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206A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206A
KR20210119206A KR1020200035828A KR20200035828A KR20210119206A KR 20210119206 A KR20210119206 A KR 20210119206A KR 1020200035828 A KR1020200035828 A KR 1020200035828A KR 20200035828 A KR20200035828 A KR 20200035828A KR 20210119206 A KR20210119206 A KR 20210119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iisocyanate
surface protection
prot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진
김현철
최정민
강현구
임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0003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206A/ko
Publication of KR2021011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여 고온에서의 점착력이 유지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봉지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플라스틱 OLED의 제조과정 중 고온 처리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력 저하를 방지하며, 상기 점착력 저하에 따른 피착제와의 탈착으로 인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여 고온에서의 점착력이 유지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저전압 구동에 따라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 시야각 및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불순물, 산소 및 수분에 매우 취약하여 외부 노출 또는 수분, 산소 침투에 의해 특성이 쉽게 열화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 전자 장치의 내부로 산소,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봉지층(Encapsulation)이 요구된다.
상기 봉지층은 제조 과정 또는 제조된 후에 봉지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포함하는데, 보호필름은 봉지층과 합지 후 제거되며, 제거 후 봉지층의 손상과 잔사가 없어야 하므로 낮은 박리력과 높은 잔류 점착력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일반적으로 용제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용제를 휘발하는 공정에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레벨링(Leveling)의 저하가 발생하며, 상기 용제를 처리하기 과정에서 생기는 환경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상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 타입으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봉지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플라스틱 OLED의 제조과정 중 고온 처리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력 저하를 방지하며, 상기 점착력 저하에 따른 피착제와의 탈착으로 인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필름의 일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말단이나 측쇄에 광반응성기를 갖는 우레탄계 수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말단에 2개 이상의 광반응성기를 갖는 가교제;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2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속도로 측정한 20℃ 박리력이 0.5 gf/in 이상 6 gf/in이하이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5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속도로 측정한 50℃ 박리력이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45% ≤ 50℃ 박리력 / 20℃ 박리력 X 100 ≤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고온 분위기에서도 점착력의 저하를 방지하므로 피착체와의 탈착으로 인해 생기는 기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및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는 "A 및 B, 또는 A 또는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단량체 단위(monomer unit)"는 중합체 내에서 단량체가 반응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그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그 중합체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수평균분자량”은 그 화합물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ml의 유리병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와 화합물을 넣어 화합물의 농도가 1 wt%인 샘플 시료를 준비하고, 표준 시료(폴리스티렌, polystryere)와 샘플 시료를 필터(포어 크기가 0.45㎛)를 통해 여과시킨 후, GPC 인젝터(injector)에 주입하여, 샘플 시료의 용리(elution) 시간을 표준 시료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곡선과 비교하여 화합물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측정 기기로 Infinity II 1260(Agilient 社)를 이용할 수 있고, 유속은 1.00 mL/min, 컬럼 온도는 40.0 ℃로 설정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유리전이온도(Glass Temperature, Tg)”는 시차주사열계량법(Differnetial Scanning Analysis, DSC)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STAR3, METTLER TOLEDO社)를 이용하여, 시료를 -70 ℃ 내지 150 ℃ 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속도 5 ℃/min으로 승온하며, 상기 구간에서 2 회(cycle)의 실험을 진행하여 열변화량이 있는 지점으로 작성된 DSC 곡선의 중간점을 측정하여 유리전이온도를 구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웨팅성(wetting)은, 점착제가 피착재의 표면 모두에 대하여 웨팅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무용제형”은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필름의 일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말단이나 측쇄에 광반응성기를 갖는 우레탄계 수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말단에 2개 이상의 광반응성기를 갖는 가교제;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2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속도로 측정한 20℃ 박리력이 0.5 gf/in 이상 6 gf/in이하이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5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속도로 측정한 50℃ 박리력이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45% ≤ 50℃ 박리력 / 20℃ 박리력 X 100≤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고온 분위기에서도 점착력의 저하를 방지하므로 피착체와의 탈착으로 인해 생기는 기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용제를 휘발하는 공정에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레벨링(Leveling)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광경화 방식을 이용하는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테트라플로오루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10 ㎛ 이상 15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50 ㎛ 이상 125 ㎛ 이하 또는 50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의 봉지재층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합착 시 기재필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필름의 합착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필름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스퍼터 에칭 처리 등의 적절한 점착 처리가 수행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과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과 제2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반응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1 또는 2 이상의 폴리올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관능 또는 다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관능의 의미는 관능기가 2 이상 결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주쇄 말단이나 측쇄에 광반응성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수지는 주쇄 말단이나 측쇄에 히드록시기가 있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로 캡핑(capping)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수지는 주쇄 말단이나 측쇄에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또는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로 캡핑(capp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주쇄 말단이나 측쇄에 광반응성기를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광경화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광반응성기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광반응성기를 선택함으로써, 우레탄계 수지의 광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지니는 유기 화합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알킬렌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또는 폴리카프로락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이소시아네이트(NCO)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반응성 아미노기와 반응하는 추가의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사슬에 걸쳐 분포된 측면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분자당 2 내지 10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2 내지 6개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 g/mol 이상 10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 10,000 g/mol 이상 70,000 g/mol 이하, 30,000 g/mol 이상 60,000 g/mol 이하 또는 40,000 g/mol 이상 5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네오펜틸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MPD); 2-에틸-2-부틸-1,3-프로판디올; 1-에틸-2-메틸-1,3-프로판디올; 2-에틸-2-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BEPD); 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1,3-펜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헥실렌 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필 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파노에이트 (히드록시피발릴 히드록시피발레이트(HPHP));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TMPD); 수소화 비스페놀A;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이들 중 임의의 것의 에톡실화 및/또는 프로폭실화 형태 (예컨대 프로폭실화 글리세롤);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폴리올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우레탄 수지의 기본적인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다관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다관능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폴리올과 반응하여 우레탄계 수지(프리폴리머)를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분자당 평균 6개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바람직하게는 2 이상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4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계 수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제2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올리고머, 폴리머, 고리형 단량체, 또는 통상적인 지방족계 또는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용화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올리고머 등을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1,12-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부탄 -1,3-디이소시아네이트,시클로헥산-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2,4-헥사히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헥사히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퍼히드로-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퍼히드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스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DI),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2,6-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MDI),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우레탄 수지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극성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탄소수 4 이상 15 이하인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일 수 있으며, 상기 극성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극성기는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이상 20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60 중량부 내지 190 중량부, 70 중량부 내지 180 중량부, 80 중량부 내지 170 중량부, 90 중량부 내지 160 중량부 또는 10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점착제층에 의하여 구현되는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광경화가 가능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예컨데,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가교제를 선택함으로써, 연필경도 및 젖음성(웨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6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8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내에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연필경도 및 젖음성(웨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히드록시기 및 기재필름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점착제층 간의 가교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점착제층과 기재필름층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가 향상되어 고온에서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또는 1.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점착제층 간의 가교도를 향상시키고 기재필름과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유리전이 온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고온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개 이상 6 개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3 개 이상 5 개 이하 또는 4 개 이상 5 개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점착제층 간의 가교도를 향상시키고 기재필름과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지방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지환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지방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고, 상기 지환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선택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히드록시기 및 기재필름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점착제층 간의 가교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점착제층과 기재필름층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리전이 온도가 향상되어 고온에서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소제는 디이소노닐시클로헥산-1,2-디카복실레이트(DINCH), 비스-2-에틸헥실헥산디오에이트(DEHA), 디옥틸아디페이트(DOA),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DINA),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벤조네이트(DPGDB),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데틸헥산노에이트(TEG-EH), 폴리(이소부틸렌-코-파라메틸스티렌)(IPMS),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PP, Isopropyl Palmit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PMS, Isopropyl myristrate), 시트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는 점착제층의 피착재층에 대한 웨팅성을 높이고, 점착제층의 소프트한 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점착제층의 저점착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레이트계 가소제는 트리에틸시트레이트(TEC),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트리부틸시트레이트(TBC),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또는 아세틸트리옥틸시트레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소제는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소제는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2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내에서 상기 가소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연필경도 및 젖음성(웨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점착제 조성물이 광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층의 경화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상기 가교제 및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총합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상기 가교제 및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총합 100 중량부 대비 0.2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 0.3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하 또는 0.4 중량부 이상 2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상기 가교제 및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총합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의 경화도 및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전방지제는 유기염타입 대전방지제, 무기염타입 대전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통상적인 보호 필름은 소재의 특성상 높은 표면 전기 저항에 따른 정전기로 인해 보호 필름을 봉지층에서 박리시 상기 봉지층에 잔상이 남고, 티끌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유기 발광 소자에 손상을 나타내고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이물질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 내지 100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2 ㎛ 이상 95 ㎛ 이하, 14 ㎛ 이상 90 ㎛ 이하, 16 ㎛ 이상 85 ㎛ 이하, 20 ㎛ 이상 80 ㎛ 이하 또는 15 ㎛ 이상 75 ㎛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공정용 보호 필름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점착성 및 웨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필름 상에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코팅액을, Applicator 코팅, 바코터 등의 통상의 수단으로 기재층에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은 2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박리력이 0.5 gf/in 내지 6 gf/in, 바람직하게는 1 gf/in 내지 6 gf/in이다. 상기 박리력은 후술하는 실험예의 박리력 평가 방법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5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속도로 측정한 50℃ 박리력이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다.
[수학식 1]
45% ≤ 50℃ 박리력 / 20℃ 박리력 X 100 ≤ 100%
본 명세서에서 박리력은 보호 필름을 폭이 25 mm, 길이가 150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유리에 부착하고,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 Texture Analyzer(영국 스테이블 마이크로 시스템 社)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 필름을 유리로부터 1.8 m/min의 박리 속도 및 180°의 박리 각도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대전 방지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에만 대전 방지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에만 대전 방지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 각각에 대전 방지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위치에 대전 방지층이 더 구비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이물질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1) 점착제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2 L 5구 콘덴서 유리 반응기를 준비 후 2 관능 폴리올인 SC-2204(한국 폴리올 社, Mn-2,000g/mol) 764 g과 디사이클로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Evoniki社, H12MDI) 110 g 투입 후 순차적으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LG화학 社, 2EHA) 300 g, 라우닐아크릴레이트(미원스페셜티 社, M120) 300 g을 정량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난 후 1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균일상이 되도록 70 ℃까지 승온 및 유지한다. 동온에서 DBTDL 50 ppm을 투입하여 NCO prepolymer 반응을 유도하며, 78 내지 82 ℃에서 3시간 유지한다. 이후 2-HEA(일본촉매 社)를 26 g을 투입 후 80 ℃에서 3 hr 유지하며 FT-IR로 NCO peak(2,260 cm-1) 이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 약 80,000g/mol의 폴리이서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인 우레탄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35 중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8 중량부, 가교제(트리메틸올프로페인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10 중량부, 가소제(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IPMS) 52 중량부 및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광개시제(Irgacure 184)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75 ㎛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H33P, 코롱 社)인 기재필름의 양면에 각각 50 nm의 대전 방지층이 코팅하여 기재필름을 준비하였다. 보호층으로는 50 ㎛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XD510P, TAK 社)의 양면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되고, 하나의 대전 방지층 상에 이형층이 코팅된 필름(12ASW, SKC 社)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과량도포 후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이형층이 마주보도록 합지하고,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이형층 사이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두께가 75 ㎛가 되도록 코팅을 한다. 광원 (black light)을 이용하여 700 mJ/cm2의 광에너지 조건 하에서 광경화 시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점착제 조성물 제조 시,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3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제조된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33 중량부,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75 중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6 중량부, 가교제(트리메틸올프로페인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10 중량부, 가소제(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IPMS) 42 중량부 및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광개시제(Irgacure 184)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점착제 조성물 제조 시,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점착제 조성물 제조 시,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4.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박리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표면 보호 필름을 폭이 25 mm, 길이가 150 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유리에 부착하고, 상온에서 24 시간동안 보관한다. 이어서, Texture Analyzer(영국 스테이블 마이크로 시스템 社)를 사용하여, 20℃ 및 50℃ 온도에서 각각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유리로부터 1.8 m/min의 박리 속도 및 180°의 박리 각도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 실험예 2: 유리전이 온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점착제층의 “유리전이온도(Glass Temperature, Tg)”는 시차주사열계량법(Differnetial Scanning Analysis, DS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STAR3, METTLER TOLEDO社)를 이용하여, 시료를 -70 ℃ 내지 150 ℃ 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속도 5 ℃/min으로 승온하며, 상기 구간에서 2 회(cycle)의 실험을 진행하여 열변화량이 있는 지점으로 작성된 DSC 곡선의 중간점을 측정하여 유리전이온도를 구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측정된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20℃ 박리력
(gf/in)
3.6 4.9 2.3 3.4 7.4
50℃ 박리력/ 20℃ 박리력X100
(점착력 유지율, %)
48.1 50.0 52.3 40.3 41.5
유리전이온도
(℃)
-59 -56 -62 -62 -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는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함량이 특정한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20℃ 박리력이 0.5 gf/in 이상 6 gf/in이하이고, 점착력 유지율이 45%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하여,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점착력 유지율이 저하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가 과량 포함된 비교예 2는 역시 점착력 유지율이 저하되었으며, 박리력이 과도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피착제에 탈착되지 않아 기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6)

  1. 기재필름의 일면에 점착제층이 구비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말단이나 측쇄에 광반응성기를 갖는 우레탄계 수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말단에 2개 이상의 광반응성기를 갖는 가교제;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2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속도로 측정한 20℃ 박리력이 0.5 gf/in 이상 6 gf/in이하이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50℃에서 유리에 대하여 180°의 박리각도 및 1.8 m/min의 박리속도로 측정한 50℃ 박리력이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수학식 1]
    45% ≤ 50℃ 박리력 / 20℃ 박리력 X 100 ≤ 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광반응성기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인 것인, 표면보호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과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다관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다관능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이상 200 중량부 이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이상 6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지방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지환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이며,
    상기 지방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이고,
    상기 지환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우레탄계 수지,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상기 가교제 및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총합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표면 보호 필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두께가 10 ㎛ 내지 100 ㎛인, 표면 보호 필름.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대전 방지층이 더 구비된, 표면 보호 필름.
KR1020200035828A 2020-03-24 2020-03-24 표면 보호 필름 KR20210119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828A KR20210119206A (ko) 2020-03-24 2020-03-24 표면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828A KR20210119206A (ko) 2020-03-24 2020-03-24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206A true KR20210119206A (ko) 2021-10-05

Family

ID=7807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828A KR20210119206A (ko) 2020-03-24 2020-03-24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2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3050B2 (en) Liquid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adhesive bonding method
JP2011127103A (ja) 複合フィルム
KR20210119285A (ko) 표면 보호 필름
CN115595073A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WO2014054542A1 (ja) コート層組成物
TW202035611A (zh) 表面保護膜及製造有機發光電子裝置之方法
KR20210119206A (ko) 표면 보호 필름
KR102347872B1 (ko) 표면 보호 필름
KR102652048B1 (ko) 광경화형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및 반도체 공정용 기재
JP6269646B2 (ja)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CN113490726B (zh) 表面保护膜、用于制造表面保护膜的方法以及用于制造有机发光电子器件的方法
CN114133886A (zh) 一种汽车漆面保护膜
TW202216943A (zh) 黏著劑組成物及表面保護膜
KR102327839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CN114174452B (zh) 用于光学构件的表面保护膜
JP7127596B2 (ja)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水酸基末端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の製造方法
TWI839801B (zh) 聚異氰酸酯組合物、硬化膜、黏著性樹脂組合物、黏著性樹脂片材、及積層膜
KR102596425B1 (ko)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JP6769503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とその使用方法
KR102487395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210155923A (ko) 광경화성 우레탄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필름
TW202400735A (zh) 光固化組成物、包括其固化產物之覆層以及製程膜
JP2022069137A (ja) 粘着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TW202330669A (zh) 光學用黏著劑以及黏著片
JP2018053261A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