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032A - seaplane - Google Patents

seap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032A
KR20210114032A KR1020217025734A KR20217025734A KR20210114032A KR 20210114032 A KR20210114032 A KR 20210114032A KR 1020217025734 A KR1020217025734 A KR 1020217025734A KR 20217025734 A KR20217025734 A KR 20217025734A KR 20210114032 A KR20210114032 A KR 20210114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ceiver
flow channels
hull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스-피터 발푸르기스
Original Assignee
카야고 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야고 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야고 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1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0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10Power-driven personal watercraft, e.g. water scoot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12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having ice-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6Divers' sleds or like craft, i.e. craft on which man in diving-suit 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63H11/08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2011/008Arrangements of two or more jet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63H11/08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 B63H2011/081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with axial flow, i.e. the axis of rotation being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63H2021/216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기, 특히 선미(12)와 선수(11)을 갖는 선체(10)를 가진 수영 및/또는 잠수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며, 두 개의 유동 채널들(27)이 상기 선체(10) 내에 또는 상기 선체(10) 상에 제공되며, 상기 유동 채널들은 물 유입구(22)로부터 물 배출구(24)까지 연장되며, 물 가속 장치(52), 특히 프로펠러 또는 추진 나사가 상기 두 개의 유동 채널들(27) 각각에 배열되며, 각각의 물 가속 장치(52)는 모터(50)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가 단단히 잡고 있을 수 있는 핸들들(31)이 상기 선수(11)와 상기 선미(12) 사이의 배 중간(midship) 영역에 또는 상기 선수 영역에 배열되며, 지지 표면(40)이 상기 선미(12) 방향으로 상기 핸들들(31)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가 이 지지 표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쉴 수 있으며, 상기 선체(10)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벌지(bulge)들이 상기 선체(10)의 밑면 상에 제공되며, 이 벌지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워터-슬라이딩 표면(14, 15)이 배열된다. 이러한 수상기에서 콤팩트한 구조를 가진 낮은 유동 저항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라 유동 채널들(27)은 상기 벌지들의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게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plane, in particular a swimming and/or diving aid having a hull (10) having a stern (12) and a bow (11), wherein two flow channels (27) are provided in said hull (10) or It is provided on the hull 10 , said flow channels extending from a water inlet 22 to a water outlet 24 , and a water accelerator 52 , in particular a propeller or a propelling screw, is connected to the two flow channels 27 . ), each water accelerator 52 is driven by a motor 50 , and handles 31 , which can be held firmly by the user, are provided between the bow 11 and the stern 12 . Arranged in the midship region or in the bow region, a support surface 4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andles 31 in the direction of the stern 12 , on which the user at least partially at least one water-sliding surface ( 14, 15) are arranged. In order to realize a low flow resistance having a compact structure in such a receiver, flow channels 27 are provided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in the area of the bul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수상기seaplane

본 발명은 수상기, 특히, 선미(stern)와 선수(bow)를 갖는 선체를 가진 수영 및/또는 잠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두 개의 유동 채널(flow channel)들이 선체 내에 또는 선체 상에 제공되고, 이 유동 채널들은 물 유입구에서 물 배출구까지 연장된다. 물 가속 장치, 특히 프로펠러 또는 추진 나사는 두 개의 유동 채널들 각각에 배열되며, 각각의 물 가속 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가가 잡을 수 있는 핸들들이 선수와 선미 사이의 배 중간(midship) 영역에 또는 선수 영역내에 배열되며, 지지 표면이 선미 방향으로 핸들들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사용자가 이 지지 표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쉴 수 있고,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벌지(bulge)들이 선체의 밑면 상에 제공되며, 이 벌지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워터 슬라이딩 표면이 배열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plane, in particular a swimming and/or diving aid having a hull having a stern and a bow, wherein two flow channels are provided in or on the hull and these flow channels extend from the water inlet to the water outlet. A water accelerator, in particular a propeller or propulsion screw, is arranged in each of the two flow channels, each water accelerator being driven by a motor, and a user gripping handle is provided in the midship area between the bow and the stern. two spaced bulg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rranged at or in the bow area, wherein a supporting surface is provided adjacent the handles in the aft direction, on which the user can rest at least partially; are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hull, between which at least one water sliding surface is arranged.

이러한 수상기는 레크리에이션 또는 스포츠 장비, 구조 장비 및 전문 용도로 사용된다. 수상기는 수면을 가로질러 사용자를 끌어당기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동시에, 수상기는 수면 이동으로부터 수중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특히, 수상기는 더 긴 잠수 이동들에 사용될 수 있다. These water planes are used for recreational or sports equipment, rescue equipment and professional use. The receiver can be used to pull the user across the water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receiver can be switched from surface movement to underwater movement. In particular, the seaplane may be used for longer submerged movements.

US 2001/0025594 A1호는 횡방향으로 돌출 날개들을 갖는 선체가 제공된 수상기를 개시한다. 선체는 사용자의 상체가 위에서 쉴 수 있는 지지 표면을 갖는다. 모터사이클과 유사하게, 수상기는 핸들바를 갖는다. 핸들바는 두 개의 핸들들을 갖는다. 사용자는 이것들을 단단히 잡고 있을 수 있다. 두 개의 유동 채널들이 선체에 추가로 제공되며, 여기서 임펠러들(impellers)은 유동 채널들 내부에 제공된다. 임펠러들은 샤프트 상에 배열되고 전기 모터로 구동될 수 있다. 수상기는 그 밑면 상에 이격된 돌출부들을 갖는다. 이 잘 알려진 수상기는 상대적으로 발자국이 커서 다루기 힘들다. 특히, 팽팽한(tight) 곡선 반경을 따라 선회(turn)해야 하는 수상 이동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수상기의 명백한 높이(clear height)는 크며, 즉, 상대적으로 높은 유동 저항(flow resistance)을 갖는다.US 2001/0025594 A1 discloses a seaplane provided with a hull with transversely projecting wings. The hull has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user can rest. Similar to a motorcycle, the receiver has a handlebar. The handlebar has two handles. The user can hold them firmly. Two flow channels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hull, wherein impellers are provided inside the flow channels. The impellers are arranged on a shaft and can b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The receiver has spaced apart projections on its underside. This well-known seaplane is difficult to handle due to its relatively large footprint. In particular, it cannot be used for water movements that require turns along tight curve radii. In addition, the clear height of the receiver is large, ie it has a relatively high flow resistance.

예를 들어, 이러한 수상기는 DE 35 23 758 A1호로부터 알려진다. 복엽기와 유사하게, 이 수상기는 이격된 두 개의 날개를 갖는다. 이들 두 날개 사이에 유동 채널들이 형성된다. 모터들은 유동 채널들에 배열되어 프로펠러를 각각 하나씩 구동한다. 또한, 핸들들은 날개들 사이에 제공된다. 이 핸들들은 모터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Such a receiver is known, for example, from DE 35 23 758 A1. Similar to a biplane, this seaplane has two wings that are spaced apart. Flow channels are formed between these two wings. Motors are arranged in the flow channels to drive one propeller each. Also, handles are provided between the wings. These handles can be us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motors.

FR 2 915 172호는 두 개의 유동 채널들 및 그와 관련된 엔진들을 갖는 또다른 수상기를 알려 준다.FR 2 915 172 discloses another receiver with two flow channels and associated engines.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낮은 유동 저항에 도움이 되는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빠른 구동 스타일에 도움이 되어 취급이 용이한, 초기에 언급된 유형의 수상기 제공의 문제를 해결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providing a receiver of the type initially mentioned, which has a compact structure conducive to a relatively low flow resistance and is easy to handle conducive to a quick drive style.

이 문제는 벌지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유동 채널들에 의해 해결된다.This problem is solved by flow channels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in the bulge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 채널들은 공간 절약 방식으로 벌지들의 영역에 통합되어, 알려진 수상기에 비해 수상기의 전체 높이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것은 유동 저항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수상기는 에너지 소비가 현저히 줄어들고 빠른 구동 스타일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동 채널을 벌지들에 통합하면, 잠수 중 수상기의 균형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위를 구동할 때, 물결 모양의 물에서도 유동 채널로의 개선된 물 공급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할 때 유동 채널들에 공기가 유입될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low channels are integrated in the area of the bulges in a space-saving manner, significantly reduc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receiver compared to known receivers. This reduces the flow resistance. As a result, the receiver significantly reduces energy consumption and allows for a faster driving style. Incorporation of the flow channel into the bulges has also been shown to improve the balance of the floater during diving. When driving on water, an improved water supply to the flow channels is achieved even in wavy water, and the risk of air entrainment in the flow channels when driving in this way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따르면, 두 개의 유동 채널들 각각은 벌지 내로 각각 도입되는 자체 물 유입구를 갖는다. 한편, 이것은 방향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두 개의 유동 채널들 중 하나가 의도하지 않게 공기를 흡입하면 다른 유동 채널은 공기를 흡입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작동이 개선된다. 그러면, 다른 유동 채널은 원하는 추력(thrust)으로 계속해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variant of the invention, each of the two flow channels has its own water inlet, which is each introduced into the bulge. On the other hand, this improves direction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is improved in that if one of the two flow channels inadvertently sucks in air, the other flow channel does not. The other flow channel can then continue to provide driving force with the desired thrust.

본 발명의 생각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 유입구들이 밑면을 향하여 및/또는 벌지들 사이에 위치된 영역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 유입구들이 밑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향되면, 유동 채널의 이상적인 물 공급은 보호된다. 물 유입구들이 벌지들 사이의 영역으로 개방되도록 배향될 때, 물이 벌지 사이의 슬라이딩 표면 위로 벌지 사이의 영역으로 능동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구동 스타일이 개선된다. 물 유입구들이 양쪽 방향, 즉, 밑면을 향하는 방향과 벌지들 사이의 영역으로 정렬되면, 이러한 효과들은 조합되어 캐비테이션 효과(cavitational effect)의 위험이 없다.According to one conceiva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that the water inlets open towards the underside and/or towards the area located between the bulges. If the water inlets are oriented so as to be open to the underside, the ideal water supply of the flow channel is protected. When the water inlets are oriented to open into the area between the bulges, the driving style is improved because water is actively drawn into the area between the bulges over the sliding surface between the bulges. If the water inlets are aligned in both directions, ie in the direction facing the base and in the area between the bulges, then these effects combine to avoid the risk of a cavitational effect.

최대 추력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양쪽 유동 채널들의 물 배출구들이 수상기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a maximum thrust effect, it may be provided that the water outlets of both flow channels open towards the rear of the receiver.

물 가속 장치들의 다운스트림에 있는 각 유동 채널들에 유동 고정자를 배열함으로써 효율의 상당한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 유동 고정자는 물 가속 장치의 다운스트림에서 물의 소용돌이를 줄이거나 제거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워터 제트를 곧게 펴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와 같은 물 가속 장치에 의해 유동 채널들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물 가속 장치에서 꼬인다. 이러한 꼬임은 추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소용돌이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유동 고정자를 사용할 때, 워터 제트의 추력 및 이로써 수상기의 전체 성능은 크게 증가된다.A significant optimization of the efficiency can be achieved by arranging a flow stator in each of the flow channels downstream of the water accelerators, which flow stator is preferably designed to reduce or eliminate swirling of water downstream of the water accelerator. Designed to straighten the water jet. For exampl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low channels by a water accelerator such as a propeller is twisted in the water accelerator. This twist reduces thrust. When using a flow stator to reduce or eliminate these vortices, the thrust of the water jet and thu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is greatly increased.

두 개의 물 가속 장치들과 관련된 모터들이 선체 내 유동 채널들 외부에 위치하도록 제공될 경우, 유동 채널들의 자유 단면적은 최대 물 유동을 달성하기 위해 모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엔진들은 수상기의 중앙 종축의 양측 상에 위치된다. 그 결과, 엔진들의 무게는 수상 이동 중 수상기의 안정화에 기여한다.If the motors associated with the two water accelerators are provided to be located outside the flow channels in the hull, the fre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channels remains unaffected by the motor to achieve maximum water flow. Preferably, the engines are located on either side of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ceiver. As a result, the weight of the engines contributes to the stabilization of the receiver during water move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옵션은 엔진들이 공동 침수 구획 또는 개별의 침수 구획들에 수용되는 것을 제공하며, 여기서 침수 구획들은 주변 물로 침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엔진은 작동 중에 주변 물에 의해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주변 물은 사실상 무제한으로 냉각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A preferred o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engines are housed in a common submerged compartment or separate submerged compartments, wherein the submerged compartments can be flooded with ambient water. In this way, the engine can be efficiently cooled by ambient water during operation. Ambient water can be used for cooling purposes virtually unlimitedly.

효율적인 유동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물 유입구 포트와 하나의 물 배출구 포트를 통해 침수 구획 또는 구획들이 환경에 연결되게 제공되고, 물 유입구 포트와 물 배출구 포트가 선수부터 선미까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 배열되게 제공되어, 수상기의 작동 중 침수 구획 또는 구획들에 물 유동을 생성한다.In order to achieve efficient flow, the submerged compartment or compartments are provided for connection to the environment through at least one water inlet port and one water outlet port, the water inlet port and water outlet po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from bow to stern. They are provided in an offset arrangement from one another to create a water flow in the submerged compartment or compartments during operation of the receiver.

하나 이상의 통풍구들이 침수 구획(들)에 할당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수상기가 물 위에 위치될 때, 침수 구획(들)로부터의 공기는 빠르게 통풍구를 통해 빠져나가 침수 구획들로 하여금 물로 채우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풍구 또는 통풍구들은 침수 구획들의 영역에 위치되며, 이 침수 구획들은 최대한 가능한 범위까지 통풍을 허용하기 위해 선체 바닥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한다.It is also conceivable for one or more vents to be assigned to the submerged compartment(s). When the water receiver is placed over water, air from the submerged compartment(s) can quickly escape through the vents, causing the submerged compartments to fill with water. Preferably, the vent or vents are located in the area of the submerged compartments, these submerged compartments being located above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hull to allow ventilation to the greatest possible extent.

침수 구획들은 또한 수상기가 물 위에 위치될 때 수상기의 부력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상기의 구조적 무게가 감소하여 물 밖으로 운송하기가 쉽다.Submerged compartments can also be used to reduce the buoyancy of the receiver when it is placed over water. This reduces the structural weight of the float, making it easier to transport out of the water.

두 개의 침수 구획들이 사용될 때, 수상기의 균형은 작동 동안 더욱 개선될 수 있다.When two submerged compartments are used, the balance of the receiver can be further improved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의 가능한 변형에 따라 벌지들은 횡방향 아웃트리거들의 일부로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터 및/또는 침수 구획이 각각의 아웃트리거 영역에 제공된다. 아웃트리거들은 실제 선체 바디에 직접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그것들은 또한 선체 바디내에 통합될 수 있다. 만일, 엔진 및/또는 침수 구획이 각각의 아웃트리거에 위치된다면, 수상기의 안정된 중앙 위치가 작동 동안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ossible variant of the invention, the bulges can be provided as part of the transverse outriggers, preferably a motor and/or a submerged section is provided in each outrigger area. The outriggers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ctual hull body or may be spaced apart. They may also be integrated into the hull body. If the engine and/or submerged compartment are located on each outrigger, a stable central position of the receiver can be achieved during operation.

특히, 두 개의 모터들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서, 코너링 때, 개선된 핸들링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회할 때 곡선의 외부 반경을 향하는 모터는 내부 반경을 향하는 모터보다 더 높은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것은 빠른 선회를 가능하게 한다.In particular, it is advantageous if each of the two motors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and/or regulated. In this way, improved handling can be achieved when cornering. For example, a motor facing the outer radius of a curve when turning may run at a higher power than a motor facing the inner radius. This allows for quick turns.

특히, 조절 장치의 제어 소자들을 각각의 핸들에 할당하는, 즉, 하나의 핸들의 제어 소자들은 하나의 모터의 전력 출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핸들의 제어 소자들은 다른 모터의 전력 출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사용자는 구동 동안 코너링 동작에 능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빠른 구동 스타일을 지원한다. In particular, assigning the control elements of the regulating device to each handle, that is, the control elements of one handle can be used to regulate the power output of one motor and the control elements of the other handle control the power output of the other motor. can be used to adjust. In this way, the user can actively influence the cornering motion during driving, which supports the fast driving style.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따르면, 두 개의 엔진들은 모두 공동 전원에 의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축전기로서 설계될 수 있는 전원을 수상기의 중앙인 배 중간 또는 선수 영역에 배열하여, 사용자가 지지 표면에 가하는 하중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원의 무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각 모터에 그 자체의 전원이 할당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중복성이 확립된다. 작동 중 전원에 장애가 생기면 사용자는 제 2 축전기의 전력을 사용하여 감소된 속도로 해안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남은 전원을 두 개의 모터들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환 스위치가 있음도 생각할 수 있다. 두 개의 전원들이 사용될 때, 바람직하게는 전원들은 수상기의 중앙 종축에 대하여 그리고 중앙 종축을 통과하는 수상기의 중앙의 횡 평면의 양측 상에 대칭으로 배열되어, 수상기의 우수한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variant of the invention, both engines may be supplied by a common power source. In this case, it is better to use the weight of the power source to balance the load applied by the user to the supporting surface by arranging the power source, which can be designed as a capacitor, in the middle of the ship or the bow area, which is the center of the receiver. It is also conceivable that each motor is assigned its own power source. In that case, redundancy is established. If the power supply fails during operation, the user can use the power from the secondary capacitor to reach the shore at a reduced speed. In this case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re is a changeover switch that can be used to provide the remaining power to the two motors. When two power sources are used, preferably the power source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ceiver an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transverse plane of the receiver passing throug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so as to achieve good stability of the receiver.

두 개의 전원들을 사용할 때, 모터들에 대한 두 개의 전원들이 각각 침수 구획 또는 공동 침수 구획에 위치되는 것도 권장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전원들은 침수 구획들에서 작동 동안 냉각될 수 있다. 이는 전원들의 일정한 전력 출력을 보장한다.When using two power source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 two power sources for the motors are each located in a submerged compartment or a common submerged compartment. In that way, power sources can be cooled during operation in submerged compartments. This ensures a constant power output of the power supplies.

조절 장치가 모터들의 회전 방향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반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면, 그 방식에서 물 가속 장치의 추력 방향은 반전될 수 있다. 그러면, 수상기의 반전 또는 선회는 제한된 공간에서 달성될 수 있다.If it is provided that the regulating device can be used to individually or jointly revers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s, in that way the thrust direction of the water accelerator can be reversed. Then, inversion or turning of the receiver can be achieved in a limited space.

본 발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상기는 선미와 선수를 갖는 선체를 가진 형태일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유동 채널들은 선체 내에 또는 선체 상에 제공되며, 유동 채널들은 물 유입구에서 물 배출구까지 연장되며, 물 가속 장치, 특히 프로펠러 또는 추진 나사는 두 개의 유동 채널들의 각각에 배열되며, 각 물 가속 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가 단단히 잡고 있을 수 있는 핸들들은 선수와 선미 사이의 배 중간 또는 선수 영역에 배열된다. 이러한 수상기에서, 상기 수상기는 그 중앙 종축을 중심으로 수상기의 기울기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를 갖고, 상기 기울기 센서는 조절 장치에 연결되고, 제어 장치는 모터들이 서로 다른 전력 출력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수상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함수로서 두 개의 모터들을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lane may be of a type having a hull having a stern and a bow, two flow channels are provided in or on the hull, the flow channels extending from the water inlet to the water outlet, A water accelerator, in particular a propeller or propulsion screw, is arranged in each of the two flow channels, each water accelerator driven by a motor, and the handles, which the user can hold firmly, are located in the midship or bow area between the bow and the stern. are arranged in In such a receiver, the receiver has a tilt sensor for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detecting the tilt of the receiver about its central longitudinal axis, the inclination sensor is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tors have different power outputs. in such a way it can be provided to control the two motors as a function of the signal from the tilt sensor when the receiver is tilted.

이러한 수상기의 사용자가 선회를 시작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수상기를 그 중앙 종축에 대해 기울인다. 그러면 기울기 센서는 이 기울기를 검출한다. 따라서, 조절 장치는 그 전력 출력과 관련하여 두 모터들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곡선 내부를 향하는 모터는 외부상의 모터보다 낮은 전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팽팽한 선회를 만들어, 결과적으로 빠른 구동 스타일이 된다. 기울기 센서가 기울기의 정도, 특히 기울기의 각도를 정성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함수적 관계 또는 특성 맵은 조절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측정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조절 장치는 함수적 관계 또는 특성 맵으로부터 두 개의 모터들에 대해 할당된 제어 파라미터들을 취한다. 이는 최대 구동 성능으로 최적화된 선회를 허용한다.When the user of this receiver wants to start turning, the user intuitively tilts the receiver about its central longitudinal axis. The tilt sensor then detects this tilt. Thus, the regulating device regulates both motors in relation to their power output. For example, a motor facing the inside of a curve may be operated at a lower power than a motor facing outside. This creates a tight turn, resulting in a fast drive style. It is conceivable that the inclination sensor qualitatively detects the degree of inclination, in particular the angle of inclination.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r characteristic map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ditioning device. Depending on the measured inclination angle, the adjustment device takes the assigned control parameters for the two motors from a functional relationship or characteristic map. This allows for an optimized turn with maximum drive performan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on the basis of exemplary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수상기의 선미의 후방 단면도.
도 2는 도1의 수상기의 저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수상기의 측단면도.
1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rn of the receiver;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receiver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er of Figures 1 and 2;

도 1 및 도 2는 선체(10)를 가진 수상기를 도시하며, 선체(10)는 선수(11)와 선미(12)를 갖는다. 선수(11) 영역에 콕핏(30)이 제공되며, 콕핏에는 디스플레이(32)가 있다. 디스플레이(32)는 수상기의 특정 작동 매개변수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60)의 충전 상태, 잠수 깊이, 또는 속도가 이 디스플레이(32)에 표시될 수 있다.1 and 2 show a seaplane having a hull 10 , the hull 10 having a bow 11 and a stern 12 . A cockpit 30 is provided in the area of the player 11 , and the cockpit has a display 32 . The display 32 may be used to display certain operating parameters of the receiver. For example,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ource 60 , the depth of the dive, or the speed may be indicated on the display 32 .

콕핏(30)의 양 측면상에 핸들들(31)이 있다. 사용자는 이 핸들들을 사용하여 수상기를 단단히 잡고 있을 수 있다. 핸들들(31)은 제어 소자들(31A, 31B)을 가질 수 있다.There are handles 31 on both sides of the cockpit 30 . The user can use these handles to hold the receiver firmly. The handles 31 may have control elements 31A, 31B.

지지 표면(40)은 콕핏(30)에 선미(12)의 방향으로 인접해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그의 팔들을 받치거나 상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표면(40)상에서 부분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 표면(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 모양의 오목한 형태로 배 중간에 제공된다. 그러나, 오목한 것이 아닌, 오히려 바깥 방향으로 굽은 배 중간 영역 또는 평평한 배 중간 영역이 제공되는 것도 생각될 수 있다.The support surface 40 adjoins the cockpit 30 in the direction of the stern 12 . The user may rest partially on a support surface 40 that supports, for example, his arms or supports a portion of his upper body. Preferably, the support surface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vessel in a concave shape in the shape of a tank, as shown in FIG. 1 . However, it is also conceivable for a mid-abdominal region to be provided which is not concave, but rather curved outwardly or a flat mid-abdominal region.

배 중간 영역은 수상기의 중앙 종축의 양측상에 아웃트리거들(20)이 인접해 있다. 아웃트리거들(20)은 둥근 전환 영역들(42)을 갖는다. 이들 둥근 전환 영역들(42)은 볼록하게 바깥 방향으로 굽어 있다. 물론, 다른 전환 영역들도 여기서 제공될 수 있다. 둥근 전환 영역(42)은 지지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지지 표면(40)의 배 중간 영역과 병합된다. 아웃트리거들(20)의 바깥 방향으로 인접한 상부 면들은 사용자의 팔들을 위한 지지 표면들을 형성한다. 측벽들(21)은 아웃트리거들(20)의 길이방향 단부들을 종료한다. 측벽들(21)은 유동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상기의 밑면으로 볼록하다. 거기에서, 측벽들(21)은 내부 경계벽들(26)에 병합된다. 경계벽들(26)은 또한 아웃트리거들(20)의 일부이다. 도 2와 같이, 경계벽들(26)은 각각 전방부(26.1), 중앙부(26.2), 후방부(26.3)로 나뉜다.The mid-ship region is adjoined with outriggers 20 on either side of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ceiver. The outriggers 20 have rounded transition areas 42 . These rounded transition regions 42 are convexly curved outwardly. Of course, other transition areas may also be provided herein. The rounded transition region 42 forms part of the support surface and merges with the midship region of the support surface 40 . The outwardly adjacent upper surfaces of the outriggers 20 form support surfaces for the arms of the user. The sidewalls 21 terminate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outriggers 20 . The side walls 21 are convex to the underside of the receiver to optimize flow. There, the side walls 21 merge into the inner boundary walls 26 . The boundary walls 26 are also part of the outriggers 20 . As shown in FIG. 2 , the boundary walls 26 are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26.1 , a central portion 26.2 , and a rear portion 26.3 , respectively.

경계벽들(26)의 전방부(26.1)들은 바깥 방향으로 분기되고 이로써 유동을 최적화하도록 배열된다.The front portions 26.1 of the boundary walls 26 diverge outward and are thus arranged to optimize the flow.

아웃트리거들(20)은 수상기의 밑면을 향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 벌지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기의 종축 방향으로 이어진다. 돌출부들은 측벽들(21)과 경계벽들(26)에 의해 형성되며, 경계벽(26)은 측벽들(21)과 인접한다. 돌출부들은 서로 이격된다. 적어도 하나,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편향 표면들(14, 15)은 선체 바닥(13)상의 벌지들 사이에 존재한다. 슬라이딩 표면(14, 15) 또는 슬라이딩 표면들(14, 15)과 경계벽들(26)은 워터 덕트를 형성한다. 이 워터 덕트는 수상기의 밑면에 개방되어 있다. 또한, 워터 덕트는 선미와 선수 영역에서도 개방된다. 이는 도 2에 명확히 나타나 있다.The outriggers 20 form a protrusion toward the bottom of the receiver. These bulges ru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er as shown in FIG. 2 .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sidewalls 21 and boundary walls 26 , the boundary wall 26 adjoining the sidewalls 21 . The projec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wo deflection surfaces 14 , 15 exist between the bulges on the hull bottom 13 . The sliding surface 14 , 15 or the sliding surfaces 14 , 15 and the boundary walls 26 form a water duct. This water duct is open to the underside of the receiver. The water ducts are also open in the stern and bow areas. This is clearly shown in FIG. 2 .

도 3은 도 2에서 III-III으로 윤곽 표시된 단면 경로를 따라 아웃트리거들(20) 중 하나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들(20)은 아웃트리거(2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유동 채널(27)을 갖는다. 유동 채널(27)은 물 유입구(22) 및 물 배출구(24)를 갖는다. 물 유입구(22)는 수상기의 밑면을 향하여 개방되고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두 개의 아웃트리거들(20) 사이에 위치한 영역을 향해서도 개방된다. 또한, 물 유입구(22)는 밑면을 향해서만 또는 두 개의 아웃트리거들(20) 사이의 영역을 향해서만 개방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FIG. 3 shows a section through one of the outriggers 20 along the cross-sectional path outlined by III-III in FIG. 2 . As can be seen in this embodiment, the outriggers 20 have a flow channel 27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outriggers 20 . The flow channel 27 has a water inlet 22 and a water outlet 24 . The water inlet 22 opens towards the underside of the receiver and, as can be seen in FIG. 2 , also opens towards the area located between the two outriggers 20 .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water inlet 22 opens only towards the underside or towards the area between the two outriggers 20 .

물 가속 장치(52)는 유동 채널(27)내에 있다. 그것은 프로펠러로서 설계된다. 물 가속 장치(52)는 구동 샤프트(51)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샤프트(51)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는 가벼운 무게를 갖는다. 한편, 이것은 수상기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킨다. 또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빠른 반응을 얻기 위해 질량 관성을 감소시킨다.A water accelerator 52 is in the flow channel 27 . It is designed as a propeller. The water accelerator 52 is supported by a drive shaft 51 . The drive shaft 51 is preferably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ccordingly, the drive shaft has a light weight. On the other hand, this reduces the overall weight of the receiver. On the other hand, it reduces the mass inertia to get a faster response.

구동 샤프트(51)는 모터(50)에 연결된다. 모터(50)는 내부 로터 모터 또는 외부 로터 모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높은 가용 토크 및 이로써 높은 추력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외부 로터 모터가 사용된다. The drive shaft 51 is connected to the motor 50 . Motor 50 may be designed as an inner rotor motor or an outer rotor motor. In order to achieve a high available torque and thus a high thrust, an external rotor motor is preferably used.

구동 모터(50)는 침수 구획(28)에 수용된다. 적어도 침수 구획(28)의 일부는 아웃트리거(20)의 영역에 위치된다. 물 유입구 포트(23)와 물 배출구 포트(25)는 침수 구획(28)에 할당된다. 이 경우, 물 유입구 포트(23)와 물 배출구 포트(25)는 수상기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대로, 물 유입구 포트(23)는 선수 영역에서 끝난다. 물 배출구 포트(25)는 선미(25) 영역에 배열된다. The drive motor 50 is housed in the submerged compartment 28 .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merged compartment 28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outrigger 20 . A water inlet port 23 and a water outlet port 25 are assigned to the submerged compartment 28 . In this case, the water inlet port 23 and the water outlet port 25 are arranged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er. As shown in FIG. 2 , the water inlet port 23 terminates in the bow area. The water outlet port 25 is arranged in the area of the stern 25 .

도 1은 물 배출구 포트(25)가 물 배출구(24) 주위에서 예를 들어 고리 모양을 갖도록 개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추가로 볼 수 있듯이, 모터(50)는 침수 구획(28)에 배열될 수 있다. 벽 요소는 침수 구획(28)과 유동 채널(27) 사이에 배열된다. 샤프트(51)는 적절한 지점에서 이 벽 요소를 관통한다.1 shows that the water outlet port 25 can be opened around the water outlet 24 , for example to have an annular shape. As can be seen further in FIG. 3 , the motor 50 may be arranged in the submerged compartment 28 . A wall element is arranged between the submerged section 28 and the flow channel 27 . The shaft 51 passes through this wall element at an appropriate point.

두 아웃트리거들(20)은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즉, 상기 설명들은 두 아웃트리거들(20)에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두 아웃트리거들(20)은 거울 대칭 구조이다.Both outriggers 20 are structurally identical, ie the above description applies to both outriggers 20 , preferably both outriggers 20 are of a mirror-symmetrical structure.

두 모터들(50)은 하나의 전원(60)로부터 중앙 공급될 수 있다. 전원(60)는 수상기 선체(10)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60)는 수상기의 선수(11) 영역에 위치된다. 그러나, 전원(60)가 배 중간에 배열되는 것도 생각될 수 있다.The two motors 50 may be centrally supplied from one power source 60 . The power source 60 is accommodated in the hull 10 of the receiver. Preferably, as can be seen in FIG. 3 , the power source 60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bow 11 of the receiver. However, it is also conceivable for the power source 60 to be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ship.

두 개의 개별 전원들(60)이 사용되는 것도 또한 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전원들(60)은 아웃트리거들(20)내의 두 모터들(50) 중 하나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들(60)은 수상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횡단면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중은 분산된다. 바람직하게, 전원들(60)은 설계가 동일하여 필요한 부품들의 수를 줄이고 균일한 무게 분산을 하게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전원들(60)은 중앙 횡단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된다.It is also conceivable for two separate power sources 60 to be used. In this case, each of the power sources 60 supplies one of the two motors 50 in the outriggers 20 . For example, the power sources 6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a central cross-s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er. In this way the load is distributed. Preferably, the power sources 60 are of the same design,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and allowing for uniform weight distribution. More preferably, the two power sources 60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cross-section.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60) 또는 두 개의 전원 공급 장치들(60)이 침수 구획들(28)의 영역에 위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It is also conceivable for one power supply 60 or two power supplies 60 to be located in the area of the submerged compartments 28 .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침수 구획들(28)에는 개별의 물 유입구 포트들(23)을 통해 공급된다. 그러나, 하나의 공동 물 유입구 포트(23)가 침수 구획들 모두에 제공되고/하거나 하나의 공동 물 배출구 포트(25)가 두 침수 구획들(28)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the submerged sections 28 are supplied via separate water inlet ports 23 . However, it may also be possible for one common water inlet port 23 to be provided in both submerged sections and/or one common water outlet port 25 to be provided to both submerged sections 28 .

또한, 두 모터들(50) 및/또는 전원(60)이 배열되는 하나의 공동 침수 구획(28)이 제공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냉각 목적을 위해 수상기용 전기 조절 유닛이 하나 이상의 침수 구획들(28)에 수용될 수 있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조절 유닛은 수상기상의 또다른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It is also conceivable that one common submerged compartment 28 is provided, in which two motors 50 and/or a power source 60 are arranged. It is also conceivable that for cooling purposes an electric conditioning unit for the receiver may be accommodated in one or more submerged compartments 28 . Of course, the adjustment unit may be located at another suitable position on the receiver.

예를 들어, 조절 유닛은 전원(60) 또는 전원들(60)에 연결된 두 개의 모터들(50)의 전력 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들(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소자들(31A, 31B)을 갖는다. 제어 소자들(31A, 31B)은 왼쪽 핸들(31)이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오른쪽 핸들(31)이 다른 모터(50)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사용자는 그 방식에서 모터들(50)의 전력 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선회 동작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우현측 모터(50)가 좌현측 모터(50)보다 높은 전력으로 작동하는 경우 좌현 방향의 코너링이 지원된다.For example, the regulating unit may be us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power output of the power source 60 or two motors 50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s 60 .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handles 31 have control elements 31A, 31B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elements 31A, 31B ar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left handle 31 can be used to control one motor and the right handle 31 can be used to control the other motor 50 . In particular, the user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power output of the motors 50 in that way. This improves the turning motion. For example, when the starboard motor 50 operates with a higher power than the portside motor 50 , cornering in the port direction is supported.

모터들(50)의 이러한 제어 옵션에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울기 센서가 선체(10)내에 또는 선체(10)상에 배열되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기울기 센서는 그 중앙의 종축에 대한 수상기의 기울기를 검출한다. 기울기 센서는 그 중앙의 종축에 대한 수상기의 기울기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는 조절 장치에 연결된다. 조절 장치는 모터들(50)이 다른 전력 출력을 갖는 방식으로 수상기가 기울어질 때 기울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함수로서 두 개의 모터들(50)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회 동작은 수상기의 기울기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을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o this control option of the motors 50 , it may also be provided for a tilt sensor to be arranged in or on the hull 10 . This inclination sensor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receiver with respect to its central longitudinal axis. The inclination sensor may be used to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measure the inclination of the receiver with respect to its central longitudinal axis. The tilt sensor is connected to the adjustment device. The adjustment device is designed to control the two motors 50 as a function of the signal from the tilt sensor when the receiver is tilted in such a way that the motors 50 have different power outputs. In this way, the turning motion can only be affected by the tilt of the receiver.

수상기가 수중에 놓일 때, 물은 물 유입구 포트들(23) 및 물 배출구 포트들(25)을 통해 침수 구획(28)으로 흘러 후자를 채운다.When the water receiver is placed in water, water flows through the water inlet ports 23 and water outlet ports 25 into the submerged compartment 28 to fill the latter.

물을 완전히 채우거나 물을 거의 완전히 채우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풍구들이 침수 구획(28), 바람직하게는 상부 영역에 할당되도록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Provision may be made such that one or more vents are allocated to the submerged compartment 28 , preferably the upper region, to completely or nearly completely fill with water.

또한, 물 유입구들(22) 및 물 배출구들(24)은 유동 채널들(27)을 채우는데도 사용된다.The water inlets 22 and water outlets 24 are also used to fill the flow channels 27 .

이제 수상기는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핸들(31)상의 제어들(31A, 31B)을 사용하여 모터들(50)을 활성화한다. 모터들(50)의 활성화로 인해, 구동 샤프트들(51) 및 이것들과 함께 물 가속 장치(52)가 작동된다. 물 가속 장치(52)는 물 유입구들(22)을 통해 물을 유입하여 유동 채널(27)에서 물을 가속시킨다. 물 가속 장치들(52)의 다운스트림에서, 가속된 물은 물 가속 장치들(52)이 그 위에 각인시킨 소용돌이를 갖는다. 따라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동 고정자들(53)에는 물 가속 장치(52)의 다운스트림이 제공된다. 이들 유동 고정자들(53)은 워터 제트의 소용돌이와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고 워터 제트의 소용돌이를 감소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 물 유도깃(guide vane)들을 갖는다. 유동 고정자들(53)의 다운스트림에서, 워터 제트는 수상기를 빠져나가고 그 추력 효과를 발생시킨다.The receiver can now be operated. To this end, the user activates the motors 50 using controls 31A, 31B on the handle 31 .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motors 50 , the drive shafts 51 and together with them the water accelerator 52 are actuated. The water accelerator 52 introduces water through the water inlets 22 to accelerate the water in the flow channel 27 . Downstream of the water accelerators 52 , the accelerated water has a vortex imprinted thereon by the water accelerators 52 . Accordingly, as can be seen in FIG. 3 , the flow stators 53 are provided downstream of the water accelerator 52 . These flow stators 53 ar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vortex of the water jet and have water guide vanes which reduce and preferably completely eliminate the vortex of the water jet. Downstream of the flow stators 53, the water jet exits the receiver and creates its thrust effect.

수중/수상 이동 동안, 물은 벌지들과 슬라이딩 표면들(14, 15) 사이에서 궤멸된다. 슬라이딩 표면들(14, 15)은 볼록 또는 오목 표면으로 설계될 수 있다. 물은 벌지들과 슬라이딩 표면들(14, 15) 사이의 워터 덕트에 유입되고 가속되어 구동 특성이 개선된다.During the underwater/aquatic movement, the water collapses between the bulges and the sliding surfaces 14 , 15 . The sliding surfaces 14 , 15 can be designed as convex or concave surfaces. Water enters the water duct between the bulges and the sliding surfaces 14 , 15 and is accelerated to improve the driving characteristics.

수중/수상 이동이 종료된 후, 사용자는 수상기를 물 밖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침수 구획(28)과 유동 채널들(27)은 모두 물 유입구들(22), 물 배출구들(24), 물 유입구 포트들(23), 및 물 배출구 포트들(25)를 통해 비워진다. 이는 수상기의 무게를 크게 감소시키고 운송을 쉽게 만든다.After the underwater/water movement is finished, the user can lift the receiver out of the water. In this process, the submerged section 28 and the flow channels 27 all pass through the water inlets 22 , the water outlets 24 , the water inlet ports 23 , and the water outlet ports 25 . empty This greatly reduces the weight of the receiver and makes transportation easier.

Claims (16)

선미(12)와 선수(11)를 갖는 선체(10)를 가진, 특히, 수영 및/또는 잠수 보조기구인 수상기로서, 두 개의 유동 채널들(27)이 상기 선체(10) 내에 또는 상기 선체(10) 상에 제공되며, 상기 유동 채널들은 물 유입구(22)로부터 물 배출구(24)까지 연장되며, 물 가속 장치(52), 특히 프로펠러 또는 추진 나사가 상기 두 개의 유동 채널들(27) 각각에 배열되며, 각각의 물 가속 장치(52)는 모터(50)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가 단단히 잡고 있을 수 있는 핸들들(31)이 상기 선수(11)와 상기 선미(12) 사이의 배 중간(midship) 영역에 또는 상기 선수 영역에 배열되며, 상기 영역 위에서 사용자들이 단단히 잡고 있을 수 있으며, 지지 표면(40)이 상기 선미(12) 방향으로 상기 핸들들(31)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지 표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쉴 수 있으며, 상기 선체(10)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이격된 벌지(bulge)들이 상기 선체(10)의 밑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벌지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워터-슬라이딩 표면(14, 15)이 배열되는, 상기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유동 채널들(27)은 상기 벌지들의 상기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A floater having a hull (10) with a stern (12) and a bow (11), in particular a swimming and/or diving aid, wherein two flow channels (27) are provided in or in the hull (10) ), said flow channels extending from a water inlet 22 to a water outlet 24 , a water accelerator 52 , in particular a propeller or a propelling screw, arranged in each of the two flow channels 27 . Each water accelerator 52 is driven by a motor 50 , and handles 31 , which the user can hold firmly, are provided midship between the bow 11 and the stern 12 . ) or in the bow area, on which the users can hold it firmly, a support surface 4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andles 31 in the direction of the stern 12 , wherein the user At least partially resting on the support surface, two spaced apart bulg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are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hull (10), between the bulges at least In the receiver, on which one water-sliding surface (14, 15) is arranged,
The recei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low channels (27) extend at least partially in said region of said bulg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유동 채널들(27) 각각은 그 자체의 물 유입구(22)를 가지며, 각각의 유동 채널들은 상기 벌지들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The method of claim 1,
Said two flow channels (27) each has its own water inlet (22), each flow channel being introduced into the bulg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구들(22)은 상기 밑면을 향하여 및/또는 상기 벌지들 사이에 위치된 상기 영역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Said water inlets (22) open towards the underside and/or towards the area located between the bulge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유동 채널들(27)의 상기 물 배출구들(24)은 상기 수상기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utlets (24) of both flow channels (27) open toward the rear of the receive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고정자(53)는 유동 방향으로 상기 물 가속 장치(52)의 다운스트림의 각 유동 채널들(27)에 배열되며, 상기 유동 고정자는 상기 물 가속 장치의 상기 물 다운스트림의 소용돌이를 줄이거나 제거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워터 제트를 곧게 펴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flow stator 53 is arranged in each of the flow channels 27 downstream of the water accelerator 52 in the flow direction, the flow stator reducing or eliminating the vortex of the water downstream of the water accelerator 52 .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ferably designed to straighten the water j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물 가속 장치들(52)과 관련된 상기 모터들(50)은 상기 선체(10)내의 상기 유동 채널들(27) 외부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상기의 중앙 종축의 양측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tors 50 associated with the two water acceleration devices 52 are arranged outside the flow channels 27 in the hull 10 and are preferab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floatator.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들(50)은 하나의 공동내에 또는 개별의 침수 구획들(28)내에 수용되며, 상기 침수 구획들(28)은 주변 물로 침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7. The method of claim 6,
Said engines (50) are housed in a cavity or in separate submerged compartments (28), said submerged compartments (28) capable of being submerged with ambient wat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구획 또는 구획들(28)은 적어도 하나의 물 유입구 포트(23) 및 하나의 물 배출구 포트(25)를 통해 상기 환경에 연결되고, 상기 물 유입구 포트(23)와 상기 물 배출구 포트(25)는 상기 선수(11)로부터 상기 선미(12)까지 연장되는 상기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 배열되어, 상기 수상기의 작동 동안 상기 침수 구획(28) 또는 구획들(28)에 물 유동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bmerged compartment or compartments 28 are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through at least one water inlet port 23 and one water outlet port 25 , the water inlet port 23 and the water outlet port 25 . ) are arranged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extending from the bow 11 to the stern 12 so that water flows in the submerged compartment 28 or compartments 28 during operation of the floatplane.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횡방향 아웃트리거들(20)의 일부이며, 바람직하게는 엔진(50) 및/또는 침수 구획(28)이 각각의 아웃트리거(20)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Said projections are part of transverse outriggers (20), preferably an engine (50) and/or a submerged compartment (28)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each outrigger (2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터들(50) 각각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있거나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said two motors (50)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and/or adjustable.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의 제어 소자들(31A, 31B)은 각각의 핸들(31)에 할당되는, 즉, 하나의 핸들(31)의 상기 제어 소자들(31A, 31B)은 상기 하나의 모터(50)의 전력 출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핸들(31)의 상기 제어 소자들(31A, 31B)은 상기 다른 모터(50)의 전력 출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control elements 31A, 31B of the regulating device are assigned to the respective handle 31 , ie the control elements 31A, 31B of one handle 31 are the power of the one motor 50 .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to regulate the output and the control elements (31A, 31B) of the other handle (31) can be used to regulate the power output of the other motor (50).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모터들(50)은 공동 전원(60)에 의해 공급되거나 각 모터(50)에 그 자체 전원(60)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Both motors (50) are supplied by a common power source (60) or each motor (50) is assigned its own power source (6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들(50)의 상기 두 개의 전원들(60)은 침수 구획(28)에 또는 공동 침수 구획(28)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Recei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two power sources (60) of said motors (50) are respectively located in a submerged compartment (28) or in a common submerged compartment (28).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는 상기 모터들(50)의 회전 방향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반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물 가속 장치(52)의 추력 방향은 반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ment device can be used to individually or jointly revers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s (50), and the thrust direction of the water acceleration device (52) can be reversed.
선미(12)와 선수(11)를 갖는 선체(10)를 가진, 특히, 수영 및/또는 잠수 보조기구인 수상기로서, 두 개의 유동 채널들(27)이 상기 선체(10) 내에 또는 상기 선체(10) 상에 제공되며, 상기 유동 채널들은 물 유입구(22)로부터 물 배출구(24)까지 연장되며, 물 가속 장치(52), 특히 프로펠러 또는 추진 나사가 상기 두 개의 유동 채널들(27) 각각에 배열되며, 각각의 물 가속 장치(52)는 모터(50)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가 단단히 잡고 있을 수 있는 핸들들(31)이 상기 선수(11)와 상기 선미(12) 사이의 배 중간들에 또는 상기 선수 영역에 배열되는, 상기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상기는 그 중앙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수상기의 기울기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를 갖고, 상기 기울기 센서는 조절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 장치는 상기 모터들(50)이 서로 다른 전력 출력을 갖는 방식으로 상기 수상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함수로서 두 개의 모터들(5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기.
A floater having a hull (10) with a stern (12) and a bow (11), in particular a swimming and/or diving aid, wherein two flow channels (27) are provided in or in the hull (10) ), said flow channels extending from a water inlet 22 to a water outlet 24 , a water accelerator 52 , in particular a propeller or a propelling screw, arranged in each of the two flow channels 27 . Each water accelerator 52 is driven by a motor 50 , and handles 31 , which the user can hold firmly,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hip between the bow 11 and the stern 12 . or arranged in the bow area, in the receiver,
The receiver has a tilt sensor that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detects a tilt of the receiver with respect to its central longitudinal axis, the tilt sensor is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tors 50 have different power Receive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wo motors (50) as a function of a signal from the inclination sensor when the receiver is tilt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n output.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특징되는 수상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15. A receiver characterized by any one of claims 1 to 14.
KR1020217025734A 2019-01-17 2019-12-30 seaplane KR202101140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1251.1 2019-01-17
DE102019101251.1A DE102019101251A1 (en) 2019-01-17 2019-01-17 Watercraft
PCT/EP2019/087128 WO2020148077A1 (en) 2019-01-17 2019-12-30 Watercra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032A true KR20210114032A (en) 2021-09-17

Family

ID=6906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734A KR20210114032A (en) 2019-01-17 2019-12-30 seaplane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106023A1 (en)
EP (1) EP3911564A1 (en)
JP (1) JP2022517430A (en)
KR (1) KR20210114032A (en)
CN (1) CN113329935A (en)
AU (1) AU2019422771A1 (en)
BR (1) BR112021013625A2 (en)
DE (1) DE102019101251A1 (en)
MX (1) MX2021008585A (en)
WO (1) WO202014807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1294A1 (en) * 2021-06-10 2022-12-15 Seajet Propulsion, Inc. Bow and stern thrusters for watercraf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2021A (en) * 1951-10-12 1955-11-01 Walter C Keogh-Dwyer Surface and sub-surface human being propulsion device
DE3523758A1 (en) 1985-07-03 1987-01-08 Peter Jakusch Powered float for water sports
JPH02212289A (en) * 1989-02-14 1990-08-23 Orido Eng:Kk Water surface scooter
US5158034A (en) * 1992-02-24 1992-10-27 Tontech International Co., Ltd. Automatic swimming board
US5522742A (en) * 1994-04-01 1996-06-04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lean-out arrangement for jet propelled watercraft
DE19511850A1 (en) * 1995-03-31 1996-10-02 Juergen Grimmeisen Submarine snowmobile
US20010025594A1 (en) 2000-01-05 2001-10-04 Daniels Paul A. M. Watercraft
US7329160B2 (en) * 2000-02-26 2008-02-12 Andrea Grimmeisen Motorized watercraft
US20070283865A1 (en) * 2004-11-01 2007-12-13 Bouncing Brain Innovations Season Two Subsidiary 14, Llc Powered surfboard for preserving energy of surfer during paddling
FR2915172A1 (en) 2007-04-17 2008-10-24 Jean Pierre Gallo Operational propeller for use by sub marine diver, has semi-shells enveloping central architecture, and internal architecture comprising lateral extensions extending according to profile of propeller until ends of blades
KR200454353Y1 (en) * 2010-11-11 2011-06-29 이남진 Wakeboard for easy operation and smooth turn
DE102012210915A1 (en) * 2012-06-27 2014-01-02 Robert Bosch Gmbh Water sports device has sensor for detecting water in direct vicinity of water sports device and another sensor for determining position of water sports device, where switch is provided for switching-on and -off electric drive
US10597129B1 (en) * 2013-03-15 2020-03-24 Stefan Broinowski Marine ducted propeller mass flux propulsion system
DE102015115893B4 (en) * 2015-09-21 2021-12-23 Cayago Tec Gmbh Transportable water planing vehicle
US10358194B1 (en) * 2018-12-04 2019-07-23 Shelby Jean Wengreen Self-balancing surf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8077A1 (en) 2020-07-23
MX2021008585A (en) 2021-08-11
US20220106023A1 (en) 2022-04-07
AU2019422771A1 (en) 2021-08-05
JP2022517430A (en) 2022-03-08
EP3911564A1 (en) 2021-11-24
BR112021013625A2 (en) 2021-09-14
CN113329935A (en) 2021-08-31
DE102019101251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301B1 (en) High Performance Power Water Skiing
DK2945854T3 (en) Vessel with filling room
DK2945856T3 (en) Watercraft with redundant energy storage
US20080168937A1 (en) Propeller driven surfing device
US11072399B2 (en) Hydrofoil craft
WO2018234969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tercraft and a watercraft
US5469803A (en) Individual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KR20210114032A (en) seaplane
WO2010021976A1 (en) Single drive catamaran hull
KR101683610B1 (en) Submarine and Flying Automobile
US6478639B1 (en) Watercraft having jet propulsion and electric outdrive
ES1189435U (en) Kayak with pedal system assisted by electric motor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USRE28955E (en) Hydrofoil vehicle
US11608144B2 (en) Motorized watercraft
JP3176632B2 (en) High performance motor water ski
WO2002000494A1 (en) Sporting water vehicle
KR102018030B1 (en) Apparatus for air lubrication of ship
JP2019513623A (en) Large displacement vessels
US20230264787A1 (en) Training Device for Hydrofoil Watercraft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748894B1 (en) Submersible marine vehicle
US7992510B2 (en) Personal watercraft
WO2022261016A1 (en) Personal watercraft with fishtail propulsion system
RU2628278C1 (en) Inflatable seadoo with stationary transom piece for outboard engine
KR101956738B1 (en) A vessel capable of multi-directional flow
WO2024094238A1 (en) Method of propulsion of a vessel and a passenger motor-driven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