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460A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460A
KR20210113460A KR1020200027581A KR20200027581A KR20210113460A KR 20210113460 A KR20210113460 A KR 20210113460A KR 1020200027581 A KR1020200027581 A KR 1020200027581A KR 20200027581 A KR20200027581 A KR 20200027581A KR 20210113460 A KR20210113460 A KR 2021011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r
roller
unit
sealing memb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129B1 (ko
Inventor
이문현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젤
Priority to KR102020002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129B1/ko
Priority to EP20178174.7A priority patent/EP3874996B1/en
Priority to CN202010523614.3A priority patent/CN113349621B/zh
Priority to US16/899,597 priority patent/US11632976B2/en
Priority to RU2020130245A priority patent/RU2756050C1/ru
Priority to AU2020233651A priority patent/AU2020233651B2/en
Publication of KR2021011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및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밀봉력을 향상시키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를 포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즙기의 착즙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즙기{A JUCIER}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란 각종 채소 또는 과일 등의 재료를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녹즙기의 일종으로 원심분리방식과 쌍 기어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원심분리방식은 과일 등의 과즙을 추출하는 주서(juicer) 등으로는 적합하지만, 섬유소가 많고 수분량이 적은 채소는 즙 추출을 위해 세절하여 상당히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즙 추출률이 그다지 높지 못하고 잔류 중금속이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쌍 기어방식은 상기 재료를 세절하고 압착하거나 세절과 동시에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구성으로 즙 추출률이 원심분리방식에 비해 수배나 높고 잔류 중금속이 녹즙에 함께 용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착즙기 시장수요의 대부분을 이 쌍 기어방식의 착즙기가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쌍 기어방식의 착즙기는 헬리컬(Helical) 기어 형태의 한 쌍의 분쇄부와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나선 형태의 한 쌍의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쇄부와 이송부를 착즙망이 형성된 하우징 내에 수납시킨 후 상기 하우징과 구동부를 체결부를 통하여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분쇄부는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호 맞물려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재료를 쇄절하여 분쇄하고 착즙 하면서 이송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부에서 분쇄된 재료를 이송시키면서 압착시킴으로써 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착즙기는, 착즙기의 상기 분쇄된 재료가 착즙시에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분쇄부로부터 구동부로 역류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343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즙기의 구동부와 롤러부의 결합 부위에 특정구조의 체결가이드 구조를 적용하여 밀봉력의 향상에 따른 분쇄된 착즙 재료가 역류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및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 및
상기 체결가이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 및
상기 체결가이드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실링부재와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가이드는 플라스틱, 즉 고분자 수지(resin)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또는 제2 실링부재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며 신축성과 밀봉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또는 제2 실링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일측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사선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가이드에는 상기 제2 실링부재의 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또는 제2 실링부재에는 금속형 보강부재가 매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링부재에는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스프링은 상기 제2 실링부재가 상기 체결가이드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가이드의 외주면 부위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가이드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
상기 체결가이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 실링부재와 제2 실링부재; 및
상기 롤러부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기어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기어 부쉬는 볼트의 일측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는 상기 보조기어 부쉬를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킨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1 기어 롤러; 및
상기 구동부의 고정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2 기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의 외면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면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착즙 재료의 최종 배출 전의 슬러지에 착압력을 발생시키는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롤러부의 전단부에 돌출된 연장부와의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부의 테두리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의 이송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정역회전 모터이며, 모터는 정회전시에 역회전시보다 작은 출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에는 센서 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를 포함하는 롤러부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작동부와의 거리 변화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기의 구동부와 롤러부의 결합 부위에 특정구조의 체결가이드 구조를 적용하여 밀봉력의 향상에 따른 분쇄된 착즙 재료가 역류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를 이용한 착즙 모습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a)에 센서작동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와 하우징(200a)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재의 사시도와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의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 부쉬의 사시도와 저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 부쉬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 부쉬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2의 가로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정의하고, 도 2의 좌측 방향을 후방, 우측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하며, 도 2의 세로 방향을 상부 및 하부로 정의하고, 도 2의 지면(용지) 방향을 "폭방향"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와 착즙부(200)를 포함한다.
구동부(100)는 착즙부(2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채소 또는 과일 등의 재료(이하, '착즙 재료'라 칭함)가 투입된 착즙부(200)를 구동시켜 착즙 재료를 분쇄 가압하여 즙을 추출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착즙부(200)는 착즙 재료가 투입됨과 동시에 착즙하고, 나머지는 슬러지 형태로 외부로 배출하는 실질적인 착즙 공간을 구비한다. 구동부(100)와 착즙부(200)는 후술하는 체결부(300)에 의하여 견고하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터(150)가 구비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에 길이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 중공의 제1 연결부(130)를 구비한 모터 하우징(110)과, 일단부는 모터(15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연결부(130)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70)과, 제1 연결부(130)에 회전축(170)과 나란하게 돌출 구비된 고정축(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170)은 도시되지 않은 감속기를 통하여 모터(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0)의 전방 단부는 판상으로서 중앙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폐색된 구조를 가진다. 중앙 부분의 돌출된 형태는 두 개의 원호 일부가 서로 폭방향으로 겹쳐지는 형태로서 폭방향 일측의 원호 중심부에는 고정축(190)이 돌출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의 원호 중심부에는 회전축(170)이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30)에는 회전축(170)이 삽입되는 부위에 롤러부(280)으로부터 분쇄되는 소재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가이드 어셈블리(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가이드 어셈블리(500)의 구체적인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착즙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부(280)와, 롤러부(280)가 수용되고 구동부(100)의 모터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중공의 메인 하우징(20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부(280)는, 분쇄 롤러부(250)와, 분쇄 롤러부(250)의 전방으로 연결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연장된 착즙 롤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280)는 메인 하우징(200a) 내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착즙 재료를 롤러부(280)의 외주면과 메인 하우징(200a)의 내면 사이에서 분쇄하고, 가압 착즙하면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롤러부(280)는 구동부(100)와의 착탈 과정이 모터(15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분쇄 롤러부(25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분쇄날이 형성되고, 회전축(17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축 결합되는 제1 분쇄롤러(251)와, 고정축(1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분쇄롤러(25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70)은 외주면에 스플라인 형태를 가지거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분쇄롤러(251)의 후단부 중심에 회전축(170)이 삽입되거나 스플라인과 치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다각형인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축(190)은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분쇄롤러(255)에 고정축(190)이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분쇄롤러(255)는 고정축(190)에 회전 지지되어 공회전할 수 있다.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거나 전방을 향하는 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쇄날은 서로 맞물리게 기어 형태(바람직하게는, 헬리컬 기어 형상)로 구비되어, 회전축(170)에 결합된 제1 분쇄롤러(251)가 회전축(170)과 일체로 회전하면 맞물린 분쇄날에 의하여 고정축(19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분쇄롤러(255)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맞물려 회전하는 분쇄날에 의하여 착즙 재료는 분쇄되어 착즙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도 3에서 정면에서 후방으로 관찰할 때, 회전축(170)에 삽입되는 제1 분쇄롤러(25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분쇄롤러(255)는 제1 분쇄롤러(251)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부터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를 향하여 투입된 착즙 재료가 맞물려 회전하는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분쇄날은 헤리컬 기어 형태로서 상부에서 볼 때 전방으로 대략 'V'자를 이루어 상기 투입된 착즙 재료는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쇄날의 리드각은 30도보다 작게 형성하여 분쇄되면서 빠르게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즙 롤러부(26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선을 이루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즙롤러(261)는 제1 분쇄롤러(251)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착즙롤러(265)는 제2 분쇄롤러(255)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착즙 재료를 착즙하기 위해 구성된 착즙부(200)의 롤러부가 제1 분쇄롤러(251) 및 제1 착즙롤러(261)로 구비된 하나의 기어와, 제2 분쇄롤러(255) 및 제2 착즙롤러(265)로 구비된 하나의 기어, 즉 2개의 쌍 기어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착즙롤러(261)는 제1 분쇄롤러(25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제2 착즙롤러(265)는 제2 분쇄롤러(255)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롤러부(280)의 구성 중 구동부(100)의 회전축(170)에 연결되는 분쇄 롤러부(250)와 착즙 롤러부(260)의 구성을 제1기어 롤러(281)라 칭하기로 하고, 롤러부(280)의 구성 중 구동부(100)의 고정축(190)과 연결되는 분쇄 롤러부(250)와 착즙 롤러부(260)의 구성을 제2 기어 롤러(282)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가 결합되도록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거나, 오목하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는 후방으로 제1 분쇄롤러(251)와 제2분쇄롤러(255)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거나,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전방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쇄롤러(251)와 제1 착즙롤러(261)는, 그리고 제2 분쇄롤러(255)와 제2 착즙롤러(265)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각각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착즙롤러(261)는 제1 분쇄롤러(251)와, 그리고 제2 착즙롤러(265)는 제2 분쇄롤러(25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즙 롤러부(260)의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는 외주면(266)이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의 각 외주면에는 나선 형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롤러(281)의 제1 착즙롤러(261)와 제 2기어롤러(282)의 제2 착즙롤러(265) 전단부 각각에는 상술한 나선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지름이 감소된 단차면이 형성된 단턱부(284)를 포함하는 연장부(26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64)의 단부는 후술하는 배출 하우징(240)의 수용부(241)에 형성된 지지 통공(도면부호 미표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메인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를 이용한 착즙 모습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메인 하우징(200a)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분쇄 하우징부(220)와, 분쇄 하우징부(220)로부터 분기되어 길이 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연장되는 중공의 착즙 하우징부(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쇄 하우징부(220)의 단면은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분쇄날이 서로 치합 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2개의 원호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형태를 이룬다. 분쇄 하우징부(220)의 상부에는 착즙 재료를 분쇄 하우징부(220)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호퍼부(210)가 구비되고, 호퍼부(210)가 구비되는 부분의 분쇄 하우징부(220)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호퍼부(210)와 분쇄 하우징부(22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부(210)의 전방으로 분쇄 하우징부(220)에는 다수의 미세 관통공인 제1 착즙공(2201)이 형성될 수 있다.
호퍼부(210)로 착즙 재료가 투입되면 착즙 재료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제1 분쇄롤러(251)와 제2 분쇄롤러(255)의 분쇄날에 의하여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되고, 착즙 재료가 분쇄되면서 착즙 재료로부터 유출되는 즙의 일부는 제1착즙공(2201)을 통하여 가장 먼저 배출될 수 있다.
착즙 하우징부(230)에는 다수의 미세 관통공인 제2 착즙공(2301)이 형성될 수 있고, 착즙 하우징부(230)의 하부로 판상의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가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다.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는 후술하는 배출 하우징(2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즙부(200)로부터 착즙된 착즙 재료의 착즙액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분쇄롤러(251) 및 제2 분쇄롤러(255)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된 착즙 재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착즙공(2201)을 통해 1차적으로 착즙액으로써 배출되고, 착즙이 완료되지 않은 착즙 재료가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 착즙롤러(265) 측으로 이송되어 착즙 되면서 제2 착즙공(2301)을 통해 2차적으로 착즙액으로써 배출된다.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즙 하우징부(23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배출 하우징(240)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 하우징(240)의 일단부(후단부)는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되고, 타단부(전단부) 측에는 수용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241)는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배출 하우징(240)의 일단부(후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착즙 하우징부(230)에 수용된 제1 착즙롤러(261)와 제2 착즙롤러(265)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장부(264)는 착즙 하우징부(230)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배출 하우징(240)의 일부를 지나 수용부(24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기어롤러(281)의 제1 착즙롤러(261) 및 제2기어 롤러(282)의 제2 착즙롤러(265)의 단부에 각각 구비된 연장부(264)는, 수용부(241)에 폭 방향으로 각각 구비된 2개의 지지 통공에 제1 착즙롤러(261)의 제1 연장부(264)와 제2착즙롤러(261)의 제2 연장부(26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배출 하우징(240)에는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일단부와 수용부(241) 사이에 하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착즙된 후 착즙 재료의 찌꺼기인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 하우징(200a)의 길이방향으로써 슬러지가 배출되는 방향을 '배출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하우징(240)에 일체로 형성되되, 착즙 하우징부(230)에 결합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즙 하우징부(230)의 하부로 위치된다. 따라서, 착즙 롤러부(260)에서 착즙되어 제2 착즙공(2301)을 통하여 배출된 즙의 일부는 착즙액 배출 가이더(231)로 낙하하여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a)에 센서작동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와 하우징(200a)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구동부와 롤러부의 착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00) 및 상기 착즙부(200)에는 센서부(400)가 구비되는데, 센서부(400)는 모터 하우징(110)의 제1 연결부(130) 일측에 구비된 센서(410)와, 하우징(200a)의 제2 연결부(221)에 구비된 센서 작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0)로는, 예를 들어 자기근접센서, 광학 근접센서, 초음파 근접센서 등과 같이 사물이 다른 사물로의 접근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여러 형태의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근접센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센서(410)는 자석에 의하여 작동하는 리드 스위치, 센서자동수단(430)은 영구자석이 될 수 있다.
센서(410)는 센서 작동부(430)가 근접하면 'ON' 상태로 되고 센서 작동부(410)가 멀어지면 'OFF' 상태로 될 수 있다. 선세(410)는 모터와 전원 연결 경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를 통하여 구동부(100)에 착즙부(200)를 결합시키면, 센서(410)와 센서 작동부(430)는 서로 근접하여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제1 센서부(410)는 'ON' 상태로 되며,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켜면 모터(150)로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150)가 구동되고, 회전축(170)을 통하여 제1 분쇄롤러(251), 제2 분쇄롤러(255), 제1 착즙롤러(261), 제2 착즙롤러(265)는 하우징(200a)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결가이드 어셈블리(500)는 제1 연결부(130)의 관통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가이드 어셈블리(500)는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2 실링부재(510), 체결가이드(520) 및 제1 실링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모터(150)가 배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에 길이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 중공의 제1 연결부(130)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연결부(130)의 전방 단부는 판상으로서 중앙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폐색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앙 부분의 돌출된 형태는 두 개의 원호 일부가 서로 폭방향으로 겹쳐지는 형태로서 폭방향 일측의 원호 중심부에는 고정축(190)이 돌출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의 원호 중심부에는 회전축(170)이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10)의 일측은 모터(150)에 축 결합된 상태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은 제1 연결부(130)의 관통홀(131)로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다. 이 때,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가이드 어셈블리(500)가 결합된 상태로 관통홀(131)에 삽입되어 밀봉될 수 있다.
체결가이드(520)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가이드(520)의 일측에는 후술할 제2 실링부재(510)가 체결되는 부위에 체결홈(523)이 내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가이드(520)의 타측에는 후술할 제1 실링부재(530)가 삽입될 수 있는 단턱부(521)가 형성될 수 있고 인접하여 추가적인 단턱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520)의 단턱부(521, 522)는 전술한 타측으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체결가이드(520)의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가이드(520)는 제1 연결부(130)의 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삽입홀(131)에는 체결가이드(520)가 이탈되지 않고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볼베어링 등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재의 사시도와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의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체결가이드 어셈블리(500)는 전술한 체결가이드(520)의 양측 부위에 결합되는 제2 실링부재(510) 및 제1 실링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실링부재(53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530)는 회전축(170)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밀봉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소정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회전축(170)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소재일 수 있다.
제1 실링부재(530)의 내주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축(170)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축(170)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531, 5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돌기(531, 532)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사선으로 편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롤러부(280)로부터 분쇄된 분쇄 소재가 역류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링부재(530)에는 일측의 단부 외부 방향으로 금속형 보강부재(530-1)가 매설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형 보강부재(530-1)은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제1 실링부재(530)에 소정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금속형 보강부재(530-1)는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보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금속형의 판재 형태로 제1 실링부재(530)의 외형에 대응하여 외주면을 따라서 링 형상으로 매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실링부재(51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510)는 회전축(170)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밀봉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소정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회전축(170)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소재일 수 있다.
제2 실링부재(510)의 내주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축(170)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축(170)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511, 5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돌기(511, 512)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링부재(530)의 복수의 돌기(531, 532)와 대비하여,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사선으로 편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실링부재(530)의 복수의 돌기(531, 532) 및 제2 실링부재(510)의 복수의 돌기(511,512)가 일측 방향으로 편심된 사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 제1 실링부재(530) 및 제2 실링부재(510)에 의하여 2중으로 롤러부(280)로부터 분쇄된 분쇄 소재가 역류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술한 제1 실링부재(530)의 복수의 돌기(531, 532)가 일측으로 편심된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반면 제2 실링부재(510)의 복수의 돌기(511,512)는 타측으로 편심된 사선형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1 실링부재(530)의 복수의 돌기(531, 532)에 의하여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이 용이하게 삽입된 후에 밀봉력을 제공하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회전 기어부(10)의 회전축(170)이 삽입된 후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시키면서도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실링부재(510)에도 일측의 단부 외부 방향으로 금속형 보강부재(510-1)가 매설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형 보강부재(510-1)은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제2 실링부재(510)에 소정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금속형 보강부재(510-1)는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보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금속형의 판재 형태로 제2 실링부재(510)의 외형에 대응하여 외주면을 따라서 링 형상으로 매설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 부쉬의 사시도와 저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 부쉬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 부쉬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하우징(110)에는 제1 연결부(130)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70) 및 제1 연결부(130)에 회전축(170)과 나란하게 돌출 구비된 고정축(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축(190)은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분쇄롤러(255)에 고정축(190)이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분쇄롤러(255)는 고정축(190)에 회전 지지되어 공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축(190)에 결합되는 제2 분쇄롤러(255)의 일측 단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어 부쉬(550)가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보조기어 부쉬(550)는 전체적으로 캡(ca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기어 부쉬(550)의 내부면 중앙 부위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가 회전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홈(5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보조기어 부쉬(550)가 볼트(1)를 통하여 제2 분쇄롤러(255)의 일측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보조기어 부쉬(550)를 제2 분쇄롤러(255)의 일측, 즉 고정축(190)이 삽입되는 제2 분쇄롤러(255)의 홈(미도시) 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 관통홈(551)을 통하여 볼트(1)를 회전 결합시키게 되면 볼트(1)의 회전력에 의하여 보조기어 부쉬(550)가 상기 홈 부위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후, 보조기어 부쉬(550)가 제2 분쇄롤러(255)의 상기 홈 부위에 삽입이 완료되면 제2 분쇄롤러(255)의 홈 부위의 저면과 볼트(1)의 단부가 맞닿게 되면서 반발력에 의하여 볼트(1)는 역회전되면서 보조기어 부쉬(550)의 관통홈(551)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보조기어 부쉬(550)는 연장부(264)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볼트(1)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연장부(264)의 단부는 배출 하우징(240)의 수용부(241)에 형성된 전술한 지지 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볼트 10: 회전 기어부
100: 구동부 130: 제1 연결부
150: 모터 170: 회전축
190: 고정축 200: 착즙부
200a: 메인 하우징 220: 분쇄 하우징부
230: 착즙 하우징부 240: 배출 하우징
250: 분쇄 롤러부 251: 제1 분쇄롤러
255: 제2 분쇄롤러 260: 착즙 롤러부
261: 제1 착즙롤러 265: 제2 착즙롤러
280: 롤러부 281: 제1기어 롤러
282: 제2 기어 롤러 300: 체결부
500: 체결 가이드 어셈블리 510: 제2 실링부재
510-1, 530-1: 금속 보강판재 510-2: 보강 스프링
511, 531: 제1 돌기 512, 532: 제2 돌기
513: 삽입돌기 520 체결 가이드
530: 제1 실링부재 550: 보조기어 부쉬
551: 관통홈

Claims (22)

  1.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및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를 포함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2.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 및
    상기 체결가이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3.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 및
    상기 체결가이드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실링부재와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는 고분자 수지 사출물로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또는 제2 실링부재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또는 제2 실링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일측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사선으로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사선으로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에는 상기 제2 실링부재의 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또는 제2 실링부재에는 금속형 보강부재가 매설되어 있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에는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스프링은 상기 제2 실링부재가 상기 체결가이드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가이드의 외주면 부위를 가압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5.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돌출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착탈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롤러부;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가이드;
    상기 체결가이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 실링부재와 제2 실링부재; 및
    상기 롤러부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보조기어 부쉬;를 포함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어 부쉬는 볼트의 일측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보조기어 부쉬를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킨 후에 제거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1 기어 롤러; 및
    상기 구동부의 고정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의 배출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2 기어 롤러;를 포함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의 외면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면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착즙 재료의 최종 배출 전의 슬러지에 착압력을 발생시키는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착압력 발생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롤러부의 전단부에 돌출된 연장부와의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부의 테두리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의 이송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도록 마련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역회전 모터이며, 모터는 정회전시에 역회전시보다 작은 출력으로 작동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센서 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를 포함하는 롤러부 하우징에는 상기 센서 작동부와의 거리 변화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포함하는 착즙력이 향상된 착즙기.
KR1020200027581A 2020-03-05 2020-03-05 착즙기 KR102417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81A KR102417129B1 (ko) 2020-03-05 2020-03-05 착즙기
EP20178174.7A EP3874996B1 (en) 2020-03-05 2020-06-04 Juicer
CN202010523614.3A CN113349621B (zh) 2020-03-05 2020-06-10 榨汁机
US16/899,597 US11632976B2 (en) 2020-03-05 2020-06-12 Juicer
RU2020130245A RU2756050C1 (ru) 2020-03-05 2020-09-14 Сокоотжимная машина
AU2020233651A AU2020233651B2 (en) 2020-03-05 2020-09-15 Jui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81A KR102417129B1 (ko) 2020-03-05 2020-03-05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460A true KR20210113460A (ko) 2021-09-16
KR102417129B1 KR102417129B1 (ko) 2022-07-06

Family

ID=7097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581A KR102417129B1 (ko) 2020-03-05 2020-03-05 착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32976B2 (ko)
EP (1) EP3874996B1 (ko)
KR (1) KR102417129B1 (ko)
CN (1) CN113349621B (ko)
AU (1) AU2020233651B2 (ko)
RU (1) RU2756050C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309B1 (ko) 1999-06-21 2002-05-03 이은숙 착즙기의 전면 케이스 착탈장치
KR101254388B1 (ko) * 2010-10-15 2013-04-12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200480611Y1 (ko) * 2013-09-06 2016-06-15 김재원 주스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836A (en) * 1993-08-06 1995-03-14 Kim; Jong Gill Detachable connecting apparatus of squeezing roller housing for juice extractor
KR100390032B1 (ko) * 2001-01-06 2003-07-07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착즙기용 노즐
CN1870922B (zh) * 2003-10-22 2013-01-09 布瑞威利私人有限公司 柑橘铰刀和压榨器
KR200429957Y1 (ko) * 2006-07-13 2006-10-31 이대기 녹즙기
KR100858333B1 (ko) * 2006-09-26 2008-09-11 문 현 이 대용량 착즙기
RU2448633C1 (ru) * 2009-08-28 2012-04-27 Ньюк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Модуль соковыжималки и соковыжималк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шнеком
KR101173385B1 (ko) * 2010-10-26 2012-08-10 김점두리 방수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KR101267801B1 (ko) * 2011-08-09 2013-05-31 김성문 착즙기
US10182589B2 (en) * 2011-11-09 2019-01-22 Ji Hye Lee Juicer with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housing
CN202365584U (zh) * 2011-11-23 2012-08-08 江苏顺发电器有限公司 一种榨汁机
KR101319762B1 (ko) * 2012-11-06 2013-10-17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597630B1 (ko) * 2014-04-10 2016-02-25 김재원 상부구동형 착즙기
KR101565871B1 (ko) * 2014-05-12 2015-11-04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
US20150320106A1 (en) * 2014-05-12 2015-11-12 Happycall Co., Ltd.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KR101575543B1 (ko) * 2014-11-25 2015-12-07 (주)리큅 채유기
US20190008307A1 (en) * 2015-12-22 2019-01-10 Young Ki Kim Juice extractor
KR101870126B1 (ko) * 2017-05-25 2018-06-25 이문현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CN208875993U (zh) * 2018-06-07 2019-05-2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209489870U (zh) * 2018-10-11 2019-10-1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密封效果好的榨汁机
CN110141102A (zh) * 2019-05-16 2019-08-20 乾延智能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榨汁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309B1 (ko) 1999-06-21 2002-05-03 이은숙 착즙기의 전면 케이스 착탈장치
KR101254388B1 (ko) * 2010-10-15 2013-04-12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200480611Y1 (ko) * 2013-09-06 2016-06-15 김재원 주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4996B1 (en) 2023-09-13
US11632976B2 (en) 2023-04-25
KR102417129B1 (ko) 2022-07-06
EP3874996A1 (en) 2021-09-08
CN113349621B (zh) 2022-09-20
AU2020233651A1 (en) 2021-09-23
AU2020233651B2 (en) 2022-04-07
US20210274826A1 (en) 2021-09-09
RU2756050C1 (ru) 2021-09-24
CN113349621A (zh)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079Y1 (ko) 착즙기
US10182589B2 (en) Juicer with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housing
KR101254388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20210113470A (ko) 착즙기
KR102417129B1 (ko) 착즙기
KR101319762B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2356099B1 (ko) 착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방법
KR102382422B1 (ko) 착즙기
KR20120127705A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0334310B1 (ko) 착즙기용 스크류롤러
KR200205627Y1 (ko) 다단착즙기
KR101010912B1 (ko) 전기녹즙기
KR101767325B1 (ko) 자동 공급 착즙기
CN220742243U (zh) 一种榨油机用可调节榨膛
KR200288605Y1 (ko) 분쇄겸용 만능 녹즙기
KR20220044629A (ko) 착즙기의 슬러지배출장치
KR20040099796A (ko) 착즙 분쇄기
KR980006251U (ko) 녹즙기
KR20000001412U (ko)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