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444A -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 Google Patents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444A
KR20210117444A KR1020200033649A KR20200033649A KR20210117444A KR 20210117444 A KR20210117444 A KR 20210117444A KR 1020200033649 A KR1020200033649 A KR 1020200033649A KR 20200033649 A KR20200033649 A KR 20200033649A KR 20210117444 A KR20210117444 A KR 2021011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wafer
slip pad
blade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준
장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린트머티리얼즈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린트머티리얼즈,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린트머티리얼즈
Priority to KR102020003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444A/en
Publication of KR2021011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9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pins for accurately positioning the object on the gripping h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slip pad mounted on a robot arm for wafer transfer comprises: a base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a blade of the robot arm; and a pattern uni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including one or more fine patterns, wherein the pattern unit includes a conductive layer uni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unit and having conductivity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wafer. The process stability can be ensured by neutralizing charges accumulated on surfaces of the wafer and the non-slip pad, preventing the excessive mounting force due to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 wafer and the non-slip pad, and facilitating the unloading of the wafer.

Description

표면 전하를 제거하여 파핑 현상을 제거한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미끄럼 방지 패드{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Anti-slip pad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that removes surface charge to remove popping phenomenon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 이송 중 웨이퍼 언로딩(unloading) 과정에서 이송용 로봇암에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의 표면 전하에 의해 정전기력이 발생하여 웨이퍼가 로봇암으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거나 무리하게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장비로부터 이탈하여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force generated by the surface charge of an anti-skid pad mounted on a transfer robot arm during wafer unloading during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so that the wafer does not easily fall from the robot arm or in the process of unreasonably unloading. It relates to an anti-skid pad for solving the problem of wafer breakage from equipment.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단결정의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상에 원하는 회로 패턴에 따라 다층막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를 위해 증착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산화 공정, 식각 공정, 이온주입 공정 및 금속배선 공정 등 다수의 단위 공정들이 단계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된다.In general, a semiconductor device is manufactured by forming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desired circuit pattern on a single crystal silicon wafer. To this end, a plurality of unit processes, such as a deposition process,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 oxidation process, an etching process, an ion implantation process, and a metal wiring process, ar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eps.

이러한 각 단위 공정들이 절차에 따라 진행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공정이 완료된 후 후속공정이 행해질 장비로 웨이퍼가 이동된다. 이 때 웨이퍼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송되거나, 카세트와 같은 장비에 복수 매의 웨이퍼가 적재되어 이송될 수 있다. In order for each of these unit processes to proce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after each process is completed, the wafer is moved to the equipment to be subjected to the subsequent process. At this time, the wafers may be individually transferred, or a plurality of wafers may be loaded and transferred in equipment such as a cassette.

카세트에 적재된 복수 매의 웨이퍼를 하나씩 특정의 장비에 로딩하거나 이송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웨이퍼 이송 로봇이 사용될 수 있다.In a process of loading or transferring a plurality of wafers loaded in a cassette to a specific equipment one by one, a wafer transfer robot may be generally used.

종래의 웨이퍼 이송 로봇은 웨이퍼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블레이드(blade)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블레이드에는 웨이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드에 웨이퍼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미끄럼 방지용 패드는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 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절연 특성의 미끄럼 방지 패드는 이송 과정 중 표면에 전하가 응집될 수 있으며, 웨이퍼가 블레이드에 안착 시 표면 전하로 인해 정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과도한 장착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퍼를 블레이드에서 분리하는 언로딩 과정에서 웨이퍼가 쉽게 분리되지 않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여 분리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장비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 conventional wafer transfer robot has a blade that directly handles the wafer, and an anti-skid pad is attached to the blade to prevent the wafer from slipping. The waf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se anti-skid pads. Since the anti-slip pad is generally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t has insulating properties. In the non-slip pad having such insulating properties, electric charges may be aggregated on the surface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nd when the wafer is seated on the blade, electrostatic attraction is generated due to the surface charge, which may cause excessive mounting force. In this case, the wafer may not be easily separated in the unloading process of separating the wafer from the blade, or the wafer may be separated from the equipment or damag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it by applying excessive force.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16-0055010호(발명의 명칭: 웨이퍼 이송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등이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5010 (title of the invention: wafer transfer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 미끄럼 방지 패드의 표면 전하에 의해 웨이퍼가 블레이드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 않거나 분리 과정에서 웨이퍼가 장비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웨이퍼 이송 로봇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skid pad for a wafer transfer robo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wafer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lade due to the surface charge of the anti-skid pad during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wafer is separated from the equipment or damage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provid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는, 블레이드의 상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미세패턴을 포함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부 표면에 상기 웨이퍼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을 갖는 전도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kid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and a patter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cluding one or more fine patterns, and the pattern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and It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conductivity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전도층부와 상기 웨이퍼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slip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ductive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layer part and the waf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 및 상기 전도층부와 상기 접착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웨이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slip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layer for adhes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a conductive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layer part and th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may have conductivity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f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전도층부의 두께는 5㎚ 내지 200㎛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nti-slip 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may be 5 nm to 200 μ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통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n-slip 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전도층부는 그래핀, CNT(carbon nano tube), C60, C540, C70,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흑연, 폴리아세틸렌(poly acetylene), 폴리티오펜(poly thiophene), 폴리아닐린(poly aniline), 폴리피롤(poly 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 p phenyle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 phenylene vinylene), 폴리파라페닐렌설파이드(poly p phenylene sulphide),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 p phenylene vinylene),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 iso thianaphthene) 또는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 thienylene vin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n-slip 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is graphene, carbon nano tube (CNT), C60, C540, C70, amorphous carbon, graphite, polyacetylene, poly thioph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pphenylene, polyphenylene vinylene, polyparaphenylene sulphide ), poly p phenylene vinylene, poly iso thianaphthene, or poly thienylene vinyle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통전부는 그래핀, CNT(carbon nano tube), C60, C540, C70,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흑연, 폴리아세틸렌(poly acetylene), 폴리티오펜(poly thiophene), 폴리아닐린(poly aniline), 폴리피롤(poly 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 p phenyle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 phenylene vinylene), 폴리파라페닐렌설파이드(poly p phenylene sulphide),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 p phenylene vinylene),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 iso thianaphthene) 또는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 thienylene vin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n-slip 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ng portion is graphene, carbon nano tube (CNT), C60, C540, C70, amorphous carbon, graphite, polyacetylene, poly thioph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pphenylene, polyphenylene vinylene, polyparaphenylene sulphide ), poly p phenylene vinylene, poly iso thianaphthene, or poly thienylene vinyle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세패턴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며, 상기 기둥의 높이는 10㎚ 내지 1000㎛이고, 상기 기둥의 직경은 10㎚ 내지 1000㎛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ti-skid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or more fine patterns are formed in a columnar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lumn is a polygon, a circle, or an ellipse, and the height of the column is 10 nm to 1000 μm, and the The diameter of the pillar may be 10 nm to 1000 μ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세패턴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며, 상기 홈의 깊이는 10㎚ 내지 1000㎛이고, 상기 홈의 직경은 10㎚ 내지 1000㎛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ti-skid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or more fine pattern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is a polygon, a circle, or an ellipse, and the depth of the groove is 10 nm to 1000 μm, The diameter of the groove may be 10 nm to 1000 μ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웨이퍼의 하면과 상기 패턴부의 상면 사이에는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에 의한 장착력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ti-skid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force by a Van der Waals for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waf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패턴부는 신축성이 있는 탄성중합체(elastomer), 실리콘계 탄성중합체(Si based elastomer), 플루오르엘라스토머(FKM, fluoroelastomer), 퍼플루오르엘라스토머(FFKM, perfluoroelastomer)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ti-slip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and the pattern part are elastic polymer (elastomer), silicone-based elastomer (Si based elastomer), fluoroelastomer (FKM, fluoroelastomer), perfluoroelastomer ( FFKM, perfluoroelastomer)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퍼와 접촉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의 상부 표면을 전도층으로 형성하고, 전도층 및 블레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통전부를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패드 표면에 응집된 표면 전하를 블레이드로 접지함으로써 표면 전하에 의해 웨이퍼가 미끄럼 방지 패드에 과도한 장착력으로 장착되지 않도록 하여 웨이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kid pad in contact with the wafer is formed as a conductive layer, and a conductive part is formed so that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blad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surface charges aggregated on the surface of the anti-slip pad. By grounding the wafer with the blade, the wafer is prevented from being mounted on the anti-skid pad with excessive mounting force by the surface charge, thereby preventing the wafer from being damaged and improving process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이송 로봇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층부를 포함한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부를 포함한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을 포함한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fer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lade shown in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ti-slip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ti-slip pad including a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nti-slip pad including a conduc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ti-slip pad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이송 로봇의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fer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이송 로봇(100)은, 예를 들면 해당 공정이 완료된 웨이퍼를 다음의 공정으로 옮기거나 카세트와 같은 적재 공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개략적으로는, 로봇몸체(110)와, 로봇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다관절 타입의 로봇암(robot arm, 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wafer transfer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ransferring, for example, a wafer whose process is completed to the next process or to a loading space such as a cassette, schematically may include a robot body 110 and a multi-joint type robot arm 12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bot body 110 .

로봇몸체(110)의 하단부에는 휠(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로봇몸체(110)의 이동이 가능하다. 로봇암(12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암(121, 123, 125)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암(121), 제2 암(123) 및 제3 암(125)을 포함할 수 있다.A wheel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bot body 110 , so that the robot body 110 can move. As shown in FIG. 1 , the robot arm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ms 121 , 123 , and 125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rm 121 , the second arm 123 and the second arm 120 . It may include three arms 125 .

제1 암(121)과 로봇몸체(110)는 샤프트(111)에 의해 결합되어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제1 암(121)을 회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1 암(121)과 제2 암(123), 그리고 제2 암(123)과 제3 암(125)도 샤프트에 의해 결합되어 각각의 암(121, 123, 125)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arm 121 and the robot body 110 are coupled by a shaft 111 to rotate the first arm 121 about the shaft 111 , and also the first arm 121 and the second arm 121 . The arm 123 and the second arm 123 and the third arm 125 are also coupled by a shaft so that each of the arms 121 , 123 , and 125 can be rotated in a desired direction.

따라서, 암(121, 123, 125)들의 각각의 동작에 의해 제3 암(125)에 장착된 블레이드(blade, 130)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로봇몸체(110)와 제1 암(121)을 연결하는 샤프트(111)의 경우는 승강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블레이드(130)에 웨이퍼를 로딩시키거나 또는 언로딩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blade 130 mounted on the third arm 125 may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respective operations of the arms 121 , 123 , and 125 .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haft 111 connecting the robot body 110 and the first arm 121 , the shaft 111 can be lifted and lowered, there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loading or unloading a wafer on the blade 130 . .

블레이드(130)는 제3 암(125)에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암 장착부재(127)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블레이드(130)에는 나사홀(133)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게 암 장착부재(127)에도 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블레이드(130)는 암 장착부재(127)에 결합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The blade 130 may be coupled to the arm mounting member 127 coupled to the third arm 125 to enable rotation. As shown in FIG. 2 , a screw hole 133 is formed in the blade 130 , and a hole (not shown) to which a screw can be coupled is also formed in the arm mounting member 127 correspondingly to the blade 130 . It is coupled to the arm mounting member 127 and may be easily separated as need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lade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130)는 웨이퍼를 장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몸체(131)와, 블레이드 몸체(131)의 상면에 장착되어 웨이퍼의 일면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 패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blade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blade body 131 for mounting a wafer, and a plurality of anti-skid pad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body 131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wafer ( 140)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몸체(131)는, 2개의 블레이드 팁(135)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블레이드 팁(135)은 전체적으로 호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상부에 웨이퍼가 지지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몸체(131)는 또한 원형의 블레이드 팁(미도시)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blade body 1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wo blade tips 135 . The two blade tips 135 are provided in an arc shape as a whole so that a wafer can be supported thereon. The blade body 131 may also be provided with a circular blade tip (not shown).

이러한 블레이드 팁(135)에 미끄럼 방지 패드(140)가 장착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블레이드 팁(135)들의 각 단부와 블레이드 팁(135)을 연결하는 영역에 장착되며, 따라서 웨이퍼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미끄럼 방지 패드(140)의 배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웨이퍼를 지지하기에 적당하다면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미끄럼 방지 패드(140)는 하면에 접착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층을 통해 블레이드 몸체(131)에 장착될 수 있다.An anti-skid pad 140 may be mounted on this blade tip 135 , as shown in FIG. 2 , it is mounted in a region connecting each end of the blade tips 135 and the blade tip 135 , and thus the wafer can be uniformly supported. Howev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anti-slip pad 14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it may be mounted at another position if it is suitable to support the wafer. The anti-slip pad 140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not shown) on its lower surface, and may be mounted on the blade body 131 through the adhesive layer.

도 3 및 도4는 도 2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 패드(1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ti-slip pad 140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140)는 베이스부(141) 및 패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41)는 패턴부(143)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패턴부(143)는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는 베이스부(141)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이 베이스부(141)의 상면과 이루는 각도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anti-slip pad 140 may include a base part 141 and a pattern part 143 . The base part 141 is formed to support the pattern part 143 , and the pattern part 143 may include one or mor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 One or more pillars or projections 1431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4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rather than vertical, and each pillar or projection ( The angles 1431 mak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41 may not be the same.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one or mor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ar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y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은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격 거리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의 다각형이거나 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의 상부 끝단은 평평할 수도 있지만,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e or mor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distanc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one or mor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polygons, such as triangles, quadrilaterals, or pentagons, or ovals, in cross-section. The upper end of the one or mor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may be flat, but may also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은 10㎚ 내지 1000㎛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e or mor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10 nm to 1000 μm, and each of th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하나 이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은 10㎚ 내지 1000㎛의 직경 또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둥 또는 돌기(1431)들은 동일한 직경 또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직경 또는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One or mor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or thickness of 10 nm to 1000 μm, and each of th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may be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or thickn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different diameters or thicknesses. may be formed as

도 4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에서 패턴부(143)는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은 베이스부(141)의 상면을 향해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홈 또는 홀(1433)들이 베이스부(141)의 상면과 이루는 각도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anti-slip pad, the pattern part 143 may include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may be formed to vertically extend downwardly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41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rather than vertical. The angles 1433 mak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41 may not be the same.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들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ar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y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들은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격 거리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들은 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의 다각형이거나 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들의 바닥은 평평할 수도 있지만,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spacing distanc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 but the cross-sec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ss-sec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a square, or a pentagon, or an oval shape. The bottom of the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may be flat or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들은 10㎚ 내지 1000㎛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홈 또는 홀(1433)들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may be formed to a depth of 10 nm to 1000 μm, and each of the grooves or holes 1433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ep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depths.

하나 이상의 홈 또는 홀(1433)들은 10㎚ 내지 1000㎛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홈 또는 홀(1433)들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너비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ne or more grooves or holes 1433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10 nm to 1000 μm, and each of the grooves or holes 1433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widths.

베이스부(141) 및 패턴부(143)는 일체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41) 및 패턴부(14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미리 제작된 몰드를 이용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41) 및 패턴부(143)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41) 및 패턴부(143)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의 탄소계 소재와 고분자 소재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41) 및 패턴부(143)는 신축성이 있는 탄성중합체(elastomer), 실리콘계 탄성중합체(Si based elastomer), 플루오르엘라스토머(FKM, fluoroelastomer), 퍼플루오르엘라스토머(FFKM, perfluoroelastomer)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41 and the pattern portion 143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same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sequentially or separately formed and then combined. When the base part 141 and the pattern part 143 are integrally formed, they may be integrally formed using a pre-fabricated mold. The base part 141 and the pattern part 14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The base portion 141 and the pattern portion 143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or may be formed by mixing a polymer material with a carbon-based material such as graphene and carbon nanotubes. The base portion 141 and the pattern portion 143 may include an elastic polymer (elastomer), a silicone-based elastomer (Si based elastomer), a fluoroelastomer (FKM, fluoroelastomer), a perfluoroelastomer (FFKM, perfluoroelastomer), or polytetrafluoro It may be formed of ethylene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패턴부(143)는 웨이퍼의 중력에 의한 수직항력에 대응하여 고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웨이퍼가 블레이드 팁(135)에 장착되는 장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부(143)의 상면과 웨이퍼의 하면 사이에는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The pattern portion 143 provides high frictional force in response to the normal force caused by gravity of the wafer, thereby enhancing the mounting force at which the wafer is mounted on the blade tip 135 . Also, an attractive force by a Van der Waals for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art 14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af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층부를 포함한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ti-slip pad including a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는 패턴부(143)의 상부에 웨이퍼와 접촉하는 표면 부분에 전도성을 갖는 전도층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층부(145)는 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블레이드에 로딩되는 웨이퍼의 하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도층부(145)의 두께는 5㎚ 내지 200㎛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불규칙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는 전도층부(145)의 두께가 기둥 또는 돌기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도층부(145)의 두께가 기둥 또는 돌기의 높이보다 클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non-slip pad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portion 145 having conductivity on a surface portion contacting the wafer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ttern portion 143 . Since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has conductivity,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fer loaded on the blad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145 may be 5 nm to 200 μm, and may have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 irregular thickness. In FIG. 5 , a cas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pillar or protrusion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illar or protrusion.

도 5를 통해 패턴부(143)가 기둥 또는 돌기(1431)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또는 홀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전도층부의 두께가 홈 또는 홀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도층부의 두께가 홈 또는 홀의 깊이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전도층부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균일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턴부의 형상에 따라 불규칙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pattern part 143 includes the pillars or protrusions 143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rough FIG. 5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pattern part 143 includes a groove or a hol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or 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or hol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may be uniform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rregula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부(147)를 포함한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nti-slip pad including a conductive part 14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 중,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된 웨이퍼가 미끄럼 방지 패드에 로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절연체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는 상하부에 걸쳐 분극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웨이퍼와 근접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의 상부 즉, 패턴부에는 웨이퍼와 다른 극성의 전하가 응집되고, 서로 다른 극성의 전하들로 인해 웨이퍼와 패턴부 사이에는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은 정전기적 인력은 웨이퍼와 미끄럼 방지 패드 사이에서 과도한 장착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언로딩 과정에서 웨이퍼를 블레이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웨이퍼가 블레이드에서 튀어오르는 파핑(popping)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과도한 경우 분리 과정에서 웨이퍼가 이송 장비를 이탈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During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when a positively or negatively charged wafer is loaded onto the non-slip pad, the non-slip pad generally formed of an insulator is polarized acros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harges of different polarities from the wafer are aggreg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nti-skid pad adjacent to the wafer, that is, on the pattern portion, and electrostatic attraction acts between the wafer and the pattern portion due to charges of different polarities. Since the above electrostatic attraction generates an excessive mounting force between the wafer and the non-slip pad, an excessive force is required to separate the wafer from the blade during the unloading process. In this process, a popp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wafer bounces off the blade, and if it is excessiv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wafer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equipment in the separation process and is damaged.

도 6을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는 전도층부(145)와 웨이퍼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로딩 과정에서 통전부(147)는 전도층부(145)를 통해 웨이퍼(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웨이퍼(150)에 응집된 전하 및 미끄럼 방지 패드의 상부에 응집되는 전하들을 전기적으로 접지된 블레이드를 통해 중성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웨이퍼(150)와 미끄럼 방지 패드(140) 사이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정전기적 인력을 제거함으로써, 언로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핑 현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non-slip pad may include a conductive part 147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and the wafer. Referring to FIG. 7 , during the loading process, the conductive part 14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fer 150 through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 and the charge aggregated on the wafer 150 and the charge aggregated on the top of the non-slip pad. They can be neutralized through an electrically grounded blade. As a result, by removing unnecessary electrostatic attraction generated between the wafer 150 and the non-slip pad 140 , the popping phenomenon occurring during the unloading process can be easily removed, thereby ensuring process stability.

통전부(147)는 베이스부(14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블레이드(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전부(147)는 베이스부(14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접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베이스부(141)의 일부 측면만을 둘러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147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14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lade 135 . Referring to FIG. 8 , the conductive part 147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141 , but may be formed to surround only some side surfaces of the base part 141 if the grounding is stably made.

전도층부(145) 및 통전부(14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미리 제작된 몰드에 전도층부(145) 또는 통전부(147)의 원료 용액을 주입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일체로 전도층부(145) 및 통전부(147)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portion 145 and the conducting portion 147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quentially formed or separately formed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and the conductive part 147 may be formed sequentially or integrally by injecting a raw material solution of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or the conductive part 147 into a pre-fabricated mold.

전도층부(145) 및 통전부(147)는 전도성을 갖는 소재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소계 소재 또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탄소계 소재는 그래핀, CNT(carbon nano tube), C60, C540, C70,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또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poly acetylene), 폴리티오펜(poly thiophene), 폴리아닐린(poly aniline), 폴리피롤(poly 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 p phenyle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 phenylene vinylene), 폴리파라페닐렌설파이드(poly p phenylene sulphide),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 p phenylene vinylene),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 iso thianaphthene) 또는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 thienylene vinylene)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portion 145 and the conductive portion 147 may be formed of conductive materials, and may include a carbon-based material or a conductive polymer, or may be formed by mixing them. The carbon-based material may include graphene, carbon nano tube (CNT), C60, C540, C70, amorphous carbon, or graphite. Conductive polymers include polyacetylene, polythioph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pphenylene, and polyphenylenevinylene. , poly p phenylene sulphide, poly p phenylene vinylene, poly iso thianaphthene or poly thienylene vinylene. ca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160)을 포함한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ti-slip pad including an adhesive layer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는 접착층(160)을 포함하며, 접착층(160)을 통해 블레이드(135)에 장착될 수 있다. 통전부(147)는 전도층부(1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베이스부 측면을 따라 접착층(160)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통전부(147)는 접착층(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미끄럼 방지 패드가 접착층(160)을 통해 블레이드에 장착되는 경우, 전도층부(160)로부터 블레이드(135)까지 통전부(147) 및 접착층(160)을 통해 전기적인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non-slip pad includes an adhesive layer 160 , and may be mounted on the blade 135 through the adhesive layer 160 . The conductive part 147 may b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and extend to the adhesive layer 160 along the side of the base part, and the conductive part 147 may b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dhesive layer 160 . can That is, when the anti-slip pad is mounted on the blade through the adhesive layer 160 , an electrical path may be formed from the conductive layer part 160 to the blade 135 through the conductive part 147 and the adhesive layer 160 .

접착층(160)은 전도성을 갖는 소재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접착성을 갖는 소재들에 탄소계 소재 또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소계 소재는 접착성 소재 내에서 네트워크 구조의 전기적인 통로를 형성하고, 이로써 접착층(16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기적인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소계 소재는 그래핀, CNT(carbon nano tube), C60, C540, C70,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또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poly acetylene), 폴리티오펜(poly thiophene), 폴리아닐린(poly aniline), 폴리피롤(poly 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 p phenyle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 phenylene vinylene), 폴리파라페닐렌설파이드(poly p phenylene sulphide),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 p phenylene vinylene),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 iso thianaphthene) 또는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 thienylene vinylene)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60 may be formed by including conductive materials, and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carbon-based material or a conductive polymer in materials having adhesive properties such as polyimide. The carbon-based material forms an electrical path of a network structure in the adhesive material, thereby forming an electrical pa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layer 160 . The carbon-based material may include graphene, carbon nano tube (CNT), C60, C540, C70, amorphous carbon, or graphite. Conductive polymers include polyacetylene, polythioph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pphenylene, and polyphenylenevinylene. , poly p phenylene sulphide, poly p phenylene vinylene, poly iso thianaphthene or poly thienylene vinylene. can

웨이퍼가 로딩되면 도 8에 따른 원리와 동일하게 웨이퍼 및 미끄럼 방지 패드에 응집되는 전하들이 전도층부(145), 통전부(147) 및 접착층(160)을 통해 블레이드(135)로 접지됨으로써 중성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웨이퍼와 미끄럼 방지 패드 사이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정전기적 인력을 제거함으로써, 웨이퍼 언로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핑 현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When the wafer is loa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nciple according to FIG. 8 , the charges accumulated on the wafer and the non-slip pad are neutralized by being grounded to the blade 135 through the conductive layer part 145 , the conducting part 147 and the adhesive layer 160 . have. As a result, by removing unnecessary electrostatic attraction between the wafer and the non-slip pad, the popp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wafer unloading process can be easily removed, thereby ensuring process stability.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which are various modifications and Trans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웨이퍼 이송 로봇
110: 로봇몸체
111: 샤프트
120: 로봇암
121: 제1 암
123: 제2 암
125: 제3 암
127: 암 장착부재
130: 블레이드
131: 블레이드 몸체
133: 나사홀
135: 블레이드 팁
140: 미끄럼 방지 패드
141: 베이스부
143: 패턴부
1431: 기둥 또는 돌기
1433: 홈 또는 홀
145: 전도층부
147: 통전부
150: 웨이퍼
160: 접착층
100: wafer transfer robot
110: robot body
111: shaft
120: robot arm
121: first arm
123: second arm
125: third arm
127: arm mounting member
130: blade
131: blade body
133: screw hole
135: blade tip
140: non-slip pad
141: base part
143: pattern part
1431: pillar or protuberance
1433: home or hole
145: conductive layer part
147: current unit
150: wafer
160: adhesive layer

Claims (11)

웨이퍼 이송 로봇에 구비되어 웨이퍼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블레이드(blade)에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미세패턴을 포함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부 표면에 상기 웨이퍼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을 갖는 전도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In the non-slip pad provided on the wafer transfer robot and mounted on a blade for loading and unloading wafers,
a base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and
and a pattern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including one or more fine patterns;
The anti-slip pad comprising a; conductive layer portion having conductivity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waf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부와 상기 웨이퍼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The non-slip pad further comprising a; a conductive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layer part and the waf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 및
상기 전도층부와 상기 접착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웨이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 layer for adhes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Further comprising; a conductive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layer part and th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an anti-skid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conductivit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f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부의 두께는 5㎚ 내지 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is an anti-slip pad, characterized in that 5nm to 20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non-slip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izing portion surrounds a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부는 그래핀, CNT(carbon nano tube), C60, C540, C70,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흑연, 폴리아세틸렌(poly acetylene), 폴리티오펜(poly thiophene), 폴리아닐린(poly aniline), 폴리피롤(poly 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 p phenyle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 phenylene vinylene), 폴리파라페닐렌설파이드(poly p phenylene sulphide),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 p phenylene vinylene),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 iso thianaphthene) 또는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 thienylene vin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layer portion is graphene, carbon nano tube (CNT), C60, C540, C70, amorphous carbon, graphite, polyacetylene, polythiophene, polyaniline, Poly pyrrole, poly p phenylene, poly phenylene vinylene, poly p phenylene sulphide, poly p phenylene vinylene ), poly iso thianaphthene (poly iso thianaphthene), poly thienylene vinylene (poly thienylene vinyle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non-slip pa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그래핀, CNT(carbon nano tube), C60, C540, C70,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흑연, 폴리아세틸렌(poly acetylene), 폴리티오펜(poly thiophene), 폴리아닐린(poly aniline), 폴리피롤(poly 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 p phenyle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 phenylene vinylene), 폴리파라페닐렌설파이드(poly p phenylene sulphide),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 p phenylene vinylene),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 iso thianaphthene) 또는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 thienylene vin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conductive part is graphene, CNT (carbon nano tube), C60, C540, C70, amorphous carbon, graphite, polyacetylene, polythiophene, polyaniline, Poly pyrrole, poly p phenylene, poly phenylene vinylene, poly p phenylene sulphide, poly p phenylene vinylene ), poly iso thianaphthene (poly iso thianaphthene), poly thienylene vinylene (poly thienylene vinyle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non-slip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세패턴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며,
상기 기둥의 높이는 10㎚ 내지 1000㎛이고,
상기 기둥의 직경은 10㎚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The one or more fine patterns are formed in a columnar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illar is a polygon, a circle or an ellipse,
The height of the pillar is 10 nm to 1000 μm,
The non-slip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pillar is 10㎚ to 1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세패턴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원 또는 타원이며,
상기 홈의 깊이는 10㎚ 내지 1000㎛이고,
상기 홈의 직경은 10㎚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The one or more fine patterns are formed in a groove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is a polygon, a circle or an ellipse,
The depth of the groove is 10 nm to 1000 μm,
The non-slip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groove is 10㎚ to 1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하면과 상기 패턴부의 상면 사이에는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에 의한 장착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An anti-skid pad,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force by a Van der Waals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waf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패턴부는 신축성이 있는 탄성중합체(elastomer), 실리콘계 탄성중합체(Si based elastomer), 플루오르엘라스토머(FKM, fluoroelastomer), 퍼플루오르엘라스토머(FFKM, perfluoroelastomer)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art and the pattern part are elastic polymer (elastomer), silicone-based elastomer (Si based elastomer), fluoroelastomer (FKM, fluoroelastomer), perfluoroelastomer (FFKM, perfluoroelastomer)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Anti-slip pa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KR1020200033649A 2020-03-19 2020-03-19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KR202101174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49A KR20210117444A (en) 2020-03-19 2020-03-19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49A KR20210117444A (en) 2020-03-19 2020-03-19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444A true KR20210117444A (en) 2021-09-29

Family

ID=7792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649A KR20210117444A (en) 2020-03-19 2020-03-19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4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0497B2 (en) Electrostatic chuck with charge dissipation coating
JP4951677B2 (en) Wafer transfer device
US9983229B2 (en) Test socket for testing semiconductor chip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010541B2 (en) Electrostatic adsorption device
WO2011149918A2 (en) High surface resistivity electrostatic chuck
Thanh et al. Transfer‐Printing of As‐Fabricated Carbon Nanotube Devices onto Various Substrates
JP4061131B2 (en) Electrostatic adsorption device
EP2968913A1 (en) Three-dimensional multi-electrode array
KR102342156B1 (en)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carrier comprising anti-slip pad
KR20210117444A (en) Anti-slip pad removing surface charge and wafer popping problem for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robot arm
US8350160B2 (en)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structure
JP5146056B2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support device
KR102343984B1 (en) Semiconductor wafer transfer anti-slip pad removing popping problem and robot arm mounted with the same
KR20220027475A (en) Robot arm blade including through hole for transfering semiconductor wafer and anti-slip pad mounted thereon
KR20220081216A (en) Heat resistant and conductive anti-slip pad for transfering semiconductor wafer
JP2007109632A (en) Acceleration value and voltage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inspection of passive electricity
JP7370863B2 (en) Nanowir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structures
KR102382452B1 (en) Anti-slip pad for convex, concave and flat wafer transfer robot arm
KR20220027464A (en) Robot arm blade for transfering semiconductor wafer and anti-slip pad mounted thereon
KR2005002538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molecular device
KR102508091B1 (en) Micro patterned anti-slip pad comprising double sided bonding mounted on robot arm for transfering semiconductor wafer
KR20210100784A (en) Variable shaped anti-slip pad comprising fluid filler for convex, concave and flat wafer transfer robot arm
JP4520383B2 (en) Electrodeposition method
JP2004349663A (en) Electrostatic chuck
KR20230092205A (en) Anti-slip pad comprising double sided bonding mounted on robot arm for transfering semiconductor wa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