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537A -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537A
KR20210115537A KR1020200031448A KR20200031448A KR20210115537A KR 20210115537 A KR20210115537 A KR 20210115537A KR 1020200031448 A KR1020200031448 A KR 1020200031448A KR 20200031448 A KR20200031448 A KR 20200031448A KR 20210115537 A KR20210115537 A KR 2021011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agent
heater
switch
mai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760B1 (ko
Inventor
송민선
Original Assignee
송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선 filed Critical 송민선
Priority to KR102020003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7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heated in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9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with means for he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or an atomizing fluid in a supply hos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통에 담긴 주제와 경화제통에 담긴 경화제를 펌핑하도록 형성되는 펌프 유니트 부분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유니트 부분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에서 전달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분사되어야 할 위치까지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호스부와, 상기 공급 호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건과, 상기 분사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주제통에 담긴 주제와 경화제통에 담긴 경화제를 가열하는 재료 가열 히터와 상기 공급 호스부를 가열하는 호스 가열 히터에 공급되는 제1전력과, 상기 유압 유니트 부분과 에어 컴프레셔에 공급되는 제2전력을 택일적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Foam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작은 전력으로도 작동이 가능한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단열재, 완충재 등으로 우레아 발포체와 우레탄 발포체 등이 사용된다.
우레아 발포체와 우레탄 발포체의 차이점은 우레아 발포체는 요소수지계이고, 우레탄 발포체는 석유수지계라는 점이다.
우레아 발포체와 우레탄 발포체은 단열성과 흡음성에서 크게 차이가 없어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나, 우레아 발포체는 단열성과 흡음성 외에 방수기능도 있어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 벽체, 욕실 등에 보온과 방수를 한 번에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레아폼 시공을 한다.
우레아폼은 두께조절이 가능하며, 내한성, 내수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방수코팅제로의 역할에도 적합한 소재이다.
상기 우레아 발포체은 비료공장에서 생산되는 요소와 포르말린(Formalin)에 의해 만들어지는 요소수지계를 원료로 사용하며 경화제와 공기를 사용하여 시공부위에 분사하는 단열재이다.
우레탄 발포체는 우수한 단열특성으로 건축용 단열재, 냉각장치의 단열재, 전자제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우레탄 발포체는 폴리올 등과 같은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이 공압에 의해 분사건에서 분사되어 폼 형태로 배출된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2액형 분사장치는 주제와 경화제가 동일한 비율로 혼합되면서 분사되어야 한다.
종래의 2액형 분사장치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전력의 전체 양은 약 7 내지 7.4Kw이며, 가정용 전력의 최대치는 약 5Kw이기 때문에 종래의 2액형 분사장치를 소규모 가정용 시설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 7 내지 7.4K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2액형 분사장치의 전체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0089호
본 발명은 가정용 전력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제통에 담긴 주제와 경화제통에 담긴 경화제를 펌핑하도록 형성되는 펌프 유니트 부분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유니트 부분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에서 전달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분사되어야 할 위치까지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호스부와, 상기 공급 호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건과, 상기 분사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주제통에 담긴 주제와 경화제통에 담긴 경화제를 가열하는 재료 가열 히터와 상기 공급 호스부를 가열하는 호스 가열 히터에 공급되는 제1전력과, 상기 유압 유니트 부분과 에어 컴프레셔에 공급되는 제2전력을 택일적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재료 가열 히터는 상기 주제통의 주제를 가열하도록 형성되는 제1주제 히터와, 상기 경화제통의 경화제를 가열하도록 형성되는 제1경화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에는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가 형성되어 펌프 유니트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유압 유니트 부분에는 상기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와 분리되어 유압 유니트 프레임부가 형성되어 유압 유니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은 상기 제1주제 호스와 연결되는 주제 펌프와, 상기 제1경화제 호스와 연결되는 경화제 펌프, 및 상기 주제 펌프와 경화제 펌프에 연결되어 주제 펌프와 경화제 펌프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은 상기 주제 펌프에서 배출되는 주제가 이동되는 주제 관로와, 상기 경화제 펌프에서 배출되는 경화제가 이동되는 경화제 관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제 관로에 연결되어 주제 관로에서 이동되는 주제의 맥동현상을 감소시키는 주제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경화제 관로에 연결되어 경화제 관로에서 이동되는 경화제의 맥동현상을 감소시키는 경화제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호스부는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과 분사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주제 호스와 제2경화제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 가열 히터는 상기 제2주제 호스와 제2경화제 호스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에 전달되는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인 펌프 스위치와, 상기 유압 유니트 부분을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유압 유니트 스위치와, 상기 제1주제 히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제1주제 히터 스위치와, 상기 호스 가열 히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제2 히터 스위치와, 상기 제1경화제 히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 및 상기 에어 컴프레셔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컴프레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의 상방에 형성되는 유압 유니트 작업 표시등과,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의 상방에 형성되는 제1주제 히터 작업 표시등과, 상기 제2 히터 스위치의 상방에 형성되는 제2히터 작업 표시등과, 상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 상방에 형성되는 제1경화제 히터 작업 표시등, 및 상기 컴프레셔 스위치 상방에 형성되는 컴프레셔 작업 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고, 제2 히터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는 자동운전 모드 스위치 온(ON) 단계와, 상기 자동운전 모드 스위치 온(ON)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히터들 작동 단계와, 상기 히터들 작동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와, 상기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히터들 멈춤 단계와, 상기 히터들 멈춤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는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 및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를 거친 후에 진행되는 발포 작업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의 작동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히터들 작동 단계는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제1주제 히터가 작동되고, 상기 제2 히터 스위치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호스 가열 히터가 작동되며, 상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제1경화제 히터가 작동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는 상기 주제통의 주제 온도를 측정하는 제1주제 센서 온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2주제 호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주제 센서 온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2경화제 호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경화제 센서 온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경화제통의 경화제 온도를 측정하는 제1경화제 센서를 판단하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포장치의 작업 시간 동안 최대 사용되는 전력이 약 4.3Kw이고, 가정용 전력의 최대치인 약 5Kw보다 낮기 때문에 가정용 전압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가정용 전압으로 사용가능하여 별도의 발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발포장치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경제성도 우수한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발포장치의 제1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펌프 유니트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유압 유니트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면 중 실린더부와 펌프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실린더부와 펌프 사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실린더가 유압에 의해 압축되어 펌프로부터 주제와 경화제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 상태에서 실린더에 제공된 유압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상태에서 실린더가 상승하면서 주제와 경화제를 펌프로 유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유압 공급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1주제 히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호스 가열 히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제1경화제 히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에어 컴프레셔에 압축 공기 보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발포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발포작업 공정을 세분화해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세척작업 공정을 세분화해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인 발포장치의 제2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발포장치의 제1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펌프 유니트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유압 유니트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발포장치(100)의 제1실시례는 주제통(110)에 담긴 주제(200)와 경화제통(130)에 담긴 경화제(300)를 펌핑하도록 형성되는 펌프 유니트 부분(400)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400)을 구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유니트 부분(500)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400)에서 전달되는 주제(200)와 경화제(300)를 분사되어야 할 위치까지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호스부(600)와, 상기 공급 호스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주제(200)와 경화제(300)를 혼합하면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건(700) 및 상기 분사건(70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컴프레셔(704)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200)는 건물의 단열재나 완충재 등으로 사용되는 우레아나 우레탄 등이고, 경화제(300)는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된다.
상기 주제통(110)이나 경화제통(130)은 주제(200)나 경화제(300)가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를 유지하도록 온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의 온도는 필요한 경우에 섭씨 약 30도 내지 80도 사이의 온도 등으로 작업 환경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주제통(110)에는 주제통(110)에 담겨진 주제(200)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400)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1주제 호스(112)가 연결되고, 상기 제1주제 호스(112)에는 재료 가열 히터 중 하나인 제1주제 히터(1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주제 히터(114)에는 제1주제 센서(116)가 형성되어 제1주제 히터(114)에 의해 가열되는 주제(200)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1주제 히터(114)는 제1주제 호스(112)의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주제 호스(112)의 끝단은 주제통(110)에 담겨져 있어, 제1주제 히터(114)에 의해 제1주제 호스(112)와 주제통(110)에 담겨진 주제(200)의 온도가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로 가열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주제 히터(114)가 주제통(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통(130)에는 경화제통(130)에 담겨진 경화제(300)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400)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는 제1경화제 호스(132)가 연결되고, 상기 제1경화제 호스(132)에는 재료 가열 히터 중 나머지 하나인 제1경화제 히터(1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경화제 히터(134)에는 제1경화제 센서(136)가 형성되어 제1경화제 히터(134)에 의해 가열되는 경화제(300)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1경화제 히터(134)는 제1경화제 호스(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경화제 호스(132)의 끝단은 경화제통(130)에 담겨져 있어, 제1경화제 히터(134)에 의해 제1경화제 호스(132)와 경화제통(130)에 담겨진 경화제(300)의 온도는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로 가열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상기 제1경화제 히터(134)를 경화제통(13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주제 히터(114)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약 0.8 내지 1Kw의 전력이 필요하고, 제1경화제 히터(134)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약 0.8 내지 1Kw의 전력이 필요하다.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400)은 상기 제1주제 호스(112)가 연결되는 주제 펌프(410)와, 상기 제1경화제 호스(132)가 연결되는 경화제 펌프(430)와, 상기 주제 펌프(410)와 경화제 펌프(430)에 연결되어 주제 펌프(410)와 경화제 펌프(430)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부(450)와, 상기 주제 펌프(410)에서 배출되는 주제(200)가 이동되는 주제 관로(412)와, 상기 경화제 펌프(430)에서 배출되는 경화제(300)가 이동되는 경화제 관로(432)와, 상기 주제 관로(412)에 연결되어 주제 관로(412)에서 이동되는 주제(200)의 맥동현상을 감소시키는 주제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s)(414), 및 상기 경화제 관로(432)에 연결되어 경화제 관로(432)에서 이동되는 경화제(300)의 맥동현상을 감소시키는 경화제 어큐뮬레이터(434)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 어큐뮬레이터(414)에는 상부에 공기나 질소 가스 등으로 에어 챔버(416)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챔버(416)의 하부에는 주제(200)가 채워진 상태이다.
상기 주제 펌프(410)가 구동되어 주제(200)를 주제 관로(412)로 보낼 때는 주제 펌프(410)의 압력에 의해 일부 주제(200)는 주제 관로(412)를 통해 빠져나가고 일부 주제(200)는 에어 챔버(416)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챔버(416)로 이동된 주제(200)의 압력에 의해 에어 챔버(416)가 압축되고, 주제 펌프(410)가 주기적인 펌핑을 통해 주제(200)를 다시 보낼 때까지의 간격에는 압축된 에어 챔버(416)가 팽창하면서 주제(200)를 눌러서 주제 관로(412)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여 주제 펌프(410)의 작동 상황과 무관하게 주제 관로(412)에서 배출되는 주제(200)의 양이 일정하게 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제 어큐뮬레이터(414)를 통하여 주제(200)가 주제 관로(412)를 통해 빠져나가는 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맥동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경화제 어큐뮬레이터(434)도 상기 주제 어큐뮬레이터(414)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경화제 관로(432)를 통해 빠져나가는 양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맥동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400)은 상기 주제 펌프(410), 경화제 펌프(430), 실린더부(450), 주제 관로(412), 경화제 관로(432), 주제 어큐뮬레이터(414), 및 경화제 어큐뮬레이터(434)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466)와, 상기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466)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어부(7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466)의 하부에는 이동의 편이를 위해서 전후 양측 4지점에 펌프측 바퀴(468)가 형성된다.
상기 유압 유니트 부분(500)은 상기 실린더부(450)와 연결되어 실린더부(450)가 구동될 수 있는 유압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유압 공급부(510)와, 상기 유압 공급부(510)를 지지하는 유압 유니트 프레임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450)와 유압 공급부(510) 사이에는 제1 유압 호스(550)와, 상기 제1 유압 호스(55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유압 호스(5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450)에는 제1 유압 호스(550)가 체결되는 제1 퀵커플러(560)와 제2 유압 호스(570)가 체결되는 제2 퀵커플러(580)가 형성되어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진행된다.
상기 유압 유니트 프레임부(530)에는 하부 전단부 양측에 지면 지지부재(532)가 형성되고, 하부 후단부 양측에 유압측 바퀴(534)가 형성된다.
상기 유압 공급부(510)를 작동하는데 사용되는 전력은 약 2.2Kw이다.
상기 주제 관로(412)에는 주제(200)를 주제 관로(412)로부터 분사건(700) 위치까지 전달하도록 제2주제 호스(625)가 연결되고, 주제 관로(412)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제 압력 게이지(427)가 형성된다.
상기 주제 관로(412)에 누수가 발생되면 주제 압력 게이지(427)의 압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 관로(432)에는 경화제(300)를 경화제 관로(432)로부터 분사건(700) 위치까지 전달하도록 제2경화제 호스(635)가 연결되고, 상기 경화제 관로(432)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경화제 압력 게이지(437)가 형성된다.
상기 경화제 관로(432)에 누수가 발생되면 경화제 압력 게이지(437)의 압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 압력 게이지(427)의 압력과 경화제 압력 게이지(437)의 압력이 서로 상이한 값을 나타내면 주제 관로(412)나 경화제 관로(432)의 흡입부나 토출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주제 호스(625)는 일단이 주제 관로(412)에 연결되고 타단이 분사건(700)에 연결되며, 상기 제2경화제 호스(635)는 일단이 경화제 관로(432)에 연결되고 타단이 분사건(700)에 연결된다.
상기 분사건(700)은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704)에서 전달되는 압축 공기로 제2주제 호스(625)로부터 전달되는 주제(200)와 제2경화제 호스(635)로부터 전달되는 경화제(300)를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분사구(702)로 배출한다. 상기 에어 컴프레셔(704)를 작동하기 위해서 전력이 약 2Kw가 사용된다.
상기 제2주제 호스(625)에는 호스 가열 히터 중 하나인 제2주제 히터(428)가 형성되어 주제(200)가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분사건(700)으로 전달되도록 제2주제 호스(625)를 가열하고, 상기 제2주제 히터(428)에는 제2주제 센서(429)가 형성되어 제2주제 히터(428)에 의해 가열되는 제2주제 호스(625)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작용된다.
상기 제2주제 히터(428)는 주제(200)가 제2주제 호스(625)로 이동되기 시작할 때 제2주제 호스(625)가 섭씨 약 50도 미만의 상태로 되어 작업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주제 히터(428)가 제2주제 호스(625)를 가열하여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의 온도가 되도록 한 뒤에 제2주제 호스(625)로 주제(200)가 전달되어 이동되기 시작하면, 이후 제2주제 호스(625)로 주제(200)가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2주제 히터(428)가 작동되지 않아도 제2주제 호스(625)의 온도가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주제 히터(428)가 사용되는 경우에 소비되는 전력은 약 0.5 내지 1Kw이다.
상기 제2경화제 호스(635)에는 호스 가열 히터 중 나머지 하나인 제2경화제 히터(438)가 형성되어 경화제(300)가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를 유지한 상태로 분사건(700)으로 전달되도록 제2경화제 호스(635)를 가열하고, 상기 제2경화제 히터(438)에는 제2경화제 센서(439)가 형성되어 제2경화제 히터(438)에 의해 가열되는 제2경화제 호스(635)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작용된다.
상기 제2경화제 히터(438)는 경화제(300)가 제2경화제 호스(635)로 이동되기 시작할 때 제2경화제 호스(635)가 섭씨 약 50도 미만의 상태로 되어 작업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경화제 히터(438)가 제2경화제 호스(635)를 가열하여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의 온도가 되도록 한 뒤에 제2경화제 호스(635)로 경화제(300)가 전달되어 이동되기 시작하면, 이후 제2경화제 호스(635)로 경화제(300)가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2경화제 히터(438)가 작동되지 않아도 제2경화제 호스(635)의 온도가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경화제 히터(438)를 사용하는 경우에 소비되는 전력은 약 0.5 내지 1Kw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주제 호스(625)와 제2경화제 호스(635)를 밀착시킨 후에 상기 호스 가열 히터을 구성하는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를 하나의 호스 가열 히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도면 중 실린더부와 펌프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5는 실린더부와 펌프 사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6의 (a)는 도 5의 실린더가 유압에 의해 압축되어 펌프로부터 주제와 경화제가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 상태에서 실린더에 제공된 유압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상태에서 실린더가 상승하면서 주제와 경화제를 펌프로 유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실린더부(450)에는 원통형상의 실린더 하우징(452)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452) 내에서 승하강 하는 실린더(454)와 상기 실린더(454)와 연결된 지지봉(456)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452)에는 제1 유압 호스(550)와 제2 유압 호스(570)가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454)는 실린더 하우징(452)의 상부에 위치된 제1 유압 호스(550)보다는 항상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유압 호스(550)의 하방에 위치된 제2 유압 호스(570)에는 접하거나 제2 유압 호스(570)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 유압 호스(570)를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압 호스(550)로 유체가 유입되어 실린더(454)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실린더(454)는 하방으로 압력을 전달하다가 제2 유압 호스(570)보다 아래까지 이동된다.
이때, 제1 유압 호스(550)로 전달된 유체는 제2 유압 호스(570)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실린더(454) 상부의 유압이 낮아져 실린더(454)는 다시 상승한다.
그리고 다시 제1 유압 호스(550)에서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하강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주제 펌프(410)에는 상기 실린더(454)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의 변화에 의해 승하강하는 제1 연동부재(411)와, 제1주제 호스(112)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1 개폐부재(414)와, 상기 주제 관로(412)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2 개폐부재(4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동부재(411)가 상승하면 제1-1 개폐부재(414)는 개방되고, 제1-2 개폐부재(416)는 폐쇄되며, 제1 연동부재(411)가 하강하면 제1-1 개폐부재(414)는 폐쇄되고, 제1-2 개폐부재(416)는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경화제 펌프(430)에는 상기 실린더(454)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의 변화에 의해 승하강하는 제2 연동부재(431)와, 제1경화제 호스(132)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1 개폐부재(434)와, 상기 경화제 관로(432)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2 개폐부재(43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동부재(431)가 상승하면 제2-1 개폐부재(434)는 개방되고, 제2-2 개폐부재(436)는 폐쇄되며, 제2 연동부재(431)가 하강하면 제2-1 개폐부재(434)는 폐쇄되고, 제2-2 개폐부재(436)는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부(450)와 주제 펌프(410) 및 경화제 펌프(430) 사이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주제 펌프(410)에 주제(200)가 위치되고, 경화제 펌프(430)에 경화제(300)가 위치된 상태에서 도 6의 (a)와 같이 제1 유압 호스(550)에서 유체가 실린더(454) 상부로 전달되면 실린더(454)는 실선에서 점선의 위치로 하강하면서 제1 연동부재(411)와 제2 연동부재(431)도 동시에 하강한다.
상기 제1 연동부재(411)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2 개폐부재(416)를 개방하여 주제 펌프(410)에 위치된 주제(200)를 주제 관로(412)로 배출한다.
상기 제2 연동부재(431)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2-2 개폐부재(436)를 개방하여 경화제 펌프(430)에 위치된 경화제(300)를 경화제 관로(432)로 배출한다.
실린더(454)가 계속하강하여 도 6의 (b)와 같이 제2 유압 호스(570) 하부에 위치되면, 제1 유압 호스(550)에서 전달된 유체가 제2 유압 호스(570)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실린더(454) 상부의 압력이 실린더(454) 하부의 압력보다 낮아져 실린더(454)가 상승한다.
도 7과 같이 실린더(454)가 상승하면 제1 연동부재(411)도 상승하고, 제2 연동부재(431)도 상승한다.
상기 제1 연동부재(411)가 상승하면 제1-1 개폐부재(414)가 개방되어 제1주제 호스(112)로부터 주제(200)가 주제 펌프(410)로 유입되고, 제2 연동부재(431)가 상승하면 제2-1 개폐부재(434)가 개방되어 제1경화제 호스(132)로부터 경화제(300)가 경화제 펌프(43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454)가 승하강하면서 주제 펌프(410)와 경화제 펌프(430)가 동시에 연동되면서 주제(200)와 경화제(300)를 전달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주제(200)와 경화제(300)의 공급이 동일한 양으로 동시에 전달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실린더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주제 펌프가 작동되고, 실린더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경화제 펌프가 작동되는 선택적 구조로 형성되어 주제 펌프에서 배출되는 주제와 경화제 펌프에서 배출되는 경화제가 약간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배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동시 배출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실린더(454)가 하강할 때 주제(200)와 경화제(300)가 동시에 배출되도록 실린더부(450)와 주제 펌프(410) 및 경화제 펌프(430) 구조를 형성하여 동시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9는 유압 공급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0은 제1주제 히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호스 가열 히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2는 제1경화제 히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3은 에어 컴프레셔에 압축 공기 보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제어부(705)는 펌프 스위치(710),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 제2 히터 스위치(740),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 및 컴프레셔 스위치(760)를 포함한다.
상기 컴프레셔 스위치(760)는 에어 컴프레셔(704)로 연결되어 에어 컴프레셔(704)를 켜고 끄는 스위치이며, 에어 컴프레셔(704)는 약 2분 내지 5분의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압축 공기를 생산해서 저장한 후에 조금씩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컴프레셔 스위치(760)를 자주 켜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컴프레셔 스위치(760)가 한번 작동되어 에어 컴프레셔(704)에 압축 공기가 가득 채워지면 약 10분 내지 30분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705)에는 제1주제센서(116)에서 전달되는 주제(20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1디스플레이부(770)와, 제1경화제 센서(136)에서 전달되는 경화제(300)의 온도를 나타내는 제2디스플레이부(78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제어부(705)에는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의 상방에 유압 유니트 부분(500)이 작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는 유압 유니트 작업 표시등(722)이 형성되고,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의 상방에 제1주제 히터(114)가 작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는 제1주제 히터 작업 표시등(73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히터 스위치(740)의 상방에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가 작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는 제2히터 작업 표시등(742)이 형성되고,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 상방에 상기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는 제1경화제 히터 작업 표시등(752)이 형성되며, 상기 컴프레셔 스위치(760) 상방에 상기 에어 컴프레셔(704)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컴프레셔 작업 표시등(762)이 형성된다.
상기 펌프 스위치(710)는 펌프 유니트 부분(400)에 전달되는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로 약 0.1Kw 이하의 미미한 전력을 소비한다.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는 정지(OFF) 모드와 작동(ON) 모드로 형성되며, 유압 유니트 부분(50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이고, 작동(ON) 모드에서 사용 전력은 약 2.2Kw이다.
도 9를 통하여 유압 공급부(5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시작 과정을 거쳐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인지 판단하는 제11단계(S11)가 진행되고, 상기 제11단계(S11)에서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로 판단되면 유압 공급부(510)가 작동하는 제12단계(S12)가 진행되며, 상기 제11단계(S11)에서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제11단계(S11)가 진행되며, 상기 유압 공급부(510) 작동 과정인 제12단계(S12)가 진행된 후 종료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는 정지(OFF) 모드와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 및 수동운전 모드로 형성되며, 제1주제 히터(114)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이고, 작동(ON) 모드 위치나 수동운전 모드 위치에서 사용 전력은 약 0.8 내지 1Kw이다.
도 10을 통하여 제1주제 히터(114)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시작 과정을 거쳐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작동(ON) 모드인지 판단하는 제21단계(S21)가 진행되고, 상기 제21단계(S21)에서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작동(ON) 모드로 판단되면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22단계(S22)가 진행되며, 상기 제21단계(S21)에서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작동(ON)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23단계(S23)가 진행된다.
상기 제22단계(S22)에서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의 범위로 판단되면 다시 제22단계(S22)로 진행되고, 상기 제22단계(S22)에서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의 범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가를 판단하는 제24단계(S24)가 진행된다.
상기 제24단계(S24)에서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주제 히터(114)를 작동하는 과정인 제25단계(S25)가 진행되고, 제24단계(S24)에서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다시 제24단계(S24)로 진행된다.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23단계(S23)에서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주제 히터(114)를 작동하는 과정인 제25단계(S25)가 진행되고,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23단계(S23)가 진행된다.
상기 제1주제 히터(114)를 작동하는 과정인 제25단계(S25)가 진행된 후에 종료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제2 히터 스위치(740)는 정지(OFF) 모드와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 및 수동운전 모드로 형성되며, 호스 가열 히터들인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스위치이고, 작동(ON) 모드 위치나 수동운전 모드 위치에서 사용 전력은 약 1.0 내지 2Kw이다.
도 11을 통하여 호스 가열 히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시작 과정을 거쳐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작동(ON) 모드인지 판단하는 과정인 제31단계(S31)가 진행되며, 상기 제31단계(S31)에서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작동(ON) 모드로 판단되면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인지 판단하는 제32단계(S32)가 진행되고,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작동(ON)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제31단계(S31)가 진행된다.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인지 판단하는 제32단계(S32)에서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로 판단되면 다시 제32단계(S32)가 진행되고,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스 가열 히터들인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가 작동되는 제33단계(S33)가 진행된 후에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인 경우에는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에서 호스 가열 히터들인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의 작동을 정지한다.
따라서,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전환되면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의 작동이 정지되고 제2히터 작업 표시등(742)이 소등된다.
그리고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작동(ON) 모드에서 정지(OFF) 모드로 전환되면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의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 히터 스위치(740)에 의해 작동되는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는 작업 시작할 때 제2주제 호스(625)와 제2경화제 호스(635)가 섭씨 약 50도 내지 70도 사이를 유지하도록 작용만하면 된다.
왜냐하면, 본 발명인 발포장치(100)에 의한 작업 시간이 약 20분 내외이고, 제2주제 호스(625)와 제2경화제 호스(635)가 섭씨 약 70도까지 가열된 후에 주제(200)와 경화제(300)가 투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섭씨 약 50도까지 하강하는 시간은 약 30분 이상이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제2주제 호스(625)와 제2경화제 호스(635)가 섭씨 약 70도까지 가열된 후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를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운전 모드에서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와 제2 히터 스위치(740)의 최대 사용되는 전력은 약 2.2Kw이다.
상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는 정지(OFF) 모드와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 및 수동운전 모드로 형성되며, 제1경화제 히터(134)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이고, 작동(ON) 모드 위치나 수동운전 모드 위치에서 사용 전력은 약 0.8 내지 1Kw이다.
도 12를 통하여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시작 과정을 거쳐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작동(ON) 모드인지 판단하는 제41단계(S41)가 진행되고, 상기 제41단계(S41)에서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작동(ON) 모드라고 판단되면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인 제42단계(S42)가 진행되고, 상기 제41단계(S41)에서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작동(ON)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인 제43단계(S43)가 진행된다.
상기 제42단계(S42)에서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 범위로 판단되면 다시 제42단계(S42)가 진행되고,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 범위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인 제44단계(S44)가 진행된다.
상기 제44단계(S44)에서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는 제45단계(S45)가 진행되고,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44단계(S44)가 진행된다.
상기 제43단계(S43)에서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는 제45단계(S45)가 진행되고,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43단계(S43)가 진행된다.
상기 컴프레셔 스위치(760)는 에어 컴프레셔(704)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로서 정지(OFF) 모드와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로 형성되며, 작동(ON) 모드 위치에서 사용 전력은 약 2Kw이다.
도 13을 통하여 에어 컴프레셔(704)에 압축 공기가 보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시작 과정을 거쳐 컴프레셔 스위치(760)가 작동(ON)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인 제51단계(S51)가 진행되고, 상기 제51단계(S51)에서 컴프레셔 스위치(760)가 작동(ON) 모드로 판단되면 제1주제 히터(114) 또는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인 제52단계(S52)가 진행되며, 제51단계(S51)에서 컴프레셔 스위치(760)가 작동(ON)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제51단계(S51)가 진행된다.
상기 제52단계(S52)에서 제1주제 히터(114) 또는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52단계(S52)가 진행되고, 제1주제 히터(114) 또는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에어 컴프레셔(704)에 압축 공기가 보충되는 과정인 제53단계(S53)가 진행된 후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와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 중 하나 이상이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이고, 컴프레셔 스위치(760)도 자동운전 모드인 작동(ON) 모드인 경우에 제1주제 히터 작업 표시등(732)과 제1경화제 히터 작업 표시등(752) 중 하나 이상이 켜지면 제1주제 히터(114) 또는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는 것이므로 에어 컴프레셔(704)가 사용될 수 없는 상태로 되면서 컴프레셔 작업 표시등(762)이 꺼진다.
즉, 자동운전 모드에서 컴프레셔 스위치(760)는 제1주제 히터(114) 또는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지 않아 제1주제 히터 작업 표시등(732)과 제1경화제 히터 작업 표시등(752)이 모두 소등된 상태에서만 컴프레셔 작업 표시등(762)이 켜지면서 작동되는 종속적인 관계로 사용된다.
분사건(700)을 사용하다가 주제통(110)에 담겨진 주제(200)의 온도나 경화제통(130)에 담겨진 경화제(300)의 온도가 섭씨 약 50도 미만으로 하강하면 제1주제 히터(114)나 제1경화제 히터(134) 중 하나 이상이 작동되면서 컴프레셔 스위치(760)의 작동이 정지되고 컴프레셔 작업 표시등(762)이 꺼진다.
따라서, 자동운전 모드에서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 및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와 컴프레셔 스위치(760)를 통하여 최대 사용되는 전력은 약 2Kw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발포장치(100)의 작업 시간 동안 최대 사용되는 전력은 펌프 스위치(710)의 전력이 약 0.1Kw 이하이고, 자동운전 모드에서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와 제2 히터 스위치(740)의 최대 사용되는 전력은 약 2.2Kw이며,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 및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와 컴프레셔 스위치(760)를 통하여 최대 사용되는 전력은 약 2Kw이므로 모두 합하면 약 4.3Kw이고, 가정용 전력의 최대치인 약 5Kw보다 낮기 때문에 가정용 전압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가정용 전압으로 사용가능하여 별도의 발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발포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경제성도 우수한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와, 제2 히터 스위치(740) 및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에 각각 수동운전 모드가 형성된 이유는 사용후 세척시에 수동 운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주제 호스(112)를 사용 후 세척할 때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를 수동운전 모드로 하고 세척하여 필요한 만큼 수동으로 조작한다.
그리고 상기 제2주제 호스(625)와 제2경화제 호스(635)를 사용 후 세척할 때 제2 히터 스위치(740)를 수동운전 모드로 하고 세척하여 필요한 만큼 수동으로 조작한다.
상기 제1경화제 호스(132)를 사용 후 세척할 때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를 수동운전 모드로 하고 세척하여 필요한 만큼 수동으로 조작한다.
도 14는 본 발명인 발포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발포작업 공정을 세분화해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세척작업 공정을 세분화해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인 발포장치(100)의 작동방법은 시작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발포작업 단계(S100)와, 상기 발포작업 단계(S100)를 거친 후에 진행되는 세척작업 단계(S200) 및 종료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작업 단계(S100)는 자동운전 모드로 진행되며, 상기 세척작업 단계(S200)는 수동운전 모드로 진행된다.
상기 발포작업 단계(S100)는 도 15와 같이 세분화되며, 시작 단계를 거쳐서 자동운전 모드 스위치 온(ON) 단계(S110)가 진행되고, 상기 자동운전 모드 스위치 온(ON) 단계(S110)를 거쳐 히터들 작동 단계(S120)가 진행되며, 상기 히터들 작동 단계(S120)를 거쳐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S130)가 진행되고, 상기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S130)를 거쳐 히터들 멈춤 단계(S140)가 진행되며, 상기 히터들 멈춤 단계(S140)를 거쳐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S150)가 진행되고,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S150)를 거친 후에 발포 작업 수행 단계(S160)가 진행되며, 상기 발포 작업 수행 단계(S160)를 거친 후에 종료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스위치 온(ON) 단계(S110)는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고,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고, 컴프레셔 스위치(76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는 단계이다.
상기 히터들 작동 단계(S120)는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제1주제 히터(114)가 작동되고,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호스 가열 히터들인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가 작동되고,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주제 히터(114)가 작동되면 주제통(110)에 공급된 주제(20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2주제 히터(428)가 작동되면 제2주제 호스(625)의 온도가 상승하고, 제2경화제 히터(438)가 작동되면 제2경화제 호스(635)의 온도가 상승한다.
상기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면 경화제통(130)에 공급된 경화제(30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가 작동되는 경우는 주제(200)가 제2주제 호스(625)에 유입되기 전이고 경화제(300)가 제2경화제 호스(635)에 유입되기 전인 비어 있는 상태이다.
비어 있는 상태인 상기 제2주제 호스(625)와 제2경화제 호스(635)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제1주제 히터(114)가 작동되어 주제통(110)에 공급된 주제(200)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어 경화제통(130)에 공급된 경화제(30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보다 용이하다.
상기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S130)는 주제통(110)의 주제(200) 온도를 측정하는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제2주제 호스(625)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주제 센서(429)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제2경화제 호스(635)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경화제 센서(439)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경화제통(130)의 경화제(300) 온도를 측정하는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2주제 호스(625)와 제2경화제 호스(635)가 정온전선을 이용한 히팅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의 온도가 자동으로 유지될 수 있어 제1주제 센서(116)와 제2주제 센서(429)가 불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770)는 제1주제센서(116)에서 전달되는 주제(200)의 온도를 나타내고, 제2디스플레이부(780)는 제1경화제 센서(136)에서 전달되는 경화제(300)의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히터들 멈춤 단계(S140)는 상기 제1주제 히터(114) 멈춤 과정과, 제2주제 히터(428) 멈춤 과정 및 제2경화제 히터(438) 멈춤 과정과, 제1경화제 히터(134) 멈춤 과정이 포함된다.
상기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 범위 내인 경우는 제1주제 히터(114) 멈춤 과정으로 진행되고 제1주제 센서(116)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주제 히터(114) 작동 단계로 다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주제 센서(429)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제2주제 센서(429)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 범위 내인 경우는 제2주제 히터(428) 멈춤 과정으로 진행되고, 제2주제 센서(429)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2주제 히터(428) 작동 단계로 다시 이동된다.
상기 제2경화제 센서(439)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제2경화제 센서(439)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 범위 내인 경우는 제2경화제 히터(438) 멈춤 과정으로 진행되고, 제2경화제 센서(439)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2경화제 히터(438) 작동 단계로 다시 이동된다.
상기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 범위 내인 경우는 제1경화제 히터(134) 멈춤 과정으로 진행되고, 제1경화제 센서(136)의 온도가 섭씨 50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경화제 히터(134) 작동 단계로 다시 이동된다.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S150)는 펌프 스위치(71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고,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는 과정이다.
상기 펌프 스위치(71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면 주제 펌프(410)와 경화제 펌프(430)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면 유압 유니트 작업 표시등(722)이 점등되면서 유압 공급부(510)가 작동되고,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의 작동이 정지되고 제2히터 작업 표시등(742)이 소등된다.
그리고 컴프레셔 스위치(760)는 작동(ON) 모드 상태에서 컴프레셔 작업 표시등(762)이 점등되고 에어 컴프레셔(704)에 압축 공기가 보충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컴프레셔 스위치(760)를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S150)에서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포 작업 수행 단계(S160)는 사용자가 분사건(700)을 작동시키면서 발포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 주제(200)와 경화제(300)의 혼합액을 발포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주제통(110)의 주제(200)는 제1주제 호스(112)를 통하여 주제 펌프(410)로 이동되어 제2주제 호스(625)를 통하여 분사건(700)으로 이동되며, 경화제통(130)의 경화제(300)가 제2경화제 호스(635)를 통하여 경화제 펌프(430)로 이동되어 제2경화제 호스(635)를 통하여 분사건(700)으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분사건(700)을 작동하면 주제(200)와 경화제(300)는 같은 비율로 혼합되어 분사된다.
분사된 주제(200)와 경화제(300)의 혼합액은 분사지점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부피가 팽창하면서 단열 격벽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종료 단계는 발포 작업이 완료되어 종료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인 발포장치(100)의 세척작업 단계(S200)는 도 16과 같이 세분화되며, 시작 단계를 거쳐 세척수 투입 단계(S210)가 진행되고, 상기 세척수 투입 단계(S210)를 거친 후에 스위치들 수동 모드 단계(S220)가 진행되며, 상기 스위치들 수동 모드 단계(S220)가 진행된 후에 스위치들 정지(OFF) 단계(S230)가 진행되고, 상기 스위치들 정지(OFF) 단계(S230)가 진행된 후에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작동(ON) 단계(S240)가 진행되며,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작동(ON) 단계(S240)가 진행된 후에 세척 작업 수행 단계(S250)가 진행되며, 상기 세척 작업 수행 단계(S250)가 진행된 후 종료된다.
상기 세척수 투입 단계(S210)는 주제통(110)에 남아 있는 주제(200)를 비우고, 경화제통(130)에 남아 있는 경화제(300)를 비운 후에 주제통(110)과 경화제통(130)에 세척수를 투입하는 과정이다.
상기 스위치들 수동 모드 단계(S220)는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고,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상기 펌프 스위치(710)는 정지(OFF) 모드이고,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도 정지(OFF) 모드이며, 컴프레셔 스위치(760)는 정지(OFF) 모드이거나 작동(ON) 모드에서 컴프레셔 작업 표시등(762)이 소등된 상태이다.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1주제 히터(114)가 작동되며 제1주제 히터 작업 표시등(732)이 점등되고,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 제1주제 히터(114)를 작동시켜 주제통(11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2주제 히터(428)가 작동되고, 제2경화제 히터(438)도 작동되며, 제2히터 작업 표시등(742)이 점등되고,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 제2주제 히터(428)와 제2경화제 히터(438)를 작동시켜 제2주제 호스(625)와 제2 경화제(300) 호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수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1경화제 히터(134)가 작동되며 제1경화제 히터 작업 표시등(752)이 점등되고,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 제1경화제 히터(134)를 작동시켜 경화제통(13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들 정지(OFF) 단계(S230)가 진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제1주제 히터 스위치(730)가 정지(OFF) 위치로 전환되고, 제2 히터 스위치(740)가 정지(OFF) 위치로 전환되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750)가 정지(OFF) 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작동(ON) 단계(S240)가 진행되면 펌프 스위치(710)가 작동(ON) 모드로 전환되고, 유압 유니트 스위치(720)도 작동(ON) 모드로 전환되며, 컴프레셔 스위치(760)는 정지(OFF) 모드인 경우에 작동(ON)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 작업 수행 단계(S250)에서 작업자가 분사건(700)을 작동시키면 주제통(110)과 경화제통(130)에 투입된 세척수가 제1주제 호스(112), 제1경화제 호스(132), 주제 펌프(410), 경화제 펌프(430), 제2주제 호스(625), 제2경화제 호스(635)를 경유하여 분사건(700)으로 발사되면서 주제(200)와 경화제(300)의 잔여물을 배출하면서 세척한다.
상기 세척 작업 수행 단계(S250)를 통하여 세척이 완료되면 종료된다.
도 17은 본 발명인 발포장치의 제2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발포장치(100)의 제2실시례는 제1실시례 부분과 유사한 부분이 있어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발포장치(100)의 제2실시례는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466)와 유압 유니트 프레임부(530)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이다.
즉,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466)와 유압 유니트 프레임부(530)가 일체형 유니트 프레임부(800)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유니트 프레임부(800)에 펌프 유니트 부분(400)인 주제 펌프(410), 경화제 펌프(430), 실린더부(450), 주제 관로(412), 경화제 관로(432), 주제 어큐뮬레이터(414), 및 경화제 어큐뮬레이터(434)가 내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유압 유니트 부분(500)인 유압 공급부(510)가 위치된다.
제2실시례에서 일체형 유니트 프레임부(800)의 무게는 제1실시례에서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466)와 유압 유니트 프레임부(530)를 합친 무게와 대략 동일하다.
상기 일체형 유니트 프레임부(800)의 무게는 약 140Kg중이고, 펌프 유니트 프레임부(466)의 무게가 약 70Kg중이며, 유압 유니트 프레임부(530)의 무게가 약 70Kg중이다.
상기 제2실시례의 경우에 제1실시례의 경우에 비해서 하나의 일체형 유니트 프레임부(800)로 형성되어 관리가 간편하고, 실린더부(450)와 유압 공급부(510) 사이에는 제1 유압 호스(550)와, 상기 제1 유압 호스(55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유압 호스(570)가 고정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실린더부(450)에 제1 유압 호스(550)를 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제1 퀵커플러(560)와 제2 유압 호스(570)를 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제2 퀵커플러(580)가 생략되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발포장치 110: 주제통
112: 제1주제 호스 114: 제1주제 히터
130: 경화제통 132: 제1경화제 호스
134: 제1경화제 히터 200: 주제
300: 경화제 400: 펌프 유니트 부분
410: 주제 펌프 412: 주제 관로
414: 주제 어큐뮬레이터 430: 경화제 펌프
432: 경화제 관로 434: 경화제 어큐뮬레이터
450: 실린더부 500: 유압 유니트 부분
600: 공급 호스부 700: 분사건

Claims (7)

  1. 주제통에 담긴 주제와 경화제통에 담긴 경화제를 펌핑하도록 형성되는 펌프 유니트 부분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유니트 부분과,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에서 전달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분사되어야 할 위치까지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호스부와,
    상기 공급 호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건과,
    상기 분사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주제통에 담긴 주제와 경화제통에 담긴 경화제를 가열하는 재료 가열 히터와 상기 공급 호스부를 가열하는 호스 가열 히터에 공급되는 제1전력과, 상기 유압 유니트 부분과 에어 컴프레셔에 공급되는 제2전력을 택일적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료 가열 히터는
    상기 주제통의 주제를 가열하도록 형성되는 제1주제 히터와,
    상기 경화제통의 경화제를 가열하도록 형성되는 제1경화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은
    상기 제1주제 호스와 연결되는 주제 펌프와,
    상기 제1경화제 호스와 연결되는 경화제 펌프, 및
    상기 주제 펌프와 경화제 펌프에 연결되어 주제 펌프와 경화제 펌프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 호스부는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과 분사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주제 호스와 제2경화제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 가열 히터는
    상기 제2주제 호스와 제2경화제 호스를 가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 유니트 부분에 전달되는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인 펌프 스위치와,
    상기 유압 유니트 부분을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유압 유니트 스위치와,
    상기 제1주제 히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제1주제 히터 스위치와,
    상기 호스 가열 히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제2 히터 스위치와,
    상기 제1경화제 히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 및
    상기 에어 컴프레셔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인 컴프레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
  6. 청구항 5의 발포장치에서 제1주제 히터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고, 제2 히터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는 자동운전 모드 스위치 온(ON) 단계와,
    상기 자동운전 모드 스위치 온(ON)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히터들 작동 단계와,
    상기 히터들 작동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와,
    상기 센서들 온도 판단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히터들 멈춤 단계와,
    상기 히터들 멈춤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가 정지(OFF) 모드에서 작동(ON) 모드로 이동되는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 및
    상기 유압 유니트 스위치 등 온(ON) 단계를 거친 후에 진행되는 발포 작업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의 작동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히터들 작동 단계는
    상기 제1주제 히터 스위치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제1주제 히터가 작동되고,
    상기 제2 히터 스위치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호스 가열 히터가 작동되며,
    상기 제1경화제 히터 스위치가 작동(ON) 모드에 위치되어 제1경화제 히터가 작동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장치의 작동방법.

KR1020200031448A 2020-03-13 2020-03-13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32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48A KR102322760B1 (ko) 2020-03-13 2020-03-13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48A KR102322760B1 (ko) 2020-03-13 2020-03-13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37A true KR20210115537A (ko) 2021-09-27
KR102322760B1 KR102322760B1 (ko) 2021-11-05

Family

ID=7792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48A KR102322760B1 (ko) 2020-03-13 2020-03-13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7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852U (ja) * 1993-03-12 1994-10-04 アキレス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発泡機
KR100980089B1 (ko) 2009-08-19 2010-09-03 통진엔지니어링(주) 아미노 플라스트를 이용한 지반강화 및 충진재 발포장치
JP2017029903A (ja) * 2015-07-30 2017-02-09 旭有機材株式会社 遠隔監視操作装置を備えた現場吹付け型発泡機
KR20190069765A (ko) * 2017-12-12 2019-06-20 유장빈 이액형 분사장치
JP2021045715A (ja) * 2019-09-19 2021-03-25 株式会社Bacホールディングス 二液混合吐出装置および二液混合吐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852U (ja) * 1993-03-12 1994-10-04 アキレス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発泡機
KR100980089B1 (ko) 2009-08-19 2010-09-03 통진엔지니어링(주) 아미노 플라스트를 이용한 지반강화 및 충진재 발포장치
JP2017029903A (ja) * 2015-07-30 2017-02-09 旭有機材株式会社 遠隔監視操作装置を備えた現場吹付け型発泡機
KR20190069765A (ko) * 2017-12-12 2019-06-20 유장빈 이액형 분사장치
JP2021045715A (ja) * 2019-09-19 2021-03-25 株式会社Bacホールディングス 二液混合吐出装置および二液混合吐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760B1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5494B2 (ja) ガス及び流体材料の混合物を吐出する装置及び方法
CN102362121B (zh) 加热烹调器
JP6262766B2 (ja) 噴霧装置用複式ヒータシステム
KR102322760B1 (ko) 발포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140036653A (ko)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220416B (zh) 供液系统、供液系统的控制方法以及清洁机器人
KR101060684B1 (ko) 스팀 해빙기의 작동제어방법
JP506023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34133A (ko) 스팀세차기
US7275699B2 (en) Mobile pumping unit for dispensing insulating material in situ
KR200243907Y1 (ko) 스팀 세차기
CN102762140B (zh) 餐具清洗机
JP5681388B2 (ja) 液化二酸化炭素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装置
JP525538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装置
JP5629494B2 (ja) 液化二酸化炭素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装置
KR102068936B1 (ko) 세척이 가능한 휴대용 우레탄 발포장치
CN214949771U (zh) 一种施工用热水供给装置
CN212215942U (zh) 一种小流量发泡机
CN111604181A (zh) 一种小流量发泡机及发泡方法
JPH0585220B2 (ko)
CN104084332A (zh) 双组份高压力可调比例的防火涂料喷涂设备
KR100497631B1 (ko) 단열 내화 도료의 분사 장치
CN212264060U (zh) 水压试验泡沫清管器收发装置
JP6063770B2 (ja) 混合噴射装置の異常予告装置
KR101536510B1 (ko) 고압안수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