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260A -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260A
KR20210120260A KR1020200036721A KR20200036721A KR20210120260A KR 20210120260 A KR20210120260 A KR 20210120260A KR 1020200036721 A KR1020200036721 A KR 1020200036721A KR 20200036721 A KR20200036721 A KR 20200036721A KR 20210120260 A KR20210120260 A KR 20210120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ase material
pipe
pressurization chamb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373B1 (ko
Inventor
황성민
Original Assignee
황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민 filed Critical 황성민
Priority to KR102020003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3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29C48/765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in the extruder apparatus
    • B29C48/76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in the extruder apparatus in screw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2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209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361Extrus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모재를 펠릿형태의 원재료로 가공함에 있어, 압출기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치밀성이 향상된 양질의 펠릿을 제조하도록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펠릿의 혼합 모재를 투입하는 원료투입구와, 투입된 상기 모재를 용융시켜 이동시키면서 압출하여 배출시키는 가압실 그리고 상기 모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설비와 가압실을 구동하기 위한 설비가 배치되는 설비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출기본체와; 상기 가압실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를 통해 이동하는 혼합모재의 온도변화(고온으로부터 저온으로 변화)에 따라, 최적의 상태(온도위치)에서 발생가스를 배출되도록 하여, 가스의 효율적 배출과 모재의 유출 방지 사이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시키 f수있도록 하여, 간소한 설비 구성을 통해 효과적인 가스의 배출과 혼합모재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 A pellet manufacturing machine using extrusion }
본 발명은 혼합물을 펠릿형태의 원재료로 가공함에 있어, 압출기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치밀성이 향상된 양질의 펠릿을 제조하도록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되어 펠릿으로 제조되는 혼합물을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하면 압출기 내부에서 가스(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는 제품 불량을 유발하므로 필히 제거해 주어야 하는데, 통상 압출기 배럴 일 측 상면에 가스배출관을 설치하여 가스를 빼내고 있으나, 압출기 내부 압력에 의해 가스뿐만 아니라 용융된 혼합물도 같이 빠져나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스배출관 전단에서 압력을 낮추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원료 이동 속도뿐만 아니라 가스를 배출시키는 속도 또한 늦추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8693호에서는 기계적인 구성(누름스크류)을 통해 누출되는 합성수지재를 억제하여, 가스배출장치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가스를 빠르게 빼내면서도 원료는 함께 빨려 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누름 스크류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를 구성함에 따라 설비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상기 누름 스크류 사이에 유입된 합성수지에 따라 설비의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8693호
압출 성형 설비의 가스 배출 특성은 압출기 내부의 혼합물 상태에 크게 좌우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혼합물의 상태를 활용하여, 발생가스를 최적의 상태에서 최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압출 성형 설비 내부의 혼합물이 고온상태(점도가 낮은 경우)인 경우 배출된 가스를 제거하기 쉬우나 용융된 혼합물이 배출배관을 통해 함께 유출될 가능성이 높고, 상기 혼합물이 저온상태(점도가 높은 경우)인 경우 혼합물이 배출배관을 통해 유출될 가능성은 낮으나 배출가스가 성형물 내부에 포함된 상태로 응고되어 가스 제거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압출기를 통해 이동하는 혼합물의 온도변화(고온으로부터 저온으로 변화)에 따라, 최적의 상태(위치)에서 발생가스를 배출되도록 하여, 간소한 설비구성을 통해 효과적인 가스배출과 혼합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펠릿의 혼합 모재를 투입하는 원료투입구와, 투입된 상기 모재를 용융시켜 이동시키면서 압출하여 배출시키는 가압실 그리고 상기 모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설비와 가압실을 구동하기 위한 설비가 배치되는 설비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출기본체와; 상기 가압실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실에는, 용융모재를 이송하는 길이방향의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펠릿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및 상기 가압실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실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흡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상기 가압실의 흡입공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실내의 가스가 이동되도록 하는 가스배관과; 상기 가스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이동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추출기와; 상기 가스추출기 내부가 저압상태로 유지되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스추출기로 흡입된 가스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가스저장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공은, 상기 가압실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관은, 상기 가스추출기에 연결되는 가스흡입배관과; 상기 가스힙입배관과 각각의 상기 흡입공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분기배관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분기배관에는, 상기 분기배관을 개폐하는 분기밸브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상기 분기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실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흡입공을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실 내의 용융모재 이송 위치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기 설정된 온도와 차이값이 최소화되는 위치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위치에 인접한 분기배관을 통해 가압실 내의 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분기밸브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측정유닛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온도측정유닛은, 상기 가압실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에는, 상기 용융모재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는 차폐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차폐부재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스저장소에는, 상기 가스저장소와 각각의 분기배관들을 연결하는 세척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상기 압축기본체의 미가동시, 상기 발열선을 통해 상기 다공성 부재를 가열하면서, 상기 가스저장소에 저장된 고압의 가스를 상기 세척배관을 통해 상기 분기배관으로 배출시켜, 상기 다공성 부재에 부착된 모재를 제거하는 세척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상기 세척모드 수행 시, 각 분기배관 별 배기 구동 시간 비율에 따라 상기 각 분기배관 별로 세척 시간을 배분하여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펠릿의 성형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를 통해 이동하는 혼합물의 온도변화(고온으로부터 저온으로 변화)에 따라, 최적의 상태(온도위치)에서 발생가스를 배출되도록 하여, 가스의 효율적 배출과 모재의 유출 방지 사이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시키 f수있도록 하여, 간소한 설비 구성을 통해 효과적인 가스의 배출과 혼합물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출된 가스를 고압상태로 보관하고, 압출공정 종료 후 상기 보관된 고압가스를 이용하여 가스 배출 배관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에너지를 절감하면서 유출되는 혼합물에 의한 설비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스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의 가스 배출 구동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의 가스 배출 구동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펠릿 성형 장치는, 압출기 본체(100)와 가스배출유닛(200) 및 온도측정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출기본체(100)는 성형모재를 투입하여, 상기 성형모재를 용융시켜 혼합하면서 소정의 크기로 압출시켜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부분으로, 기본적으로는 펠릿 압출 성형기의 기본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펠릿은 다양한 재료가 적용될 수 있는데, 고분자물인 합성수지일 수도 있고, 금속(광물) 분말이 함유된 금속혼합물일 수도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금속은 항균특성이 있는 동(구리, 銅)일 수 있고, 동 분말이 포함된 합성수지 펠릿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물의 종류에 따라 바인더 및 수분 등의 함유 비율이 달라지는데, 이들 혼합물의 조성은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출기본체(100)는 원료주입구(110), 가압실(120), 설비실(130), 압출기구동부(140) 및 냉각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비실(130)은 상기 모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설비와 가압실을 구동하기 위한 설비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가압실(120)은 투입된 상기 모재를 용융시켜 이동시키면서 압출하여 배출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가압실 내부에는 용융모재를 이송하는 길이방향의 스크류(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는 모노 스크류, 듀얼 스크류등 다양한 형태의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실(120) 단부에는 상기 스크류(121)에 의해 이송된 모재를 펠릿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22)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22)의 형태 및 크기는 펠릿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펠릿을 지정된 길이로 커팅하기 위한 커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압실(120) 상부에는 가압실(120)내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공(1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압출기 구동부(140) 및 냉각기(150)는 압출설비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스배출유닛(200)은, 상기 가압실(120)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펠릿에 가스에 의한 기포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도로 하는 것으로, 가스추출기(210), 인터버(220), 가스저장소(230), 추출기구동부(240), 가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스배관은 상기 가압실(120)의 흡입공(123)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실(120)내의 가스가 이동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스배관은 상기 가압실(120)과 후술할 가스추출기(210)를 연결하는 단일 배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분기배관(260A, 260B, 260C, 260D)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실(120)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흡입공(123A, 123B, 123C, 123D)들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관은 상기 가스추출기(210)에 연결되는 가스흡입배관(250)과 상기 가스흡입배관(250)과 각각의 상기 흡입공(123A, 123B, 123C, 123D)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분기배관들(260A, 260B, 260C, 260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분기배관(260A, 260B, 260C, 260D)에는 상기 분기배관(260A, 260B, 260C, 260D)을 개폐하는 분기밸브(270A, 270B, 270C, 270D)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밸브(270A, 270B, 270C, 270D)의 개폐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가압실(120)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흡입공(123A, 123B, 123C, 123D)을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길이방향의 가압실(120)에 있어서, 가스가 배출되는 위치를 선별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압실(120) 내의 용융모재 이송 위치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유닛(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스 배출 위치를 상기 용융모재의 온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스배출유닛(200)은, 기 설정된 온도와 차이값이 최소화되는 위치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위치에 인접한 분기배관(260)을 통해 가압실(120) 내의 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분기밸브(2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배출유닛(200)은 압출기가 구동되면(S110), 상기 온도측정유닛(300)이 상기 가압실(120)의 위치별 온도를 측정한다(S120).
이후, 상기 가스배출유닛(200)은 기 설정된 설정온도와 동일 또는 최대 유사한 위치를 판별한다(S130). 여기서 상기 설정온도는 용융모재의 온도에 따른 경화정도(점도)를 고려하여, 내부 가스의 배출은 이루어지면서 모재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 정도의 점도가 유지되는 온도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온도는 용융모재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므로, 모재의 혼합비율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한편, 상기 가스배출유닛(200)은 상기 기설정된 온도와 가장 근접한 온도위치에 최대한 인접한 분기밸브(270)를 개방하여 가스 배출 유로를 형성한다(S140). 물론, 이때, 다른 분기배관(260)의 분기밸브(270)는 차폐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가스배출유닛(200)을 구동하여, 형성된 가스 배출 유로를 통해 상기 가압실(120) 내부에 발생된 가스를 배출한다(S15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측정유닛(300)은, 상기 가압실(120)의 위치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가압실(12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스추출기(210)는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되어 이동된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인버터(220)에 의해 진공 또는 이에 준하는 저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가스저장소(230)는 상기 가스추출기(210)로 흡입된 가스가 가압(압축)되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220)는 일반적으로 인버터 펌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가스추출기 내부가 저압상태로 유지되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한다.
한편, 상기 흡입공(123)에는, 상기 용융모재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는 차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폐부재는 다공성 세라믹 등의 소재로 구성되어, 기체(가스)는 통과하여 배출되되, 용융모재는 차단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폐부재는 사용이 누적됨에 따라 전면에 용융모재가 융착되어, 미세공을 차폐하여 가스 배출유로가 막힐 우려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차폐부재의 세척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폐부재는, 상기 차폐부재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선(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저장소(230)에는, 상기 가스저장소(230)와 각각의 분기배관(260)들을 연결하는 세척배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유닛(200)은, 상기 압축기본체(100)의 미가동시, 상기 발열선을 통해 상기 차폐부재를 가열하면서, 상기 가스저장소(230)에 저장된 고압의 가스를 상기 세척배관을 통해 상기 분기배관(260)으로 배출시켜, 상기 차폐부재에 부착 응고된 모재를 제거하는 세척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모드는 상기 가스저장소(230)에 저장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구동되므로 가스 배출을 위한 별도의 전력이 소비되지 않고 높은 에너지 효율로 세척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세척공정은 각 분기배관(260A, 260B, 260C, 260D) 별 배기 구동 시간 비율에 따라 상기 각 분기배관(260A, 260B, 260C, 260D) 별로 세척 시간을 배분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분기배관 중 가스 배기 과정이 가장 많이 수행된 분기배관의 차폐부재에 가장 많은 용융모재가 부착될 것이므로, 배기 과정 수행 시간 별로 세척공정을 배분하면, 한정된 가스저장소의 가스 저장량과 압력을 이용하여 최대한 세척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혼합물을 펠릿형태의 원재료로 가공함에 있어, 압출기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치밀성이 향상된 양질의 펠릿을 제조하도록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기를 통해 이동하는 혼합물의 온도변화(고온으로부터 저온으로 변화)에 따라, 최적의 상태(온도위치)에서 발생가스를 배출되도록 하여, 가스의 효율적 배출과 모재의 유출 방지 사이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시키 f수있도록 하여, 간소한 설비 구성을 통해 효과적인 가스의 배출과 혼합물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0 : 압출기본체 110 : 원료투입구
120 : 가압실 121 : 스크류
122 : 배출구 123 : 흡입공
130 : 설비실 140 : 압출기구동부
150 : 냉각기 200 : 가스배출유닛
210 : 가스추출기 220 : 인버터
230 : 가스저장소 240 : 추출기 구동부
250 :가스흡입배관 260 : 분기배관
270 :분기밸브

Claims (8)

  1. 펠릿의 혼합 모재를 투입하는 원료투입구와, 투입된 상기 모재를 용융시켜 이동시키면서 압출하여 배출시키는 가압실 그리고 상기 모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설비와 가압실을 구동하기 위한 설비가 배치되는 설비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출기본체와;
    상기 가압실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에는,
    용융모재를 이송하는 길이방향의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펠릿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및 상기 가압실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실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흡입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상기 가압실의 흡입공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실내의 가스가 이동되도록 하는 가스배관과;
    상기 가스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이동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추출기와;
    상기 가스추출기 내부가 저압상태로 유지되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인버터와;
    상기 가스추출기로 흡입된 가스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가스저장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은,
    상기 가압실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관은,
    상기 가스추출기에 연결되는 가스흡입배관과;
    상기 가스힙입배관과 각각의 상기 흡입공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분기배관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기배관에는,
    상기 분기배관을 개폐하는 분기밸브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상기 분기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실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흡입공을 선택적으로 선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 내의 용융모재 이송 위치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기 가스배출유닛은,
    기 설정된 온도와 차이값이 최소화되는 위치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위치에 인접한 분기배관을 통해 가압실 내의 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분기밸브를 제어함을 특징을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유닛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유닛은,
    상기 가압실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KR1020200036721A 2020-03-26 2020-03-26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KR10232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21A KR102320373B1 (ko) 2020-03-26 2020-03-26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21A KR102320373B1 (ko) 2020-03-26 2020-03-26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60A true KR20210120260A (ko) 2021-10-07
KR102320373B1 KR102320373B1 (ko) 2021-11-01

Family

ID=7851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21A KR102320373B1 (ko) 2020-03-26 2020-03-26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489B1 (ko) * 2022-07-06 2023-05-26 (주)드림엔지니어링 교반 기능을 구비한 슬러지 펠릿 제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63B2 (ja) * 1992-05-01 1995-04-0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押出機のベントアップ検出装置及び方法
JP4612582B2 (ja) * 2006-04-28 2011-01-1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ベントアップ検出機構および廃プラスチック処理方法
KR101852191B1 (ko) * 2010-07-08 2018-06-0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탈휘 압출기,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탈휘 압출 방법 및 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935566B1 (ko) * 2017-07-24 2019-01-04 주식회사 지에이치디홀딩스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드 플라스틱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938693B1 (ko) 2018-09-18 2019-01-15 성경훈 플라스틱 압출기용 가스배출장치 및 가스배출장치가 장착된 플라스틱 압출기
KR102029258B1 (ko) * 2018-02-26 2019-10-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발포 공정에서 배출되는 발포 가스 회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63B2 (ja) * 1992-05-01 1995-04-0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押出機のベントアップ検出装置及び方法
JP4612582B2 (ja) * 2006-04-28 2011-01-1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ベントアップ検出機構および廃プラスチック処理方法
KR101852191B1 (ko) * 2010-07-08 2018-06-0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탈휘 압출기,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탈휘 압출 방법 및 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935566B1 (ko) * 2017-07-24 2019-01-04 주식회사 지에이치디홀딩스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드 플라스틱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29258B1 (ko) * 2018-02-26 2019-10-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발포 공정에서 배출되는 발포 가스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1938693B1 (ko) 2018-09-18 2019-01-15 성경훈 플라스틱 압출기용 가스배출장치 및 가스배출장치가 장착된 플라스틱 압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489B1 (ko) * 2022-07-06 2023-05-26 (주)드림엔지니어링 교반 기능을 구비한 슬러지 펠릿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373B1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962B2 (en) Ice blasting apparatus and trimming method for film insert molding
JP4502805B2 (ja) スクリューを備えたポリマー処理システム
JP4571977B2 (ja)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US6387306B1 (en) Deaeration of feed materials in an extrusion process
KR102320373B1 (ko) 압출 방식을 이용한 펠릿 성형 장치
CN111745950B (zh) 三维造型装置及三维造型物的造型方法
JP2007130613A (ja) 洗浄装置
KR20200118427A (ko) 주조 주형의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KR102144991B1 (ko) 합성목재 데크 제조장치
JP2013542098A (ja) 内部空気抜き取り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およびその金型を用いて行われる空気抜き取りのためのエア抜き方法
JP2009515740A (ja) 射出成形ユニット内に添加物を投入する方法と射出成形ユニット
US11577441B2 (en) Side feeder having separate pressure regions for degassing
CN101733908A (zh) 中空品的成形装置和成形方法
KR102316839B1 (ko) Rtm 성형장치
KR101556705B1 (ko) 제빙기의 물 유출방지 구조를 구비한 얼음 배출 가이드
KR101814413B1 (ko) 사출성형기 설치형 금형 진공 및 가압 제어시스템
JP5377502B2 (ja) 組み込まれたインジェクタを備える型工具
KR101830154B1 (ko) 실링을 위한 코팅층을 구비한 사출성형용 진공 금형
JP2004050415A (ja) 射出装置
KR20170123942A (ko) 사출성형용 가압 금형
KR102181368B1 (ko) 주형 우레탄용 사출장치 및 제조방법
JP2021529247A (ja) 反応プラスチック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2417278B1 (ko) 주형 우레탄용 사출장치
KR101804550B1 (ko) 유체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사출성형장치
KR102215694B1 (ko) 고무제품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