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57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579B1
KR102376579B1 KR1020200006172A KR20200006172A KR102376579B1 KR 102376579 B1 KR102376579 B1 KR 102376579B1 KR 1020200006172 A KR1020200006172 A KR 1020200006172A KR 20200006172 A KR20200006172 A KR 20200006172A KR 102376579 B1 KR102376579 B1 KR 102376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postdam
shape
displaying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2597A (en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579B1/en
Publication of KR2021009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5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Abstract

무치악 총의치의 상악 3D 모델 상에, Postdam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은, 3차원 스캔 데이터에 따른 양형의 상악 3차원 모델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식별된 Postdam 전방 한계, Postdam 전방 한계 및 Postdam 후방 한계로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서,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분석에 따라 결정되는 구개부 형태에 따라 결정된 형상 및 위치의 Postdam을 자동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 Postdam on a maxillary 3D model of an edentulous complete denture is provided. Postdam automatic formation method of edentulous ful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Postdam anterior limit, Postdam anterior limit, and Postdam posterior limit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can data The method may include automatically forming a postdam having a shape and a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lat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axillary 3D model in the region to be used.

Description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of full denture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무치악 환자의 상악 3D 모델 상에 형성된 Postdam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of a full denture and an apparatus therefor.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ly adjusting a Postdam formed on a maxillary 3D model of an edentulous patient.

총의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자연 치아가 모두 상실되었을 때, 상실된 치아와 그 주위조직을 대체하는 가철성 보철물의 일종이다. 국소의치와 달리 오직 치조제의 도움으로만 입 안에서 기능하기 때문에 유지력(입 안에서 빠지지 않으려는 힘), 지지력(입 안 조직이 총의치를 받쳐주는 힘), 안정성(씹거나 말할 때 총의치가 흔들리지 않는 정도) 모두 부족하다.A full denture is a type of removable prosthesis that replaces the lost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when all natural teeth of the maxilla or mandible are lost. Unlike local dentures, because they function in the mouth only with the help of alveolar dentures, holding power (power not to fall out in the mouth), support power (the strength of the tissues in the mouth to support the total denture), stability (the degree to which the total denture does not shake when chewing or speaking) ) are all insufficient.

환자의 치조제 및 구강 환경에 최적화된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바, 총의치의 제작은 상당한 비용 및 기간이 투입되어야 하는 보철 치료 작업이다. 이러한 총의치의 제작에 있어서 IT 기술의 도입 확대를 통해 총의치 제작의 정확도를 높이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에 따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Skilled technology is required to manufacture a complete denture optimized for the patient's alveolar ridge and oral environment, and manufacturing a complete denture is a prosthetic treatment operation that requires significant cost and time. In the production of such complete denture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roduction of complete dentures by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IT technology, and to reduce the burden of cost and time required for production.

미국공개특허 제2010-0332253호US Patent Publication No. 2010-033225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치악 환자의 상악 3D 모델 상에 형성된 Postdam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G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상악 3D 모델 상에 형성된 Postdam의 위치 및 형상에 반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manually adjusting the Postdam formed on the maxillary 3D model of an edentulous patient, and to apply a user input through the GUI to the Postdam formed on the maxillary 3D model.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flecting the position and shape of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동 조정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구개부 형상에 부적합한 Postdam이 생성되는 것은 차단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Postdam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patient's palatal shape despite manual adjustmen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은,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Postdam의 복수의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of an edentulous ful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tep of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the position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Postdam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ment, and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준점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the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일 실시예에서, In one embodiment,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입력이 전방 방향의 입력인 경우,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정중구개융기 기준 기설정된 수치만큼 후방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includes receiving a drag input in a forward or rearward direction to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central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and the drag input In the case of this anterior input, the feedback is displayed that the anterior central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orward movement limit of the anterior central reference point is backward by a preset value based on the mid-palatal elevation on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may include steps.

일 실시예에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Postdam의 후방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입력이 후방 방향의 입력인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구개부 형태를 반영하여 결정된 지점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drag input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for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and when the drag input is a posterior input, a feedback is displayed that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posterior direction, and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based on the palatine shape on the maxillary 3D model. It may include a step, which is a point determined by reflection.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급경사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V-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만큼 전방으로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eedback that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posterior direction, in the sagittal plane division plane of the maxillary 3D model, a quarter point is divided between the incisal papilla and the baseline. , based on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2/4 point and the 3/4 point, selecting one of the sagittal shape of the inclined (Mildly Inclined) type, steep (Steep) type, and flat type; , In the frontal plane dividing plan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oint divided by 1/2 between the peaks of both alveolar ridges and the mid-palatal suture, V -shape, O-shape, and U-shape selecting one of the frontal plane shape, and when the sagittal plane shape is selected as the steeply inclined shape and the frontal plane shape is selected as the V-Shape,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The backward movement limit may include setting the palate on the maxillary 3D model forward by a preset value as a reference.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경사진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O-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위치로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eedback that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posterior direction, in the sagittal plane division plane of the maxillary 3D model, a quarter point is divided between the incisal papilla and the baseline. , based on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2/4 point and the 3/4 point, selecting one of the sagittal shape of the inclined (Mildly Inclined) type, steep (Steep) type, and flat type; , In the frontal plane dividing plan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oint divided by 1/2 between the peaks of both alveolar ridges and the mid-palatal suture, V -shape, selecting one of O-shape and U-shape anterior surface shape, and when the sagittal plane shape is selected as the inclined shape and the front surface shape is selected as the O-Shape, the posterior plane shape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reference point may include setting the palate and position on the maxillary 3D model.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편평한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U-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만큼 후방으로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eedback that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posterior direction, in the sagittal plane division plane of the maxillary 3D model, a quarter point is divided between the incisal papilla and the baseline. , based on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2/4 point and the 3/4 point, selecting one of the sagittal shape of the inclined (Mildly Inclined) type, steep (Steep) type, and flat type; , In the frontal plane dividing plan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oint divided by 1/2 between the peaks of both alveolar ridges and the mid-palatal suture, V - selecting one of an anterior surface shape from among a shape, an O-shape and a U-shape, and when the sagittal shape is selected as the flat shape and the frontal shape is selected as the U-shape,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may include setting the palate on the maxillary 3D model backward by a preset value as a referen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준점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후방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선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좌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우측 익돌상악절흔을 연결한 선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the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and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 The displaying of the UI) includes further displaying a first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rear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and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further displaying a secon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 width and a depth thereof; a width of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further displaying a thir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 depth, and a fourth for adjusting a width of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and a depth thereof and further displaying an indicator user interface (UI), wherein the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includes the automatically form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and the first to fourth indicator user interfaces. The method may include modifying the 3D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postdam is adjusted. In this case, the reference line may be a line connecting a left hamular notch and a right pterygoid maxillary notch on the maxillary 3D model.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은,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의 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후방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 측방 기준점과 상기 우측 측방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of an edentulous full den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the front left Displaying a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t least some of the positions of the protrus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the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the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The method may include modifying the 3D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postdam is adjusted. In this case, the displaying of the user interface (UI) includes: displaying a first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rear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displaying a secon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 width) and displaying a thir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depth, and for adjusting the width and the depth of the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and the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It may include displaying a fourth indicator user interface (UI).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는, 상악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이 로드 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은,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과, 상기 Postdam의 복수의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A dentur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network interface for receiving the three-dimensional scan data of the maxilla, a memory in which the edentulous complete denture design program is loaded, and the program loaded in the memory It may include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At this time, the edentulous full denture design program includes an instruction to overlay and display an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and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Postdam. It may include an instruction for displaying and an instruction for modifying the 3D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수행 과정에서 얻는 3D 스캔 데이터의 스캔 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치 변연(border) 자동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수행 과정에서 참조되는 3D 모델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상악의 무치악 총의치 변연이 자동 형성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구개부의 시상면 형상의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구개부의 전두면 형상의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총의치 변연을 자동 형성함에 있어서, 구개부의 시상면 형상 및 전두면 형상이 반영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하악의 후방 변연이 자동 형성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소대(Frenum)의 형상이 반영되어 무치악 총의치 변연이 자동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의치의 변연의 두께에 대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자동 형성된 의치 변연을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통해 변연이 수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최종 완성된 의치 변연이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Postdam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가 식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Postdam의 측방 한계 위치가 식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중 구개부의 형상에 따른 위치와 형상으로 Postdam이 자동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수행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시적인 6개의 기준점 이동 UI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기준점 이동 UI를 이용하여 Postdam의 형상이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7의 수행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시적인 4개의 인디케이터 UI를 더 도시한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인디케이터 UI를 이용하여 Postdam의 형상이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인디케이터 UI를 이용하여 깊이가 조정될 때에도 3D 모델상에 반영되는 Postdam 형상은 라운드(round) 처리를 통해 곡면으로 처리되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to help understanding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an target of 3D scan data obtain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 denture bo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3D model referenc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automatic formation of the margins of the maxillary edentulous full dentur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sagittal plane of the palate referred to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anterior surface of the palate referred to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the sagittal shape and the frontal shape of the palate are reflected in the automatic formation of the margin of the full dentur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iterion for automatically forming the posterior margin of the mandibl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1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the edentulous denture margin is automatically formed by reflecting the shape of the frenum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15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data on the thickness of the margin of the dentur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limb is manually adjusted through a UI (User Interface) for manually adjusting the automatically formed denture limb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ure 18 shows a screen on which the final completed denture margin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5 is displayed.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ostdam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 Postd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forward limit position of a Postdam i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
2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lateral limit position of a Postdam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
23 to 26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forming a postdam with a position an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late among the meth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
27 is a flowchart of a 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shows exemplary six reference point movement U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FIG. 27 .
29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hape of the postdam is adjusted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I of FIG. 28 .
FIG. 30 further illustrates exemplary four indicator U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FIG. 27 .
FIG. 31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hape of a Postdam is adjusted using the indicator UI shown in FIG. 30 .
FIG. 3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Postdam shape reflected on the 3D model is processed as a curved surface through round processing even when the depth is adjusted using the indicator UI shown in FIG. 30 .
33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device in which a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ublish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를 포함하며, 몇몇 실시예에서 3D 스캐너(10) 및 총의치 제작 장치(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00 as shown in FIG. 1 , and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3D scanner 10 and the full denture manufacturing device 20 is further added may include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00 may be a computing device.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3D 스캐너(10)로부터 무치악 환자의 인상체의 스캔 데이터를 직접 제공받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인상체의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형의 모델을 가리키는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3D 모델은 무치악 환자의 상악 3차원 모델(인상체가 상악을 채득한 것인 경우) 또는 하악 모델(인상체가 하악을 채득한 것인 경우)일 것이다. 또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3D 스캐너(10)로부터 무치악 환자의 상악 모형 또는 하악 모형의 스캔 데이터를 직접 제공받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또는 상기 하악 모델을 3D 스캐너(1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receives the scan data of the impression body of the edentulous patient directly from the 3D scanner 10 or through a network. 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3D model indicating a positive model by using the scan data of the impression body. The generated 3D model may be a 3D model of the maxilla of an edentulous patient (when the impression is obtained from the upper jaw) or a mandible model (when the impression is obtained from the mandible). Also, 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may receive scan data of the maxillary model or the mandibular model of the edentulous patient directly from the 3D scanner 10 or may receive it through a network. That is, 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may receive the 3D model of the maxilla or the model of the mandible from the 3D scanner 10 .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제공받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에 정확하게 적합 되는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작 데이터를 총의치 제작 장치(20)에 직접 송신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총의치 제작 장치(20)는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기반의 제작 장치로서, 예를 들어 3D 프린터일 수 있다. 물론,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가 하악 모델을 제공받는 경우,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00 is provided with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generates data for manufacturing a maxillary full denture that is accurately fitted to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roduction data directly to the total denture manufacturing device 20 Or,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The complete denture manufacturing apparatus 20 is a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M)-base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y be, for example, a 3D printer. Of course, when 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receives the mandibular model, it generates manufacturing data for manufacturing the mandibular full denture.

이해를 돕기 위해, 총의치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총의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열과 이에 관련된 구조물들을 대체하는 가철성 치과 보철물이다. 총의치를 장착하게 됨으로써 음식의 저작, 심미 기능 회복, 발음의 회복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잔존 치아가 모두 결손된 무치악에서 안정과 유지를 얻어야 하므로, 다른 보철물에 비하여 매우 불리한 여건의 보철물이다.For better understanding, the full den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A full denture is a removable dental prosthesis that replaces the anterior teeth of the maxilla or mandible and related structures. By installing full dentures, effects such as mastication of food, restoration of aesthetic function, and restoration of pronunciation can be obtained. However, since stability and maintenance must be obtained from the edentulous jaw in which all remaining teeth are missing, it is a prosthesis in a very unfavorable condition compared to other prostheses.

도 2에서 A는 인공치, B는 의치상, C는 점막면, D는 연마면, E는 변연을 가리킨다. 의치상에는 인공치가 부착되고, 의치상의 순측면으로서 치조제와 입술 사이의 공간에 적합되는 것이 E로 표시된 변연이다. 변연이 정확하지 않으면, 변연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이는 의치가 쉽게 탈락하는 한 요인이 된다. 즉, 무치악 환자의 입안 내부 형상을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변연이 형성되는 것이 총의치의 빈번한 탈락 방지를 위하여 중요한 것이다. 특히, 상악의 총의치는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탈락되기 더 쉬우므로, 변연이 정확하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In Fig. 2, A denotes an artificial tooth, B denotes a denture base, C denotes a mucosal surface, D denotes a polished surface, and E denotes a margin. An artificial tooth is attached to the denture base, and the labial side of the denture base is the margin marked with E that fits into the space between the alveolar ridge and the lips. If the margins are not correct, air will be drawn through the margins, which is one factor that causes the dentures to fall out easily. That is, it is important to prevent frequent drop-out of the full denture for the margin to be formed to accurately reflect the shape of the mouth of the edentulous patient. In particular, since the full denture of the maxilla is more likely to fall out due to the effect of gravity,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margin is accurately formed.

변연의 정확한 형성과 함께 상악 총의치의 탈락 방지에 중요한 것은, Postdam이다. Postdam은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 상에 형성되며 후구개 경계폐쇄라 불린다. 상기 Postdam은, 연구개와 경구개 사이에 있는 연조직에 생리학적 한계내의 압박을 주어서 상악 총의치와 구개면 사이의 완전한 폐쇄를 유지함으로 의치 유지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Postdam은, 부수적으로 의치 하방으로 음식물 잔사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구토를 줄여 줄 수 있다.Postdam is important for correct formation of margins and prevention of dislodging of maxillary full dentures. Postdam is formed on the mucosal surface of the maxillary common denture and is called retropalatal occlusion. The Postdam, by applying pressure within the physiological limits to the soft tissue between the soft palate and the soft palate, helps to improve denture retention by maintaining a complete occlusion between the maxillary full denture and the palatal surface. In addition, the Postdam can, incidentally, prevent food residues from entering under the denture and reduce vomit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상악 총의치의 탈락 가능성이 하악 총의치 대비 더 높은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악 총의치의 변연을 정확하게 형성해 주어야 하고,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 후방에 형성되는 Postdam을 정확한 위치에 적절한 형태로 형성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악 총의치와 관련된 설명의 적어도 일부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이상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ossibility of the maxillary total denture falling out due to the effect of grav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mandibular total denture. It must be formed in an appropriate form. Hereinafter,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manufacturing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will be mainly described.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t least a part of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maxillary complete denture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ndibular complete denture unless there is a special reason.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소프트웨어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상악 총의치의 변연 및 Postdam의 정확한 위치 및 형상을 산출한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을 분석하여,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에 적합한 상악 총의치의 변연(border)을 자동으로 형성한다.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에 대하여 그 위치를 수동 조정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exact position and shape of the margin and Postdam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by performing software logic. 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analyzes the maxillary 3D model, and automatically forms a border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suitable for the maxillary 3D model.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00 may provide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manually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utomatically formed margin.

또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상기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Postdam을 상기 상악 총의치의 3D 모델 상에 자동으로 반영한다. 종래의 상악 총의치 제작 과정에서 의치상에 Postdam을 형성해 주기 위하여는 상악 모형에 Postdam 형상을 치과용 조각도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형성시켜 줘야 했는데, 모형을 제작하지 않는 모델리스(modeless) 방식의 총의치 제작을 수행하더라도, 3D 모델 상에서 Postdam 형상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Postdam이 형성된 상악 총의치의 의치상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automatically reflects the Postdam on the 3D model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based on the positions of at least some of the automatically formed margins. In order to form a postdam on the denture in the conventional maxillary full 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the postdam shape on the maxillary model had to be manually formed using a dental sculpt, etc. Even if performed, by forming a Postdam shape on the 3D model, a denture base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in which the Postdam is formed can be manufactured.

또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자동으로 형성된 Postdam을 대상으로 수동으로 위치 및 형상을 조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enture design apparatus 100 may provide a GUI for manually adjusting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즉,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는 3D 스캐너(10)로부터 제공된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악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방식으로 생성된 변연 및 Postdam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경험에 따른 세밀한 조정을 위한 수동 조정 GUI를 변연의 조정 및 Postdam의 조정의 용도로 각각 제공함으로써, 제작되는 총의치 의치상이 무치악 환자에 정확하게 적합 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00 recommends the limbic and Postdam generated in an automated manner using the maxillary 3D model generated using the scan data provided from the 3D scanner 10 to save the user's time.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a manual adjustment GUI for fin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user's experience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margins and adjusting the Postdam, respectively, the manufactured full denture base is accurately suited to the edentulous patient.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자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100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through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치 제작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ll operations constituting 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one computing device or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The compu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computer, or a tablet.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may be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n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omitte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the computing device.

단계 S100에서, 스캔 데이터를 얻는다. 상기 스캔 데이터는 무치악 환자의 상악 인상체를 3차원 스캔한 결과 데이터이거나, 무치악 환자의 상악 모형을 3차원 스캔한 결과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0에서, 의치의 변연이 될 경계선을 상기 스캔 데이터로 생성된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으로 생성한다. 도 4는 무치악 환자의 상악 모형(30) 상에 변연(30a)이 자동으로 형성된 결과와, 무치악 환자의 상악 인상체(31) 상에 변연(31a)이 자동으로 형성된 결과를 도시한다.In step S100, scan data is obtained. The scan data may be data as a result of a three-dimensional scan of the maxillary impression of an edentulous patient, or data as a result of a three-dimensional scan of a model of the maxilla of an edentulous patient. Next, in step S200, a boundary line to be the margin of the denture is automatically generated on the maxillary 3D model generated from the scan data. 4 shows a result of automatically forming the margin 30a on the maxillary model 30 of an edentulous patient and a result of automatically forming the margin 31a on the maxillary impression 31 of an edentulous patient.

도 4에 도시된 변연(30a, 31a)은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다.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은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변곡점은 3D 모델에서의 높이를 비교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후방 변연은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구개소와를 연결한 선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변연의 자동 형성 방법 관련하여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margins 30a and 31a shown in FIG. 4 are the margins of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rear margins. The margins of the rest except for the posterior margin can be obtained by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s that occur when passing the oral vestibule from the labial and buccal ridges. The inflection point may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heights in the 3D model. The posterior margin can be obtained using a line connecting the hamular notch and the palatine fossa. A method of automatically forming a margi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like.

단계 S300에서, 의치의 후방 변연과 구개부의 형상 등을 이용하여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Postdam을 자동으로 형성한다. Postdam의 자동 형성 방법 관련하여도 도 20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step S300, a postdam is automatically formed on the maxillary 3D model using the shape of the posterior margin of the denture and the palate. A method of automatically forming a postdam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0 and the like.

단계 S400에서, 자동으로 형성된 Postdam에 대한 수동 조정이 수행된다. 상기 수동 조정을 위하여 Postdam의 기능 및 형상에 특화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Postdam의 수동 조정 방법 관련하여도 도 27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step S400, manual adjustment for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performed. For the manual adjustment, a GUI specialized for the function and shape of Postdam may be provided. The manual adjustment method of the Postdam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7 and the like.

단계 S500에서,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 및 상기 자동으로 형성된 후 수동 조정이 수행된 Postdam을 가지는 총의치를 CAM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가 생성되고 제작 장치에 상기 생성된 데이터가 출력된다.In step S500, data for manufacturing a full denture having an automatically formed margin and a postdam that has been automatically formed and then manually adjusted is generated by the CAM method, and the generated data is output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연 자동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연 자동 형성 방법 역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연 자동 형성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포함된 단계 S2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 marg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automatic margin 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All operations constituting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 marg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one computing device or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The compu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computer, or a tablet.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may be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n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omitte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the computing devic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to correspond to step S200 included in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단계 S210에서,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은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변곡점은 3D 모델에서의 높이를 비교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상악 모형의 모델(30)에서는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가장 깊은 곳을 연결한 선(30a)을 얻음으로써,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 얻어질 수 있고, 도 4의 상악의 인상체의 모델(31)에서는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가장 높게 튀어나온 변곡점을 연결한 선(31a)을 얻음으로써,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 얻어질 수 있다.In step S210, the margins of the rest except for the posterior margin may be obtained by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s generated when passing the oral vestibule from the labial and buccal ridges. The inflection point may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heights in the 3D model. For example, in the model 30 of the maxillary model of Fig. 4, by obtaining a line 30a connecting the deepest point that occurs when passing the oral vestibule from the labial and buccal alveolar ridges, the margins of the rest except for the posterior margin This can be obtained, and in the model 31 of the impression body of the maxilla of Fig. 4, by obtaining a line 31a connecting the highest protruding inflection point that occurs when passing the oral vestibule from the labial and buccal ridges, the posterior margin is obtained. The margins of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can be obtained.

후방의 변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변연이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은, 상악의 변연을 자동형성할 때 뿐만 아니라, 하악의 변연을 자동형성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점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at is obtained by connecting the inflection points that occur when the margins of the rest except for the posterior margin pass from the labial and buccal ridges to the oral vestibule are the same when automatically forming the margins of the maxilla as well as the margins of the mandible. You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what applies.

한편, 스캔 데이터가 상악 인상체를 스캔한 것이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제 순측 변곡점의 연결선(31a)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4mm의 여유를, 수직 방향으로 2mm의 여유를 각각 두어 양형의 3D 상악 3차원 모델(30a)이 얻어지고, 양형의 3D 상악 3차원 모델(30a)을 이용하여 무치악 총의치의 변연이 자동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양형의 3D 상악 3차원 모델(30a)은 수평 방향으로 4mm 이상의 여유를, 수직 방향으로 2mm 이상의 여유를 각각 두어 얻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can data is a scan of the maxillary impression, as shown in FIG. 6 ,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31a of the labial inflection point of the alveolar, 4 mm of allow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2 mm of allow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laced respectively. A positive 3D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30a is obtained, and the margin of the edentulous full denture may be automatically formed using the positive 3D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30a. In some embodiments, the positive 3D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30a may be obtained with an allowance of 4 mm or mo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llowance of 2 mm or mor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단계 S230에서, 후방 변연의 기준이 되는 좌우의 익돌상악절흔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 변연이 자동으로 형성된다. 상악 총의치의 후방 변연은 연구개에 닿는 부위이므로 너무 후방에 형성되면 이물감이 나타나 구역질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후방 변연이 너무 전방에 형성되면 상악 총의치의 유지 안정에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악 총의치의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물감이 나타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후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로직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step S230, the posterior margin is automatically formed using the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pterygoid maxillary notch marks, which are the reference points for the posterior margin. Since the posterior margin of the maxillary common denture is in contact with the soft palate, if it is formed too posteriorly, a foreign body sensation may appear and cause nausea. Conversely, if the posterior margin is formed too anteriorly, a problem occurs in maintaining stability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holding power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there is a need for a software-based logic that can be extended backward as much as possible within the limit that a foreign body does not appear.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B.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후방 변연은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일 수 있다.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은 후방 변연을 제외한 변연이 후방에서 끝나는 2곳의 위치인 바, 후방 변연을 제외한 변연의 자동 형성 결과를 이용하여 그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절치유두(38)가 위치한 시상면(Sigittal Plane)(32)을 따라, 전두면(33)을 후방(34)으로 이동해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 (36a, 36b)가 식별될 수 있다.7, the posterior margi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a lef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a), a righ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b), and two palatine fovea (36a, 36b). It may be a connecting line 37 . The lef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a) and righ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b) are two positions where the margin except for the posterior margin ends at the rear. can be In addition, along the sagittal plane (32) where the incisal papilla (38) is located, the frontal surface (33) is moved to the rear (34) and the frontal split image is analyzed and dented below the specified width and depth. Two palates (36a, 36b) can be identified.

몇몇 실시예에서, 절치유두(38)가 위치한 시상면(32)에서 정중구개융기(미도시)가 식별되면, 정중구개융기가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전두면(33)을 후방(34)으로 이동해가면서 전두면 분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지정된 폭 및 깊이 이하로 움푹 파인 2개의 구개소와 (36a, 36b)가 식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치유두(38)의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 대비 구개소와의 위치를 보다 빠르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mid-palatal elevation (not shown) is identified in the sagittal plane 32 where the incisal papilla 38 is located, the anterior surface 33 moves backward 34 from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elevation ends. By analyzing the two-sided segmented image, the two palates and (36a, 36b) dented below the specified width and depth may be identified. In this case, compared to moving back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incisal nipple 38, the effect of being able to identify the position with the palatine more quickly is obtained.

몇몇 실시예에서, 상악 3차원 모델의 형상을 분석하여 구개부 형태가 판정되고, 상기 판정된 구개부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 변연이 조정될 수 있다.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과 상악의 구개부가 서로 닿는 부위이므로, 구개부의 형태와 무관하게 항상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을 후방 변연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악 총의치의 유지력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shape of the palate may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shap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and the posterior margin may be adjusted using the determined shape of the palate. Since the mucosal surface of the maxillary common denture and the palatine part of the maxill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palate, the lef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a), the right maxillary notch (35b) and the two palatine fovea ( Determining the line 37 connecting 36a and 36b as the posterior margin is because the holding force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may be weakene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B.

도 8은 시상면에서의 구개부 형태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치유두(38)로부터 구개소와(36a, 36b)까지의 상악 3차원 모델(30)을 4등분 하여, 1/4 지점(39a), 2/4 지점(39b) 및 3/4 지점(39c)이 이루는 제1 각도가 145도 미만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급경사(Steep) 형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각도가 145도 이상 170도 미만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경사진(Mildly Inclined) 형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각도가 170도 이상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편평한(Flat) 형으로 구분된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shape of the palate in the sagittal plane. As shown in Figure 8, by dividing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30 from the incisor papilla 38 to the palatine and palate (36a, 36b) into quarters, 1/4 point (39a), 2/4 point (39b) ) and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3/4 point 39c is less than 145 degrees, the palate shape is divided into a steep type, and when the first angle is 145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170 degrees, the palate part The shape is classified as a Mildly Inclined type, and when the first angle is 170 degrees or more, the shape of the palate is divided into a flat type.

도 9는 전두면에서의 구개부 형태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중구개봉합선(42)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41a, 41b)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43a, 43b)과 정중구개봉합선(42)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시상면의 2/4 지점(39b)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60도 이상이고, 시상면의 3/4 지점(39c)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50도 이상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U-shape(44a)으로 구분되고, 시상면의 2/4 지점(39b)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초과 160도 미만이고, 시상면의 3/4 지점(39c)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초과 150도 미만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O-shape(44b)으로 구분되며, 시상면의 2/4 지점(39b)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30도 이하고, 시상면의 3/4 지점(39c)에서의 상기 제2 각도가 140도 이하인 경우, 상기 구개부 형태는 V-shape(44c)으로 구분될 수 있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shape of the palate in the frontal plane.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formed by the mid-palatal suture 42 and the mid-palatal suture 42 and the mid-palatal suture 42 at the points 43a and 43b divided by half between the alveolar peaks 41a, 41b. Based on the angle, when the second angle at the 2/4 point 39b of the sagittal plane is 160 degrees or more, and the second angle at the 3/4 point 39c of the sagittal plane is 150 degrees or more, the The palatine shape is divided into a U-shape 44a, the second angle at 2/4 point 39b of the sagittal plane is greater than 130 degrees and less than 160 degrees, and at 3/4 point 39c of the sagittal plane When the second angle of is greater than 140 degrees and less than 150 degrees, the palate shape is divided into an O-shape 44b, and the second angle at 2/4 point 39b of the sagittal plane is 130 degrees or less, and , when the second angle at the 3/4 point 39c of the sagittal plane is 140 degrees or less, the palate shape may be divided into a V-shape 44c.

상기 구개부 형태가 급경사 형과 V-shape인 경우라면, 구개 경사가 심함을 뜻한다. 이 경우, 진동선(vibrating line)의 떨림이 심하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후방 변연이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 보다 2mm 전방(37a-1)의 선(37a)으로 조정될 수 있다.If the shape of the palate is a steep slope type and a V-shape, it means that the palatine slope is severe. In this case,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line is severe. Therefor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posterior margin is 2 mm anterior than the line 37 connecting the lef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a), the righ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b) and the two palatine fovea (36a, 36b). It can be adjusted by line 37a of (37a-1).

상기 구개부 형태가 경사진 형과 O-shape인 경우라면, 구개 경사가 평균 수준임을 뜻한다. 이 경우, 후방 변연이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에서 조정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shape of the palate is inclined and O-shape, it means that the palatal inclination is at an average level. In this case, the posterior margin may not be adjusted at the line 37 connecting the lef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a and the righ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b and the two palatine fovea 36a, 36b. .

상기 구개부 형태가 편평한 형과 U-shape인 경우라면, 구개 경사가 완만함을 뜻한다. 이 경우, 후방 변연이 좌측 익돌상악절흔(35a)과 우측 익돌상악절흔(35b)과 2개의 구개소와(Palatine Fovea)(36a, 36b)를 잇는 선(37)보다 2mm 후방(37a-2)의 선(37b)로 조정될 수 있다.If the shape of the palate is a flat shape and a U-shape, it means that the palatal inclination is gentle. In this case, the posterior margin is 2 mm posterior to the line 37 connecting the lef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a), the right pterygoid maxillary notch (35b) and the two palatine fovea (36a, 36b) 2 mm posterior (37a- It can be adjusted by the line 37b of 2).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설명한다. 단계 S220 및 단계 S230을 참조하여 상악의 총의치 변연을 자동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하악의 총의치 변연 중 단계 S210에서 생성되지 않은 후방 변연이 단계 S240에서 생성된다. 하악의 후방 변연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Returning to FIG. 5 again, description will be made. A method of automatically forming the margin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teps S220 and S230. Next, the posterior margin not generated in step S210 among the margins of the full denture of the mandible is generated in step S240. A method of generating the posterior margin of the mandi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상악 모델의 후방에는 좌우측 익돌상악절흔이 식별되어 상악 후방 변연의 생성 기준이 식별되는 반면, 하악의 인상체 후방에는 변곡점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하악의 인상체를 그대로 3D 모델로 생성하게 되면, 하악의 후방 변연을 자동 형성하기 위한 기준점이 식별되기 어렵다.In the rear of the maxillary model, left and right pterygoid maxilla are identified to identify the generation standard of the maxillary posterior margin, whereas inflection points are not formed behind the impression of the lower jaw.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reference point for automatically forming the posterior margin of the mandible.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3D 하악 모형을 생성할 때, 인상체의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변곡점 보다 2mm 또는 그 이상 만큼 수직 방향으로 높게, 4mm 또는 그 이상 만큼 수평 방향으로 더 넓게 3D 모형을 생성함으로써, 하악의 후방 변연을 자동 형성하기 위한 기준점으로서의 변곡점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Thus, in some embodiments, when generating a 3D mandible model, a vertical direction by 2 mm or more, a horizontal direction by 4 mm or more above the inflection point that occurs when passing the oral vestibule from the labial, buccal ridge of the impression. By creating a wider 3D model as a posterior margin of the mandible, the inflection point as a reference point for automatically forming the posterior margin of the mandible can be identified by software.

도 11에 도시된 것은 예시적인 3D 하악 모델이다. 도 11의 우측 방향이 하악의 후방 방향이고, 도 11에는 인상체의 후방 말단 위치에, 2mm 만큼 높은 장벽이 형성된 3D 하악 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벽은 후술할 변곡점의 형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3D 모델상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장벽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장벽과 상기 인상체의 후방 말단 사이의 변곡점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면서 상기 3D 하악 모델의 높이가 낮아지다가 어느 지점에서 높아지게 되면, 그 지점이 상기 변곡점인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Shown in FIG. 11 is an exemplary 3D mandible model. The right direction in FIG. 11 is the posterior direction of the mandible, and FIG. 11 shows a 3D mandible model in which a barrier as high as 2 mm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impression body. The barrier is artificially formed on the 3D model to form an inflection poi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forming the barrier, the inflection point between the barrier and the rear end of the impression body can be identified by software.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3D mandible model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increases at a certain point, the point may be identified as the inflection point.

상기 변곡점의 식별 결과를 이용하여, 하악의 좌우측 말단에 위치한 후구치 삼각(Retromolar Pad)의 위치가 식별 될 수 있다. 그리고, 하악의 후방 변연은 상기 식별된 좌우측 후구치 삼각의 위치를 연결한 선으로 결정될 수 있다.Using the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inflection point, the position of the retromolar pad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ndible can be identified. And, the posterior margin of the mandible may be determined by a line connecting the positions of the identified left and right posterior molar triangles.

단계 S250에서, 상악의 총의치 변연을 자동 형성함에 있어서 소대(Frenum)가 자동으로 반영될 수 있다. 소대는 환자가 말을 하거나 입술을 움직이는 등의 행위를 할 때 움직이는 조직이기 때문에, 소대 부분을 덮도록 변연이 형성되면 의치의 탈락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소대 부분을 덮지 않도록 변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12에는 순 소대가 위치함에 따라 여유를 두어 변연이 형성된 것(48a)과, 협 소대가 위치함에 따라 여유를 두어 변연이 형성된 것(48b)이 도시되었다. 이를 위해, 치조제에 인접한 순 소대(Frenum) 및 협 소대가 식별되고, 상기 순 소대에 대하여 1mm의 여유를 두어 변연이 자동 형성되고(도 13 참조), 상기 협 소대에 대하여 2mm의 여유를 두어 변연이 자동 형성될 수 있다(도 14 참조). 협 소대에 대하여 설 소대 보다 여유를 잡은 것은, 협 소대가 설 소대 보다 더 넓은 운동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In step S250, the frenum may be automatically reflected in automatically forming the margin of the maxillary full denture. Since the platoon is a tissue that moves when the patient speaks or moves his lips, the denture may fall off if the margin is formed to cover the plato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rgin is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platoon portion. 12 shows that the margin is formed with a margin as the forward platoon is positioned (48a), and that the margin is formed with a margin as the narrow platoon is positioned (48b) are shown. For this purpose, the frenum and narrow follicle adjacent to the alveolar ridge are identified, the margin is automatically formed by leaving a margin of 1 mm with respect to the labrum (refer to FIG. 13), The margin may be automatically formed (see FIG. 14 ). The reason that the narrow platoon has more room than the tongue platoon is because the narrow platoon has a wider range of motion than the tongue platoon.

단계 S260에서, 변연 부분의 두께 정보가 생성된다. 이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악 3차원 모델의 치조제 정상에서 순측 방향 외면 상에 형성된 제1 변곡점(49a), 제2 변곡점(49b) 및 제3 변곡점(49c)이 참조되어 설명된다. 제1 변곡점(49a)은 순, 협측 치조제로부터 구강 전정을 지날 때 생기는 가장 깊은 곳을 가리킨다. 또한, 순측 치조제에서 입술 사이로 상악 3차원 모델의 외면을 이동하게 되면, 깊어지던 것이 제1 변곡점(49a)을 기준으로 얕아지게 된다. 제2 변곡점(49b)은 상악 3차원 모델의 최외곽점이다. 제3 변곡점(49c)은 순측 치조제 상의 상악 3차원 모델 외면이 휘어진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이다.In step S260, thickness information of the marginal portion is generat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6 .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the second inflection point 49b, and the third inflection point 49c formed on the labi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alveolar ridg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indicates the deepest point that occurs when passing the oral vestibule from the labial and buccal ridges. In addition,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maxillary 3D model is moved between the lips in the labial alveolar ridge, the deep one becomes shallower based on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The second inflection point 49b is the outermost point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The third inflection point 49c is an inflection point at which the curved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on the labial ridge changes.

변연의 두께(53)는 제1 변곡점(49a)과 제2 변곡점(49b)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또한, 변연의 말단 외곽선은 제1 변곡점(49a)과 제2 변곡점(49b) 사이의 상악 3차원 모델 외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연의 연마면 측 외곽선은 제1 변곡점(49a)과 제3 변곡점(49c) 사이의 상악 3차원 모델 외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53 of the margin is determined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49b. In addition, the distal end outline of the margin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maxillary 3D model between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49b. Also, the edge of the edge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maxillary 3D model between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and the third inflection point 49c.

몇몇 실시예에서, 도 16과 같이 변연 부분이 아닌 의치상 부분의 두께(53-1)는 2mm 내지 2.5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변연의 연마면 측 외곽선 상의 제3 변곡점(49c)에 대응되는 점(49c-1)부터 2mm 내지 2.5mm의 두께를 가진 의치상이 형성되도록 변연의 연마면 측 외곽선(50b-1)이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16 , the thickness 53 - 1 of the denture base portion other than the marginal portion may be set to 2 mm to 2.5 mm. At this time, from the point 49c-1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flection point 49c on the edge of the edge on the edge of the edge on the edge of the edge, the edge on the edge of the edge is formed with a denture base having a thickness of 2mm to 2.5mm (50b-1). can be formed.

변연 부분이 아닌 의치상 부분의 두께(53-1)가 특정 값이 아니라 일정 범위 내의 값이되는 이유는, CAM 소프트웨어에 따른 요구 두께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thickness 53-1 of the denture base portion, not the marginal portion, is within a certain range rather than a specific value is to respond to a difference in thickness required according to CAM software.

단계 S270에서, 자동 완성된 변연 및 그 두께가 변연 수동 조정 UI를 통해 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연 수동 조정 UI는 전두면인 기준선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준선에서의 치조제의 외곽 변곡점인 제1 변곡점(49a)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준선에서의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최외곽점인 제2 변곡점(49b)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270, the automatically completed margin and its thickness are adjusted through the marginal manual adjustment UI.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 17, the marginal manual adjustment UI moves the first user interface for moving the frontal reference line forward or backward, and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which is the outer inflection point of the alveolar in the reference line. and a third user interface for moving a second inflection point 49b that is an outermost point of the maxillary 3D model in the reference line.

상기 기준선에 따른 전두면 상 높이 선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고, 제1 변곡점(49a) 및 제2 변곡점(49b)은, 상기 높이 선 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변곡점(49a)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형성된 변연과 상기 변연의 두께가 조정될 것이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변곡점(49b)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변연 자체는 변경되지 않고 상기 변연의 두께만 조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7의 아래 그림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된 제1 변곡점(49a-1)을 도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좌측 후방의 변연은 구개측으로 이동하고, 좌측 후방의 변연은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조정될 것이다.A height line on the front surface along the reference line is shown as shown in FIG. 17 , and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49b may be moved left or right above the height line. If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through the second user interface, the automatically formed edge and the thickness of the edge will be adjusted,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49b is moved through the third user interface In this case, the margin itself will not be changed, only the thickness of the margin will be adjusted. For example, the figure below of FIG. 17 shows the first inflection point 49a - 1 moved to the right through the second user interface. By this user input, the left rear margin will move to the palatal side, and the left rear margin will be adjusted to thicken its thickness.

도 18은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을 거쳐 최종 완성된 상악 총의치 영역이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는 화면이 사용자에 제공되는 점을 도시한다.18 illustrates that a screen in which the maxillary full denture region finally completed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so far is overlaid on the maxillary 3D model is provided to the user.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 역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자동 형성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포함된 단계 S3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Next, a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 Postd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 The automatic Postdam 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All operations constituting the automatic Postdam 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one computing device or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The compu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computer, or a tablet.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may be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n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omitte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the computing devic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to correspond to step S300 included in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상술한 바와 같이, 상악 총의치의 후방 점막면 상에 형성되는 Postdam은 구개면과 상기 상악 총의치의 점막면 사이의 완전한 폐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악 총의치의 유지력을 증가시킨다. 도 19에는 상악의 후구개 측에 Postdam(55)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Postdam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자동 형성되는 방법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stdam formed on the posterior mucosal surface of the maxillary common denture increases the holding force of the maxillary common denture by maintaining a complete occlusion between the palatal surface and the mucosal surface of the maxillary common denture. 19, it is shown that the Postdam (55) is formed on the posterior palatine side of the maxilla. A method of automatically forming such a Postdam in softwa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

단계 S310 내지 단계 S330에서 Postdam의 전방, 측방, 후방 한계 위치가 각각 식별된다.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는 정중구개융기의 후방 2mm 이격 지점일 수 있다.In steps S310 to S330, the forward, lateral, and rear limit positions of the Postdam are identified, respectively. The anterior marginal position of the postdam may be 2 mm posterior to the mid-palatal eminence.

도 21에는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Frontal Plane)(57-2)으로부터 2mm 후방(57-3)의 상기 전방 한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정중구개융기(56)가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끝나는 지점을 찾기 위해, 전두면 분할 이미지에 대한 분석이 최후방면(57-1)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진행될 수 있다.21 shows the anterior marginal position 2 mm posterior 57-3 from the Front Plane 57-2 at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eminence 56 terminates. In order to find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eminence 56 ends in the anterior to posterior direction, the analysis of the frontal segmented image may proceed from the most posterior surface 57 - 1 toward the front.

정중구개융기(56)가 제2 소구치(미도시)의 위치까지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57-2)으로부터 3mm 후방(미도시)에 상기 전방 한계 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patient in which the mid-palatal protrusion 56 is formed posteriorly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emolar (not shown), 3 mm posteriorly (not shown) from the front surface 57-2 at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protrusion 56 ends The forward limit position may be formed in

몇몇 환자의 경우, 정중구개융기(56)가 후방으로 끝나는 지점이, 정상 대비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2mm 후방(57-3)이 Postdam의 상기 전방 한계 위치로 설정되면, Postdam 형성에 충분한 영역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57-2)으로부터 1mm 후방(미도시)에 상기 전방 한계 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patients,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eminence 56 ends posteriorly may be located posteriorly compared to normal. In this case, if the 2 mm rear 57-3 is set as the front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an area sufficient for postdam formation. In this case, the anterior limit position may be formed 1 mm posteriorly (not shown) from the front surface 57-2 of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eminence 56 ends.

요컨대, 정중구개융기(56)가 끝나는 지점의 전두면(57-2)으로부터 1mm 내지 3mm 후방이,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ostdam의 전방 한계 위치의 정중구개융기(56) 대비 이격 거리는, 정중구개융기(56)가 후방으로 끝나는 지점의 상악 내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방 한계 위치의 정중구개융기(56) 대비 이격 거리가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됨으로써, Postdam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불편함이나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In other words, 1 mm to 3 mm posterior from the front surface 57-2 of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eminence 56 ends, may be set as the anterior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position in the maxilla of the point where the mid-palatal elevation 56 ends posteriorly,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id-palatal elevation 56 of the anterior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is between 1 mm and 3 mm. will be able to determine By determin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edian palatal protrusion 56 of the anterior limit position in the range of 1 mm to 3 mm,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the feeling of discomfort or foreign body in the patient despite the formation of the postdam.

도 22에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로부터 2mm 구개측 방향의 Postdam 측방 한계 위치(59)가 도시된다. 잔존 치조제 기준선(58)은, 예를 들어 구개측 치조제의 각도가 구개측에서 순측으로 향하면서 점점 증가하다가 기준각도에 달하는 위치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잔존 치조제의 흡수가 적거나, 상악결절 부위가 구개측으로 과도하게 튀어나온 환자에 대하여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로부터 1mm 구개측 방향에 Postdam 측방 한계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치조제 흡수가 심각한 환자에 대하여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로부터 3mm 구개측 방향에 Postdam 측방 한계 위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22 shows the Postdam lateral limit position 59 in the palatal direction 2 mm from the residual ridge baseline 58 . Residual alveolar reference line 58, for example, the angle of the palatal-side alveolu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palatal side to the labial side, and may be formed by connecting positions reaching the reference angle. In some embodiments, for patients with low residual alveolar resorption or excessive palatal protrusion of the maxillary nodule, the Postdam lateral limit position may be set at 1 mm palatal direction from the residual alveolar baseline 58. . Also, in some embodiments, for patients with severe alveolar resorption, the Postdam lateral limit position may be set 3 mm palatal from the residual alveolar baseline 58 .

요컨대, 잔존 치조제 기준선(58)으로부터 1mm 내지 3mm 구개측 방향이, Postdam의 측방 한계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ostdam의 측방 한계 위치의 잔존 치조제 기준선(58) 대비 이격 거리는, 잔존 치조제 기준선(58)의 상악 내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측방 한계 위치의 잔존 치조제 기준선(58) 대비 이격 거리가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됨으로써, Postdam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불편함이나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In other words, 1 mm to 3 mm palatal direction from the residual alveolar baseline 58 may be set as the lateral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compared to the residual alveolar baseline 58 of the lateral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considering the relative position in the maxilla of the residual alveolar baseline 58, software logic can automatically determine in the range of 1 mm to 3 mm There will be. By determin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sidual alveolar baseline 58 of the lateral limit position in the range of 1 mm to 3 mm,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the feeling of discomfort or foreign body in the patient despite the formation of the postdam.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는, 구개소와의 위치보다 1mm 내지 3mm의 범위에서 결정된 이격 거리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선(vibration line)이 구개소와의 위치 대비 3mm 정도까지 후방에 위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가, 구개소와의 위치보다 3mm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동선(vibration line)이 구개소와의 위치 대비 1mm 후방까지 접근하여 위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가, 구개소와의 위치보다 1mm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The rear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may be set to be positioned rearward by a separation distance determined in the range of 1 mm to 3 mm from the position with the palate. For example, the vibration line (vibration line) can be located up to about 3mm rearward compared to the position with the palate. In this case, the rear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is set to be located 3mm rearward than the position with the palate. it could be In addition, the vibration line (vibration line) can be located close to 1mm rear compared to the position with the palate. In this case, the rear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can be set to be located 1 mm rearward than the position with the palate. There will be.

상기 Postdam의 후방 한계 위치의 구개소와 위치 대비 이격 거리는, 구개소와의 상악 내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진동선 위치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로직이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후방 한계 위치의 구개소와 대비 후방 이격 거리가 1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됨으로써, Postdam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발성에 따른 진동에 따른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palatine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limit position of the Postdam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y software logic in the range of 1mm to 3mm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position in the maxilla with the palatine, or based on the vibration line position input from the user , the software logic may automatically determine it. By determining the posterior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alatine at the posterior limit position in the range of 1 mm to 3 mm,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the feeling of a foreign body sensation due to vibration by the patient despite the formation of the postdam.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S340에서, Postdam이 상기 전방 한계 위치, 상기 측방 한계 위치 및 상기 후방 한계 위치를 고려한 위치에서 생성되되, 구개부의 형태를 반영한 위치 및 형상으로 자동 형성된다. 상기 구개부의 형태는 전두면 형태 및 시상면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전두면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 및 상기 시상면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을 참조한다.Referring back to FIG. 20 , in step S340, a postdam is created at a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nterior limit position, the lateral limit position, and the posterior limit position, and is automatically formed in a position and shape reflecting the shape of the palate. The shape of the palate includes both an anterior plane shape and a sagittal plane shape. For a method of discriminating the frontal plane shape and a method of discriminating the sagittal plane shape, reference is made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

도 23은 단계 S34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상면 형태가 급경사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V-Shape인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2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이 자동 형성된다(S341). 도 24에는 V자 형상의 Postdam(60)이 구개소와 2mm 전방에 자동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급경사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V-Shape인 경우 구개 경사가 심하여 진동선의 떨림이 심하므로, Postdam 또한 진동선의 떨림을 피해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폭도 좁은 것이 바람직한 점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34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3 , when the sagittal plane shape is steep and the frontal plane shape is V-Shape, the posterior boundary of the Postdam is located 2 mm in front of the palatine, an anterior-posterior width of 2 mm and 2 mm The postdam is automatically formed to have a maximum depth of (S341). 24, it is shown that the V-shaped Postdam (60) is automatically formed in front of the palate and 2 mm. When the sagittal shape is steeply inclined and the frontal shape is V-Shape, the palatal inclination is severe and the vibration of the oscillation line is severe. It can be understood as reflected.

또한, 상기 시상면 형태가 경사진(Mildly Inclined)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O-Shape인 경우, 상기 구개소와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4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이 자동 형성된다(S342). 도 25에는 나비 형상의 Postdam(60)이 구개소와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경사진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O-Shape인 경우 구개 경사가 보통이고 진동선의 떨림도 보통 정도이므로, Postdam 또한 진동선의 보통 정도의 떨림을 감당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sagittal shape is an inclined (Mildly Inclined) type, and the frontal surface shape is O-Shape, the posterior boundary of the Postdam is located in the palatine fossa, an anterior-posterior width of 4 mm and a maximum depth of 2 mm The Postdam is automatically formed so as to have it (S342). 25 shows that the butterfly-shaped Postdam 60 is automatically formed based on the palate and position. When the sagittal shape is inclined and the frontal shape is O-Shape, the palatal inclination is normal and the vibration line is moderate, so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ostdam is also formed to handle the moderate vibration of the vibration line. will be.

상기 시상면 형태가 편평한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U-Shape인 경우, 상기 구개소와 보다 2mm 후방에 상기 Postdam의 후방 경계가 위치하고, 6mm의 전후방 폭과 2mm의 최대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Postdam이 자동 형성된다(S343). 도 26에는 나비 형상의 Postdam(60)이 구개소와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편평한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U-Shape인 경우 구개 경사가 완만하고 진동선의 떨림이 약하므로, Postdam 또한 이에 맞추어 그 기능이 최대한 강화될 수 있도록 넓은 영역에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sagittal shape is flat and the frontal shape is U-Shape, the posterior boundary of the Postdam is located 2 mm posterior to the palate, and the Postdam has an anterior-posterior width of 6 mm and a maximum depth of 2 mm. This is automatically formed (S343). 26 shows that the butterfly-shaped Postdam 60 is automatically formed based on the palate and position. When the sagittal shape is flat and the frontal shape is U-Shape, the palatal inclination is gentle and the vibration of the oscillation line is weak. There will be.

다음으로,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역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ostdam 수동 조정 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동작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등 개인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의치 디자인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동작의 수행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포함된 단계 S4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Next, a 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7 . The 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All operations constituting the Postdam manual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one computing device or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The compu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computer, or a tablet.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may be the digital denture design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n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omitte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subject performing each operation is the computing devic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to correspond to step S400 included in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단계 S410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자동 형성된 Postdam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은 상악 3차원 모델의 대응되는 위치에 오버레이 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In step S410, a Postdam automatically form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display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8 ,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may be displayed overlaid on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xillary 3D model.

단계 S420에서, Postdam 수동 조정 GUI가 디스플레이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작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 및 상기 상악 3차원 모델과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step S420, the Postdam manual adjustment GUI is displayed. In some embodiments, to increase the intuitiveness of operation, the Postdam manual adjustment GUI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and the maxillary 3D mod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stdam manual adjustment GUI is a six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Postdam's anterior central reference point, anterior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anterior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and posterior reference point (UI).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후방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좌측 측방 기준점과 상기 우측 측방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ostdam manual adjustment GUI includes a first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rear reference point from the baseline, and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width from the baseline. ) and a secon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depth thereof, and a third indicator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UI) and a thir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and the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Postdam 수동 조정 GUI는 상기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지 상기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ostdam manual adjustment GUI may include all of the six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s (UIs) and the first to fourth indicator user interfaces.

단계 S430에서 상기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Postdam의 형상이 조정된다.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step S430, the shape of the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six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s.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8 to 29 .

도 28에 도시된 전방 중앙 기준점(61),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62-2),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좌측 측방 기준점(63-2), 우측 측방 기준점(63-1) 및 후방 기준점(64) 모두 드래그 등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그 위치가 이동되고 그에 따라 Postdam(60)의 형상도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6개의 Postdam 형상 기준점(61, 62-1, 62-2, 63-1, 63-2, 64)의 조합에 의하여 대부분의 적용 가능한 범위 내의 Postdam 형상이 표현될 수 있다.28,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61,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62-2,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62-1, the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63-2, the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63-1 and The positions of all of the rear reference points 64 are moved through a user input such as dragging, and the shape of the Postdam 60 may be adjusted accordingly. By a combination of these six postdam shape reference points 61, 62-1, 62-2, 63-1, 63-2, 64, a postdam shape within most applicable ranges can be expressed.

몇몇 실시예들에서, 기준점들(61, 62-2, 62-1, 63-2, 63-1, 64)에 인접한 영역을 드래그할 때에도, 기준점들(61, 62-2, 62-1, 63-2, 63-1, 64)에 대한 드래그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정교하지 않은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도 사용자의 의도에 충실한 UI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some embodiments, even when dragging an area adjacent to the fiducial points 61, 62-2, 62-1, 63-2, 63-1, 64, the fiducial points 61, 62-2, 62-1, Of course, it can be processed as a drag input to 63-2, 63-1, and 64).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UI feedback faithful to the user's intention can be provided even for an inexact user input.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기준점들(61, 62-2, 62-1, 63-2, 63-1, 64)에 인접한 소정 범위 내의 특정 위치를 클릭하는 경우, 최근점 기준점이 클릭 위치로 이동하는 UI 피드백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Further, in some embodiments, when a specific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djacent to the reference points 61 , 62-2, 62-1, 63-2, 63-1, 64 is clicked, the closest reference point is the click position. Moving UI feedback may be provided.

도 29는 비대한 정중구개융기(56)를 고려하여,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62-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62-1)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중구개융기(56)와 Postdam의 전방 사이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한 결과를 도시한다.29 shows the mid-palatal elevation 56 by moving the anterior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62-2 to the left and moving the anterior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62-1 to the right in consideration of the enlarged mid-palatal elevation 56. ) and the result of securing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Postdam.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62-2),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좌측 측방 기준점(63-2) 및 우측 측방 기준점(63-1) 모두 자유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나, 전방 중앙 기준점(61) 및 후방 기준점(64)은 전후방 방향의 이동만 가능할 수 있다.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62-2,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62-1, the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63-2, and the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63-1 are all movable in the free direction, but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 61)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64 may be moved on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 때, 전방 중앙 기준점(61)은 정중구개융기(56)와 2mm 이상의 간격이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Postdam(60)이 정중구개융기(56)와 2mm 이하로 가까워지면 환자가 통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후방 기준점(64)은 의치의 후방 변연을 넘어서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변연은 구개부의 형태를 반영하여 그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결과적으로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이동 한계 역시 구개부의 형태를 반영하여 그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nterior central reference point 61 must always be maintained at a distance of 2 mm or more from the mid-palatal protrusion 56. This is because the patient may feel pain when the postdam (60) is close to the mid-palatal elevation (56) by 2 mm or less. Also, the posterior fiducial point 64 cannot move further posteriorly beyond the posterior margin of the den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posterior margin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shape of the palate, as a result,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64 is also automatically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shape of the palate.

즉, 상기 시상면 형태가 급경사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V-Shape이면,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2mm 전방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시상면 형태가 경사진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O-Shape이면,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위치로 세팅 될 것이다. 상기 시상면 형태가 편평한 형이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U-Shape이면, 후방 기준점(64)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2mm 후방이 될 것이다.That is, if the sagittal plane shape is steep and the frontal plane shape is V-Shape,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64 will be 2 mm anterior to the palate on the maxillary 3D model. In addition, if the sagittal plane shape is inclined and the frontal plane shape is O-Shape,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64 will be set to the palatine and position on the maxillary 3D model. If the sagittal shape is a flat shape and the frontal plane shape is a U-Shape,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64 will be 2 mm posterior to the palate on the maxillary 3D model.

다음으로,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방 중앙 기준점(61)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거나(S440), 전방 좌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62-2)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거나(S450), 좌우측 측방 기준점(63-1, 63-2)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거나(S460), 후방 기준점(64)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66) 및 깊이(67)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동작(S470)이 수행된다.Next,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four indicator user interfaces,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66 and the depth 67 from the reference line of the front central reference point 61 is adjusted (S440), or the front left and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s 62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66 and the depth 67 from the reference line of -1 and 62-2 is adjusted (S450), or the distance 66 of the left and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s 63-1 and 63-2 from the reference line and at least one of the depth 67 is adjusted (S460), or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66 and the depth 67 from the reference line of the rear reference point 64 is adjusted (S470).

도 30에는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조정되는 거리(66)의 기준이 되는 기준선(68)은 좌우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을 연결한 직선일 수 있다. 즉,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기준점의 거리(66)가 0.5라는 것은, 후방 기준점(64)이 기준선(68)으로부터 0.5mm 만큼 전방으로 이동해 있다는 뜻이다.30 shows the four indicator user interfaces. The reference line 68 serving as a reference for the distance 66 adjusted by the four indicator user interfaces may be a straight line connecting left and right hamular notch. That is, as shown in FIG. 30 , when the distance 66 of the rear reference point is 0.5, it means that the rear reference point 64 is moved forward by 0.5 mm from the reference line 68 .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형상 조절 바(65)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통해 쉽게 거리(66)값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조작이 있는 경우, 거리(66)값만 조정되거나, 거리(66)값과 깊이(67)값이 함께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ostdam의 부피가 상기 드래그 조작에 따른 거리(66)값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거리(66)값이 변경된 만큼 깊이(67)값도 함께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거리(66)값과 깊이(67)값에 대한 직접 입력도 지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0 , the distance 66 can be easily adjusted through a drag operation on the shape adjustment bar 65 included in the four indicator user interfaces. When there is the drag operation, only the distance 66 may be adjusted, or the distance 66 and the depth 67 may be adjusted together. For example, the depth 67 value may also be adjusted as the distance 66 value is changed so that the volume of the postdam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despite the change in the distance 66 value according to the drag operation. Of course, the four indicator user interfaces may also support direct input of the distance 66 and depth 67 values.

상기 4개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Postdam(60)의 형상이 즉각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31에서는 사용자가 전방 중앙 기준점(61) 및 전방 좌우측 돌출부 기준점(62-1, 62-2)의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거리 값(66)을 감소시켰고, 이로 인해 Postdam의 전후방 간격이 좁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Postdam 60 may be immediately updated as a feedback on the user input for the four indicator user interfaces. In FIG. 31, the user decreased the distance value 66 by using the indicator user interfac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61 and the front left and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s 62-1 and 62-2, and this narrowed the front-to-rear distance of the Postdam. can confirm.

상술한 Postdam의 수동 조정 방법에 따르더라도, Postdam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방, 측방, 후방 한계 위치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상기 6개의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지 상기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Postdam이 상기 전방, 측방, 후방 한계 위치를 벗어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는 경고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Even according to the manual adjustment method of the Postdam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tdam cannot deviate from the forward, lateral, and rear limit posi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the six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s (UI) and the first indicator user interface to The fourth indicator user interface may provide feedback warning of user input that causes the Postdam to deviate from the forward, lateral, and rear limit positions.

또한, 상술한 Postdam의 자동 형성 방법에 따른 Postdam 및 수동 조정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Postdam 모두, Postdam의 위치에 따라 깊이가 달라지더라도,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면이 형성되어야 함을 유의한다.In addition, both the postdam according to the automatic formation method of the postdam and the postdam formed according to the manual adjustment method, although the depth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ostdam, as shown in FIG. do.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may be performed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puting device to the second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nstalled in the second computing device, thereby being used in the second computing device. The first computing device and the second computing device include all of a server device, a physical server belonging to a server pool for a cloud service, and a stationary computing device such as a desktop PC.

이하에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computing device 500 capable of implementing the method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3 .

도 33은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33 is an exemplary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uting device 500 .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500)는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방식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팜(server farm)에 소속된 물리 서버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33 , the computing device 500 loads one or more processors 510 , a bus 550 , a communication interface 570 , and a computer program 591 executed by the processor 510 . It may include a memory 530 and a storage 590 for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591). However,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FIG. 33 . Accordingl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see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3 may be further included. The computing device 500 illustrated in FIG. 33 may indicate any one of physical servers belonging to a server farm that provides an Infrastructure-as-a-Service (IaaS) type cloud service.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cessor 5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500 . The processor 5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or unit (M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processor 510 may perform an operation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uting device 5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직(또는 모듈)이 메모리(53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3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530 stores various data, commands, and/or information. The memory 530 may load one or more programs 591 from the storage 590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when the computer program 591 is loaded into the memory 530 , logic (or a module) as shown in FIG. 4 may be implemented on the memory 530 . An example of the memory 530 may be a R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The bus 550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500 . The bus 55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buses, such as an address bus, a data bus, and a control bus.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비정상 URL 수집 장치, 보안 관제 서버 및 대상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됨으로써, 빠른 통신 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supports wired/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500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may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other than Internet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well-known in the art.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7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abnormal URL collection device, the security control server, and the target serv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rough an intranet, thereby securing a fast communication speed.

스토리지(59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590 may non-temporaril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591 . The storage 590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591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in which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When the computer program 591 is loaded into the memory 530 , the processor 510 may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o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Postdam의 복수의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점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준점 각각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 및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Postdam; and
and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left side reference point, the right side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Displaying an indicator UI for adjusting the distance and depth from the reference lin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입력이 전방 방향의 입력인 경우,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정중구개융기 기준 기설정된 수치만큼 후방인,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receiving a drag input in a forward or rearward direction to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central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and
When the drag input is an input in the forward direction, feedback is displayed that the anterior central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orward movement limit of the anterior central reference point is as much as a preset value based on the mid-palatal elevation on the maxillary 3D model. posterior, comprising a step,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Postdam의 후방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입력이 후방 방향의 입력인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구개부 형태를 반영하여 결정된 지점인,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receiving a drag input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o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and
When the drag input is an input in the posterior direction, feedback is displayed that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moved posteriorly, and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reflects the shape of the palate as a reference with the palatine on the maxillary 3D model. A point determined by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Postdam의 복수의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점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Postdam의 후방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후방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급경사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V-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만큼 전방으로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Postdam; and
and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left side reference point, the right side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When there is a drag input in the rear direction to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displaying a feedback that the rea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rear direc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eedback that the rea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rear direction,
In the sagittal plane division plane of the maxillary 3D model,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1/4 point, the 2/4 point, and the 3/4 point by dividing the incisal papilla and the reference line into quarters Based on the inclined (Mildly Inclined) type, steep (Steep) type, and selecting one of the flat (Flat) type of sagittal shape;
In the frontal plane dividing plan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oint divided by 1/2 between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eaks of both alveolar ridges, V- selecting one of a front face shape from among shape, O-shape, and U-shape; and
When the sagittal shape is selected as the steeply inclined shape and the frontal shape is selected as the V-Shape,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anterior by a preset value based on the palate on the maxillary 3D model.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set to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Postdam의 복수의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점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Postdam의 후방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후방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경사진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O-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위치로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Postdam; and
and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left side reference point, the right side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When there is a drag input in the rear direction to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displaying a feedback that the rea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rear direc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eedback that the rea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rear direction,
In the sagittal plane division plane of the maxillary 3D model,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1/4 point, the 2/4 point, and the 3/4 point by dividing the incisal papilla and the reference line into quarters Based on the inclined (Mildly Inclined) type, steep (Steep) type, and selecting one of the flat (Flat) type of sagittal shape;
In the frontal plane dividing plan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oint divided by 1/2 between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eaks of both alveolar ridges, V- selecting one of a front face shape from among shape, O-shape, and U-shape; and
When the sagittal shape is selected as the inclined shape and the frontal shape is selected as the O-Shape,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set to the palatine and position on the maxillary 3D model containing,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Postdam의 복수의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점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Postdam의 후방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후방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기준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시상면(Sagittal Plane) 분할면에서, 절치유두(Incisal Papilla)와 기준선 사이를 4등분하여, 1/4 지점, 2/4 지점 및 3/4 지점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기준으로, 경사진(Mildly Inclined) 형, 급경사(Steep) 형 및 편평한(Flat) 형 중 하나의 시상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악 3차원 모델의 전두면(Frontal Plane) 분할면에서, 정중구개봉합선과 양측 치조제 정상점 사이를 1/2으로 나눈 지점과 상기 정중구개봉합선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기준으로, V-shape, O-shape 및 U-shape 중 하나의 전두면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상면 형태가 상기 편평한 형으로 선택되고, 상기 전두면 형태가 상기 U-Shape로 선택된 경우, 상기 후방 기준점의 후방 방향 이동 한계는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구개소와 기준으로 기설정된 수치만큼 후방으로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Postdam; and
and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left side reference point, the right side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When there is a drag input in the rear direction to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displaying a feedback that the rea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rear direc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eedback that the rear reference point is moved in the rear direction,
In the sagittal plane division plane of the maxillary 3D model,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1/4 point, the 2/4 point, and the 3/4 point by dividing the incisal papilla and the reference line into quarters Based on the inclined (Mildly Inclined) type, steep (Steep) type, and selecting one of the flat (Flat) type of sagittal shape;
In the frontal plane dividing plane of the maxillary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oint divided by 1/2 between the mid-palatal suture and the peaks of both alveolar ridges, V- selecting one of a front face shape from among shape, O-shape, and U-shape; and
When the sagittal shape is selected as the flat shape and the frontal shape is selected as the U-Shape, the posterior movement limit of the posterior reference point is posterior by a preset value based on the palatine and the maxillary 3D model.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set to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후방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mprises:
further displaying a first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rear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further displaying a secon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further displaying a thir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 width and depth of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and
and further displaying a fourth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The step of modifying the 3D model is,
In accordance with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and the first to fourth indicator user interfaces,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상악 3차원 모델 상의 좌측 익돌상악절흔(Hamular Notch) 및 우측 익돌상악절흔을 연결한 선인,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aseline is
A line connecting the left lateral maxillary notch and the right lateral maxillary notch on the maxillary 3D model,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의 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후방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전방 중앙 기준점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3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과 상기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의 상기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width)와, 그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제4 인디케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치악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t least some of the positions of the Postdam's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left lateral reference point, right lateral reference point, and rear reference point; and
Comprising the step of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user interface,
The step of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UI) comprises:
displaying a first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 width and a depth of the rear reference point from a reference line;
displaying a secon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 width and a depth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from a reference line;
displaying a third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a width and depth of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and
Displaying a fourth indicator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front right protrusion reference point and the front left protrusion reference point from the reference line,
Postdam manual adjustment of edentulous dentures.
상악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이 로드 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무치악 총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은,
상악 3차원 모델 상에 자동 형성된 Postdam을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Postdam의 복수의 기준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자동 형성된 Postdam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상기 3차원 모델을 수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점은, 상기 Postdam의 전방 중앙 기준점, 전방 좌측 돌출부 기준점, 전방 우측 돌출부 기준점, 좌측 측방 기준점, 우측 측방 기준점 및 후방 기준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점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복수의 기준점 각각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 및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UI를 디스플레이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의치 디자인 장치.

a network interface for receiving three-dimensional scan data of the maxilla;
memory into which the edentulous denture design program is loade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loaded into the memory,
The edentulous complete denture design program is
Instructions for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on the maxillary 3D model;
instructions for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Postdam; and
and instructions for modifying the three-dimensional model so tha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formed Postdam is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front center reference point, the front lef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front right projection reference point, the left side reference point, the right side reference point, and the rear reference point of the Postdam,
The instruction for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ovement user interface (UI),
Including instructions for displaying an indicator UI for adjusting the distance and depth from the reference lin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Denture design device.

KR1020200006172A 2020-01-16 2020-01-16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KR102376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72A KR102376579B1 (en) 2020-01-16 2020-01-16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72A KR102376579B1 (en) 2020-01-16 2020-01-16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97A KR20210092597A (en) 2021-07-26
KR102376579B1 true KR102376579B1 (en) 2022-03-21

Family

ID=7712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172A KR102376579B1 (en) 2020-01-16 2020-01-16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57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6978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KR102057207B1 (en) * 2018-04-30 2019-12-18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for analizing 3d oral model and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tic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17329A1 (en) 2008-02-22 2009-08-27 Glaxosmithklin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den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6978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KR102057207B1 (en) * 2018-04-30 2019-12-18 주식회사 디디에스 Method for analizing 3d oral model and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tic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97A (en)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968B2 (en) Creating a digital restoration design
US10327873B2 (en)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digital design for use in manufacturing a molding-shell for a dental restoration
US8352060B2 (en) Computer-aided fabrication of a removable dental prosthesis
CN106137414B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arget dentition layout
JP6757671B2 (en) Virtual secondary processing method for gingival model
JP74415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orthodontic tooth alignment shape
JP2017532112A (en) Dental instrument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
US1095981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maxillary tray appliance with anatomically aligned contacting portion
KR102376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forming of border of full denture
KR20200070706A (en)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dental implant surgery that determines a crown position by reflecting a relationship between adjacent teeth and a an antagonistic teeth
KR102269030B1 (en)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KR102538681B1 (en) Dental arrangement system using data of edentulous patie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998985B1 (en) Virtual articulation in orthodontic and dental treatment planning
KR1023765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tun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KR1023767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forming of postdam of full denture
KR1023896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KR102144369B1 (en) Dental CAD apparatus using characteristic of mirroring teeth and operating method the dental CAD apparatus
US20210236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tic device
KR102472029B1 (en)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articulator
KR102431223B1 (en) A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a dental arch
EP3741323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anatomical prototype
KR102347493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102360097B1 (en) Automatic tooth set-up method and guide design device for implant surgery to perform the same
KR20220129349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odeling data for target teeth
KR202301153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abutment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