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854A -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854A
KR20200120854A KR1020190043419A KR20190043419A KR20200120854A KR 20200120854 A KR20200120854 A KR 20200120854A KR 1020190043419 A KR1020190043419 A KR 1020190043419A KR 20190043419 A KR20190043419 A KR 20190043419A KR 20200120854 A KR20200120854 A KR 20200120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afety
construction
daily
pm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옥
Original Assignee
양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옥 filed Critical 양경옥
Priority to KR102019004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0854A/ko
Publication of KR2020012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안전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정보시스템(PMIS)내에서 협력사들이 작성한 작업일보의 내용을 이용하여 현장의 상태 및 작업간의 불일치 등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작업의 위험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전전문가들이 작업분류체계에 따라 작업 또는 작업간의 안전기준과 예방 방법을 수립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
협력사가 스마트폰 또는 PC를 이용하여 전일실시작업, 금일작업, 명일작업에 관한 작업일보를 작성하는 단계 ;
제어부가 작업의 상태 및 착수시점, 완료시점, 선행작업, 후속작업의 작업정보를 파악한 후 기 설정된 안전기준과 비교하여 안전 위험을 분석하는 단계 ; 및
분석결과, 재해위험이 높은 작업에 대하여 통지와 대책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Control by Daily Work Report in PMIS in Construction Project}
본 발명은 건설 및 산업건설 현장에서 공사중 발생하는 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건축 전기 설비 환경 플랜트의 협력사가 매일 건설회사의 PMIS내에서 작업일보를 작성하면 제어부가 현장내의 모든 작업정보를 분석하고 안전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불안전안 시설이나 작업의 상태를 산출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 매년 많은 재해가 발행하고 있으며 이를 저감하기 위한 안전관리 활동도 더욱 증가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 어떠한 공사가 진행될지는 공정계획을 통해 알 수 있다. 공정계획은 공정표, 작업일보, 위험성평가표 등에 표시된다.
공정표는 주간공정표, 월간공정표, 마스터(전체기간) 공정표가 있다. 이중 가장 상세한 것은 주간공정표이며 골조공사 등 주요한 공사를 대상으로 엑셀 등 바챠트 형태로 작성되지만 나머지 수십개의 경미한 공종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성하지 않는다.
한편 작업일보는 오늘 할 작업만 작성하면 되므로 계획수립이 쉽고 텍스트로 손쉽고 신속하게 작성하고 있다. 작업일보에는 금일에 하는 작업과 인원, 장비 대수 등이 표기되며, 엑셀 또는 워드프로세서로 A4용지로 작성된다.
작업일보가 작성되면 해당 공사의 담당자는 작업일보의 내용을 파악하며 상급자에게 보고한다.
미장 도장 전기 설비 등 몇 명의 작업자가 출역하는 다수의 협력사들은 현장사무실이나 PC 등을 구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일보를 작성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작업만을 대상으로 작업일보가 작성되어 문서상으로 나타나지 않은 작업이 많고, 건축 전기 설비 등 공종별로 별도로 작성되어 간섭을 파악하기 어렵고, 담당자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능력에 따라 위험평가가 달라지며, 전체작업을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여 안전규정과의 비교 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작업일보는 모든 협력사들이 신속 용이하게 작성하며 작업간의 간섭 충돌 과 위험사항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안전위험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사에 참여하는 협력사 전체가 작업일보를 신속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PC 또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작업일보는 건설회사의 건설정보시스템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내에서 작성된다.
작업일보상의 특정 작업은 작업분류체계, 작업할 부위, 작업 명칭, 코드체계로 갖추며, 작업장소와 작업종류를 도면, 3D, BIM상에서 텍스트, 아이콘 등을 통해 신속 정확하게 입력하도록 한다.
PMIS에는 각각의 작업에 관한 안전기준 데이테베이스가 구축된다. 안전기준은 작업순서, 시방서, 구조, 가설, 사고사례, 대책 등을 포함하며 작업이 안전하게 진행되기 위하여 어떠한 상태 및 조건에서 어떠한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한다.
PMIS의 제어부는 작업일보와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분석하여 작업의 위험을 분석한다. 제어부가 분석결과를 통보하고 계획수정, 시설물 보완, 작업중지, 대책수립 등의 과정을 안전한 상태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PMIS내에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와 작업일보 기능을 갖추도록 한 후 제어부가 작업의 위험을 분석하도록 한다.
전문가들은 각종 규정, 법규, 작업의 순서, 공간분석 기능, 사고사례 등을 통하여 안전기준을 작성한다. 안전기준은 공사유형분류체계, 작업분류체계, 작업부위체계, 표준 작업 명칭, 코드체계를 포함하여 체계적인 분류체계로 구성된다.
작업일보는 모든 협력사들이 자신의 작업을 기술할 수 있도록 PMIS에 접속한 후 작업일보 앱을 다운받아 작성한다.
작업장소는 미리 공구 및 존을 미리 분할하여 작업리스트를 구성하고 작업명칭 등을 표준화하고 도면, 3D, BIM 상에서 텍스트, 아이콘 등을 사용하여 작업내용을 작성 할 수 있도록 한다.
PMIS의 제어부는 모든 작업일보의 내용을 통합하여 현장내 전체 작업을 구성한다. 이후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의 안전기준과 비교한다.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작업을 분석한 후 영향과 대책을 생성한다.
작업일보가 수정되면 다시 분석과정을 되풀이하여 위험한 작업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건설현장의 협력사는 PMIS상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신이 하는 작업의 내용을 정확하게 용이하게 입력 수정 할 수 있다.
PMIS는 협력사의 작업내용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를 통해 위험한 작업을 추출한다.
이에 따라 현장내 모든 작업을 종합적으로 파악 및 구성할 수 있다. 체계적인 안전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위험한 작업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공사 진행에 따라 안전기준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량과 품질이 크게 높아지며 그 결과 현장내 안전재해는 점점 갈수록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의 안전분석 서버, 단말기 구성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MIS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분석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MIS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의 추가적인 기능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작업일보 양식.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MIS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분석을 위한 시공사와 협력사간의 안전관리 업무 과정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안전분석 서버(20), 단말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분석 서버(20)는 안전기준, 작업일보를 입력받고 작업위험을 판단하고 단말기(10)로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단말기(10)는 작업일보나 위험한 작업을 입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MIS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기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분석 서버(20)의 기능 구성은 제어부(21),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 및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1)는 안전분석 서버(20) 안전과 관련된 기준을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하고, 작업일보를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를 저장한다. 그리고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작업내용을 읽고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의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작업의 위험을 분석한 후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의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는 각각의 작업에 대한 안전기준을 저장한다. 안전기준은 안전규정, 법규, 시방서, 구조 사항, 작업의 순서, 사고사례 등을 포함한다.
안전규정은 법에서 정하는 안전규정이며 안전시설물 설치 등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구조사항은 구조적 안전성 관련으로서 콘크리트 강도 및 양생기간, 동바리 존치기간, 하중, 터파기 및 흙막이 시공 기준 등을 포함한다.
작업의 순서는 특정작업을 하기 위해 반드시 사전에 시공되어야 하는 작업들을 규정한 것이며 ABC 순서인 경우 B를 생략하고 A에서 C로 갈수 없음을 규정한다. 사고사례는 기존의 공사중 발생한 중대재해 및 사고 사례를 공종 및 작업분류체계에 따라 분류 저장하여 검색 및 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장 규모 및 공사 특성에 맞게 새로운 안전기준을 추가로 작성하여 현장에 적용하도록 한다.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는 가설 토목 건축 전기 설비 환경 플랜트 등 각종 협력사들이 작성한 작업일보를 저장한다. 작업일보는 전일 실시한 작업, 금일 및 명일 예정작업을 포함한다.
작업할 장소는 건물, 공구, 층, 존(구역), 실(방), 부위(벽, 천장, 바닥) 등이며 미리 리스트를 만들어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도면(2D, 3D, BIM)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작업의 명칭은 표준작업분류 체계에서의 선택, 미리 만들어진 작업리스트 중에서 선택한다. 작업내용에는 작업할 내용을 기술한다. 작업시간은 종일, 오전, 오후 또는 특정시간을 선택한다. 작업자수 작업자들을 지정할 있다.
자재 장비에는 특별히 안전 관련 주의가 요구되는 인화물질, (화학)물질, 기계장비, 건축자재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의 위험의 등급을 지정할 수 있으며 안전재해의 유형 및 등급을 아이콘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작업일보는 PC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작성완료 후 저장하면 본사의 PMIS 안전분석 서버(20)로 전송된다.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는 제어부(21)가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와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를 저장한다.
제어부(21)는 작업일보가 작성되면 작업내용을 장소별 시간대별로 종합하여 전체 일정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특정장소에서 어떠한 작업들이 동시 또는 순서대로 진행되는 지를 분석한다.
이후 안전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계획된 작업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산출된 결과를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의 추가적인 기능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의 작업분류체계(221), 작업목록(222), 안전기준(223), 안전대책(224) 정보를 포함한다.
작업분류체계(221)는 가설공사, 토공사, 건축공사, 전기공사, 설비공사, 환경공사, 플랜트 공사를 대공종 중공종 소공종으로 분류한 Work Breakdown Structure(WBS)이다.
작업목록(222)은 작업분류체계(221)를 기반으로 작업을 동별 층별 존별(구역) 실별 라인별, 부위(벽 천장 바닥)별로 분할한 리스트이다.
또한 작업목록은 그 하부에 세부작업(Task, 철근 형틀 콘크리트 레벨)을 포함한다.
안전기준(223)은 특정작업의 안전기준을 저장한다. 해당작업 자체의 안전기준과 선행작업, 후행작업, 상하좌우 공간적 작업에 관한 기준에 관한 내용을 저장한다.
안전대책(224)은 특정작업의 위험성이 평가되는 경우 어떻게 조치하는 방법이 있는지, 관련 규정이나 정량적인 수치, 타 현장 사례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종래의 작업일보 양식이다. 도 4는 엑셀파일이며 금일작업내용(231)란에는 작업내용을 기술하고 명일작업내용(232)란에는 내일 할 작업을 기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을 분석하기 위한시공사와 협력사간의 안전분석 업무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를 참조하면, 시공사와 협력사는 특정작업에 관한 안전기준을 수립한다(S10).
안전기준이 작성되면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에 체계적으로 저장한다(S20).
이제 공사가 시작되면 협력사는 작업일보를 작성한다(S30). 협력사는 스마트폰으로 작업내용을 기술하여 안전분석 서버(20)로 전송한다.
협력사들의 작업일보 작성이 완료되면,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40).
작업일보가 작성되면 다음 단계로 위험을 분석한다(S50). 제어부(21)는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작업정보를 읽는다. 또한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특정작업과 관련된 안전기준을 읽는다. 그리고 작업정보와 안전기준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안전기준을 초과하면 위험이 있다고 정량적으로 판단한다. 판단결과를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제어부(21)는 특정작업에 대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자체의 준비 시설물 장비 등의 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특정 작업을 둘러싸고 있는 선행작업, 후행작업조건, 작업프로세스, 상하좌우 공간에서 벌어지는 작업이 미치는 위험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이외에도 제어부(21)는 안전기준(22)에 설정된 기준을 참조하여 현장내의 모든 작업에 대하여 작업간의 상호 영향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제어부(21)의 판단결과, 작업일보의 내용중 작업내용이 누락되거나 판독이 어려운 경우 필요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질의 내용을 작성한다.
이에 따라 협력사나 시공사의 관리자는 내용을 확인하여 작업일보(23)를 수정하거나 질의 내용에 답변을 작성하면 제어부(21)는 답변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분석(S50)을 다시 실시한다(S60).
다음으로 제어부(21)는 위험분석(S50~S60)이 완료되면, 분석결과를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고 평가결과를 단말기(10)로 통지한다(S70).
추가적으로 제어부(21)는 위험에 관한 조치방법이나 절차서 법규 규정 등의 대책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대책정보는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에 미리 작성되어 활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의 PMIS 안전분석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건설회사의 공사 및 안전담당자는 공사유형과 작업분류체계를 작성한다. 건축 공사유형은 초고층 빌딩, 병원, 학교, 교회, 공장 등이다. 토목 공사는 교량, 터널, 항만, 지하철 등이다.
작업분류체계는 터파기, 되메우기, 기초, 철근콘크리트, 철골공사, 미장, 조적, 방수, 전기, 설비 등이다. 철근콘크리트 하위레벨에는 철근공사, 거푸집공사, 콘크리트 공사 등으로 세분된다.
다음으로 안전기준을 작성한다. 예를들어 철골을 설치한 후에는 반드시 추락방지망을 설치하고 데크 플레이트를 양중하여 철골에 판개한다. 데크 플레이트가 설치한 후에는 반드시 직봉용접을 하여 데크가 철골보에 고정되도록 한다.
RC구조 건물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아래쪽의 동바리를 해체하도록 한다.
지하 탑다운 공사에서는 지하층 특정 존(구역)의 데크 슬라브를 타설한 이후 양생기간을 거친 다음 아래층의 흙막이 소단을 터파기해야 한다.
전기와 관련해서는 가설전기, 접지, 수전, 감전 등과 관련된 사항이며, 설비에서는 장비가동, 수압, 밸브, 누수, 물질 등이다.
가설공사는 안전시설물의 설치, 임시해체 및 복구, 추락방지망, 비계설치 및 해체 구조검토 등이다.
자재 및 장비는 장비검사, 전기공급, 시험성적서, 내화성능 등이다.
법규 법령 시방서 규정은 해당 내용을 작업 공종과 연계하여 정리한다.
사고사례는 기존의 사고를 공사유형, 작업분류체계, 장소, 내용, 원인, 대책의 내용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저장한다.
다음으로 공사현장이 개설되면 공사 및 안전관리자들은 현장의 특성에 맞게 안전기준과 작업분류체계를 구성한다. 작업분류체계는 안전기준 서버로부터 표준을 다운받고 이후 현장의 특성에 맞게 공구분할, 협력사의 공사계약 범위를 기준으로 세분화한다.
공사가 시작되면 협력사는 협력사 정보를 입력한 후 작업일보를 작성한다. 건설회사의 PMIS에 PC 또는 스마트 폰으로 접속하여 작업일보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로그인 후 작업일보를 작성한다.
예를들어 A협력사는 1월 15일 4명이 출역하는데 작업자 리스트 중에서 내일 출역하는 4명의 이름을 체크하여 출역자를 결정한다. 작업장소는 101동 지하 4층 A존 기계실을 선택한다. 작업장소를 선택하면 작업장소 리스트가 나열되고 이중에서 선택한다. 또는 도면 2D, 3D, BIM상에서 선택한다. 또는 음성으로 “101동 지하 4층 A존 기계실”을 말하여 입력하거나 전일작업장소를 복사하여 입력하거나 현장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작업의 내용은 배관 설치작업을 선택하거나 텍스트 입력, 음성을 통한 입력, 작업 아이콘 선택 등으로 입력한다.
음성을 통한 입력은 사전에 공정표 상의 작업의 명칭을 미리 발음 연습하여 PMIS가 신속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위험의 등급은 표준 등급 또는 작업일보 작성자가 생각하는 위험 등급을 선택한다. 작업시간은 종일, 오전, 오후, 특정시간대를 입력한다.
안전사항은 선행작업, 병행작업, 후행작업 협력사에게 요청하는 사항, 안전시설 및 조치를 요구하는 사항 등을 입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일보를 완성한다.
다음으로 PMIS의 제어부는 입력된 각각의 협력사들이 입력한 작업일보의 내용을 종합하여 현장 전체의 작업을 장소 및 시계열상에서 구성한다.
이후 각각의 장소에서의 작업과 안전기준과 비교를 실시한다.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작업을 판단하고 미치는 영향과 대책을 분석한다.
예를들어 제어부는 다음과 같은 상황 또는 작업이 이루어지면 안전기준을 초과한다고 판단한다. 건설현장에서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
ABC로 이어지는 작업에서 B가 생략되면 안되는 경우에 A이후 C를 시공하는 경우.
안전시설물을 해체하고 복구하지 않은 경우.
탑다운 지하 공사에서 구조 역학적으로 필요한 부분의 구조재(슬라브 타설)를 시공하지 않고 하부의 소단(지지되는 토사)을 굴착(터파기), 어스앙카 제거, 가설 자재(기둥, 보) 등을 제거하는 경우.
화재물질 및 가연성 자재 부근 또는 동일한 공간에서 화기작업(용접 불꽃)을 하는 경우.
슬라브 콘크리트가 일정 강도를 나타내기 전에 동바리(서포트)를 해체하는 경우.
여러층에 걸쳐 동바리(서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부 동바리를 해체하여 구조적으로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운 경우.
전기가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물을 공급하여 감전될 수 있는 상태.
설비 배관에 높은 압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밸브를 여는 작업을 착수하는 경우.
추락방지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구간의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필요한 구조계산서 및 승인을 득하지 않고 구조 및 가설재를 시공하는 경우.
장비 운전원과 신호수가 같이 작업을 해야 하지만 장비 운전원만으로 작업하는 경우.
규격이나 성능이 맞지 않는 자재 또는 관련 서류를 승인받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
작업일보에는 없는 작업내용을 현장에서 시공예정인 파악되는 경우(작업일보 미작성 협력사의 작업자 출역 및 시공(출입통제 시스템으로부터의 파악).
승인받지 않은 중요한 작업의 임의시공.
비계 및 시스템 서포트 등 세부적인 작업분서가 맞지 않은 경우(비계, 멍에, 발판, 추락방지망 등).
층고가 높아 높은 위치에서 화재시 현재 구비된 소화장비와 인력이 화재진압이 어려운 경우.
날씨를 반영하지 않은 작업계획 (안개, 우천, 강추위 등) 등이다.
또한 지하 4층 전기실에서 4개의 회사가 작업을 예정하고 있다면 전기실내의 작업내용을 분석한 후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작업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여러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에는 간섭 충돌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다른 장소에서의 작업을 분석한다. 또한 설비와 같이 시스템상으로 상하로 이어지는 배관 등의 작업에 있어서는 수직적 안전기준을 분석한다.
안전기준 초과작업은 단계별, 레벨별, 등급별로 위험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현장에서 예상되는 재해의 크기 및 영향을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작업일보의 내용이 맞지 않거나 안전재해의 위험이 있는 경우, 작업일보 작성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공간내에서 시공되는 다수 회사들의 작업들을 도면 평면 또는 3D공간에 텍스트, 회사별, 작업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PMIS의 제어부는 안전분석 결과를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작업과 대책을 시공사 및 협력사에게 통보한다. 그러면 시공사 및 협력사는 작업일보를 수정하거나 시공계획을 조정한다.
이와같이 모든 작업들이 안전해질 때까지 시설보완, 작업순서의 조정, 계획변경 등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가지의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 진행되는 모든 공간에서의 작업에 대하여 미리 체계적으로 설정된 안전기준의 범위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
건설 및 산업현장에 출역하는 협력사는 스마트폰으로 PMIS에 접속하고 작업일보 앱을 다운로드 받고 미리 정해진 작업장소와 목록 등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일보 내용을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다. 작업일보가 작성되면 제어부가 방대한 양의 기준과 데이터 사례 등과 비교하여 현장에서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와 상황을 분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산업상 즉시 이용이 가능하다.
단말기(10)
안전분석 서버(20)
제어부(21)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
작업일보 데이터베이스(23)
안전분석 데이터베이스(24)
작업분류체계(221)
작업목록(222)
안전기준(223)
안전대책(224)
금일작업내용(231)
명일작업내용(232)

Claims (2)

  1.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의 안전기준을 저장하고
    상기 작업의 안전기준과 작업일보상의 작업을 비교하여
    작업의 위험을 분석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는 작업일보를 분석하여 안전위험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일보 분석을 통한 안전위험 분석 장치.
  2.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작업의 안전기준을 수립하여 저장하는 단계 ;
    현장에서 작업일보를 작성하는 단계 ;
    상기 안전기준과 작업일보상의 작업내용을 비교하는 단계 ;
    작업내용이 안전기준을 초과하여 안전위험을 분석하는 단계 ;
    상기 안전위험 분석결과를 단말기로 통지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작업일보를 분석하여 안전위험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일보 분석을 통한 안전위험 분석 방법.

KR1020190043419A 2019-04-14 2019-04-14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120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19A KR20200120854A (ko) 2019-04-14 2019-04-14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19A KR20200120854A (ko) 2019-04-14 2019-04-14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854A true KR20200120854A (ko) 2020-10-22

Family

ID=7303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419A KR20200120854A (ko) 2019-04-14 2019-04-14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08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roszczyk Improving construction safety: A team effort
KR102631996B1 (ko)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Zhang et al. BIM-based fall hazard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in construction safety planning
Azhar et al. A BIM-based approach for communicating and implementing a construction site safety plan
Baniassadi et al. A simulation-based framework for concurrent safe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KR20200121699A (ko) 건설현장 작업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작업일보 생성을 통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54794A (ko)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Yeoh et al. Integrating crane information models in BIM for checking the compliance of lifting plan requirements
KR20200120855A (ko) Pmis 내부의 온라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00401A (ko)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Peñaloza et al. Resilience skills used by front-line workers to assemble precast concrete structures: an exploratory study
KR20200120854A (ko) Pmis 내부의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Chellappa et al. Aiming at the improvement of safety at Indian construction workplace
Tatum Integrated construction engineering activities to satisfy challenging project objectives
Toole et al. Primer on federa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standards
Usmen et al. Evaluation of safety, quality and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Behm et al.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through design
Toole et al. Prevention through Design
Behm Design for construction safety: an introduction, implementation techniques, and research summary
LINE et al. Prevention through Design
Toole et al. Designing steel for construction safety
KR20220000402A (ko)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Lu et al. Safety-Centric “Time-Cost Trade-off” Theory and Methodology for Planning Industrial Construction
Beamish et al. Application of fault tree analysis to coal spontaneous combustion
Wilkes-Barre Replace Building 1 Domestic Hot Water He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