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510A -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510A
KR20210117510A KR1020200033795A KR20200033795A KR20210117510A KR 20210117510 A KR20210117510 A KR 20210117510A KR 1020200033795 A KR1020200033795 A KR 1020200033795A KR 20200033795 A KR20200033795 A KR 20200033795A KR 20210117510 A KR20210117510 A KR 2021011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module
fixing
unit
pe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준준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준준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준준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510A/ko
Priority to PCT/KR2020/003825 priority patent/WO2021187644A1/ko
Publication of KR2021011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9/00Light sources with light-generating elements disposed on transparent or translucent supports or subst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 등의 야외 활동 시 작업자 의류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해충이 싫어하는 빛을 방사하여 해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LIGHT SOURCE MODULE FOR PEST ERADICA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 등의 야외 활동 시 해충이 싫어하는 빛을 방사하여 해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농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촌에서는 친환경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작물 재배 시 농약 및 살충제 등의 사용에 제약이 따르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은 여름은 덥고 습한 특성상 농작물 재배를 위한 야외 활동 시 작업자는 간편하고 통풍이 좋은 의류를 착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모기, 파리, 노린재 등의 해충에 의해 작업자가 피해를 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농약, 살충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농작물은 물론 인체에 해를 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농작물이나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8718호(공개일: 2019.06.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농작물 재배 등의 야외 활동 시 해충이 싫어하는 빛을 방사해줌으로써 해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방사해주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를 작업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해주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는, 소정 두께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두께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면은, 상기 광원부의 빛을 방사해줄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600 ~ 65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LED 광원 칩을 사용하며, 제어보드를 통해 상기 LED 광원 칩에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펄스 형태로 발생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벨크로 테이프, 똑딱단추, 단추, 고정핀, 고정집게, 양면테이프, 자석을 포함하는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광원 모듈을 이웃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대응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은, 농작물 재배 등의 야외 활동 시 농약이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해충이 싫어하는 빛을 방사하여 해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모듈을 작업자의 의류에 벨크로 테이프 등의 고정부를 매개로 간단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광원부에 공급되는 펄스형태의 전기신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의 I-I'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을 복수 개 연이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100)은 의류(1)에 탈부착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체부(110), 광원부(120), 배터리부(130),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10)는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100)의 주된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S)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소정두께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두께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를 작업자의 의류(1) 표면에 부착 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후술할 광원부(120)를 통해 방사되는 빛이 작업자의 전방을 향해 용이하게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110)는 광원부(120)의 빛을 방사해줄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부(110)의 일면에는 수용공간(S)을 개방해주는 커버(1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S) 내에 결합된 배터리부(130) 교체 등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원부(120)는 본체부(110)의 커버(111)를 통해 해충이 싫어하는 빛을 방사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20)는 수용공간(S) 내에 결합되는 제어보드(121)와, 제어보드(121) 상에 설치되어 빛을 방사해주는 LED 광원 칩(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ED 광원 칩(123)은 제어보드(121) 상에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LED 광원 칩(123)을 통해 방사되는 빛은 해충이 싫어하는 600 ~ 650nm 대역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보드(121)를 통해 LED 광원 칩(123)에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펄스(Pulse) 형태로 발생시켜줄 수 있다.
즉 LED 광원 칩(123)을 통해 발생되는 광원을 점멸시켜줌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광원부(120)를 냉각시켜주는 별도의 방열 모듈을 생략할 수 있어 광원 모듈(10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배터리부(130)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광원부(120)의 사용시간을 증가시켜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LED 광원 칩(123)에서 발생하는 광원의 점멸은 주변의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할 정도이며, 이에 따라 작업 효율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부(130)는 본체부(110)의 수용공간(S) 내에 설치되어 광원부(120)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배터리부(130)는 수용공간(S)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소정 두께를 가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130)는 본체부(110)의 커버(111)를 분리하여 수용공간(S)을 개방한 상태에서 교체해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40)는 본체부(110)의 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140)를 통해 광원 모듈(100)을 작업자의 의류(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해줄 수 있다. 광원 모듈(100)은 LED 광원 칩(123)에서 발생하는 빛이 커버(111)를 통해 작업자의 전방을 향해 방사될 수 있도록 의류(1)의 전면에 고정부(140)를 매개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40)는 벨크로 테이프, 똑딱단추, 단추, 고정핀, 고정집게, 양면테이프, 자석 등을 포함하는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140)가 벨크로 테이프(141)를 사용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크로 테이프(141)는 암 벨크로(141a)와 수 벨크로(141b)로 구성될 수 있다. 암 벨크로(141a)는 의류(1)의 소정 지점에 고정되고, 수 벨크로(141b)는 본체부(110)의 타면(도면상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1)의 암 벨크로(141a)로부터 본체부(110)를 떼어낸 후 의류(1)를 세탁하거나, 유지보수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자의 의류(1)는 광원 모듈(1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암 벨크로(141a)가 소정 위치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의류(1) 표면과 맞닿게 되는 암 벨크로(141a)의 접합면에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의류(1)에 부착 고정하는 등 상기 암 벨크로(141a)를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해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 모듈(100)은, 광원 모듈(100)을 이웃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연속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결합돌기(113)가 구비되고, 이웃하는 광원 모듈(100)의 본체부(110) 대향면에는 결합돌기(11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5)이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100)은 적어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연이어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광원 모듈(100) 복수 개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의류(1)에 설치된 광원 모듈(100)의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100)의 광량을 작업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용이하게 조절해가며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100)은, 농작물 재배 등의 야외 활동 시 농약이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광원부(120)를 통해 해충이 싫어하는 빛을 방사하여 해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모듈(100)은 작업자의 의류 등에 벨크로 테이프(141) 등의 고정부(140)를 매개로 간단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의류 100 : 광원 모듈
110 : 본체부 S : 수용공간
111 : 커버 113 : 결합돌기
115 : 결합홈 120 : 광원부
121 : 제어보드 123 : LED 광원 칩
130 : 배터리부 140 : 고정부
141 : 벨크로 테이프 141a : 암 벨크로
141b : 수 벨크로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방사해주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를 작업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해주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소정 두께를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두께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은,
    상기 광원부의 빛을 방사해줄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600 ~ 65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LED 광원 칩을 사용하며, 제어보드를 통해 상기 LED 광원 칩에 공급하는 직류전원을 펄스 형태로 발생시켜주는 것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벨크로 테이프, 똑딱단추, 단추, 고정핀, 고정집게, 양면테이프, 자석을 포함하는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인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광원 모듈을 이웃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대응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KR1020200033795A 2020-03-19 2020-03-19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KR20210117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95A KR20210117510A (ko) 2020-03-19 2020-03-19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PCT/KR2020/003825 WO2021187644A1 (ko) 2020-03-19 2020-03-20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95A KR20210117510A (ko) 2020-03-19 2020-03-19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510A true KR20210117510A (ko) 2021-09-29

Family

ID=7776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795A KR20210117510A (ko) 2020-03-19 2020-03-19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7510A (ko)
WO (1) WO202118764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718A (ko) 2017-12-10 2019-06-19 장종희 모기 및 벌레 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72B1 (ko) * 2014-04-03 2014-12-11 서치영 휴대용 모기퇴치기
CN204047742U (zh) * 2014-09-26 2014-12-31 厦门多彩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充电式led驱蚊灯
KR200488358Y1 (ko) * 2017-04-25 2019-04-11 김부윤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KR20190062788A (ko) * 2017-11-29 2019-06-07 김태양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KR102072392B1 (ko) * 2017-11-30 2020-02-03 장정걸 벌레 퇴치용 광원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718A (ko) 2017-12-10 2019-06-19 장종희 모기 및 벌레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644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4070B2 (ja) 捕虫装置とその使用方法
ES2689137T5 (es) Dispositivo de trampa para insectos y método de uso
JP6616301B2 (ja) 捕虫装置とその使用方法
US20160360712A1 (en) Grow lighting and agricultural systems and methods
CN101664020B (zh) 杀虫或/及干扰虫用的光照射装置及系统及杀虫方法
JP2006175235A (ja) 手術用ヘルメットのためのライトアレイ
KR101133725B1 (ko) 식물 재배용 led 조명장치
RU2008135993A (ru) Покрытие тела, очки и/ил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чное покрытие головы, способ облуч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 человеческого тела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покрытия тела
US20100276410A1 (en) Led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habitat
KR200435138Y1 (ko) 애완동물용 발광 밴드
KR20210117510A (ko)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CN110505805A (zh) 虫引诱装置
KR101463982B1 (ko) Led조명을 구비한 식물재배장치
KR20240059279A (ko)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CN210704370U (zh) 镊子
KR101605396B1 (ko) Led 조명장치
TW201433260A (zh) 室內裝置
KR20150136850A (ko) Led 조명장치
KR102035241B1 (ko) 스마트 테라리움 시스템
KR20110087846A (ko)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KR100880567B1 (ko) 농가용 헤드램프
JP2017121207A (ja) 防虫灯
CN107448896B (zh) 水草观赏用照明装置
JP2018011561A (ja) 植物栽培装置
CN219741645U (zh) 一种虫害防治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