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618A -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618A
KR20210114618A KR1020200029898A KR20200029898A KR20210114618A KR 20210114618 A KR20210114618 A KR 20210114618A KR 1020200029898 A KR1020200029898 A KR 1020200029898A KR 20200029898 A KR20200029898 A KR 20200029898A KR 20210114618 A KR20210114618 A KR 2021011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entral
lens rim
central brid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763B1 (ko
Inventor
김상길
김민호
Original Assignee
김상길
김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길, 김민호 filed Critical 김상길
Priority to KR102020002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7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에 관한 발명으로, 금속 또는 비철금속 박판소재를 안경프레임의 길이 및 폭에 상응하는 장방형 판상체로 마련하는 소재준비단계(S10)와, 준비된 소재를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일정 각도로 절첩하여 단면이 '∧' 형상인 절첩홈부(110)를 형성하도록 마련하는 절첩단계(S20)와, 절첩된 소재를 안경프레임의 형상에 따라서 밴딩하여 렌즈림부(120)와, 렌즈림부(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브릿지(130)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 형성하는 하부브릿지(140)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밴딩하는 밴딩단계(S30)와, 상부브릿지(130)의 절첩홈부(110)에 상응하는 하형을 형성하는 제1중심브릿지(151)와, 하부브릿지(140)의 절첩홈부(110) 상응하는 상형을 형성하는 제2중심브릿지(152)와,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상, 하형을 형성하는 제3중심브릿지(153)를 마련하는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와, 제1중심브릿지(151)와, 상부브릿지(130)와, 제3중심브릿지(153)와, 하부브릿지(140)와, 제2중심브릿지(152)를 적층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브릿지결합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에 비해 안경프레임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가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안경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METHOD FOR MANUFACTURING OF EYEGLASS FRAME AND ITSELF}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금속재 프레임 및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장점을 적용하여 안경프레임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하면서 가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안경프레임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사용자가 얼굴에 착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조립되는 렌즈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안경 프레임의 구조는 양측 렌즈가 조립되는 한 쌍의 림 및 양측 림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렌즈테와, 브릿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렌즈테를 지지해주는 노즈패드와, 렌즈테의 양측에서 힌지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엔드피스와, 엔드피스에 힌지 결합하여 절첩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템플로 이루어진다.
안경 프레임은 그 소재에 따라서 금속 프레임, 플라스틱 프레임, 및 이종 재질이 혼합된 콤비네이션 프레임 등이 있다.
금속 프레임은 주요 소재인 합금에 금, 백금을 도금하거나 티탄, 니켈크롬,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및 선반 가공에 의해 성형한다. 금속 프레임은 경도 및 강도가 높은 이점이 있으나 플라스틱 프레임에 비해 무겁고 가공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플라스틱 프레임은 열가소성 수지인 셀룰로이드나 아세테이트 및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다. 플라스틱 프레임은 금속 프레임에 비해 경량이면서 가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경도 및 강도, 내구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종래 공지된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76777 호에는 림의 두께와 같은 두께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또는 레이저가공기 등을 이용하여 평판형의 안경테를 형성하는 공정과, 평판형의 안경테를 소정의 장석부 형성용 금형에 장착하여 돌출부를 펀치 또는 해머 등을 이용하여 타압하여 림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진 장석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평판형의 안경테를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안경테의 정면으로 코다리가 돌출되도록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안경테의 제조방법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89713 호에는 금속판제를 소재로 하여 안경테를 제조하고, 코받침이 부착되는 쪽 외주면에 소재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부착돌기를 형성하는 안경테 제조단계와, 금속판제를 소재로 하여 두개의 안경테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가 형성되고, 연결대 양단부에서 안경테의 외주면에 접착하는 부착대가 형성되어 부착대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부착대에서 코잔등쪽으로 돌출되게 코받침지지대가 형성되는 코받침프레임 제조단계와, 안경테의 부착돌기에 코받침프레임의 양측 부착대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결합하여 레이저 용접기로 용접하는 부착단계로 이루어지는 안경테 제조방법을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1 - 0029505 호에는 사출 성형기의 사출금형에 플라스틱 용융물를 주입시켜 베이스를 성형하는 베이스 사출단계와, 사출금형에 베이스를 안착시킨 다음 베이스의 상부에 베이스와 색상이 다른 플라스틱 용융물을 주입시켜 복층부재를 성형하는 다중 사출단계와, 복층부재를 CNC 가공장치에 투입시켜 형상 가공하여 안경 프레임 또는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안경몸체를 형성하는 형상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안경몸체의 가공방법을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76777 호 (2006.05.03)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89713 호 (2018.08.09)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1 - 0029505 호 (2011.03.2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1417 호 (2004.05.2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은 그 소재의 종류에 따라서 다단계에 걸친 공정을 거치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금속재 안경프레임은 양측 렌즈용 렌즈테와, 렌즈테를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와, 렌즈테의 양측에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엔드피스를 각각 별도로 금속 소재를 프레스기에 투입하여 성형하고, CNC선반 등을 이용한 금속 가공 공정을 거친 후, 각 부품을 고주파 또는 레이저 용접기를 이용해 결합하는 공정을 거치는 형태로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금속재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각 공정 별로 프레스기, CNC선반, 용접기 등의 장치가 사용되므로 설비 구축 및 전문 인력의 확보가 요구되어 생산성 및 효율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재 안경프레임은 플라스틱 용융물을 금형에 주입하여 사출하고, 사출물을 CNC가공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거치도록 구성하는바, 금속재 안경프레임 제조방법에 비해 비교적 공정을 간소화할 수는 있으나, 경도 및 강도, 내구성 등이 금속재에 비해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금속 또는 비철금속 박판소재를 안경프레임의 길이 및 폭에 상응하는 장방형 판상체로 마련하는 소재준비단계(S10)와,
준비된 소재를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일정 각도로 절첩하여 단면이 '∧' 형상인 절첩홈부(110)를 형성하도록 마련하는 절첩단계(S20)와,
절첩된 소재를 안경프레임의 형상에 따라서 밴딩하여 렌즈림부(120)와, 렌즈림부(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브릿지(130)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 형성하는 하부브릿지(140)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밴딩하는 밴딩단계(S30)와,
상기 상부브릿지(130)의 절첩홈부(110)에 상응하는 하형을 형성하는 제1중심브릿지(151)와, 하부브릿지(140)의 절첩홈부(110) 상응하는 상형을 형성하는 제2중심브릿지(152)와,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상, 하형을 형성하는 제3중심브릿지(153)를 마련하는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와,
상기 제1중심브릿지(151)와, 상부브릿지(130)와, 제3중심브릿지(153)와, 하부브릿지(140)와, 제2중심브릿지(152)를 적층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브릿지결합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안경프레임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가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안경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금속재 프레임과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장점을 적용하는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안경프레임 제조시 렌즈테와, 브릿지, 엔드피스 등의 구성을 별도로 제조한 후 용접하는 방식과 차별하여 안경프레임의 구성 전반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렌즈테, 브릿지, 엔드피스를 각각 프레스, CNC선반가공하고 이들을 용접하는 일련의 복잡한 공정을 배제하여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하고 설비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경제적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안경프레임에 비해 나사체결 부위를 최소화하고 용접 부위를 배제함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하고 경도 및 강도는 높으면서 안경프레임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은 종래의 금속재 프레임 제조방법의 복잡한 공정 및 그 제반 문제점과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구성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보다 간소화된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지면서 가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안경프레임의 제조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안경렌즈를 결합하는 렌즈림부(120)와, 렌즈림부(120)를 연결하는 브릿지,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엔드피스(16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안경프레임을 제조하도록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준비단계(S10)와, 절첩단계(S20)와, 밴딩단계(S30)와,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와, 브릿지결합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소재준비단계(S10)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 박판소재를 안경프레임의 길이 및 폭에 상응하는 장방형 판상체로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재는 0.1 ~ 0.3mm 두께의 박판소재를 적용하며 제조하고자 하는 안경프레임의 디자인에 따라서 그 치수를 적용하여 긴 직사각형 판상체로 준비한다. 박판소재는 안경프레임에 적합하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경도를 가지되 후술하게 될 절곡단계에 의해 절곡이 가능한 수준에서 굽힘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안경프레임은 렌즈림부(120)와 상, 하부브릿지(130,140) 및 엔드피스(160)가 일체로 구비되는바, 상기 박판소재는 안경프레임 각부를 평면상으로 전개한 형상에 근접한 판상체 형태로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소재준비단계(S10)에서는 박판소재의 일 측면에서 좌, 우 한 쌍의 돌출편을 형성하도록 마련한다.
상기 돌출편은 후술하게 될 엔드피스(160)가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소재 상에서 양측에 한 쌍을 구비하며 추후 안경다리가 결합되도록 소정의 체결홀 등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재준비단계(S10)에서는 양측 한 쌍이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렌즈림부(120) 및 엔드피스(160)를 브릿지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분하여 2개의 소재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속되는 절첩단계(S20) 및 밴딩단계(S30)는 각 측의 소재를 적용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절첩단계(S20)는 준비된 소재를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일정 각도로 절첩하여 단면이 '∧' 형상인 절첩홈부(110)를 형성하도록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첩단계(S20)에서는 박판소재를 상기 돌출편을 제외하고 그 폭이 1/2이 되는 일 방향으로 절첩하여 일 측면에 절첩홈부(110)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절첩단계(S20)에 의해 형성되는 절첩홈부(110)의 각도는 일반적인 안경렌즈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하며 소재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서 안경렌즈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일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딩단계(S30)는 절첩된 소재를 안경프레임의 형상에 따라서 밴딩하여 렌즈림부(120)와, 렌즈림부(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브릿지(130)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 형성하는 하부브릿지(140)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밴딩하는 단계이다.
상기 밴딩단계(S30)에서는 렌즈림부(120)는 절첩홈부(110)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부브릿지(130)는 렌즈림부(120)의 일측에서 절곡하여 절첩홈부(110)를 반전하여 외주면에 형성하고, 하부브릿지(140)는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서 렌즈림부(120)로부터 절곡하여 절첩홈부(110)를 반전하여 외주면에 형성하도록 밴딩한다.
상기 밴딩단계(S30)에서 렌즈림부(120)와 상부브릿지(130) 및 하부브릿지(140)가 연결되는 부위는 각각의 절첩홈부(110)가 반전되더라도 상기 박판소재의 굽힘성 및 연성에 의해 자연스러운 절곡면을 형성하면서 밴딩될 수 있다.
상기 밴딩단계(S30)는 상기 소재준비단계(S10)에서 1개의 소재 또는 2개로 양분된 소재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상이하게 적용된다. 즉, 밴딩단계(S30)는 1개의 소재를 적용할 경우 양측 렌즈림부(120)가 상부브릿지(130)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렌즈림부(120)의 타단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서 각각의 하부브릿지(140)를 구비하는 형태로 밴딩을 실시한다.
또는, 상기 밴딩단계(S30)는 양분된 2개의 소재를 적용할 경우 일측 렌즈림부(120)의 일단은 상부브릿지(130)가 구비되고 일측 렌즈림부(120)의 타단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 하부브릿지(140)가 구비되며, 타측 렌즈림부(120)의 일단 및 타단 역시 일측 렌즈림부(120)와 대칭하도록 구비하는 형태로 밴딩을 실시한다.
상기 밴딩단계(S30)에서는 양측 렌즈림부(120)의 밴딩이 이루어진 후, 양측 렌즈림부(12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편을 안경프레임의 후방으로 절곡하여 렌즈림부(120)에 일체로 연속되도록 엔드피스(160)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는 상부브릿지(130)의 절첩홈부(110)에 상응하는 하형을 형성하는 제1중심브릿지(151)와, 하부브릿지(140)의 절첩홈부(110) 상응하는 상형을 형성하는 제2중심브릿지(152)와,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상, 하형을 형성하는 제3중심브릿지(153)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에서는 상기 밴딩단계(S3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브릿지(130) 및 하부브릿지(140)를 결합하여 안경프레임의 브릿지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 내지 제3중심브릿지(151~15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브릿지(130) 및 하부브릿지(140)는 각각의 절첩홈부(110)가 외주면 상에서 상호 대칭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에서는 상,하부브릿지(130,140) 각각의 절첩홈부(110)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1중심브릿지 및 제2중심브릿지를 형성하고,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의 공간에는 상, 하측에서 각각의 절첩홈부(110)가 반전된 형태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3중심브릿지(15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소재준비단계(S10) 및 밴딩단계(S30)에서 1개의 소재 또는 2개로 양분된 소재의 적용 상태에 관계없이 양측 렌즈림부(120)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하므로 상기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에서는 제1 내지 제3중심브릿지(151~153)는 그 간격에 상응하는 수평 길이를 형성하도록 마련한다.
또한, 상기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에서는 제3중심브릿지(153)의 일 측면에 소정의 장착홀을 형성하여 코받침을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브릿지결합단계(S50)는 상기 제1중심브릿지(151)와, 상부브릿지(130)와, 제3중심브릿지(153)와, 하부브릿지(140)와, 제2중심브릿지(152)를 적층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브릿지결합단계(S50)는 상기 밴딩단계(S30)에 의해 형성되는 1개 또는 양분된 양측 렌즈림부(120)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브릿지(130) 및 하부브릿지(140)를 중심브릿지(150)를 이용해 결합하여 안경프레임을 완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브릿지결합단계(S50)에서는 상, 하부브릿지(130,140)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첩홈부(110)에 상기 제1,2중심브릿지(151,152)를 상, 하 대칭하도록 삽입하고, 상, 하부브릿지(130,140)의 사이에 상기 제3중심브릿지(130)를 개재하여 소정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이들을 결합한다.
상기 브릿지결합단계(S50)는 체결수단의 체결 및 해제에 의해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안경렌즈를 렌즈림부(120)에 결합 시 실시할 수 있으며, 안경렌즈의 외주연은 렌즈림부(120)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절첩홈부(110)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프레임은 금속 또는 비철금속 박판소재로 이루어지되, 양측 렌즈림부(120)와, 렌즈림부(120)의 일측에 구비하는 상부브릿지(130)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 구비하는 하부브릿지(140)와, 렌즈림부(120) 각각의 양 측단에 구비하는 엔드피스(160)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구비하는 안경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양측 렌즈림부(120)와 상부브릿지(130) 및 하부브릿지(140) 전체를 따라서 단면이 '∧' 형상인 절첩홈부(110)를 형성하되, 상기 렌즈림부(120)는 절첩홈부(110)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 하부브릿지(130,140)는 각각의 절첩홈부(110)를 반전하여 외주면에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부브릿지(130)의 절첩홈부(110)에 상응하는 하형을 형성하는 제1중심브릿지(151)와, 하부브릿지(140)의 절첩홈부(110) 상응하는 상형을 형성하는 제2중심브릿지(152)와,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상, 하형을 형성하는 제3중심브릿지(153)를 구비하여, 상기 제1중심브릿지(151)와, 상부브릿지(130)와, 제3중심브릿지(153)와, 하부브릿지(140)와, 제2중심브릿지(152)를 적층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중심브릿지(153)의 일 측면에는 소정의 장착홀을 형성하여 코받침을 장착하며, 양측 렌즈림부(120) 각각의 일측에는 엔드피스(160)를 일체로 연속되도록 절곡 형성하여 안경다리가 결합되도록 구비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은 종래의 안경프레임의 제조시 렌즈테와, 브릿지, 엔드피스 등의 구성을 별도로 제조한 후 용접하는 방식과 차별하여 안경프레임 구성 전반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안경프레임을 제조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렌즈테, 브릿지, 엔드피스를 각각 프레스, CNC선반가공하고 이들을 용접하는 일련의 공정을 배제하고 공정을 대폭 간소화, 및 효율화하여 설비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안경프레임에 비해 나사체결 부위를 최소화하고 용접 부위를 배제하는 등 가공성이 우수하고 플라스틱재 안경프레임에 비해 경도 및 강도는 높으면서 안경프레임의 무게는 경량화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S10: 소재준비단계
S20: 절첩단계
S30: 밴딩단계
S40: 중심브릿지준비단계
S50: 브릿지결합단계
110: 절첩홈부
120: 렌즈림부
130: 상부브릿지
140: 하부브릿지
151~153: 제1 내지 제3중심브릿지
160: 엔드피스

Claims (4)

  1. 금속 또는 비철금속 박판소재를 안경프레임의 길이 및 폭에 상응하는 장방형 판상체로 마련하는 소재준비단계(S10)와,
    준비된 소재를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일정 각도로 절첩하여 단면이 '∧' 형상인 절첩홈부(110)를 형성하도록 마련하는 절첩단계(S20)와,
    절첩된 소재를 안경프레임의 형상에 따라서 밴딩하여 렌즈림부(120)와, 렌즈림부(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브릿지(130)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 형성하는 하부브릿지(140)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밴딩하는 밴딩단계(S30)와,
    상기 상부브릿지(130)의 절첩홈부(110)에 상응하는 하형을 형성하는 제1중심브릿지(151)와, 하부브릿지(140)의 절첩홈부(110) 상응하는 상형을 형성하는 제2중심브릿지(152)와,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상, 하형을 형성하는 제3중심브릿지(153)를 마련하는 중심브릿지준비단계(S40)와,
    상기 제1중심브릿지(151)와, 상부브릿지(130)와, 제3중심브릿지(153)와, 하부브릿지(140)와, 제2중심브릿지(152)를 적층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브릿지결합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준비단계(S10)에서는, 박판소재의 일 측면에서 좌, 우 한 쌍의 돌출편을 형성하도록 마련하고,
    상기 밴딩단계(S30)에서는, 양측 렌즈림부(12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돌출편을 안경프레임의 후방으로 절곡하여 렌즈림부(120)에 일체로 연속되도록 엔드피스(16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단계(S30)에서는,
    렌즈림부(120)는 절첩홈부(110)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부브릿지(130)는 렌즈림부(120)의 일측에서 절곡하여 절첩홈부(110)를 반전하여 외주면에 형성하고, 하부브릿지(140)는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서 렌즈림부(120)로부터 절곡하여 절첩홈부(110)를 반전하여 외주면에 형성하도록 밴딩하고,
    상기 브릿지결합단계(S50)에서는,
    상, 하부브릿지(130,140)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첩홈부(110)에 상기 제1,2중심브릿지(151,152)를 상, 하 대칭하도록 삽입하고, 상, 하부브릿지(130,140)의 사이에 상기 제3중심브릿지(130)를 개재하여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되는 안경프레임에 있어서,
    금속 또는 비철금속 박판소재로 이루어지되, 양측 렌즈림부(120)와, 렌즈림부(120)의 일측에 구비하는 상부브릿지(130)와, 상부브릿지(130)의 하측에 구비하는 하부브릿지(140)와, 렌즈림부(120) 각각의 양 측단에 구비하는 엔드피스(160)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양측 렌즈림부(120)와 상부브릿지(130) 및 하부브릿지(140) 전체를 따라서 단면이 '∧' 형상인 절첩홈부(110)를 형성하되,
    상기 렌즈림부(120)는 절첩홈부(110)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 하부브릿지(130,140)는 각각의 절첩홈부(110)를 반전하여 외주면에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상부브릿지(130)의 절첩홈부(110)에 상응하는 하형을 형성하는 제1중심브릿지(151)와, 하부브릿지(140)의 절첩홈부(110) 상응하는 상형을 형성하는 제2중심브릿지(152)와, 상, 하부브릿지(130,140)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상, 하형을 형성하는 제3중심브릿지(153)를 구비하여,
    상기 제1중심브릿지(151)와, 상부브릿지(130)와, 제3중심브릿지(153)와, 하부브릿지(140)와, 제2중심브릿지(152)를 적층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
KR1020200029898A 2020-03-11 2020-03-11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KR10235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98A KR102353763B1 (ko) 2020-03-11 2020-03-11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98A KR102353763B1 (ko) 2020-03-11 2020-03-11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18A true KR20210114618A (ko) 2021-09-24
KR102353763B1 KR102353763B1 (ko) 2022-01-19

Family

ID=7791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98A KR102353763B1 (ko) 2020-03-11 2020-03-11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7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197A (ja) * 2001-01-09 2002-07-26 Hamamoto Technical Kk 眼鏡フロント枠におけるリムロック型パッドアーム締結機構
KR200351417Y1 (ko) 2004-02-18 2004-05-20 정왕재 안경테와 코받침의 연결구조
KR100576777B1 (ko) 2003-11-07 2006-05-03 권용식 안경테의 제조방법
JP2009014887A (ja) * 2007-07-03 2009-01-22 Scope:Kk パッドアーム取付機構
KR20110029505A (ko) 2009-09-15 2011-03-23 김학철 안경몸체의 가공방법
KR20130087066A (ko) * 2012-01-27 2013-08-06 (주)제이하우스 볼트-너트 결합부가 없는 일체형 림의 안경태구조와 제조방법
KR20180089713A (ko) 2017-02-01 2018-08-09 류기현 안경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197A (ja) * 2001-01-09 2002-07-26 Hamamoto Technical Kk 眼鏡フロント枠におけるリムロック型パッドアーム締結機構
KR100576777B1 (ko) 2003-11-07 2006-05-03 권용식 안경테의 제조방법
KR200351417Y1 (ko) 2004-02-18 2004-05-20 정왕재 안경테와 코받침의 연결구조
JP2009014887A (ja) * 2007-07-03 2009-01-22 Scope:Kk パッドアーム取付機構
KR20110029505A (ko) 2009-09-15 2011-03-23 김학철 안경몸체의 가공방법
KR20130087066A (ko) * 2012-01-27 2013-08-06 (주)제이하우스 볼트-너트 결합부가 없는 일체형 림의 안경태구조와 제조방법
KR20180089713A (ko) 2017-02-01 2018-08-09 류기현 안경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763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1738B2 (en) Rimless spectacles
US7367669B2 (en) Eyeglass frames
WO2005019902A3 (en) Safety glasses with pivoting interchangeable single-lens
US3391976A (en) Auxiliary nosepiece for spectacle frames
JPH0915540A (ja) 左右互換型眼鏡用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眼鏡
KR102353763B1 (ko)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CN102879918B (zh) 一种片式组装眼镜及其制作及装配工艺
KR102517289B1 (ko) 플라스틱 안경테 제조방법
JP3694785B2 (ja) メガネ部品の切抜きシート板
JP2003021813A (ja) 装飾眼鏡部材
KR20120033370A (ko) 접는 안경
JP4072406B2 (ja) 薄板金属製フレーム眼鏡
KR20200102202A (ko) 착용이 편리하고 심미감을 가지는 안경 조립체
KR102206631B1 (ko) 안경
KR101635687B1 (ko)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안경다리
CN203178599U (zh) 一种片式组装眼镜
JP7149630B2 (ja) 樹脂リム一体型金属眼鏡フレーム
CN219417899U (zh) 可更换镜圈的磁吸式眼镜
JP2017049477A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角度調節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用エンドピース
JP2022038649A (ja) 軽くて丈夫な薄型メガネフレーム
KR200203211Y1 (ko) 안경다리
JP3309258B2 (ja) 縁無し眼鏡の製造方法,縁無し眼鏡フレーム用レンズ間連結部品の製造方法,縁無し眼鏡フレーム用テンプル連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縁無し眼鏡
KR200252993Y1 (ko) 탄성 안경다리용 연결구
JP3003714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リム連結構造
KR100360625B1 (ko) 안경용 렌즈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