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32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5326A KR20210115326A KR1020200030915A KR20200030915A KR20210115326A KR 20210115326 A KR20210115326 A KR 20210115326A KR 1020200030915 A KR1020200030915 A KR 1020200030915A KR 20200030915 A KR20200030915 A KR 20200030915A KR 20210115326 A KR20210115326 A KR 202101153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hook
- outer frame
- frame
- do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2 l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프런트 커버를 전방에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런트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및 손가락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프런트 커버의 곡면 구조로 손잡이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손잡이의 설치면적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를 잡아당기기 위해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함께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의류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된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며 의류 투입구를 통해 돌출되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은 도어의 닫힘 시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과, 본체의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어 개방 시 도어를 잡아당기기 위해, 손잡이를 도어 프레임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프런트 글라스가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될 경우에, 깨지기 쉬운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프런트 글라스의 특성으로 인해, 손잡이를 프런트 글라스에 형성하거나 부착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캐비닛의 프런트 커버가 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 도어 프레임과 프런트 커버 사이의 갭이 좁아져서 손잡이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손잡이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도어 프레임에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조립성 향상 및 체결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프런트 커버를 전방에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런트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및 손가락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중심을 각각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반경방향 중심선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과 상기 프런트 글라스를 향해 함몰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방향 외측과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의 반경방향 외측과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함께 상기 손가락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가 면접촉되게 설치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평면부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 가이드; 및 상기 평면부의 외주부에서 상기 장착 가이드와 반대편인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측면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외주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상기 측면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평면부의 후면까지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당김 시 걸리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에 상기 제1손잡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을 상기 제1손잡이부로 이동 가능하게 유도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 내측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후크; 및 상기 복수의 제1후크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가 맞물리는 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후크 사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1후크 사이에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두께방향으로 상기 제1후크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후크 각각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바디; 및 상기 후크바디의 단부에서 상기 제2후크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상기 후크돌기와 상기 내측 단부 사이의 갭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향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맞물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경사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맞물림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맞물림면과 면접촉되게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맞물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후크 각각은, 상기 제2후크와 체결 시 상기 후크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상기 후크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후크바디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제1손잡이부와 체결 시 상기 제2손잡이부의 함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상기 제2손잡이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의류투입구의 중심을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상하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기 프런트 커버의 중앙부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좌우 양단부보다 더 볼록하게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의류투입구를 감싸며 상기 프런트 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의해 덮이도록 배치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손잡이는 도어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하지 않고도 손잡이의 설치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둘째, 프런트 커버의 중앙부가 프런트 커버의 양측 단부보다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프런트 커버가 도어 프레임의 측면을 더 많이 덮음으로 인해 도어 프레임의 외주면과 프런트 커버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본체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의 측면에 손잡이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포켓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손잡이가 도어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도어의 개폐 시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는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를 체결하기 위해, 복수의 제1후크가 아우터 프레임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후크가 이너 프레임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서로 맞물리게 체결됨으로써,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섯째, 제2후크는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후크의 후크돌기와 상기 내측 단부 사이의 갭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후크와 제2후크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제2손잡이부의 단부에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가이드 돌기는 복수의 제1후크 사이로 돌출되어,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된다.
일곱째, 복수의 제1후크가 형성되는 아우터 프레임에 복수의 관통홀이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복수의 제1후크를 사출 성형 후 금형 빼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1후크는 관통홀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1후크와 제2후크의 체결 시 제1후크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덟째, 제1후크는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바디와 후크바디의 단부에서 제2후크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한다. 후크돌기는 후크바디에서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과 후크바디에서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향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맞물림면을 포함한다. 제2후크는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과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맞물림면과 면접촉되게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맞물림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후크와 제2후크의 체결 시 제2경사면은 제1경사면의 외측에 면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경사면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맞물림면과 제2맞물림면은 서로 수직하게 면접촉함으로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홉째, 제1후크의 후크바디는 후크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후크바디의 배면에 리브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후크바디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열째, 제2손잡이부는 이너 프레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손잡이부는 제1손잡입부와 체결 시 이너 프레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제2손잡이부의 배면에 복수의 보강리브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2손잡이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원형 글라스 도어가 장착된 프런트 커버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I-III를 따라 취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IV-IV를 따라 취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도어 어셈블리를 측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도어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VIV를 확대하여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에서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와 제1후크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2은 도 9의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XIII-XIII를 따라 취하여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후크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크 체결구조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원형 글라스 도어가 장착된 프런트 커버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I-III를 따라 취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IV-IV를 따라 취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도어 어셈블리를 측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도어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VIV를 확대하여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에서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와 제1후크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2은 도 9의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XIII-XIII를 따라 취하여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의 후크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크 체결구조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원형 글라스 도어(110)가 장착된 프런트 커버(102)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I-III를 따라 취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IV-IV를 따라 취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0), 의류수용부 및 도어(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프런트 커버(102), 본체 바디(101), 탑 커버(105),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2)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2)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2)는 전면부, 좌우 측면부(116), 상면부 및 하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부에 의류투입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는 의류투입구(103)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의류투입구(10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투입구(103)의 중심은 프런트 커버(102)의 높이방향으로 중심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전면부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의 중심부가 전면부의 좌우 양측 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전면부는 전면부의 좌우 양측 단부에서 전면부의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좌우 측면부(116) 각각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좌우 측면부(116) 각각은 전면부의 좌우 양단에서 본체 바디(101)를 향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좌우 측면부(116) 각각은 본체 바디(101)의 좌우 양측면 전단에 결합된다.
상면부와 하면부 각각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면부와 하면부 각각은 전면의 상단과 하단에서 본체 바디(101)를 향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면부는 프런트 커버(10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어패널(106)과 결합될 수 있다.
하면부는 베이스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 바디(10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바디(101)의 전방부는 개방된다. 프런트 커버(102)와 제어패널(106)은 본체 바디(101)의 전방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의류처리장치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본체 바디(101)의 좌우 측면부(116)와 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본체 바디(101)의 후방면부는 한 몸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본체 바디(101)는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키며 하중에 잘 견딜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2)에 리세스부(104)가 의류투입구(103)를 감싸도록 본체(10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의류투입구(103)는 리세스부(104)의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110)의 일부는 리세스부(104)에 수용될 수 있다.
도어(110)는 의류투입구(103)를 개폐하도록 프런트 커버(10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41)로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 의류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수용부는 터브와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수용부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을 구비하거나,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
터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터브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축이 수평하거나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드럼은 터브의 내부에 구비되고, 터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터브의 전단부에 가스켓이 의류투입구(103)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본체(100)의 수용공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의 전방부는 개방되어, 의류 투입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의류 투입구를 통해 드럼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터브의 후면에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는 드럼의 후면에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축을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드럼에 전달됨으로,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의 원주면에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세탁수 등과 같은 유체가 복수의 연통홀을 통해 드럼의 내부에 출입할 수 있다.
드럼은 내부에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하여,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회전시킴으로,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패널(106)은 본체(100)에 구비되거나 도어(11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패널(106)이 본체(100)의 프런트 커버(102)의 상측에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제어패널(106)은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제어패널(106)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원형의 노브 및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패널(106)은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도어(110)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도어(110) 어셈블리를 측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도어(110)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어(110)는 도어 프레임(112), 프런트 글라스(111), 도어 윈도우(126), 힌지(141) 유닛(140) 및 로킹 유닛(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2)은 아우터 프레임(113)(outer frame)과 이너 프레임(120)(inner 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전후방향으로 중첩 배치된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후면에 체결돌기(12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0)의 전면에 돌기수용부(124)가 체결돌기(123)를 수용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수용부(124)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수용홈은 체결돌기(1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23)는 돌기수용부(124)에 삽입됨으로, 돌기수용부(124)와 서로 형합(형상에 맞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의 명명 이유를 설명하면,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은 도어(11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아우터 프레임(113)은 본체(100)의 바깥쪽을 향하고, 이너 프레임(120)은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 명명된 것이다. 아우터 프레임(113)은 제1프레임으로 명명되고, 이너 프레임(120)은 제2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의 내측에 원형의 개구부(122)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개구부(122)는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22)의 중심이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의 외측 직경과 내측 직경(개구부(122) 직경) 사이의 거리(폭)가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의 중심은 본체(100)의 높이 중심(전체 높이 대비 절반)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본체(10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세탁기의 동일 용량 및 크기 대비 도어(110)의 크기가 큰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도어(110)를 통해 드럼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고, 가능하면 드럼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선호한다.
상술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 드럼이 본체(10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110)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10)는 아래 방향으로 커져야 한다.
도어 프레임(112)의 중심은 의류 투입구 또는 개구부(122)의 중심보다 아래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112)은 개구부(122)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도어 윈도우(126)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중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어(110)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10)의 일부는 리세스부(10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10)의 직경은 리세스부(104)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런트 글라스(111)는 사용자가 본체(100)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아우터 프레임(113)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111)는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111)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111)의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111)는 두께가 일정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어디에서 바라보아도 굴곡 없이 형성된다.
이처럼, 유리 재질의 프런트 글라스(111)가 원형 형태로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합성수지 재질의 도어(110) 커버 대비, 도어(110)의 고급감이 향상된다.
프런트 글라스(111)는 도어 프레임(112)의 개구부(122)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111)가 실런트(sealant)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유리재질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111)에 체결홀을 뚫으면 깨지기 쉬우므로, 유리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글라스(111)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아우터 프레임(113)에 부착된다.
한편, 프런트 글라스(111)는 유리재질로 도어(110)의 전체 하중 대비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차지한다. 프런트 글라스(11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13)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111)의 장착을 위한 장착 가이드(115)가 구비된다.
특히, 프런트 글라스(111)는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강화 유리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111)의 전면과 후면은 강도가 세지만, 프런트 글라스(111)의 측면인 원형의 외주면은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착 가이드(115)는 프런트 글라스(1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113)의 전면 외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111)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프런트 글라스(111)의 측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115)의 돌출 길이는 프런트 글라스(111)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 정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장착 가이드(115)의 돌출 길이가 너무 지나치게 짧을 경우에 외부 충격이 프런트 글라스(111)의 외주면에 가해질 수 있고, 프런트 글라스(111)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장착 가이드(115)는 원형의 링 형태로 돌출되어, 장착 가이드(115)의 내측에 프런트 글라스(111)가 수용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115)의 내경은 프런트 글라스(111)의 외경에 대응되어, 장착 가이드(115)는 프런트 글라스(1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115)는 프런트 글라스(111)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가이드(115)와 프런트 글라스(111)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111)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투광 영역(1111)과 불투광 영역(1112)이 형성될 수 있다.
투광 영역(1111)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1111)은 반투광 영역(1111)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투광 영역(1111)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개구부(122), 이너 프레임(120)의 개구부(122) 및 도어 윈도우(126)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광 영역(1111)을 통해 의류수용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투광 영역(1111)의 중심은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 각각의 개구부(122)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라 함은 중심의 완전한 일치뿐만 아니라, 중심의 편심방향이 같은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투광 영역(1111)의 중심과 개구부(122)의 중심은 일치할 수도 있고, 투광 영역(1111)의 편심된 방향이 개구부(122)의 편심된 방향과 같을 수도 있다.
불투광 영역(1112)은 투광 영역(1111)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불투광 영역(111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유리 자체가 검정색으로 보일 수 있다.
불투광 영역(1112)은 도어 프레임(112)의 개구부(122) 및 도어 프레임(112)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어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투광 영역(1111)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1112) 사이의 경계선은 불투광 영역(1112)에 의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또는,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투광 영역(1111)과 불투광 영역(1112)의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투광 영역(1111)에서 불투광 영역(1112)으로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불투광 영역(1112)은 투광 영역(1111)의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은 투광 영역(111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은 측면부(116)(도 9 참조), 평면부(114)와 제1곡면부(117)로 구성될 수 있다.
측면부(116)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측면을 형성한다. 측면부(116)는 장착 가이드(115)로부터 이너 프레임(120)의 외주단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116)의 후단은 이너 프레임(120)의 외주단의 일부를 덮도록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0)의 외주단부에 오목홈부(127; 도 9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16)는 이너 프레임(120)의 오목홈부(127)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116)와 오목홈부(127)는 서로 형합될 수 있다.
평면부(114)는 프런트 글라스(111)의 후면과 접촉되며, 평면부(114)의 일부는 불투광 영역(111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14)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프런트 글라스(111)가 평면부(114)에 접착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 전면에 접착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홈이 평면부(114)의 전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접착제 충전홈(1181)에 수용되며, 프런트 글라스(111)의 후면은 접착제에 의해 평면부(114)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접착제 충전홈(1181)에 충전될 때 접착제 충전홈(1181)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넘칠 수 있다. 접착제 충전홈(1181)으로부터 넘치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해, 접착제 충전홈(1181)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접착제 넘침홈(1182)이 링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111)의 불투광 영역(1112)은 평면부(114)의 접착제 충전홈(1181) 및 접착제 넘침홈(118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14)의 하측에 복수의 물빠짐 홀(119)이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111)의 후면과 아우터 프레임(113)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 또는 습기가 물빠짐 홀(119)을 통해 도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곡면부(117)는 평면부(114)의 내측단에서 이너 프레임(120)의 개구부(122) 외측 둘레를 향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14)의 내측 부분과 제1곡면부(117)는 투광 영역(1111)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곡면부(117)의 반경방향 내측에 개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곡면부(117)의 후면에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139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1391) 각각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139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곡면부(117)의 후면에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1392)가 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1392) 각각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1392) 각각은 원주방향 리브(1391)의 내측면에서 아우터 프레임(113)의 개구부(122)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1391)와 반경방향 리브(1392)는 아우터 프레임(113), 특히 제1곡면부(117)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1391)는 평면부(114)의 후면에 형성된 제1후크(133)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전면과 외주면에 도금층(1131)이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은 크롬 도금액에 완전히 침지되어, 크롬 도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13)의 전체 표면에 도금층(11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1131)은 은색 광택의 금속 색깔을 아우터 프레임(113)에 입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도금층(1131)은 밝은 은색에 의해 원형의 물방울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금층(1131)은 육안으로 볼 때 고급감 등의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0)의 후면에 제2곡면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0)의 제2곡면부(121)는 리세스부(104)를 향해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제2곡면부(121)는 리세스부(104)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이너 프레임(120)의 제2곡면부(121)는 리세스부(104)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26)는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26)는 이너 프레임(120)의 개구부(122)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2)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26)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 윈도우(126)를 통해 드럼 등 의류수용부의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도어 윈도우(126)는 합성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제1곡면부(117) 내측단부와 이너 프레임(120)의 내측단부 사이에 도어 윈도우(126)의 외곽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어(110)가 닫힘 상태에서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의 일부는 리세스부(104)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의 다른 일부는 리세스부(104)에 수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는 리세스부(104)의 외측에 배치되되, 리세스부(104)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아우터 프레임(113)의 제1곡면부(117)의 후단부는 리세스부(104)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0)의 외주부는 리세스부(104)에서 외측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너 프레임(120)의 내주부는 리세스부(104)에 수용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2)은 리세스부(104)의 수직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2)의 하단부가 도어 프레임(112)의 상단부보다 전방으로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110)는 힌지(141) 유닛(140)에 의해 본체(10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141) 유닛(140)은 힌지(141), 힌지 홀더(142) 및 부시(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141)는 본체(100)에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141)는 본체(1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부(1411)와, 베이스부(1411)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1412)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결합부(141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힌지 홀더(142)는 도어 프레임(112)에 결합되어 회전 결합부(1412)를 지지하고, 회전 결합부(1412)가 도어 프레임(1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시(143)는 회전 결합부(1412)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10)의 일측에 힌지(141) 유닛(140)이 장착되고, 도어(110)의 타측에 로킹 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로킹 유닛(150)은 도어(110)를 본체(10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유닛(150)은 샤프트(151), 도어 래치(152)(door latch) 및 스프링(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51)는 도어 래치(15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도어 프레임(112)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153)은 도어 래치(152)의 회전 시 원복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래치(152)는 도어 프레임(112)에 회전 및 원복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어(110)를 본체(10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2)은 리세스부(104)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세탁행정 시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가득 찬 상태로 회전할 때 도어 윈도우(126)의 후면과 세탁물의 충돌로 인해 충격이 도어 윈도우(126)의 후면 하측에 가해질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2)의 하단부는 충격에 의해 리세스부(104)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들썩이며, 도어 프레임(112)의 상단부는 리세스부(104)를 향해 이동하여 리세스부(104)의 함몰이 시작되는 지점 부근에 부딪힘으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는 도어 프레임(112)과 리세스부(104)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12)에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도어 프레임(112)과 리세스부(104)의 접촉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리세스부(104)에 수용된 이너 프레임(120)의 후면 상측에 돌출부(125)가 리세스부(104)를 향해 돌출되어, 리세스부(104)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110) 닫힘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12)의 하단부에 충격이 가해져도, 돌출부(125)가 리세스부(104)로부터 분리 또는 이격되지 않고 리세스부(104)에 항시 접촉됨으로써, 충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112)의 상단부가 도어 프레임(112)의 하단부보다 리세스부(104)에 더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25)가 리세스부(104)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102)(전면부)의 중심을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상하방향 중심선을 따라 프런트 커버(102)의 중앙부가 프런트 커버(102)의 좌우 양단부보다 더 볼록하게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10)를 손으로 잡아당겨 개방하도록 손잡이(130)는 도어 프레임(11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프레임(112)의 상부란 도어 프레임(112)의 중심을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 반경방향으로 지나는 반경방향 중심선의 위쪽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손잡이(130)가 도어 프레임(112)의 하부에 구비되면, 사용자가 허리를 그만큼 더 많이 구부려야 하기 때문이다.
프런트 커버(102)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도어 프레임(112)의 상단부가 도어 프레임(112)의 하단부보다 리세스부(104)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도어 프레임(112)에 손잡이(130)를 설치하거나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이 협소하다.
도 9는 도 8에서 VIV를 확대하여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에서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와 제1후크(133)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136)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2은 도 9의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0에서 XIII-XIII를 따라 취하여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의 후크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크 체결구조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어 프레임(112)에 설치 가능한 손잡이(130)의 면적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 손잡이(130)는 도어 프레임(112)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런트 커버(102)의 곡면 구조로 인해 도어 프레임(112)의 상측 일부가 프런트 커버(102)의 리세스부(104)에 수용되며 도어 프레임(112)과 프런트 커버(102) 사이의 공간으로 손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둘째, 도어 프레임(112)의 전면은 프런트 글라스(111)에 의해 덮여져서 손잡이(130)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손잡이(130)는 리세스부(10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측면과 이너 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이 도어 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3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112)과 함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손잡이(130)는 복수의 손가락(예,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도어 프레임(112)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도어 프레임(112)의 측면에 포켓(pocke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도어 프레임(112)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132)는 이너 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는 제2손잡이부(13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의 포켓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배면에서 제2손잡이부(132)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는 리세스부(104)를 향해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손잡이부(132)는 제1손잡이부(131)를 향해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측면부(116)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 반대편인 배면에서 평면부(114)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아우터 프레임(113)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132)는 이너 프레임(120)의 외주부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이너 프레임(120)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면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측면부(116)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면은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는 리세스부(10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132)의 일부는 리세스부(104)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손잡이부(132)의 다른 일부는 리세스부(104)의 내측에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의 후측인 제1손잡이부(131)의 전면부는 도어 프레임(11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전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끝과 접촉되어 잡아당겨질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전면부를 덮도록 고무재질의 손잡이(130) 패드가 부착되어, 손가락으로 잡아당길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30) 패드는 사용자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는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기 위한 인입 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기도록 인출하는 힘을 받도록 이루어진다.
제2손잡이부(132)는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기 위한 인입 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이동을 제1손잡이부(131)로 유도하도록 이루어진다.
손잡이(130)는 두 개의 부품, 즉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를 견고히 체결하기 위해 복수의 후크 체결구조를 포함한다.
손잡이(130)는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후크(133)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의 반대편인 후면부에 구비된다. 제1후크(133)는 이너 프레임(12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133)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된다.
복수의 제1후크(133)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1후크(133)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와 인접하게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제1후크(133)와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 사이에 관통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36)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첫째, 관통홀(136)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사출 성형 후 금형빼기 시 제1후크(133)로부터 금형을 원활하게 빼기 위해 구비된다.
둘째, 관통홀(136)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사출 성형 시 합성수지를 제1후크(133) 성형부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셋째, 관통홀(136)은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의 체결 시 제1후크(133)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후크(133)는 관통홀(136)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관통홀(136)은 제1후크(133)와 대응되게 복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홀(136)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에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금형은 관통홀(136)을 통해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삽입된 후, 합성수지의 사출 성형 후 관통홀(136)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제1후크(133)는 후크바디(1331)와 후크돌기(1332)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바디(1331)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후면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크바디(1331)는 두께가 일정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바디(1331)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손잡이부(131)의 상단부와 하단부(도 11 기준)는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위치한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는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중간부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폭방향 중심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는 제1손잡이부(1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한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보다 더 곡률이 작거나 직선 형태에 가깝게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홀(136)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36)은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후크바디(1331)는 폭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돌기(1332)는 후크바디(1331)의 단부에서 아우터 프레임(113)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쐐기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돌기(1332)의 쐐기 형태란 직각삼각형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바디(1331)와 후크돌기(1332)의 높이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돌기(1332)는 후크바디(1331)의 연장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될 수 있다. 후크바디(1331)의 연장길이보다 더 짧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바디(1331)와 복수의 후크돌기(1332)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바디(1331)를 사이에 두고 관통홀(136)의 반대편에 리브(13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37) 각각은 제1후크(13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후크바디(133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7)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7)는 후크바디(1331)에서 후크돌기(1332)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7)는 후크바디(133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137)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7)의 밑면은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리브(137)의 높이면은 후크바디(1331)의 일측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외측 단부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반경방향으로 외측 단부와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제2손잡이부(132)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와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는 단차 없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의 연결부분이 서로 단차가 없어서 외관상 미려하고, 이물감이 없고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제2후크(134)는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에서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를 향해 이너 프레임(12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후크(134)는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후크(134)는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후크(134)는 제1후크(133)와 달리 한 개로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후크(134)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에서 관통홀(136)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후크(134)의 일부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에 의해 덮여져서 도어 프레임(112)의 외측으로 노출됨이 없이 가려질 수 있다.
제2후크(134)는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를 향해 서로 맞물리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와 제2후크(134) 각각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는 제1경사면(1333)과 제1맞물림면(1334)을 구비한다.
제1경사면(1333)은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를 지나는 수평면에서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맞물림면(1334)은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맞물림면(1334)은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와 기설정된 갭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후크(134)는 제2경사면(1342)과 제2맞물림면(1343)을 구비한다.
제2경사면(1342)은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의 수평면에서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의 제1맞물림면(1334)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1333)과 제2경사면(1342)은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의 체결 시 서로 면접촉되어, 제1후크(133)가 제2후크(134)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맞물림면(1343)은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맞물림면(1343)은 제1맞물림면(1334)과 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맞물림면(1334)과 제2맞물림면(1343)은 서로 맞닿아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제1맞물림면(1334)과 제2맞물림면(1343)은 서로 수직하게 면접촉되어,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맞물림면(1343)이 서로 결합될 때, 제1후크(133)는 제2손잡이부(132)에 의해 덮여져서 손잡이(130)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가려짐으로, 외관상 미려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의 조립 시 아우터 프레임(113)과 이너 프레임(120)은 전후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프레임(120)이 아우터 프레임(113)을 향해 전방으로 가압되면 이너 프레임(120)의 돌기수용부(124)에 아우터 프레임(113)의 체결돌기(12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후크(134)의 제2경사면(1342)은 제1후크(133)의 제1경사면(1333)에 접촉된다. 제2경사면(1342)은 제1경사면(1333)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냄으로,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와 제1맞물림면(1334)은 서로 벌려져서 갭이 넓어진다.
제2후크(134)는 넓게 벌여진 갭을 통과하여 관통홀(136)을 향해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제1후크(133)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복원된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의 제1맞물림면(1334)과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 사이의 갭은 원래의 간격으로 좁혀진다.
계속해서,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의 제1맞물림면(1334)은 상승하여 제2후크(134)의 제2맞물림면(1343)에 맞물리게 되어 결합된다.
제1후크(133)는 캔틸레버와 같은 구조로 한쪽 끝이 아우터 프레임(113)의 평면부(114) 후면에 고정되고 다른 끝은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보 형태로 이루어짐으로, 탄성 변형되기 쉽다.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를 지지하는 리브(137)는 제1후크(133)의 탄성 변형에 대하여 아우터 프레임(113)의 지지력을 보상해줌으로써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와 반대편인 제2후크(134)의 외주면에 결합홈(1341)이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는 결합홈(134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의 두께는 결합홈(1341)의 깊이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가 서로 결합될 때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하나의 곡면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후크(134)의 단부에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135)는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 사이의 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와 복수의 가이드 돌기(135)는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5)는 서로 인접하는 후크돌기(133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5)는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가 체결되는 제2후크(134)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손잡이부(132)는 내측면에 복수의 보강리브(138)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리브(138)는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리브(138)는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리브(138)는 제2손잡이부(132)의 외측 단부에서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리브(138)의 일측은 제2손잡이부(132)의 외측 단부와 경계를 이루는 이너 프레임(120)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연결되고, 보강리브(138)의 타측은 제2후크(134)의 제2맞물림면(1343)과 맞닿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후크(133)와 복수의 보강리브(138)는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보강리브(138)는 제2손잡이부(13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130)는 도어 프레임(112)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111)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112)의 전면에 설치하지 않고도 손잡이(130)의 설치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프런트 커버(102)의 중앙부가 프런트 커버(102)의 양측 단부보다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프런트 커버(102)가 도어 프레임(112)의 측면을 더 많이 덮음으로 인해 도어 프레임(112)의 외주면과 프런트 커버(10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본체(100)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측면에 손잡이(13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포켓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130)가 도어 프레임(112)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도어(110)의 개폐 시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는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를 체결하기 위해, 복수의 제1후크(133)가 아우터 프레임(113)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후크(134)가 이너 프레임(120)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가 서로 맞물리게 체결됨으로써, 제1손잡이부(131)와 제2손잡이부(132)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후크(134)는 제1손잡이부(131)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후크(133)의 후크돌기(1332)와 상기 내측 단부 사이의 갭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제2손잡이부(132)의 단부에 복수의 가이드 돌기(135)가 형성되고, 복수의 가이드 돌기(135)는 복수의 제1후크(133) 사이로 돌출되어,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복수의 제1후크(133)가 형성되는 아우터 프레임(113)에 복수의 관통홀(136)이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복수의 제1후크(133)를 사출 성형 후 금형 빼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1후크(133)는 관통홀(136)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의 체결 시 제1후크(133)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후크(133)는 아우터 프레임(113)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바디(1331)와 후크바디(1331)의 단부에서 제2후크(134)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1332)를 포함한다. 후크돌기(1332)는 후크바디(1331)에서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1333)과 후크바디(1331)에서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를 향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맞물림면(1334)을 포함한다. 제2후크(134)는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1333)과 면접촉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1342)과 제2손잡이부(132)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맞물림면(1334)과 면접촉되게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맞물림면(134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의 체결 시 제2경사면(1342)은 제1경사면(1333)의 외측에 면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경사면(1333)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맞물림면(1334)과 제2맞물림면(1343)은 서로 수직하게 면접촉함으로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1후크(133)의 후크바디(1331)는 후크돌기(1332)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후크바디(1331)의 배면에 리브(137)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후크바디(133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제2손잡이부(132)는 이너 프레임(12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손잡이부(132)는 제1손잡입부와 체결 시 이너 프레임(12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제2손잡이부(132)의 배면에 복수의 보강리브(138)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2손잡이부(13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100 : 본체
101 : 본체 바디
102 : 프런트 커버 103 : 의류투입구
104 : 리세스부 105 : 탑 커버
106 : 제어패널 110 : 도어
111 : 프런트 글라스 1111 : 투광 영역
1112 : 불투광 영역 112 : 도어 프레임
113 : 아우터 프레임 1131 : 도금층
114 : 평면부 115 : 장착 가이드
116 : 측면부 117 : 제1곡면부
1181 : 접착제 충전홈 1182 : 접착제 넘침홈
119 : 물빠짐 홀 120 : 이너 프레임
121 : 제2곡면부 122 : 개구부
123 : 체결돌기 124 : 돌기수용부
125 : 돌출부 126 : 도어 윈도우
127 : 오목홈부 130 : 손잡이
131 : 제1손잡이부 132 : 제2손잡이부
133 : 제1후크 1331 : 후크바디
1332 : 후크돌기 1333 : 제1경사면
1334 : 제1맞물림면 134 : 제2후크
1341 : 결합홈 1342 : 제2경사면
1343 : 제2맞물림면 135 : 가이드 돌기
136 : 관통홀 137 : 리브
138 : 보강리브 1391 : 원주방향 리브
1392 : 반경방향 리브 140 : 힌지 유닛
141 : 힌지 1411 : 베이스부
1412 : 회전 결합부 142 : 힌지 홀더
143 : 부시 150 : 로킹 유닛
151 : 샤프트 152 : 도어 래치
153 : 스프링
102 : 프런트 커버 103 : 의류투입구
104 : 리세스부 105 : 탑 커버
106 : 제어패널 110 : 도어
111 : 프런트 글라스 1111 : 투광 영역
1112 : 불투광 영역 112 : 도어 프레임
113 : 아우터 프레임 1131 : 도금층
114 : 평면부 115 : 장착 가이드
116 : 측면부 117 : 제1곡면부
1181 : 접착제 충전홈 1182 : 접착제 넘침홈
119 : 물빠짐 홀 120 : 이너 프레임
121 : 제2곡면부 122 : 개구부
123 : 체결돌기 124 : 돌기수용부
125 : 돌출부 126 : 도어 윈도우
127 : 오목홈부 130 : 손잡이
131 : 제1손잡이부 132 : 제2손잡이부
133 : 제1후크 1331 : 후크바디
1332 : 후크돌기 1333 : 제1경사면
1334 : 제1맞물림면 134 : 제2후크
1341 : 결합홈 1342 : 제2경사면
1343 : 제2맞물림면 135 : 가이드 돌기
136 : 관통홀 137 : 리브
138 : 보강리브 1391 : 원주방향 리브
1392 : 반경방향 리브 140 : 힌지 유닛
141 : 힌지 1411 : 베이스부
1412 : 회전 결합부 142 : 힌지 홀더
143 : 부시 150 : 로킹 유닛
151 : 샤프트 152 : 도어 래치
153 : 스프링
Claims (17)
-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프런트 커버를 전방에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런트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및
손가락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중심을 각각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반경방향 중심선보다 높게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과 상기 프런트 글라스를 향해 함몰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반경방향 외측과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의 반경방향 외측과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함께 상기 손가락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가 면접촉되게 설치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평면부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 가이드; 및
상기 평면부의 외주부에서 상기 장착 가이드와 반대편인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측면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외주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상기 측면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평면부의 후면까지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당김 시 걸리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에 상기 제1손잡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을 상기 제1손잡이부로 이동 가능하게 유도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 내측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후크; 및
상기 복수의 제1후크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가 맞물리는 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후크 사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1후크 사이에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두께방향으로 상기 제1후크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후크 각각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바디; 및
상기 후크바디의 단부에서 상기 제2후크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상기 후크돌기와 상기 내측 단부 사이의 갭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
상기 후크바디에서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를 향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맞물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경사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맞물림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1맞물림면과 면접촉되게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맞물림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후크 각각은,
상기 제2후크와 체결 시 상기 후크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상기 후크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후크바디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제1손잡이부와 체결 시 상기 제2손잡이부의 함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상기 제2손잡이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2손잡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의류투입구의 중심을 상하방향으로 지나는 상하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기 프런트 커버의 중앙부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좌우 양단부보다 더 볼록하게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의류투입구를 감싸며 상기 프런트 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의해 덮이도록 배치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0915A KR102333384B1 (ko) | 2020-03-12 | 2020-03-12 | 의류처리장치 |
EP21161688.3A EP3879026B1 (en) | 2020-03-12 | 2021-03-10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202110259549.2A CN113389022B (zh) | 2020-03-12 | 2021-03-10 | 衣物处理装置 |
US17/199,900 US11976405B2 (en) | 2020-03-12 | 2021-03-12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0915A KR102333384B1 (ko) | 2020-03-12 | 2020-03-12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5326A true KR20210115326A (ko) | 2021-09-27 |
KR102333384B1 KR102333384B1 (ko) | 2021-12-01 |
Family
ID=7487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0915A KR102333384B1 (ko) | 2020-03-12 | 2020-03-12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976405B2 (ko) |
EP (1) | EP3879026B1 (ko) |
KR (1) | KR102333384B1 (ko) |
CN (1) | CN11338902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13266B2 (en) * | 2021-10-27 | 2024-02-27 | Whirlpool Corporation | Door assembly for a household appliance |
DE102023200015A1 (de) * | 2023-01-03 | 2024-07-04 | BSH Hausgeräte GmbH | Wäschepflegegerät zum Pflegen von Gegenständ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8293271U (zh) * | 2018-03-07 | 2018-12-28 |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 衣物处理装置用门体组件和衣物处理装置 |
CN110761051A (zh) * | 2019-11-04 | 2020-02-07 | 安徽欧斯福科技有限公司 | 一种烘干机前门板可视储水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15040C2 (de) * | 1995-04-24 | 1999-09-02 | Bosch Siemens Hausgeraete | Bullaugentür für eine von vorn beschickbare Trommelwaschmaschine |
CA2508860C (en) * | 2005-05-30 | 2007-10-16 | Camco Inc. | Clothes dryer reversible door assembly |
EP1860228A1 (en) * | 2006-05-24 | 2007-11-28 | Whirlpool Corporation | System for fixing a front panel to a washing machine |
CN101168903A (zh) * | 2006-10-23 | 2008-04-30 |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 干衣机的门组合体 |
KR101550843B1 (ko) * | 2008-10-10 | 2015-09-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
KR20110057920A (ko) * | 2009-11-25 | 2011-06-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
DE102012202745B4 (de) * | 2012-02-22 | 2021-06-10 | BSH Hausgeräte GmbH | Tür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Wechsel eines Türanschlags |
KR102127517B1 (ko) * | 2013-07-01 | 2020-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
US9347247B2 (en) * | 2013-10-30 | 2016-05-24 | General Electric Company | Latch assembly |
KR102169954B1 (ko) * | 2014-02-18 | 2020-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04975466B (zh) * | 2014-04-09 | 2019-02-19 |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门体支撑结构及洗/干衣机 |
KR20160103888A (ko) * | 2015-02-25 | 2016-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CN105908453B (zh) * | 2015-11-02 | 2018-07-24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US10676857B2 (en) * | 2016-11-16 | 2020-06-09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door assembly |
CN111519409B (zh) * | 2019-02-01 | 2022-09-09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DE102020100945B4 (de) * | 2019-02-01 | 2022-12-08 | Lg Electronics Inc. |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
US10907397B1 (en) * | 2019-09-13 | 2021-02-02 | Whirlpool Corporation | Door opening assembly for appliance |
-
2020
- 2020-03-12 KR KR1020200030915A patent/KR1023333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3-10 CN CN202110259549.2A patent/CN113389022B/zh active Active
- 2021-03-10 EP EP21161688.3A patent/EP3879026B1/en active Active
- 2021-03-12 US US17/199,900 patent/US1197640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8293271U (zh) * | 2018-03-07 | 2018-12-28 |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 衣物处理装置用门体组件和衣物处理装置 |
CN110761051A (zh) * | 2019-11-04 | 2020-02-07 | 安徽欧斯福科技有限公司 | 一种烘干机前门板可视储水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285148A1 (en) | 2021-09-16 |
EP3879026B1 (en) | 2024-08-14 |
KR102333384B1 (ko) | 2021-12-01 |
EP3879026A1 (en) | 2021-09-15 |
CN113389022B (zh) | 2023-10-20 |
CN113389022A (zh) | 2021-09-14 |
US11976405B2 (en) | 2024-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018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33338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495594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3690128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 |
KR102333379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346446B1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1519408B (zh) | 衣物处理装置 | |
KR102333381B1 (ko) | 의류처리장치 | |
AU2020200522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EP3690129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 |
EP4353897A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 |
KR20220002834A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