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396B1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396B1
KR101605396B1 KR1020140034208A KR20140034208A KR101605396B1 KR 101605396 B1 KR101605396 B1 KR 101605396B1 KR 1020140034208 A KR1020140034208 A KR 1020140034208A KR 20140034208 A KR20140034208 A KR 20140034208A KR 101605396 B1 KR101605396 B1 KR 10160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ody case
unit
main bod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172A (ko
Inventor
박기주
유원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4003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3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포함하여 다수의 LED가 실장된 기판 및 커버가 탑재된 본체 케이스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완충 패드를 부착하여 충격 완화를 통해 제품의 파손을 줄임과 함께 해충 퇴치 기능을 갖도록 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를 수납하고 고정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제 1, 제 2 발광부를 실장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및 배터리 수납 케이스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보호 캡과, 상기 보호 캡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리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확산커버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발광부는 실내 또는 실외 조명을 위해 백색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해충 퇴치를 위해 적황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조명장치{led illumination lamp}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격 완화를 위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광고물 또는 간판 등에 설치되어 주간 또는 야간에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명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필라멘트 전구, 형광등, 네온사인 또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LED의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력소비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LED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칭하는 것으로, LED 반도체의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등의 장점이 있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차세대 전략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LED 소자는 p형과 n형의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을 가하면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는 일종의 광전자 소자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가 개발되어 천연색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옥외용 대형 전광판이나, 교통신호등, 자동차 계기판, 가전제품, 네온대체 간판, 의료장비, 경고 및 유도등과 같은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LED 조명장치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약 10% 내지 15%정도의 낮은 전력소모와 50,000 시간 이상의 반영구적인 수명,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짐으로 인해 조명기구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근래 오토 캠핑과 솔로캠핑 인구가 매우 많이 늘었다. 이에 따라 관련 산업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 램프는 캠핑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아이템이다. 밝기가 매우 밝은 휘발유, 가스랜턴도 필요하지만 적당한 밝기의 LED 램프도 매우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텐트 내부에는 휘발유나 가스랜턴을 사용하는 건 매우 위험하므로 대부분 건전지를 사용하는 LED 램프를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일반적인 수준의 LED 램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캠핑시 다양한 해충이 많은 피해와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으로, 특히 지구 온난화가 심화됨에 따라 모기 등의 해충 생존기간이 늦은 봄부터 여름과 가을 및 초겨울까지 길어지고 점차 독성이 강해지고 있어 이를 퇴치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과 방법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해충 퇴치 수단은 통상적으로 방충망에 의한 물리적 퇴치수단은 물론 살충제의 살포 또는 기피향을 이용한 전기적 또는 화학적 퇴치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피향을 이용한 퇴치수단은 모기 등의 해충이 싫어하는 향기를 발산시켜 일정 범위 내에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기피향을 이용한 퇴치수단은 발향 물질을 혼합하여 자연 발향되게 하거나, 인위적으로 향물질을 실내로 분사하여 사용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에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은 즉시 뛰어난 효과를 보이면서도 해충의 사멸 효과 역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체에도 크게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밀폐된 실내에서 장시간 사용하거나 어린이 및 유아가 함께 하고 있을 경우에는 더욱 건강에 이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음식물이나 식기에 뿌려지는 경우에는 이를 직접 섭취할 수도 있어 권장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적인 발열에 의한 기피향 발산제나 기피향제를 직접 태워 그 연기가 실내로 확산되게 하는 방법 역시 해충이 싫어하거나 살충제가 포함된 화학약품을 실내로 확산시키는 방법이므로 여전히 인체에 이롭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살충제와 발향식 기피제 등은 모두 소모성 약제이므로 수시로 이를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며, 잔존물이나 폐기물 등이 발생함에 따라 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야외에서 대부분 나무나, 램프 걸이에 걸어두고 사용하는데, 실수로 떨어뜨리거나 램프 걸이가 넘어지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조명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를 포함하여 다수의 LED가 실장된 기판 및 커버가 탑재된 본체 케이스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완충 패드를 부착하여 충격 완화를 통해 제품의 파손을 줄임과 함께 해충 퇴치 기능을 갖도록 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를 수납하고 고정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제 1, 제 2 발광부를 실장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및 배터리 수납 케이스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보호 캡과, 상기 보호 캡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리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확산커버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발광부는 실내 또는 실외 조명을 위해 백색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해충 퇴치를 위해 적황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터리를 포함하여 다수의 LED가 실장된 기판 및 렌즈가 탑재된 본체 케이스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완충 패드를 부착하여 충격 완화를 통해 조명장치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적황색을 발광하는 LED를 추가하여 파리 및 모기 등의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셋째, 본체 케이스내에 수납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 및 조립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별도의 악세사리 없이 고리부를 손잡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조명장치를 천장이나 벽면, 나무 등에 용이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 1, 제 2 발광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제 1, 제 2 발광부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10), 스위칭부(120), 배터리부(130), 제 1, 제 2 발광부(140, 150), 본체 케이스(160), 내부 캡(170), 외부 캡(180), 투명커버(190), 확산커버(200), 완충 패드(210), 충전 표시부(220),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 고리부(240) 및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1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아답터 형식의 잭이 삽입되어 DC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에너지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태양광이나 수력과 같은 발전장치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은 상기 배터리부(130)를 충전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를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는 상기 배터리부(130)에 충전된 전원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와 충전부(130)에 동시 공급되어 점등과 충전을 진행할 수가 있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의 ON 또는 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3 단계로 이루어지면서 아래의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를 OFF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ON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OFF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OFF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ON하는 제 3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면에 구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총 3단계로 동작 즉, 중간 부분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 1, 제 2 발광부(140, 150)가 모두 OFF 상태가 되고, 위로 올렸을 경우에는 제 2 발광부(150)가 ON되고, 아래로 내렸을 경우에는 제 1 발광부(140)가 ON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1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실내 또는 실외 조명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해충 퇴치를 포함하여 취침 등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도 5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LED 소자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성되는 제 1 발광부(140)의 LED 소자들 사이에 다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제 2 발광부(150)가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곳으로서, 상기 배터리부(130)에 저장된 전원을 통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부(130)는 리튬전지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로 이루어진 종래보다 유해물질이 없어 친환경적이고, 급속충전이 가능한 고효율 특성을 갖으며, 발화성 및 폭발성과 같은 위험성을 사전에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130)는 리튬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니켈-수소 전지(NiMH: nickel metal hydride battery)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부(130)는 상기 배터리부(130)의 제어를 통한 고효율의 충방전과 더불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관리부(BMS: Battery Management Aystem)(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역할을 하며, 비상 또는 야간 외출 시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터리부(130)는 과충전 및 과방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보호 회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실내 또는 실외 조명을 위한 조명등으로, 다수의 LED들이 회로 기판(141)에 실장되어 상기 배터리부(130)에 저장된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12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파리 또는 모기와 같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조명등으로, 상기 제 1 발광부(140)와 동일하게 다수의 LED들이 회로 기판(141)에 실장되어 상기 배터리부(130)에 저장된 전원 또는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12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모기, 날벌레, 깔다구, 나방, 하루살이, 바퀴벌레, 돈벌레, 파리 등의 해충이 싫어하는 특정 파장대역의 빛을 발산하여 해충의 접근을 방지함과 함께 퇴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백색의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580~650nm의 파장을 갖는 적황색을 발광하여 해충을 퇴치한다.
상기 제 1 발광부(140)와 제 2 발광부(150)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100)는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이동이 편리하다. 즉, 사용자가 공부를 하기 위해 스탠드 역할을 하도록 벽면에 부착하거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천장에 부착하여 실내 조명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야간 외출시에는 탈착하여 후레쉬로 사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농장에서 작물에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LED 조명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작업이 끝나는 시간인 밤 10시 내지 12시 이후 시간에는 조명등의 기능을 하는 제 1 발광부(140)는 OFF하고 제 2 발광부(150)만 ON시켜 적황색을 발광하여 해충을 퇴치하게 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60)는 상기 배터리부(130)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와 제 1, 제 2 발광부(140, 150)가 실장된 회로 기판(141)을 수납하고, 측면에 각각 상기 전원 공급부(110)가 결합되는 제 1 결합홀(161) 및 상기 스위칭부(120)가 결합되는 제 2 결합홀(16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는 상기 배터리부(130)를 수납 및 고정되게 수납공간(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60)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내부 캡(170)은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230)를 덮으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160)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외부 캡(180)은 상기 내부 캡(170)과 후크 결합을 통해 상기 내부 캡(170)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캡(170)과 외부 캡(180)은 사용자가 실외에서 후레쉬로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171,181)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캡(180)의 상단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182)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홀(182)에 고리부(240)가 탈부착되게 된다. 상기 고리부(240)는 후레쉬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지도록 손목 걸이를 장착하거나 실내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천장에 매달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고리가 연결된다.
상기 투명커버(190)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에서 발광하는 빛의 투과량을 높여 각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지향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투명커버(190)의 상부 중심의 두께보다 양측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투명커버(190)의 양측부로 방사되는 빛의 투과량을 높여 상기 각 LED)에서 조사되는 빛의 지향각을 확장하여 형광등의 조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커버(19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는 것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량을 보정하기 위한 반투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각 LED의 직사광을 반투명 부재로 형성된 투명커버(190)를 통하여 투과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고 은은한 조명이 가능하여 사용자 눈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투명커버(190)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이고, 상기 합성수지는 아크릴, PE 또는 PVC,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합성수지에는 광확산제가 혼합되어 있다.
상기 투명커버(19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 타단에 탑재된 제 1 발광부(140)가 발광했을 때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여 실내 조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투명커버(19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가장자리 부분이 본체 케이스(160)의 내부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볼록한 부분만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하면서 방사각을 크게 한다.
상기 확산커버(200)는 상기 투명커버(190)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빛의 확산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확산커버(20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투명커버(120)를 감싸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확산커버(200)는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발광부(140)의 발광시 다양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발광부(140)가 발광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투명커버(190)를 구성하여 투과율을 높임과 동시에 광원부를 구성하는 LED의 도트(dot)가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비자의 선택 사양에 따라 투과율이 70%, 80%, 90% 등 소비자가 원하는 투과율의 스펙에 따라 확산커버(200)를 제작하여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커버(190)를 씌우도록 하여 소비자 맞춤형 LED 형광등을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LED 형광등의 설치시 주위 환경을 고려하여 확산커버(200)를 선택사양으로 구입하여 원하는 색온도 값이나, 확산율에 맞는 확산커버(200)를 사용하여 보다 폭 넣은 조명의 사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41)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부(130)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충전 표시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 표시부(240)는 상기 스위칭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130)가 충전하고 있을 때는 적색등이 표시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등이 들어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 패드(2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확산 커버(200)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하여 낙하에 의해 떨어지더라도 충격 완화에 의해 확산 커버(200)를 포함하여 투명 렌즈(19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면에 인체감지센서(250) 및 디밍 표시부(260)를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인체감지센서(250)를 통해 조명장치가 설치된 일정범위내에 사람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제 2 광원부(140, 150)를 OFF하고 일정범위내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 1, 제 2 광원부(140, 150)를 ON하여 LED 조명장치의 수명을 한층더 연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센서(260)를 통해 제 1, 제 2 광원부(140, 150)가 동작할 때 상기 충전 표시부(240)와 인접하게 설치된 디밍 표시부(260)를 통해 상기 제 1 광원부(140)의 디밍 상태를 사용자는 확인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전원 공급부 120 : 스위칭부
130 : 배터리부 140 : 제 1 발광부
150 : 제 2 발광부 160 : 본체 케이스
170 : 내부 캡 180 : 외부 캡
190 : 투명커버 200 : 확산커버

Claims (8)

  1.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를 수납하고 고정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제 1, 제 2 발광부를 실장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및 배터리 수납 케이스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보호 캡과,
    상기 보호 캡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리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확산커버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되는 완충 패드와,
    상기 본체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제 2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의 방사각을 넓혀주는 투명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발광부는 실내 또는 실외 조명을 위해 백색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해충 퇴치를 위해 적황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를 OFF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는 ON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OFF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는 OFF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ON하는 제 3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은 내부 캡과 외부 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구성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측면에 구성되는 디밍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KR1020140034208A 2014-03-24 2014-03-24 Led 조명장치 KR101605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08A KR101605396B1 (ko) 2014-03-24 2014-03-24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08A KR101605396B1 (ko) 2014-03-24 2014-03-24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72A KR20150110172A (ko) 2015-10-02
KR101605396B1 true KR101605396B1 (ko) 2016-03-22

Family

ID=5434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08A KR101605396B1 (ko) 2014-03-24 2014-03-24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51B1 (ko) * 2020-04-07 2020-09-03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엘이디 조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740B1 (ko) * 2022-01-19 2022-06-30 주식회사 팜하이테크 일산화탄소 경보기능을 겸비한 캠핑용 랜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17Y1 (ko) * 2010-12-28 2013-03-18 이범구 해충퇴치용 라이팅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17Y1 (ko) * 2010-12-28 2013-03-18 이범구 해충퇴치용 라이팅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51B1 (ko) * 2020-04-07 2020-09-03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엘이디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72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914B2 (en) Light device
US8672506B2 (en) Solar candle light insert module
KR101593057B1 (ko) 다용도 엘이디 랜턴
US20100271815A1 (en) Clip-on decorative led light
KR101691428B1 (ko) 비상 점멸이 가능한 휴대형 led 랜턴
US10593238B2 (en) Illuminated address number assembly
KR20160007168A (ko) 빛과 향을 이용한 모기 퇴치기
KR101587496B1 (ko) Led 조명장치
US8177384B2 (en) Helmet mount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605396B1 (ko) Led 조명장치
US9500347B2 (en) Package and light device
KR20120014637A (ko) 야외용 랜턴
JP2004014280A (ja) 照明具
CN105013180A (zh) 助威道具
CN205001889U (zh) 一种便携应急照明装置
KR101587497B1 (ko) Led 조명장치
US7461943B1 (en) Fiber optic garden light
KR10166536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휴대형 훈증장치
KR101609749B1 (ko) 엘이디 랜턴
US20200170423A1 (en) Floral display systems
KR101561848B1 (ko) Led 조명장치
JP2013236611A (ja) 蚊さされ防止ライト
KR200488358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US11035565B1 (en) Flag topper
KR101648166B1 (ko)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