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788A -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 Google Patents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788A
KR20190062788A KR1020170161336A KR20170161336A KR20190062788A KR 20190062788 A KR20190062788 A KR 20190062788A KR 1020170161336 A KR1020170161336 A KR 1020170161336A KR 20170161336 A KR20170161336 A KR 20170161336A KR 20190062788 A KR20190062788 A KR 2019006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ttery
speaker
light emitting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양
김강산
강수진
권성은
김다혜
박선미
황민지
Original Assignee
김태양
강수진
황민지
김다혜
박선미
김강산
권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양, 강수진, 황민지, 김다혜, 박선미, 김강산, 권성은 filed Critical 김태양
Priority to KR102017016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788A/ko
Publication of KR2019006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내장배터리가 구비되되, 상기 내장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기기의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휴대전자기기 충전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내부에 발광 소자가 구비되고, 외벽은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조명 모듈,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 기 설정된 주파수의 초음파가 출력되는 방충 모듈 및 이동통신망 신호를 와이파이로 변환하여 인접한 주변 무선통신기기들에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포켓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모듈, 조명 모듈, 스피커 모듈, 방충 모듈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은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각 몸체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Modular multifunctional c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캠핑용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배터리 기능, 조명 기능, 스피커 기능, 해충 퇴치 기능 및 포켓 와이파이 기능 등이 구비되되, 모듈식 이루어져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에 관한 것이다.
주 5일 근무제의 도입으로 인하여, 그에 따라 캠핑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캠핑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캠핑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내 캠핑시장 규모는 2014년 6000억을 돌파하였으며, 캠핑인구 역시 6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2030세대에서 캠핑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2030세대를 중심으로 도시 인근에서 소풍하듯이 캠핑을 즐기는 캠프닉이 하나의 캠핑 문화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로 인해 캠핑 인구가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 연령대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캠핑 또는 캠프닉을 위한 주요 캠핑 용품은 조명, 스피커 등 다양한 기능별로 개별적인 물품으로 구성된 제품이 많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따라 물품의 개수 또한 늘어나게 됨으로써, 캠핑 용품 준비를 위한 비용 지출이 크며, 또한 물품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가 챙겨야하는 짐의 무게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16-0112361호(출원일:2016.09.01) 등에서 캠핑시 필요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비된 캠핑 용품에 관련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조명 기능과 스피커 기능만이 융합된 제품이 대부분이며, 여러 가지 기능이 포함된 경우에는 캠핑용품의 크기가 커서 휴대성이 저하되고, 여러 가지 기능 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또는 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캠핑용품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추가 또는 배제할 수 있도록 모듈식으로 구성된 다기능 캠핑용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캠핑용품은 보조 배터리 기능, 조명 기능, 스피커 기능, 해충 퇴치 기능 및 포켓 와이파이 기능을 구비하되,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추가 또는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내부에 내장배터리가 구비되되, 상기 내장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기기의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휴대전자기기 충전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내부에 발광 소자가 구비되고, 외벽은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조명 모듈,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 기 설정된 주파수의 초음파가 출력되는 방충 모듈 및 이동통신망 신호를 와이파이로 변환하여 인접한 주변 무선통신기기들에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포켓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모듈, 조명 모듈, 스피커 모듈, 방충 모듈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은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각 몸체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광선으로 주사하는 빔 프로젝터부를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배터리 모듈, 조명 모듈, 스피커 모듈, 방충 모듈, 포켓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캠핑용품으로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배터리 모듈, 조명 모듈, 스피커 모듈, 방충 모듈, 포켓 와이파이 모듈, 각 모듈이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 모듈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더불어 각 모듈이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필요한 모듈만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활용성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사일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배터리 모듈, 조명 모듈, 스피커 모듈, 방충 모듈, 포켓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조 배터리 기능, 조명 기능, 스피커 기능, 해충 퇴치 기능 및 포켓 와이파이 기능을 동시에 제공 가능하며, 각 모듈이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 모듈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더불어 각 모듈이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필요한 모듈만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크게 배터리 모듈(100), 조명 모듈(200), 스피커 모듈(300), 방충 모듈(400)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500)을 포함하며, 배터리 모듈(100), 조명 모듈(200), 스피커 모듈(300), 방충 모듈(400)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500)은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결합돌기(600)와 결합홈(700)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각 몸체가 상호 결합되는 모듈식으로 구성되고,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배터리 모듈(100)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전자기기의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보조배터리 수단으로, 내부에 충전이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구비되고, 내장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기기의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내장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전자기기 충전부(110)가 구비된다. 휴대전자기기 충전부(110)는 내장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외부 휴대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배터리 모듈(100) 외측부에 전원 단자가 형성된 접속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조명 모듈(200)은 사용자가 캠핑 시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야외에서 랜턴으로 사용하거나, 실외 시설 내부에서 무드등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발광 소자가 구비되고, 외벽은 발광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발광부가 형성되며, 이때 발광부는 조명 모듈(200)의 외벽에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명 모듈(200)은 주변의 조도에 따라 디밍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피커 모듈(300)은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전자기기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통신부와 스피커를 포함하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전화, 노트북, 태블릿PC 등의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 받아, 해당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방충 모듈(400)은 모기와 같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진한다.
초음파는 일반적으로 해충의 청각신경기관에 불쾌감이나 고통을 주게 되며, 따라서 방충 모듈(400)은 해충들을 퇴치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부를 구비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초음파 발진부는 발진되는 초음파 대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초음파 대역을 조절 가능한 경우, 3월 내지 4월 중에는 진드기, 거미, 개미 및 바퀴벌레 등의 퇴치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비교적 고주파 대인 25,000 내지 50,000Hz의 초음파가 발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월 내지 9월까지는 특히 모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기를 퇴치할 수 있도록 12,000 내지 17,000Hz의 초음파가 발진되도록 하며, 10월 내지 2월까지의 겨울에는 유해 곤충보다는 쥐와 같은 유해 동물 활동이 증가될 수 있어, 이를 퇴치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저주파 대인 15,000Hz 주파수 범위 이하의 초음파가 발진되도록 함으로서 해충 퇴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포켓 와이파이 모듈(500)은 모듈식 다기능 캠핌용품과 인접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무선통신기기들에 무선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2G, 3G, 4G, WiBro 등의 이동통신망 신호를 와이파이(Wi-Fi)로 변환하여 주변 무선통신기기들에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휴대용 소형 라우터로, 무선망용 인터넷 공유기로 볼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00)은 상부에 결합홈(700)이 형성되고, 조명모듈은 하부에 결합돌기(600)가 형성되어, 기본적으로 언제든지 휴대용 조명으로 활용 가능하되,
나머지 스피커 모듈(300), 방충 모듈(400)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500)은 상부에는 결합홈(70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돌기(600)가 형성되어, 배터리 모듈(100)과 조명 모듈(200) 사이에 방충 모듈(400), 스피커 모듈(300)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배터리 모듈(100)과 조명 모듈(200)의 결합만으로 하나의 몸체를 이루거나, 최하측에 배터리 모듈(100)이 위치되고 최상측에 조명 모듈(200)이 위치되되, 그 외의 스피커 모듈(300), 방충 모듈(400)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터리 모듈(100)과 조명 모듈(200) 사이에 적층 형성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결합돌기(600)와 결합홈(700)의 결합구조는 단순히 결합돌기(600)가 결합홈(700)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결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600)는 원통형상의 중심축부(610)와, 중심축부(6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결합홈(700)은 결합돌기(600)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홈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부(620)가 중심축부(610)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결합돌기(600)가 결합홈(7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돌기(600)가 형성된 몸체와 결합홈(700)이 형성된 몸체 둘 중 하나를 사용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돌기(600)의 돌출부(620)가 결합홈(7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함몰 형성된 가이드부 측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돌기(600)의 돌출부(620)가 가이드부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게 되면 결합돌기(600)가 결합홈(700)과 분리되지 않게 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때 결합돌기(600)와 결합홈(700)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800)이 부착 형성됨으로써, 결합돌기(600)와 결합홈(700)에 형성된 자석(800) 사이의 자력에 의하여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100), 조명 모듈(200), 스피커 모듈(300), 방충 모듈(400)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500)은 각 모듈별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각 모듈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이 모듈별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각 모듈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돌기(600)와 결합홈(700)에 전원단자가 형성되거나, 각 모듈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각 모듈이 상호 접하는 접촉면에 전원단자가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모듈(100)에 구비된 내장배터리로부터 각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은 추가적으로 빔 프로젝터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빔 프로젝터 모듈은 통신부와 빔 프로젝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통신부는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것으로, 통신부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영상신호를 광선으로 주사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빔 프로젝터부는 일반적으로 영상신호를 광선으로 주사하기 위한 투사광 공급을 위하여 발광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와, 램프에서 발생한 광선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다이크로익 미러와,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분리된 화소의 투과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에 맺힌 영상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주요 구성으로 하며, 빔 프로젝터부는 빔 프로젝터 장치에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배터리 모듈
110 : 휴대전자기기 충전부
200 : 조명 모듈
300 : 스피커 모듈
400 : 방충 모듈
500 : 포켓 와이파이 모듈
600 : 결합돌기
610 : 중심축부
620 : 돌출부
700 : 결합홈
800 : 자석

Claims (2)

  1. 내부에 충전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구비되되, 상기 내장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기기의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휴대전자기기 충전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내부에 발광 소자가 구비되고, 외벽은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조명 모듈;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
    기 설정된 주파수의 초음파가 출력되는 방충 모듈; 및
    이동통신망 신호를 와이파이로 변환하여 인접한 주변 무선통신기기들에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포켓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모듈, 조명 모듈, 스피커 모듈, 방충 모듈 및 포켓 와이파이 모듈은 각각 별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각 몸체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광선으로 주사하는 빔 프로젝터부를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KR1020170161336A 2017-11-29 2017-11-29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KR20190062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36A KR20190062788A (ko) 2017-11-29 2017-11-29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36A KR20190062788A (ko) 2017-11-29 2017-11-29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88A true KR20190062788A (ko) 2019-06-07

Family

ID=6685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336A KR20190062788A (ko) 2017-11-29 2017-11-29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7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624A (ko) * 2019-11-29 2021-06-08 김석태 초음파해충퇴치기
WO2021187644A1 (ko) * 2020-03-19 2021-09-23 농업회사법인준준팜주식회사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KR20230123666A (ko) 2022-02-17 2023-08-24 일상코리아 주식회사 디퓨저 겸용의 휴대용 조명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624A (ko) * 2019-11-29 2021-06-08 김석태 초음파해충퇴치기
WO2021187644A1 (ko) * 2020-03-19 2021-09-23 농업회사법인준준팜주식회사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KR20230123666A (ko) 2022-02-17 2023-08-24 일상코리아 주식회사 디퓨저 겸용의 휴대용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2788A (ko) 모듈식 다기능 캠핑용품
RU2730416C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анелью отображения
US8282227B2 (en) Audio lamp
US20180167764A1 (en) Repellent system
US20170052561A1 (en) Multifunctional Wearable with Live Cam
US20080268925A1 (en) Antenna module for a mobile phone
KR20150084888A (ko) 조명 사운드 박스
US20200077056A1 (en) Shoe capable of changing images
CN108884989A (zh) 电子设备和照明系统
KR20200099226A (ko) 다기능 IoT 스마트 의자
JP4350237B2 (ja) カメラ
JP4639643B2 (ja) 電子装置
RU2679613C1 (ru) Передатчик универсальный для систем оповещения
TWM538215U (zh) 兒童學習裝置
EP3621574B1 (en) Sauna pail
KR200318222Y1 (ko) 다기능 휴대용 비상조명등
CN105996344A (zh) 具有可变使用功能的多功能念珠
JP2004112385A (ja) 簡易取付型監視装置
KR200489857Y1 (ko) 핸드폰 거치대
KR20150007591A (ko) 압전세라믹 소자를 내장한 스마트 워치
US20230380408A1 (en) Ultrasound Generator, Pest Extermination System Using Ultrasound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Ultrasound Generator
CN112188352A (zh) 智能音箱香氛装置
US2005018698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81351B1 (ko)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의 해충퇴치기
JP6477830B1 (ja) 首輪及び近接判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