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633A - 밀봉 가스켓 - Google Patents

밀봉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633A
KR20210114633A KR1020200029952A KR20200029952A KR20210114633A KR 20210114633 A KR20210114633 A KR 20210114633A KR 1020200029952 A KR1020200029952 A KR 1020200029952A KR 20200029952 A KR20200029952 A KR 20200029952A KR 20210114633 A KR20210114633 A KR 20210114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mounting groove
close contact
sealing
seal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680B1 (ko
Inventor
박슬빈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6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가스켓 탑재 홈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가스켓 탑재 홈에 탑재되는 밀봉 가스켓이 개시된다. 개시된 밀봉 가스켓은,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가스켓 탑재 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제1 단부, 제2 부재에 밀착되는 제2 단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내주면과 외주면을 구비하는 가스켓 본체, 가스켓 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가스켓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및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각각에서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를 구비한다.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는 각각, 가스켓 본체의 높이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의 말단에서 이탈 억제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높이가, 가스켓 탑재 홈의 깊이보다 작다.

Description

밀봉 가스켓{Gasket for sealing}
본 발명은 대면하는 한 쌍의 부재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밀봉 가스켓(gasket)은 고무 소재로 형성되며, 예컨대, 하우징(housing)을 구성하는 베이스(base)와 커버(cover)와 같이 대면(對面)하는 한 쌍의 부재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부재 사이에 개재된다. 도 1은 종래의 밀봉 가스켓이 밀착 결합된 두 부재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밀봉 가스켓(10)은 하우징(1)을 구성하는 베이스(2)와 커버(8) 사이에 개재되어서, 베이스(2)와 커버(8)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부재이다. 밀봉 가스켓(10)은 커버(8)의 하측면과 마주보는 베이스(2)의 상측면에 형성된 가스켓 탑재 홈(groove)(4)에 끼워진다. 밀봉 가스켓(10)은 고무 소재로 형성된다. 도 1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와 베이스(2)가 밀착 결합되기 전 상태의 밀봉 가스켓(10)은 Z축과 평행한 방향의 높이가 가스켓 탑재 홈(4)의 깊이(DG)보다 크고, 단면 중심선(CL11)이 Z축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그러나, 밀봉 가스켓(10)이 가스켓 탑재 홈(10)에 끼워진 상태로 커버(8)의 하측면(9)과 베이스(2)의 상측면(3)이 접촉되도록 커버(8)와 베이스(2)가 결합되면, 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가스켓(10)이 압축되면서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쉽게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밀봉 가스켓(10)의 단면 중심선(CL12)이 수직선, 즉 Z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압축되면, 밀봉 가스켓(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압축되는 경우에 비해서, 가스켓 탑재 홈(4)을 한정하는 내측면(5, 6, 7, 9)을 가압하는 밀봉 가스켓(10)의 탄성 밀착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밀봉 가스켓(10)의 밀봉 성능이 저하된다.
한편, 자동화된 공장에서 밀봉 가스켓을 베이스(2)와 커버(8) 사이에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 컨베이어(conveyor) 상의 일 지점에서 상기 베이스(2)에 형성된 가스켓 탑재 홈(4)에 밀봉 가스켓(10)이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2)가 상기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타 지점에서 커버(8)가 베이스(2)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2)에 끼워진 밀봉 가스켓(10)은, 커버(8)가 결합되기 앞서 베이스(2)가 상기 컨베이어의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컨베이어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에서 빠져 나와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소위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라 한다. 상기 스프링 백 현상으로 인해 밀봉 가스켓(10)의 분실되어 작업 비용이 증대될 수 있고, 밀봉 가스켓을 개재하고 베이스(2)와 커버(8)를 결합하는 작업이 지연되고 곤란해질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3598호
본 발명은 가스켓 탑재 홈이 형성된 부재와 상대 부재가 결합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가스켓 탑재 홈에 밀봉 가스켓이 끼워져 있으면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불구하고 가스켓 탑재 홈에서 빠져 나와 이탈되지 않으며, 가스켓 탑재 홈 내에서 기울어짐이 억제되는 밀봉 가스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스켓 탑재 홈(groove)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켓 탑재 홈에 탑재되는 밀봉 가스켓에 있어서,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제1 단부, 상기 제2 부재에 밀착되는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내주면과 외주면을 구비하는 가스켓 본체, 상기 가스켓 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스켓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및 상기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각각에서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는 각각, 상기 가스켓 본체의 높이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상기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의 말단에서 상기 이탈 억제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높이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깊이보다 작은 밀봉 가스켓을 제공한다.
상기 가스켓 본체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 내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져 있을 때에는,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는 밀착되나 상기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및 상기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밀착되지 않고, 상기 가스켓 본체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 내에서 기울어져 있더라도,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및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는 밀착되나 상기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상기 기울어짐 억제 돌기의 종단면 형상은, 상기 가스켓 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서 돌출될수록 가까워지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및 제2 경사선과,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내측면에 평행한 말단선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경사선은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종단면 외곽선과 단차지지 않게 이어지며, 상기 밀봉 가스켓의 단면 중심선에 대해 30 내지 60°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 억제 돌기는 상기 가스켓 본체의 높이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2 또는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 가스켓은 기울어짐 억제 돌기뿐만 아니라 가스켓 탑재 홈의 깊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이탈 억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의 말단에서 상기 이탈 억제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높이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깊이보다 작다. 즉, 이탈 억제 돌기의 복수의 돌출부만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접촉되므로, 기울어짐 억제 돌기만 구비하는 경우보다 밀봉 가스켓이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작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가스켓 탑재 홈의 입구에 걸쳐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스켓 탑재 홈에 밀봉 가스켓이 끼워져 있으나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이 형성된 부재와 상대 부재가 결합되어 있지 않을 때, 밀봉 가스켓의 탄성력에 의한 소위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이 형성된 부재와 상대 부재가 결합되어 있지 않더라도 밀봉 가스켓에 가해지는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불구하고 상기 밀봉 가스켓이 가스켓 탑재 홈에서 빠져 나와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부재를 밀봉 가스켓을 개재하고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밀봉 가스켓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 가스켓은, 가스켓 탑재 홈 내에서 기울어지도록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기울어짐 억제 돌기가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가스켓 본체의 제1 및 제2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내측면에 밀착될 정도로 밀봉 가스켓이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밀봉 성능이 개선되고, 밀봉 불량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밀봉 가스켓이 마주보는 두 부재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 가스켓의 단면도로서, 도 2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IV-IV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 가스켓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 가스켓의 단면도로서, 도 2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을 IV-IV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밀봉 가스켓(20)은 마주보고 결합되는 제1 및 제2 부재(2, 8)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2, 8)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한다. 상기 제1 및 제2 부재(2, 8)는 예컨대, 하우징(housing)(1)을 구성하는 베이스(2)와 커버(8)일 수 있다.
상기 커버(8)가 베이스(2)를 덮어 가리도록 베이스(2)에 커버(8)가 밀착될 수 있다. 베이스(2)와 커버(8)가 밀착될 때 상기 베이스(2)의 상측면(3)과 커버(8)의 하측면(9)이 마주보게 된다. 베이스(2)의 상측면(3)에는 밀봉 가스켓(20)이 삽입 안착되는 가스켓 탑재 홈(groove)(4)이 마련된다. 가스켓 탑재 홈(4)은 상기 상측면(3)과 단차지고 상기 상측면(3)과 평행한 바닥면(5)과, 상기 바닥면(5)의 폭 방향 일 측과 타 측을 상측면(3)과 절곡되게 연결하는 내주면측 내측면(6)과 외주면측 내측면(7)에 의해 한정된다.
가스켓 탑재 홈(4)은 Z축과 직교하는 평면, 즉 XY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폐곡선을 따라 연장되게 이어진다.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의 폐곡선은 예컨대, 원형일 수도 있고, 코너(corner)가 완만하게 곡선으로 이어진,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가스켓 탑재 홈(4)의 깊이(DG)와 폭(WG)은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의 폐곡선 경로를 따라 변경되지 않고 일정하다. 밀봉 가스켓(20)은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에 탑재된다.
밀봉 가스켓(20)은 고무 소재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가스켓 본체(21)와, 복수의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및 복수의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와, 복수의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 및 복수의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5)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켓 본체(21)는 가스켓 탑재 홈(4)이 연장된 경로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연장된다.
가스켓 본체(21)는 베이스(2)와 커버(8)가 결합된 때 베이스(2), 구체적으로 가스켓 탑재 홈(4)의 바닥면(5)에 밀착되는 제1 단부(22), 커버(8), 구체적으로 커버(8)의 하측면(9)에 밀착되는 제2 단부(24), 및 상기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4) 사이에 마련되는 내주면(26)과 외주면(28)을 구비한다. 상기 내주면(26)은 가스켓 본체(21)의 폐곡선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내측 공간을 향하는 측면이고, 상기 외주면(28)은 가스켓 본체(21)의 폐곡선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외측 공간을 향하는 측면이다.
밀봉 가스켓(20)이 탄성 압축되지 않았을 때 가스켓 본체(21)의 폭(WB)은 가스켓 탑재 홈(4)의 폭(WG)의 1/2 이상이고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의 폭(WG)보다 작다. 제1 단부(22), 제2 단부(24), 내주면(26), 및 외주면(28)에 의해 한정되는 가스켓 본체(21)의 종단면 형상은 예컨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는 가스켓 본체(21)의 내주면(26)에서 돌출되며, 복수의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는 가스켓 본체(21)의 외주면(28)에서 돌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와 복수의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는 가스켓 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스켓 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한 쌍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35)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15mm 일 수 있다.
복수의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는 각각의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에서 가스켓 탑재 홈(4)의 내주면측 내측면(6)에 밀착되도록 돌출된다. 복수의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5)는 각각의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에서 가스켓 탑재 홈(4)의 외주면측 내측면(7)에 밀착되도록 돌출된다.
복수의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는 각각, 가스켓 본체(21)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41, 42, 43)을 구비하고, 복수의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5)도 각각, 가스켓 본체(21)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46, 47, 48)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의 복수의 돌출부(41, 42, 43) 및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5)의 복수의 돌출부(46, 47, 48)의 종단면 형상은 평기어(spur gear) 형상이고, 각각의 기어치(gear teeth)가 서로 이격된 형상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탈 억제 돌기의 복수의 돌출부의 종단면 형상은 사인파 형상 또는 펄스 형상일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에서 상하로 배열된 3개의 돌출부(41, 42, 43)를 구비한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가 돌출되고, 하나의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에서 상하로 배열된 3개의 돌출부(46, 47, 48)를 구비한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5)가 돌출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 또는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가 상하로 배열된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밀봉 가스켓(20)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의 종단면 형상은, 상기 가스켓 본체(20)의 내주면(26)에서 돌출될수록 가까워지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내주면측 제1 및 내주면 제2 경사선(31, 32)과, 상기 내주면측 내측면(6)에 평행한 내주면측 말단선(33)을 포함하는 형상, 다시 말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다. 마찬가지로, 밀봉 가스켓(20)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의 종단면 형상은, 상기 가스켓 본체(20)의 외주면(28) 에서 돌출될수록 가까워지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외주면측 제1 및 제2 경사선(36, 37)과, 상기 외주면측 내측면(7)에 평행한 외주면측 말단선(38)을 포함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가스켓(20)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제1 경사선(31, 36)은 제1 단부(22)의 종단면 외곽선과 단차지지 않게 이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제1 경사선(31, 36)의 가상의 연장선(DL1)은 Z축과 평행한 밀봉 가스켓(20)의 단면 중심선(CL2)에 대해 30 내지 60° 각도(AN1)로 기울어진다. 즉,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제1 경사선(31, 36)이 상기 단면 중심선(CL2)에 대해 30 내지 60° 각도(AN1)로 기울어진다.
또한,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제2 경사선(32, 37)은 제2 단부(24)의 종단면 외곽선과 단차지지 않게 이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제2 경사선(32, 37)의 가상의 연장선(DL2)은 Z축과 평행한 밀봉 가스켓(20)의 단면 중심선(CL2)에 대해 30 내지 60° 각도(AN2)로 기울어진다. 즉,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제2 경사선(32, 37)이 상기 단면 중심선(CL2)에 대해 30 내지 60° 각도(AN2)로 기울어진다.
가스켓 탑재 홈(4)에 밀봉 가스켓(20)을 삽입 안착시킬 때 가스켓 본체(21)를 가스켓 탑재 홈(4)에 정렬하여 밀어 넣게 되는데,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35)와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복수의 돌출부(41, 42, 43, 46, 47, 48)가 가스켓 탑재 홈(4) 내부로 함께 밀어 넣어진다.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상기 제1 단부(22)의 말단이 바닥면(5)에 밀착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41, 42, 43, 46, 47, 48)가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내측면(6, 7)에 밀착되면서 밀봉 가스켓(20)은 단면 중심선(CL2)이 Z축에 평행하게 똑바로 세워진다.
이 상태에서 커버(8)의 하측면(9)이 베이스(2)의 상측면(3)에 밀착되도록 커버(8)가 베이스(2)에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 본체(21)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로 세워진 채로 유지된다. 이 때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내측면(6, 7)에 상기 복수의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복수의 돌출부(41, 42, 43, 46, 47, 48)는 밀착된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35) 및 상기 제1 단부(22) 및 제2 단부(24)는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내측면(6, 7)에 밀착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단부(22) 및 제2 단부(24)는 상기 바닥면(5) 및 커버(8)의 하측면(9)에 밀착된다.
한편, 커버(8)를 베이스(2)에 결합할 때 상기 단면 중심선(CL2)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가스켓 본체(21)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약간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가스켓 본체(21)가 기울어지는 경우, 즉 상기 단면 중심선(CL2)이 Z축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내측면(6, 7)에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35)와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 45)는 밀착되나, 상기 제1 단부(22) 및 제2 단부(24)는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내측면(6, 7)에 밀착되지 않고 상기 바닥면(5) 및 커버(8)의 하측면(9)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부연하면, 상기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복수의 돌출부들(41, 42, 43, 46, 47, 48) 중 일부는 상기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 내측면(6, 7)에 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단면 중심선(CL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울어지면,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의 최하측 돌출부(42)보다 하측에 위치한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의 아래 부분이 상기 내주면측 내측면(6)에 밀착되고,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5)의 최상측 돌출부(48)보다 상측에 위치한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의 윗 부분이 상기 외주면측 내측면(7)에 밀착되면서, 밀봉 가스켓(20)이 더 큰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반대로,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단면 중심선(CL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울어지면, 외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5)의 최하측 돌출부(47)보다 하측에 위치한 외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5)의 아래 부분이 상기 외주면측 내측면(7)에 밀착되고, 내주면측 이탈 억제 돌기(40)의 최상측 돌출부(43)보다 상측에 위치한 내주면측 기울어짐 억제 돌기(30)의 윗 부분이 상기 내주면측 내측면(6)에 밀착되면서, 밀봉 가스켓(20)이 더 큰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결과적으로,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밀봉 가스켓(20)이 약간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제1 단부(22) 및 제2 단부(24)는 상기 바닥면(5) 및 커버(8)의 하측면(9)에 견고하게 밀착되어서, 밀봉 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가스켓(20)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가스켓 본체(21)의 제1 단부(22)의 말단, 즉 가스켓 본체(21)의 하단에서 상기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높이(HN)는 가스켓 탑재 홈(4)의 깊이(DG)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가장 높은 지점은,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상측 돌출부(43, 48)의 가장 높은 지점이 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만약에 상기 높이(HN)가 가스켓 탑재 홈(4)의 깊이(DG)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복수의 돌출부들(41, 42, 43, 46, 47, 48) 중 일부, 구체적으로는 최상측 돌출부(43, 48)가 베이스(2)의 상측면(3) 측 가스켓 탑재 홈(4)의 입구에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밀봉 가스켓(20)이 가스켓 삽입 홈(4)에 끼워졌으나 커버(8)가 베이스(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베이스(2)가 컨베이어에 의해 진행하거나, 운송 수단에 적재되어 이송되거나, 뒤집어지는 것과 같이 베이스(2)에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질 때 밀봉 가스켓(20)이 가스켓 탑재 홈(4)에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밀봉 가스켓(20)은,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35)뿐만 아니라 가스켓 본체(21)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41, 42, 43, 46, 47, 48)를 구비한 이탈 억제 돌기(40, 45)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 가스켓(20)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가스켓 본체(21)의 제1 단부(22)의 말단에서 상기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높이(HN)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의 깊이(DG)보다 작다. 즉, 이탈 억제 돌기(40, 45)의 복수의 돌출부 돌출부(41, 42, 43, 46, 47, 48)만 가스켓 탑재 홈(4)의 한 쌍의 내측면(6, 7)에 접촉되므로,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35)만 구비하는 경우보다 밀봉 가스켓(20)이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의 한 쌍의 내측면(6, 7)에 접촉되는 면적이 작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41, 42, 43, 46, 47, 48)가 가스켓 탑재 홈(4)의 입구에 걸쳐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스켓 탑재 홈(4)에 밀봉 가스켓(20)이 끼워져 있으나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이 형성된 부재(2)와 상대 부재(8)가 결합되어 있지 않을 때, 밀봉 가스켓(20)의 탄성력에 의한 소위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가스켓 탑재 홈(4)이 형성된 부재(2)와 상대 부재(8)가 결합되어 있지 않더라도 밀봉 가스켓(20)에 가해지는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불구하고 상기 밀봉 가스켓(20)이 가스켓 탑재 홈(4)에서 빠져 나와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부재(2, 8)를 밀봉 가스켓(20)을 개재하고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밀봉 가스켓(2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 가스켓(20)은, 가스켓 탑재 홈(4) 내에서 기울어지도록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기울어짐 억제 돌기(30, 35)가 가스켓 탑재 홈(4)의 한 쌍의 내측면(6. 7)에 밀착되면서 가스켓 본체(20)의 제1 및 제2 단부(22, 24)가 상기 한 쌍의 내측면(6, 7)에 밀착될 정도로 밀봉 가스켓(20)이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밀봉 성능이 개선되고, 밀봉 불량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8: 제1, 제2 부재 4: 가스켓 탑재 홈
20: 밀봉 가스켓 21: 가스켓 본체
22, 24: 제1, 제2 단부 26, 28: 내주면, 외주면
30, 35: 기울어짐 억제 돌기 40, 45: 이탈 억제 돌기

Claims (5)

  1. 가스켓 탑재 홈(groove)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스켓 탑재 홈에 탑재되는 밀봉 가스켓에 있어서,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제1 단부, 상기 제2 부재에 밀착되는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내주면과 외주면을 구비하는 가스켓 본체; 상기 가스켓 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스켓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및, 상기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각각에서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는 각각, 상기 가스켓 본체의 높이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상기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의 말단에서 상기 이탈 억제 돌기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높이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가스켓.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본체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 내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져 있을 때에는,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는 밀착되나 상기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및 상기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밀착되지 않고,
    상기 가스켓 본체가 상기 가스켓 탑재 홈 내에서 기울어져 있더라도,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한 쌍의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기울어짐 억제 돌기 및 복수의 이탈 억제 돌기는 밀착되나 상기 가스켓 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가스켓.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상기 기울어짐 억제 돌기의 종단면 형상은, 상기 가스켓 본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서 돌출될수록 가까워지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및 제2 경사선과, 상기 가스켓 탑재 홈의 내측면에 평행한 말단선을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가스켓.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가스켓이 압축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경사선은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종단면 외곽선과 단차지지 않게 이어지며, 상기 밀봉 가스켓의 단면 중심선에 대해 30 내지 60°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가스켓.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억제 돌기는 상기 가스켓 본체의 높이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2 또는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가스켓.
KR1020200029952A 2020-03-11 2020-03-11 밀봉 가스켓 KR10237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52A KR102372680B1 (ko) 2020-03-11 2020-03-11 밀봉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52A KR102372680B1 (ko) 2020-03-11 2020-03-11 밀봉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33A true KR20210114633A (ko) 2021-09-24
KR102372680B1 KR102372680B1 (ko) 2022-03-10

Family

ID=7791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952A KR102372680B1 (ko) 2020-03-11 2020-03-11 밀봉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50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1110A (ja) * 2007-05-10 2008-11-20 Nok Corp 密封構造
JP2010138957A (ja) * 2008-12-10 2010-06-24 Toyoda Gosei Co Ltd ガスケット
KR101243598B1 (ko) 2008-10-23 2013-03-20 가부시키가이샤 마레히루타시스테무즈 개스킷
JP2016037974A (ja) * 2014-08-05 2016-03-22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6255097B2 (ja) * 2014-07-07 2017-12-27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2018096400A (ja) * 2016-12-09 2018-06-21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密封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1110A (ja) * 2007-05-10 2008-11-20 Nok Corp 密封構造
KR101243598B1 (ko) 2008-10-23 2013-03-20 가부시키가이샤 마레히루타시스테무즈 개스킷
JP2010138957A (ja) * 2008-12-10 2010-06-24 Toyoda Gosei Co Ltd ガスケット
JP6255097B2 (ja) * 2014-07-07 2017-12-27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2016037974A (ja) * 2014-08-05 2016-03-22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2018096400A (ja) * 2016-12-09 2018-06-21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密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50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680B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694B2 (en) Sealing structure
CN108603597A (zh) 密封垫
WO2010047165A1 (ja) ガスケット
US5551705A (en) Double beaded spaghetti seal with stiffness increasing deformation behavior
US20080272556A1 (en) Sealing device
US20080012244A1 (en) Collapse-controlled, rotation-resisting bulb seal
JPWO2004007937A1 (ja) ガスケット
JP2003014126A (ja) 蟻溝用シール材
JP2011149526A (ja) ガスケットのシール構造
KR101675411B1 (ko) 게이트 밸브
US6827353B2 (en) Externally supported wide tolerance seal
KR20210114633A (ko) 밀봉 가스켓
CN109640567B (zh) 周界密封件
EP2746626A1 (en) Sealing structure
JP2010138957A (ja) ガスケット
US7004474B2 (en) Seal for an endless track
JP6682946B2 (ja) 密封構造及びガスケット
KR20040048296A (ko) 재봉틀용가스킷 및 그것을 사용한 재봉틀
US10900569B2 (en) Packing
KR102239332B1 (ko) 밀봉 가스켓
US20070132194A1 (en) Sealing apparatus
US9618119B2 (en) Sealing element
JP5408105B2 (ja) ガスケットのシール構造
KR20210025343A (ko) 밀봉 하우징
KR20130061284A (ko) 오-링 삽입용 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