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941A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941A
KR20210115941A KR1020200032403A KR20200032403A KR20210115941A KR 20210115941 A KR20210115941 A KR 20210115941A KR 1020200032403 A KR1020200032403 A KR 1020200032403A KR 20200032403 A KR20200032403 A KR 20200032403A KR 20210115941 A KR20210115941 A KR 20210115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iva
artificial tooth
shape
dentur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9653B1 (en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653B1/en
Publication of KR2021011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gingiva of a den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forming the gingiva of a denture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shape of the gingiva using the oral structure of a patient, thereby forming a more aesthetically natural gingiva compared to conventionally manufactured complete denture, and allowing the patient using the denture to feel less foreign body and to use it comfortably.

Description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Method and apparatus for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본 발명은 총의치의 치은 형성 장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총의치의 치은의 형태를 자동으로 조정함에 따라, 심미적으로 자연스럽고 기능적으로 적합한 형태로 총의치의 치은을 설계할 수 있는 총의치 형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gingiva of a total denture, and more particularly,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of the complete denture, the total denture formation capable of designing the gingiva of the total denture in an aesthetically natural and functionally suitable form Methods and apparatus can be provided.

종래의 치은 형성 방법은, 치과용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의치 제작 툴을 이용하여 치은의 형상을 수동으로 디자인하는 작업으로 행해졌다. 도 1은 종래의 치은 형성 방법에 따라 치은의 형상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치은 형성 방법은 소프트웨어(a)에서 인공 치아를 먼저 배열한 뒤, 임의의 형태의 치은(a1)을 생성하고, 생성된 치은(a1)의 형태를 자연스러운 형태로 디자인 하기 위해 수동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한 영역을 생성해야 했고, 치은과 인공 치아와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미세한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b)에서 사용자의 혀가 움직이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악 설측의 치은을 수동으로 디자인하였는데 과도하게 치은을 제거하는 경우 인공 치아의 견고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치은을 너무 적게 제거하는 경우 환자의 혀가 움직이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수동적인 종래의 작업은 총의치를 설계하는 시간을 지연시켰고, 총의치의 생산에 투입되는 인력과 소요 시간 및 비용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gingival formation method was performed by manually designing the shape of the gingiva using a denture manufacturing tool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dental dentures. 1 is an exemplary view of manually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the gingiva. Referring to FIG. 1 , in the conventional gingival formation method, artificial teeth are first arranged in software (a), then the gingiva (a1) of any shape is created, and the shape of the generated gingiva (a1) is designed in a natural form. To do this, it was necessary to manually create a concave or convex area, and a fine work was required to make the boundary between the gingiva and the artificial tooth natural. In addition, in software (b), the gingiva on the lingual side of the mandible was manually designed to secure a space for the user's tongue to move. In the case of removal,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ufficient space was not secured for the patient's tongue to move. Such a manual conventional operation delayed the design of the total denture,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total denture and cost were wasted.

이에, 총의치의 치은을 자동으로 형성하되, 심미적으로 자연스럽고 기능적으로 적절한 형태를 갖출 수 있는 설계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esign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forming the gingiva of the full denture, but having an aesthetically natural and functionally appropriate shape.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7216호 "의치의 모형 제작 및 제작"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3-0097216 "Production and production of models of dentures"

본 발명에 따라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구강 구조를 이용하여 치은의 형태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총의치 형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ull dentures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shape of the gingiva using the oral structure of a patient.

본 발명에 따라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완성된 총의치가 종래에 제작된 총의치에 비해 보다 자연스러운 총의치의 치은을 형성하여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총의치를 사용하는 환자가 이물감을 적게 느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총의치 형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mpleted complete denture can form a more natural gingiva than the conventionally manufactured complete denture, thereby increasing esthetics, and the patient using the complete denture can feel less foreign body and use it comfortab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full dentur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장치 방법은 환자의 구강 구조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열된 인공 치아의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 및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가 연결된 라인을 총의치의 의치상 base로 연장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은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총의치의 특징 정보를 복수의 인공 치아에 공통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gingival forming apparatus method of the ful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owest point of the side contact points of the artificial teeth arranged u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and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eeth determining the lowest point of the, identifying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by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side contact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the lowest point of the side contact,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a line connected to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It may include the steps of generating the gingiva of the artificial tooth by extending to the base of the denture base of the complete denture, and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by reflec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otal denture input by the user in common to the plurality of artificial tee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의 목표 높이를 입력받아 상기 인공 치아를 덮는 치은의 전체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may include adjusti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covering the artificial tooth by receiving the target height of the gingiv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의 전체 높이를 통합하여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의 전체 높이 중에서 상기 치은의 높이가 조정되지 않는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 또는 또는 개별 치아의 치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개별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djusti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by integrating the height of the gingiva amo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is to adjust the lowermost point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or the height of the gingiva of the individual teeth to which the height of the gingiva is not adjusted. and sel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individual artificial too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기준으로 생성된 선을 이용하여 유리 치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may include forming free gingiva using a line generated based on the maximum prominence of the artificial too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순면, 협면 및 설면에 형성된 최대 풍융부의 접선을 연장하는 단계,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는 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풍융부의 접선과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여 생성된 선에서, 상기 인공 치아 측에 생긴 공간에 유리 치은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forming the gingiva includes extending the tangent of the maximal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labial,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the artificial tooth, generating a line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maximum convex ridge In a line generated by connecting the negative tangent to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it may include creating a free gingiva in the space created on the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유리 치은이 생성되되, 상기 유리 치은은 상기 치간 유두의 인접 치아의 치경부 최하점과 상기 인접 치아의 측면 접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면을 한계로 제한하여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is, Doedoe free gingiva is generated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the free gingiva connects the lowermo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adjacent tooth of the interdental papilla and the side contact of the adjacent teeth It may include a step of limiting the surface to be formed to a lim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과 측면 접점을 연결한 선의 곡률을 이용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생성되는 유리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includes adjusting the shape of the free gingiva generated in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by using the curvature of a line connecting the lowermost point and the side contact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생성되는 유리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접점에 형성된 상기 선의 곡률을 Taper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justing the shape of the free gingiva generated in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may include forming the curvature of the line formed at the side contact point in a taper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생성되는 유리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접점에 형성된 상기 선의 곡률을 Round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justing the shape of the free gingiva generated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may include forming the curvature of the line formed at the side contact in a round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형태를 기초로 상기 치은의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뿌리를 고려하여 상기 치은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includes forming the gingiva to protrude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included in the gingiva based on the shape of the artificial tooth.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뿌리의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치은을 생성할 수 있는 범위를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forming the gingiva to protrude to the outside may include receiving the location of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and limiting a range in which the gingiva can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을 분할하는 기준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총의치의 border까지의 영역을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하측 영역을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상측 영역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forms a baseline dividing the gingiva, divides the region from the baseline to the border of the full denture into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and makes the lower region convex and forming the upper region to be conc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구강 구조의 전치부에서, 상기 총의치의 border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line,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oral structure,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border of the full dentu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구강 구조의 구치부에서, 유리 치은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line, in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oral structure,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free gingiv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아의 하악 설측에 형성된 최대 풍융부의 접선을 상기 하악의 총의치의 의치상 base의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기 치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moving the gingiva by extending the tangent line of the maximum protuberance formed on the mandibular lingual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perpendicular to the denture base of the mandibular full dentur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장치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구강 구조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열된 인공 치아의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을 분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를 분석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 및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가 연결된 라인을 총의치의 의치상 base로 연장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은을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구강 구조의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gingival forming apparatus device of the full den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or, a memory, and a computer program that is loaded into the memory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instructions for analyzing the lowest point of the lateral contact point of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artificial tooth arranged u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the lowest point of the side contact point and the cervical region An instruction to analyze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by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lateral contact point,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line connected to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to the base of the denture base of the total denture to generate the gingiva of the artificial tooth and instructions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generated gingiva using the shape of the oral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치은 형성 방법에 따라 치은의 형상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인공 치아의 각 부위에 따른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배열된 인공 치아에서 총의치의 치은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생성된 치은의 전체 높이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치은의 높이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1은 유리 치은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생성된 치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총의치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치간 유두에서 유리 치은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치은의 내부에 가상 치아 뿌리를 형성한 뒤 치아 뿌리 형상에 따라 치은의 외부를 돌출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총의치의 border에 인접한 영역에 굴곡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인공 치아의 하악 설측의 치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manually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the gingiva.
2 is a flowchart of a gingival formation method of a ful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name according to each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gingiva of the total denture is generated from the arranged artificial teeth.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tegrally adjusti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generated in FIG. 4 .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tegr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ingiva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some areas.
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free gingiva.
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cross-section of a full denture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generated gingiva.
14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free gingiva in the interdental papilla.
17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truding the outside of the gingiv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oth root after forming a virtual tooth root inside the gingiva.
20 and 2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curve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border of the full denture.
22 and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gingiva on the lingual side of the mandible of the artificial tooth.
24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ingival forming apparatus of the full den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following embodiments complet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인공 치아의 각 부위에 따른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배열된 인공 치아에서 총의치의 치은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of the gingival formation method of the to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ame according to each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Figure 4 is the gingiva of the total denture in the arranged artificial teeth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generated state.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도 5 내지 23을 참조하여 구체화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the gingiva of a ful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and various embodiments embodi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23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구조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구조에 자연스럽게 착용되는 총의치를 설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method for forming the gingiva of the to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mputing device, and the total denture is naturally worn on the patient's oral structure using 3D scanning data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can be designed.

먼저,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구조에 적합하도록 인공 치아가 배열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110에서, 배열된 인공 치아의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이 결정될 수 있다. 인공 치아의 각 부위에 따른 명칭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측면 접점의 최하점(11)은 치아와 치아 간에 측면에서 접촉되는 지점 중에서 잇몸 측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가리키고, 치경부의 최하점(10)은 인공 치아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 중에서 잇몸 측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서 최대로 변곡된 지점을 의미한다. 결합부(13)는 인공 치아와 총의치의 의치상과 결합되기 위한 영역이다.First, artificial teeth may be arranged to suit the patient's oral structure using 3D scanning data. Then, in step S110, the lowest point of the side contact point of the arranged artificial tooth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may be determined. Referring to FIG. 3 to describe the names according to each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the lowest point 11 of the side contact points to the point closest to the gum side among the points in contact from the side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and the lowest point (10) of the cervical region. ) denotes a point at which the artificial tooth is maximally deformed in the area closest to the gum side among the area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upling part 13 is an area for coupling with the denture base of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full dentur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130에서, 측면 접점의 최하점(11)과 치경부의 최하점(10)이 연결되어 인공 치아의 경계부(12)가 식별될 수 있다. 인공 치아의 경계부(12)는 측면 접점의 최하점(11)과 치경부의 최하점(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인공 치아와 치은의 경계에 해당되는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in step S130 , the lowest point 11 of the side contact point and the lowest point 10 of the cervical region are connected, so that the boundary portion 12 of the artificial tooth can be identified. The boundary portion 12 of the artificial tooth may indicat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gingiva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lowest point 11 of the side contact and the lowest point 10 of the cervical region.

단계 S150에서, 측면 접점의 최하점(11), 치경부의 최하점(10) 및 인공 치아의 경계부(12)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측면 접점의 최하점(11), 치경부의 최하점(10) 및 인공 치아의 경계부(12)가 연결된 라인이 도 4와 같이 의치상 base까지 연장되고, 연장된 영역은 총의치의 치은이 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치은은 자연스러운 상태로 생성되지 않고, 임의적인 형태와 두께로 생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단계 S170을 거쳐 보다 자연스러운 치은으로 조정될 수 있다.In step S150, the lowest point 11 of the side contact, the lowest point 10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boundary portion 12 of the artificial tooth may all be connected. Thereafter,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most point 11 of the side contact, the lowermost point 10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boundary portion 12 of the artificial tooth extends to the base of the denture base as shown in FIG. 4, and the extended area may be the gingiva of the total denture. In this step, the gingiva is not generated in a natural state, but may be generated in an arbitrary shape and thickness, and may be adjusted to a more natural gingiva through step S170 to be described later.

단계 S17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총의치의 특징 정보가 복수의 인공 치아에 공통적으로 반영되어 치은의 형태가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총의치의 특징 정보란, 설계하려는 총의치를 착용하는 환자의 연령대, 총의치의 크기, 총의치의 강도, 총의치의 내부에 가상으로 형성될 뿌리의 형상, 총의치의 치은 높이, 치은의 형태 등 3차원 스캐닝 데이터에서 획득할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총의치의 특징 정보가 입력되면, 총의치의 특징 정보가 배열된 각각의 인공 치아에 공통적으로 반영되고, 반영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완성될 총의치의 치은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의치를 착용하는 환자의 연령대가 70대라는 총의치의 특징 정보가 입력되면, 70대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치은의 높이, 인공 치아의 강도, 인공 치아의 배열 형태, 유리 치은의 형태가 인공 치아에 공통적으로 반영되고, 반영된 결과를 기초로 해당되는 연령대에 자연스러운 치은의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In step S170 ,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otal denture input by the user is commonly reflected to the plurality of artificial teeth to adjust the shape of the gingiva. He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otal denture input by the user is the age of the patient who wears the total denture to be designed, the size of the total denture, the strength of the total denture, the shape of the root to be virtually formed inside the total denture, the gingival height of the total denture, and the shape of the gingiva I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3D scanning data, such as. Whe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mplete denture is input from the user in this step,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mplete denture is commonly reflected to each artificial tooth arranged, and the gingival shape of the complete denture to be completed based on the reflected result can be formed. For example, i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otal dentures that the age of a patient wearing total dentures is 70s is input, the height of the gingiva corresponding to the age of 70s, the strength of artificial teeth, the arrangement of artificial teeth, and the shape of free gingiva are artificial teeth. It is commonly reflected in , and a natural gingival shape can b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age group based on the reflected resul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은 환자의 구강 구조를 이용하여 치은의 형태를 자동으로 조정함에 따라, 완성된 총의치의 심미감이 종래에 제작된 총의치에 비해 향상될 수 있으며, 총의치를 사용하는 환자가 이물감을 적게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gingival formation method of the to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djusts the shape of the gingiva using the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completed complete dentur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ly manufactured complete den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atients using full dentures can feel less foreign body sensation.

이하, 단계 S170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that can be embodied in step S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23 .

도 5는 도 4에서 생성된 치은의 전체 높이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7은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치은의 높이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integrally adjusti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generated in FIG. 4, and FIGS. 6 and 7 are for explaining a method for integr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ingiva in the remaining regions except for some regions. It is a drawing.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치은의 목표 높이(21)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목표 높이(21)에 따라 치은의 전체 높이(20)가 통합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치은의 목표 높이(21)를 입력 받은 경우, 인공 치아를 덮는 치은의 전체 높이를 목표 높이(21)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은의 높이를 통합적으로 조정함에 따라 사용자가 인공 치아의 개별적인 치은의 높이를 수정하는 불편을 해소하며, 인공 치아의 개별적인 높이를 각각 수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높이의 치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계부(12)도 선택된 치경부의 최하점(1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범위만큼 제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desired target height 21 of the gingiva may be input from the user, and the total height 20 of the gingiva may be integr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target height 21 . When the target height 21 of the gingiva is input by the user,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covering the artificial teeth may be adjusted to the target height 21 .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correcting the individual gingival heights of the artificial teeth as the height of the gingiva is adjusted integrally, and since the individual heights of the artificial teeth are not modified individually, the gingiva with a natural height can be created. . In addition, the boundary portion 12 may also be adjusted limitedly by an appropriate r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st point 10 of the selected cervical region.

도 6을 참조하면, 치은의 전체 높이 중에서 한 개의 치은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10)이 선택될 수 있다. 한 개의 치은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10)이 선택되면, 선택된 치경부의 최하점(10)에 해당되는 치은(13)은 사용자의 수동 조정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고, 그에 인접한 측면 접점(11)과 경계부(12)도 선택된 치경부의 최하점(1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범위만큼만 제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lowest point 10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may be selected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one gingival among the total heights of the gingiva. When the lowest point 10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is selected to adjust the height of one gingiva, the gingiva 13 corresponding to the lowest point 10 of the selected cervical part is adjusted in height by the user's manual adjustment, and the side adjacent thereto The contact point 11 and the boundary part 12 can also be adjusted limitedly by an appropriate r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st point 10 of the selected cervical part.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50에 의해 임의의 높이(20)로 치은이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치은의 목표 높이(21)로 치은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지 않는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22)이 선택되는 경우, 도면부호 22에 해당되는 치은은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고,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22)을 제외한 치은의 높이가 목표 높이(21)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경계부(12)도 선택된 치경부의 최하점(22)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범위만큼 제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gingiva is formed at an arbitrary height 20 by step S150, and the gingiva height may be adjusted to the target height 21 of the gingiva input by the user. At this time, when the lowest point 22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whose height is not adjusted by the user is selected, the gingival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ber 22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gingiva except for the lowest point 22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The height of may be adjusted to the target height 21 . In addition, the boundary portion 12 may also be adjusted limitedly by an appropriate r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st point 22 of the selected cervical portion.

도 8 내지 11은 유리 치은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free gingiva.

도 8을 참조하면, 인공 치아와 치은의 경계에서 유리 치은(30)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리 치은(30)은 인공 치아의 경계부로부터 1.5~2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리 치은이 인공 치아로부터 자연스럽게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면 총의치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다. 이하, 인공 치아의 형태를 기초로 자동으로 유리 치은이 생성되는 방법을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free gingiva 30 may be gener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gingiva. In one embodiment, the free gingiva 30 is preferably formed by 1.5 ~ 2mm from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At this time, if the free gingiva is formed in a form that is naturally coupled from the artificial tooth, the overall image of the full denture may look natural. Hereinaft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free gingiva based on the shape of an artificial toot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도 9를 참조하면, 인공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기준으로 최대 풍융부에 접합된 선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인공 치아의 순면, 협면 및 설면에 형성된 최대 풍융부의 접선(31, 32)이 연장될 수 있다. 이후, 도 10과 같이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는 선(33)이 생성되고, 도 11과 같이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는 선(33)과 최대 풍융부에 연장된 접선(31, 32)이 교차하여 인공 치아 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유리 치은(30)은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는 선(33)과 최대 풍융부에 연장된 접선(31, 32)의 인공 치아 측의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 line joined to the maximum convex por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maximum convex portion of the artificial tooth. Specifically, first, the tangents 31 and 32 of the maximum protuberance formed on the labial,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the artificial teeth may be extended. Then, as shown in FIG. 10, a line 33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is generated, and as shown in FIG. 11, the line 33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tangent lines 31 and 32 extending to the maximum convex portion intersect. A space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The free gingiva 30 may be cre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on the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of the line 33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tangent lines 31 and 32 extending to the maximum protuberance.

도 12 및 도 13은 생성된 치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총의치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cross-section of a full denture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generated gingiva.

도 12를 참조하면, 총의치의 횡단면에서 볼 때, 미리 생성된 총의치의 base(35)에 이격되도록 인공 치아가 배열되고, 배열된 인공 치아와 총의치의 base(35)를 연결하는 치은과, 인공 치아에 인접한 영역에 유리 치은(30)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치은(30) 구강 구조를 기준으로 생성됨에 따라 보다 자연스러운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총의치의 횡단면에서 볼 때, 총의치의 base(35)와 인공치아는 구분되지 않은 하나의 영역(36)으로 형성되어 자연스러운 치은을 형성할 수 있다.12,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 of the total denture, artificial teet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35 of the pre-generated total denture, and the gingiva connecting the arranged artificial teeth and the base 35 of the total denture, artificial teeth Free gingiva 30 may be created in an area adjacent to . As described above, the free gingiva 30 may be generated in a more natural shape as it is generated based on the oral structure. Referring to FIG. 13 ,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 of the complete denture, the base 35 of the complete denture and the artificial tooth are formed as a single area 36 that is not divided to form a natural gingiva.

도 14 내지 도 16은 치간 유두에서 유리 치은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free gingiva in the interdental papilla.

도 14를 참조하면,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인접하는 인공치아 간의 측면 접점(11)에 형성된 곡률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치간 유두가 형성될 수 있다. 치은은 인공 치아를 기준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치간 유두 영역에서는 치은이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치간 유두에서 치은을 중첩되도록 설계하는 경우 이러한 설계에 의해 생성된 총의치는 실제 구강 구조에 비해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유리 치은이 생성되되, 상기 유리 치은은 상기 치간 유두의 인접 치아의 치경부 최하점과 상기 인접 치아의 측면 접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면을 한계로 제한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 인접한 치경부의 최하점(10)과 인접한 치경부의 최하점(10)을 연결한 선과 인접한 치경부의 최하점(10)과 측면 접점(11)을 연결한 선을 토대로 삼각형의 평면이 형성되고 그 평면의 높이까지 중첩된 치은 유두를 표현할 수 있어 치간 유두의 치은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in the interdental papilla of artificial teeth, a natural interdental papilla may be formed using the curvature formed at the side contact 11 between adjacent artificial teeth. Since the gingiva is generated based on the artificial tooth, the gingiva may be overlapped in the interdental papilla region. In this way, when the gingiva is designed to overlap the interdental papilla, the total denture created by this design may be unnatural compared to the actual oral structure. In one embodiment, free gingiva is generated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free gingiva is created by limiting the surface formed by connecting the lower cervical point of the adjacent teeth of the interdental papilla and the side contact of the adjacent teeth to the limit. can Specifically, in this step, a triangular plane is formed based o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st point 10 of the adjacent cervical region and the lowest point 10 of the adjacent cervical region and the line connecting the lowest point 10 of the adjacent cervical region and the side contact 11, and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gingival papilla overlapping up to the height of the plane, so that the gingiva of the interdental papilla can be made naturally.

본 단계에서,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10)과 측면 접점(11)을 거쳐 인접한 치경부의 최하점(10)을 연결한 가상의 선(40)에서 측면 접점(11) 지점의 곡률을 이용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생성되는 유리 치은의 형태가 조정될 수 있다.In this step, using the curvature of the point of the side contact 11 in an imaginary line 40 connecting the lowest point 10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lowest point 10 of the adjacent cervical part through the side contact 11, the The shape of the free gingiva produced by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can be adjusted.

도 15를 참조하면, 측면 접점에 형성된 선(40)의 곡률이 Tap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접점에 형성된 선(40)의 곡률이 Taper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측면 접점(11) 근처에서 인공 치아 간의 경계가 보다 명확하게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접점에 형성된 선(40)의 곡률이 Taper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연령이 낮은 환자의 구강구조를 표현하는 총의치를 생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curvature of the line 40 formed at the side contact may be formed in a taper shape. When the curvature of the line 40 formed at the side contact is formed in a taper shape, the boundary between the artificial teeth may be more clearly divided near the side contact 11 . Therefore, when the curvature of the line 40 formed at the side contact is formed in a taper shap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total denture expressing the oral structure of a patient with a low age.

도 16을 참조하면, 측면 접점에 형성된 선(40)의 곡률이 round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접점에 형성된 선(40)의 곡률이 round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측면 접점(11) 근처에서 인공 치아가 더 많이 노출되어 인공 치아 간의 경계가 taper 형태에 비해 불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접점에 형성된 선(40)의 곡률이 round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연령이 높은 환자의 구강구조를 표현하는 총의치를 생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curvature of the line 40 formed at the side contact point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When the curvature of the line 40 formed at the side contact points is formed in a round shape, the artificial teeth are more exposed near the side contact points 11 ,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artificial teeth may appear unclear compared to the taper shape. Therefore, when the curvature of the line 40 formed in the side contact is formed in a round shap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total denture expressing the oral structure of a patient with a high age.

도 17 내지 도 19는 치은의 내부에 가상 치아 뿌리(51)를 형성한 뒤 치아 뿌리 형상에 따라 치은의 외부를 돌출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truding the outside of the gingiv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oth root after forming the virtual tooth root 51 inside the gingiva.

도 17을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 인공 치아의 뿌리(51)를 고려하여 치은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완성된 총의치에서 인공 치아의 뿌리는 실제로 생성되지 않지만, 총의치의 base(35)와 인공 치아의 형태와 위치를 분석하여 인공 치아의 가상의 인공 뿌리(51)의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상의 인공 뿌리(51)를 기초로 치은의 형태를 보다 자연스럽게 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in this step, the gingiva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root 51 of the artificial tooth. In the completed complete denture,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is not actually created, but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base 35 and the artificial tooth of the complete denture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virtual artificial root 51 of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determined virtual artificial tooth is determined. Based on the root 51, the shape of the gingiva can be adjusted more naturally.

도 18을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인공 치아 뿌리(51)의 위치(52)를 입력받아 상기 치은을 생성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치은은 인공 치아 뿌리(51)의 형태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치은의 형태가 외부로 심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공 치아 뿌리(51)의 위치(52)에 의해 돌출되는 치은의 범위가 한정되어 과도하게 치은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한정되어 있는 치은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브러쉬 기능을 통해 치은이 추가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때, 미리 형성된 치은에 Point UI가 생성되고 그 Point UI가 사용자에 의해 잡아당겨지면, 해당되는 범위만큼 치은이 생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 in this step, a range for generating the gingiva by receiving the position 52 of the artificial tooth root 51 from the user may be limited. Since the gingiva can be automatically created by the shape of the artificial tooth root 51, the shape of the gingiva may protrude severely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range of the protruding gingiva is limited by the position 52 of the artificial tooth root 51 input from the user, so that excessive protrusion of the gingiva can be prevented. 1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gingiva is added through a brush function by a user within a limited gingival range. At this time, when a Point UI is generated on the pre-formed gingiva and the Point UI is pulled by the user, the gingiva may be generated as much as a corresponding range.

도 20 및 도 21은 총의치의 border(60)에 인접한 영역에 굴곡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and 2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curve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도 20을 참조하면, 치은을 분할하는 기준선(61)이 형성되고, 기준선(61)으로부터 상기 총의치의 border(60)까지의 영역을 하측 영역(62) 및 상측 영역(63)으로 나뉘어, 하측 영역(62)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측 영역(6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a reference line 61 for dividing the gingiva is formed, and the area from the reference line 61 to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is divided into a lower area 62 and an upper area 63, the lower area 62 may be formed to be convex, and the upper region 63 may be formed to be concave.

총의치 영역의 전치부에는, 총의치의 border(60)에서부터 유리 치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기준선(61)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선(61)은 총의치의 border(60)에서부터 유리 치은 방향으로 3~4mm 이격된 위치에 생성될 수 있다.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full denture region, a reference line 61 may be created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in the free gingival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line 61 may be gener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by 3 to 4 mm in the gingival direction.

총의치의 border(60)에서부터 기준선(61)까지의 영역을 1/2로 나누어 하측 영역(62)과 상측 영역(63)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상측 영역(63)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측 영역(62)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볼록해지는 두께는 오목하게 형성된 상측 영역(63)에 비해 2mm 정도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총의치의 border(60)에 인접한 영역에 굴곡을 형성시킴에 따라, 환자의 구강 구조의 움직임에 의해 총의치의 border(60)에 인접한 영역이 환자의 순면 근육에 의해 가압되어 총의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구조가 쉽게 노출되는 전치부에서 최소의 범위만을 노출시키면서도 적절한 힘으로 지지될 수 있는 총의치의 치은을 설계할 수 있다.The area from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to the baseline 61 can be divided into 1/2 and divided into a lower area 62 and an upper area 63 . In this case, the upper region 63 may be concave, and the lower region 62 may be convex,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thickness protrude by about 2 mm compared to the concave upper region 63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urve is form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the area adjacent to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is pressed by the patient's labial muscle by the movement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so that the total denture is separated. i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sign the gingiva of the full denture that can be supported with an appropriate force while exposing only a minimum range in the anterior region where the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is easily exposed.

도 21을 참조하면, 구치부 역시 전치부와 유사하게 치은을 분할하는 기준선(65)이 형성되고 기준선(65)으로부터 상기 총의치의 border(60)까지의 영역을 하측 영역(67)과 상측 영역(66)으로 나누어 하측 영역(67)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측 영역(66)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총의치 영역의 구치부에는, 유리 치은(64)에서부터 border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기준선(65)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선(65)은 유리 치은(64)에서부터 border 방향으로 3~4mm 이격된 위치에 생성될 수 있다. 총의치의 border에서부터 기준선(65)까지의 영역을 1/2로 나누어 상측 영역(66)과 하측 영역(67)으로 나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posterior part also has a baseline 65 that divides the gingiva similarly to the anterior part, and the region from the baseline 65 to the border 60 of the full denture is divided into the lower region 67 and the upper region 66. , the lower region 67 may be convex and the upper region 66 may be concave.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full denture area, a reference line 65 may be created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ee gingiva 64 in the border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line 65 may be generated at a position spaced 3 ~ 4mm from the glass gingiva 64 in the border direction. It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area 66 and a lower area 67 by dividing the area from the border of the full denture to the reference line 65 by 1/2.

이때, 상측 영역(66)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측 영역(67)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볼록해지는 두께는 오목하게 형성된 상측 영역(66)에 비해 2mm 정도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upper region 66 may be concave, and the lower region 67 may be convex,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thickness protrude by about 2 mm compared to the concave upper region 66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구조의 운동에 의해 총의치가 움직일 때 환자의 협면 근육이 오목하게 형성된 영역을 가압함에 따라, 총의치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총의치의 치은을 설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esign the gingiva of the total denture that can prevent the total denture from coming out to the outside as the buccal muscle of the patient presses the concave region when the total denture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have.

도 22 및 도 23은 인공 치아의 하악 설측의 치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2 and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gingiva on the lingual side of the mandible of the artificial tooth.

도 22를 참조하면, 총의치의 횡단면에서 볼 때, 하악 내측의 치은을 일부 제거함에 따라 환자의 혀가 움직이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 인공 치아의 하악 설측에 형성된 최대 풍융부의 접선(70)이 하악의 총의치의 의치상 base(35)의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악 설측의 치은 중에서 최대 풍융부의 접선(70)을 넘어가는 치은(71)이 제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악 설측의 일부 치은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악 설측의 일부 치은을 제거함에 따라 환자의 혀가 움직이는 적절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총의치의 치은을 설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 of the full denture, a space for the patient's tongue to move may be secured by partially removing the gingiva on the inner side of the mandible. Specifically, in this step, the tangent line 70 of the maximum protuberance formed on the mandibular lingual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may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denture base 35 of the mandibular full denture. Among the gingiva on the lingual side of the mandible, the gingiva 71 that crosses the tangent line 70 of the maximum protuberance may be removed. Referring to FIG. 23 , in the present invention, some gingiva on the lingual side of the mandible can be removed. The present invention can design a full denture gingiva that can secure an appropriate space for the patient's tongue to move by removing some gingiva on the lingual side of the mandible.

이하에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computing device 500 capable of implementing the device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 .

도 24는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24 is an exemplary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uting device 500 .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를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24 , the computing device 500 loads one or more processors 510 , a bus 550 , a communication interface 570 , and a computer program 591 executed by the processor 510 . It may include a memory 530 and a storage 590 for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591). However,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FIG. 24 .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see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24 may be further included.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cessor 5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500 . The processor 5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or unit (M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included. Also, the processor 510 may perform an operation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uting device 5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직(또는 모듈)이 메모리(53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3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530 stores various data, commands, and/or information. The memory 530 may load one or more programs 591 from the storage 590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when the computer program 591 is loaded into the memory 530 , logic (or a module) as shown in FIG. 4 may be implemented on the memory 530 . An example of the memory 530 may be a R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The bus 550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500 . The bus 55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buses, such as an address bus, a data bus, and a control bus.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supports wired/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500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may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other than Internet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well known in the art.

스토리지(59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590 may non-temporaril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591 . The storage 590 i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read only memory (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we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y know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591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in which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When the computer program 591 is loaded into the memory 530 , the processor 510 may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o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환자의 구강 구조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열된 인공 치아의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을 분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를 분석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 및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가 연결된 라인을 총의치의 의치상 base로 연장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은을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구강 구조의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 program 591 is an instruction to analyze the lowest point of the lateral contact point of the arranged artificial tooth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artificial tooth using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the An instruction to analyze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by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side contact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the lowest point of the side contact,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line connecting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to the base of the denture base of the total denture. It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generating the gingiva of the artificial tooth, and instructions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generated gingiva using the shape of the oral structure.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may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for example, a removable recording medium (CD, DVD, Blu-ray disk, USB storage device, removable hard disk) or a fixed recording medium (ROM, RAM, computer-equipped hard disk). can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nstalled in the other computing device, thereby being used in the other computing dev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 구조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열된 인공 치아의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 및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가 연결된 라인을 총의치의 의치상 base로 연장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은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총의치의 특징 정보를 복수의 인공 치아에 공통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determining the lowest point of the lateral contact points of the arranged artificial teeth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artificial teeth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connecting the lowermost point of the side contact and the lowermo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to identify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generating the gingiva of the artificial tooth by extending a line connected to the lowermost point of the side contact point, the lowermo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to the base of the denture base of the full denture; and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otal denture input by the user in common to a plurality of artificial teeth,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의 목표 높이를 입력받아 상기 인공 치아를 덮는 치은의 전체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comprises: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target height of the gingiva and adjusti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covering the artificial teeth,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의 전체 높이를 통합하여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의 전체 높이 중에서 상기 치은의 높이가 조정되지 않는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 또는 개별 치아의 치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개별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adjusti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by integrating,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artificial tooth to which the height of the gingiva is not adjusted from among the total height of the gingiva or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individual artificial tooth to adjust the height of the gingiva of the individual teeth,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기준으로 생성된 선을 이용하여 유리 치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comprises: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free gingiva using a line generated based on the maximum prominence of the artificial tooth,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치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순면, 협면 및 설면에 형성된 최대 풍융부의 접선을 연장하는 단계;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는 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풍융부의 접선과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여 생성된 선에서, 상기 인공 치아 측에 생긴 공간에 유리 치은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orming the free gingiva comprises:
extending the tangent line of the maximal protuberance formed on the labial,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the artificial teeth;
generating a line connecting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and
In a line created by connecting the tangent of the maximum protuberance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creating a free gingiva in the space created on the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유리 치은이 생성되되, 상기 유리 치은은 상기 치간 유두의 인접 치아의 치경부 최하점과 상기 인접 치아의 측면 접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면을 한계로 제한하여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comprises:
Free gingiva is generated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wherein the free gingiva is generated by limiting the surface formed by connecting the cervical lowest point of the adjacent tooth of the interdental papilla and the side contact point of the adjacent tooth to a limit. ,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인접한 인공 치아 간에 상기 측면 접점에 형성된 곡률을 이용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생성되는 유리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comprises: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free gingiva generated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by using the curvature formed at the side contact between adjacent artificial teeth,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생성되는 유리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접점에 형성된 곡률을 Taper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free gingiva generated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the curvature formed in the side contact in the form of a taper,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아의 치간 유두에서 생성되는 유리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접점에 형성된 곡률을 Round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free gingiva generated from the interdental papilla of the artificial tooth,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the curvature formed on the side contact in a round shape,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형태를 기초로 상기 치은의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뿌리를 고려하여 상기 치은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comprises: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the gingiva to protrude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included in the inside of the gingiva based on the shape of the artificial tooth,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 치아의 뿌리의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치은을 생성할 수 있는 범위를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forming the gingiva to protrude to the outside,
Includ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position of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and limiting a range in which the gingiva can be created,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은을 분할하는 기준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총의치의 border까지의 영역을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하측 영역을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상측 영역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djusting the shape of the gingiva comprises:
Forming a baseline dividing the gingiva, dividing the region from the baseline to the border of the full denture into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forming the lower region convex, and forming the upper region concave ,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구강 구조의 전치부에서, 상기 총의치의 border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seline is
In the anterior part of the oral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generated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rder of the full denture,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구강 구조의 구치부에서, 유리 치은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seline is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oral structure,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generated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ee gingiva,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아의 하악 설측에 형성된 최대 풍융부의 접선을 상기 하악의 총의치의 의치상 base의 수직으로 연장하여 상기 치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gingiva by extending the tangent line of the maximal protuberance formed on the mandibular lingual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perpendicular to the denture base of the mandibular full denture,
Method of gingival formation of full dentures.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구강 구조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열된 인공 치아의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인공 치아의 치경부의 최하점을 분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과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을 연결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를 분석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측면 접점의 최하점, 상기 치경부의 최하점 및 상기 인공 치아의 경계부가 연결된 라인을 총의치의 의치상 base로 연장하여 상기 인공 치아의 치은을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구강 구조의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치은의 형태를 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총의치의 치은 형성 장치.
processor;
Memory; and
a computer program loaded into the memory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s
an instruction for analyzing the lowermost point of the lateral contact point of the artificial tooth and the lowermost point of the cervical part of the artificial tooth using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patient's oral structure;
instructions for analyzing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by connecting the lowermost point of the side contact and the lowermost point of the cervical region;
Instructions for generating the gingiva of the artificial tooth by extending the line connected to the lowermost point of the side contact point, the lowermost point of the cervical part, and the boundary of the artificial tooth to the base of the denture base of the full denture; and
Containing instructions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generated gingiva using the shape of the oral structure,
A gingival forming device for full dentures.
KR1020200032403A 2020-03-17 2020-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KR1023896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03A KR102389653B1 (en) 2020-03-17 2020-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03A KR102389653B1 (en) 2020-03-17 2020-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941A true KR20210115941A (en) 2021-09-27
KR102389653B1 KR102389653B1 (en) 2022-04-22

Family

ID=7792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403A KR102389653B1 (en) 2020-03-17 2020-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6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160A (en) 2022-05-10 2023-11-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ORDERL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320A (en) * 1996-02-02 1997-08-12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Plate denture design supporting device
KR20130097216A (en) 2010-10-01 2013-09-02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Modeling and manufacturing of dentures
US20170024881A1 (en) * 2006-08-30 2017-01-26 Anatomage Inc. Patient-specific three-dimensional dentition model
JP2017525408A (en) * 2014-07-31 2017-09-07 シロナ・デンタ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Virtual secondary processing method of gingival mod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320A (en) * 1996-02-02 1997-08-12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Plate denture design supporting device
US20170024881A1 (en) * 2006-08-30 2017-01-26 Anatomage Inc. Patient-specific three-dimensional dentition model
KR20130097216A (en) 2010-10-01 2013-09-02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Modeling and manufacturing of dentures
JP2017525408A (en) * 2014-07-31 2017-09-07 シロナ・デンタ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Virtual secondary processing method of gingival mod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160A (en) 2022-05-10 2023-11-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ORDER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653B1 (en)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7389B1 (en) Creating a digital restoration design
US10327873B2 (en)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digital design for use in manufacturing a molding-shell for a dental restoration
JP74415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orthodontic tooth alignment shape
CN110381880B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prosthesis
JP3131919U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orthodontic treatment results
JP6757671B2 (en) Virtual secondary processing method for gingival model
AU2019289452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dental component
ES2886876T3 (en) Computer-implemented modeling of an individualized dental prosthetic piece for the patient
KR102054267B1 (en) Dental CAD apparatus using characteristic of neighboring teeth and operating method the dental CAD apparatus
KR102269030B1 (en)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KR1023896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KR102376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forming of border of full denture
KR102019601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sthesis design using software
KR102406485B1 (en) Method for designing patient-specific abu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144369B1 (en) Dental CAD apparatus using characteristic of mirroring teeth and operating method the dental CAD apparatus
KR1023765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KR1023767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form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KR1023896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virtual tooth,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24061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ping change of dental prosthesis design
US20210236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tic device
US11980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tic device
KR20220129349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odeling data for target teeth
CN116211498A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igitized dental torque attachment
KR202301153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abutment model
KR20240009712A (en) The Amount of Bone Graft Determining Method for Implant Placement, Computing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