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383A -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83A
KR20210120383A KR1020200037027A KR20200037027A KR20210120383A KR 20210120383 A KR20210120383 A KR 20210120383A KR 1020200037027 A KR1020200037027 A KR 1020200037027A KR 20200037027 A KR20200037027 A KR 20200037027A KR 20210120383 A KR20210120383 A KR 20210120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emitting display
retro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164B1 (ko
Inventor
김경예
송대원
김덕일
김문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3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1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6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involving reflecting prisms and mirror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o Graph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설치되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영역을 차폐하는 재귀반사부; 및 그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된 영상을 비구면 반사체 형태의 렌즈에서 굴절시켜 확장시킨 후 리플렉터 모듈에서 반사 및 투과시킴으로써 3차원 홀로그래피 대화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투명 매질을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입체감 있게 볼 수 있고, 프레넬 렌즈를 활용하여 피사체의 상을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대함으로써 좁은 화면에서 재생되는 평면 영상을 대화면으로 몰입감 있는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반투명 재귀 반사판을 합착하여 피사체의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하고, 이를 활용하여 가볍고 얇은 디스플레이 확장 모듈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가시광선만 투과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Assembly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seudo hologra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램(hologram)이란, 두 개의 광선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입체감이 있는 이미지를 재현하거나 매체에 기록하는 기술을 말한다. 홀로그램의 산업적 이용은 지폐나 기밀 서류의 위조 방지 등의 분야에서 처음 시작되었지만, 최근에는 회의, 공연, 게임,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홀로그램과 유사하게 공간상의 특정 위치에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이른바 "유사 홀로그램(pseudo hologram)" 기술이 고안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광원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반투명 유리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을 사용하는 반사판을 이용하여 반사시킴으로써, 허공에 영상이 떠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사 홀로그램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표시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광고 및 전시 분야에서 엔터테인먼트 분야까지 점차 그 가능성을 넓혀가고 있다. 유사 홀로그램 장치는 반투명 유리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을 사용하는 반사판을 이용하여 LCD 패널의 영상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장치로서, 허공에 영상이 떠 있는 것과 같은 착시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소형화된 반사장치로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모듈 프레임(120)의 상부면(212)에 단말(100)을 위치시키면, 단말(100)의 화면에서 재생되는 소정 콘텐츠(232)가 반사판(130)을 통해 V 방향으로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단말(100)을 모듈 프레임(120)의 상부에 거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V 방향으로 표시되는 소정 콘텐츠(232)를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로 5G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있어 디스플레이 면적의 한계가 있고, 기존의 O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청하는 5G 콘텐츠를 3차원 입체 형상으로 몰입감 있게 시청하는데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7628, 2016.02.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5G에 특화된 고화질의 콘텐츠 영상을 대화면으로 입체감 있게 재생할 수 있는 확대 굴절형 렌즈를 적용함으로써, 투명 매질을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입체감 있게 볼 수 있으며, 프레넬 렌즈를 활용하여 피사체의 상을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대하여 볼 수 있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사 홀로그램 확대반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유사 홀로그램 확대반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장치를 제조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 및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영역을 차폐하는 재귀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귀 반사부는 상기 프레넬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하프 미러(half mirror)를 포함한다. 상기 재귀반사부는 투명 아크릴판; 상기 투명 아크릴판의 앞면에 인쇄 또는 부착되는 재귀반사 필름; 및 상기 투명 아크릴판의 뒷면에 인쇄되며,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마스킹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재귀 반사부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이고, 상기 투명 매질의 재질은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오는 광원의 양은 상기 투명매질을 통해 들어오는 광원의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투과하는 재귀반사부; 및 상기 재귀반사부를 투과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포함한다. 상기 재귀반사부는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영상차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상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위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 렌즈; 상기 플레스넬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재귀반사부; 상기 재귀반사부를 투과한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포함한다. 상기 재귀반사부는 상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영상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오는 광원의 양은 상기 투명매질을 통해 들어오는 광원의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은 콘텐츠 영상을 출력하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상기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넬 렌즈 위에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은 상기 프레넬 렌즈 위에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재귀반사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귀반사부의 제조는 투명 아크릴판의 앞면에 재귀반사 필름을 인쇄 또는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아크릴판의 뒷면에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마스킹 필름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은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투과하는 재귀반사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재귀반사부 위에 상기 재귀 반사부를 투과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3차원 홀로그래피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된 영상을 비구면 반사체 형태의 렌즈에서 굴절시켜 확장시킨 후 리플렉터 모듈에서 반사 및 투과시킴으로써 3차원 홀로그래피 대화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확장 장치를 활용하여 5G Data Throughput 으로 제공되는 실감형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 매질을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입체감 있게 볼 수 있으며, 프레넬 렌즈를 활용하여 피사체의 상을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대함으로써, 좁은 화면에서 재생되는 평면 영상을 대화면으로 몰입감 있는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투명 재귀반사판을 합착하여 피사체의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하고, 이를 활용하여 가볍고 얇은 디스플레이 확장 모듈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가시광선만 투과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사 홀로그램 영상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이 유사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이 확대 및 재귀반사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에서 재귀반사 패널의 앞면과 뒷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방법에서 프레넬 렌즈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프레넬(Fresnel) 렌즈(210) 및 투명매질(220)을 포함하며, 재귀반사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넬(Fresnel) 렌즈(210)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 위에 설치되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245)을 확대한다. 프레넬(Fresnel) 렌즈(21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일 수 있다. 투명매질(220)은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225)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한다. 투명매질(220)의 재질은 아크릴 일 수 있다.
재귀반사부(230)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의 일부 영역을 차폐한다. 재귀반사부(23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일 수 있다. 재귀 반사부(230)는 프레넬 렌즈(210)를 통해 확대된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하프 미러(half mirr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귀반사부(230)는 투명아크릴판, 상기 투명아크릴판의 앞면에 인쇄 또는 부착되는 재귀반사 필름 및 마스킹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스킹 필름은 상기 투명아크릴판의 뒷면에 인쇄되며,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정 영역을 차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2실시예는 재귀반사부(230) 및 투명매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재귀반사부(230)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 위에 설치되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245)을 투과한다. 재귀반사부(230)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영상차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투명매질(220)은 재귀반사부(230)를 투과한 콘텐츠 영상(225)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패널(240), 프레넬렌즈(210), 재귀반사부(230) 및 투명매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넬렌즈(210)는 스마트폰(250)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패널(240) 위에 설치되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24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245)을 확대한다. 재귀반사부(230)는 프레넬렌즈(210)를 통해 확대된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며, 하프미러(half mirror)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부(230)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영상차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이 유사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참조번호 510은 프레넬렌즈(210) 및 발광디스플레이 패널(240) 위에 프레넬렌즈(210)가 부착되고, 프레넬렌즈(210) 위에 재귀반사판(230)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이 확대 및 재귀반사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넬 렌즈(210)에 의한 상의 확대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로부터 투과된 영상이나 이미지는 프레넬 렌즈(210)를 투과하여 상(Object A, 245)을 확대하며, 확대된 상(Object A’, 225)은 재귀반사부(mirror coating, 230)를 투과하여 투명매질(220)디스플레이된다. 재귀반사부(mirror coating, 230)와 투명매질 (transparent material, 220)에 의한 홀로그래픽 효과(Holographic Effect)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로부터 나오는 광원의 양이 투명매질(220)을 통해 들어오는 광원의 양 보다 많아야 한다. 재귀반사부(mirror coating, 230)의 반사광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40)에서 발광되는 빛보다 적을 수록 외부의 상이 비치는 거울 효과를 최소화한다. 이는 투명매질(220) 안에 발광 디스플레이로 패널(240)로 부터 나오는 상이 맺히는 효과를 극대화시켜 홀로그래픽 효과(Holographic Effect)를 생성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 대한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 대한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영상을 출력하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710)을 준비하고,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710) 위에 상기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720)를 부착한다. 프레넬 렌즈(720) 위에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730)을 부착한다. 그리고 플레스넬 렌즈(720) 위에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재귀반사부(740)를 부착하고, 재귀반사부(740) 위에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730)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에서 재귀반사 패널의 앞면과 뒷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재귀반사부(740)는 투명 아크릴판의 앞면(810)에 재귀반사 필름을 인쇄 또는 부착하고, 상기 투명 아크릴판의 뒷면(820)에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마스킹 필름(830)을 인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사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방법에서 프레넬 렌즈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에 대한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영상을 출력하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710)을 준비하고,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510) 위에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투과하는 재귀반사부(740)를 부착한다. 재귀반사부(730) 위에 재귀반사부(730)를 투과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730)을 부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 프레넬 렌즈 220 : 투명매질
225 : 확대된 콘텐츠 영상 230 : 재귀반사판
240 :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245 : 콘텐츠 영상
250 : 스마트 폰
510 : 재귀반사판(230)+프레넬렌즈(210)+발광디스플레이 패널(240)
710 :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720 : 프레넬 렌즈
730 : 투명매질 740 : 재귀반사판
810 : 재귀반사부의 앞면 820 : 재귀반사부의 뒷면
830 : 재귀반사부에 부착되는 마스킹 필름

Claims (16)

  1.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 및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포함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영역을 차폐하는 재귀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부는
    상기 프레넬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하프 미러(half mirr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부는
    투명 아크릴판;
    상기 투명 아크릴판의 앞면에 인쇄 또는 부착되는 재귀반사 필름; 및
    상기 투명 아크릴판의 뒷면에 인쇄되며,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마스킹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재귀 반사부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이고, 상기 투명 매질의 재질은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오는 광원의 양은 상기 투명매질을 통해 들어오는 광원의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7.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투과하는 재귀반사부; 및
    상기 재귀반사부를 투과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포함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부는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영상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오는 광원의 양은 상기 투명매질을 통해 들어오는 광원의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상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위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 렌즈;
    상기 플레스넬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재귀반사부;
    상기 재귀반사부를 투과한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포함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부는
    상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영상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나오는 광원의 양은 상기 투명매질을 통해 들어오는 광원의 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3. 콘텐츠 영상을 출력하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상기 콘텐츠 영상을 확대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넬 렌즈 위에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 위에 상기 확대된 콘텐츠 영상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재귀반사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부의 제조는
    투명 아크릴판의 앞면에 재귀반사 필름을 인쇄 또는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아크릴판의 뒷면에 일정 영역을 차폐하는 마스킹 필름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16.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상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 영상을 투과하는 재귀반사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재귀반사부 위에 상기 재귀 반사부를 투과한 콘텐츠 영상이 공간에 떠 있는 상으로 맺혀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투명매질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20200037027A 2020-03-26 2020-03-26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27A KR102394164B1 (ko) 2020-03-26 2020-03-26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27A KR102394164B1 (ko) 2020-03-26 2020-03-26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83A true KR20210120383A (ko) 2021-10-07
KR102394164B1 KR102394164B1 (ko) 2022-05-03

Family

ID=7811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027A KR102394164B1 (ko) 2020-03-26 2020-03-26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3911A (zh) * 2023-06-02 2023-06-30 厦门奇翼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全息显示的学习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612B1 (ko) * 1997-09-30 2003-04-2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착색광재귀반사재및그것을이용한재귀반사홀로그램재생체
KR20140145498A (ko) * 2013-06-13 2014-12-23 (주)티원시스템즈 홀로그램 투명 엘시디 미디어박스 및 이의 재생방법.
KR101597628B1 (ko) 2014-11-17 2016-03-08 주식회사 헬로앱스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의 표시 방법
KR20180032317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케이티 플로팅 홀로그램 장치
KR20190044437A (ko) * 2017-10-20 2019-04-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홀로그램 영상 표시 장치
KR20190003063U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유사 홀로그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612B1 (ko) * 1997-09-30 2003-04-2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착색광재귀반사재및그것을이용한재귀반사홀로그램재생체
KR20140145498A (ko) * 2013-06-13 2014-12-23 (주)티원시스템즈 홀로그램 투명 엘시디 미디어박스 및 이의 재생방법.
KR101597628B1 (ko) 2014-11-17 2016-03-08 주식회사 헬로앱스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의 표시 방법
KR20180032317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케이티 플로팅 홀로그램 장치
KR20190044437A (ko) * 2017-10-20 2019-04-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홀로그램 영상 표시 장치
KR20190003063U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유사 홀로그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3911A (zh) * 2023-06-02 2023-06-30 厦门奇翼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全息显示的学习机
CN116363911B (zh) * 2023-06-02 2023-11-07 厦门奇翼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全息显示的学习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164B1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7809B2 (ja) 表示装置
US20180284470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aerial image
KR102266550B1 (ko) 공기에서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KR100999576B1 (ko)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US20080088936A1 (en) Peripheral treatment for head-mounted displays
CN106560733B (zh) 一种空中成像元件、空中成像显示装置及其应用
JP2002540474A (ja) 広視野投写型ディスプレイ
US20120056896A1 (en) Presenting information on a see-though display
CN100370356C (zh) 图象显示方法和图象显示系统
US20020101657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oizumi et al. Optical system to display mid-air images on a glossy plane and remove ground images
KR102394164B1 (ko)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유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33337A1 (zh) 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CN111158145A (zh) 一种单板反射式ar眼镜的投屏装置
US20190293846A1 (en) Display screen configured to display viewing position-dependent images
WO2021085007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Nishimura et al. Proposal of moire-free aerial display based on the LED panel and apertured retro-reflector
JP2000019635A (ja) 表示装置
Smithwick et al. LCD masks for spatial augmented reality
US6690408B1 (en) Use of a holographic video screen as a display surface for information systems
KR100403079B1 (ko) 씨-쓰루 형 머리 장착용 표시 장치
KR20150008727A (ko) 양방향 슈도 홀로그램 장치
Hoshi et al. Simulation of mid-air images using combination of physically based rendering and image processing
US20230121150A1 (en) Display panel
Kikuchi et al. AIR-range: Designing optical systems to present a tall mid-AIR image with continuous luminance on and above a table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