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628A - 팬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팬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628A
KR20210118628A KR1020200035122A KR20200035122A KR20210118628A KR 20210118628 A KR20210118628 A KR 20210118628A KR 1020200035122 A KR1020200035122 A KR 1020200035122A KR 20200035122 A KR20200035122 A KR 20200035122A KR 20210118628 A KR20210118628 A KR 20210118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
flow path
lower plate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528B1 (ko
Inventor
조동연
Original Assignee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6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팬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과 하판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중심에 개방된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의 둘레를 따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격판에 의해 다수개의 제2유로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 또는 하판 어느 일측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 제1유로 및 제2유로에서 물과 공기가 연속적으로 부딪치면서 물 크기를 줄이면서 공기와의 접촉 시간과 공간을 증가시키며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팬 블레이드{Fan blades}
본 발명의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팬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과 하판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중심에 개방된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의 둘레를 따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격판에 의해 다수개의 제2유로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 또는 하판 어느 일측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 제1유로 및 제2유로에서 물과 공기가 연속적으로 부딪치면서 물 크기를 줄이면서 공기와의 접촉 시간과 공간을 증가시키며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펠러는 회전하는 모터에 장착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며 회전에 의해 주변의 유체를 혼합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그 목적과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모양, 크기, 재질 등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 공기 청정기에서 사용되는 반경류 임펠러(radial impeller)는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낸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임펠러는 유체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비산시킬 때 유체의 입자를 미세화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즉, 임펠러를 통해 비산되는 액적의 크기를 미립자화하는데 한계가 존재함으로써, 임펠러를 통해 비산되는 액체가 공기 청정기의 주변으로 낙하하는 확률이 증가한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 주변의 소규모 공간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예를 들어, 화학물질, 미세먼지, 박테리아, 꽃가루 등) 만이 정화되고 넓은 공간에 존재하는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임펠러를 통해 비산되는 액체를 미립자화함으로써 넓은 공간에 존재하는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임펠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액체를 미립자화하여 비산시킬 수 있는 임펠러(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9730호)가 제안되었으며, 상기 임펠러는 날개부에 다공성의 메쉬망을 설치함으로써, 임펠러를 통해 비산되는 액체를 미립자화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다공성의 메쉬망이 날개의 원주 방향 외측에 복수의 날개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접촉되는 시간과 공간이 부족하고, 물 표면적이 좁아 흡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제거된 이물질의 배출 경로가 막혀 이물질을 위한 세척 주기가 짧아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KR 10-0647895 (등록번호) 2006.11.13. KR 10-2019-0139730 (공개번호) 2019.12.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과 하판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중심에 개방된 제1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의 둘레를 따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개의 격판에 의해 다수개의 제2유로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 또는 하판 어느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에서 물과 공기가 연속적으로 부딪치면서 물 크기를 줄이면서 공기와의 접촉 시간과 공간을 증가시키며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공 매시 플레이트가 가장자리를 향하여 벌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물과 만나 이동할때에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지 못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 매시 플레이트의 한쪽면은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 또는 하판에 부착되고, 가장자리를 향하게 경사진 면은 일정구간 이상 개방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 찌꺼기가 고이지 않고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지 못하며 경사면을 따라 흘러 개방된 가장자리 틈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가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과 하판에서 엇갈리게 배치되어 표면적이 넓어지고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와 물이 여러 단계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면서 접촉이 반복되며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물에 최대한 흡착이 이루어지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에 의해서 강한 회전력을 갖는 블레이드 본체는 원심력에 의해서 유해가스와 물을 밀어냄으로써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것이 원활하고,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 전후단에서 물입자가 전진과 후퇴가 반복되면서 계속적으로 부서지지면서 쪼개져 표면적으로 높이면서 접촉에 의한 흡착 효율이 높아지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판의 제1유로가 형성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시 물에 흡착된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경사진 표면을 따라 좀 더 쉽게 가장자리로 이동해서 수조로 배출되어 세척주기를 연장하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서 중앙부에 가까운 메쉬망의 간격이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메쉬망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물이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격판에 부딪치고, 다시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 부딪치면서 작게 쪼개지므로 표면적을 넓히게 되고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등의 이물질을 캡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입자의 이물질은 중앙쪽 매시 플레이트에서 걸리고, 작은 입자의 이물질은 가장자리쪽 매시 플레이트에 걸리도록하며, 큰 입자의 이물질은 긴 거리를 이동하고 작은 입자의 이물질은 짧은 거리의 이동을 이동하여 수조로 배출되는 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110)과 하판(120)이 형성되되, 상기 하판(120) 중심에서 개방된 제1유로(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121)의 둘레를 따라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서 연장되되 상판(110), 하판(120) 또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로 이루어지는 제2유로(131)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100);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에서 상판(110) 또는 하판(120)에 일측이 부착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의 틀 형태의 메쉬망으로 외측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에서 엇갈려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 벽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를 향하게 경사진 부분은 개방된 개방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하판(120)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중심부에서 메쉬망의 간격이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메쉬망의 간격이 좁아진다.
본 발명의 하판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은 물과 결합되어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타고 외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개방면에서 다른 다공 매시 플레이트로(200)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과 하판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중심에 개방된 제1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의 둘레를 따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개의 격판에 의해 다수개의 제2유로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 또는 하판 어느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에서 물과 공기가 연속적으로 부딪치면서 물 크기를 줄이면서 공기와의 접촉 시간과 공간을 증가시키며 통과시킴으로써,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가 가장자리를 향하여 벌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물과 만나 이동할때에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지 못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의 한쪽면은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 또는 하판에 부착되고, 가장자리를 향하게 경사진 면은 일정구간 이상 개방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 찌꺼기가 고이지 않고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지 못하며 경사면을 따라 흘러 개방된 가장자리 틈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다수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가 블레이드 본체의 상판과 하판에서 엇갈리게 배치되어 표면적이 넓어지고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와 물이 여러 단계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면서 접촉이 반복되며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물에 최대한 흡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모터에 의해서 강한 회전력을 갖는 블레이드 본체는 원심력에 의해서 유해가스와 물을 밀어냄으로써 다공 매시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것이 원활하고,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 전후단에서 물입자가 부서지고 통과를 반복하며 접촉에 의한 흡착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상기 하판의 제1유로가 형성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시 물에 흡착된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경사진 표면을 따라 좀 더 쉽게 가장자리로 이동해서 수조로 배출되어 세척주기를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서 중앙부에 가까운 메쉬망의 간격이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메쉬망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물이 상기 블레이드 본체의 격판에 부딪치고, 다시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에 부딪치면서 작게 쪼개지므로 표면적을 넓히게 되고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등의 이물질을 캡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큰 입자의 이물질은 중앙쪽 매시 플레이트에서 걸리고, 작은 입자의 이물질은 가장자리쪽 매시 플레이트에 걸리도록하며, 큰 입자의 이물질은 긴 거리를 이동하고 작은 입자의 이물질은 짧은 거리의 이동을 이동하여 수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 블레이드의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 블레이드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 블레이드의 단면을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 블레이드의 단면도와 제2유로의 세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의한 공기의 이동(a) 및 이물질의 이동(b)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팬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본체 하판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팬 블레이드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110)과 하판(120)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120) 중심에서 개방된 제1유로(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121)의 둘레를 따라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서 연장되되 상기 상판(110), 하판(120) 또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로 이루어지는 제2유로(131)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100)와,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에서 상판(110) 또는 하판(120)에 일측이 부착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의 틀 형태의 메쉬망으로 서로 이격되어 바깥쪽(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은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120)은 상기 상판(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중심부에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1유로(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는 상기 제1유로(121)의 둘레를 따라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격판(130)에 의해 다수개의 제2유로(131)가 형성된다.
상기 격판(130)은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를 연결하며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부딪치며 쪼개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격판(130)에서 부딪치며 쪼개져서 상기 격판(1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131)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유로(131)를 통과하며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와 부딪치거나 또는 다공 매시 플레이이트(200)를 통과하거나 또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타고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 어느 일측에서 부착되되, 지름이 작은 메쉬망과 그보다 큰 지름을 갖는 메쉬망이 내측 외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배치된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와 강하게 부딪치면서 중심방향(전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상부 또는 하부로 굴절시기키거나,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구름이동하거나 또는 상판 또는 하판을 타고 이동하도록 하여 표면적이 넓어지게 하며,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최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일정각도로 외측으로 기울어져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에서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에서 지름이 가장 작은 제1메쉬망(210)이 상판(110)의 내측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제1메쉬망(210)보다 지름이 큰 제2메쉬망(220)이 그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판(120)에 부착되며, 상기 제2메쉬망(220)보다 지름이 큰 제3메쉬망(230)이 그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판(110)에 부착되고, 상기 제3메쉬망(230)보다 지름이 큰 제4메쉬망(240)이 그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판(120)에 부착된다. 이때,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상판과 하판에 부착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메쉬망은 각 단계에서 이물질 입자의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걸려 어느 하나의 메쉬망에 부담을 줄여줄 수 있고, 원심력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이동속도가 빠른 큰 입자의 이물질일수록 중심에 가깝게 부착되어 이동한다.
다단으로 배치된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과 하판(120)에서 엇갈리게 배치되어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부딪치고, 반사 또는 굴절 또는 통과되며 잘게 분리되어 표면적이 넓어지고, 물과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는 여러 단계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면서 완전한 접촉이 반복되며,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물에 완전한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 벽면에 부착되되, 가장자리를 향하게 경사진 끝부분(타측 끝부분)은 일정구간 이상이 개방되어 틈이 형성된다.
이에 미세먼지 또는 유해가스(이하 '이물질'이라 한다)가 포함된 공기는 물과 접촉된 상태로 다공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경사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4메쉬망(240)이 상기 하판(1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유로(121)와 상기 격판(1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131)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어 제2유로(131)를 통해 쪼개진 물과 이물질이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 중에서 가장 먼저 부딪치게 된다. 그리고 물과 결합된 이물질은 제4메쉬망(240)의 경사면을 타고 위로 올라가고 통과하여 제3메쉬망(230)에 부딪치고 제3메쉬망(230)의 경사면을 타고 아래로 내려가고 통과하여 제2메쉬망(220)에 부딪치며 제2메쉬망(220)의 경사면을 타고 위로 올라가고 통과하여 제1메쉬망(210)에 부딪치고 제1메쉬망(210)의 경사면을 타고 아래로 내려가서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에 이물질이 없는 공기 도는 매우 작은 이물질과 결합된 공기는 물과 결합하여 각 메쉬망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2유로(13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유로(131)는 복수개의 세부 유로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중심에서 가장 근접한 다공 매시 플레이트인 제4메쉬망(240)이 하판(12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제4메쉬망이 상판과 결합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물과 이물질이 이동하게 된다.
제2유로(131)는 크게 4개로 구분되며, 하판과 결합된 다공매시 플레이트(220, 240)를 타고 이동하는 2-1유로(132), 상판(110)과 결합된 다공매시 플레이트(210, 230)를 타고 이동하는 2-2유로(133), 하판에서의 이동로인 2-3유로(134), 상판에서의 이동로인 2-4유로(135)가 있다.
이들 세부 유로는 번갈라가며 물과 이물질이 이동하게 되는데, 도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물과 이물질이 분리되어 제1유로(121)를 통과하면 격판(130)과 부딪치며 제2유로(131)로 들어간다. 하판(120)과 결합된 제4메쉬망(240)과 부딪치는 물과 이물질은 일부는 반사되어 격판(130)쪽으로 이동하고, 작은 이물질 또는 이물질 없는 공기는 제4메쉬망(240)을 통과하고, 큰 입자의 이물질이 제4메쉬망(240)에 걸려 블레이드 본체(100)의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제4메쉬망(240)(2-1유로(132))의 끝단까지 이동한다. 이후 일부는 제4메쉬망의 바깥쪽 표면을 따라 하향되어 내려(2-1유로)와 하판(220)을 따라 이동하며(2-3유로(134)), 일부는 제4메쉬망(240)의 개방면을 통하여 제3메쉬망(230)으로 건너뛰어 제3메쉬망의 경사진 면을 따라 이동하여(2-2유로(133)) 제3메쉬망(230)의 끝단 개방면에서 제2메쉬망(220)을 따라 끝단으로 이동하거나(2-1유로(132)), 일부는 제3메쉬망(230)의 바깥면을 따라 이동(2-2유로(133))한후 상판을 따라 이동(2-4유로(135))하거나, 일부는 제3메쉬망(230)을 관통하여 제2메쉬망(220)으로 건너가거나, 일부는 제4메쉬망(240)으로 반사 또는 굴절되거나 한다.
각 다공 매쉬 플레이트(200)의 타측인 상판 또는 하판과의 개방면은 메쉬망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 및 물이 지나는 통로가 된다.
이 과정에서 물과 공기는 연속적으로 부딪치고, 분리되며 접촉하게 되어 물과 공기속의 이물질이 결합하게 된다.
물과 이물질의 이러한 이동은 상판과 하판의 끝단에 형성된 제1메쉬망(210)까지 연결되며 공기는 외측으로 빠져나가고, 이물질은 낙하하여 수조(미도시)에 떨어진게 된다.
이러한 물과 이물질의 이동은 메쉬상 사이에서 멈추지 않고 계속하여 이동하여 수조까지 이동하므로 블레이드 본체(100) 및 다공 매쉬 플레이트(200)에는 이물질의 부착이 최소로 되므로 이들의 세정 간격이 길어진다. 또한, 외측으로 경사진 다공 매쉬 플레이트(200)는 계속하여 공기와 강하게 부딪치며,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굴절시키면서 일부는 경사면을 따고 이동하므로 머물러 있는 공간이 줄어든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수처리 공기청정기의 상부에서 모터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팬 블레이드로서, 하부에 수조(미도시)가 있고, 측면에서 실내 공기가 들어올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력에 의해 수조 안의 물이 수조에서 팬 블레이드가 있는 상부로 올라오게 된다.
또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블레이드는 실내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에서 물과 공기가 만나 공기 중의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물이 올라오면서 공기는 정화된 상태에서 밖으로 배출된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물과 함께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직접적으로 반복적으로 통과하고, 일부 물과 큰 입자는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반복되는 접촉으로 물에 흡착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 찌꺼기가 고이지 않고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통과하지 못하며 경사면을 따라 흘러 끝부분에 개방된 가장자리 틈을 통해 하부로 떨어져 수조로 유입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하판(120)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은 평평한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120)은 상기 제1유로(121)가 형성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시 물에 흡착된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좀 더 쉽게 가장자리로 이동해서 수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팬 블레이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여러 겹으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르게 가장 큰 지름의 제4메쉬망(240)이 상판(110)에 부착되고, 상기 제4메쉬망(240)보다 작은 지름의 제3메쉬망(23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판(120)에 부착되며, 상기 제3메쉬망(230)보다 작은 지름의 제2메쉬망(22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판(110)에 부착되고, 상기 제2메쉬망(220)보다 작은 지름의 제1메쉬망(210)이 하판(120)에 부착된다.
이물질과 결합된 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각 메쉬망의 경사도를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쉽게 이물질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공기 정화 속도가 신속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하판(120)의 경사면에 의해 제2유로(131)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물에 흡착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에서 제1유로(121)을 통해 유입된 물과 이물질이 제2유로(131)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에서 이동하여 원심력에 의해 밀려가고 상하부로 오르내리거나 관통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물과 이물질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는 떨어지고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반복하다가 블레이트 본체(100)의 개방된 끝부분으로 떨어져 수조로 가게 된다.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끝단이 비어있고(개방면) 공기는 계속 통과하면서 부딪치고 나가기도 하고 안쪽으로 튀기도 하면서 이물질이 걸려서 내려오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중앙부에 가까운 메쉬망의 간격이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메쉬망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메쉬망의 간격이 가장 넓은 제4메쉬망(240)에서 그보다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고 떨어지고 작은 이물질은 통과하며 상기 제4메쉬망(240)보다 큰 지름의 메쉬망, 그러나 간격이 좁은 제3메쉬망(230) 또는 제2메쉬망(220) 또는 제1메쉬망(210)에서 이물질이 걸려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망규격이 조절되면서 어떤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 내느냐에 따라서 다른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격판(130)에 부딪치고,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에 부딪치면서 작게 쪼개지므로 표면적을 넓히게 되고 이물질을 캡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이물질은 블레이드 본체(100)가 고속 회전을 하므로,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며 제1메쉬망(210) 끝단에 개방면(개방된 틈)으로 배출되며, 바닥면을 따라 배출된다기 보다는 회전축 방향(횡축)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110)과 하판(120)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120) 중심에 개방된 제1유로(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121)의 둘레를 따라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개의 격판(130)에 의해 다수개의 제2유로(131)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 어느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에 상기 제1유로(121) 및 제2유로(131)에서 유입된 물이나 특수용제를 유해가스와 함께 통과시킴으로써, 물과 유해가스가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일부의 액체와 유해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다공 메쉬망으로 이루어지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일부 흐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한쪽면은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에 부착되고, 가장자리를 향하게 경사진 면은 일정구간 이상 개방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 찌꺼기가 고이지 않고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통과하지 못하며 경사면을 따라 흘러 개방된 가장자리 틈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다수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가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과 하판(120)에서 엇갈리게 배치되어 표면적이 넓어지고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와 물이 여러 단계의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면서 완전한 접촉이 반복되며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물에 완전한 흡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모터에 의해서 강한 회전력을 갖는 블레이드 본체(100)는 원심력에 의해서 유해가스와 물을 밀어냄으로써 유해가스와 물이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는 것이 원활하고,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 전후단에서 물입자가 부서지고 통과를 반복하며 접촉에 의한 흡착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상기 하판(120)의 제1유로(121)가 형성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시 물에 흡착된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좀 더 쉽게 가장자리로 이동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팬 블레이드는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에서 중앙부에 가까운 메쉬망의 간격이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메쉬망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물이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격판(130)에 부딪치고, 다시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에 부딪치면서 작게 쪼개지므로 표면적을 넓히게 되고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등의 이물질을 캡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블레이드 본체 110 : 상판
120 : 하판 121 : 제1유로
130 : 격판 131 : 제2유로
200 : 다공 매시 플레이트 210 : 제1메쉬망
220 : 제2메쉬망 230 : 제3메쉬망
240 : 제4메쉬망

Claims (6)

  1. 수처리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에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며, 상판(110)과 하판(120)이 형성되되, 상기 하판(120) 중심에서 개방된 제1유로(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121)의 둘레를 따라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서 연장되되 상판(110), 하판(120) 또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로 이루어지는 제2유로(131)가 형성되는 블레이드 본체(100);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에서 상판(110) 또는 하판(120)에 일측이 부착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의 틀 형태의 메쉬망으로 외측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는 팬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에서 엇갈려 배치되는 팬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은 상기 블레이드 본체(100)의 상판(110) 또는 하판(120) 벽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를 향하게 경사진 부분은 개방된 개방면으로 형성되는 팬 블레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20)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팬 블레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는 중심부에서 메쉬망의 간격이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메쉬망의 간격이 좁아지는 팬 블레이드.
  6. 제3항에 있어서,
    하판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은 물과 결합되어 상기 다공 매시 플레이트(200)를 타고 외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개방면에서 다른 다공 매시 플레이트로(200)로 이동하는 팬 블레이드.


KR1020200035122A 2020-03-23 2020-03-23 이물질 제거용 팬 블레이드 KR10236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22A KR102368528B1 (ko) 2020-03-23 2020-03-23 이물질 제거용 팬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22A KR102368528B1 (ko) 2020-03-23 2020-03-23 이물질 제거용 팬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628A true KR20210118628A (ko) 2021-10-01
KR102368528B1 KR102368528B1 (ko) 2022-02-28

Family

ID=7811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122A KR102368528B1 (ko) 2020-03-23 2020-03-23 이물질 제거용 팬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95B1 (ko) 2004-10-11 2006-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공기청정기용 다기능 팬
KR101435007B1 (ko) * 2013-04-22 2014-08-28 반석공조시스템(주) 소음 저감형 루버
KR20170067417A (ko)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에어워셔
KR102001198B1 (ko) * 2018-02-20 2019-07-17 주식회사 팬직 루프 팬
KR20190139730A (ko) 2018-06-08 2019-12-18 한국과학기술원 임펠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95B1 (ko) 2004-10-11 2006-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공기청정기용 다기능 팬
KR101435007B1 (ko) * 2013-04-22 2014-08-28 반석공조시스템(주) 소음 저감형 루버
KR20170067417A (ko)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에어워셔
KR102001198B1 (ko) * 2018-02-20 2019-07-17 주식회사 팬직 루프 팬
KR20190139730A (ko) 2018-06-08 2019-12-18 한국과학기술원 임펠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528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569B1 (ko) 메쉬망을 포함한 블레이드
US6764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gas
US20180147523A1 (en) Wet air purifier
KR20170129334A (ko)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탈취 세정 집진장치
KR102171046B1 (ko) 매시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CN111578398B (zh) 一种旋风空气消毒器
GB2026347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a liquid aerosol
US3645070A (en) Gas washer apparatus
CN114269453A (zh) 湿式集尘单元及使用其的湿式集尘装置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20200001819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2143207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2368528B1 (ko) 이물질 제거용 팬 블레이드
JP2003130404A (ja) 陰イオン発生装置
KR101979002B1 (ko) 유해가스 분진 제거장치
KR102184425B1 (ko) 미세입자제거 스크류형 필터장치
KR102178549B1 (ko) 공기청정기
CN109126352B (zh) 自清洁袋式除尘器
CN107349735B (zh) 一种净化器及净化方法
RU219177U1 (ru) Мультивихр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сепарационными наклонными пластинами
RU180148U1 (ru) Пылеуловитель для дробилок зерна
KR20200109051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501610B1 (ko) 공기정화용 팬블레이드
KR101694035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워터펌프
KR20210028907A (ko) 임펠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