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175A -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175A
KR20210116175A KR1020200097010A KR20200097010A KR20210116175A KR 20210116175 A KR20210116175 A KR 20210116175A KR 1020200097010 A KR1020200097010 A KR 1020200097010A KR 20200097010 A KR20200097010 A KR 20200097010A KR 20210116175 A KR20210116175 A KR 20210116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orting
weight
breakage
s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9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175A/ko
Publication of KR2021011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1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electro-opt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8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s is changed at the station where they are sens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Abstract

개시되는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는,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카운팅부와, 빈 캐리어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과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상기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선별 중량이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을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선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SORTING APPARATUS FOR CARRIER BREAKAGE REDUCTION}
본 발명(Disclosure)은,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빈 캐리어의 무게를 기준 중량으로 하고, 선별대상물의 선별 작업 중에 캐리어의 무게를 측정하여 선별 캐리어 중량을 획득한 후에, 기준 중량과 선별 캐리어 중량을 비교하여 캐리어 교체 여부에 대한 알람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을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선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사과, 배, 감 등의 농산물(또는 어패류 등)은 중량별로 구분하여 포장한 후 소비자에게 판매되는데, 이러한 농산물들을 크기와 중량별로 선별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수작업, 천칭저울을 이용한 반자동식 측정,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컵에 농산물을 올려놓고 무게나 크기를 측정하는 선별 장치를 이용한 자동식 측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별 장치를 이용한 자동식 측정 방식은 농산물의 무게 측정기법에 따라 추를 이용한 기계식, 로드셀을 이용한 전자식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선별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별 장치는 선별대상물이 실린 캐리어(10)가 컨베이어레일을 통과하면서 중량을 감지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가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으며, 선별대상물이 벨트 상측을 통과하는 동안 로드셀(load-cell)에 작용된 물리적 변형들을 디지털 수치로 변환시켜 컨베이얼 레일의 중량 측정 지점(즉, 동기화 지점(A))을 통과한 캐리어(1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10)는 로드셀에 매달리거나 떠받쳐지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빈 캐리어의 경우 구동 감속모터를 포함하여 통상적으로 최소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선별대상물이 실리지 않은 캐리어(10)의 경우 각각 고유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별 장치에서는 농산물들이 캐리어에 안착 선별되어 이동되는 중에 캐리어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파손된 캐리어가 체인 컨베이어 또는 프레임 사이에 끼게 되고, 이로 인해 후행하는 캐리어들이 연속적으로 파손될 뿐만 아니라 파손된 캐리어를 교체하기 위한 교체시간 등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선별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2800호
본 발명(Disclosure)은, 빈 캐리어의 무게를 기준 중량으로 하고, 선별대상물의 선별 작업 중에 캐리어의 무게를 측정하여 선별 캐리어 중량을 획득한 후에, 기준 중량과 선별 캐리어 중량을 비교하여 캐리어 교체 여부에 대한 알람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을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선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Disclosure)은, 빈 캐리어에 대응하여 측정된 기준 중량과 함께 캐리어 고유번호를 함께 저장한 후에, 선별 중인 캐리어의 선별 캐리어 중량과 비교함으로써, 파손이 발생된 캐리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Disclosure)은, 빈 캐리어의 기준 중량보다 선별 중인 캐리어의 선별 캐리어 중량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나타낼 경우 해당 캐리어를 파손으로 판별한 후에, 체인 컨베이어의 작동을 중단시키면서 캐리어 교체를 위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에 따른 교체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행 캐리어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는,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카운팅부와, 빈 캐리어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과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상기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선별 중량이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선별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캐리어 파손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별대상물의 선별을 위해 가동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부재를 제어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재의 가동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캐리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영역별로 낙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이송부는, 선별 작업 공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에 구비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상기 캐리어를 회전 이송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선별라인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 낙하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선별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선별대상물의 낙하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선별대상물이 상기 캐리어에 안착되는 위치의 양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다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캐리어의 하부 양측에 접촉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빈 캐리어의 무게를 기준 중량으로 하고, 선별대상물의 선별 작업 중에 캐리어의 무게를 측정하여 선별 캐리어 중량을 획득한 후에, 기준 중량과 선별 캐리어 중량을 비교하여 캐리어 교체 여부에 대한 알람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을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선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빈 캐리어에 대응하여 측정된 기준 중량과 함께 캐리어 고유번호를 함께 저장한 후에, 선별 중인 캐리어의 선별 캐리어 중량과 비교함으로써, 파손이 발생된 캐리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빈 캐리어의 기준 중량보다 선별 중인 캐리어의 선별 캐리어 중량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나타낼 경우 해당 캐리어를 파손으로 판별한 후에, 체인 컨베이어의 작동을 중단시키면서 캐리어 교체를 위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에 따른 교체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행 캐리어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별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종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는 이송부(110), 중량측정부(120), 카운팅부(130), 제어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10)는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10)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무한궤도 방식의 체인컨베이어, 컨베이어레일 등을 구비하여 선별대상물(예를 들면, 농산물, 어패류 등)을 선별하기 위한 캐리어(10)에 선별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10)의 전단부에는 선별대상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선별대상물 투입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선별대상물의 투입속도에 대응하여 복수의 캐리어(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10)의 체인컨베이어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20)는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캐리어(10)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복수의 캐리어(10)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레일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캐리어(10)의 하부 양측이 접촉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캐리어(10) 각각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10) 또는 선별대상물이 상부에 안착된 캐리어(10)의 각 중량은 선별대상물의 정확한 선별을 위해 제어부(140)로 제공될 수 있다.
카운팅부(130)는 캐리어(10)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복수의 캐리어(10)가 선별라인 상의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캐리어(10) 별로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제어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캐리어(10)가 빈 상태일 때의 기준 중량에 대응하여 캐리어 고유번호가 부여된 상태에서, 선별대상물이 상부에 안착된 캐리어(10)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여 해당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캐리어(10)를 선별영역에서 작동(즉, 한쪽 방향으로 기울임)시켜 해당 선별대상물의 중량별로 정해진 선별영역에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선별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해 제어부(14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빈 캐리어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과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선별 중량이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될 경우 선별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캐리어 파손을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선별대상물의 선별을 위해 가동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부재(150)를 제어하며, 솔레노이드부재(150)의 가동로드를 작동시켜 캐리어(10)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선별대상물을 선별영역별로 낙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부재(150)는 선별영역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해당 영역별로 각각 가동됨으로써 선별대상물을 선별하거나, 혹은 복수의 캐리어(10)에 각각 구비되어 선별영역 중 해당 위치에서 가동됨으로써 선별대상물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이송부(110)에 구동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체인컨베이어의 회전을 통해 선별라인을 작동시키고, 선별라인의 컨베이어레일 상에서 선별대상물이 없는 빈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을 측정하도록 중량측정부(120)로 측정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도록 카운팅부(130)에 카운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중량측정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과 카운팅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캐리어 고유번호를 각각의 캐리어(10) 별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부(140)는 선별대상물 투입장치로부터 선별대상물이 투입될 경우 투입되는 선별대상물의 투입속도에 대응하여 체인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선별라인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10)에 선별대상물이 각각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면 중량측정부(120)에 측정 제어신호를 제공하면서 카운팅부(130)에 카운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중량측정부(120)로부터 선별 중량을 전달받아, 카운팅부(13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캐리어(10)의 캐리어 고유번호에 따라 해당 캐리어(10)의 기준 중량을 내부 메모리에서 추출한 후에, 그 기준 중량과 선별 중량을 비교하여 선별 중량이 기준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가진 경우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이송부(110)에 구동중지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이송부(11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별도의 알람 장치(예를 들면, 스피커, 디스플레이패널 등)를 통해 부저 등과 같은 청각적인 알람, 컨트롤패널의 경고 표시 등과 같은 시각적인 알람 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되는 즉시 선별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후행하는 캐리어(10)의 추가적인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캐리어 파손에 따른 교체 시간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선별 중량이 기준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이에 대한 차이값을 산출한 후에,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중량별 선별영역을 부여하고, 해당 선별영역에 이송되어 도착할 때 솔레노이드부재(150)에 작동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솔레노이드부재(150)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가동로드로 인해 캐리어(10)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해당 선별대상물이 중량별로 정해진 선별영역에 낙하되어 효과적으로 선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부(110)는 지지베이스(111), 체인컨베이어(112), 투입구(113), 선별다이(114), 보조다이(115) 등을 포함하여 캐리어(10)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베이스(111)는 선별 작업 공간에 지지 고정되는데, 선별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의 긴 지지블록을 베이스로 하여 선별 장치의 각 구성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복수의 캐스터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고,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승강 가능한 복수의 안착부재가 구비되어 바닥면에 지지베이스(111)를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킬 수 있다.
체인컨베이어(112)는 지지베이스(111)에 구비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캐리어(10)를 회전 이송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체인컨베이어(112)의 회전속도는 투입구(113)로부터 투입되는 선별대상물의 투입속도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투입구(113)는 선별라인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선별대상물이 투입되는데, 선별대상물 투입장치와 연결되어 선별대상물이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10도, 15도 등)에 따라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투입되는 선별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선별다이(114)는 선별대상물을 선별 낙하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선별라인의 종단에 측면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고,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에 따라 구획된 선별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에 따라 해당 선별영역에 위치하게 될 경우 솔레노이드부재(150)의 가동에 따라 캐리어(10)의 각도가 조절되어 선별다이(11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이 해당 선별영역에 안정적으로 낙하 선별될 수 있다.
보조다이(115)는 선별대상물의 낙하를 대비하기 위해 선별대상물이 캐리어(10)에 안착되는 위치의 양측면 하부에 구비되는데, 투입구(113)를 통해 투입된 선별대상물이 캐리어(10)에 각각 안착된 후 선별라인의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이송되기 시작할 때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은 그 형태에 따라 불안정한 상태로 캐리어(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리어(10)의 상부에서 좌우로 낙하할 수 있어 이를 수집하기 위해 보조다이(115)가 구비될 수 있다.
중량측정부(120)는 캐리어(10)의 하부 양측에 접촉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캐리어(1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로드셀(load-cell)은 힘을 가하면 변형되어 스트레인게이지가 변형되고,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며,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값 변화에 비례하는 전압이 출력되는 방식으로, 힘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캐리어(10)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카운팅부(130)는 체인컨베이어(112)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캐리어(10)를 카운팅할 수 있는데, 포토센서(photo electronic sensor)는 광전센서라고도 하며, 빛을 이용한 센서로 레이저, 적외선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포토센서는 적외선(또는 레이저)을 조사하는 투광기와 적외선이 입사되는 수광기로 이루어져 수광기로의 입사 여부에 따라 대상물의 감지를 판단하는 투과형과, 적외선(또는 레이저)의 조사와 입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조사기와 적외선을 반사하는 미러를 구비하여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입사 여부에 따라 대상물의 감지를 판단하는 미러 반사형과, 적외선(또는 레이저)의 조사와 입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조사기만을 구비하여 대상물이 있을 경우에만 수광할 수 있는 확산 반사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의 종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140)에서는 선별 중량이 기준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이에 대한 차이값을 산출한 후에, 그 차이값에 대응하는 중량별 선별영역을 부여하고, 해당 캐리어(10)가 이송되어 선별다이(114)가 구비된 위치까지 이동하면,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에 따라 구획된 선별영역에서 솔레노이드부재(150)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가동로드로 인해 캐리어(10)의 각도가 조절되어 선별다이(11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이 해당 선별영역에 안정적으로 낙하 선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별다이(114)는 선별대상물이 낙하될 때 외부 손상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선별 배출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는 다양한 탄력재질(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 우레탄, 스티로폼 등)의 안착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빈 캐리어의 무게를 기준 중량으로 하고, 선별대상물의 선별 작업 중에 캐리어의 무게를 측정하여 선별 캐리어 중량을 획득한 후에, 기준 중량과 선별 캐리어 중량을 비교하여 캐리어 교체 여부에 대한 알람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을 즉각적으로 판별하여 선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빈 캐리어에 대응하여 측정된 기준 중량과 함께 캐리어 고유번호를 함께 저장한 후에, 선별 중인 캐리어의 선별 캐리어 중량과 비교함으로써, 파손이 발생된 캐리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빈 캐리어의 기준 중량보다 선별 중인 캐리어의 선별 캐리어 중량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나타낼 경우 해당 캐리어를 파손으로 판별한 후에, 체인 컨베이어의 작동을 중단시키면서 캐리어 교체를 위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파손에 따른 교체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행 캐리어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카운팅부와,
    빈 캐리어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과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상기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선별 중량이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캐리어 파손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KR1020200097010A 2020-03-13 2020-08-0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KR20210116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10A KR20210116175A (ko) 2020-03-13 2020-08-0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152A KR102171867B1 (ko) 2020-03-13 2020-03-1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KR1020200097010A KR20210116175A (ko) 2020-03-13 2020-08-0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152A Division KR102171867B1 (ko) 2020-03-13 2020-03-1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175A true KR20210116175A (ko) 2021-09-27

Family

ID=731294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152A KR102171867B1 (ko) 2020-03-13 2020-03-1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KR1020200097010A KR20210116175A (ko) 2020-03-13 2020-08-0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152A KR102171867B1 (ko) 2020-03-13 2020-03-13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71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411B1 (ko) 2020-12-11 2022-10-11 (주)에스엔피시스템 선별 캐리어 정렬 가이드
KR102337517B1 (ko) * 2021-05-25 2021-12-13 주식회사 엠디디 리니어 이송 로봇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800A (ko) 2003-01-03 2004-07-09 이완재 중량감지식 자동 선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10B1 (ko) * 2013-05-27 2013-10-23 강호철 파손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기로
KR101602770B1 (ko) * 2014-10-30 2016-03-11 대한민국 로드셀이 적용된 하부낙하식 중량 선별장치
KR101951412B1 (ko) * 2018-07-30 2019-02-22 주식회사 아이오네틱스 중량 선별 자동 보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800A (ko) 2003-01-03 2004-07-09 이완재 중량감지식 자동 선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867B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56359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delivery vehicles
EP3098578B1 (en) Checkweig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6861158B2 (ja) 物品の特性に基づいた移送速度を有するスライドソーターポップアップ転向コンベヤ
JP2020529303A5 (ko)
US20190193945A1 (en) Vision based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WO2018204901A2 (en) Vision based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KR20210116175A (ko)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JP5838722B2 (ja) 空容器回収装置
CN114850044B (zh) 一种物流供应链物品自动分类装置
KR200401882Y1 (ko) 과일선별기
KR102136112B1 (ko)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JPS5951357B2 (ja) 自動選別装置
JPS6327649B2 (ko)
KR20070008750A (ko) 과일선별기 및 그 선별방법
JP2501710B2 (ja) 球状物の階級判別装置
KR100741836B1 (ko) 과일선별기
JPS6330566B2 (ko)
KR102554317B1 (ko) 선별기용 두께측정장치
JP2008018313A (ja) バケット式選別装置
JP2023131841A (ja) 連包袋の厚さ測定装置
CN112683380A (zh) 一种检测设备
JPS6034779A (ja) 形状選別装置
JPH0799953A (ja) 果実選別装置
KR100218876B1 (ko) 오이 선별장치
JPH0666708A (ja) 被測定物の階級判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