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353A -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353A
KR20210119353A KR1020210125404A KR20210125404A KR20210119353A KR 20210119353 A KR20210119353 A KR 20210119353A KR 1020210125404 A KR1020210125404 A KR 1020210125404A KR 20210125404 A KR20210125404 A KR 20210125404A KR 20210119353 A KR20210119353 A KR 20210119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eport
safety
construction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996B1 (ko
Inventor
양경옥
Original Assignee
양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옥 filed Critical 양경옥
Priority to KR102021012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9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매일 작성되는 모든 공종별 작업일보의 내용을 제어부가 분석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생성한 후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하여 선후행작업의 준비상태를 파악하여 재해발생의 위험성을 산출하여 예방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재해 예방 방법은,
공사관계자들이 각각의 작업에 대하여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내적 및 외적 사항을 규정하고 선행 병행 후행 작업과의 관계를 판단하여 안전기준을 설정하는 제1단계 ;
각 협력사가 공사를 진행하면서 자신의 작업일보를 작성하는 제2단계 ;
제어부가 작업일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작업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정보 생성의 제3단계 ;
제어부가 상기 제2단계 또는 3단계의 작업정보가 상기 제1단계의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여 작업별 위험성을 평가하는 제4단계 ; 및
상기단계 비교결과, 안전기준을 초과하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는 제5단계 ;
로 이루어져 각 협력사가 작업일보를 작성하면 작업별 위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므로써 재해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Information Generation by Reading Daily Job-site Work Reports in Construction and Industrial Project}
본 발명은 건설 및 산업건설 현장에서 공사중 발생하는 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설 토목 건축 전기 설비의 다수의 협력사가 매일 작성하는 작업일보상의 대량의 공사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현장의 모든 작업에 대하여 병행작업과 선행작업이 완료되지 않거나 후행작업이 뒤따라 오지 못하는 경우에서의 위험을 분석하여 사전에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OECD 산업재해는 10만 명당 사망자수가 3.0명, 한국은 7.0명으로서 OECD의 2배 수준이다(중앙일보 2017.08.28).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년도 산업재해 발생현황을 보면, 전체 산업재해자 수는 9만 656명으로 시간당 10명 이상의 재해자가 발생하는 셈이다. 그중 건설재해자 수는 전 산업 대비 29.3%나 되었고, 총 사망재해자 수는 1,777명으로 5시간마다 1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건설사망자 수는 전 산업 대비 31.2%나 된다.
2016년 사고재해 사망자 수는 전 산업 969명이었고 그중 건설업 사고재해 사망자 수는 499명으로, 전 산업 대비 51.5%나 되었다(건설경제 2017.05.25).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공사중 발생하는 재해 예방을 위하여 근로자 안전교육, 작업 착수전에 위험을 평가하는 제도시행, 관련 제도 개선, 시설 및 인적투자의 확대, 벌점 및 처벌강화 등의 노력이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해가 감소하지 않은 원인은 다음과 같은 원인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건설기술의 발달로 하늘위로 높이 올라가는 고층 빌딩과 고층 아파트 공사가 많아 졌고, 수평적으로 넓게 퍼지는 대형 쇼핑몰과 대규모 공장 컴플렉스와 함께 지하 깊이 파고 들어가는 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작업자수가 하루에 수천 명까지 출역하여 수직 수평으로 많은 공간에 분산되어 작업하고, 수십 또는 백개 이상의 가설 건축 전기 설비의 작업이 상호간에 복잡하게 진행되어 시공사의 작업관리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안전관리자의 인원을 확충하는데 한계가 있다.
안전을 관리해야 할 대상이 방대해지고 복잡해지는 반면 인력에 의한 전통적인 관리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력 위주의 안전 관리는 관리자가 공사 경험이 부족한 경우, 특정 공간에 안전상의 문제가 있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착각, 안전 시설물을 무단 해체 또는 이동하는 것, 선후행 공종간에 소통이 안이루지는 것, 금지 구역을 작업자가 모르게 들어가는 것, 안전시설물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것 등이 있다.
다음은 안전전문가의 기고이다.
안전 관련 전문가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재해의 4원칙 중 원인연계의 원칙이 있다. 모든 재해는 그 발생 원인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건설재해 중 가장 억울한 것은 재해자는 아무리 안전작업 절차를 준수하여 작업을 하였더라도 선행 공정에서 잘못된 작업조건을 만들어 둔 상태이면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은 건설재해 대부분의 경우에서 발생하고 있다(건설경제 2017.05.25).
위와 같은 종래의 안전관리 방식은 한정된 인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방대하고 복잡한 작업이나 안전시설이나 장비 및 작업자를 관리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
안전관리 관련 문서로서 위험성평가서,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야간작업허가서, 작업일보 등이 있다.
먼저 위험성평가서의 경우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공사초기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또는 안전관리계획서, 시공계획서를 작성할 때에 초기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해당 작업전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위험성평가서를 작성하며 자재반입부터 시공 자재반출까지 작업을 세부단위로 구분하여 공정표를 작성한다.
단위작업이 구분되면 작업에 대해 위험요소(인적요인, 기계적요인, 전기적요인, 재료적요인, 작업특성 요인, 작업환경요인 등)를 파악한다. 파악된 위험요인에 대한 현장에서 조치 가능한 안전대책 수립하여 작성자와 공사담당자, 안전관리자 등 검토 등 위험성을 결정한다.
해당공종 시작 전주에 집계를 하여 위험성평가회의(작성협력업체, 시공사 공사 및 안전 직원, 현장소장 참석)를 실시한다. 선정된 위험요인에 대한 안전대책을 언제 누가 조치하고 확인하는지 결정하고 작업실시 전일까지 전달교육을 실시한다.
한편 위험성 평가서는 중요하며 위험등급이 높은 작업을 위주로 하여 전체 작업중 일부를 평가하며 협력사의 개인적인 능력에 따라 평가 내용이 작성되고 있다.
따라서 위험성 평가서는 전체 작업을 대상으로 하지 않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작업이 있다. 특히 인테리어 등 마감공사 기간중에는 수많은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위험성 평가서 작성과 평가 회의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요한 작업만 선별하여 관리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평가의 내용이 협력사의 작성자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면이 크다.
평가 대상작업의 현황을 날짜별로 시계열상에서 종합적으로 알기 어렵고 특정작업에 대하여 선후관계를 갖는 병행작업 선행작업 후행작업으로 종합적으로 기술하기 곤란하다. 수십 개의 협력사 중 소수인원이 출역하는 사무실이나 컴퓨터가 없는 공종의 경우 평가서 작성이 어려운 면도 있다.
또 다른 안전관리 업무로서 작업일보 작성이 있다.
작업일보는 공사에 참여하는 가설 토목, 건축, 전기, 설비 등 수십 또는 수백 개의 각 협력사가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한 공사 기록이다. 작업일보는 전일에 실시한 작업과 금일하는 작업의 내용을 포함하며 출역인원 장비대수 등도 추가로 기술된다.
작업일보를 작성하는 목적은 어떤 협력사가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는가를 간단하게 알기 위함이다.
작업일보는 전일 작업을 기술한 텍스트 문장을 복사하여 금일작업으로 붙여넣기 한 후 수정 추가하여 사용하므로 작성에 시간과 노력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고 현장의 PMIS나 워드프로세서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협력사들이 작성하고 있다.
작업일보는 한편 벽의 타일 모자이크처럼 내용이 조각으로 일자별로 분산되어 있어 전체 진행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협력사별로 1페이지씩 작성하므로 마감 및 인테리어 공사 기간중에는 수십 페이지 이상이 되어 내용이 방대하여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기 어렵다.
작업일보는 각 협력사가 자신이 금일 어디서 무슨 작업을 몇 명이서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서술한 것이므로 안전관리를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다.
종래에는 주요한 작업을 위주로 위험성을 평가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현장내의 모든 작업을 대상으로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수조사 개념을 도입한다. 안전재해는 주요한 작업 뿐만 아니라 경미한 작업에서도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특정 공간에서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문제위주로 재해 원인을 파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분석 방법이외에도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작업과 후행작업의 인과관계를 시계열상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종래의 개인의 경험 및 능력 위주의 안전관리로부터 미리 다수 전문가들이 검증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안전 기준으로부터 정량적이고 즉시적으로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협력사가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장비 가설재 등의 위험성을 평가한다.
같은 작업공간에서 위험한 다른 병행 작업이 무엇인지 규정한다.
선행작업이 미치는 영향, 후행작업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선후행 작업이 어떤 상태이어야 지금 작업이 안전한지를 시계열상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특정 작업이 위험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데이터 기준 법령 규정 사례 전문가 의견 등을 통해 위험성 평가 기준을 설정한다.
안전 시설물에 관한 기준(높이, 강도, 크기, 설치시점, 존치기간, 해체시점), 작업조건에 관한 기준(온도, 습도, 바람, 유독가스, 조명, 감전, 압력 등 건축 가설 전기 설비 작업조건), 선행작업의 일정차이(선행작업이 완료되지 않으면 안되는 조건), 후행작업과의 일정차이(후행작업이 뒤따라 오지 않으면 않되는 조건)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료는 공종별 작업별로 분류하여 DB화한다.
작업정보의 수집방법은 별도의 추가적인 노력이나 제도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종래부터 해오는 작업일보를 활용한다.
작업일보는 모든 협력사가 매일 매일 작업내용을 기록한 것이므로 현장의 거의 모든 작업이 포함되어 있고 공무가 정확하게 작성한 자료이므로 신빙성이 높고 내용이 충실하다.
공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보다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작업일보로부터 일자별로 분산된 특정작업의 내용을 한곳에 모아 날짜별로 생성한다. 내용은 작업의 위치, 작업내용, 작업자수, 진도율 등이다.
위험성 평가는 제어부가 작업일보로부터 분석된 내용과 안전기준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작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위험도가 높거나 주요한 작업에 한하여 위험성을 평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진행되는 거의 모든 작업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 모든 작업에 대한 전수조사를 할 수 있다.
기존의 안전관리 활동이외에 추가적으로 인력, 노력, 시간, 제도, 시스템을 투입하지 않고도 종래에 해오던 작업일보를 작성하는 것만으로도 위험을 체계적이고 즉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위험성평가가 평가자 개인의 역량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주관적인 면이 강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가 집단의 의견, 법령, 법규, 안전기준, 사례 등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안전 기준을 사전에 작성하므로 위험성 평가가 정밀화된다.
종래에는 작업일보가 작업현황을 파악하거나 기록을 남기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일보가 가지고 있는 가장 하위레벨의 작업내용과 인원 및 장비 정보를 활용하여 현장의 현황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종래에는 주요한 일부 작업을 위주로 시작 완료 진행현황을 관리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현장의 모든 작업에 대하여 일자별 공사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일보가 일자별로 작성되어 특정작업의 준비와 시작과 끝을 알기 위해서는 일자별로 특정작업의 내용을 일일이 읽고 정리해야 했다. 그러나 그 내용이 방대하고 인원 시간 노력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종합적으로 정리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자별 작업내용을 제어부가 읽고 종합적으로 합성하므로 신속 정확하게 작업정보를 시계열상에서 합성한다.
특정 층 또는 위치, 공간에 몇명이 작업하는지와 함게 그 공간이 어느 정도의 위험도를 갖는지를 동시에 알 수 있다. 따라서 위험하면서 작업자가 많은 공간을 순서대로 알 수 있어 집중관리를 통해 재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특정작업을 위험하게 하는 선행작업 또는 후행작업을 분석하기 어려웠고 분석하는 경우에도 분석자가 수작업으로 분석함으로서 시간과 노력이 크게 소요되었고 내용도 주관적인 면이 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작업과 관련된 선행 또는 후행작업이 상태에 현재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작업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특정작업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다른 공종, 선후행작업, 상하좌우 작업)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진행되는 작업을 전수 조사한다. 분산되고 조각된 정보를 합성하여 작업에 대한 일자별 정보를 완성한다. 모든 작업의 이력을 알 수 있으므로 종합적 판단이 가능해진다. 작업의 현재 상태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객관적인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작업과 연관있는 선행작업과 후행작업의 상태를 파악하여 작업이 현재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미리 작성된 절차와 기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되고 정리되고 합성되고 평가되어 현장에서 진행되는 모든 작업에 대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전사고 및 재해가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안전정보 서버, 단말기 구성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의 추가적인 기능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작업일보 양식.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공사와 협력사간의 안전정보 업무 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작업에 대한 안전기준을 설정한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를 나타낸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피복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를 나타낸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배관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를 나타낸 예.
도 10은 각각의 작업일보를 한곳에 모아 출력한 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의 내용을 특정작업에 대하여 일자별로 정리한 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피복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의 내용을 특정작업에 대하여 일자별로 정리한 예.
도 13은 도 11과 도 12로부터 위험성 평가를 한 결과를 나타낸 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안전정보 서버(20), 단말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서버(20)는 안전정보를 입력받고 판단하고 단말기(10)로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단말기(10)는 작업일보나 안전정보를 입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정보 서버(20)의 기능 구성은 제어부(21),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 및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1)는 안전정보 서버(20) 안전과 관련된 기준을 안전기준 데이터 베이스(22)에 저장하고, 작업일보를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를 저장한다. 그리고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작업내용을 읽고 특정작업의 일자별 작업내용을 생성한 후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이후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후 결과자료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는 특정작업에 대한 안전기준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작업명은 정화조 청소이며 안전기준 및 수칙은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과 환기를 실시하고 공기호흡기 또는 산소마스크 착용 등이다.
황화수소는 그 농도가 20~30ppm이 되면 후각신경세포가 피로하게 되며, 그 이상의 농도로 증가되더라도 느끼지 못하게 된다. 100~200ppm의 농도로 되면 후각신경이 마비, 황화수소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되며 보다 높은 농도의 황화수소에 대한 경계도 저하됨으로써 위험으로부터 탈출할 기회를 잃게 된다. 황화수소의 농도가 700ppm을 초과할 경우 혈액 중 산화능력을 초과, 신경세포를 공격하여 신경독성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는 또한 특정작업에 대한 선행작업의 조건 또는 후행작업의 조건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특정설비 공종의 작업에 있어서 선행작업에서 밸브를 잠갔는지 여부가 중요한 경우이다. 밸브를 일시적으로 열고 닫지 않은 경우 후속공종에서 작업을 진행시 폭발이나 배관이 터지는 경우이다.
후행작업의 조건으로는 특정작업이 화재위험성이 높은 재료를 단열재를 뿜칠하는 경우 도장재료를 감싸는 내화재료 도포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후행작업이 착수되지 않거나 늦게 뒤따라오는 경우 단열재 도장이 크게 노출되어 화재 위험이 높아진다. 현재 작업인 단열재 뿜칠과 후행작업인 내화재료 도포 작업간의 일정차이 또는 공정율 차이 등을 설정한다. 이러한 차이는 층수, 면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현장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는 가설 토목 건축 전기 설비 기타 등 공종별 협력사들이 작성한 작업일보를 저장한다. 작업일보는 엑셀파일 아래한글파일 워드파일 PMIS의 웹페이지에서 작성되고 있다. 상기 작업일보는 위험성평가서와 기타 작업내용이 기술되는 문서를 포함한다. 작업일보는 종래에 작성하는 작업일보를 사용한다.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는 제어부(21)가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특정작업에 대하여 일자별 작업내용을 읽고 시계열상에서 정리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지하4층 화재가 나기 쉬운 재료인 단열뿜칠 작업을 A작업이라고 명칭한다. 작업일보상에 10월 1일 A작업 준비, 10월 2일 A작업 시작(작업자 3명), 10월 3일 A작업 진행중(진도 20%, 4명), 10월 4일 A작업 진행중(진도 50%, 5명), 10월 5일 A작업 진행중(75%, 5명)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작업일보를 제어부(21)는 읽고 작업 A가 언제 착수했는지 현재 진도가 얼마인지를 정리하여 종합적인 작업정보를 한 곳에 모아 생성한 후 체계적으로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작업일보가 일자별로 많은 작업을 나열식으로 기술하는 상태에서 특정작업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한곳에 모아 작업이 언제 시작해서 어떻게 진행되는 지를 생성한다.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는 제어부(21)가 분석한 위험성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는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로부터 작업 A가 현재 평가시점에 지하 4층 천정에 단열뿜칠을 하고 있으며 전체 면적의 75%를 뿌렸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선행작업 조건, 후행작업 조건이 있는지를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읽는다. 후행작업조건으로서 내화재료 도포 작업(작업 B)은 작업 A가 착수한 날로부터 2일이내에 착수하여야 한다.
또는 작업 A와 작업 B의 공정율 차이가 30%를 넘으면 화재 위험도 중간, 60%를 넘으면 화재 위험도 매우 높음으로 판단한다. 또한 같은 층이나 실에 전기용접이나 가스용접 작업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있다면 화재위험이 높다고 평가한다. 위와 같이 분석된 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의 추가적인 기능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의 작업분류체계(221), 작업목록(222), 안전기준(223), 안전대책 및 조치방법(224) 정보를 저장한다.
작업분류체계(221)는 가설공사, 토공사, 건축공사, 전기공사, 설비공사, 기타를 대공종으로 하고 중공종 소공종으로 분류한 Work Breakdown Structure(WBS)이다. 이 작업분류체계는 코드와 명칭을 가지고 있으며 종래에 업계에서 작성되어 사용중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 공사에 따라 일부 항목은 없거나 추가되는 경우가 있다. 호텔공사와 오피스 공사 아파트 공사 공장 등은 작업분류체계의 공종구성이 다를 수 있다. 작업분류체계(221)는 내역분류체계(Cost Breakdown Structure(CBS))와 유사하지만 공사 작업을 분류하기 위한 체계이다.
작업목록(222)은 작업분류체계(221)를 기반으로 작업을 층별 실별 라인별로 분할한 리스트이다. RC공사는 층 단위로 진행되므로 철근콘크리트 공사(303) 분류체계로부터 지하 5층, 지하 4층 ~ 지상 50층과 같이 층별 존별로 분할한다.
또한 작업목록은 그 하부에 세부작업(Task)으로 구성된다. 10층 RC공사는 기둥철근 기둥형틀 슬라브거푸집 슬라브철근 콘크리트 전기 설비 작업등으로 구성된다.
안전기준(223)은 특정작업의 안전기준을 저장한다. 해당작업 자체의 안전기준과 선행작업, 후행작업, 상하좌우 공간적 작업에 관한 기준에 관한 내용을 저장한다.
안전대책 및 조치방법(224)은 특정작업의 위험성이 평가되는 경우 어떻게 조치하는 방법이 있는지, 관련 규정이나 정량적인 수치, 타 현장 사례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 정보는 사용자들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문적인 해결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된다.
도 4는 종래의 작업일보 양식이다. 도 4는 엑셀파일이며 금일작업내용(231)란에는 작업내용을 기술하고 명일작업내용(232)란에는 내일 할 작업을 기술한다. 작업은 일반적으로 며칠씩 진행되므로 금일작업을 작성한 후 복사하여 명일작업에 붙여넣기 한 후 일부를 수정하고 있다.
작업일보는 협력사별로 작성하며 예로 방수공사, 도장공사, 비계설치공사, 엘리베이터 설치, 소화배관 공사와 같이 다수의 협력사가 참여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PMIS를 이용하는 경우, 금일작업내용(231)란과 명일작업내용(232)란에 작업내용을 동일하게 기술한다.
인원과 진도율은 작업명 뒤에 괄호로 표기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작업의 작업정보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공사와 협력사간의 안전정보 업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를 참조하면, 시공사와 협력사는 특정작업에 관한 안전기준을 작성한다(S10).
예를 들면 정화조 청소작업에 대한 안전기준 및 수칙은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과 환기를 실시하고 공기호흡기 또는 산소마스크 착용 등이다.
전기 설비의 경우에는 작업의 순서를 정립하고 선행작업의 완료되지 않거나 현재 상태가 어떠한 경우에는 후속작업이 착수하여서는 아니된다 라는 조건을 설정한다. 전기실 공사의 경우에는 전기가 들어온 상태에서는 어떠한 작업은 실시할 수 없다라고 하는 기준이다.
건축의 경우에는 안전시설이 구분되지 않으면 작업을 착수할 수 없다와 같은 조건이다.
안전기준이 작성되면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에 체계적으로 저장한다(S20). 여기서 체계는 현장공사 특성에 맞는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ystem)를 작성하거나 종래의 토목 건축 전기 설비 공종 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작업일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성하기 위하여 작업명을 통일하고 목록을 미리 작성한 다음 선택하여 입력할 수는 있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방수공사의 경우 작업해야 하는 층과 방(화장실 등)을 알 수 있으므로 미리 작업리스트를 만들어 놓은 다음 작업일보 입력시 선택하면 작업명과 작업위치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표준화할 수 있다.
이제 공사가 시작되면 협력사는 작업일보를 작성한다(S30). 예를 들면 설비공사에서 지하 6층 기계실의 설비 수직 배관이 시작되면 작업내용을 작업일보에 금일작업으로 작성하고 명일예정작업도 기술한다. 인원이나 장비 안전관련 사항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일보는 오래전부터 계속 해오던 잘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다수의 협력사 중 소수인원이 출력하면서 가설사무실이 없거나 PC가 없는 협력사들이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으로 작업내용을 기술하여 안정정보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시 상기 기준설정 단계(S10~S20)에서 작성된 작업리스트를 선택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명을 입력할 수 있다.
협력사들의 작업일보 작성이 완료되면, 이제 작업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40). 협력사가 작업하는 작업들에 대하여 시계열상에서 작업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는 방수를 담당하는 협력사의 작업일보를 읽고 지하 4층 화장실 방수공사의 시작일 부터의 공사기록을 일자별로 생성하여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 체계적으로 저장한다. 그 내용은 지하 4층 화장실 공사의 시작일 진도율 작업자수이며 추가적으로 건축재료 작업장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일보가 작성되면 다음 단계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다(S50). 제어부(21)는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로부터 작업정보를 읽는다. 또한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특정작업과 관련된 안전기준을 읽는다. 그리고 작업정보와 안전기준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안전기준을 초과하면 위험이 있다고 정량적으로 판단한다.
판단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체계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단열뿜칠을 하는 공간에 용접작업이 있는 경우 단열뿜칠은 화재가 날 수 있는 재료이므로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또한 단열뿜칠의 시작일이나 진도율과 후속작업 조건인 내화재료 도포작업의 착수 진도율을 비교하여 기준을 벗어나면 위험이 있다고 평가한다.
설비의 경우 금일 특정라인의 배관 기압테스트가 있는 경우, 전일에 수증기가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배관내 수증기가 배출되지 않으면 기압 테스트 중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전기의 경우 전기실에 전기가 들어오는 경우, 물과 관련된 작업이 들어가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기를 차단해야 한다. 또한 전기실 위층에 물과 관련된 작업이 있는지 판단하여 누수시 아래층의 전기실로 물이 들어갈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1)는 특정작업에 대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자체의 준비 시설물 장비 측정한다. 또한 특정 작업을 둘러싸고 있는 선행작업, 후행작업조건, 작업프로세스, 상하좌우 공간에서 벌어지는 작업이 미치는 위험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이외에도 제어부(21)는 안전기준(22)에 설정된 기준을 참조하여 현장내의 모든 작업에 대하여 작업간의 상호 영향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제어부(21)의 판단결과, 작업일보의 내용중 작업내용이 누락되거나 판독이 어려운 경우 필요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질의 내용을 작성한다. 이에 따라 협력사나 시공사의 관리자는 내용을 확인하여 작업일보(23)나 작업정보(24)를 수정하거나 질의 내용에 답변을 작성하면 제어부(21)는 답변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성 평가(S50)를 다시 실시한다(S60).
다음으로 제어부(21)는 위험성 평가(S50~S60)가 완료되면, 평가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하고 평가가 완료되었음을 단말기(10)로 통지한다(S70).
예를 들어 모든 협력사를 총괄하는 원청 시공사는 모든 안전정보(25)를 열람할 수 있다. 방수공사 협력사는 방수공사에 관한 위험성 평가 내용을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조회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21)는 위험에 관한 조치방법이나 절차서 법규 규정 등의 대책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대책정보는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에 미리 작성되어 활용될 수 있다.
시공사나 협력사 작업자는 상기 위험성 확인(S70)단계에서 내용을 확인한 후 필요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조치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입력한다.
제어부(21)는 조치가 완료된 위험성 평가에 대하여 위험성을 해제하고 작업일보(23)와 작업정보(24)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또는 작업일보(23) 작성자는 다음날 작업일보 작성시 안전정보 조치결과를 반영하여 작업일보를 작성하면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의 특정작업에 대한 실시예를 도 5부터 도 13까지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작업에 대한 안전기준을 설정한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하층 단열을 위해 폴리우레탄폼을 천정에 시공하는 공정이며 지하 4층부터 지하1층까지이며 협력사는 ○○ 회사이다.
먼저 첫 번째 칼럼에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안전기준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두 째 칼럼에는 안전기준이 설정된다.
먼저 첫 번째 칼럼의 첫 번째 항목인 작업자체 점검사항은 단열재인 폴리우레탄폼을 시공중 ○○회사가 지켜야할 안전기준이다. 폴리우레탄폼을 시공하기 위한 장비와 가설비계를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동일한 작업공간내 위험작업으로서 폴리우레탄폼을 시공하는 층과 공간내에서 다른 공종과 같이 작업함으로써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설정한다. 예를들어 설비배관공사, 용접, 가설전등, 고속절단기, 신나, 페인트라는 단어나 의미가 다른 협력사에 의해 동일한 공간에서 같이 진행되면 화재가 날수 있다.
천정에 뿌려진 폴리우레탄폼은 불에 약하여 연소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를 뿜어 중대재해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세 번째 항목은 선행작업 조건으로서 현재의 작업을 시공하는데 먼저 시공되어야 하는 작업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현재 하려는 작업이 외벽 석공사이면 외부비계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네 번째 항목은 후행작업 조건으로서 현재의 작업을 시공하는데 나중에 뒤따라 오는 작업이 어떠한 상태이어야 또는 현재의 작업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설정한다.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폼은 화재에 약하므로 폴리우레탄폼을 천정에 시공한 후 후속공정으로서 내화피복이 그 위에 뿌려져 화재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폴리우레탄폼을 천정에 다 시공했는데도 불구하고 보호재료인 내화피복이 뿌려지지 않거나 뒤따라오는 속도가 느리다면 불꽃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일정차이란 폴리우레탄폼과 내화피복이 며칠 차이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다.
1일 내지 2일은 폴리우레탄폼이 뿌려지는 범위가 크지 않으므로 화재시에도 피해가 제한적이지만 3일 이상 차이가 나거나 두 공정율이 40%이상 차이가 나면 내화피복이 폴리우레탄폼이 노출되면 면적이 많아져 화재위험과 피해가 커진다.
상기 일정차이와 진도율 차이는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제시되는 것이므로 기준은 공사관계자들이 공사공간과 뿜칠 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번째 항목은 상하좌우 공간내 위험작업으로서 현재 작업에 대하여 위층 아래층 옆에서 시공될 때 위험한 상황이 되는 작업의 종류를 선정하여 기술한다. 예를들어 상하동시 작업으로 인한 낙하 재해, 위층에서 물이 쏟아질 수 있는 작업을 시행하므로 아래층의 전기실로 물이 들어갈 경우, 고압전기에 의한 전기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같은 공간내에서의 불안전한 작업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선행작업과 후행작업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점이 큰 특징이다. 특정공간이 완성되고 마감공사와 전기 설비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은 단독적인 작업보다는 직렬적인 관계로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안전기준은 종래의 관련 법규나 지침을 활용하지만, 추가적으로 안전재해 예방을 위하여 공정관리 개념을 도입하여 시계열상에서 작업간에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을 분석하고 그 영향의 범위를 제한하여 안전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효과가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현장에서 진행되는 모든 작업의 상태를 작업일보를 통해 가능한한 최하위레벨에서 매일 파악하고 상기 안전관리 기준을 벗어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본다. 문제를 아는 것이 제일 중요하며 해결방안은 현재 기술로 충분히 수립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음단계로서 도 7 내지 도 9는 작업일보 작성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를 나타낸 예이다. 종래의 작업일보와 유사하며 작성은 아래한글 MS워드 엑셀 PMIS의 웹상 그리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전일 작업란에는 몇층 어느 구역에서 어떤 작업을 몇 명이서 어느 정도했는지 간략히 기술되어 있다.
금일 작업란에는 어제에 이어 지하 4층 기계실과 지하 1층 A존에서 천정에 폴리우레아폼을 뿌리는 작업들이 진행되고 금일에 지하 1층 B존에 작업이 착수한 것을 나타낸다.
협력사는 자기 회사의 작업자들이 어디에서 어떤 작업을 하는지 간략히 기술만하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피복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를 나타낸 예이다. 도 7의 폴리우레아폼 뿜칠작업이 진행되면 그 위에 도 8의 내화피복을 뿌리는 작업이 뒤따라 간다. 도 7은 현재 작업이고 도 8은 후행작업이다. 도 7과 도8의 거리가 멀어지면 화재 위험이 높아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배관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를 나타낸 예이다. 지하 4층 기계실에 작업이 진행됨을 기술하고 있다.
이상으로 다수의 협력사들이 작성하는 작업일보 중 지하4층 기계실과 관련된 작업일보를 도 7, 도 8, 도 9와 같이 예시를 타나내었다. 협력사들은 단지 도 7내지 도 9와 같이 자기 회사가 하고 있는 작업을 기술하면 된다.
작업일보는 일별 작업내용을 기술한 것이므로 상기 양식에 국한되지 않고 위험성 평가서 메모장 기타 시공자료도 작업명과 위치 작업일자 정보를 포함한다면 작업일보로 활용될 수 있다.
각각의 협력사가 작업일보를 각각 작성하면 페이지 수가 많으므로 원청시공사 입장에서는 한곳에 모을 필요가 있다. 도 10에서는 18년 10월 1일 각각의 작업일보를 한곳에 모아 출력한 예이다. 도 7, 8, 9에서 작성한 작업일보가 통합되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제어부(21)가 한다.
마감공사 기간에는 대형공사의 경우 수십개 이상의 협력사가 출역하여 작성하므로 도 10의 페이지수가 많고 내용이 방대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의 내용을 특정작업에 대하여 일자별로 정리한 예이다.
지하 4층 기계실 천정의 단열을 위한 폴리우레아폼 뿜칠은 9월 27일 착수하여 금일 5일째 작업중이며 진도율은 80%로 내일이면 완료될 예정이며 작업자 3명이서 1개팀을 이루어 공사중임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피복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작업일보의 내용을 특정작업에 대하여 일자별로 정리한 예이다.
지하 4층 기계실 천정에 시공한 도 11의 폴리우레아폼 뿜칠을 보호하기 위하여 후속작업으로서 내화피복을 시공중에 있다. 9월 30일 작업준비를 하고 10월 1일 오늘부터 작업에 착수했다.
도 11과 12는 도 7, 도 8의 작업일보로부터 자동으로 작성된 것이다. 도 7과 8은 지하 4층 기계실 작업에 대하여 매일 매일 내용을 봐야 흐름을 알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도 11을 보면 도 7의 작업을 매일 매일 보지 않고도 날짜별로 알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선행작업과 후행작업간에 시작일자 차이 또는 공정율 차이를 계산하여 도 6의 안전기준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도 13은 도 11과 도 12로부터 위험성 평가를 한 결과를 나타낸 예이다. 도 11에서 폴리우레아폼 뿜칠은 9월 27일 착수하여 작업이 끝나가고 있으나 화재예방을 위한 도 12의 내화피복 공사는 10월 1일 늦게 착수하여 폴리우레아폼이 화재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어부(21)는 도 11과 도 12의 일정차이와 공정율 차이가 도 6의 후행작업 조건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그 평가 내용을 보면 지하 4층 기계실에서 10월 1일 현재 폴리우레아폼 뿜칠은 천정에 80%로 거의 다 뿌려지고 있으며 같은 실내 바닥에서는 설비 스프링클러 소화배관 설치작업을 위하여 파이프 배관을 고속절단기로 자르고 배관 연결부품을 신나에 세척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내화피복 공사는 이제 시작하려고 한다.
파이프를 절단기로 자르면 불꽃이 날아다니고 신나에 붙으면 불이나고 천정으로 옮겨붙는 경우 폴리우레아폼의 대부분이 불이 붙게 된다. 후속공정인 내화피복 뿜칠이 늦게 따라오기 때문이다.
현재 기계실은 여러 공종이 작업하면서 화재의 위험이 매우 높음을 평가하고 있다.
과거 지하층에서 폴리우레아폼에 불이 붙어 연기로 인한 중대재해 사고는 여러 차례 뉴스에 보도된 바 있다.
사고원인을 일반적으로 원인을 절단기와 신나의 불꽃의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가정의 예시를 통해 보면 사고원인을 해당공간에서의 다른 작업 뿐만 아니라 추가로 상하작업과 선행공정과 후행공정의 상태를 시계열상에서 입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후속공정인 내화피복이 늦게 착수하여 뒤늦게 따라 오면서 폴레우레아폼을 불꽃으로부터 내화피복을 통해 보호하지 못한 것도 원인이다. 본 발명의 적용을 통해 내화피복의 착수가 늦을 점을 사전에 지적했다면 조치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거나 피해가 크지 않았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가지의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 진행되는 모든 공간에서의 작업에 대하여 미리 체계적으로 설정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중대재해부터 경미한 재해까지 각종 위험을 신속 정확하게 평가하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단말기(10)
안전정보 서버(20)
제어부(21)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
작업분류체계(221)
작업목록(222)
안전기준(223)
안전대책 및 조치방법(224)
금일작업내용(231)
명일작업내용(232)

Claims (3)

  1. 산업현장에서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일보를 이용한 위험성 평가에 있어서,
    작업의 안전기준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
    작업일보의 내용을 저장하는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작업일보의 내용과 상기 작업의 안전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작업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전기준은 특정작업에 대하여 병행작업, 선행작업, 후속작업과의 관계를 설정하되 ;
    상기 관계는 착수 또는 완료 여부, 일정 차이, 진도율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협력사의 작업일보를 읽고 해당작업에 대하여 안전기준에서 설정한 선행작업의 조건과 비교하거나 후행작업의 조건과 비교하거나 작업공간에서 동시에 하여서는 아니되는 작업과 비교하거나 상하좌우 공간에서 진행되는 다른 작업과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위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2. 산업현장에서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일보를 이용한 위험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작업의 안전기준을 설정하여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작업일보를 작성하여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부가 작업일보를 읽고 작업내용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전기준은 작업이 갖추어야 할 가스 온도 습도 물의 환경 상태, 작업순서나 절차상의 상태, 선행작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착수, 완료, 일정차이, 공정율), 후행 작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착수, 일정차이, 공정율), 상하좌우 공간에서 진행되는 작업의 제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협력사의 작업일보를 읽고 해당작업에 대하여 안전기준에서 설정한 선행작업의 조건과 비교하거나 후행작업의 조건과 비교하거나 작업공간에서 동시에 하여서는 아니되는 작업과 비교하거나 상하좌우 공간에서 진행되는 작업과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위험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3. 제2항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25404A 2017-10-11 2021-09-22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63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04A KR102631996B1 (ko) 2017-10-11 2021-09-22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705A KR102306184B1 (ko) 2017-10-11 2017-10-11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10125404A KR102631996B1 (ko) 2017-10-11 2021-09-22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705A Division KR102306184B1 (ko) 2017-10-11 2017-10-11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353A true KR20210119353A (ko) 2021-10-05
KR102631996B1 KR102631996B1 (ko) 2024-02-06

Family

ID=662833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705A KR102306184B1 (ko) 2017-10-11 2017-10-11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10125405A KR102631997B1 (ko) 2017-10-11 2021-09-22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10125404A KR102631996B1 (ko) 2017-10-11 2021-09-22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705A KR102306184B1 (ko) 2017-10-11 2017-10-11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10125405A KR102631997B1 (ko) 2017-10-11 2021-09-22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06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01A (ko) * 2019-04-10 2022-01-03 양경옥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244587B1 (ko) * 2020-08-12 2021-04-23 송미라 건설현장의 작업일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63145B1 (ko) * 2020-08-25 2021-06-10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설현장고위험작업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438757B1 (ko) 2021-04-27 2022-09-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363619B1 (ko) * 2021-06-17 2022-02-15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위험성 예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421978B1 (ko) * 2021-10-18 2022-07-18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96668B1 (ko) 2021-11-23 2023-02-06 차유미 스마트 안전 관리 및 안전 사고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N115099586A (zh) * 2022-06-10 2022-09-23 上海异工同智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作业风险识别的方法及装置
KR102637548B1 (ko) 2022-12-16 2024-02-19 주식회사 한국방폭안전 산업 현장의 재해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38836B1 (ko) 2022-12-31 2023-06-01 주식회사 예스안전 안전작업허가서 게시대
KR102698142B1 (ko) * 2023-11-27 2024-08-23 주식회사 안단테 작업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중대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경영 책임자 중심의 중대 재해 예방 수칙을 관리하는 경영자 단말기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202A (ja) * 2002-02-14 2003-08-29 Fujitsu Ltd 建設現場の安全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2006285639A (ja) * 2005-03-31 2006-10-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立会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立会業務支援車両
KR20160001940A (ko) * 2014-06-30 2016-01-07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산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72B1 (ko) * 2006-03-29 2007-04-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스크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및 장치
KR200434811Y1 (ko) * 2006-04-24 2006-12-28 최요한 유비쿼터스 통신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산업재해 예측솔루션
KR20100078993A (ko) * 2008-12-30 2010-07-08 한국도로공사 안전사고 위험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202A (ja) * 2002-02-14 2003-08-29 Fujitsu Ltd 建設現場の安全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2006285639A (ja) * 2005-03-31 2006-10-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立会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立会業務支援車両
KR20160001940A (ko) * 2014-06-30 2016-01-07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산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996B1 (ko) 2024-02-06
KR20210119931A (ko) 2021-10-06
KR102631997B1 (ko) 2024-01-31
KR102306184B1 (ko) 2021-09-28
KR20190040847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184B1 (ko)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39907B1 (ko)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Reese et al. Handbook of OSHA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KR20220000401A (ko)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00121699A (ko) 건설현장 작업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작업일보 생성을 통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Alsharef et al. Severe injuries among construction workers: Insights from OSHA’s new severe injury reporting program
Jiang et al. System hazard analysis of tower crane in different phases on construction site
Terzic et al. F-Rec Framework: Novel framework for probabilistic evaluation of functional recovery of building systems
Mohammadfam et al. Investigation of causes of plasco building accident in Iran using timed MTO and ACCIMAP methods: investigation of Plasco 4 building accident in Iran
Grimaz et al. The Short-Term Countermeasures System of the Italian National Fire Service for post-earthquake response.
KR20200120855A (ko) Pmis 내부의 온라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Siddiqui US construction worker fall accidents: Their causes and influential factors
KR20220000402A (ko)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Herzanita et al. The application of BIM-based OHSMS information systems to improve safety performance
KR20200120854A (ko)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Renshaw Prevention through design
Kim A conceptual framework for assessing post-earthquake fire performance of buildings
Noya et al. Risk analysis: a methodology applicable to the building inspection
LINE et al. Prevention through Design
DREGAN et al. RISK AT WORK: ASSESSMENT IN A ROMANIAN PRECAST CONCRETE ELEMENTS MANUFACTURING COMPANY
Mohammed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on construction sites
Das Review of risk factors of construction site fire and suggestions for its mitigation
Lingard et al. Supporting the design OHS process: A knowledge-based system for risk management
Taiebat et al. Application of BIM in safety analysis through a factor modeling approach
Celikag et al. Inadequate Applications of Construction Industry in North Cyprus and Recommend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