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285A -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 Google Patents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285A
KR20210115285A KR1020200030830A KR20200030830A KR20210115285A KR 20210115285 A KR20210115285 A KR 20210115285A KR 1020200030830 A KR1020200030830 A KR 1020200030830A KR 20200030830 A KR20200030830 A KR 20200030830A KR 20210115285 A KR20210115285 A KR 20210115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onavirus
red ginseng
ginseng
mugw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산
Original Assignee
(주)마스터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스터피스 filed Critical (주)마스터피스
Priority to KR102020003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285A/ko
Publication of KR2021011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과 인진쑥의 배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홍삼과 인진쑥의 배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코로나바이러스의 3CL 프로테아제의 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사람과 동물의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An anti-coronaviral formula comprising red ginseng and injin mugwort}
본 발명은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단일가닥의 양성 RNA 바이러스이며, 게놈 크기는 25-32kb로, 지금까지 알려진 RNA 바이러스 중에서는 비교적 큰 바이러스에 속한다. 외피에 곤봉모양의 돌기인 스파이크(spike) 단백질이 박혀 있어, 화염 또는 왕관 모양의 특이적 구조를 가지고 있고, 라틴어 corona로부터 바이러스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에 속하며, 구형의 외막을 가지는, 약 100-120 nm 크기의 바이러스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가장 외각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 (S), hemagglutinin-esterase(HE) 단백질, transmembrane(M) 단백질, small membrane (E) 단백질 및 nucleocapsid(N) 단백질 등 총 5개의 구조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스파이크 단백질은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리간드(ligand) 역할을 하며, 숙주세포와 바이러스간의 융합을 유도하는 단백질로, 가장 변이가 심한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1937년 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후, 박쥐, 새, 고양이, 개, 소, 돼지, 쥐 등 다양한 동물에서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는 4개의 그룹 (Alphacoronavirus, Betacoronavirus, Gammacoronavirus, Deltacoronavirus)으로 나누어진다. 알파와 베타 코로나바이러스 그룹은 포유류에 주로 감염되고, 감마와 델타 코로나바이러스 그룹은 조류에서 찾을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동물들에서 위장병 및 호흡기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1960대 발견된 HCoV-229E와 HCoV-OC43, 사스(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대유행 이후 발견된 HCoV-NL63(2004년)과 HCoV-HKU1(2005년)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기도감염증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면역결핍환자들에게는 심각한 폐질환을 유도하기도 한다. 주로 겨울이나 이른 봄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감염률이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고, 성인 감기환자 중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병원체인 비율이 상당히 높다고 알려져 있다.
2003년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을 일으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가 처음 발견되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에 따르면, 2002년에서 2003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8,273명의 환자와 775명의 사망자 (치사율 9.4 %)가 발생하였고, 2004년까지 추가적인 환자발생과 사망자가 보고되었다.
2012년 9월 사스와 유사한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을 나타내는 중증 호흡기질환 환자가 발생하였고, 이 원인병원체는, 기존에 알려진 바이러스와는 다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HCoV-EMC)로 밝혀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2013년 5월 '국제 바이러스분류위원회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의 '코로나바이러스 스터디 그룹'에서 중동 호흡기후군 코로나바이러스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이라는 이름으로 분류하였다. 이 바이러스는 유전자 염기서열 (genetic sequence)이 박쥐에서 발견되는 Pipistrellus bat CoV HKU5, HKU4와 유사하다 하여, 박쥐가 가장 유력한 감염원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최근 '란셋 전염병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논문에서는, 오만의 단봉낙타 50마리의 혈액샘플을 분석한 결과 모두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의 항체흔적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105마리 가운데 15마리에서 항체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는 바이러스 자체가 발견되지는 못했지만, 연구결과는 이 낙타들이 어느 시점에 메르스 또는 유사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하며, 바이러스 숙주가 낙타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주었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 감염은 2012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첫 감염사례가 확인된 후, 2014년 6월까지 WHO에 공식적으로 보고된 환자는, 전세계적으로 808명이며, 313명이 사망하였다 (사망률 38.7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 감염관련 초기확진환자 발생 당시 환자의 임상증세가 사스와 상당히 유사했기에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와 상당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생각되었으나, 전장 유전자가 분석된 이후 분자유전학적으로 사스 바이러스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새로운 바이러스라는 것이 밝혀졌다. 우선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와 55% 정도의 낮은 뉴클레오타이드 상동성을 보였으며, 계통학적 분석에 있어서도 두 바이러스는 서로 다른 진화적 차이를 보였는데,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는 베타코로나바이러스의 B 그룹에,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는 베타코로나바이러스의 C 그룹에 속해 있었다. 베타코로나바이러스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그리고 사람 코로나바이러스인 HCoV-HKU1과 HCoV-OC43이 알려져 있다.
또한 사스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세포내로 들어가는 경로도 차이를 보이는데, 사스 바이러스는 사람 기도의 섬모세포에 분포되어 있는 ACE2 수용체를,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비섬모세포내 DDP4 (CD26이라고도 불림) 수용체를 이용한다. 두 수용체 모두 사람의 상기도 보다는 하기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고, 메르스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가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기는 하나 폐렴으로 진행된 후, 큰 비말을 통해서 전파가 이루어져야 하기에, 인플루엔자나 홍역의 경우처럼 에어로졸로 전파되는 질환에 비교하여, 전염성은 그만큼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러나 사스 환자 발생의 경우를 보면 사스 환례에 밀접하게 노출되는 경우나, 호흡기 비말의 에어로졸화를 유발하는 환경에서는 그 전파력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기에 감염성 위험은 여전히 높다고 할 수 있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최초감염원이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사람에게 전파되어 병을 일으키는지에 대하여,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중 2명의 사례에서 농장방문과 동물접촉 사실이 밝혀졌다. 이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수공통감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임상증상은 발열(87%), 기침(89%), 호흡곤란 등으로, 폐렴 증상을 보이며, 일부환자는 구토와 설사 (35%)도 나타난다.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신부전(renal failure)도 일으키는데 사망률은 34.5%로 매우 높다. 중동지역(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등)에서 많이 발생하여, 이들을 감염지역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정확한 감염경로는 정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사람끼리 광범위하게 감염된다는 증거는 없었으나, 가족이나 의료진과 같이 밀접하게 접촉하는 경우에 전파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잠복기는 9일~12일로 추정하는데, 사람마다 잠복기의 차이가 크다.
아직까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 효과가 확인된 약물 및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와 접촉을 피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치료 및 예방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하여 항생제, 리바비린, 인터페론 및 환자의 혈청 등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들 치료제는 특이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라도티닙(radotinib)이 호흡기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이 공지된 바 있다.
2019년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된 폐렴의 원인균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의 게놈분석 결과, 이 바이러스가 2003년 유행한 사스 바이러스와 같은 종이며, 박쥐에서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였다. 또한 확산 초기단계의 환자 5명에서 채취한 바이러스의 전체 게놈 서열을 분석한 결과,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와 79.5%, 박쥐에서 발견되는 코로나바이러스와 96% 일치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고열과 마른 기침, 두통, 호흡곤란, 폐렴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치사율이 높지는 않지만 폐포손상에 따른 호흡부전으로,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또 인간 폐세포에 침투하는 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수용체는 사스 바이러스와 같았다.
코로나바이러스 제어용 타겟(target)은 세포침입 저해, 사이토카인(IFN), RNA 복제억제 그리고 바이러스 프로테아제(protease) 저해로 나눌 수 있다.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제어용 타겟으로는 바이러스 프로테아제 (viral protease)인 3C( 3-chymotrypsin)-like protease (3CLpro 또는 3CL 프로테아제)와 papain-like protease (PLpro 또는 PL 프로테아제)이 있으며, 특히 세계적으로 3CL 프로테아제를 타겟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항바이러스제들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응용에 있어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백신의 개발은, 유행하는 바이러스형과 백신의 바이러스형이 맞지 않으면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감염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 없는, 새로운 항코로나바이러스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3CL 프로테아제는 변이가 적고 구조가 밝혀져 있어 사스-코로나바이러스뿐만 아니라, 같은 혈청형의 소 코로나바이러스, 다른 혈청형의 돼지 코로나바이러스에도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좋은 약제 타겟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사와 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3CL 프로테아제 및 다양한 타겟을 선정하여 코로나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식품으로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인, 홍삼과 인진쑥을 배합하면, 단일물에 비해,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억제활성 및 코로나바이러스 증식억제능이 현저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2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888호
Peiris JS, Yuen KY, Osterhaus AD, Stohr K.,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3; 349(25): 2431-2441. Pyrc K, Berkhout B, van der Hoek L., Antiviral strategies against human coronaviruses, Infect Disord Drug Targets, 2007: 7(1): 59-66.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과 인진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사람이나 동물의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제 및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홍삼과 인진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사람이나 동물의 감염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부작용 없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홍삼과 인진쑥의 배합물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증식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사람이나 동물의 감염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홍삼과 인진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식물로 보통 3~6년간 재배가 가능하고, 6년이 넘어가면 재배가 어렵다. 인삼은 수천년 동안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건강증진 및 치유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천연물중 하나로,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식약처로부터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어 있다.
홍삼은 인삼의 뿌리를 수확하여,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이다. 홍삼이 수삼(말리지 않은 인삼)이나 백삼(수삼을 표피를 벗기고 햇볕, 열풍 또는 기타 방법으로 건조한 인삼)과 다른 점은 소량 진세노사이드 (minor ginsenosid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인삼에는 다량(major) 진세노사이드인 Rb1, Rb2, Rc, Rd, Re가 대부분을 차지하나, 당이 많이 함유된 상태에서는 체내에 잘 흡수되지 않아, 홍삼 제조과정에서 당이 분해되어, 저 분자로 되고, Rh2와 같은 홍삼특유의 성분이나 Rg3와 같이 인삼에 비해 함량이 증가한 성분이 나타난다. 특히 화합물(compound)-Y, -Mc, -K와 같이, 인삼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운, 희귀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진세노사이드 Rh2는, 암세포의 세포 주기정지 (cell cycle arrest)나 사멸(apoptosis)를 유도하는 활성이 있고, 지질다당체(LPS,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쥐 대식세포 (murine macrophage)에서 NF(nuclear factor, 핵인자)-κB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Choi K et al., Neurosci Lett. 421(1): 37-41, 2007]. 또 다른 성분인 compound K는 NF-κB 억제를 통해 염증을 억제하고, 대장염에서 회복을 촉진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관절염에 모델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당뇨병 모델에서도 췌도이식에 대해 면역억제활성을 보였다 [Li J et al., PLoS One, 9(2): e87810, 2014]. 한편 홍삼은 대식세포 증가와 같은 자연면역력은 높여주지만, 획득면역에 관하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것은 인삼추출물에서의 관찰과 다르나, 아직 순수물질로 정제되어 생리활성이 확인되지 않은 진세노사이드나 성분들이 더 많다는 것을 감안하면, 향후 그 성분과 활성이 더 자세히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유효성분인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Kitamura)은, 전국 각지의 산비탈이나 빈터에서 잘 자라며, 줄기는 뭉쳐나고, 하부는 목질화하므로, 반관목상인데,생약명으로는 인진, 백호,석인진이라고도 일컬어진다. 인진쑥 전초의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인진쑥의 에탄올 추출물이 고혈압, 비만, 뇌졸중 등 순환기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간기능 보호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Nam, S. M. et al., J. Kor. Soc. Food Sci. Nutr., 28(1): 199, 1999]. 또한 인진쑥의 에탄올 추출물의 좋은 항암효과가 보고되었고, 메탄올 추출물도 항암작용을 나타내었다 [Bae, J. M. et al., J. Korean Cancer Association, 24: 352, 1992]. 그밖에 인진쑥으로부터 추출한 정유성분이 담즙산 분비를 촉진하였다. 그리고 인진쑥의 메탄올 추출물이 GOT와 GPT의 증가를 억제하였으며, 물 추출물의 에탄올 분획이 간손상과 간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였고, 인진쑥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은, 코로나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면서,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3CL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코로나바이러스가 호흡기관내 다른 세포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바이러스(antiviral) 활성’이란 코로나바이러스 입자생성을 억제하는 능력, 즉 숙주세포,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형성 및/또는 복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물은 바이러스 복제(replication) 또는 증식(proliferation) 등에 필요한 기작을 방해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스(SARS), 메르스, 제2형 사스, 돼지(pocine), 또는 소(bovine) 코로나 바이러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의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로 야기될 수 있는 상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홍삼과 인진쑥은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및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 글리콜, (h) 헥산, 또는 (i)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과 인진쑥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홍삼과 인진쑥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에 의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설속도, 반응 감응성 등의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1일 0.01-3,000 mg/kg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용량 형태로 제조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유화액 등의 형태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분산제, 안정화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홍삼과 인진쑥 외에, 식품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즉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은 단당류(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말토스, 슈크로스 등), 올리고당, 다당류(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등의 통상적 당 및 당알콜(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드리톨 등)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게 투여됨으로써,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인간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된 돼지 또는 소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목적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투여, 피내투여, 경구투여, 비내투여, 폐내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물질을 표적세포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과 인진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사람이나 동물의 감염증을 예방, 억제,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코로나바이러스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람이나 동물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다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홍삼과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홍삼과 인진쑥 시료는 일반적으로 한약재상이나 자연에서 쉽게 채집할 수 있는 것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시료를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각 시료분말 2.5 kg에 10배 중량의, 20% 에탄올이 함유된 증류수를 넣어, 90℃로 6시간 가열하고, 12,000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여과지에 통과시켜 얻은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수용성 추출물 300 g을 제조하였다.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시료 제조
홍삼과 인진쑥 추출물을 배합하여,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표 1).
홍삼과 인진쑥 시료 배합비
시료 배합비(홍삼 : 인진쑥)
1 100 : 0
2 83 : 17
3 66 : 34
4 50 : 50
5 34 : 66
6 17 : 83
7 0 : 100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 (SARS-CoV 3CLpro), 돼지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 (PEDV 3CLpro) 및 소 코로나바이러스 (KWD3 3CLpro)에 대한 저해활성 시험1.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준비
1) 대장균(E. coli)를 이용한 사스(SARS)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 준비
활성단백질을 발현하기 위하여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의 유전정보 (GenBank: DM169957.1)를 바탕으로 SARS-CoV 3CLpro/pET-23d 유전자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유전자는 대장균에 형질전환 하였고, 유전자가 포함된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SARS-CoV 3CLpro/pET-23d 플라스미드를 가지는 대장균 [E. coli BL21(DE3)]은 암피실린(100 ㎍/㎖)이 첨가된 1 L의 LB 배지 [1%(w/v) 트립톤, 0.5%(w/v) 효모 추출액, 0.5%(w/v) NaCl]에서 OD600 값이 0.5에 도달할 때까지 37℃의 온도에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여기에 활성화 인자로서 IPTG(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를 최종농도가 1 mM이 되도록 첨가한 후, 18℃ 로 옮겨 1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얻어진 세포를, 0.5 % Triton X-100과 300 mM NaCl이 포함된, 20 mM 인산나트륨 pH 7.5 버퍼에 현탁하여, 초음파파쇄기로 파쇄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얻은 상등액을 단백질 정제에 이용하였다. 사스 3CL 프로테아제는 메티오닌을 시작으로 32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C-말단에는 6개의 히스티딘 택(tag)이 붙어있어 단백질 정제가 용이하다. 얻어진 세포 파쇄액을, 평형화 완충액 [20 mM 인산나트륨 pH 7.5, 0.5 M NaCl]으로 미리 평형화된 니켈 세파로스 (Ni Sepharose, GE Healthcare) 칼럼에 흡착시키고, 100 mM 이미다졸(imidazole)이 포함된 평형화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300~500 mM 이미다졸이 포함된 평형화 완충액을 이용하여 용출하였다. 용출되어 얻어진 3CL 프로테아제는 SDS-전기영동으로 정제된 밴드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0.2 mM NaCl과 1 mM DTT가 첨가된 20 mM Tris-HCl pH 7.5 완충 용액으로 투석한 후, 단백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2) 돼지 코로나바이러스 (pocine coronavirus)에서 유래한 3CL 프로테아제의 준비
돼지 코로나바이러스에서 얻어진 3CL 프로테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pET-23d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하여 얻어진 PEDV(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3CLpro/pET23d 유전자는 상기 '1'항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대장균[E. coli BL21(DE3)CodonPlus]에 형질전환하였고, IPTG를 이용하여 과발현시킨 후, 니켈 세파로스 칼럼을 이용하여 활성단백질인 PEDV 3CL 프로테아제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0.2 mM NaCl과 1 mM DTT가 첨가된 20 mM Tris-HCl pH 7.5 완충용액으로 투석한 후, 단백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3) 소 코로나바이러스 (bovine coronavirus)에서 유래한 3CL 프로테아제의 준비
소 코로나바이러스에서 얻어진 3CL 프로테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pET-23d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하여 얻어진 KWD(Korean winter dysentery)3-3CLpro/pET23d 유전자는 상기 '1'과 '2' 항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대장균[E. coli BL21(DE3)CodonPlus]으로부터 KWD3 3CL 프로테아제를 분리하였다.
2.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저해활성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 저해활성을, FRET(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assay를 통하여 측정하기 위해, 형광공여자인 EDANS[5-((2-Aminoethyl)amino)naphthalene-1-sulfonic acid]와 형광소멸자인 DABCYL[4-(dimethylaminoazo)benzene-4-carboxylic acid]이 결합된 합성 펩타이드인 DABCYL-KTSAVLQSGFKME-EDANS를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기질의 절단으로 인해 EDANS와 DABSYL이 분리되었을 때 이를 형광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을 메탄올에 녹여, 각각 20 ㎕씩 96-웰 플레이트 (96-well plate)에 첨가하고, 기질 DABCYL-KTSAVLQSGFKME-EDANS (최종농도, 2.5 μM)를 각각 50 ㎕를 넣었다. 이를 20 mM Bis-Tris 완충용액 (pH 7.5) 80 ㎕와 혼합하고, 효소원인 3CL 프로테아제 (효소 최종농도 2.5 ㎍/mL) 50 ㎕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으며, 형광분광기로 360/40 ㎚에서의 여기(excitation) 및 590/20 ㎚에서의 방출(emission) 값을 측정함으로써 3CL 프로테아제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는 던칸 다중범위검정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되었으며 평균치±SEM으로 표시되었다 (SAS Institute, Inc. SAS/STAT 14.3 User's Guide: High-Performance Procedures. Cary, NC, USA. 2017).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3CL 프로테아제 저해활성1
시료배합비
(홍삼 : 인진쑥)
SARS-CoV 3CL 저해활성
(IC50, μg/ml)
PEDV 3CL 저해활성
(IC50, μg/ml)
KWD3 3CL 저해활성
(IC50, μg/ml)
100 : 0 128.4±11.3d 137.3±10.3d 153.7±12.0c
83 : 17 102.6±9.3c 112.6±12.1c 120.5±13.1b
66 : 34 82.7±12.1c 87.9±11.3b 97.0±10.4b
50 : 50 71.7±10.1b 74.0±10.3b 79.9±9.9ab
34 : 66 37.5±9.8a 40.9±10.5a 68.1±13.7a
17 : 83 67.8±10.3b 69.0±11.0b 75.6±10.9a
0 : 100 87.4±11.1bc 90.5±11.6bc 102.6±12.1b
1평균치±SEM, n=5.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윗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음 (P<0.0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삼과 인진쑥 배합비에 따른,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홍삼 : 인진쑥 = 34 : 66 배합물에서, 3종의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IC50의 값이 가장 작아, 가장 큰 저해활성을 보였다. 배합비가 34 : 66에서 벗어날수록 저해활성이 작아졌으며, 홍삼과 인진쑥 단일물은 배합물에 비하여 매우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홍삼보다는 인진쑥의 저해활성이 컸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과 인진쑥의 배합에 의해, 3CL 프로테아제 저해활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며, 그 최적배합비는 홍삼 : 인진쑥 = 34 : 66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항코로나바이러스능을 시험
1. 바이러스의 배양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항코로나바이러스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바이러스는 PEDV SM98이었으며, 베로(Vero, African green monkey kidney cell line; ATCC CCR-81) 세포에서 배양되었다. 베로 세포는 소 태아혈청이 10% 포함된 최소필수배지(Minimum Essential Media, MEM, Thermo Fisher Scientific, USA)로 37℃에서 배양되었다.
2. 항코로나바이러스능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증식억제능과 베로 세포 살해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베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웰당 2x104 개 접종하고, 다음 날 배지를 제거하고, 1x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씻었다. 0.05 ml의 CCID50(50% cell culture infective dose) PEDV와 0.05 ml의 배합물 시료 [1, 10, 100, 500 ㎍/(㎖ media)]를 각 웰에 투여하였다. 배합물 각각의 바이러스 증식억제능 측정은, PEDV를 48시간 동안 Vero 세포에 감염시킨 후에 살아있는 세포를 SRB(sulforhodamine) 분석법 [Martin A, Clynes M., Cytotechnology 11(1): 49-58, 1993]으로 측정하였다. 각 웰에 10% TCA(trichloroacetic acid)를 100㎕씩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4℃에 방치하고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였다.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1%(v/v) 아세트산에 녹인 0.4%(w/v) SRB B 용액 100㎕를 첨가해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세포와 결합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v/v) 아세트산으로 수회 세척한 다음 다시 건조시켰다. 각 웰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 카메라 (Zeiss사, Model Axiovert 10)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10mM 트리스 용액 (pH 10.5) 100㎕를 각 웰에 가하여, 세포와 결합되어 있는 염색제를 충분히 녹인 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바이러스와 배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 (A), 배합물만 처리한 군 (B), 바이러스만 처리한 군 (C), 바이러스와 배합물을 같이 처리한 군 (D)으로 표기하여, 배합물의 세포독성능(%) [수학식 1]과 배합물의 바이러스 증식억제능 (%) [수학식 2]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세포살해율(%)= (A-B)/A x100
수학식 2: 바이러스 증식억제율 (%) = (D-C)/(B-C) x100
배합물의 50% 세포살해 농도 값은, 각 농도별 세포살해율을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후, 50% 세포살해율을 나타내는 농도를 산출하여 표 3에 제시하였다.
50% 바이러스 증식억제 농도 값은, 각 농도별로 바이러스 증식 억제율을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한 후, 50% 바이러스 증식억제능을 나타내는 농도를 산출하여 표 3에 제시하였다.
기존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 Sigma)을 1, 10, 100, 500 ㎍/㎖ 농도에서 배합물과 같이 시험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퀘세트린(quercetrin, Sigma)을 1, 10, 100, 500 ㎍/ml 농도에서 배합물과 같이 시험하였다.
항바이러스 효능은, 50% 세포살해 농도를, 50% 바이러스 증식억제 농도로 나눈 값인 SI(selectivity index)로 평가하였다.
측정치는 던칸 다중범위검정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되었으며 평균치±SEM으로 표시되었다 (SAS Institute, Inc. SAS/STAT 14.3 User's Guide: High-Performance Procedures. Cary, NC, USA. 2017).
이상의 시험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의 항코로나바이러스 활성
시료 50% 세포살해 농도
(㎍/㎖)
50% 바이러스 증식억제 농도 (㎍/㎖) SI1
리바비린 436.0±18.3 7.23±2.1 60.3±7.3d
퀘세트린 387.3±15.6 10.9±2.1 35.5±8.6c
100 : 02 631.9±29.4 101.4±21.0 6.23±1.71a
83 : 17 687.1±31.2 78.9±10.1 8.71±2.05a
66 : 34 701.5±30.6 59.8±7.9 11.7±3.8ab
50 : 50 713.6±28.5 35.9±5.8 19.9±6.1b
34 : 66 759.5±31.1 10.2±2.0 74.5±5.9e
17 : 83 707.9±33.2 21.8±4.7 32.5±4.6c
0 : 100 689.1±29.9 45.0±8.0 15.3±7.9ab
1(50% 세포살해 농도)/(50% 바이러스 증식억제 농도). 평균치±SEM, n=5.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윗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음 (P<0.05).
2홍삼과 인진쑥의 배합비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삼과 인진쑥 배합비에 따른 항코로나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홍삼 : 인진쑥 = 34 : 66 배합물에서 PEDV에 대한 SI 값이 가장 커서, 항바이러스제로 쓰이는 리바비린보다 24 % 컸다. 리바비린은 용혈성 빈혈, 부모의 복용에 의한 태아결함(significant teratogenic and embryocidal effects) 등 여러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홍삼과 인진쑥의 배합물이 좋은 항바이러스제로 쓰일 수 있다.
배합비가 34 : 66에서 벗어날수록 SI 값이 작아졌으며, 홍삼과 인진쑥 단일물은 배합물에 비하여 작은 SI 값을 보였다. 그리고 홍삼보다는 인진쑥의 SI 값이 컸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과 인진쑥의 배합에 의해, SI 값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며, 그 최적배합비는, 3CL 프로테아제 저해활성의 경우와 같이, 홍삼 : 인진쑥 = 34 : 66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과 인진쑥의 배합물이, 코로나바이러스의 3CL 프로테아제의 작용을 저해하여,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냄을 입증하고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당업계의 통상적 지식을 지닌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

  1. 중량기준으로 26~42 %의 홍삼과 58~74 %의 인진쑥을 함유하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사람과 동물의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조성물
KR1020200030830A 2020-03-12 2020-03-12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KR20210115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830A KR20210115285A (ko) 2020-03-12 2020-03-12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830A KR20210115285A (ko) 2020-03-12 2020-03-12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285A true KR20210115285A (ko) 2021-09-27

Family

ID=7792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830A KR20210115285A (ko) 2020-03-12 2020-03-12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528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888B1 (ko) 2007-10-12 2014-08-0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항-조류독감 바이러스 조성물
KR101693220B1 (ko) 2015-05-06 2017-01-05 (주)비타바이오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888B1 (ko) 2007-10-12 2014-08-0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항-조류독감 바이러스 조성물
KR101693220B1 (ko) 2015-05-06 2017-01-05 (주)비타바이오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iris JS, Yuen KY, Osterhaus AD, Stohr K.,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3; 349(25): 2431-2441.
Pyrc K, Berkhout B, van der Hoek L., Antiviral strategies against human coronaviruses, Infect Disord Drug Targets, 2007: 7(1): 59-6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318B1 (ko) 신종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 일반 및 독감감기, sars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566441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WO2022050516A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WO2011055881A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822386A (zh) 从东北婆婆纳中分离的含有大量活性成分的纯化提取物、其制备以及包含该提取物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或治疗炎症、过敏和哮喘的组合物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087759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731607B1 (ko) 음양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WO2020262799A1 (ko) 노다케닌 및/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101189823B1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427096B1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1499B1 (ko) 용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71576A1 (ja)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又は治療のための抗ウイルス剤
KR20210115285A (ko) 항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홍삼과 인진쑥 배합물
JP5713484B2 (ja) 植物抽出物からなる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並びにウイルスの細胞への吸着阻害剤
KR20220087653A (ko) 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11008647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0531633B1 (ko) 국내산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독감 또는 감기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6501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665503B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20339A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9822B1 (ko) 쿠마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3008594A1 (ko) 용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7011A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220044126A (ko) 돌외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