특정 집성 레벨을 채용할 수 있다. UE가 PDCCH를 수신하고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314에서, UE는 데이터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다른 예시적 메시지 시퀀스(400)의 신호 전송 도면을 제공한다. 메시지 시퀀스(400)는 또한 5G/NR 시스템들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메시지 시퀀스(400)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해 UE(예를 들어, UE(102))에 대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고, 집성 레벨을 UE로 전하는 것을 수반한다. 메시지 시퀀스(400)는 또한 집성 레벨의 수신에 기반한 UE측 응답을 예시한다. 메시지 시퀀스(400)는 소수의 현저한 변화의 부가와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유사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메시징 시퀀스(400)와 마찬가지로 402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표준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개시에 따라 셀 특정/UE 특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404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에 할당되는 CORESET(또는 CORESET들)에 대한 (PDCCH를 인코딩하기/디코딩하기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404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 특정 집성 레벨 기준들에 기반하여 초기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알려진 집성 레벨, 네트워크 노드(104)에 관한 UE의 위치,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의 신호들(예를 들어, 참조 신호들)의 수신과 연관되는 UE에 의해 보고되는 SNR, 및 UE의 기하학적 구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PDCCH를 인코딩하기/디코딩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 AL-2, AL-4, AL-8 또는 AL-16)을 결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404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모든 후보 PDCCH를 디코딩하는 데 UE에 의한 적용을 위한 디폴트 집성 레벨(예를 들어, UE에 특정하지 않은 미리 설정된 집성 레벨)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도, UE가 복수의 CORESET를 갖도록 구성되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상이한 CORESET들 중 2개 이상에 사용할 UE에 대해 단일이거나 상이한 집성 레벨들을 결정할 수 있다.
406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각각의 CORESET에 대한 선택된/결정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CORESET 특정 집성 레벨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더 높은 층 신호 전송(예를 들어, RRC 신호 전송 프로토콜 및/또는 MAC 신호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UE(102)에 집성 레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408에서, UE는 업링크 피드백 채널을 통하여 피드백(예를 들어, CSI 피드백)을 네트워크 노드(104)에 송신할 수 있다. 41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복수의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으로부터의 한 PDCCH를 통하여 가능한 DCI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412에서, UE(102)는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기 위해 CORESET 특정 집성 레벨을 채용할 수 있다. UE가 PDCCH를 수신하고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414에서, UE는 데이터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416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 특정 집성 레벨 기준들을 검토하고, 적절하다면 UE에 할당되는 CORESET(또는 CORESET들)에 대한 초기 집성 레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가 집성 레벨에 대한 선택 기준들을 정기적으로 체크하고, 선택 기준들에 기반하여, 초기 구성된 집성 레벨이 변경되어야 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416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알려진 집성 레벨, 네트워크 노드(104)에 관한 UE의 위치,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의 신호들(예를 들어, 참조 신호들)의 수신과 연관되는 UE에 의해 보고되는 SNR, 및 UE의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초기 집성 레벨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기준이 404에서 초기에 검토되지 않았으면(예를 들어, 디폴트 집성 레벨이 적용되었으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초기 집성 레벨이 선택 기준들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416에서 선택 기준들을 이제 적용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선택 기준이 404에서 적용되었지만, UE 위치가 이제 변경되었고/되었거나, 보고된 SNR이 변경되었고/되었거나, UE 기하학적 구조가 변경되었으면, 초기 집성 레벨은 더 이상 가장 적절한 집성 레벨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416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초기 집성 레벨이 현재의 UE 특정 성능 파라미터들에 적절한지 여부(예를 들어, 초기 집성 레벨이 현재의 UE 위치/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이한 집성 레벨이 현재의 UE 특정 성능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더 적절하다고 네트워크 노드가 판단하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현재의 UE 특정 성능 파라미터들에 기반한 업데이트된 집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418에서, 네트워크 노드(404)는 (예를 들어, 더 높은 층 신호 전송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CORESET 특정 집성 레벨 정보를 UE(102)에 송신할 수 있고, UE(102)는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초기 집성 레벨 대신에 업데이트된 집성 레벨을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예시적 방법(500)의 흐름도를 제공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유사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502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UE 특정 집성 레벨 기준들(예를 들어, 용량, 위치, 기하학적 구조 등)에 기반하여 UE에 할당되는 CORESET(또는 CORESET들)에 대한 집성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504에서, 네트워크 노드(104)는 선택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506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연결/링크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방법(500)은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이 유지되면, 51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UE 특정 집성 레벨 기준들을 정기적으로 다시 체크할 수 있다. 512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새로운 집성 레벨이 지난 집성 레벨보다 더 적절한 것을 현재의 UE 위치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가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방법(500)은 다시 506으로 진행하고 그에 상응하게 계속될 수 있다. 그러나 512에서, 새로운 집성 레벨이 지난 집성 레벨보다 더 적절한 것을 현재의 UE 위치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가 나타낸다고 네트워크 노드가 판단하면, 514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PDCCH를 디코딩하는 것과 연관되는 UE에 의한 사용을 위한 새로운 집성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516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새로운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업데이트된 집성 레벨 정보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방법(500)은 연결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을 때까지 추가로 506으로부터 계속될 수 있다.
도 6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예시적 방법(600)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방법(60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UE에 기여하는 것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한 수행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유사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602에서, 프로세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제1 디바이스는 CORESET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데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UE(102))에 의한 적용을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한다. 604에서, 제1 디바이스는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는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을 채용한다.
도 7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UE 특정 CORESET에 대해 PDCCH 집성 레벨을 맞추기 위한 다른 예시적 방법(700)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방법(700)은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UE에 기여하는 것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에 의한 수행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유사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702에서, 프로세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제1 디바이스는 CORESET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데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UE(102))에 의한 적용을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한다. 704에서, 제1 디바이스는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는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을 채용한다. 706에서,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의 할당 또는 기하학적 구조의 변화에 기반하여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적용을 위한 업데이트된 집성 레벨을 결정한다. 708에서, 제1 디바이스는 업데이트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업데이트된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는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 대신에 업데이트된 집성 레벨을 채용한다.
도 8은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CORESET와 연관된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UE 특정 집성 레벨을 수신하고 적용시키기 위한 예시적 방법(800)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방법(800)은 UE가 위치되는 셀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와 연계 통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UE(예를 들어, UE(102))에 의한 수행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유사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802에서, 프로세서(예를 들어, UE(102))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제1 디바이스는 CORESET에 대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 수신하며, 집성 레벨은 한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로부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다. 804에서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는 CORESET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집성 레벨을 채용한다.
도 9는 본 논제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에 따른 CORESET와 연관된 후보 PDCCH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UE 특정 집성 레벨을 수신하고 적용시키기 위한 다른 예시적 방법의 높은 레벨 흐름도를 제공한다. 방법(900)은 또한 UE가 위치되는 셀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와 연계 통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UE(예를 들어, UE(102))에 의한 수행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유사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902에서, 프로세서(예를 들어, UE(102))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제1 디바이스는 CORESET에 대한 제1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제1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 수신하며, 집성 레벨은 제1 디바이스에 특정한 한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로부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다. 904에서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는 CORESET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제1 집성 레벨을 채용한다. 906에서, 제1 디바이스는 CORESET에 대한 제2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제2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며, 제2 집성 레벨은 한정된 기준에 대한 변화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로부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다. 908에서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는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제1 집성 레벨 대신에 제2 집성 레벨을 채용한다.
도 10은 개시된 논제 사안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1000)의 개략 블록도이다.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원거리 구성 요소(1010)를 포함한다.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스레드들, 프로세스들, 컴퓨팅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은 서버들, 개인 서버들,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RAN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은 네트워크 노드(104), 통신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들(106)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시스템(10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로컬 구성 요소(1020)를 포함한다. 로컬 구성 요소(들)(1020)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스레드들, 프로세스들, 컴퓨팅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로컬 구성 요소(들)(1020)은 예를 들어, UE(102), UE(102)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과 로컬 구성 요소(들)(1020) 사이의 한 가지의 가능한 통신은 2개 이상의 컴퓨터 프로세스 사이에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패킷의 형태일 수 있다.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과 로컬 구성 요소(들)(1020) 사이의 다른 가능한 통신은 무선 시간 슬롯들에서 2개 이상의 컴퓨터 프로세스 사이에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회로 전환 데이터의 형태일 수 있다. 시스템(1000)은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과 로컬 구성 요소(들)(102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채용될 수 있는 통신 프레임워크(1040)를 포함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의, LTE 네트워크를 통한 Uu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은 통신 프레임워크(1040)의 원거리 구성 요소(들)(1010)측 상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하드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 SIM 카드, 디바이스 메모리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원거리 데이터 저장소(105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컬 구성 요소(들)(1020)은 통신 프레임워크(1040)의 로컬 구성 요소(들)(1020)측 상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컬 데이터 저장소(10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논제 사안의 다양한 양태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도 11 및 이하의 논의는 개시된 논제 사안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의 간략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논제 사안을 컴퓨터 및/또는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의 일반적 맥락에서 상술하였지만, 당업자는 개시된 논제 사안이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과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고/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들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구성 요소, 데이터 구조체 등을 포함한다.
본 대상 명세서에서, “저장소”, “저장 장치”,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 저장 장치”, “데이터베이스”, 및 구성 요소의 작동 및 기능에 관련된 실질적으로 임의의 다른 정보 저장 구성 요소와 같은 용어들은 “메모리 구성 요소들”, 또는 “메모리” 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로 구현되는 엔티티들을 지칭한다. 본원에 설명하는 메모리 구성 요소들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둘 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휘발성 메모리(1120)(이하 참조), 비휘발성 메모리(1122)(이하 참조), 디스크 저장 장치(1124)(이하 참조), 및 메모리 저장 장치(1146)(이하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게다가,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포함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의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동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2배 데이터 속도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강화된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싱크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직접적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많은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게다가, 본원의 시스템들 또는 방법들의 개시된 메모리 구성 요소들은 이러한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개시된 논제 사안이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중 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 컴퓨팅 디바이스, 메인프레임 컴퓨터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전화기, 와치,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 소비자 또는 산업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하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들로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예시된 양태들은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처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행될 수도 있지만; 본 논제 발명의 일부 또는 모든 양태가 독립형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컬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 및 원격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시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실행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1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UE(예를 들어, UE(102)),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4)) 등일 수 있는 컴퓨터(1112)는 처리 유닛(1114), 시스템 메모리(1116) 및 시스템 버스(1118)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18)는 시스템 메모리(1116)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시스템 구성 요소들을 처리 유닛(1114)에 결합시킨다. 처리 유닛(1114)은 다양한 이용 가능한 프로세서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듀얼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다른 다중 프로세서 아키텍처들이 처리 유닛(1114)으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시스템 버스(1118)는 산업 표준 아키텍처, 마이크로 채널 아키텍처, 확장 산업 표준 아키텍처, 지능형 드라이브 전자 기기, 비디오 전자 기기 표준 연계 로컬 버스, 주변 요소 상호 연결, 카드 버스, 범용 직렬 버스, 진보된 그래픽스 포트,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국제 연계 버스, 파이어와이어(전기 전자 학회 11164), 및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다양한 이용 가능한 버스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제어기, 주변 버스 또는 외부 버스, 및/또는 로컬 버스를 포함하는 수 가지의 타입들의 버스 구조체(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16)는 휘발성 메모리(1120) 및 비휘발성 메모리(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동 동안 컴퓨터(1112) 내의 요소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루틴들을 포함하는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이 비휘발성 메모리(1122)에 저장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1122)는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120)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의 역할을 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를 포함할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는 동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읽기 전용 메모리, 동기 동적 읽기 전용 메모리, 2배 데이터 속도 동기 동적 읽기 전용 메모리, 강화된 동기 동적 읽기 전용 메모리, 싱크링크 동적 읽기 전용 메모리, 램버스 직접적 읽기 전용 메모리, 직접적 램버스 동적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램버스 동적 읽기 전용 메모리와 같은 많은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컴퓨터(1112)는 제거 가능한/제거 불가능한,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예를 들어, 디스크 저장 장치(1124)를 도시한다. 디스크 저장 장치(1124)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디스크 저장 장치(1124)는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디바이스, 컴팩트 디스크 기록 가능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 재기록 가능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저장 매체를 별도로 또는 다른 저장 매체와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18)에의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1124)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1126)와 같은 제거 가능 또는 제거 불가능 인터페이스가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2개의 용어가 이하와 같이 서로 상이하게 본원에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제거 가능 및 제거 불가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프로그램 모듈, 구조화된 데이터, 또는 비구조화된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과 관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저장 장치,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적용될 수 있는 바에 따른 본원의 “유형의”란 용어는 수식어로서 전파하는 무형의 신호들 그 자체만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전파하는 무형의 신호들 그 자체만이 아닌 모든 표준 저장 장치,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권리를 포기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유형의 매체는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장치,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적용될 수 있는 바에 따른 본원의 “비일시적”이란 용어는 수식어로서 전파하는 일시적 신호들 그 자체만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전파하는 일시적 신호들 그 자체만이 아닌 모든 표준 저장 장치,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권리를 포기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매체에 의해 저장되는 정보에 대한 다양한 동작에 대해 예를 들어, 액세스 요청, 질의 또는 다른 데이터 검색 프로토콜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로컬 또는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실행에 응하여, 대안적인 대역 채널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동들을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수행하게 하는 내부에 저장되는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변조된 데이터 신호, 예를 들어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데이터 신호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체,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조화되거나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구현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또는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신호들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신호로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되는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신호를 지칭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적 유선 연결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도 11이 사용자들과 적절한 작동 환경(1100)에서 설명하는 컴퓨터 리소스들 사이의 매개물로서의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설명한다는 점이 주목될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1128)를 포함한다. 디스크 저장 장치(1124) 상에 저장될 수 있는 운영 체제(1128)는 컴퓨터 시스템(1112)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고 할당하도록 작동한다. 시스템 애플리케이션들(1130)은 시스템 메모리(1116)에 또는 디스크 저장 장치(1124) 상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1134) 및 프로그램 모듈들(1132)을 통한 운영 체제(1128)에 의한 리소스들의 관리를 이용한다. 개시된 논제 사안이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들)(1136)을 통해 컴퓨터(1112)로 커맨드들 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컴퓨터(1112)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패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의 마우스/포인터 입력, 커맨드 라인 제어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1136)은 마우스, 트랙볼, 스타일러스, 터치 패드, 키보드, 마이크,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안테나, 스캐너, TV 튜너 카드,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은 인터페이스 포트(들)(1138)을 통하여 시스템 버스(1118)를 통해 처리 유닛(1114)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포트(들)(1138)은, 예를 들어 직렬 포트, 병렬 포트, 게임 포트, 범용 직렬 버스, 적외선 포트, 블루투스 포트, IP 포트, 또는 무선 서비스와 연관된 논리 포트 등을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들)(1140)은 입력 디바이스(들)(1136)과 동일한 타입의 포트들 중 일부를 사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포트는 컴퓨터(1112)로 입력을 제공하고, 컴퓨터(1112)로부터 출력 디바이스(1140)로 정보를 출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출력 어댑터(1142)는 다른 출력 디바이스들(1140) 중에서도 특수 어댑터들을 사용하는 모니터, 스피커 및 프린터와 같은 일부 출력 디바이스(1140)가 있는 것을 예증하기 위해 제공된다. 출력 어댑터들(1142)은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출력 디바이스(1140)와 시스템 버스(1118) 사이에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비디오 및 사운드 카드들을 포함한다. 다른 디바이스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의 시스템들이 원격 컴퓨터(들)(1144)과 같이 입력 능력 및 출력 능력 둘 다를 제공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컴퓨터(1112)는 원격 컴퓨터(들)(1144)과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 연결들을 이용하는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4)은 개인용 컴퓨터,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PC, 클라우드 저장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실행하는 코드, 워크스테이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기기, 피어 디바이스 또는 다른 통상적 네트워크 노드 등일 수 있고, 컴퓨터(1112)에 관하여 설명하는 요소들의 많은 것 또는 모두를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클라우드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들은 제공되고 손쉽게 해제될 수 있는 구성 가능 컴퓨팅 리소스들의 공유된 풀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필요한 바에 따른 기반 상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처리 리소스들 및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컴퓨팅을 지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및 저장 해결책들은 전기 에너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전기 공익 설비, 전화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 위한 전화 공익 설비 등에의 가입과 유사한 방식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하여 컴퓨팅 리소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볼 수 있고 규모 절약을 레버리징할 수 있는 제3 자 데이터 센터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1146)만이 원격 컴퓨터(들)(1144)과 함께 도시된다. 원격 컴퓨터(들)(1144)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8)를 통해 컴퓨터(1112)에 논리적으로 연결되고 그 다음 통신 연결(1150)을 통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8)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 및 광역 네트워크들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로컬 영역 네트워크 기술들은 파이버 분산형 데이터 인터페이스, 동선 분산형 데이터 인터페이스, 이더넷, 토큰 링 등을 포함한다. 광역 네트워크 기술들은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 통합된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 및 내부의 변화와 같은 회로 전환 네트워크, 패킷 전환 네트워크,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 주목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것에 더하여 또는 이것을 대신해서, 무선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연결(들)(1150)은 버스(1118)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8)를 연결시키기 위해 채용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 통신 연결(1150)이 예시적인 명확성을 위해 컴퓨터(1112)의 내부에 도시되지만, 컴퓨터(1112)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8)에의 연결을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정기적 전화기 등급 모뎀, 케이블 모뎀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 모뎀을 포함하는 모뎀, 통합된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 어댑터, 및 이더넷 카드와 같은 내부 및 외부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요약서에 설명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논제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들의 위의 설명은 철저하거나 개시되는 정확한 형태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들 및 예들을 예시적인 목적으로 본원에 설명하지만, 당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그러한 실시예들 및 예들의 범위 내에서 고려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개시된 논제 사안을 다양한 실시예 및 상응하는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하였지만, 적용 가능한 경우, 개시된 논제 사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시된 논제 사안의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대안적이거나, 대체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유사한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거나 변경들 및 추가들이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논제 사안은 본원에 설명하는 임의의 단일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이하의 첨부된 청구항들에 따른 폭 및 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대상 명세서에서 채용된 바에 따라, “프로세서”란 용어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중 스레드 실행 능력을 갖는 단일 프로세서; 다중 코어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중 스레드 실행 능력을 갖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 하드웨어 다중 스레드 기술을 갖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 병렬 플랫폼; 및 분산형 공유 메모리를 갖는 병렬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컴퓨팅 처리 유닛 또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는 본원에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집적 회로, 주문형 반도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제어기, 복합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공간 사용량을 최적화하거나 사용자 장비의 성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분자 및 양자점 기반 트랜지스터, 스위치 및 게이트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나노 스케일 아키텍처들을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팅 처리 유닛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되는 바에 따라, “구성 요소”, “시스템”, “플랫폼”, “층”, “선택기”, “인터페이스” 등이란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특정 기능을 갖는 작동 장치와 관련되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 또는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엔티티는 하드웨어, 하드웨어의 조합 및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 실행의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서버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둘 다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구성 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국부화되고/되거나 2개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내부에 저장되는 다양한 데이터 구조체를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형 시스템에서, 그리고/또는 신호를 통한 다른 시스템들과의 인터넷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 다른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서와 같이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성 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망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 부분들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시킨다. 또 다른 예로서, 구성 요소는 기계 부분들 없이 전자 구성 요소들을 통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구성 요소들은 전자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여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실행시키도록 내부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또는(or)”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보다는 오히려 포괄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명시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분명하지 않는다면, “X는 A 또는 B를 채용한다(X employs A or B)”는 정상적인 포괄적 치환들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채용하거나; X가 B를 채용하거나; X가 A 및 B 둘 다를 채용하면, “X는 A 또는 B를 채용한다”가 전술한 사례들 중 임의의 것 하에서 만족된다. 더욱이 본 대상 명세서 및 첨부 도면들에 사용되는 바에 따라, “한(a)” 및 “하나의(an)”란 관사들은 단수형으로 지시되는 것으로 달리 명시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분명하지 않는다면, 전반적으로 “하나 이상(one or more)”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게다가, “포함하다(include)”라는 용어는 폐쇄되거나 배타적인 용어보다는 오히려 개방되거나 포괄적인 용어로서 채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라는 용어는 “구비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고, 달리 명확히 사용되지 않는다면, 유사한 범위로 취급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사과를 포함하는 과일의 바스켓(a basket of fruit including an apple)”은 “사과를 구비하는 과일의 바스켓(a basket of fruit comprising an apple)”과 동일한 폭의 범위로 취급되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 장비(UE)”, “이동국”, “모바일”, “가입자국”, “가입자 장비”, “액세스 단말기”, “단말기”, “핸드셋” 및 유사한 전문 용어와 같은 용어들은 데이터, 제어, 음성, 비디오, 음향, 게이밍 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거나 전달하기 위해 무선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활용되는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전술한 용어들은 본 대상 명세서 및 관련된 도면들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활용된다.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노드 B”, “진화된 노드 B”, “e노드B”, “홈 노드 B”, “홈 액세스 포인트” 등이라는 용어들은 본 대상 출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활용되고, 가입자국들 또는 제공자 가능 디바이스들의 세트로 그리고 세트로부터 데이터, 제어, 음성, 비디오, 음향, 게이밍 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전송 스트림을 제공하고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구성 요소 또는 기기를 지칭한다. 데이터 및 신호 전송 스트림들은 패킷화되거나 프레임 기반의 흐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코어 네트워크”, “코어”, “코어 반송파 네트워크”, “반송파측”이라는 용어들 또는 유사한 용어들은 집성, 인증, 호 제어 및 전환, 청구, 서비스 실시 또는 게이트웨이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전형적으로 제공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을 지칭할 수 있다. 집성은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서의 최고 레벨의 집성을 지칭할 수 있으며, 코어 노드들 하의 계층에서의 다음 레벨은 분산 네트워크들이고 그 다음 에지 네트워크들이다. UE들은 통상적으로 대규모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들로 직접 연결되지는 않지만, 스위치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코어로 라우팅될 수 있다. 인증은 텔레컴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이러한 네트워크 내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인가되는지 아닌지 여부에 관한 결정들을 지칭할 수 있다. 호 제어 및 전환은 호 신호 처리에 기반한 반송파 장비에 걸친 호 스트림의 장래 과정과 관련되는 결정들을 지칭할 수 있다. 청구는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생성되는 청구 데이터의 조사 및 처리와 관련될 수 있다. 현대 네트워크들에서 찾게 되는 2가지의 공통 타입의 청구 메커니즘들은 선불 청구 및 후불 청구일 수 있다. 서비스 실시는 일부 명시적인 행위에 기반하여(예를 들어, 호 전송) 또는 암암리에(예를 들어, 호 대기) 일어날 수 있다. 서비스 “실행”은, 제3 자 네트워크/노드들이 실제 서비스 실행에 참여할 수 있음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에 존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기능은 다른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의 타입에 따를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가입자”, “고객”, “소비자”, “프로슈머”, “중개인” 등이란 용어들은, 문맥이 용어들 중의 특정 차이(들)을 타당하게 만들지 않는다면 본 대상 명세서 전체에 걸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채용된다. 그러한 용어들이 시뮬레이션된 시야, 음향 인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복합 수학적 형식론들에 기반하여 추론할 능력을 통해서와 같이 인공 지능을 통해 지원되는) 자동화된 구성 요소들 또는 사람 엔티티들을 지칭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논제 사안의 양태들, 특징들 또는 이점들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또는 임의의 유선, 방송,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무선 기술 또는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한 기술들 또는 네트워크들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방송 기술들(예를 들어, 서브 헤르츠, 극저주파수, 초저주파수, 저주파수, 중간 주파수, 고주파수, 초고주파수, 울트라 고주파수, 슈퍼 고주파수, 테라헤르츠 방송들 등); 이더넷; X.25; 전력선 타입 네트워킹, 예를 들어 전력선 오디오 비디오 이더넷 등; 펨토셀 기술; 와이파이; 마이크로파 액세스에 대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 강화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롱 텀 에볼루션;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범용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 고속 패킷 액세스;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 에볼루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강화된 데이터 속도; 범용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진보된 롱 텀 에볼루션을 포함한다.
“추론하다” 또는 “추론”이라는 용어는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하여 캡처되는 관측들의 세트로부터 시스템, 환경, 사용자 및/또는 의도의 상태들에 대해 논단하거나, 이것들을 추론하는 프로세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캡처된 데이터 및 이벤트들은 사용자 데이터, 디바이스 데이터, 환경 데이터,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 센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암시된 데이터, 명시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론은, 예를 들어 특정 맥락 또는 행위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거나,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에 기반하여 관심 있는 상태들에 걸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더 높은 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 채용되는 기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그러한 추론은, 이벤트들이 일부 경우에, 일시적으로 아주 근접하게 상관될 수 있든, 그리고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이거나 수개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에 기인하든 관측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세트로부터의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행위들의 구성을 야기한다. 다양한 분류 방식 및/또는 시스템(예를 들어, 지지 벡터 기계, 신경망, 전문가 시스템, 베이지안 빌리프 네트워크, 퍼지 로직 및 데이터 융합 엔진)이 개시된 논제 사안과 관련되어 자동적이고/이거나 추론되는 행위를 수행하는 것과 관련되어 채용될 수 있다.
상술하였던 것은 개시된 논제 사안을 예시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본원의 구성 요소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당업자는 청구된 논제 사안의 많은 추가적인 조합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할 것이다. 더욱이, “포함하다(includes)”, “갖다(has)”, “소유하다(possesses)” 등이란 용어들이 상세한 설명, 청구항, 부록 및 도면에 사용되는 범위에서, 그러한 용어들은, “구비하는(comprising)”이 청구항에서 연결어로서 채용될 때 해석되는 것과 같이, “구비하는”이란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적용을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동들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후보 제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상기 집성 레벨을 적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한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집성 레벨들을 나타내는 용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한정된 거리 미만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 및 상기 한정된 거리 초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2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성 레벨은 상기 제2 집성 레벨보다 더 낮은, 제1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한정된 값 미만의 상기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제1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 및 상기 한정된 값 초과의 상기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제2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성 레벨은 상기 제2 집성 레벨보다 더 높은, 제1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집성 레벨 용량에 적용 가능한 제1 기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용 가능한 제2 기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에 적용 가능한 제3 기준으로 구성되는 기준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준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더 높은 층 신호 전송 프로토콜로서 분류되는 신호 전송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프로토콜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신호 전송 프로토콜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3.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는 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적용을 위한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의 결과로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후보 제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상기 집성 레벨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한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집성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된 기준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집성 레벨 용량에 적용 가능한 제1 기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에 적용 가능한 제2 기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에 적용 가능한 제3 기준으로 구성되는 기준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더 높은 층 신호 전송 프로토콜로서 분류되는 신호 전송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에 대한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집성 레벨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성 레벨은 한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후보 집성 레벨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던 것인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상기 집성 레벨을 채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동들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된 기준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집성 레벨 용량,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연관된 기하학적 구조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기준들의 그룹에 대하여 평가되는, 제1 디바이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 레벨 정보는 제1 집성 레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집성 레벨은 제1 집성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들은:
    상기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에 대한 제2 집성 레벨을 나타내는 제2 집성 레벨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집성 레벨은 상기 한정된 기준에 대한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집성 레벨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던 것인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후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디코딩하려 시도하는 것과 연관되는 상기 제1 집성 레벨 대신에 상기 제2 집성 레벨을 채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KR1020217028504A 2019-02-15 2020-01-31 5g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set 구성 KR20210121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77,602 US11109432B2 (en) 2019-02-15 2019-02-15 Location based coreset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6/277,602 2019-02-15
PCT/US2020/016251 WO2020167501A1 (en) 2019-02-15 2020-01-31 Location based corset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238A true KR20210121238A (ko) 2021-10-07

Family

ID=6974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504A KR20210121238A (ko) 2019-02-15 2020-01-31 5g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위치 기반 corset 구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09432B2 (ko)
EP (1) EP3925148A1 (ko)
JP (1) JP2022520602A (ko)
KR (1) KR20210121238A (ko)
CN (1) CN113475033A (ko)
WO (1) WO2020167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557A1 (ko) * 2019-04-02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reset에 대한 품질 보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0939428B2 (en) * 2019-07-19 2021-03-0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limiting blind decoding for multi-DCI based multi-transmit-receive points
US20210100003A1 (en) * 2019-09-27 2021-04-01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for reduced capability us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2763B2 (en) * 2004-04-02 2013-09-24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transmissions in distributed wireless systems via user clustering
CN1691539A (zh) * 2004-04-30 2005-11-0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多入多出无线通信系统的通用多入多出-联合检测方法和装置
KR101104965B1 (ko) * 2008-12-19 2012-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제어채널 자원을 고려한 기지국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EP2410785B1 (en) * 2009-03-17 2018-05-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downlink channel quality
CN101895988B (zh) * 2009-05-22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资源的分配方法及装置
KR20110049595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989121B2 (en) * 2011-11-02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Blindly decoding interfering cell PDCCH to acquire interfering cell PDSCH transmission information
JP6093378B2 (ja) * 2012-01-30 2017-03-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マルチアンテナ無線通信において共通パイロット信号及び復調パイロット信号を使用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9294255B2 (en) * 2012-09-06 2016-03-22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167574B2 (en) * 2012-09-28 2015-10-20 Intel Corporation Blind decoding for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US9680626B2 (en) * 2013-05-03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frequency multiplexed communication in dense wireless environments
CN106454885A (zh) * 2015-08-10 2017-02-22 北京大学 一种物理下行控制信道的聚合等级确定方法和装置
EP3361686B1 (en) * 2015-10-22 2022-10-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US20170188314A1 (en) * 2015-12-24 2017-06-29 Intel Corporation Uplink interference management in shared spectrum networks
KR102155375B1 (ko) * 2016-09-02 2020-09-11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8282290B (zh) * 2017-01-06 2022-05-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中由终端和基站执行的方法及设备
KR102164967B1 (ko) * 2017-01-06 2020-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8365913B (zh) * 2017-01-26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发送和接收方法及设备
WO2018137242A1 (zh) 2017-01-26 2018-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链路控制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8141246A1 (en) * 2017-02-03 2018-08-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network coordination schemes
US10511399B2 (en) * 2017-04-07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downlink control channel design using a top to bottom search space
CN109041224A (zh) * 2017-06-08 2018-12-1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控制信息的传输及检测方法、基站、用户设备和存储介质
WO2018228530A1 (zh) * 2017-06-15 2018-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参数的配置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09152050B (zh) 2017-06-15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参数的配置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9432B2 (en) 2021-08-31
CN113475033A (zh) 2021-10-01
EP3925148A1 (en) 2021-12-22
US20200267788A1 (en) 2020-08-20
US20210360720A1 (en) 2021-11-18
JP2022520602A (ja) 2022-03-31
WO2020167501A1 (en)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956B1 (ko) 업링크 통신 파형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것
KR102333960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제어 채널 자원 세트들의 구성 가능한 그룹들
US10979124B2 (en) Forward error correction code selection in wireless systems
US10433177B2 (en) Adaptive pairing of a radio access network slice to a core network slice based on device information or service information
US20210360720A1 (en) Location based coreset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17212733A (ja) 入力されるユーザー移動度情報に基づく参照信号適用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251853B2 (en) Determin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phase tracking
US11671958B2 (en) Management of group common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220263622A1 (e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ystems
US11949505B2 (en) Scheduling of uplink data us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scheduled resources
WO2024011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to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