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871A - 식품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871A
KR20210117871A KR1020200040269A KR20200040269A KR20210117871A KR 20210117871 A KR20210117871 A KR 20210117871A KR 1020200040269 A KR1020200040269 A KR 1020200040269A KR 20200040269 A KR20200040269 A KR 20200040269A KR 20210117871 A KR20210117871 A KR 2021011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frame
glass plate
door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태홍
김민
황인용
박은지
노양환
이상윤
오민규
권보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ind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저장장치(1)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0)는, 내부에 캐비티(23)가 형성되는 문틀(21)과,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문틀(21)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유리판(22)과, 상기 캐비티(23) 내에 구비되고, 상기 문틀(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블라인드(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빛이 식품저장장치(1)에 조사되는 상황에서도,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빛이 저장공간 내로 진입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저장장치{Food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식품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블라이드가 구비되는 식품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저장장치는 식품을 일정한 온도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식품저장장치의 예로서 냉장고와 냉동고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냉장고와 냉동고 내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하려고 할 때, 도어를 개방하여 확인한다. 냉동고일 경우, 일반적으로 상부유리판이 투명하여 냉동고 내의 식품을 직접 확인할 수 있지만, 상부유리판이 투명함으로 인해, 빛 특히 햇빛이 냉동고 내의 식품에 장기간 조사되면, 식품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64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044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빛이 식품저장장치에 조사되는 상황에서도,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빛이 저장공간 내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식품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저장장치의 내부로 조사되는 빛의 각도가 다양하더라도 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저장장치에서 빛의 통과를 제어하는 블라인드의 회전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을 도어가 개폐하는데, 상기 도어에서 유리판을 통과하는 빛을 제어하기 위해 블라인드가 문틀의 캐비티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라인드 각도의 조절을 통해 저장공간에 있는 식품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 빛이 저장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문틀은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블라인드를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제2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유리판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측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유리판 사이의 캐비티를 빛이 통과하는 것을 블라인드의 회전각도 제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어서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회전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라인드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구동핀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이동바아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이동바아만을 이동시키면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동시에 동일하게 회전되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통한 빛의 통과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회전중심축에 설치된 피니언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바아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랙기어의 구동에 의해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동시에 동일하게 회전되므로, 역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통한 빛의 통과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바아에는 상기 유리판이나 제2프레임부를 관통하여 노출되게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부에는 상기 유리판이나 제2프레임부 외부에 노출되게 각도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도조절부재를 손으로 조작함에 의해 전체 블라인드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저장공간 내부 확인과 빛 차단 동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에는 상기 블라인드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블라인드를 사용자의 힘으로 동작시키지 않고 모터 등으로 동작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회전시키는 터치센서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하게 터치함에 의해 블라인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역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리판은 상기 문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유리판과 문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유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리판과 하부유리판의 사이에 상기 캐비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블라인드가 상부유리판과 하부유리판 사이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는 힌지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의 저장공간에 대한 접근이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문틀의 하면에는 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때,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케이싱의 저장공간에 대한 밀폐가 보다 효과적으로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저장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공간 내부를 볼 수 있는 도어를 통해 외부에서 빛이 저장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블라인드를 개방함에 의해 저장공간의 내부에 있는 식품을 도어를 통해 볼 수 있고, 블라인드를 닫으면 외부에서 오는 빛을 차단할 수 있어서 식품에 빛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블라인드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빛이 조사되는 각도가 다양하더라도 이를 블라인드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식품저장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빛의 차단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각도조절부재를 조작함에 의해 전체 블라인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도어의 넓이가 넓게 만들어지더라도 블라인드의 회전조작에 의한 빛의 차단과 시인성 확보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동바아를 활용하거나 랙과 피니언기구를 사용하여 블라인드를 원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저장공간 내부로 빛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저장공간 내부에 대한 시인성을 개선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조작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사용하지 않고 모터와 같은 구동부를 사용하여 블라인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외부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도어의 투명유리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블라인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블라인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정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 측면도.
본 발명 실시례의 식품저장장치(1)는, 예를 들면, 발코니에 설치될 수 있다. 식품저장장치(1)의 후방이 발코니의 창문을 향하고, 전방이 집안을 향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햇빛이 식품저장장치(1)의 후방에서 식품저장장치(1)의 상면에 조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1)의 전방에서 식품저장장치(1)의 내부 저장공간을 개방시키거나 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저장장치(1)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10); 케이싱(10)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힌지(20')에 의해 케이싱(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후단이 상기 케이싱(10)에 힌지(20')로 연결되어 선단이 상하로 회전하여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20)는 사각형의 판형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힌지(21')를 사용한 회전개폐 뿐만 아니라,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것은 도어(20) 전체가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될 유리판(22)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이다.
상기 도어(20)의 골격을 문틀(21)이 형성하는데, 상기 문틀(21)의 일측에는 차폐판(21')이 있어서 상기 케이싱(10)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차폐판(21')은 케이싱(10)에서 상부로 개방된 부분의 절반 정도를 차폐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상기 차폐판(21')의 하부로 유리판(22)을 포함하는 구성이 입출되면서 케이싱(10)의 상부로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문틀(21)에는 제1프레임부(21a)와 제22프레임부((21a)가 양단에 나란히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프레임부(21a)와 제2프레임부(21b)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게 연결프레임부(21c)가 있다. 도 1에서는 연결프레임부(21c) 중에서 제1프레임부(21a)와 제2프레임부(21b)의 선단을 연결하는 것만이 보인다. 물론 도어(20)가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개폐만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차폐판(21')이 후단의 연결프레임부(21c)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어(20)의 골격을 형성하는 문틀(21)은 케이싱(10)의 상부에 밀착가능하며, 내부에 캐비티(23)가 형성된다. 이 문틀(21)의 캐비티(23)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부재, 예를 들면 유리판(22)이 위치되어 외부에서 저장공간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문틀(21)의 캐비티(23)에 회전가능하게 다수개의 블라인드(30)가 설치된다.
상기 문틀(21)에서 상기 유리판(22)이 위치되는 부분의 구성을 설명한다. 케이싱(10)을 정면에서 볼 때, 유리판(22)의 좌측을 상기 제1프레임부(21a)가 지지하고, 유리판(22)의 우측을 제2프레임부(21b)가 지지하며, 유리판(22)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프레임부(21c)가 지지한다. 유리판(22)은 문틀(21)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유리판(22)은, 상부 유리판(22a)과 하부 유리판(22b)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유리판(22a)과 하부 유리판(22b)은 문틀(21)의 상하 양면에 평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유리판(22a)과 하부 유리판(22b) 사이에는 블라인드(3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유리판(22a)과 하부 유리판(22b) 사이의 공간은 문틀(21)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23)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문틀(21)의 하면에는 밀폐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20)가 케이싱(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경우, 문틀(21)의 밀폐부재는 케이싱(10)의 상부에 밀착되어 밀폐작용을 한다.
상기 유리판(22)을 통해 빛이 저장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블라인드(30)는 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라인드(3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문틀(21)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블라인드(30)는 회전하여 상기 캐비티(23)를 통한 빛의 통과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블라인드(30)가 상부 유리판(22a)과 평행되도록 회전하였을 경우, 빛은 블라인드(30)에 의해 차단되어 저장공간 내로 진입하지 못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라인드(30)는 불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블라인드(30)가 상부 유리판(22a)과 예각 또는 직각이 되도록 회전하였을 경우, 예를 들면, 블라인드(30)가 전방에서 상방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예각)로 회전하였을 때, 케이싱(10)의 전방에 서있는 사용자는 복수의 블라인드(30)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빛이 블라인드(30)에 가려져 저장공간내로 조사되지 못한다.
블라인드(30)의 회전각도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유리판(22)을 통하여 저장공간 내의 식품을 관찰할 필요가 없을 경우, 복수의 블라인드(30)는 빛을 가릴수 있도록 서로 연속적인 차폐면(이때의 블라인드(30)의 각도는 0도일 수 있다)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저장공간 내부의 식품을 관찰하려고 할 경우, 블라인드(3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은 사용자의 키에 따라 후술할 각도 조절 부재(40)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이싱(10)의 전방에서 저장공간 내부를 관찰하려고 할 때, 정상적인 사람의 신장(예를 들면, 150cm 내지 190cm)일 경우, 블라인드(30)가 10도 내지 90도 (즉 유리판(22)과 수직) 사이의 각도까지 회전하였을 때, 사용자가 저장공간내의 식품을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햇빛은 식품저장장치(1)의 후방에서 도어(20)에 경사지게 진입할 수 있으므로, 블라인드(30)가 90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햇빛은 블라인드(30)의 배면에 조사되고 저장공간 내로 진입하지 못한다. 물론, 블라인드(30)의 회전각도는 0도 내지 90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20도 또는 더 큰 각도까지 회전될 수 있다.
복수의 블라인드(30)의 배치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즉, 블라인드(30)가 0도로 회전되었을 경우(유리판(22)에 평행하게 되었을 경우), 인접되는 블라인드(30) 사이에는 간격이 없어야 한다. 만약 간격이 존재할 경우, 빛이 상기 간격을 통하여 저장공간내에 진입되게 된다. 따라서, 각 블라인드(30)는 일정한 너비를 가지며, 복수의 블라인드(30)가 0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복수의 블라인드(30)의 너비의 합은 캐비티의 전후방향의 너비보다 크거나 같다. 참고로 인접한 블라인드(30) 사이에 약간의 겹침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식품저장장치는 블라인드(30)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한후 블라인드(30)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공간 내부를 관찰할 때, 후술할 각도 조절 부재(40)를 이용하여 블라인드(30)를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 고정장치가 블라인드(30)를 현재의 회전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저장공간내의 식품을 확인하려고 할 때, 도어(20)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블라인드(30)를 회전시켜 저장공간내의 식품을 확인하는 동시에 외부의 빛이 저장공간내로 조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문틀(21)은, 제1프레임(21a) 및 제1프레임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는 제2프레임(21b)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프레임(21a)은 도어(20)의 좌측의 프레임일 수 있고, 제2프레임(21b)은 도어(20)의 우측의 프레임일 수 있다. 제1프레임(21a)과 제2프레임(21b)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가 형성된다. 상부 유리판(22a)과 하부 유리판(22b)이 제1프레임(21a)과 제2프레임(21b)에 구비될 때, 상기 캐비티는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각 블라인드(30)의 일단은 제1프레임(21a)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21b)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프레임(21a)의 일측에는 복수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블라인드(30)의 일단에는 상기 홀 또는 홈에 대응되는 회전중심축(31)이 형성된다. 블라인드(30)의 회전중심축(31)은 제1프레임(21a)의 홀 또는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2프레임(21b)의 일측에도 복수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블라인드(30)의 타단에는 상기 홀 또는 홈에 대응되는 회전중심축(31)이 형성될 수 있다. 블라인드(30)의 타단의 회전중심축(31)은 제2프레임(21b) 측에 있는 홀 또는 홈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30)의 회전중심축(31)이 홀 또는 홈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의 직경은 축의 직경보다 조금 클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고하여 다수개의 블라인드(3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블라인드(30) 양단의 회전중심축(31)중 일측은 제1프레임부(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제2프레임부(21b)에 있는 고정바아(3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30) 타측에는 구동핀(33)이 있다. 상기 구동핀(33)은 상기 고정바아(3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중심축(31)과 나란히 연장되는데, 상기 회전중심축(31)과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구동핀(33)은 이동바아(3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동바아(36)는 상기 제2프레임부(21b)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 방향으로 소정 행정만큼 왕복운동가능하다. 상기 이동바아(36)에는 각각의 블라인드(30)들의 회전중심축(3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동바아(36)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가능하도록 제2프레임부(21b)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아(36)의 일측에는 연결돌부(3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돌부(37)는 상기 상부유리판(22a)을 관통하여 각도조절부재(40)와 결합된다. 각도조절부재(40)는 상기 상부유리판(22a)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함에 의해 상기 이동바아(36)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40)는 상기 상부유리판(22a)을 관통한 연결돌부(37)에 결합되어 상부유리판(22a)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동바아(36)의 이동궤적과 상기 구동핀(33)의 이동궤적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상기 구동핀(33)의 직경보다 구동핀(33)이 설치되는 홈이나 홀의 내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각도조절을 위한 사용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위의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2프레임부(121b)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부(121b')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1b')내에 블라인드(130)의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들이 위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기어를 사용하여 블라인드(130)의 각도를 조절한다.
여기서는 블라인드(130)의 타측 회전중심축(131)에 피니언기어(132)가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32)는 상기 회전중심축(131)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32)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중심축(131)은 제2프레임부(121b)에 지지된다. 이는 위의 실시례에서 고정바아(34)에 회전중심축(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유사한 구성이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제2프레임부(121b)에 설치된 지지축(132')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130)의 일단부가 지지된다. 본 실시례에서도 위의 실시례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중심축(131)이 제2프레임부(121b)에 설치된 고정바아와 같은 요소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132)의 구동을 위해 이동바아(136)가 상기 제2프레임부(121b)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아(136)는 상기 블라인드(130)들의 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이동바아(136)에는 랙기어(138)가 있다. 상기 랙기어(138)는 상기 이동바아(13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138)는 전체 블라인드(130)의 회전중심축(13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피니언기어(132)에 동시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이동바아(136)의 일측에는 상기 제2프레임부(121b) 또는 상부유리판(122a)을 통해 도어(120)의 상부로 연장되게 연결돌부(137)가 있다. 상기 연결돌부(137)에는 각도조절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140)는 상기 제2프레임부(121b) 또는 상부유리판(122a)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140)를 상기 이동바아(13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랙기어(138)에 의해 피니언기어(132)가 회전하여 블라인드(13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7과 도 8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각도조절을 위한 사용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위의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에 2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2프레임부(221b) 내부에 있는 공간부(221b')에 블라인드(230)의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들이 위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2프레임부(221b)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블라인드(230)를 이동바아(236)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한다.
여기서는 블라인드(230)의 타측 회전중심축(231)이 제2프레임부(221b)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블라인드(230)에는 상기 회전중심축(231)과 나란히 연장되게 구동핀(233)이 있다. 상기 구동핀(233)은 상기 회전중심축(231)을 기준으로 가장 먼 위치에 상기 회전중심축(231)과 나란히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부(221b)에는 이동바아(236)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아(236)에는 각각의 블라인드(230)의 구동핀(2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236')이 있다. 상기 홀(236')에는 구동핀(23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홀(236')의 내경은 상기 구동핀(233)의 외경보다 크게 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구동핀(233)의 이동궤적과 상기 이동바아(236)의 이동궤적이 다른 위치에서 구동핀(233)과 이동바아(236)이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바아(236)의 일측에는 상기 제2프레임부(221b) 또는 상부유리판(222a)을 통해 도어(220)의 상부로 연장되게 연결돌부(237)가 있다. 상기 연결돌부(237)에는 각도조절부재(24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240)는 상기 제2프레임부(221b) 또는 상부유리판(222a)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240)를 상기 이동바아(23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바아(236)의 홀(236') 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동핀(233)들이 함께 이동하면서 블라인드(230)가 회전중심축(2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식품저장장치(1)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일 수 있고, 블라인드(30,130,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40,140,240)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블라인드(30,130,23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이동바아(136)를 모터로 이동시켜서 블라인드(13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터의 회전축에 구동기어가 있고 이 구동기어가 상기 이동바아(136)에 있는 랙기어(138) 또는 별도의 종동기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상부 유리판(22a,122a,222a)의 상면이나 문틀(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터치센서에서 슬라이딩 조작을 진행하여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부 유리판(22a)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구동부가 회전하여 블라인드(30)를 상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구동부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라인드(30)를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례 또는 변형례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해야할 것은, 상기의 실시례 또는 변형례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분이지 전부는 아니다. 그리고, 상기 실시례 또는 변형례는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상기 실시례 또는 변형례에 근거하여, 창조적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어내는 모든 실시례 또는 변형례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 식품저장장치 10: 케이싱
20: 도어 20': 힌지
21: 문틀 21a: 제1프레임부
21b: 제2프레임부 21c: 제3프레임부
21': 차폐판 22: 유리판
22a: 상부유리판 22b: 하부유리판
23: 캐비티 30: 블라인드
31: 회전중심축 33: 구동핀
34: 고정바아 36: 이동바아
37: 연결돌부 40: 각도조절부재
120: 도어 121b: 제2프레임부
122a: 상부유리판 122b: 하부유리판
131: 회전중심축 132: 피니언기어
132': 지지축 136: 이동바아
137: 연결돌부 138: 랙기어
140: 각도조절부재 220: 도어
221b: 제2프레임부 221b': 공간부
222a: 상부유리판 222b: 하부유리판
230: 블라인드 231: 회전중심축
233: 구동핀 236: 이동바아
236': 홀 237: 연결돌부
240: 각도조절부재

Claims (10)

  1.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되는 문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유리판;
    상기 캐비티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를 통한 빛의 전달을 제어하는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식품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블라인드를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제2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유리판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측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식품저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회전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라인드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구동핀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이동바아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식품저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회전중심축에 설치된 피니언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바아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식품저장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아에는 상기 유리판이나 제2프레임부를 관통하여 노출되게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부에는 상기 유리판이나 제2프레임부 외부에 노출되게 각도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으로 이동되는 식품저장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에는 상기 블라인드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더 구비되는 식품저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회전시키는 터치센서가 더 구비되는 식품저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은 상기 문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유리판과 문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유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리판과 하부유리판의 사이에 상기 캐비티가 형성되는 식품저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힌지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식품저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하면에는 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때,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식품저장장치.
KR1020200040269A 2020-03-20 2020-04-02 식품저장장치 KR20210117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00426.7 2020-03-20
CN202010200426.7A CN113494793A (zh) 2020-03-20 2020-03-20 食物储存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71A true KR20210117871A (ko) 2021-09-29

Family

ID=7792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69A KR20210117871A (ko) 2020-03-20 2020-04-02 식품저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7871A (ko)
CN (1) CN1134947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416A (ko) 1996-06-18 1998-03-30 이데이 노부유끼 자기 기록 매체
KR20120006411A (ko) 2010-07-12 2012-01-18 전혜연 요리 진행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후드에 설치되는 지능형 온도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416A (ko) 1996-06-18 1998-03-30 이데이 노부유끼 자기 기록 매체
KR20120006411A (ko) 2010-07-12 2012-01-18 전혜연 요리 진행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후드에 설치되는 지능형 온도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94793A (zh)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2864C (en) Motorized door assembly with safety features for heated cabinet
KR102345097B1 (ko) 냉장고
KR101000023B1 (ko)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KR20210158852A (ko) 냉장고
US4505069A (en) Anti-intrusion skylight blind
KR20120050035A (ko) 수평밀착창호
KR101567213B1 (ko) 전동식 커튼용 커버 개폐 장치
US6467475B2 (en) Stove for cooking food with a viewing window, and a viewing window for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cooking stoves or ovens
KR20210117871A (ko) 식품저장장치
KR100696370B1 (ko) 루버셔터
KR101148814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US5765307A (en) Window blind systems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60044589A (ko) 양 여닫이식 롤링도어
KR102458496B1 (ko)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656640B1 (ko) 가변 회동타입 안전 오르내리창
KR102315507B1 (ko)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JP7078514B2 (ja) 建具
KR100450253B1 (ko) 완전차광형 블라인드
KR20180110304A (ko) 풍량손실을 최소화 하는 에어벤트
KR20070078765A (ko) 복수의 블라인드 조립체를 구비한 단열창문
JP6888184B2 (ja) 開閉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0130040A (ja) 鎧戸の鎧板調整機構
JP2010180658A (ja) 開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