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901A - 발골 장치 - Google Patents

발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901A
KR20210116901A KR1020200033042A KR20200033042A KR20210116901A KR 20210116901 A KR20210116901 A KR 20210116901A KR 1020200033042 A KR1020200033042 A KR 1020200033042A KR 20200033042 A KR20200033042 A KR 20200033042A KR 20210116901 A KR20210116901 A KR 20210116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ribs
block
withdrawal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휘
Original Assignee
정담은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담은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담은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901A/ko
Publication of KR2021011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4Devices for deboning meat
    • A22C17/0046Devices for deboning meat specially adapted for meat containing rib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73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using visual recognition, X-rays, ultrasounds, or other contactless means to determine quality or size of portioned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2Apparatus for holding meat or bones whil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6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vibrating, e.g. ultrason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 돼지 등의 가축을 도축한 후 발골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축된 후 뼈를 포함하는 갈비살을 얹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갈비살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갈비살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갈비살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뼈를 밀어서 발골하는 가압발골부 및 상기 가압발골부에 의해서 상기 갈비살로부터 밀려나온 뼈를 잡아당겨 발골하는 인출발골부를 포함하는 발골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갈비살로부터 뼈만 용이하게 분리킬 수 있고, 나아가 더욱 많은 양의 순살을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골 장치{Deboning device}
본 발명은 소나 돼지 등의 가축을 도축한 후 발골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와 같은 가축은 도살 후 내장 및 피를 제거하여 도체화 하고, 이후 도체를 각 부위별로 분할한 후 발골을 수행함으로써 살코기나 부산물을 생산한다.
상기한 발골 과정은 통상 작업자가 칼을 이용하여 뼈 주위를 따라 움직이면서 살코기를 해체함으로써 수행되는데, 이때 작업자의 경험이나 능숙도에 발골 속도에 많은 차이가 있었고, 또한 생산되는 살코기의 양에서 많은 차이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발골 품질이 일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작업자의 능숙도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발골을 수행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일정한 발골 품질을 유지할수 있는 발골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발골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등록특허 제10-1693585호)에 나와 있지만 뼈 근처의 살들을 커터로 잘라 뼈를 발골함으로써 뼈를 깨끗하게 발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뼈에 붙은 살로 인해 많은 양의 순살을 획득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585호(공고일자 2017년 01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갈비살로부터 뼈만 용이하게 분리킬 수 있고, 나아가 더욱 많은 양의 순살을 획득할 수 있는 발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축된 후 뼈를 포함하는 갈비살을 얹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갈비살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갈비살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갈비살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뼈를 밀어서 발골하는 가압발골부 및 상기 가압발골부에 의해서 상기 갈비살로부터 밀려나온 뼈를 잡아당겨 발골하는 인출발골부를 포함하는 발골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발골부 및 상기 인출발골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초음파를 전송하는 초음파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가 상기 뼈로 전송되어 상기 갈비살로부터 뼈를 분리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압발골부는,
상기 뼈의 위치로 이동하는 가압이동블록과, 상기 가압이동블록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고 상기 뼈를 밀어내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을 승강시키는 가압승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인출발골부는,
상기 뼈의 위치로 이동하는 인출이동블록과, 상기 인출이동블록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고 상기 뼈를 잡아당기는 인출수단 및 상기 인출수단을 승강시키는 인출승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갈비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갈비살을 눌러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발골시 상기 갈비살이 밀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수단의 저면이 요철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저면이 상기 갈비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블록은,
상면이 상기 갈비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가압발골부 및 상기 인출발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갈비살의 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곡면 방향으로 상기 뼈를 발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갈비살에 포함된 뼈를 용이하게 발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뼈만 깨끗하게 발골할 수 있어서, 최대한의 고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뼈를 밀어냄으로써, 갈비살로부터 뼈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인출수단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뼈를 잡아 빼냄으로써, 갈비살로부터 뼈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뼈가 휘어진 곡선과 유사한 곡선으로 발골함으로써, 갈비살로부터 뼈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골 장치에서 발골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1), 지지블록(2), 고정부(3), 가압발골부(4), 인출발골부(5) 및 제어부(6)를 포함한다.
이송부(1)는, 지지블록(2)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체(11) 및 이송부(1)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이송부(1)를 바닥에 지지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이송부(1)를 작동시키는 모터(M)(미도시)가 내장되며, 모터(M)는 후술할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이송부(1)는, 본체(11)의 상부에 복수의 롤러(12)가 설치되고, 롤러(12)에 벨트(13)가 끼워진다. 이에 따라, 본체(11)에 내장된 모터(M)가 작동하면 롤러(12)가 회전하고, 롤러(12)가 회전하면 벨트(13)가 회전하여 벨트(13)위에 놓인 지지블록(2)이 이동한다.
지지블록(2)은, 갈비살(R)을 지지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의 패널모양으로 형성되되 상면은 갈비살(R)의 모양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블록(2)은 갈비살(R)이 지지블록(2)으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면이 요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갈비살(R)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3)는, 지지블록(2)에 놓인 갈비살(R)을 고정 및 해제하는 것으로, 후술할 가압승강블록(41) 및 인출승강블록(51)에 지지되고, 지지프레임(31), 승강유닛(32) 및 고정수단(33)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31)은, 승강유닛(32)을 지지하는 것으로, 대략 복수의 프레임이 가압승강블록(41) 및 인출승강블록(51)의 상단에 설치된다.
승강유닛(32)은, 고정수단(33)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지지프레임(31)에 설치되되 지지프레임(31)의 상단에 고정수단(33)을 작동시키는 모터(M)가 설치되고, 스크루(미도시)에 의해 고정수단(33)과 연결된다. 이때, 모터(M)는 제어부(6)에 의해서 제어된다.
고정수단(33)은, 지지블록(2)에 놓인 갈비살(R)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의 패널모양으로 형성되되 저면은 갈비살(R)의 모양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승강유닛(32)과 연결된다. 또한, 고정수단(33)은 지지블록(2)으로부터 갈비살(R)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면이 요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유닛(32)이 작동하면 고정수단(33)이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지지블록(2)에 갈비살(R)이 놓인 상태에서 고정수단(33)을 하강시키면 갈비살(R)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가압발골부(4)는, 갈비살(R)에 포함된 뼈를 밀어서 발골하는 것으로, 본체(11)의 좌측에 배치되고, 가압승강블록(41), 스크루(S), 모터(M), 가압이동블록(42), 초음파발생부(US), 가압수단(43), 작동수단(W) 및 가압승강수단(44)을 포함한다.
가압승강블록(41)은, 가압수단(43)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일 영역이 개구되고, 가압승강수단(44)과 연결되며, 가압승강수단(44)에 의해 승강된다. 즉, 가압승강수단(44)이 작동하면 가압승강블록(41)이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이는 갈비살(R)의 두께에 따라 뼈의 위치가 달라지는데 가압승강블록(4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가압수단(43)의 끝단을 갈비살(R)의 뼈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스크루(S)는, 가압이동블록(42)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가압승강블록(41)의 개구에 배치되고, 모터(M)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크루(S)가 회전하면 가압이동블록(42)이 스크루(S)를 따라 이동한다.
모터(M)는, 가압승강블록(41)에 설치된 스크루(S)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가압승강블록(41)의 일측에 설치되고, 스크루(S)와 연결되며,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모터(M)작 작동하면 스크루(S)가 회전한다.
가압이동블록(42)은, 가압수단(43)을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압승강블록(41)의 개구에 구속되어 이동 가능하되 스크루(S)와 결합하고, 스크루(S)의 회전에 의해 작동한다. 이에 따라, 스크루(S)가 회전하면 가압이동블록(42)은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갈비살(R)이 지지블록(2)에 고정될 때, 다수의 뼈가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는데 가압수단(43)이 다수의 뼈를 하나씩 밀어내기 위해서는 가압수단(43)이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가압이동블록(42)을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수단(43)을 뼈의 위치에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으며, 가압수단(43)이 뼈를 정확하게 밀어낼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US)는, 가압수단(43)에 초음파진동을 공급하는 것으로, 가압이동블록(42)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압수단(43)과 연결되며,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가압수단(43)은, 갈비살(R)에 포함된 뼈를 밀어내는 것으로, 대략 갈비살(R)의 뼈에 대응하되 이동구간이 뼈의 곡선에 대응하고, 가압이동블록(42)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돌출된다. 즉, 가압수단(43)은 갈비살(R)의 뼈의 곡선상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압수단(43)이 돌출하여 갈비살(R)의 뼈를 밀어내면 가압수단(43)이 갈비살(R)의 내부로 인입될 때 가압수단(43)이 뼈의 곡선상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뼈를 용이하게 발골할 수 있고, 가압수단(43)에 의해 갈비살(R)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수단(W)은, 가압수단(43)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압이동블록(4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부(US)가 작동한 후 작동수단(W)을 작동시키면 가압수단(43)이 가압이동블록(42)으로부터 돌출되고, 초음파진동을 가진 가압수단(43)이 갈비살(R)의 뼈를 밀어낸다. 이로 인해, 갈비살(R)에 초음파진동이 전달되고, 갈비살(R)에 포함된 뼈를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다.
가압승강수단(44)은 가압승강블록(41)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본체(11)의 좌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M)가 내장되며, 모터(M)에 의해 회전하면서 가압승강블록(41)을 승강시키는 스크루(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압승강수단(44)이 작동하면 가압승강블록(4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인출발골부(5)는, 갈비살(R)에 포함된 뼈를 잡아당겨 발골하는 것으로, 본체(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인출승강블록(51), 모터(M), 인출이동블록(52), 초음파발생부(US), 인출수단(53), 작동수단(W) 및 인출승강수단(54)을 포함한다.
인출승강블록(51)은, 인출수단(53)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일 영역이 개구되고, 인출승강수단(54)과 연결되며, 인출승강수단(54)에 의해 승강된다. 즉, 인출승강수단(54)이 작동하면 인출승강블록(51)이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이는 갈비살(R)의 두께에 따라 밀려나오는 뼈의 위치가 달라지는데 인출승강블록(5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인출수단(53)이 밀려나온 뼈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밀려나온 뼈의 끝단은 소폭 상승하므로 인출승강블록(51)을 상승시켜 인출수단(53)을 밀려나온 뼈의 끝단과 일치시켜 뼈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 이때, 승강유닛(32)은 갈비살(R)을 고정해야 하므로 인출승강블록(51)이 상승하면 동시에 고정수단(33)을 하강시켜 갈비살(R)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스크루(S)는, 인출이동블록(52)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인출승강블록(51)의 개구에 배치되고, 모터(M)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크루(S)가 회전하면 인출이동블록(52)이 스크루(S)를 따라 이동한다.
모터(M)는, 인출승강블록(51)에 설치된 스크루(S)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인출승강블록(51)의 일측에 설치되고, 스크루(S)와 연결되며,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모터(M)작 작동하면 스크루(S)가 회전한다.
인출이동블록(52)은, 인출수단(53)을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인출승강블록(51)의 개구에 구속되어 이동 가능하되 스크루(S)와 결합하고, 스크루(S)의 회전에 의해 작동한다. 이에 따라, 스크루(S)가 회전하면 인출이동블록(52)은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갈비살(R)이 지지블록(2)에 고정될 때, 다수의 뼈가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는데 가압수단(43)이 다수의 뼈를 하나씩 밀어내면 밀려나온 뼈를 하나씩 잡아서 갈비살(R)로부터 빼내야 하므로 인출수단(53)이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인출이동블록(52)을 스크루(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출수단(53)을 뼈의 위치에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출수단(53)이 뼈를 정확하게 잡아서 갈비살(R)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US)는, 인출수단(53)에 초음파진동을 공급하는 것으로, 인출이동블록(52)의 내부에 배치되고, 인출수단(53)과 연결되며,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인출수단(53)은, 갈비살(R)에 포함된 뼈를 잡아당겨 갈비살(R)로부터 뽑아내는 것으로, 대략 갈비살(R)의 뼈에 대응하되 이동구간이 뼈의 곡선에 대응하고, 인출이동블록(52)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돌출된다. 즉, 인출수단(53)은 갈비살(R)의 뼈의 곡선상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출수단(53)이 돌출하여 갈비살(R)의 돌출된 뼈를 잡아당기면 뼈의 곡선상을 따라 뼈를 분리함으로써 뼈를 용이하게 발골할 수 있고, 뼈에 의해 갈비살(R)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수단(W)은, 인출수단(53)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인출이동블록(5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인출수단(53)을 작동시키면 인출수단(53)이 인출이동블록(52)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뼈를 파지한 후 초음파발생부(US)를 작동시키면 초음파진동이 파지된 뼈로 전달되어 인출수단(53)이 갈비살(R)로부터 뼈를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이로 인해, 갈비살(R)에 초음파진동이 전달되고, 갈비살(R)에 포함된 뼈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인출승강수단(54)은, 인출승강블록(51)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본체(11)의 우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M)가 내장되며, 모터(M)에 의해 회전하면서 인출승강블록(51)을 승강시키는 스크루(S)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인출승강수단(54)이 작동하면 인출승강블록(5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6)는, 본체(11)의 한 부분에 설치되고, 이송부(1), 고정부(3), 가압발골부(4) 및 인출발골부(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는 본 발명을 작업자가 직접 제어하기 위해서 컨트롤러(12)(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골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축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갈비살(R)을 지지블록(2)에 얹는다. 이때, 지지블록(2)의 곡면에 맞춰 갈비살(R)을 얹는다.
지지블록(2)에 갈비살(R)이 놓이면 승강유닛(32)을 작동시켜 고정수단(33)을 하강시킨다.
고정수단(33)이 하강하면 지지블록(2)에 놓인 갈비살(R)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갈비살(R)이 견고하게 고정된 후 갈비살(R)의 뼈에 가압수단(43)이 일치하도록 가압이동블록(4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압수단(43)이 뼈와 같은 선상에 배치되면 가압수단(43)이 뼈의 좌측단과 일치하도록 가압승강블록(41)을 승강시킨다.
가압승강블록(41)을 승강하여 가압수단(43)이 뼈의 좌측단과 일치하면 가압수단(43)을 돌출시켜 뼈의 좌측단에 밀착시킨다.
가압수단(43)이 뼈와 밀착하면 초음파발생부(US)를 작동시켜 가압수단(43)에 초음파진동을 공급한다.
가압수단(43)에 초음파진동이 발생하면 가압수단(43)을 더욱더 돌출시켜 뼈를 밀어낸다.
갈비살(R)로부터 뼈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면 가압수단(43)을 원위치 시키고 이후 다음 뼈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 수행한다.
모든 뼈가 갈비살(R)로부터 돌출된 후에는 인출수단(53)이 돌출된 뼈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인출이동블록(52) 및 인출승강블록(51)을 작동시켜서 인출수단(53)을 돌출된 뼈의 우측단에 맞춘다.
이후 인출수단(53)을 돌출시켜서 돌출된 뼈를 파지한다.
인출수단(53)이 돌출된 뼈를 파지하면 초음파발생부(US)를 작동시켜 인출수단(53)에 초음파진동을 공급한다.
초음파진동을 공급받은 인출수단(53)은 파지한 뼈를 잡아당겨서 갈비살(R)로부터 뼈를 완전히 분리시킨다.
돌출된 다음 뼈는 상기의 방법을 반복 수행하여 갈비살(R)로부터 모든 뼈를 분리시킨다.
여기서, 하나의 뼈를 돌출시킨 후 돌출된 뼈를 잡아당겨 분리한 후 다음 순번의 뼈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갈비살(R)을 손상시키지 않고 갈비살(R)로부터 뼈만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욱 많은 양의 살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이송부
11; 본체
12; 롤러
13; 벨트
2; 지지블록
3; 고정부
31; 지지프레임
32; 승강유닛
33; 고정수단
4; 가압발골부
41; 가압승강블록
42; 가압이동블록
43; 가압수단
44; 가압승강수단
5; 인출발골부
51; 인출승강블록
52; 인출이동블록
53; 인출수단
54; 인출승강수단
6; 제어부
M; 모터
R; 갈비살
S; 스크루
US; 초음파발생부
W; 작동수단

Claims (9)

  1. 도축된 후 뼈를 포함하는 갈비살을 얹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갈비살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갈비살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갈비살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뼈를 밀어서 발골하는 가압발골부; 및
    상기 가압발골부에 의해서 상기 갈비살로부터 밀려나온 뼈를 잡아당겨 발골하는 인출발골부;를 포함하는
    발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발골부 및 상기 인출발골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초음파를 전송하는 초음파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가 상기 뼈로 전송되어 상기 갈비살로부터 뼈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발골부는,
    상기 뼈의 위치로 이동하는 가압이동블록;
    상기 가압이동블록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고 상기 뼈를 밀어내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을 승강시키는 가압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발골부는,
    상기 뼈의 위치로 이동하는 인출이동블록;
    상기 인출이동블록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고 상기 뼈를 잡아당기는 인출수단; 및
    상기 인출수단을 승강시키는 인출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갈비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갈비살을 눌러서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발골시 상기 갈비살이 밀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수단의 저면이 요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저면이 상기 갈비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면이 상기 갈비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발골부 및 상기 인출발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갈비살의 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곡면 방향으로 상기 뼈를 발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발골 장치.
KR1020200033042A 2020-03-18 2020-03-18 발골 장치 KR20210116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42A KR20210116901A (ko) 2020-03-18 2020-03-18 발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42A KR20210116901A (ko) 2020-03-18 2020-03-18 발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901A true KR20210116901A (ko) 2021-09-28

Family

ID=7792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42A KR20210116901A (ko) 2020-03-18 2020-03-18 발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9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585B1 (ko) 2014-09-16 2017-01-06 주식회사 대부 엑스레이 뼈위치 확인을 이용한 도체 발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585B1 (ko) 2014-09-16 2017-01-06 주식회사 대부 엑스레이 뼈위치 확인을 이용한 도체 발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1244B2 (ja) 骨付き腿肉の脱骨方法及び装置
EP0706761B1 (en) Device for removing the layer of abdominal fat or leaf fat from a slaughtered animal
BRPI0618448B1 (pt) dispositivo para cortar em filés ou desossar partes de perna ou de asa de aves domésticas
EP1328159A1 (en) Dual blade loin knife assembly for automatic loin puller apparatus
WO20010526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abdominal fat from abdominal skin of poultry
KR20110052430A (ko) 오징어 가공기
EP2101591B1 (en) Puller and method for use in animal carcass boning or cutting
JP2012249607A (ja) 食鳥屠体の首皮取り装置及び方法
KR20210116901A (ko) 발골 장치
KR20220064753A (ko) 파지 수단을 구비한 육가공 장치
US45436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heek meat from the skulls of slaughtered animals
KR20210116902A (ko) 카메라를 이용한 발골 장치
EP1125500B1 (en) Tool, device and method for pre-cutting the tenderloin
JP4662341B2 (ja) ロース・ばら部の肋骨除骨方法
US53725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pig's head for mechanical boning
JP4908147B2 (ja) 骨付き肉の脱骨方法及び装置
US3623186A (en) Poultry handling
KR100253163B1 (ko) 오징어 할복장치
EP1967071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fixing a carcass
EP19370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free of tenderloin
JPH0998711A (ja) 屠殺された動物あるいはその一部を処理する装置
EP0360174A2 (en) Method for mechanical cleaning of freshly caught roundfish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of this
EP0468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bone from a piece of meat
HU17635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ying slaughtered swine
US3541634A (en) Poultry hand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