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314A - 인디케이터가 있는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가 있는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314A
KR20210116314A KR1020210032470A KR20210032470A KR20210116314A KR 20210116314 A KR20210116314 A KR 20210116314A KR 1020210032470 A KR1020210032470 A KR 1020210032470A KR 20210032470 A KR20210032470 A KR 20210032470A KR 20210116314 A KR20210116314 A KR 20210116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gripping
coupling body
head
grip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스 바델
카이 부브
라이너 로데
안드레아스 스체파니악
Original Assignee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1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Endoscop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퀵 커넥터는 커플링 본체 및 다기능 부품을 포함하고, 다기능 부품은 유지 유닛 및 인디케이터를 가지며, 커플링 본체는 일단부에 헤드 부분을 그리고 타단부에 플러그인 부분을 포함하고, 플러그인 부분은 제 1 튜브를 부착 또는 플러그인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고, 헤드 부분은 원주방향 칼라를 구비한 대응부품의 도입을 위한 축방향 개구부를 가지며, 헤드 부분은 다기능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개구부을 포함하고, 다기능 부품은 커플링 본체 내에 삽입되기 위한 수조작용 배면을 가지며, 유지 유닛은 2 개의 유지 레그를 포함하고, 인디케이터는 2 개의 인디케이터 림을 가지며, 인디케이터 림은, 원주방향 칼라를 삽입했을 때, 유지 레그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인디케이터 림과 커플링 본체는, 원주방향 칼라에 의해 유발되는 인디케이터 림의 이동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삽입된 조립전 위치로부터 완전히 삽입된 조립 위치로 인디케이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가 있는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having an indicator}
본 발명은 커플링 본체 및 다기능 부품을 포함하는 퀵 커넥터(quick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기능 부품은 파지 유닛 및 인디케이터를 가지며, 상기 커플링 본체는 일단부에 헤드부를 그리고 타단부에 플러그 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인 부분은 제 1 튜브에 부착되거나 플러그 인(plugging in)되도록 형성되고, 제 1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끼워맞춤 및/또는 폼피트 및/또는 재료 연결로 플러그 인 부분 상에 유지되고, 상기 헤드부는 원주 칼라를 갖는 카운터파트를 도입하기 위한 축방향 개구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다기능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부품은 상기 커플링 본체에 삽입되는 목적을 위한 수동 조작용 배면을 가지며, 상기 파지 유닛은 2 개의 파지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2 개의 인디케이터 림(limb)을 가지며, 상기 인디케이터 림은, 상기 원주 칼라를 삽입할 때, 상기 파지 레그와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림 및 상기 커플링 본체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원주 칼라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 인디케이터 림의 이동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삽입된 조립전 위치로부터 완전히 삽입된 조립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퀵 커넥터는, 예를 들면, EP 2 988 048 B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퀵 커넥터는 커플링 본체, 파지 유닛, 및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제 1 단계에서, 파지 유닛은 그 2 개의 파지 레그가 커플링 본체 내에 반경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제 2 단계에서, 인디케이터는 반경방향으로 커플링 본체 내에 부분적으로만 삽입되므로 이것은 커플링 본체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조립전 위치를 취한다. 인디케이터는 그 인디케이터 림이 커플링 본체의 정지 요소에 의해 커플링 본체의 내측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더 이상 삽입될 수 없다. 다음에, 제 3 단계에서, 원주 칼라를 가진 플러그 샤프트 형태의 카운터파트가 커플링 본체 내로 축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의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파지 유닛과 래칭된다. 이제, 마지막 제 4 단계에서, 인디케이터 림이 원주 칼라에 의해 벌어져서 인디케이터 림이 정지 요소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인디케이터가 반경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퀵 커넥터의 단점은 커플링 본체에 대해 복수의 가동 부품을 갖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리 또는 유지보수의 과정에서 관련된 유체 라인을 검사하는 경우, 퀵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면 인디케이터 및 파지 유닛의 둘 모두가 커플링 본체로부터 제거되거나 탈락될 수 있다. 경험에 의하면, 이 프로세스 중에 파지 유닛 또는 인디케이터는 후속의 연결의 재확립 중에 손실되거나 손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손상은 위의 단계의 순서를 모르고 제거될 부품의 배향을 모르기 때문에 시행착오식 조립이 발생하고, 여기서 지나치게 큰 힘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일부가 파손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는 차량이 노후하여 플라스틱 재료가 더욱 취화된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현재 많은 퀵 커넥터 시스템이 있고, 이들 모두 상이하게 작용하고, 새로운 퀵 커넥터 시스템이 매년 시장에 나오므로 이러한 지식의 결여는 놀라운 것이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DE 10 2016 111 471 A1에서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다기능 부품이 되도록 파지 유닛에 인디케이터 기능을 결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다기능 부품은 서로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그리고 이 다기능 부품의 배명에 고정되는 2 개의 파지 레그를 가지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면과 함께 대략 U 형상의 부품을 형성한다. 서로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2 개의 인디케이터 림이 또한 배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며, 마찬가지로 이 배면과 함께 대략 U 자형 부품을 형성한다. 인디케이터 림은 축방향으로 파지 레그 뒤에 배치되며 이 파지 레그와는 독립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형 카운터파트의 원주 칼라는 최초에 커플링 본체 내로 도입될 때 파지 레그를 벌어지게 하고, 파지 레그는 그 직후에 원래의 위치를 회복하여 원주 칼라를 커플링 본체 내에 로킹한다. 그러면 인디케이터 림만이 벌어지고, 이제 다기능 부품은 부분적으로 삽입된 위치로부터 완전히 삽입된 위치로 이동이 허용된다.
이 다기능 부품을 구비한 퀵 커넥터의 단점은 커플링 본체의 헤드부의 축방향 연장부가 매우 크다는 것이다. 엔진 구획실 또는 일반적인 차량에서 기밀성이 증가하므로 반경방향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확대된 이들 부품은 매우 문제가 된다. (특히 축방향의 크기가 더 작은 헤드부를 갖는) 보다 컴팩트한 퀵 커넥터는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며 유지보수/수리를 위한 제거 및 재설치에 관하여 보다 편리하다. 또한, 이 다기능 부품은 매우 복잡하게 형성되므로 이 다기능 부품의 사출 성형 공구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 기능을 갖는 보다 컴팩트하고 바람직하게는 보다 비용효율적인 퀵 커넥터를 특정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 또는 이들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과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2 개의 개별 부품이고, 인디케이터는 파지 유닛에 직접 고정되므로 인디케이터와 파지 유닛은 커플링 본체의 외측에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퀵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개별 부품"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적어도 2 개의 부품,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지 2 개의 부품을 의미한다. "고정"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하게는, 폼 피트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및/또는 재료 연결을 의미한다. "즉시 고정"이라는 표현은, 유리하게는, 파지 유닛을 제거하거나 삽입할 때 인디케이터가 이것을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본체 및 기타 요소는 인디케이터를 파지 유닛에 고정하는데 역할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처음에 별개의 파지 유닛 및 별개의 인디케이터를 사용하면 결과적으로 이들이 그다지 복잡하지 않으므로 사출 성형 공구의 제조 비용이 상당히 감소된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사출 성형 제조 중에 인디케이터와 파지 유닛을 분리함으로써, 상호 제한이 적은 프레임워크 조건을 고려해야 하고, 이는 다기능 부품을 전체적으로 더 가치있는 것으로 만들어준다. 일체로 형성된 다기능 부품의 경우, 사출 성형 기술의 이유로, 예를 들면, 파지 레그와 인디케이터 림 사이의 간극을 원하는 만큼 작게 할 수 없다(DE 10 2016 111 471 A1를 참조할 것).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품의 경우에는 파지 레그와 인디케이터 림 사이에 최소의 간극만이 남는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품의 경우, 커플링 본체의 헤드부의 축방향 크기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헤드부는 퀵 커넥터의 보다 다양한 사용 및 유지보수/수리 중에 분해 및 재조립에 관하여 더 큰 편리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헤드부의 축방향 확대를 줄이는 전술한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다기능 부품이 커플링 본체에 다기능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2 개의 고정 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의 전제부에 따른 퀵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다기능 부품 상의 고정 암에 관한 본 발명은 다기능 부품이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이전에 공지되었던 것보다 훨씬 더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이는 고정 암이,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 또는 인디케이터의 주위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축방향으로 확장하는 요소에 의해 다기능 부품을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고정 암 자체는 반경 방향으로 비교적 얇은 벽으로 만들 수 있으나 반경 방향으로 헤드부의 확장은 파지 유닛 또는 인디케이터의 벌어짐에 의해 이미 대부분 결정된다. 또한, 고정 암은 헤드부의 측벽의 보호 기능을 대신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헤드부의 두꺼운 측벽이 더 이상 필요치 않고, 고정 암을 제공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헤드부의 추가의 반경방향 확대를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헤드부의 축방향 확대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련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헤드부는, 바람직하게는, 전벽 및 후벽을 포함한다. 파지 레그 및/또는 인디케이터 림은 전벽과 후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벽은 유리하게는 플러그 인 부분과 대면한다. 전벽은 후벽 또는 플러그 인 부분의 반대측을 향하는 것이 유리하다. 커플링 본체는, 적절하게는, 실링 부품을 포함한다. 실링 부품,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인 부분과 헤드부 사이에 배치된다. 커플링 본체는 적절하게는 제 1 튜브에의 수형 카운터파트의 유체 접속을 위한 관통 채널을 포함한다.
파지 레그는 유리하게는 파지 유닛 베이스로부터 또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다. 파지 레그는 파지 유닛 베이스 상에서 또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적절하게 장착된다. 파지 유닛이 커플링 본체 내에 위치할 때 그리고 카운터파트의 원주 칼라가 카운터파트의 삽입 방향으로 파지 레그에 접촉할 때, 파지 레그가 벌어질 수 있도록 또는 벌어지도록 파지 레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유닛 또는 다기능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유닛 또는 다기능 부품은 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일부의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으나 원주형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 림이 인디케이터 헤드로부터 또는 삽입 방향으로 다기능 부품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인디케이터 림은 인디케이터 헤드 상에서 또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 상에서 탄성적으로 적절하게 장착된다. 인디케이터가 커플링 본체 내에 위치하고 카운터파트의 원주 칼라가 카운터파트의 삽입 방향으로 인디케이터 림에 접촉할 때 인디케이터 림이 이동가능하거나 이동되도록 인디케이터 림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인디케이터는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일부의 다른 원주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고정 암은 파지 레그 및/또는 인디케이터 림과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독립적으로 이동가능"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하게는, 카운터파트를 파지 유닛 또는 인디케이터와 접촉시켜도 다른 2 개의 쌍이 다른 상태에 도달하도록 이동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 림이 이동하여 조립전 위치에서 인디케이터 정지부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되면 다른 상태에 도달한다. 고정 암이 파지 유닛 및/또는 인디케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별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및 파지 유닛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단일의 균질의 사출 성형 부품을 형성한다. 파지 레그 및/또는 인디케이터 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반경방향으로 고정 암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정 암들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가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는 파지 레그 및/또는 인디케이터 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반경방향으로 고정 암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정 암들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가 중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정 암들 각각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암들 각각은 적어도 2 개의 래칭 수단을 갖는다. 각각의 고정 암의 적어도 하나의 래칭 수단은 커플링 본체 또는 헤드부의 상보적 래칭 수단과 함께 다기능 부품이 조립전 위치 및/또는 조립 위치에서 커플링 본체 상에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래칭 수단은 각각의 고정 암의 반경방향 내측의 고정 암 상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립(grip)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가 각각의 고정 암의 외측 상에 적절히 배치된다. 그립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소는, 예를 들면, 거친 면 또는 돌출 요소 또는 복수의 돌출 요소일 수 있다.
파지 유닛은 파지 유닛 베이스를 가지는 것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인디케이터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파지 레그 및 파지 유닛 베이스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기능 부품의 배면 및 파지 유닛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동일하다. 인디케이터 헤드는, 유리하게는, 인디케이터 림과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헤드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와 동일하다. 특별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헤드는 파지 유닛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와 동일하다.
인디케이터는 압력 끼워맞춤 및/또는 폼 피트 및/또는 재료 연결로 파지 유닛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클램핑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인디케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더 바람직하게는 폼 피트 연결에 의해 파지 유닛에 고정된다. 인디케이터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파지 유닛과의 압력 끼워맞춤 연결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와 파지 유닛은 재료 연결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재료 연결"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접착(gluing) 및/또는 용접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재료 연결"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과 인디케이터가, 예를 들면, 일반적인 사출 성형의 경우와 같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파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둘러싼다. 파지 유닛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인디케이터 헤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중첩된다. 파지 유닛 베이스는 조립 위치에서 그리고 평면도에서 인디케이터 헤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유닛과 인디케이터는 서로 래칭되거나 래칭될 수 있다. 파지 유닛으로부터 인디케이터의 분리가 순수하게 축방향으로 방지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 상의 및/또는 인디케이터 상의 래칭 연결에 의해 및/또는 파지 유닛과 인디케이터 사이의 재료 연결에 의해 가능해진다. 래칭 연결은, 예를 들면, 파지 유닛 베이스의 영역에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의 영역에 또는 이들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지 유닛 베이스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의 외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2 개의 래칭 연결이 존재할 수 있다. 파지 유닛과 인디케이터 사이의 재료 연결은 적절하게는 파지 유닛 베이스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의 영역에 또는 그 중앙 부분의 영역에 배치된다. 재료 연결은 파지 유닛 베이스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의 2 개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2 개의 연결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료 연결, 예를 들면,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가 순수하게 축방향으로 파지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표현은,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및 파지 유닛이 이들 2 개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로의 파괴 또는 손상을 받아들이고 있는 동안에만 해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파지 유닛이 플라스틱 재료 A를 포함하는 것 및/또는 인디케이터가 플라스틱 재료 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료 A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 B와 다르다. "플라스틱 재료"라는 용어는 단일의 순수 폴리머, 또는 복수의 폴리머의 블렌드일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이라는 용어는, 특히, 폴리머가 아닌 첨가제(예를 들면, 착색제, 가소제, 난연제, 마찰학적 특성물)를 함유할 수도 있다. "다르다"라는 용어는, 특히, 약간의 차이도 의미하므로, 플라스틱 재료 A와 플라스틱 재료 B는, 이들이 단일 첨가제의 비율 또는 각각의 경우에 폴리머의 몰질량에 관해서만 다른 경우에, 다르다. 인디케이터와 파지 유닛이 측정가능한 방식으로 다른 배치(batch)로부터 나온 경우에 차이가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파지 유닛 및 인디케이터는 일체의 사출 성형 부품을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면 차이가 없다. "일체의 사출 성형 부품"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이 냉각된 후에 파지 유닛과 인디케이터가 동시에 존재하고, 이들이 동시에 서로 연결되는 다기능 부품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유닛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금속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유닛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돌출부를 가지므로 인디케이터는 순수하게 반경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모든 반경방향으로 파지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이 돌출부로 인해, 파지 유닛 및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반경방향,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반경방향으로 진입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유리하게는, 파지 유닛 베이스와 2 개의 파지 레그 중 하나 사이의 전이 영역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돌출부는 각각 파지 유닛 베이스와 각각의 파지 레그 사이의 전이 영역에 배치된다. 파지 유닛의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부는 후크 형상이거나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가 순수하게 반경방향으로 파지 유닛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인디케이터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2 개의 러그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 헤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림을 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므로 적어도 하나의 러그가 형성되거나 적어도 2 개의 러그가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러그 또는 적어도 2 개의 러그는 (각각의) 인디케이터 헤드와 인디케이터 림의 (각각의) 하나 사이의 전이 영역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러그 또는 적어도 2 개의 러그(각각)는 파지 유닛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복수의 러그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림은 파지 레그 뒤의 카운터파트의 삽입 방향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지 레그는 헤드부의 전벽과 인디케이터 림 사이에 배치된다. 인디케이터 림은 적절하게는 파지 레그와 헤드부의 후벽 사이에 놓인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레그와 인디케이터 림 사이의 축방향 간극의 연장은 2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mm 미만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림은 파지 레그에 접하여 정지된다. 파지 유닛 베이스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두 축방향으로 파지 레그 및/또는 인디케이터 림 및/또는 인디케이터 베이스를 초과하여 돌출한다.
인디케이터 림은 원주 칼라가 도입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만)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인디케이터 림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원주 칼라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림의 각각의 접촉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적절하게는 수형 칼라를 도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모따기(chamfering)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림의 접속 영역은 각각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는, 유리하게는, 카운터파트가 도입되었을 때 원주 칼라와 접촉함으로써 인디케이터 림을 벌리도록 형성된다.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는 다기능 부품이 조립전 위치로부터 조립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가 원주 칼라를 통과함으로써 인디케이터 림이 다시 이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특히 바람직하다.
커플링 본체는 2 개의 인디케이터 정지부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2 개의 인디케이터 정지부의 각각은 2 개의 인디케이터 림 중 하나에 배당된다. 인디케이터 정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조립전 위치를 결정한다. 인디케이터 정지부 또는 인디케이터 림은, 다기능 부품이 커플링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인디케이터 림 단부가 인디케이터 정지부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인디케이터 림 또는 인디케이터 림 단부 또는 인디케이터 정지부는, 카운터파트가 도입될 때, 원주 칼라가 인디케이터 림에 접촉함으로써 인디케이터 림이 벌어지고, 인디케이터 림 단부가 수동 압력에 의해 인디케이터 정지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 정지부 또는 다기능 부품은 파지 유닛 또는 파지 레그가, 다기능 부품의 완전한 삽입 경로 중에 또는 카운터파트의 완전한 삽입 경로 중에, 인디케이터 정지부와 맞닿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기능 부품이 적어도 하나의 유지 래치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유지 래치가 파지 유닛 및/또는 인디케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래치는,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 베이스로부터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로부터 또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으로부터 카운터파트의 반경방향으로 카운터파트의 방향으로 또는 관통 채널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지 래치는,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 베이스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 또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과 카운터파트 또는 플러그 샤프트의 외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유지 래치는 반경방향으로 조립 위치에서 카운터파트의 원주 칼라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지 래치는, 적절하게는, 반경방향으로 조립전 위치에서 카운터파트의 원주 칼라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유지 래치는 조립 위치에서 헤드부의 전벽과 인디케이터 림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래의 후방은 커플링 본체에서 카운터파트를 고정하기 위해 파지 레그의 후방과 함께 하나의 평면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유지 래치와 파지 레그는, 카운터파트와 퀵 커넥터 사이에 인장 하중이 존재하는 경우에, 유지 래치의 후방 및 파지 레그의 후방에 접하여 정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지 래치는 파지 유닛 베이스로부터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로부터 또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스트럿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커플링 본체 또는 헤드부는 유지 래치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트럿에 배당되는 그루브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커플링 본체의 헤드부 또는 전벽 또는 후벽은, 다기능 부품 또는 다기능 부품의 배면 또는 파지 유닛 또는 파지 유닛 베이스 또는 인디케이터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가 헤드부 내에 동일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립 위치에서, 다기능 부품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헤드부 또는 전벽 또는 후벽과 원주 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헤드부의 하측은, 바람직하게는, 다기능 부품이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인디케이터 림 및/또는 파지 레그를 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또는 이 하측은 인디케이터 림 및/또는 파지 레그와 정렬된다.
파지 레그는 각각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팽출부를 가지며, 각각의 팽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의 반대측과 마주하는 파지 레그의 일측 상에 또는 커플링 본체의 전벽과 마주하는 파지 레그의 일측 상에 존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파지 레그와 마주하는 전벽의 내면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2 개의 함입부(indentation)를 포함한다. 함입부는 각각의 팽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함입부는, 유리하게는, 전벽 내의 개구부이다. 함입부는, 적절하게는, 조립전 위치에서 파지 레그의 팽출부의 반경방향 높이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높이에 배치된다. 팽출부와 함입부는 이들이, 특히, 다기능 부품이 조립전 위치에 있는 동안에 퀵 커넥터와 카운터파트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부가 장력 하에 놓여있을 때, 상호 로킹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전벽이 내측은, 바람직하게는, 조립 위치에서 파지 레그의 팽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2 개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리세스는, 신속 연결부 상의 인장 하중의 경우에 파지 레그의 전면이 전벽의 내측에 접하여 평평하게 놓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커플링 본체는 2 개의 파지 정지부를 가지며, 이 파지 정지부는, 파지 유닛 또는 다기능 부품이 조립 위치에 있을 때, 파지 레그의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레그의 단부는 조립 위치에서 2 개의 파지 정지부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정지부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파지 레그의 각각에 배당되며, 각각의 파지 정지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의 파지 레그의 이동을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플링 본체는 헤드 부품 및 실링 부품을 가지며, 헤드 부품 및 실링 부품은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헤드 부품 및 실링 부품은 함께 래칭될 수 있거나 래칭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커플링 본체의 헤드부는 헤드 부품의 일부인 것이 적절하다. 헤드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래칭 부분을 포함한다. 헤드 부품의 래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4 개의 래칭 수단을 갖는다. 헤드 부품의 래칭 수단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하는 탄성적으로 장착된 래칭 러그일 수 있다. 실링 부품은 반경방향으로 시일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형성된 실링 링(sealing ring)을,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2 개의 탄성적으로 형성된 실링 링을 포함한다. 헤드 부품은 축방향으로 시일의 범위를 정하고, 그 결과 이 시일은 헤드 부품에 의해 실링 부품 내에 구속되어 유지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링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헤드 부품과 래칭하기 위한 래치 부분을 포함한다. 플러그 인 부분은 실링 부품의 일부인 것이 적절하다. 실링 부품은, 적절하게는, 플러그 인 부분과 실링 부품의 래치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 부품의 래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헤드 부품의 래칭 수단에 상보적이 되도록 형성된 래칭 수단을 갖는다. 실링 부품의 래칭 수단은 윈도우처럼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헤드 부품의 탄성적으로 장착된 래칭 러그가 맞물릴 수 있다.
서두에 언급한 목적 또는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부 및 원주 칼라를 구비한 수형 카운터파트에 의해 달성된다. 카운터파트는, 적절하게는, 플러그 샤프트를 가지며, 이 플러그 샤프트는 원주 칼라로부터 카운터파트의 단부까지 연장된다. 카운터파트의 단부에서, 이 카운터파트는, 바람직하게는, 단부면을 향해 테이퍼를 이루는 둥근 외면을 갖는다. 원주 칼라에 관하여, 카운터파트의 연결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샤프트의 반대측이다. 연결 부분은, 예를 들면, 제 2 튜브에 대해 및/또는 어셈블리(펌프, 탱크 등)에 대해 연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연결은 제 2 튜브 또는 유닛 내에 부착 또는 플러그 인하도록 형성된 수 있다. 카운터파트의 연결 부분은 일체로 또는 유닛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서두에 언급한 목적 또는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를 포함하는 유체 라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부에 의해 달성되며, 퀵 커넥터의 플러그 인 부분은 제 1 튜브에 연결된다. 카운터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제 2 튜브 또는 유닛에 연결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 관점에서 퀵 커넥터 및 대응하는 카운터파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부를 도시하고,
도 2는 제 2 관점에서 도 1의 퀵 커넥터를 도시하고,
도 3은 실링 부품을 구비하지 않은 도 2의 퀵 커넥터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품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1의 신속 연결부를 종단면으로 도시하고,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다기능 부품의 이동 순서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전벽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다기능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1은 퀵 커넥터(1) 및 상보적 수형 카운터파트(7)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연결부를 도시한다. 카운터파트(7)는 튜브형이고 퀵 커넥터(1) 내에 삽입된다. 퀵 커넥터(1)는 다기능 부품(13) 및 커플링 본체(2)를 더 포함하며, 다기능 부품(13)은 커플링 본체(2) 내에 반경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도 1의 위로부터 나와서 조립전 위치를 취한다. 퀵 커넥터(1) 또는 커플링 본체(2)의 후방 영역에서, 제 1 튜브(14)가 퀵 커넥터(1) 또는 커플링 본체(2)에 가압된다. 카운터파트(7)는 그 부분에 대하여 (설계에 따라) 부착 또는 플러그 인에 의해 제 2 튜브(이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카운터파트(7)는 마찬가지로 유닛(예를 들면, 탱크 또는 펌프)에 연결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일체로 연결되거나 어셈블리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간단히 하기 위해, 제 2 튜브나 유닛에 대한 카운터파트(7)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결은 도 1이나 후속되는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2에서, 퀵 커넥터는 후방으로부터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제 1 튜브(14)는 개관을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생략되었다. 이 관점으로부터, 커플링 본체(2)는 다기능 부품(13)을 수용하는 헤드 부품(23) 및 실링 부품(24)으로 구성된다. 헤드 부품(23) 및 실링 부품(24)은 래칭 연결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윈도우 형태의 실링 부품(24)의 래칭 수단(29)은 도 2에서 인식가능하다. 시점의 변경으로 인해, 이제 다기능 부품(13)이 파지 유닛(3)뿐만 아니라 인디케이터(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조립전 위치에서, 다기능 부품(13)의 배면(25)의 경우에만은 그렇지 않지만, 다기능 부품(13)은 주로 헤드 부품(23)의 전벽(26)과 후벽(27) 사이에 배치된다. 배면(25)은 전벽(26)과 후벽(27)을 덮는 축방향 크기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전벽(26)과 후벽(27)은 리세스(20)를 가지며, 이 슬롯(20)은 배면(25)에 대해 대략 상보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기능 부품(13)은 도 1 및 도 2의 조립전 위치로부터 이 다기능 부품(13)이 조립 위치(도 2에 도시되지 않음)에 도달할 때까지 위로부터 손의 압력에 의해 헤드 부품(23) 내로 더 삽입될 수 있다. 조립 위치에서, 배면(25)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두 방향으로 헤드 부품(23) 내에 동일평면으로 싱킹(sinking)될 수 있다. 헤드 부품(23)에서 배면(25)의 플러시 카운터싱킹(flush countersinking)은 다기능 부품(13)이 조립 위치를 취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인디케이터 기능은 특히 헤드 부품(23)에서 다기능 부품(13)의 플러시 카운터싱킹의 형태로 표현된다.
도 3에서는 도 2의 실링 부품(24)이 생략되었으므로 시일(28)이 노출되어 있다. 시일(28)은 2 개의 탄성적으로 형성된 실링 링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또한, 이 도면은 실링 부품(24)의 래칭 수단(29)과 맞물리는 탄성적으로 장착된 래칭 러그 형태의 헤드 부품(23)의 래칭 수단(30)을 개시하고 있다. 헤드 부품(23)의 래칭 수단(30)들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그리고 교호로 강성 요소(31)가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서는 도 3에 비해 카운터파트(7), 시일(28) 및 헤드 부품(23)은 생략되었고 다기능 부품(13)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4)는 실질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디케이터 헤드(11) 및 이 인디케이터 헤드(11)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인디케이터 림(12)을 포함한다. 2 개의 인디케이터 림(12)의 각각에는 인디케이터 림 단부(36) 및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37)가 있다. 후벽(27)과 마주하는 인디케이터 림(12)의 하나의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었으나, 이것이 인디케이터 림(12)의 전면에도 완전히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특히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37)의 영역에서 인디케이터 림(12)의 전면이 카운터파트(7)의 내측을 향해 그리고 삽입 방향으로 약간 모따기(beveling)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유닛(3)은 대략 U 형상이며, 파지 유닛 베이스(9) 및 2 개의 파지 레그(10)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 베이스(9)는 파지 레그(10)와 일체로 형성된다. 2 개의 파지 레그(10)는, 적절하게는, 파지 유닛 베이스(9)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림(12)과 마찬가지로, 파지 레그(10)는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카운터파트(7)의 원주 칼라(8)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파지 레그(10)의 전방부도 카운터파트(7)를 용이하게 도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운터파트(7)의 내측을 향해 그리고 그 삽입 방향으로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다기능 부품(13)은, 특히 도 4에 따르면, 반경방향으로 파지 레그(10) 및 인디케이터 림(12)을 둘러싸는 2 개의 고정 암(18)을 포함한다. 고정 암(18)의 각각의 내측에는 상부 래칭 수단(39) 및 하부 래칭 수단(40)이 있다. 또한, 두 고정 암(18)의 상부 영역의 외면에는, 예를 들면, 파형(corrugation)일 수 있는 그립 요소(38)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다기능 부품(13)에는, 이 실시형태에서,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스트럿(strut)으로 구성되는 유지 래치(19)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암(18) 및 유지 래치(19)는, 바람직하게는, 파지 유닛(3, 9, 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이 실시형태에서 인디케이터(4)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별개의 사출 성형 프로세스로 제조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인디케이터(4)는 이 인디케이터(4)가 파지 유닛(3)에 클램핑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기능 부품(13)을 형성하는 점에서 파지 유닛(3)에 고정된다. 이 목적을 위해, 파지 유닛(3)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5)가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인디케이터(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향되고 파지 유닛(3)의 돌출부(15)와 맞물리는 러그(16)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이 실시형태의 인디케이터(4)는 더 이상 파지 유닛(3)으로부터 어떤 반경방향으로도 해방될 수 없다. 파지 유닛(3)에 대한 인디케이터(4)의 분리 및 재부착은 축방향으로 인디케이터(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파지 유닛(3)의 돌출부(15) 및 인디케이터(4)의 러그(16)는, 파지 유닛(3) 상에 인디케이터(4)가 삽입될 때, 압력 끼워맞춤이 또한 존재하고, 이로 인해 인디케이터(4)가 파지 유닛(3)에 영구적으로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도 5에는, 도 1 및 도 2의 신속 연결부의 종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파트(7)에는 원주 칼라(8) 및 플러그 샤프트(35)가 있다. 퀵 커넥터(1)에는 헤드 부품(23)과 실링 부품(24)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채널이 있다. 커플링 본체(2)의 관통 채널은 시일(28)을 사용하여 카운터파트(7)의 외면에 접하여 실링되므로 제 1 튜브(14)와 제 2 튜브(32) 또는 유닛 사이에 견고한 액밀 연결이 확립된다.
도 5에는 또한 헤드 부품(23)이 헤드부(5)와 래칭 부분(32)으로 분할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헤드부(5)는 전벽(26)과 후벽(27)에 의해 한정되며, 다기능 부품(13) 또는 파지 레그(10), 인디케이터 림(12), 고정 암(18) 및 유지 래치(19)를 수용한다. 래칭 부분(32)은 실질적으로 탄성적으로 장착된 래치 러그 형태의 래칭 수단(30) 및 강성 요소(31)를 포함한다. 실링 부품(24)은 그 일부에 래칭 부분(33), 실링 부품(34) 및 플러그 인 부분(6)을 포함한다. 래칭 부분(33)은 특히 윈도우 형태의 래칭 수단(29)을 포함하며, 실링 부품(34)은 주로 시일(28)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싼다. 이 실시형태의 플러그 인 부분(6)은 하나 이상의 플러그 온 맨드렐(plug-on mandrel) 및 제 1 튜브(14)의 튜브 정지부(45)로서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인 부분(6)은 실링 링(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도 포함한다.
카운터파트(7)를 삽입하는 프로세스 중에 파지 유닛(3)과 인디케이터(4)의 이동 순서는 도 6a 내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 도 7a 및 도 8a는 각각 파지 레그(10)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6b, 도 7b 및 도 8b는 인디케이터 림(12)의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6a에서, 다기능 부품(13)은 조립전 위치에 있고, 플러그 샤프트(35)는 이미 파지 레그(10)에 도달해 있다. 그러나, 플러그 샤프트(35)는 파지 레그(10)의 벌어짐을 유발하지 않는 외경을 가지므로 도 6a에서 파지 레그(10)는 이완된 상태에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유지 래치(19)의 3 개의 스트럿은 헤드부(5) 또는 헤드 부품(23) 내에서 스트럿에 할당된 그루브 내에 배치된다. 고정 암(18)의 상부 래칭 수단(39)과 하부 래칭 수단(40)의 둘 모두는 헤드부(5) 또는 헤드 부품(23)의 측벽의 윈도우형태의 상부 래칭 수단(41)과 맞물림된다. 상부 래칭 수단(39)은 윈도우 형태의 상부 래칭 수단(41)의 상연부와 작은 유극(play)을 형성한다. 그러나, 특히 고정 암(18)의 상부 래칭 수단(39)은 상부 래칭 수단(41)과의 맞물림에 의해 커플링 본체(2) 내에 또는 헤드부(6) 내에 또는 헤드 부품(23) 내에 다기능 부품(13)을 고정한다. 다기능 부품(13)은 상부 래칭 수단(39)이 더 이상 상부 래칭 수단(41)과 맞물리지 않을 때까지 두 고정 암(18)이 수조작에 의해 벌어진 경우에만 커플링 본체(2)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도 6b에서 인디케이터 림(12)의 단면은 카운터파트(7)의 플러그 샤프트(35)가 인디케이터 림(12)에 이미 도달한 상태를 도시한다. 인디케이터 림(12)은 플러그 샤프트(35)의 외경이 인디케이터 림(12)을 벌리지 않는 정도의 외경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인디케이터 림(12)도 여전히 이완된 상태에 있으므로 특히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37)는 플러그 샤프트(35) 상에 가볍게 놓여 있거나, 그로부터 작은 거리를 두고 있다. 인디케이터 림 단부(36)는 반경방향 하측으로 인디케이터 정지부(17)에 맞닿아 있으므로 다기능 부품(13)은 위로부터의 수동 압력에 의해 조립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기능 부품(13)은 조립전 위치에서 폐색 상태이고, 이는 사용자, 예를 들면, 자동차 정비사에 의해 촉각적으로 매우 쉽게 인식될 수 있다.
도 7a를 보면, 카운터파트(7)가 그 원주 칼라(8)가 파지 레그(10)를 벌리도록 삽입되고, 이를 위해 헤드부(5) 또는 고정 암(18)이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때까지 삽입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7b에서, 카운터파트(7)는 커플링 본체(2) 내로 약간 더 삽입되었으므로 인디케이터 림(12)도 벌어져 있다. 인디케이터 림(12)은 원주 칼라(8)의 외주 상에 그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37)로 놓여 있고, 파지 레그(10)는 원형 칼라(8)(미도시)의 추가의 전진으로 인해 이완된 위치로 돌아가 있다. 그 결과, 도 7b에 도시된 상황에서, 카운터파트(7)는 이미 파지 유닛(3) 또는 그 파지 레그(10)에 관하여 래칭된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에 있다. 동시에, 인디케이터 림 단부(36)는 이것이 더 이상 인디케이터 정지부(17)에 맞닿지 않는 정도로 편향되어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이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25) 상에 위로부터의 수동 압력을 이용하여 다기능 부품(13)을 조립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부품(13)은 파지 레그(10)의 하단부가 헤드부(5)의 하연부와 정렬되도록 완전히 삽입된다. 헤드부(5)의 파지 정지부(22)로 인해, 파지 레그(10)는 반경방향의 작은 유극을 제외하고 더 이상 벌어질 수 없다. 그 결과, 퀵 커넥터(1) 및 카운터파트(7)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부 상의 큰 인장 하중에 의해서도 카운터파트(7)가 퀵 커넥터(1)로부터 인열(tear)될 수 없다. 이 경우, 파지 레그(10)는 유지 래치(19)에 의해서도 지지되며, 이것의 스트럿은 원주 칼라(8)의 상부 영역을 더욱 고정한다. 또한, 다기능 부품(13)은 고정 암(18)의 하부 래칭 수단(40)이 헤드부(5)의 윈도우 형태로 하부 래칭 수단(42)과 래칭 맞물림되므로 헤드부(5)에 고정된다. 이 경우, 또한 다기능 부품(13)은 고정 암(18)을 손으로 벌림과 동시에 이 다기능 부품(13)을 상방으로 당겨서 분리시킴으로써 헤드부(5)로부터 또는 커플링 본체(2)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다음에 인디케이터 림(12)의 관련된 단면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훨씬 내측으로 돌출한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37)가 더욱 하방으로 눌려졌으므로 이제 이 돌출부는 원주 칼라(8) 아래에서 이완된 위치를 취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상황에서, 카운터파트(7)는 완전히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다기능 부품(13)이 완전히 삽입된다. 사용자는 배면이 슬롯(20)의 도움으로 헤드부(5)에 동일평면으로 싱킹된 사실에 의해 완전한 삽입을 인식한다. 조립 위치 또는 플러시 카운터싱킹은 카운터파트(7)가 완전히 삽입된 경우(도 7b 참조)에만 도달될 수 있으므로, 플러시 카운터싱킹은 다기능 부품(13)의 조립 위치가 실행되는 것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특히 카운터파트(7)의 완전한 도입이 실행되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인디케이터(4)는 카운터파트(7)의 완전한 도입을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
전벽(26)의 단면이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에 대하여 설명된 상황도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의 경우, 원주 칼라(8)는 삽입 방향에서 이미 파지 레그(10) 뒤에 있으므로 파지 유닛(3)에 의해 고정되며, 인디케이터 림(12)은 벌어진다(도면에서 은닉됨).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상황은 신속 연결부를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위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기 직전의 신속 연결부의 조립전 위치를 보여준다. 이 상황에서, 파지 레그(10)는 파지 정지부(22)에 아직 맞닿아 있지 않으므로 여전히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운터파트(7)는 신속 연결부 상의 큰 인장 하중을 통해 퀵 커넥터(1)로부터 다시 인열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팽출부(21)가 파지 레그(10)의 단부에 배치되며(도 9 및 도 10 참조), 이들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벽(26)의 내면과 마주한다. 전벽(26)에는 또한 2 개의 함입부(43)가 있으며, 이것은 본 실시형태에서 벽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팽출부(21)를 수용한다. 특히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팽출부(21)의 축방향 크기는 비교적 작다. 이제 큰 인장 하중이 신속 연결부 상에서 발생하는 경우, 파지 레그(10)는 전벽(26)의 내면에 대해 눌려지고, 동시에 팽출부(2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지만 함입부(43)의 반경방향 외측벽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된다. 결과적으로, 팽출부(21) 및 함입부(43)는 조립전 위치의 장력 보호의 구성요소이다.
또한, 도 9에 따른 전벽(26)의 내면 상에는 2 개의 리세스(44)가 있으나, 이들은 벽을 돌파하지 않으며, 팽출부(21)와 대략 동일한 축방향 크기를 갖는다. 신속 연결부가 조립 위치에서 강력한 장력을 받는 경우, 파지 레그(10)의 전면은, 리세스(44)가 팽출부(21)를 완전히 수용하므로, 전벽(26)의 내면에 접하여 비교적 평평하게 놓인다.
1 퀵 커넥터
2 커플링 본체
3 파지 유닛
4 인디케이터
5 헤드부
6 플러그 인 부분
7 카운터파트
8 원주 칼라
9 파지 레그
10 파지 레그
11 인디케이터 헤드
12 인디케이터 림
13 다기능 부품
14 제 1 튜브
15 돌출부
16 러그
17 인디케이터 정지부
18 고정 암
19 유지 래치
20 슬롯
21 팽출부
22 파지 정지부
23 헤드 부분
24 실링 부품
25 배면
26 전벽
27 후벽
28 실링 부품
29 래칭 수단
30 래칭 수단
31 강성 요소
32 래칭 부분
33 래칭 부분
34 실링 부품
35 플러그 샤프트
36 인디케이터 림 단부
37 인디케이터 림 돌출부
38 그립 요소
39 상부 래칭 수단
40 하부 래칭 수단
41 상부 래칭 수단
42 하부 래칭 수단
43 함입부
44 리세스
45 튜브 정지부

Claims (15)

  1. 커플링 본체(2) 및 다기능 부품(13)을 포함하는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1)로서,
    상기 다기능 부품(13)은 파지 유닛(3) 및 인디케이터(4)를 가지며, 상기 커플링 본체(2)는 일단부에 헤드부(5)를 그리고 타단부에 플러그 인 부분(6)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인 부분(6)은 제 1 튜브(14)에 부착되거나 플러그 인(plugging in)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5)는 원주 칼라(8)를 갖는 카운터파트(7)를 도입하기 위한 축방향 개구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5)는 상기 다기능 부품(13)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부품(13)은 상기 커플링 본체(2)에 삽입되는 목적을 위한 수동 조작용 배면(25)을 가지며, 상기 파지 유닛(3)은 2 개의 파지 레그(10)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4)는 2 개의 인디케이터 림(limb; 2)을 가지며, 상기 인디케이터 림(12)은, 상기 원주 칼라(8)를 삽입할 때, 상기 파지 레그(10)와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림(12) 및 상기 커플링 본체(2)는, 상기 인디케이터(4)가 원주 칼라(8)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 인디케이터 림(12)의 이동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삽입된 조립전 위치로부터 완전히 삽입된 조립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 유닛(3) 및 상기 인디케이터(4)는 적어도 2 개의 개별 부품이고, 상기 인디케이터(4)와 상기 파지 유닛(3)이 상기 커플링 본체(2)의 외측에서 서로 고정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4)는 상기 파지 유닛(3)에 직접 고정되는,퀵 커넥터.
  2. 특히 제 1 항에 따른 퀵 커넥터(1)로서,
    커플링 본체(2) 및 다기능 부품(13)을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부품(13)은 파지 유닛(3) 및 인디케이터(4)를 가지며,
    상기 커플링 본체(2)는 일단부에 헤드부(5)를 그리고 타단부에 플러그 인 부분(6)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인 부분(6)은 제 1 튜브(14)에 부착되거나 플러그 인(plugging in)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5)는 원주 칼라(8)를 갖는 카운터파트(7)를 도입하기 위한 축방향 개구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5)는 상기 다기능 부품(13)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부품(13)은 상기 커플링 본체(2)에 삽입되는 목적을 위한 수동 조작용 배면(25)을 가지며, 상기 파지 유닛(3)은 2 개의 파지 레그(10)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4)는 2 개의 인디케이터 림(limb; 2)을 가지며, 상기 인디케이터 림(12)은, 상기 원주 칼라(8)를 삽입할 때, 상기 파지 레그(10)와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림(12) 및 상기 커플링 본체(2)는, 상기 인디케이터(4)가 원주 칼라(8)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 인디케이터 림(12)의 이동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삽입된 조립전 위치로부터 완전히 삽입된 조립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기능 부품(13)은 상기 다기능 부품(13)을 상기 커플링 본체(2)에 고정하기 위한 2 개의 고정 암(18)을 갖는, 퀵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싱기 파지 유닛(3)은 파지 유닛 베이스(9)를 가지며 및/또는 상기 인디케이터(4)는 인디케이터 헤드(11)를 포함하는, 퀵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4)는 압력 끼워맞춤 및/또는 폼 피트 및/또는 재료 연결로 상기 파지 유닛(3)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클램핑되는, 퀵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유닛(3)과 상기 인디케이터(4)는 서로 래칭(latching)되거나 또는 서로 래칭될 수 있는, 퀵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4)는 순수하게 반경 방향 및/또는 순수하게 축방향으로 상기 파지 유닛(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퀵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lug; 16)를 포함하는, 퀵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림(12)은 상기 카운터파트(7)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파지 레그(10) 뒤에 배치되는, 퀵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본체(2)는 2 개의 인디케이터 정지부(17)를 가지며, 상기 2 개의 인디케이터 정지부(17)의 각각은 상기 2 개의 인디케이터 림(12) 중 하나에 배당되고, 상기 인디케이터 정지부(17)는 조립전 위치를 결정하는, 퀵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부품(13)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래치(19)를 갖는, 퀵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본체(2)의 헤드부(5)는 상기 다기능 부품(13) 또는 상기 파지 유닛(3) 또는 상기 파지 유닛 베이스(9)가 상기 헤드부(5) 내로 동일평면으로 압입될 수 있도록 슬롯(20)을 갖는, 퀵 커넥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레그(10)는 각각 축방향(21)으로 연장되는 팽출부(bulge; 21)를 가지며, 각각의 팽출부(2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디케이터(4)의 반대측을 향하는 파지 레그(10)의 일측 상에 배치된, 퀵 커넥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본체(2)는 2 개의 파지 정지부(22)를 가지며, 상기 파지 정지부(22)는, 상기 파지 유닛(3)이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파지 레그(10)의 벌어짐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퀵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본체(2)는 헤드 부품(23) 및 실링 부품(24)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부품(23) 및 상기 실링 부품(24)은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된, 퀵 커넥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퀵 커넥터(1), 및 원주 칼라(8)를 갖는 카운터파트(7)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부.
KR1020210032470A 2020-03-12 2021-03-12 인디케이터가 있는 퀵 커넥터 KR20210116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2801.3 2020-03-12
EP20162801.3A EP3879158B1 (de) 2020-03-12 2020-03-12 Schnellverbinder mit einem indik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314A true KR20210116314A (ko) 2021-09-27

Family

ID=6981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70A KR20210116314A (ko) 2020-03-12 2021-03-12 인디케이터가 있는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74626B2 (ko)
EP (2) EP3879158B1 (ko)
JP (1) JP7275179B2 (ko)
KR (1) KR20210116314A (ko)
CN (1) CN113389963A (ko)
MX (1) MX20210029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3752A1 (de) * 2016-11-18 2018-05-24 Mann + Hummel Gmbh Kupplungsvorrichtung für medienführende Leitung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6303B2 (en) 2002-10-16 2005-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FR2891344B1 (fr) * 2005-09-29 2009-04-10 Hutchinson Sa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tubulaire rigide.
US20070126232A1 (en) * 2005-12-05 2007-06-0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coupling with non-protective coated endform tip
FR2919372B1 (fr) * 2007-07-25 2013-05-10 Legris Sa Raccord a temoin.
US8240716B2 (en)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FR2945100A1 (fr) 2009-04-30 2010-11-05 Hutchinson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rigide avec un dispositif temoin de connexion et procede de controle de cette connexion
JP2010270867A (ja) * 2009-05-22 2010-12-02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JP5497223B1 (ja) 2013-04-16 2014-05-21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FR3021386B1 (fr) * 2014-05-22 2017-02-24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a connexion automatique
JP6149081B2 (ja) * 2015-09-24 2017-06-14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16109051A1 (de) 2015-10-21 2017-04-27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US10550982B2 (en) * 2016-06-17 2020-02-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N109737260A (zh) 2018-12-29 2019-05-10 瑞肯耐特流体控制系统(镇江)有限公司 快速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9158B1 (de) 2024-02-28
US20210301960A1 (en) 2021-09-30
EP3879158C0 (de) 2024-02-28
EP3879159C0 (de) 2023-10-11
EP3879158A1 (de) 2021-09-15
MX2021002965A (es) 2021-09-13
EP3879159B1 (de) 2023-10-11
EP3879159A1 (de) 2021-09-15
JP7275179B2 (ja) 2023-05-17
JP2021167667A (ja) 2021-10-21
CN113389963A (zh) 2021-09-14
US11674626B2 (en)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5442B2 (ja) クィックコネクタ
JP4329063B2 (ja) 管継手
JP4814947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接続部材
JP5120618B2 (ja) プラグ連結型のコネクタ装置
US4541658A (en)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9194521B2 (en) Plug-in connector
US7549829B2 (en) Clip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CN103032645B (zh) 连接器
US7328922B2 (en) Quick connector
US20090102181A1 (en) Plug-in connection on pipes and hoses with a pipe detent ring
US9377144B2 (en) Release tool for quick connector
KR20210116314A (ko) 인디케이터가 있는 퀵 커넥터
AU2011253874A1 (en) Duct connector
US11649912B2 (en) Pipe connector
EP2519766B1 (en) A quick connector element
JP2007331643A (ja) 遮熱板固定用ボス
JPH0650482A (ja) ホース接続構造
KR20040062712A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JP2007064367A (ja) パイプ結合構造
KR0145311B1 (ko) 튜브를 빠르게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JP5886066B2 (ja) クリップ
JPH11190483A (ja) 流体用のプラグ継手
KR200309708Y1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JP2007331462A (ja) 遮熱板固定用ボスと遮熱板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