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892A - 기기 제어 지원 장치, 프로그램 및 제어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제어 지원 장치, 프로그램 및 제어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892A
KR20210118892A KR1020217026706A KR20217026706A KR20210118892A KR 20210118892 A KR20210118892 A KR 20210118892A KR 1020217026706 A KR1020217026706 A KR 1020217026706A KR 20217026706 A KR20217026706 A KR 20217026706A KR 20210118892 A KR20210118892 A KR 2021011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rget device
analysis
control suppor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979B1 (ko
Inventor
레이 야노
슈지 하라시마
다카유키 기타가와
가즈야 이리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데지타루 소류숀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데지타루 소류숀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21011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4Quantitative history assessment, e.g. mathematical relationships between available data; Functions there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rtial least square [PLS]; Statistical classifiers, e.g. Bayesian networks, linear regression or correlation analysis;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6Modifications to the monitored process, e.g. stopping operation or adapt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어 지원 장치이며, 소정의 기기와 기기의 내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함과 함께, 소정의 기기와 기기에 대해 공개되는 외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관리부(102)와, 소정의 기기에 있어서의 대상 기기에 대해, 대상 기기에 관련된 내부 정보와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103)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기기 제어 지원 장치, 프로그램 및 제어 지원 방법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기기의 제어를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지컬 공간, 즉 실세계 상의 환경에 대해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버 공간, 즉 정보 공간에 있어서 시뮬레이트 또는 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피지컬 공간에 피드백하는 기술의 총칭으로서, CPS(Cyber-Physical System)가 제창되고 있다. 또한, 근년, 이 CPS를 기기의 설계 현장, 제조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시장에 유통되는 기기는, 일반적으로, 설계 기술자에 의해 설계되어, 그 부품에 대해 제조되거나 또는 외부로의 발주가 이루어지고, 복수의 조립 공정 및 시험, 종합 시험 등의 공정이 실행됨으로써 제조된다. 이들 제조 공정에 CPS를 적용함으로써, 각 제조 공정에서 생기는 각종 정보를 축적하고, 각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이상의 발생을 감시하여,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기 전에 미연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CPS에 관련된 기술로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커뮤니티의 사회 인프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복수의 모듈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사회 인프라에 관한 이벤트를 검지해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여 사회 인프라 또는 커뮤니티에 관한 지역의 특성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산출된 특성에 따른 모듈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된 모듈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작성부를 구비하는, 사회 인프라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5981418호 공보
유통되어, 운용되는 기기에 대해 보다 고정밀도로 제어를 행하는 것이 하나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유통되어, 운용되는 기기에 대해 보다 고정밀도로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어 지원 장치이며,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의 내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함과 함께,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에 대해 공개되는 외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소정의 기기에 있어서의 대상 기기에 대해, 해당 대상 기기에 관련된 내부 정보와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지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지원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설계 사양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품 사양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계획적 이벤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돌발적 이벤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기기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상황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기기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상황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어 지원 장치의 전체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분석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생성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평가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어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제어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어 지원 시스템에 의한 기기의 운용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제어 지원 시스템을 적용 가능한 기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지원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지원 시스템은, 기기(3)를 대상으로 하여 제어 지원을 행하는 시스템이며, 제어 지원 장치(1), 운용 관리 단말기(2), 운용 감시 단말기(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지원 시스템이 이용되는 상황으로서, 운용 현장 A 내지 운용 현장 C를 상정하고, 각 운용 현장에 있어서는, 복수의 기기(3)와, 이들 기기(3)의 운용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2)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운용 현장 A 내지 C의 어느 것에 있어서의 기기(3)의 운용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자가 사용하는 운용 감시 단말기(4)가 운용 현장 A 내지 C와는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기(3)를 제조하는 제조 시설에는, 기기(3)의 제조에 관한 각 공정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제조 관리 단말기(5)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관리자로서는, 빌딩 내에 마련된 설비 기기를 관리하는 사람을 들 수 있고, 감시자로서는, 빌딩의 오너나 빌딩을 대상으로 한 보험을 취급하는 보험 회사 등, 설비 기기를 관리하지 않지만 설비 기기의 상황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들 수 있다. 제어 지원 장치(1), 운용 관리 단말기(2), 기기(3), 운용 감시 단말기(4), 제조 관리 단말기(5)는, 모두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지원 장치(1)는, 운용 관리 단말기(2), 기기(3), 운용 감시 단말기(4), 제조 관리 단말기(5)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기(3)의 각각은, 기기(3)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운용 현장 A 내지 C의 각각에는, 기기(3)의 운용에 관련된 운용 현장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센서에 대해서도, 운용 관리 단말기(2)를 경유하여 또는 직접,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지원 장치(1)와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운용 관리 단말기(2), 운용 감시 단말기(4), 제조 관리 단말기(5)는, 각각의 유저를 나타내는 ID와 인증 정보에 의해 제어 지원 시스템에 로그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운용 관리 단말기(2)와, 이 운용 관리 단말기(2)가 설치되는 운용 현장에 있어서 운용되는 기기(3)가 미리 대응지어지는 것으로 한다.
(제어 지원 장치의 구성)
제어 지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3은, 각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지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지원 장치(1)는, 하드웨어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1), RAM(Random Access Memory)(12), 기억 장치(13), 입출력 I/F(Interface)(14), 네트워크 I/F(15)를 구비한다. CPU(11) 및 RAM(12)는 협동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기억 장치(13)는 각종 기능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제어 지원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입출력 I/F(14)는, 제어 지원 장치(1)에 접속되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나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와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네트워크 I/F(15)는, 운용 관리 단말기(2), 기기(3), 운용 감시 단말기(4) 등의 다른 장치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용 관리 단말기(2), 운용 감시 단말기(4), 제조 관리 단말기(5)는 제어 지원 장치(1)와 대략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인 것으로 하고, 따라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지원 장치(1)는, 기능으로서, 취득부(101), 관리부(102), 분석부(103), 생성부(104), 송신부(105), 제시부(106), 평가부(107)를 구비한다. 취득부(101)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후술하는 내부 정보, 외부 정보, 검지 정보를 취득한다. 관리부(102)는, 후술하는 내부 정보 DB(DataBase), 외부 정보 DB, 검지 정보 DB, 로그 정보 DB를 관리한다. 분석부(103)는,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으로 하는 기기(3)의 운용 상황을 예를 들어 AI(Artificial Intelligence) 등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생성부(104)는, 분석부(103)에 의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기기(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부(105)는,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기기(3)로 송신한다. 제시부(106)는, 운용 관리 단말기(2)를 이용하는 관리자, 운용 감시 단말기(4)를 이용하는 감시자에 대해, 분석부(103)에 의한 분석 결과,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다. 평가부(107)는, 운용 관리 단말기(2)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분석부(103)에 의한 분석 결과,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에 대해 평가점을 부여한다.
(내부 정보)
내부 정보 DB에 축적되는 내부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설계 사양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부 정보는, 분석 및 제어 지원을 행하는 대상으로서의 기기(3)에 대해, 이 기기(3)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설계 사양 정보, 제조 과정 정보, 유통 후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설계 사양 정보는, 설계 기술자에 의해 정해지는 정보이며, 기기(3)의 기종에 대해, 사용 조건, 상세한 임계값 등이 대응지어진다. 제조 과정 정보는, 기기(3)의 기종에 대해, 각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정보, 시험 정보,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센서 데이터 등의 트레이서빌리티 정보 등이 대응지어진다. 유통 후 정보는, 기기(3)가 시장에 유통된 후에, 기기(3)의 제조자가 파악 가능한 정보이며, 기기(3)의 기종, 나아가 기기(3)의 제조 라인에 대해, 불량품 정보, 고장 정보, 보수 정보, 클레임 정보 등이 대응지어진다.
기기(3)의 기종으로서는, 동일한 구성인 기기(3) 별로 분류하는 「형번」, 동일한 설계 방법이 사용된 기기(3)별로 분류하는 「계(제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내부 정보에 포함되는 각 정보는, 제조 관리 단말기(5)의 기억 장치에 축적되어, 제어 지원 장치(1)의 취득부(101)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계 사양 정보에 있어서는, 기기(3)의 종별을 나타내는 제품 카테고리, 기기(3)의 계를 나타내는 제품명, 기기(3)의 형번, 기기(3)의 제조년, 소정의 임계값을 나타내는 조건, 조건의 구분을 나타내는 항목, 조건이 충족된 경우의 동작, 대응하는 조건 하에서 요망되는 동작에 관한 설계자에 의한 코멘트를 나타내는 설계 코멘트가 대응지어진다. 예를 들어, 설계 사양 정보에는, 에스컬레이터인 CCC계의 B에 대해, 수송 인원이 900명/10분간 이상인 경우, 승강구의 스피커로부터 아나운스를 출력하는, 본 기기가 복수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이면 다른 에스컬레이터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어시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CCC계의 B에 대해, 수송 인원이 1200명/10분간 이상인 경우, 컨트롤 센터에 경고를 통지하고 동작을 정지시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로봇 청소기인 청소기 AAA의 A에 대해, 그 기체 내 온도가 55℃ 이상으로 된 경우에 동작을 정지시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외부 정보)
외부 정보 DB에 축적되는 외부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품 사양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계획적 이벤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돌발적 이벤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정보는, 기기(3)의 운용 현장의 관리자가 파악 가능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제품 사양 정보, 계획적 이벤트 정보, 돌발적 이벤트 정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제품 사양 정보는, 인터넷 상에서 공개되는 제품 사양이다. 계획적 이벤트 정보는, 전시 박람회, 스포츠 대회, 콘서트, 축제, SALE 등의 운용 현장에 있어서 계획적으로 행해지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운용 관리 단말기(2)에 있어서 입력된다. 돌발적 이벤트 정보는, 기후 등의 운용 현장의 관리자에 의해 컨트롤할 수 없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이며, 인터넷 상에서 공개되는 정보가 사용된다. 제품 사양 정보, 돌발적 이벤트 정보, SNS 정보에 대해서는, 웹 스크래핑 등의 기지의 방법에 의해 제어 지원 장치(1)의 취득부(101)에 의해 취득되는 것으로 하고, 계획적 이벤트 정보에 대해서는, 운용 관리 단말기(2)에 입력된 후, 취득부(101)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품 사양 정보에 있어서는, 기기(3)의 종별을 나타내는 제품 카테고리, 기기(3)의 계를 나타내는 제품명, 기기(3)의 형번, 소정의 임계값을 나타내는 조건, 조건의 구분을 나타내는 항목이 대응지어진다. 예를 들어, 제품 사양 정보에는, 에스컬레이터인 CCC계의 B에 대해, 수송 인원은 1000명/10분간까지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나, 로봇 청소기인 청소기 AAA의 A, 청소기 BBB의 B의 각각에 대해, 가동 온도는 0℃ 이상 50℃ 이내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획적 이벤트 정보에 있어서는, 회장, 장소ㆍ플로어, 예정 카테고리, 개시 일시, 종료 일시, 개장 일시, 폐장 일시, 청소 개시 일시, 인원수, 지역이 대응지어진다. 계획적 이벤트 정보에는, 예를 들어 2019년 3월1일(금)의 10:00 내지 12:00에, 도쿄도 미나토구의 ××빌딩 3F의 ○○홀에 있어서, 3000명이 모이는 강연회가 있고, 회장 시간 9:30, 폐장 시간이 12:30, 청소 개시 시간 14:00라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발적 이벤트 정보에 있어서는, 지역, 날자, 복수의 시간대가 대응지어진다. 돌발적 이벤트 정보에는, 예를 들어 도쿄도 미나토구에서, 6:00-12:00, 12:00-18:00, 18:00-24:00의 각각의 시간대에 있어서의 날씨는, 맑음, 비, 눈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검지 정보)
검지 정보 DB에 축적되는 검지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기기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상황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기기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상황 검지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검지 정보는, 기기(3)에 구비된 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포함하는 기기 검지 정보와, 기기의 운용 현장에 설치된 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포함하는 상황 검지 정보를 포함한다. 기기 검지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온도, 진동, 각속도, 화상, 음성 등을 들 수 있다. 상황 검지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값으로서는, 운용 현장으로서의 기기(3)가 배치되는 시설에 대한 방문자수, 시설에 있어서의 기온, 시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 등을 들 수 있다.
도 8,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 검지 정보에 있어서는, 각각의 기기(3)를 일의로 나타내는 기기 ID, 제품명, 형번, 측정 시점을 나타내는 일시, 측정값이 대응지어진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기기 검지 정보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분간당 시설에 대한 방문자수가 시계열 데이터로서 축적되고, 로봇 청소기에 관한 기기 검지 정보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외 온도와, 기체 내 온도가 시계열 데이터로서 축적된다.
도 9,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황 검지 정보에 있어서는, 측정 시점을 나타내는 일시, 측정값, 장소 또는 지역이 대응지어진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상황 검지 정보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용 현장으로서의 빌딩에 대한 입관 인원수가 시계열 데이터로서 축적되고, 로봇 청소기에 관한 상황 검지 정보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용 현장이 위치하는 지역의 기온이 시계열 데이터로서 축적된다.
(전체 동작)
제어 지원 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어 지원 장치의 전체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제어 지원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종 정보가 소정 시간 주기로 취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분석부(103)는, 취득부(101)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개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1). 여기서, 분석 개시 조건이란, 후술하는 분석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조건이며, 예를 들어 이전에 이루어진 분석 결과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제어 지원 장치(1)의 가동 시에는, 무조건 분석 처리가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분석 개시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현재 일시가 계획적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는 일시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과거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돌출된 측정값이 검출되었는지 여부 등을 들 수 있다.
분석 개시 조건이 충족된 경우(S101, "예"), 분석부(103)가, 분석 개시 조건에 관련된 기기(3)를 대상 기기로 하고, 이 대상 기기의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처리를 실행하고(S102), 생성부(104)가, 대상 기기에 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처리를 실행하고(S103), 평가부(107)가, 분석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평가하는 평가 처리를 실행한다(S104). 한편, 분석 개시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S101, "아니오"), 분석부(103)는, 다시, 분석 개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1). 또한, 분석 정보와 이것에 기초하는 제어 정보는, 대상 기기와 대응지어지고, 로그 정보로서 로그 정보 DB에 축적된다.
(분석 처리)
분석 처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분석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모든 기기가 어떤 외부 정보, 검지 정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고, 내부 정보, 로그 정보에 대해서는, 이들을 갖고 있는 기기와 갖고 있지 않는 기기가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1). 여기서, 분석부(103)는, 예를 들어 설계 사양 정보에 대상 기기와 동일한 형번의 기기(3)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01, "아니오"),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02, "아니오"),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와 유사한 다른 기기(3)에 관한 로그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한다(S203). 여기서, 유사한 다른 기기(3)란, 대상 기기와 그 외부 정보가 유사한 기기(3)이다.
다음에,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에 대한 외부 정보 및 검지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하고(S204), 분석 대상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기기의 운용 상황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S205).
또한, 스텝 S202에 있어서,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202, "예"),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하고(S206), 대상 기기에 대한 외부 정보 및 검지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한다(S204).
또한, 스텝 S201에 있어서,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201, "예"),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하고(S207),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8).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08, "아니오"),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와 그 내부 정보가 유사한 다른 기기(3)에 관한 로그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하고(S209), 대상 기기에 대한 외부 정보 및 검지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한다(S204).
한편, 대상 기기에 대해 로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208, "예"), 분석부(103)는,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하고(S210), 대상 기기에 대한 외부 정보 및 검지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한다(S204).
이와 같이, 대상 기기에 관한 정보가 결여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 정보가 유사한 다른 기기(3)에 관한 정보를 분석 대상에 추가함으로써, 운용 상황의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보충할 수 있다.
(생성 처리)
생성 처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생성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생성부(104)는,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01).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301, "아니오"), 생성부(104)가, 분석부(103)에 의해 생성된 대상 기기에 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정보 후보 또는 대상 기기의 제어에 요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항목을 생성하고, 제시부(106)가, 대상 기기를 관리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2)를 통하여, 복수의 제어 정보 후보 또는 입력 항목을 분석 정보에 나타내는 분석 결과와 함께 관리자에게 제시한다(S302). 여기서, 제어 정보 후보는, 대상 기기와 외부 정보가 유사한 기기(3)의 내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다음에, 생성부(104)는, 복수의 제어 정보 후보 또는 입력 항목의 제시에 대해, 유저 입력이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303). 여기서, 생성부(104)는, 운용 관리 단말기(2)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 정보 후보 중 어느 제어 정보 후보의 선택, 또는 입력 항목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 유저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정한다.
유저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S303, "예"), 생성부(104)가 선택된 제어 정보 후보 또는 입력 항목에 입력된 파라미터와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S304), 송신부(105)가 제어 정보를 대상 기기로 송신하고(S305), 관리부(102)가 대상 기기에 대해 분석 정보와 제어 정보를 대응지어, 로그 정보로서 로그 정보 DB에 축적한다(S306).
한편, 유저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S303, "아니오"), 생성부(104)는, 다시, 유저 입력이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303).
또한, 스텝 S301에 있어서,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301, "예"), 생성부(104)가 대상 기기에 관한 내부 정보와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S307), 송신부(105)가 제어 정보를 대상 기기로 송신한다(S305).
이와 같이, 유사한 다른 기기(3)의 내부 정보 또는 입력된 파라미터와 분석 정보에 기초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내부 정보가 결여된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가 이후의 분석 처리에 사용됨으로써, 제어 정보에 의한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평가 처리)
평가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평가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평가부(107)는, 대상 기기를 관리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2)를 통하여, 분석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대상 기기의 운용 정보에 대한 분석과,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대상 기기의 제어에 대한 평가로서, 평가점의 입력을 관리자에게 재촉하고(S401), 평가점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2).
평가점이 입력된 경우(S402, "예"), 평가부(107)는, 로그 정보 DB에 있어서의 대상 기기에 관한 로그 정보에 평가점을 부가한다(S403).
한편, 평가점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S402, "아니오"), 평가부(107)는, 다시, 평가점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2).
이와 같이, 로그 정보에 평가점을 부가함으로써, 분석 처리에 사용되는 로그 정보에 대해 우선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구체예)
제어 지원 시스템에 의한 대상 기기가 에스컬레이터인 경우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쿄도 미나토구의 건물(××빌딩)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인 2대의 CCC계의 형번 B를 대상 기기로서 상정한다. 이 에스컬레이터가 구비하는 센서의 측정값이 기기 검지 정보로서 취득되고, 건물의 입관구에 설치된 입관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센서의 측정값이 상황 검지 정보로서 취득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건물의 홀에 있어서 개최되는 이벤트에 관한 계획적 이벤트 정보가 외부 정보 DB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 계획적 이벤트 정보에는, 예를 들어 2019년 3월 1일(금) 10:00-12:00의 시간대에 3000명이 모이는 강연회가 있고, 그 개장 시각은 9:30, 폐장 시각은 12:30인 것이 표시된다(도 6).
분석부(103)는, 계획적 이벤트 정보 중, 「개장 시각 9:30」을 트리거로 하여, ××빌딩에 설치된 CCC계의 형번 B를 대상 기기로 한 분석 처리를 실행한다. 이 대상 기기는, 내부 정보로서의 설계 사양 정보를 가지고 있고, 이 설계 사양 정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송원이 900명/10분간을 초과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구에 있는 스피커로부터 아나운스를 출력시키는 것, 에스컬레이터가 복수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이면, 다른 에스컬레이터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어시키는 것, 또한, 1200명/10분간을 초과하면, 컨트롤 센터에 경고를 통지해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표시된다.
이 건물에 설치된 2대의 에스컬레이터는, 각각 기기 ID가 1, 2이며, 통상, 에스컬레이터(기기 ID1)는 상승 방향으로 동작하고, 에스컬레이터(기기 ID2)는 하강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분석부(103)는, 도 8에 도시되는 기기 검지 정보에 있어서의 수송 인원의 추이와, 도 9에 도시되는 상황 검지 정보에 있어서의 입관 인원수의 추이에 기초하여, 에스컬레이터(기기 ID1, 2)의 운용 상황을 분석한다.
기기 검지 정보에 의하면, 9:40의 시점에서는, 에스컬레이터(기기 ID1)의 인원수는 400명/10분간이며, 상황 검지 정보에 의하면, 동 시각의 입관 인원수는 1200명/10분간을 초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검지 정보로부터, 분석부(103)는, 수분 후에 에스컬레이터(기기 ID1)에 사람이 집중될 것을 예측하고, 또한, 설계 사양 정보로부터, 에스컬레이터(기기 ID1)가 정지될 가능성을 예측한다. 또한, 분석부(103)는, 에스컬레이터(기기 ID2)의 수송 인원이 비교적 적은 것을 파악한다. 분석부(103)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분석 정보로서 생성한다.
생성부(104)는, 분석부(103)에 의해 생성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9:45의 시점에서, 에스컬레이터(기기 ID2)를 대상 기기로 하여, 에스컬레이터(기기 ID1)와 동일한 방향(상승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강연회 개시 시각 10:00를 경과 후, 입관 인원수는 격감되기 때문에, 생성부(104)는, 에스컬레이터(기기 ID2)를 통상 동작(하강 방향)으로 되돌리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부(104)는, 강연회 종료 시각 12:00가 되면, 에스컬레이터(기기 ID1)를 대상 기기로 하여, 에스컬레이터(기기 ID2)와 동일한 방향(하강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제2 구체예)
제어 지원 시스템에 의한 대상 기기가 로봇 청소기인 경우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제어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제어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술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빌딩에서 운용되는 로봇 청소기인 청소기 BBB의 형번 B를 대상 기기로서 상정한다. 이 로봇 청소기(이하, 로봇 청소기 B)가 구비하는 내부 온도 센서, 외부 온도 센서의 각각의 측정값이 기기 검지 정보로서 취득되고, ××빌딩이 위치하는 지역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의 측정값이 상황 검지 정보로서 취득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로봇 청소기 B는, 계획적 이벤트 정보에 도시되는 강연회가 행해지는 플로어에서 가동되는 것으로 한다.
이 로봇 청소기 B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연회의 폐장 후, 플로어의 청소를 14:00에 개시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 검지 정보로서, 로봇 청소기 B의 기체 외 온도와 기체 내 온도가 1분마다 취득됨과 함께,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황 검지 정보로서, ××빌딩이 위치하는 지역(도쿄도 미나토구)의 기온이 1분마다 취득된다. 분석부(103)는, 기기 검지 정보에 포함되는 14:32에 측정된 기체 외 온도가 다른 시각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트리거로 하여 분석 처리를 개시한다.
분석부(103)는, 도 7에 도시되는 돌발적 이벤트 정보, 도 11에 도시하는 상황 검지 정보로부터, 돌출된 기체 외 온도가 측정된 시각에 있어서의 ××빌딩의 기온에 변동이 없고, 해당하는 시간대에 있어서의 날씨가 비인 것, 또한, 기체 내 온도의 상승과 비교하여, 기체 외 온도가 크게 상승하고 있는 점에서, 로봇 청소기 B에 이상이 생기고 있는,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 B가 열원 H에 접근 중인 것을 추정한다.
또한, 분석부(103)는, 로봇 청소기 B에 대해, 내부 정보로서의 설계 사양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정보로서의 제품 사양 정보(도 5)를 참조하고, 또한, 로봇 청소기 B와 제품 사양 정보가 유사한 로봇 청소기인 청소기 AAA의 A(이하, 로봇 청소기 A)의 설계 사양 정보를 참조한다(도 4). 로봇 청소기 A의 설계 사양 정보에는, 내부 온도가 55℃를 초과하면 자동 정지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들 정보로부터, 분석부(103)는, 로봇 청소기 B가 계속해서 직진한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 B가 자동 정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부(104)는, 분석 정보와, 복수의 제어 정보 후보(정지, 180도 방향 전환, 후진 등) 또는 제어에 필요로 하는 파라미터의 입력 항목을 생성하고, 제시부(106)가, 복수의 제어 정보 후보 또는 입력 항목을 로봇 청소기 B에 대응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2)에 제시한다. 운용 관리 단말기(2)에 의해 제어 정보 후보의 선택 또는 입력 항목으로의 파라미터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생성부(104)는, 선택된 제어 정보 후보 또는 입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105)가 이 제어 정보를 로봇 청소기 B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후보로서 180도 방향 전환이 선택되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 B가 열원 H와는 역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열원 H로의 접근, 나아가, 로봇 청소기 B의 자동 정지나, 로봇 청소기 B가 열원 H와 접촉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회피할 수 있다.
(제어 지원 시스템의 운용예)
제어 지원 시스템의 운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제어 지원 시스템에 의한 기기의 운용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에는, 복수의 운용 현장(Edge) 중, 복수의 운용 관리 단말기(2)가 설치되는 운용 현장과 접속되는 제어 지원 장치(1)가 도시된다. 복수의 운용 관리 단말기(2)는, 각각 복수의 기기군과 접속되고, 1grp의 기기군은 제어 지원 시스템을 운용하는 기업에 의해 제조된 기기(3)인 자사제 기기(3a)가 복수 포함되고, 2grp, 3grp의 기기군은, 다른 기업에 의해 제조된 기기(3)인 타사제 기기(3b)가 복수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어 지원 장치(1)에 있어서, 분석부(103)는, 자사제 기기(3a)에 대해서는 이 자사제 기기(3a)에 관한 내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에 기초하여, 그 운용 상황에 관한 분석을 하고, 타사제 기기(3b)에 대해서는 이 타사제 기기(3b)에 관한 내부 정보가 관리부(102)에 의해 보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정보군(이벤트 정보 등의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그 운용 상황에 관한 분석을 한다.
생성부(104)는, 분석부(103)에 의한 분석에 의해 생성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자사제 기기(3a), 타사제 기기(3b)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들 제어 정보는, 송신부(105)에 의해, 대응하는 기기를 관리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로 송신된다. 또한, 분석 정보, 제어 정보는, 로그 정보로서 축적되고, 이후의 분석에 이용된다.
(제어 지원 시스템의 적용예)
제어 지원 시스템의 적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제어 지원 시스템을 적용 가능한 기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기(3)로서, 에스컬레이터, 로봇 청소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어 지원 시스템에 의한 제어 지원을 행하는 기기(3)로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인 자동차의 카 내비게이션 장치(31), 무인 자동차(32), 공조 등의 빌딩 설비(33), 가로등(34), 드론(무인 항공기)(35), 엘리베이터(36), 공장의 생산 설비(37) 등, 모든 기기(3)가 고려된다.
여기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31)를 대상 기기로 한 경우, 운용 관리 단말기(2)로서 내비게이션 장치(31)에 있어서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실현되는 것이 생각되고, 무인 자동차(택시, 버스, 트럭 등)(32)를 대상 기기로 한 경우, 운용 관리 단말기(2)로서 각 차의 관리 회사의 관리 센터에 설치되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빌딩 설비(33)를 관리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2)는 빌딩 관리 센터에 설치되고, 가로등(34)을 관리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2)는 지방 자치 단체의 관리 센터에 설치되고, 드론(35)을 관리하는 운용 관리 단말기(2)는 드론의 관리 센터에 설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36)를 대상 기기로 한 경우에는, 운용 관리 단말기(2)는 빌딩관리 센터에 설치되고, 운용 감시 단말기(4)는 보험 회사나 엘리베이터 보수 회사의 관리 센터에 설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에스컬레이터를 대상 기기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지원 프로그램은 상술한 제어 지원 장치의 내부에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서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 지원 프로그램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 것도 포함된다. 여기서 기억 매체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광 디스크(CD-ROM, DVD 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MO 등), 플래시 메모리 등, 제어 지원 장치에 대해 탈착 가능한 매체나, 또한 네트워크를 통함으로써 전송 가능한 매체 등, 상술한 제어 지원 장치로서의 컴퓨터에서 판독이나 실행이 가능한 모든 매체를 말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나 그의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제어 지원 장치
102: 관리부
103: 분석부
104: 생성부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어 지원 장치이며,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의 내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함과 함께,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에 대해 공개되는 외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소정의 기기에 있어서의 대상 기기에 대해, 해당 대상 기기에 관련된 내부 정보와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를 구비하는, 제어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생성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지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소정의 기기에 대해, 해당 기기에 대해 생성된 상기 분석 정보와, 해당 기기에 대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지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내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정보와 유사한 외부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기기에 대응하는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지원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지원 장치는, 상기 소정의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관리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생성된 분석 정보 및 제어 정보에 관한 평가값을 취득하고,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로그 정보에 부가하는 평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지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생성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파라미터의 입력 항목을 상기 관리 단말기에 있어서 제시하는 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입력 항목에 입력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지원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소정의 기기의 설계 사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지원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는,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돌발적 이벤트에 관한 정보, 계획적으로 예정되는 계획적 이벤트에 관한 정보, 상기 소정의 기기의 제품 사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지원 장치.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 지원 프로그램이며,
    상기 컴퓨터를,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함과 함께,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에 대해 공개되는 외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소정의 기기에 있어서의 대상 기기에 대해, 해당 대상 기기에 관련된 내부 정보와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지원 프로그램.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 지원 방법이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함과 함께,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에 대해 공개되는 외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고,
    상기 소정의 기기에 있어서의 대상 기기에 대해, 해당 대상 기기에 관련된 내부 정보와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지원 방법.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어 지원 장치이며,
    상기 소정의 기기와 해당 기기에 대해 공개되는 외부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소정의 기기에 있어서의 대상 기기에 대해, 해당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운용 상황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와,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생성된 분석 대상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구비하는 제어 지원 장치.
KR1020217026706A 2019-03-28 2020-03-19 기기 제어 지원 장치, 프로그램 및 제어 지원 방법 KR102643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3172 2019-03-28
JP2019063172A JP6903089B2 (ja) 2019-03-28 2019-03-28 機器制御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支援方法
PCT/JP2020/012455 WO2020196320A1 (ja) 2019-03-28 2020-03-19 機器制御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支援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892A true KR20210118892A (ko) 2021-10-01
KR102643979B1 KR102643979B1 (ko) 2024-03-07

Family

ID=7260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706A KR102643979B1 (ko) 2019-03-28 2020-03-19 기기 제어 지원 장치, 프로그램 및 제어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1187A1 (ko)
EP (1) EP3951668A4 (ko)
JP (3) JP6903089B2 (ko)
KR (1) KR102643979B1 (ko)
CN (1) CN113454659A (ko)
WO (1) WO2020196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3910A (zh) * 2022-09-19 2022-10-21 北京云迹科技股份有限公司 判断机器人是否需要暂停等待的方法及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1418U (ja) 1982-11-22 1984-06-01 安藤 誠 遮蔽用端部つき容器
JP2008243217A (ja) * 2001-01-30 2008-10-09 Nec Corp ロボット装置、照合環境判定方法、及び照合環境判定プログラム
JP5051238B2 (ja) * 2007-11-13 2012-10-17 富士通株式会社 制御代理装置
JP2013124179A (ja) * 2011-12-16 2013-06-2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5176370A (ja) * 2014-03-14 2015-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7010234A (ja) * 2015-06-22 2017-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17048046A (ja) * 2015-09-04 2017-03-09 村田機械株式会社 繊維機械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4234B2 (en) * 2000-10-06 2004-02-17 Gmac Insurance Company Customer service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2128400A (ja) * 2000-10-31 2002-05-09 Toshiba Corp 昇降設備の制御装置
US8428790B2 (en) * 2009-12-22 2013-04-23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in designated areas
WO2011137935A1 (en) * 2010-05-07 2011-11-10 Ulysses Systems (Uk)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relevant information for an enterprise
JP2012226680A (ja) * 2011-04-22 2012-11-1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産業制御システムを管理する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JP6591937B2 (ja) * 2016-06-29 2019-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運用保守知識情報の策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策定支援方法
US10247566B2 (en) * 2016-12-22 2019-04-02 Sap Se Electronic navigation system
US10318350B2 (en) * 2017-03-20 2019-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djusting environmentally aware resource provision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1418U (ja) 1982-11-22 1984-06-01 安藤 誠 遮蔽用端部つき容器
JP2008243217A (ja) * 2001-01-30 2008-10-09 Nec Corp ロボット装置、照合環境判定方法、及び照合環境判定プログラム
JP5051238B2 (ja) * 2007-11-13 2012-10-17 富士通株式会社 制御代理装置
JP2013124179A (ja) * 2011-12-16 2013-06-2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5176370A (ja) * 2014-03-14 2015-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7010234A (ja) * 2015-06-22 2017-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17048046A (ja) * 2015-09-04 2017-03-09 村田機械株式会社 繊維機械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979B1 (ko) 2024-03-07
JP7204824B2 (ja) 2023-01-16
JP2021152949A (ja) 2021-09-30
US20220121187A1 (en) 2022-04-21
CN113454659A (zh) 2021-09-28
EP3951668A4 (en) 2022-12-21
WO2020196320A1 (ja) 2020-10-01
JP6903089B2 (ja) 2021-07-14
JP2021152950A (ja) 2021-09-30
JP2020166307A (ja) 2020-10-08
EP3951668A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262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space and place utilization
US79651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and fireground management
WO2013163202A1 (en) Smart building unified managed solutions
US10796562B1 (en) Autonomous home security devices
EP3617117A1 (en) Model development framework for remote monitoring condition-based maintenance
US20230007451A1 (en) Digital twin incident response
KR102643979B1 (ko) 기기 제어 지원 장치, 프로그램 및 제어 지원 방법
KR102296561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복수개의 배전반 통합 관제시스템
CN112583769A (zh) 车站的运行监控系统
CN109709947A (zh) 机器人管理系统
CN104876082A (zh) 电梯监控系统及方法
KR20190048191A (ko) 빌딩 통합제어 및 3d 구현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KR102459915B1 (ko) 비상용 발전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JP7209978B2 (ja) 管理装置
US20220107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emptive shutdown of utilities, facilities or systems in smart cities
EP3467797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verification using access control system
US20140156662A1 (en) Predicting variable identify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EP345737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ud based predictive service scheduling and evaluation
García-Velasco et al. Characterization of automated systems integrated to a BMS: Successful case El Dorado International Airport
CN115571739A (zh) 大楼设备管理系统以及大楼设备管理方法
JP2020201534A (ja)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