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744A - 공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744A
KR20210117744A KR1020200034374A KR20200034374A KR20210117744A KR 20210117744 A KR20210117744 A KR 20210117744A KR 1020200034374 A KR1020200034374 A KR 1020200034374A KR 20200034374 A KR20200034374 A KR 20200034374A KR 20210117744 A KR20210117744 A KR 20210117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body
air
partition wall
air supply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기
Original Assignee
김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기 filed Critical 김응기
Priority to KR102020003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744A/ko
Publication of KR2021011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분산노즐이나 에어분사장치 등에 공기를 압축하여 제공하는 공기공급장치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형 구조의 몸체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마련하고, 내부에서 회전하는 단일 회전판의 회전동작으로, 공기수용공간의 공기를 배출 및 흡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공기의 흡입과 배출 기능을 최소화한 구조물로 구현하여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공급장치{Air Compressor for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유체의 분사노즐이나 에어분사장치 등에 공기를 압축하여 제공하는 공기공급장치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는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높은 공압으로 저장하였다가 이것을 필요에 따라서 각 공압 공구에 공급해 주는 기계이다. 통상의 가공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기압축기는 압축기 본체와 압축 공기를 저장해 두는 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 압축장치(Air 콤프레셔)를 적용하는 공기분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에어콤프레셔의 경우, 모터의 구동동작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탱크 내에 압축하는 구성이 기본 구성을 구비하며, 이렇게 압축된 공기를 외부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하며, 분사노즐을 통해 강한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압축 및 배출을 위한 장치는 압축탱크와 압축공기의 배출을 위한 모터, 압력계, 필터 등 다양한 장비가 조합되는 장비로, 그 무게와 부피가 매우 커 경량화한 장비에는 적용이 어려우며, 간략한 공기압축장치의 경우에는 압축효율이 떨어져 활용도가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다양한 장치에 부착이 가능하며, 메인 장치에 부착을 하여도 부피나 크기의 부담이 없으며, 압축공기의 형성과정이 없이도 공기의 흡기와 배출이 효율적인 공기공급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23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형 구조의 몸체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마련하고, 내부에서 회전하는 단일 회전판의 회전동작으로, 공기수용공간의 공기의 배출과 흡기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의 흡입과 배출 기능의 구현을 최소화한 구조물로 구성하여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의 외주면과 상하부의 밀폐구조 구현이 가능한 펌프몸체(210); 상기 펌프몸체(210)과 연통하여 상기 펌프몸체 내부로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수행하는 연통부재(250, 255);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움결합하는 회전판(280)을 포함하는 에어공급부(W);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 표면에 상기 회전판(280)의 측면부가 접촉하는 구조로 회전하여, 상기 펌프몸체(210) 내 공기의 흡입과 배기를 조절하는 구조의,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공급장치는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를 격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격벽부(G);가 마련되며, 상기 격벽부(G)는,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일단(G1)에서 연장되어, 상기 펌프몸체(210)의 중심부 지점(G2)까지 형성되는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중심부 지점(G2)에서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타단(G3)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곡면형 격벽(230);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280)의 양 측면부(281, 2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펌프몸체(210), 제1곡면형 격벽(220), 제2곡면형 격벽(230)에 밀착하며 회전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280)은, 상기 회전축(26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구조로 형성되는 결합슬릿(270);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슬릿(270)에 끼움결합하는 상기 회전판(280)이 상기 회전축(26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슬릿(270)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이동을 수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이 형성하는 반원형 단면의 반지름(R2, R3)은,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반지름(R1) 같거나 이하의 길이로 구현되는,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은 상호 동일한 곡률과 직경을 갖도록 구현되는,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형 구조의 몸체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마련하고, 내부에서 회전하는 단일 회전판의 회전동작으로, 공기수용공간의 공기의 배출과 흡기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의 흡입과 배출 기능의 구현을 최소화한 구조물로 구성하여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 압축장치(Air 콤프레셔)를 적용하는 공기분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 개념도이다.
도 2는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 개념도이다.
도 4는 에어공급부(W)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술한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와 필터모듈을 접목한 유체 분사장치에 대한 적용 실시예를 개념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상부 사시개념도 및 하부 사시개념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사용상태도 및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통형의 외주면과 상하부의 밀폐구조 구현이 가능한 펌프몸체(210)와, 상기 펌프몸체(210)과 연통하여 상기 펌프몸체 내부로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수행하는 연통부재(250, 255),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움 결합하는 회전판(280)을 포함하는 에어공급부(W)와,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 표면에 상기 회전판(280)의 측면부가 접촉하는 구조로 회전하여, 상기 펌프몸체(210) 내 공기의 흡입과 배기를 조절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200)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펌프몸체(210)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몸체(210)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구조를 예시하나, 구동시에는 상기 펌프몸체(210)의 상부와 하부는 밀폐되어 공기 누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는 본 발명의 특유한 구조로 내부 공간을 격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격벽부(G)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벽부(G)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일단(G1)에서 연장되어, 상기 펌프몸체(210)의 중심부 지점(G2)까지 형성되는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중심부 지점(G2)에서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타단(G3)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곡면형 격벽(2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제2곡면형 격벽(230)의 접촉지점에는 펌프몸체(210)의 내면에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지격벽(240)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제2곡면형 격벽(230)이 형성하는 곡률은 펌프몸체(210)이 형성하는 원형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반원형 구조(또는 타원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제2곡면형 격벽(230)은 상호 동일한 크기와 직경을 가지게 구현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의 단면이 반원형 구조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의 단면이 형성하는 지름(R2, R3)은,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반지름(R1)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기된 공기를 수용하고 배출하는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일단(G1)에서 연장되어, 상기 펌프몸체(210)의 중심부 지점(G2)까지 형성되는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중심부 지점(G2)에서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타단(G3)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곡면형 격벽(230)의 내부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축(260)과, 상기 회전축(260)의 결합슬릿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며, 상기 결합슬릿(270)을 통해 전후 이동이 가능한 회전판(280)을 포함하는 에어공급부(W)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W)는 외부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회전축(260)은 고정된 축방향에서 자체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26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슬릿(270)에는 회전판(280)이 끼움 결합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280)의 일측면(281)과 타측면(282) 부분은 펌프몸체(210)의 내측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슬릿(270)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슬릿(270)에 끼워진 상태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유동적인 결합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펌프몸체(210)의 내부에, 공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영역(도 3의 구조에, 상부에서 바라볼때, 펌프몸체와 제1곡면형 격벽, 제2곡면형 격벽이 형성하는 단면부가 '하트♡'형상으로 구현된 부분) 내에서 상기 회전판(280)이 회전축(26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판(280)의 회전 동작은 흡기관(250)과 연통하는 흡기홀(H)을 통해 공기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여 다시 배기관(255)으로 강하게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흡기와 배출의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이러한 공기공급장치(200)의 결합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에어공급부(W)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공급부(W)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판(280)은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과, 제1곡면형 격벽(220) 및 제2곡면형 격벽(230)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회전하여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에어공급부(W)는 상기 펌프몸체(21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축(260)과, 상기 회전축(260)의 결합슬릿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며, 상기 결합슬릿(270)을 통해 전후 이동이 가능한 회전판(2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회전판(280)이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 표면에 말단부가 접촉하는 구조로 회전하여, 펌프몸체(210) 내의 공기를 흡입과 배기를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일단(G1)에서 연장되어, 상기 펌프몸체(210)의 중심부 지점(G2)까지 형성되는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중심부 지점(G2)에서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타단(G3)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곡면형 격벽(230)으로 형성되는 '공기수용공간' 내에, 상기 에어공급부(W)가 배치된다.
특히, 회전축(260)은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이 만나는 중심부 지점(G2)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260)은 상기 펌프몸체(2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의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회전축(260)은 자체 회전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판(280)도 상기 회전축(260)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공기수용공간'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의 동작을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도 4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판(280)의 일측면(281)이 G1 지점에서 회전을 시작하는 것을 가정하면, G3 지점까지 이동하는 것은 회전판의 일측면(281)이 펌프몸체(210)의 내벽면에 밀착하여 강한 회전을 통해 공기를 모아 배기관(260)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후, G3 지점을 지나면서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의 내측면에 회전판의 일측면(281)이 닿으면서 회전이 계속되면, 회전판이 회전축(260)의 결합슬릿(270)을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며, 이후 제1곡면형 격벽(22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며 자연스럽게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외부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순환되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200)은 매우 간단한 구조의 격벽 배치와 회전판의 구동동작을 통해 흡기와 배기를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작은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경량화가 가능한바, 상술한 본 발명의 필터모듈과 연동하여 드론과 같은 무인 이동형 비행체에 장착하여 분사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하는 유체분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상술한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와 필터모듈을 접목한 유체 분사장치에 대한 적용 실시예를 개념화한 것이다.
우선, 농약이나 약제등의 유체가 수용되는 공급유닛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100)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모듈(100)을 통해, 필터링이 가능한 유체는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외부로 이동하지 않게 되며,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200)에서 형성되는 강한 배기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유체이동관(30)의 상부 면을 스쳐 지나가도록(유체이동관의 상부면과 직교하는 방향성을 가지고 공기를 분사) 배출하게 되면, 공기의 강한 이동에 연동하여 유체 이동관(30)을 따라 필터링된 유체에 흡인력이 인가하게 되며, 이렇게 끌어올려진 유체는 유체이동관(30)의 상부에서 강한 배출공기와 만나면서, 분무형 미스트 형태로 공기의 분사 방향으로 유체가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분사구조는 기존의 단순 분사노즐구조를 통해 인젝션하는 구조와는 달라 전체적인 분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경량화한 공기공급장치와 구조를 단순화한 필터모듈을 장착한 유체공급라인의 결합만으로 약재 등의 유체분사할 수 있게 되는 바, 경량화와 분사노즐의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최적의 결합으로 드론과 같은 방제장치나, 이동성이 필요한 분사장치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5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상부 사시개념도 및 하부 사시개념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사용상태도 및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은 일면(A)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B)을 구비하며, 다수의 투과홀(120)을 구비하는 필터 플레이트(110)와,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흡기홀(140)이 구비되며, 상기 흡기홀(140)에 대응되게 상기 일면(A) 상으로 배치되는 유체 흡기관(130) 및 상기 타면(B)에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격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홀(140)의 직경(d2)이 상기 이격부재(150)의 돌출 높이(t2) 보다 크게 형성되는, 유체분사 장치용 필터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의 필터 플레이트(110)의 하부면에 구현되는 돌출구조의 이격부재(150)가 배치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의 타면(B)와 수용용기(10)의 하부면(15) 사이의 이격공간(121)이 마련되게 된다. 상기 이격공간(121)에는 필터 플레이트(110)의 투과홀(120)을 경유한 약제와 같은 유체가 1차적으로 필터링되어 계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흡기홀(140)의 직경(d2)이 상기 이격부재(150)의 돌출 높이(t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이격공간(121)에 계류하는 유체는 투과홀(120)을 통과한 유체가 외부 흡입력에 의해 상기 타면(B) 하부와,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공간(121)을 경유하여 외부로 공급되는 경우, 미세 물질로 인한 유체 흡기관(130)의 막힘 현상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필터모듈(10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약재나 세정액, 농약 등의 유체(X)를 수용하는 수용용기(10) 내에 안착하는 구조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 유체(X)는 먼지나 미세모래, 부유물질 등의 오염원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통상의 경우에는 외부 분사노즐로 흡입되어 유체가 이동하게 되며, 분사노즐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서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체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경우로 실외환경, 이를테면 과수원이나 논, 밭, 임야 등에 드론 등을 통해 약재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분사노즐에 구비된 필터나 유입관 등이 작은 모래나 먼지 유착물로 인해 쉽게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보다 간편한 방식의 필터 작용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판구조의 필터 플레이트(110)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는 다수의 미세 관통구조의 투과홀(120)이 구비된다. 나아가, 평판형 구조를 가지는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는 일면(A)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B)을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를 관통하는 흡기홀(140)이 구비되며, 상기 흡기홀(140)에 대응되게 상기 일면(A) 상으로 배치되는 유체 흡기관(130) 및 상기 타면(B)에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의 배면에는 다수의 돌출 구조의 이격부재(15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이격부재(1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동일한 크기와 두께를 가진 구조물로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재(150)는 일정한 돌출 높이(t2)를 구비하게 된다. 이 돌출 높이(t2)로 인해,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의 타면(B)과 수용용기의 하부면(15) 사이에는 일정한 이격공간(12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이격공간(121)의 수직 높이는 상술한 이격부재(150)의 두께(t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격부재(150)의 돌출 높이(t2) 보다 상기 흡기홀(140)의 직경(d2)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이격공간(121)에는 상기 흡기홀(140)의 직경(d2) 보다 큰 사이즈의 이물질이 존재할 수 없는 구조로 기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홀(140)로 유입되는 유체에는 상기 흡기홀(140) 자체를 막히게 할 수 있는 이물질이 존재할 수 없게 되는 원리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의 구조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필터모듈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의 수용용기 하부에 안착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유체 수용용기를 직육면체 구조를 상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타원형 등 다양한 구조의 수용용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필터모듈(100)은 유체 수용용기(10)의 바닥면(15)에 이격부재(150)의 높이(t2) 만큼 이격되게 되며, 필터 플레이트의 테두리인 측면부는, 수용용기(10)의 내벽과 소정 부분 이격거리(t1)을 형성하며 배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필터플레이트(110)는, 상기 흡기홀(140)의 직경(d2)이 상기 투과홀(120)의 직경(d1)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유체(X)가 수용용기(10)에 수용되는 경우, 외부 흡기장치(이를테면, 콤프레셔 등)의 흡인력을 통해 유체를 빨아들이게 되는 경우, 유체(X)는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의 투과홀(120)을 통해 유체 수용용기(10)의 바닥면(15)과 필터 플레이트(110)의 하부면 사이의 공간에 계류하게 된다.
즉, 상기 투과홀(120)의 직경(d1)보다 작은 미세물질을 제외하고는 상기 투과홀(120)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되며, 흡입력에 따라 유체 수용용기(10)의 바닥면(15)과 필터 플레이트(110)의 하부면 사이의 공간에 계류하는 필터링된 유체만이 유체흡입관(130)으로 흡입되어 빨려 올라가게 된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150)의 돌출 높이(t2)는, 상기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함(10)의 측면(17)과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의 측면부의 이격거리(t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필터플레이트의 테두리인 측면부는, 수용용기(10)의 내벽과 소정 부분 이격거리(t1)을 형성하며 배치되게 되며, 이 이격거리(t1) 역시 필터 플레이트의 투과홀(120)과 동일거나 더 작은 거리를 가지도록 하여, 오염물질이 이 이격부분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격부재(150)의 돌출 높이(t2) 보다 상기 흡기홀(140)의 직경(d2)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는, 필터 플레이트(110)의 측면부의 이격거리(t1)와는 무관하게, 이격부재(150)의 돌출 높이(t2)를 설정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유체 흡기관(130)은 필터 플레이트(110)의 일면(A)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유체 흡기관(130)의 상부에 끼움 결합하는 유체 이동관(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 이동관(30)을 통해 상기 필터 플레이트(110)의 타면(B) 하부에 계류하는 유체가 흡기홀(140)을 경유하여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필터모듈의 경우, 분사노즐이 구비된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유체의 수용용기 단에 설치되어, 1차적으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입자크기에 따른 필터링이 수행되며, 플레이트 형 구조물을 경유한 액상의 유체만이 플레이트 하부를 통해서 배출되는 구조를 취하는 바, 노즐의 막힘이나 배출관의 막힘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며, 대용량의 약제 살포과정이 이루어지는 실외환경에서 용이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공기공급장치
210: 펌프몸체
220, 230: 곡면형 격벽
240: 지지격벽
250: 흡기부재
255: 배기부재
260: 회전축
270: 결합슬릿
280: 회전판

Claims (5)

  1. 원통형의 외주면과 상하부의 밀폐구조 구현이 가능한 펌프몸체(210);
    상기 펌프몸체(210)과 연통하여 상기 펌프몸체 내부로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수행하는 연통부재(250, 255);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움 결합하는 회전판(280)을 포함하는 에어공급부(W);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 표면에 상기 회전판(280)의 측면부가 접촉하는 구조로 회전하여, 상기 펌프몸체(210) 내 공기의 흡입과 배기를 조절하는 구조의,
    공기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몸체(210)의 내부를 격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격벽부(G);가 마련되며,
    상기 격벽부(G)는,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일단(G1)에서 연장되어, 상기 펌프몸체(210)의 중심부 지점(G2)까지 형성되는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중심부 지점(G2)에서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타단(G3)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곡면형 격벽(230);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280)의 양 측면부(281, 2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펌프몸체(210), 제1곡면형 격벽(220), 제2곡면형 격벽(230)에 밀착하며 회전하는,
    공기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80)은,
    상기 회전축(26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구조로 형성되는 결합슬릿(270);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슬릿(270)에 끼움 결합하는 상기 회전판(280)이 상기 회전축(26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슬릿(270)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이동을 수행하는,
    공기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이 형성하는 반원형 단면의 반지름(R2, R3)은,
    상기 펌프몸체(210)의 원통구조의 내부 벽면의 반지름(R1) 동일하거나 이하의 길이로 구현되는,
    공기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형 격벽(220)과 상기 제2곡면형 격벽(230)은 상호 동일한 곡률과 직경을 갖도록 구현되는,
    공기공급장치.
KR1020200034374A 2020-03-20 2020-03-20 공기공급장치 KR20210117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74A KR20210117744A (ko) 2020-03-20 2020-03-20 공기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74A KR20210117744A (ko) 2020-03-20 2020-03-20 공기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744A true KR20210117744A (ko) 2021-09-29

Family

ID=7792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374A KR20210117744A (ko) 2020-03-20 2020-03-20 공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7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43A (ko) 2017-06-29 2019-01-08 권기법 환편기의 압축공기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43A (ko) 2017-06-29 2019-01-08 권기법 환편기의 압축공기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981B1 (en) Combined nasal spray and aspirator device
US6517511B2 (en) Cleansable multi-purpose nasal discharge aspirator
EP1106195A1 (en) An apparatus for nebulising a liquid, in particular for medical use
KR100907182B1 (ko) 액체 살포기
US10494829B2 (en) Device for cleaning a submerged surface with a propelled water jet
CN104213368A (zh) 便携式衣物处理装置
KR101130490B1 (ko) 농약 분무기
EP1180375B1 (en) Pumping unit for a fluid, particularly blood
KR20210117744A (ko) 공기공급장치
CN106460873B (zh) 真空泵
KR20220129498A (ko) 회전격벽을 구비하는 공기공급장치
CN211247020U (zh) 喷雾器
CN108343016A (zh) 扫路机的工作装置和扫路机
KR20100059589A (ko) 무진동 및 무소음 전동 방제기
KR20210152659A (ko) 공기공급장치
KR20210117743A (ko) 유체 분사 장치용 필터모듈
JP3595912B2 (ja) 吸入器
CN208009335U (zh) 扫路机的工作装置和扫路机
CN108212920A (zh) 一种植入式医疗器械的手持式高频振动清洗装置
JP3345705B2 (ja) 流体噴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圧力コンバータ並びに噴出系ユニット
CN114796569B (zh) 一种危化品洗消应急处理装置
CN211852125U (zh) 一种压电微泵及气体控制装置
CN110548216A (zh) 新型无菌粉末喷涂装置
CN116571041B (zh) 一种工业废气处理装置
CN214159555U (zh) 一种生物气溶胶发生器及其配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