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836A -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836A
KR20210119836A KR1020200036481A KR20200036481A KR20210119836A KR 20210119836 A KR20210119836 A KR 20210119836A KR 1020200036481 A KR1020200036481 A KR 1020200036481A KR 20200036481 A KR20200036481 A KR 20200036481A KR 20210119836 A KR20210119836 A KR 20210119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t
trademark
experts
review
com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건식
Original Assignee
최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건식 filed Critical 최건식
Priority to KR102020003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836A/ko
Publication of KR2021011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가 등록되면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여 해당 상표의 등록가능성을 검토하는 방법은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표에 대한 검토 의뢰 시, 함께 입력된 상표의 갯수 정보, 국가 정보 및 요청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를 일차적으로 배정하는 단계, 상기 일차적으로 배정된 복수의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이들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하다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전문가 중에서, 응답을 수신한 후 미리 결정된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가 모두 로그인을 수행한 것이 확인되면, 해당 복수의 전문가를 최종 전문가들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문가 중에서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능한 전문가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전문가를 대체하는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고, 상기 대체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상기 대체 전문가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전문가를 대체하는 다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REVIEWING METHOD FOR PROBABILITY OF TRADEMARK REGISTRATION AND FLATFORM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폼 내 다수의 전문가들 중에서 빠른 피드백이 가능한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고, 이들로부터 고객이 의뢰한 상표의 등록가능성 판단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공받고, 다양한 의견을 종합한 리포트를 제공하는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도 다양한 서비스가 행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법률 영역에서도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web-page)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고객이 특정 사건을 의뢰할 경우, 그에 적합한 법률 전문가를 매칭시켜주거나, 또는 온라인 상에서 법률 상담이 이루어지는 등의 서비스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 법률 서비스는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과 같은 지식재산권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사무소 또는 특허법인 등 변리업을 수행하는 업체(이하, 특허 사무소로 통칭한다.)의 홈페이지 상에서 상담이 이루어지거나, 출원을 의뢰하는 등의 서비스가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상표와 관련해서는, 다른 지적 재산권과 비해, 상대적으로 간소한 절차로 출원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서, 고객이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직접 온라인으로 출원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온라인 상표 출원 서비스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와 같은 저가형의 온라인 상표 출원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업계 내의 상표 출원의 수가는 점점 낮아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변리사 인건비를 고려할 때, 출원 전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등록가능성 검토 서비스가 간소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비대면 온라인 상표 출원 서비스의 경우, 박리다매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출원 절차보다 품이 더 드는 등록가능성 검토를 아예 생략하고 있어, 변리사가 볼때, 극복 불가한 거절이유가 예상되는 상표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매년 출원되는 문제점이 지속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통상 상표 출원 후 6개월 이후 심사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고려할 때, 해당 기간동안 브랜딩 작업까지 완료된 경우라면, 그 피해는 막심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일부 사무소의 경우, 수가를 방어하기 위하여, 모객 행위의 일환으로 자신들의 홈페이지 상에서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를 무료로 진행하고, 이에 대한 서비스 비용을 출원 비용에서 충당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서비스가 무료로 진행되다 보니, 선행등록 상표의 검색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추가 검토가 필요함에 있어서도 일단 출원을 유도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결국 이에 따른 피해는 이러한 특허 사무소들을 신뢰한 고객들이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상표의 등록가능성 판단은 상표의 식별력, 선상표와의 동일 유사 여부 등에 기초한 법적 판단으로, 전문가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전문가 입장에서도 등록가능성 판단시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등록 가능성 리포트에는 통상 등록가능성의 결과를 몇 %의 수치로 표시하고 있으나, 특허 사무소 입장에서는 면책을 위해 최대한 보수적으로 수치를 기입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의 보수적인 성향에 따라서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은 실제로 해당 수치만을 토대로 등록가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으로부터 등록가능성 검토를 의뢰받은 적어도 하나의 상표에 대하여 플랫폼 내의 다수의 전문가들 중에서 빠른 피드백이 가능한 복수의 전문가를 매칭시키고, 이들로부터 작성되는 코멘트에 사용되는 용어가 서로 통일성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고객은 다양한 검토 의견을 참고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의 판단 근거가 된 기초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은,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가 등록되면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여 해당 상표의 등록가능성을 검토하는 방법으로서,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표에 대한 검토 의뢰 시, 함께 입력된 상표의 갯수 정보, 국가 정보 및 요청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를 일차적으로 배정하는 단계, 상기 일차적으로 배정된 복수의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이들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하다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전문가 중에서, 응답을 수신한 후 미리 결정된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가 모두 로그인을 수행한 것이 확인되면, 해당 복수의 전문가를 최종 전문가들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문가 중에서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능한 전문가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전문가를 대체하는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고, 상기 대체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상기 대체 전문가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전문가를 대체하는 다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은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표에 대한 등록가능성 검토 의뢰에 대하여 플랫폼 내의 즉각 처리가 가능한 복수의 전문가와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합리적인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등록 가능성에 대한 빠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은 복수의 전문가들로부터 제공받은 상표법에 대한 해설, 출원 노하우, 등록가능성 및 전략 등의 의뢰 상표와 연관된 다양한 코멘트들을 고객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전문가들 각각의 판단의 기초자료를 서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중복된 자료를 배제하고, 용어가 서로 통일성 있게 작성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고객은 다양한 검토 의견을 참고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의 판단 근거가 된 기초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표 검토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표 검토 플랫폼 시스템의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문가 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문가 배정부가 전문가를 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사용할 용어와 관련하여, 이하, 상표에 적용되는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한 해설, 식별력 유무, 선행 상표와의 관계, 출원 노하우, 등록을 위한 전략 등 일체의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를 지칭하는 용어로, '상표 검토'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시스템)를 지칭하는 용어로 '상표 검토 플랫폼 서비스(시스템)'를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표 검토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표 검토 플랫폼 시스템의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표 검토 플랫폼 시스템(1000)은, 전문가 단말(100), 상기 전문가 단말(100)로부터 상표 검토의 코멘트가 입력되어 등록되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 및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로 상표 검토 의뢰가 등록되는 고객 단말(300)을 포함한다.
상기 전문가 단말(100) 및 상기 고객 단말(3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10)를 통해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문가 단말(100)은 국내 또는 국외에서 변리사 또는 특허 변호사와 같이 상표 업무와 관련된 자격증을 소유한 자, 국내 또는 국외의 상표업계에서 다년간 업무를 수행한 자 등(이하, '전문가'라 칭함.)이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서, 전문가가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통신 접속하여, 신규 등록 또는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로부터 고객이 의뢰한 상표 검토 의뢰를 배정받아 그에 대한 코멘트를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문가 단말(100)은 전문가가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코멘트 작성시, 검토의 기초가 되는 선행 상표 정보 등의 기초 자료를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해당 기초 자료는 동일 상표 검토 의뢰를 배정받은 다른 전문가와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객 단말(300)은 국내 또는 국외에 상표를 출원 전에 해당 국가에서의 등록가능성을 판단받고자 하는 자(이하, '고객'이라 칭함.)가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서,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통신 접속하여, 고객이 신규 등록 또는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검토받고자 하는 상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접수하고, 결제를 통해 전문가로부터 접수된 상표에 대한 등록가능성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객 단말(300)은 고객이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서 결제한 상표 검토 의뢰 및 상기 의뢰한 상표와 매칭되어 저장된 복수의 전문가의 코멘트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문가 단말(100) 및 상기 고객 단말(300)에 있어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이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 단말(100) 및 고객 단말(300)과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4G, 5G, WIFI, LTE 등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i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는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전문가 단말(100) 및 상기 고객 단말(300)과 통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전문가 및 고객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가 접수되면, 해당 검토 의뢰에 적합한 복수의 전문가에게 사건을 배정하고, 복수의 전문가로부터 배정한 상표 검토 의뢰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받으면, 이를 종합한 최종 리포트를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는 동일 상표 검토 의뢰를 배정받은 복수의 전문가 중 어느 한 전문가가 등록 가능성 판단의 기초가 되는 선행 상표 등의 기초 자료를 등록하는 경우, 다른 전문가에게 해당 기초 자료를 공유하도록 구성되어, 중복 자료의 등록을 방지하고, 해당 기초 자료에 호칭을 자동으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전문가가 코멘트를 작성함에 있어서도 사용되는 용어가 서로 통일성 있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는 사용자 관리부(210), 로그인 관리부(220), 상표 정보 관리부(230), 전문가 배정부(240), 기초자료 관리부(250), 코멘트 관리부(260), 결제부(270), 보상액 산출부(280) 및 보상 처리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는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코멘트를 제공하는 전문가 및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상표 검토를 의뢰하고, 이에 따른 최종 리포트를 제공받는 고객을 사용자으로서 등록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는 코멘트를 제공하는 전문가를 사용자로 등록받아 사용자DB(20)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전문가의 아이디, 전문가의 성명, 금융 계좌 번호(금융회사명, 예금주),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등록받고, 선택적으로, 전문가가 종사하는 특허사무소를 홍보하거나, 해당 특허사무소를 통해 출원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특허사무소명과 출원 관련 데이터를 송부받고자 하는 해당 특허사무소의 서버 또는 이메일 등의 주소를 등록받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의 경력 내지 업계 내 종사한 기간을 등록받아 관리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를 증빙하기 위한 자격증 사본 또는 건강보험득실확인서 등을 등록받아 관리할 수 있다.
전문가는 검토가능한 국가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본인이 국내 전문가인지, 국내의 국제상표 전문가인지, 또는 특정 국가의 현지 전문가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는 전문가를 국적별, 검토가능한 국가별로 풀(pool)을 형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전문가 배정부(240)가 전문가를 배정함에 있어, 이를 참조하게 하여, 고객이 상표 검토를 의뢰한 국가를 검토 가능한 전문가 풀(pool)에서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는 자신이 검토가능한 시간대, 하루에 검토가능한 의뢰건 수를 등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전문가 배정부(240)가 전문가를 배정함에 있어, 이를 참조하게 하여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결제를 통해 상표 검토 의뢰를 등록하고, 해당 상표에 대한 복수의 전문가들로부터의 코멘트를 종합한 최종 리포트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을 사용자로 등록받아 사용자DB(20)에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는 고객의 아이디,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출원을 의뢰할 경우, 추가로 출원인의 성명, 영문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을 등록받아 관리할 수 있다. 출원인은 법인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법인명, 영문명, 법인등록번호, 주소 등을 등록받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신뢰하는 전문가를 등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는 고객의 식별코드와 해당 전문가의 식별 코드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후술할 전문가 배정부(240)가 전문가를 배정함에 있어, 이를 참조하게 하여, 해당 고객이 상표 검토를 의뢰할 경우, 해당 전문가를 포함시켜 복수의 전문가에게 사건을 배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 관리부(210)가 전문가와 고객을 사용자DB(2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별도의 전문가DB와 고객DB를 통해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문가와 고객을 구분해서 서로 다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객인 동시에 전문가일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는 전문가와 고객을 구분없이 등록하고 통합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로그인 관리부(220)는, 전문가 및 고객이 각각 전문가 단말(100) 또는 고객 단말(300)을 통해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로 접속하고 로그인을 수행하면, 상기 전문가 단말(100) 또는 고객 단말(300)을 통해 접속한 자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접속한 자가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접속한 자가 전문가 또는 사용자인지 여부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전문가 단말(100) 또는 고객 단말(300)에 표시되는 페이지 또는 인터페이스를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그인 관리부(220)는 접속한 자가 전문가로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면, 해당 전문가에게 배정된 상표 검토 의뢰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전문가 페이지로 전환시거나, 당해 전문가가 등록한 코멘트에 대한 종합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접속한 자가 고객으로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면, 상표 검토 및 결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의뢰한 상표 검토에 대한 종합 리포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고객 페이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상표 정보 관리부(230)는 고객으로부터 등록되는 상표 검토 의뢰에 대한 각종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검토받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상표 및 상표 관련 정보를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등록시키면, 상기 상표 관리부(230)는, 상기 상표 각각에 대해 상표별 식별 번호 또는 코드를 부여하여 상표 DB(30)에 저장시키고, 상표 관련 정보도 함께 상표 DB(30)에 저장시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표 DB(3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텍스트형, 로고형, 조합형, 엠블렘형 등의 상표 구분에 대한 정보, 상표명, 해당 상표를 사용하고자 하는 지정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 류구분 정보 및 등록 가능성 검토를 의뢰하고자 하는 국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추가로 상표 이미지가 등록된 경우 이미지 파일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해당 상표의 검토 의뢰를 배정받는 전문가에게 제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표 DB(30) 상에 상표 각각에 대해 상표 및 상표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고객으로부터 등록되는 검토 의뢰 건별로 식별 번호 또는 코드를 부여하여 DB 상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고객이 한번에 3개의 상표에 대한 등록가능성을 검토를 의뢰한 경우, 해당 3개의 상표는 하나의 사건 식별 코드가 부여되며, 하나의 사건 식별 코드 내에 별개의 상표들로 저장 및 관리될 수도 있다.
상기 전문가 배정부(240)는 고객이 결제를 통해 상표 검토 의뢰를 등록하면, 해당 검토 의뢰에 적합한 복수의 전문가에게 사건을 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문가 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문가 배정부가 전문가를 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문가 배정부(240)는 검토 의뢰가 등록되면, 사용자 정보 및 상표 정보 및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도록 구성된 조건 배정부(241), 배정된 전문가에게 알림을 통보하고, 이에 대한 코멘트 입력 가능 여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배정 확인부(243), 코멘트 입력 가능 수신을 받은 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해당 전문가가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로그인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로그인 추적부(245) 및 상기 로그인 추적부(245)에 의한 로그인 여부에 기초하여 배정할 최종의 전문가를 확정하는 배정 확정부(247)를 포함한다.
상기 조건 배정부(241)는 결제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가 등록되면(S100), 사용자 정보 및 고객이 등록한 상표 정보 및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해당 검토 의뢰에 적합한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도록 구성된다(S110).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와 관련하여, 고객은 신뢰하는 전문가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조건 배정부(241)는 상기 사용자 관리부(21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이 등록한 신뢰하는 전문가가 포함되도록 전문가를 배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상표 검토 의뢰시 검토하고자 하는 국가를 선택하며, 추가로, 해당 국가의 상표 검토를 위한 전문가를 배정하기 위하여, 국내의 국제 상표 전문가에게 검토를 의뢰할지, 해외의 현지 전문가에게 검토를 의뢰할지를 선택하여 검토를 수행할 전문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조건 배정부(241)는 고객이 선택한 상표 정보 또는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한국과 베트남에서의 특정 상표의 등록가능성 검토를 의뢰한 경우, 한국에서의 검토 의뢰는 국내 전문가들 풀에서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고, 베트남에서의 검토 의뢰는 베트남 국가를 검토 가능한 국내의 국제 상표 전문가 또는 베트남 현지의 전문가 풀에서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양 국가를 모두 검토 가능한 전문가들을 배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국내의 국제 상표 전문가 중 일부 및 현지의 전문가 중 일부로 구성된 복수의 전문가들을 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 배정부(241)는 사용자 정보 및 의뢰 조건 등에 기초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전문가 풀을 생성하고, 해당 전문가 풀에서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전문가를 배정한다(S110).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랜덤 방식에 의하거나, 또는 전문가의 연차 또는 등급을 고려하여 고르게 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배정 확인부(243)는 상기 조건 배정부(241)가 배정한 전문가에게 배정 사실을 알리는 알림을 통보하고, 이에 대한 코멘트 입력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S120). 상기 알림은 전문가가 등록한 전화번호를 통해 문자로 통보하거나, 카카오, 라인, 채널톡 등과 같은 각종 메신저를 통해 통보할 수 있다. 전문가는 알림을 수신한 후 현재 검토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발송하도록 하며, 상기 응답으로는 해당 건에 대해서만 검토가 불가능한지, 또는 오늘 하루동안 검토가 불가능한지에 대해 선택하여 발송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문가 배정 자체의 비활성화를 신청할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배정 확인부(243)는 전문가의 응답을 기초로 복수의 전문가 중에서 해당 검토 의뢰에 대하여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한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 예를 들어, 상기 배정 확인부(243)는 전문가로부터 현재 검토가 불가능하다고 응답이 온 경우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진 제1 제한 시간동안 전문가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도 해당 전문가를 현재 검토 불가능한 전문가로 취급한다.
한편, 상기 배정 확인부(243)는 현재 검토 불가능한 전문가가 고객이 신뢰하는 전문가인 경우(S150; yes), 당해 고객에게 지정한 전문가가 현재 검토 불가능함을 알림으로 통보하고, 고객으로부터 선택의 응답을 받는다. 예를 들어, 해당 전문가가 현재 또는 오늘 하루동안 검토가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경우, 이에 대한 내용을 알림으로 통보하고, 해당 전문가를 기다릴지 아니면 다른 대체 전문가를 배정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는 해당 전문가가 전문가 배정 자체의 비활성을 신청한 경우는, 이에 대한 내용을 알림으로 통보하고,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도록 구성된다(S170). 한편, 고객이 신뢰하는 전문가가 복수이고, 그 중 하나가 현재 검토 불가능한 경우, 신뢰하는 다른 전문가를 대체 전문가로 선정하고, 알림은 생략한다.
이와 달리, 현재 검토 불가능한 전문가가 고객이 신뢰하는 전문가가 아닌 경우(S150; no), 상기 조건 배정부(241)은 해당 전문가와 동일한 풀의 다른 전문가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고, 상기 배정 확인부(243)는 대체 전문가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알림을 통보한다(S170). 이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배정 확인부(243)는 해당 대체 전문가의 응답을 기초로 대체 전문가가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S180), 불가능한 경우, 또 다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고 알림을 통보하며, 이 과정을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대체 전문가를 찾을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 로그인 추적부(245)는 전문가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하다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받은 후 미리 정해진 제2 제한 시간 내에 해당 전문가가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로그인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S140, S190). 즉, 조건 배정부(241)가 배정한 전문가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 가능 수신을 받은 경우라도, 해당 전문가에게 급한 일이 발생하여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로그인 추적부(245)는 상기 제2 제한 시간 내에 해당 전문가가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에 로그인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그인 추적부(245)를 통해 상기 제2 제한 시간 내에 해당 전문가가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S140; no), 해당 전문가를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한 전문가로 취급하여 이하, S150 내지 S180의 과정에 따라 동일하게 처리된다. 또한, 대체 전문가를 선정한 경우에도 상기 제2 제한 시간 내에 해당 대체 전문가가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S190; no), 해당 대체 전문가를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한 전문가로 취급하여, 다시 대체 전문가를 선정 및 통보를 수행하며(S170), 이하 S180 및 S190의 과정을 반복 처리한다.
상기 배정 확정부(247)은 상기 로그인 추적부(245)에 의한 로그인 여부에 기초하여 배정할 최종의 전문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S200). 즉, 상기 로그인 추적부(245)를 통해 상기 제2 제한 시간 내에 복수의 전문가가 모두 로그인을 수행한 것이 확인되면(S140; yes), 해당 전문가들을 최종의 전문가들로 확정하고, 대체 전문가를 선정한 경우에도, 해당 대체 전문가가 상기 제2 제한 시간 내에 로그인을 수행한 것이 확인되면(S190; yes), 해당 대체 전문가를 최종의 전문가로 확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표의 등록가능성을 검토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상표에 대한 등록가능성 검토 의뢰에 대하여 플랫폼 내의 즉각 처리가 가능한 복수의 전문가와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합리적인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즉각적인 등록 가능성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정 확정부(247)는 배정된 전문가들의 로그인을 확인함에 따라 최종 배정된 전문가들을 확정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배정 확정부(247)는 배정된 전문가들이 일정 시간 내에 코멘트 입력을 위한 페이지에 접속하는 등, 코멘트 입력을 위한 적극적인 행위에 기초하여 최종 전문가를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초자료 관리부(250)는 최종 배정된 전문가가 상표 검토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기초자료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초자료에는 고객이 입력한 상표 정보에 기초하여, 공개 DB에서 검색된 유사 선행 상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사 선행 상표의 검색은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200)의 관리자에 의해 수행되거나, 최종 배정된 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누적하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를 머신러닝으로 학습한 검색 모델에 기초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관리자 또는 인공지능에 의한 유사 상표 검색 결과는 리스트로 제공되고, 전문가는 이들 중 코멘트 작성에 필요한 것만을 등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기초자료 관리부(250)는, 유사 선행 상표의 검색 결과에서 전문가 각각이 등록한 코멘트 작성 시에 기초가 되는 특정 유사 선행 상표를 기초자료DB(40)에 저장시키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초자료 관리부(250)는 전문가들에 의해 유사 선행 상표가 등록되면, 해당 유사 선행 상표를 지칭하는 명칭을 순차적으로 부여한 후, 다른 전문가들도 해당 유사 선행 상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유사 선행 상표를 지칭하는 명칭은 순차적으로 '선행 상표 1', '선행 상표 2'와 같은 식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문가의 의한 최종 리포트를 제공함에 있어서, 중복된 자료를 배제하고, 서로 사용하는 명칭을 통일성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고객은 다양한 검토 의견을 참고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의 판단 근거가 된 기초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 A 내지 C가 최종 배정된 후, 코멘트를 작성함에 있어, 전문가 A는 유사 선행 상표 A에 기초하고, 전문가 B는 유사 선행 상표 A, B에 기초하고, 전문가 C는 유사 선행 상표 B에 기초하여, 이들이 해당 유사 선행 상표를 순차적으로 등록한다고 했을 때, 전문가 A가 유사 선행 상표 A를 등록하면, 해당 상표는 '선행 상표 1'로 명칭이 부여된 후, 전문가 B 및 C에게 공유된다. 이에 전문가 B는 선행 상표 1을 인지한 후, 유사 선행 상표 B만을 등록하여, 선행 상표 2의 명칭을 부여받고, 전문가 C는 선행 상표 2를 인지한 후, 등록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 A 내지 C가 부여된 통일된 선행 상표의 명칭을 사용하여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고, 고객은 최종 결과물의 전체에 있어서 판단 근거가 된 기초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전문가가 동시에 선행 상표를 등록을 한 경우라도, 파일명 또는 이미지 유사도에 따라 동일한 선행 상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명칭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등록된 선행 유사 선행 상표는 명칭과 함께 전문가의 코멘트 입력 창의 화면 상 일정 영역 예를 들면, 상측 또는 우측에서 실시간으로 공유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전문가들도 코멘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선행 상표가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자신의 코멘트를 보강하거나 또는 변경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초 자료에는 고객이 참고할만한 기타 선행 상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유사 선행 상표와 동일한 방식으로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상표 검색이 전문가 각각에 의해 수행된 경우에는, 기초 자료로서 상표 검색을 위해 사용한 검색 엔진명 및 검색식도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이 정보는 기초자료DB(40)에는 저장되나, 전문가 간에는 공유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동일한 구분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표의 검색식 이력과 함게 머신러닝으로 검색식 모델을 학습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코멘트 관리부(260)는 전문가로부터 상표 검토의 코멘트가 입력되면, 당해 상표와 매칭하여 입력된 각각의 코멘트들을 누적하여 코멘트DB(50)에 저장시킨다. 예를 들어, 전문가로부터 입력되는 코멘트는 식별력 유무, 선행 상표와의 유사한지 여부, 최종 판단 및 등록가능성 수치 등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멘트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코멘트 창에는 식별력 유무와 선행 상표와 유사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체크 박스를 두고,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등록가능성 수치의 경우는, 예를 들어 거절이유 없이 등록되는 경우, 거절이유는 통보될 수 있으나 극복가능한 경우, 거절이유가 통보되며 극복 불가한 경우 등으로 수치의 구간을 나누고, 이를 기준으로 수치를 기입하도록 하여전문가에게 통일된 기준을 제시하도록 한다.
상기 코멘트 관리부(260)는 입력된 코멘트의 갯수를 카운팅하거나, 또는 검토 의뢰가 배정된 전문가가 코멘트를 등록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최종 배정된 전문가가 로그인한 후 미리 결정된 제3 제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코멘트를 등록하지 않는 경우, 해당 전문가에게 알림으로 통보가 나가고, 이 후 미응답 또는 처리 불능이라는 수신을 통해 해당 전문가가 코멘트 작성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전문가 배정부(240)를 통해 이를 대체할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도록 구성된다. 모든 전문가로부터 코멘트가 입력되면, 상기 코멘트 관리부(260)는 복수의 코멘트를 종합하여, 최종 리포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최종 리포트는 각 항목별로 복수의 전문가가 입력한 체크 박스에 기초하여, 전문가의 의견 결과를 구분하여 한 화면에 표시하고, 상세로서 고객이 각각의 코멘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력 유무 항목의 경우, 식별력이 있다고 판단한 전문가와 식별력이 없다고 판단한 전문가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각 전문가의 상세 코멘트를 고객이 클릭시에 노출하는 방식으로 최종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등록가능성 수치의 경우는 전문가들이 각각 평가한 수치를 표시함과 함께, 평균 수치를 함께 표시하거나, 이와 달리, 전문가들의 연차에 가중치를 두거나, 또는 고객으로부터 평가받은 누적된 수치인 신뢰도 또는 실제 출원 후 추적된 결과에 따른 정확도에 가중치 두어 수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부(270)는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에 대한 결제의 요청이 있으면, 결제 대행사의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제 대행사 서버는, 예를 들어, 카드사, 휴대폰 폰빌 등의 서버 또는 별도 제휴한 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다. 고객은 상기 결제부(270)를 통해, 상표 검토 의뢰별로 결제를 할 수 있으며, 또는 상표 검토에 이어, 출원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해서도 일괄하여 결제를 할 수도 있다. 또는, 고객이 상표 검토 플랫폼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포인트를 선결제하고,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포인트를 소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부(270)는, 결제 대행사와 제휴하여 고객 단말(300)로부터의 인증 또는 결제 요청이 있을 때, 결제 대행사의 서버와 연동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에이피아이 등을 통하여 인증 또는 결제 정보를 결제 대행사의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 대행사의 서버에서 인증 및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및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해당 결제 대행사 서버에 고객식별번호(ID), 문제의 식별코드, 결제 금액, 결제 시간 등의 인증 또는 결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결제부(270)는 이러한 인증과 결제 성공 신호를 받아, 사용자DB(20) 또는 별도의 결제 DB에 동일한 정보를 저장시킨다.
상기 결제부(270)는 결제 대행사 서버로부터 결제 성공 신호를 받으면, 상기 전문가 배정부(240)로 전달하고, 상기 전문가 배정부(240)는 결제를 한 고객이 의뢰한 상표 검토를 수행할 전문가를 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상액 산출부(280)는, 상기 코멘트 관리부(260)가 전문가로부터 코멘트의 등록을 수신하면, 해당 코멘트를 등록한 전문가에게 제공할 보상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보상 예정 금액을 전문가별로 누적하여 저장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보상액 산출부(280)는, 상기 코멘트 관리부(260)로부터 수신된 코멘트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검토 의뢰별로 보상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기준일까지 전문가가 코멘트를 등록한 전체의 검토 의뢰들에 대한 보상 예정 금액을 합산하여 전문가별로 제공할 보상액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토 의뢰별 보상 예정 금액은, 검토 국가에 따른 코멘트의 기초 금액, 검토한 상표의 수 및 보상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 들을 서로 곱하여 다음과 같이 검토 의뢰별 보상 예정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검토 의뢰별 보상 예정 금액 = 검토 국가에 따른 코멘트의 기초 금액 × 검토한 상표의 수 × 보상율
여기서, 검토 국가에 따른 코멘트의 기초 금액은 당해 국가에서의 선행 상표의 검색 난이도 또는 각 국가에서 기본 수가를 고려한 금액으로서, 예를 들어, 해당 국가의 선행 상표 자료와 관련하여, 온라인으로 접속가능한 공개 DB가 있는지 여부, 검토에 있어 고려할 사항의 갯수, 현지 전문가의 기본 수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토한 상표의 수는 검토 의뢰에 있어서 복수의 상표에 대한 등록가능성 검토를 의뢰한 경우를 고려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상율은 당해 코멘트를 제공한 전문가의 등급 또는 신뢰도 등이 고려된 일정 범위 내에서 산정되는 인자이다. 예를 들어, 전문가의 등급은, 현재까지 당해 전문가가 코멘트를 등록한 모든 검토 의뢰의 갯수, 전문가의 신뢰도, 연차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보상액 산출부(280)는, 당해 기준일까지의 검토 의뢰별로 보상 예정 금액을 산출한 후, 당해 전문가가 코멘트를 제공한 모든 검토 의뢰에 대한 보상 예정 금액을 합산하여 당해 전문가별로 각각 누적하여 보상액을 산출하고,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보상액 산출부(280)는 최종 보상액을 산출함에 있어, 검토 의뢰별 보상 예정 금액을 합산하는거 이외에, 전문가가 검토 시에 등록한 선행 상표 자료의 갯수 또는 등록한 검색식의 갯수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보상도 더 합산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처리부(290)는, 보상액 산출에 있어서의 기준일이 경과한 이후, 전문가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정기적인 지급시기가 도래하면, 전문가별로 누적된 대가인 보상액에 대해 현금 보상 또는 이에 대응하는 보상 포인트를 해당 전문가에게 제공하고, 그에 대한 기록을 사용자DB(20) 또는 별도의 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문가는 현금 보상을 제공받을지 또는 이에 대응되는 보상 포인트를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전문가가 현금 보상을 택한 경우에도, 보상액이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에만 현금 보상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전 회차의 기준일로부터 금회차의 기준일까지 일정 금액 이하의 보상액이 누적된 경우, 전문가는 금회차의 지급시기에는 선택에 의해 이에 대응하는 보상 포인트를 제공받거나 또는 다음 회차의 지급시기로 누적된 보상액을 이월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금 보상은 증여, 또는 기부 등의 출연 절차를 통해 수행되며, 전문가로부터 고객등록시 입력받은 금융 계좌로 제공되고, 전문가에게 현금 보상을 실행한 후에 관리자는 관할 세무서에 세무신고를 수행한다. 여기서, 증여는 출연을 포함하며, 기부는 기증 또는 기탁을 포함한다. 즉, 상기 보상 처리부(290)는 전문가별로 금회차의 지급시기에 현금 보상을 실행할 경우, 금회차의 기준일까지 확정된 보상액을, 출연 절차에 의해 사전에 등록된 전문가들의 금융 계좌에 이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상 포인트는 각종 마일리지 또는 전자 상거래에서 이용되는 포인트 등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현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상표 검토 플랫폼 시스템 10: 네트워크
20: 사용자DB 30: 상표DB
40: 기초자료DB 50: 코멘트DB
100: 전문가 단말 200: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
210: 사용자 관리부 220: 로그인 관리부
230: 상표 정보 관리부 240: 전문가 배정부
250: 기초자료 관리부 260: 코멘트 관리부
270: 결제부 280: 보상액 산출부
290: 보상 처리부 300: 고객 단말

Claims (11)

  1.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가 등록되면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여 해당 상표의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으로서,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표에 대한 검토 의뢰 시, 함께 입력된 상표의 갯수 정보, 국가 정보 및 요청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를 일차적으로 배정하는 단계;
    상기 일차적으로 배정된 복수의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이들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하다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전문가 중에서, 응답을 수신한 후 미리 결정된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가 모두 로그인을 수행한 것이 확인되면, 해당 복수의 전문가를 최종 전문가들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문가 중에서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능한 전문가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전문가를 대체하는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고,
    상기 대체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상기 대체 전문가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전문가를 대체하는 다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의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전문가 또는 대체 전문가에게 알림을 통보한 후, 미리 결정된 제2 제한 시간 내에 해당 전문가로부터 알림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부정의 응답을 수신한 경우, 해당 전문가의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의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문가들 중에서,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한 후 미리 결정된 제3 제한 시간 내에 코멘트 등록을 수행하지 않는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제한 시간 내에 코멘트 등록을 수행하지 않는 전문가가 확인되면, 해당 전문가에게 일정 시간이 경과했음을 알리는 알림을 통보하고,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수신하여,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문가를 대체하는 또 다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의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문가들 중 한 전문가로부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해당 상표 검토 의뢰에 대한 코멘트 작성에 기초가 되는 기초자료가 등록되면, 상기 기초자료의 성격에 따라 명칭을 부여하고, 해당 명칭과 함께 상기 기초자료를 다른 전문가에게 노출시켜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의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자료의 명칭은, 기 등록된 기초자료와 동일한 기초자료가 아니라는 판단 후, 최종 전문가들이 등록하는 순서대로 각각의 기초자료에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의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6.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가 등록되면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여 해당 상표의 등록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표에 대한 검토 의뢰 시, 함께 입력된 상표의 갯수 정보, 국가 정보 및 요청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를 일차적으로 배정하는 조건 배정부;
    상기 조건 배정부에 의해 일차적으로 배정된 복수의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이들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배정 확인부;
    상기 배정 확인부에서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전문가 중에서, 응답을 수신한 후 미리 결정된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로그인 추적부;
    상기 로그인 추적부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가 모두 로그인을 수행한 것이 확인되면, 해당 복수의 전문가를 최종 전문가들로 확정하는 배정 확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정 확인부에서 복수의 전문가 중에서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능한 전문가가 있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로그인 추적부에서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조건 배정부에서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전문가를 대체하는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고,
    상기 배정 확인부에 의해 상기 대체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상기 대체 전문가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로그인 추적부에 의해 상기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상기 조건 배정부에서 상기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전문가를 대체하는 다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
  7. 제6 항에 있어서,
    전문가 또는 대체 전문가에게 알림을 통보한 후, 미리 결정된 제2 제한 시간 내에 해당 전문가로부터 알림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부정의 응답을 수신한 경우, 해당 전문가의 현재 코멘트 입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문가들 중에서,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한 후 미리 결정된 제3 제한 시간 내에 코멘트 등록을 수행하지 않는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코멘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멘트 관리부에 의해 코멘트 등록을 수행하지 않는 전문가가 확인되면, 상기 배정 확인부에 의해 해당 전문가에게 일정 시간이 경과했음을 알리는 알림을 통보하고,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수신하여,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건 배정부는 해당 전문가를 대체하는 또 다른 대체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문가들 중 한 전문가로부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해당 상표 검토 의뢰에 대한 코멘트 작성에 기초가 되는 기초자료가 등록되면, 상기 기초자료의 성격에 따라 명칭을 부여하고, 해당 명칭과 함께 상기 기초자료를 다른 전문가에게 노출시켜 공유하는 기초자료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자료 관리부는 기 등록된 기초자료와 동일한 기초자료가 아니라는 판단 후, 최종 전문가들이 등록하는 순서대로 각각의 기초자료에 순차적으로 명칭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
  11. 고객으로부터 상표 검토 의뢰가 등록되면 복수의 전문가를 배정하여 해당 상표의 등록가능성을 검토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표에 대한 검토 의뢰 시, 함께 입력된 상표의 갯수 정보, 국가 정보 및 요청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의뢰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를 일차적으로 배정하는 조건 배정부, 상기 조건 배정부에 의해 일차적으로 배정된 복수의 전문가에게 해당 상표 검토 의뢰가 배정되었다는 알림을 통보하고, 이들로부터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배정 확인부, 상기 배정 확인부에서 긍정의 응답을 수신한 현재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전문가 중에서, 응답을 수신한 후 미리 결정된 제1 제한 시간 내에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하지 않은 전문가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로그인 추적부, 및 상기 로그인 추적부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복수의 전문가가 모두 로그인을 수행한 것이 확인되면, 해당 복수의 전문가를 최종 전문가들로 확정하는 배정 확정부를 포함하는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통신 접속하여,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로부터 고객이 의뢰한 상표 검토 의뢰를 배정받아 그에 대한 코멘트를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등록하도록 구성된 전문가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표 검토 플랫폼 서버에 통신 접속하여, 검토받고자 하는 상표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의뢰 조건을 입력하여 검토 의뢰를 접수하고, 결제를 통해 전문가로부터 해당 검토 의뢰에 대한 코멘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고객 단말을 포함하는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036481A 2020-03-25 2020-03-25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KR20210119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481A KR20210119836A (ko) 2020-03-25 2020-03-25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481A KR20210119836A (ko) 2020-03-25 2020-03-25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36A true KR20210119836A (ko) 2021-10-06

Family

ID=7807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481A KR20210119836A (ko) 2020-03-25 2020-03-25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8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19347A (zh) * 2022-10-19 2023-01-17 江苏才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专利管理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19347A (zh) * 2022-10-19 2023-01-17 江苏才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专利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820B2 (ja) 人材プラットフォーム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00342462A1 (en) Multi-level Clustering
US64570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erral management
US20200118215A1 (en) Dynamic pricing of insurance policies for shared goods
US20100312615A1 (en) Multi-Vendor Registration and Rewards System
AU20212020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expenses and billing
KR101932202B1 (ko) 역경매 방식의 온라인 청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10580587A (zh) 一种房地产案场购房客户归属管理系统、方法
KR102321484B1 (ko) 문제 해결 시스템 및 문제 해결 방법
Rogowski An economic theory of the fourth hurdle
US20080300940A1 (en) Capturing Consumer Requirements
KR101589290B1 (ko) 공동도급 온라인 협약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77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referrals
TWI716692B (zh) 產物保險的整合式線上服務方法
US20140351115A1 (en) Loan compliance system
KR20210119836A (ko) 상표 등록가능성 검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TWI662506B (zh) 基於預測問題之客服分配方法
CN115470512A (zh) 针对隐私计算进行多方算法协商的方法、装置及系统
Cortes Using technology and ADR methods to enhance access to justice
JP2006221449A (ja) 契約管理装置
Hendricks et al. Can a mobile credit-scoring model provide better accessibility to South African citizens requiring micro-lending?
CN109242705A (zh) 基于联盟委员链的业务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7308382B2 (ja) 人材紹介業者間のアライアンスサポートシステム
KR20200069724A (ko) 그룹헤드헌팅 및 기업소개가 가능한 헤드헌팅중개서비스 방법
KR101886352B1 (ko) 사업 프로젝트 동업 중개 및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