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334A -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334A
KR20210113334A KR1020217025348A KR20217025348A KR20210113334A KR 20210113334 A KR20210113334 A KR 20210113334A KR 1020217025348 A KR1020217025348 A KR 1020217025348A KR 20217025348 A KR20217025348 A KR 20217025348A KR 20210113334 A KR20210113334 A KR 2021011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ylindrical member
closed cross
mpa
collision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461B1 (ko
Inventor
가즈히코 히가이
츠요시 시오자키
요시키요 다마이
시게아키 기타무라
나오키 마부치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4869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70569A1/ja
Publication of KR2021011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2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a foamable synthetic material or metal being add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1) 은,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축 압괴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천판부 (5a) 와 1 쌍의 세로벽부 (5b) 를 갖는 통상 부재 (3) 와, 통상 부재 (3) 의 내측에 천판부 (5a) 를 가로지르도록 배치 형성되어 양단부가 1 쌍의 세로벽부 (5b) 의 내면에 접합되고, 통상 부재 (3) 의 둘레의 벽부와의 사이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 그 폐단면 공간에 충전되어,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11), 를 갖고, 수지 (11) 는, 인장 파단 신도가 80 % 이상, 통상 부재 (3)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의 접착 강도가 12 ㎫ 이상,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이 6 ㎫ 이상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crashworthiness energy absorption parts for automotive)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 (crashworthiness load) 이 입력되었을 때에, 길이 방향으로 축 압괴 (axis crush deformation) 함으로써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충돌 에너지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자동차 부품의 형상·구조·재료 (materials) 등의 최적화 등 많은 기술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에는, 폐단면 구조 (closed cross section structure) 를 갖는 자동차 부품의 내부에 수지 (regin) (발포 수지 (foamed regin) 등) 를 발포시켜 충전함으로써, 그 자동차 부품의 충돌 에너지 흡수 성능의 향상과 경량화를 양립시키는 기술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사이드실 (side sill), 플로어 멤버 (floor member), 필러 (pillar) 등의 해트 단면 부품 (hat-shaped cross section part) 의 천판 (top portion) 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플랜지 (flange) 를 겹쳐 내부에 폐쇄 공간을 형성한 구조의 자동차용 구조 부재에 있어서, 그 내부에 발포 충전재를 충전함으로써, 최소한의 중량 증가로 그 자동차용 구조 부재의 굽힘 강도 (bending strength), 비틀림 강성 (torsion stiffness) 을 향상시키고, 차체 (automotive body) 의 강성 (stiffness) 및 충돌 안전성 (collision safety) 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해트 단면 부품을 대향시켜 플랜지부를 맞춘 필러 등의 폐단면 구조의 내부 공간 내에 고강성 발포체를 충전할 때에, 그 고강성 발포체의 충전 및 발포에 의한 압축 반력 (compressive counterforce) 에 의해 발포체를 고정시키고, 진동음 (vibration sound) 의 전달을 억제하는 방진성 (vibration isolating performance) 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강도 (strength), 강성, 충돌 에너지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01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8075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의하면, 자동차 부품의 내부에 발포 충전재 또는 발포체를 충전함으로써, 그 자동차 부품의 굽힘 변형 (bending deformation) 에 대한 강도나 충돌에 의한 굽힘 변형의 충돌 에너지 흡수성, 나아가서는 비틀림 변형 (torsional deformation) 에 대한 강성을 향상할 수 있어, 당해 자동차 부품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front side member) 나 크래쉬 박스 (crash box) 와 같이,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축 압괴할 때에, 주름상자 형상 (bellows) 으로 좌굴 변형 (buckling deformation) 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는, 그 자동차 부품의 내부에 발포 충전재나 발포체를 충전하는 기술을 적용하였다고 해도,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프론트 사이드 멤버나 크래쉬 박스와 같은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주름상자 형상으로 축 압괴할 때에, 충돌 에너지의 흡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은, 차체의 전부 또는 후부에 형성되고, 그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축 압괴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가 590 ㎫ 급 (㎫ - class) 이상 1180 ㎫ 급 이하의 강판 (steel sheet) 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천판부와 이것에 이어지는 1 쌍의 세로벽부 (side wall portion) 를 갖는 통상 부재 (tubular member) 와, 그 통상 부재보다 인장 강도가 낮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측에 상기 천판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1 쌍의 세로벽부의 내면에 접합되고, 그 통상 부재의 둘레벽부 (peripheral wall portion) 의 일부와의 사이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 상기 폐단면 공간에 충전된 수지, 를 갖고, 그 수지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rubber-modified epoxy resin) 와 경화제 (curing agent) 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인장 파단 신도 (tensile elongation at break) 가 80 % 이상, 상기 통상 부재 및 상기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의 접착 강도 (adhesive strength) 가 12 ㎫ 이상, 압축 공칭 변형 (compression nominal strain)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 (compression nominal stress) 이 6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은, 차체의 전부 또는 후부에 형성되고, 그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축 압괴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인장 강도가 590 ㎫ 급 이상 1180 ㎫ 급 이하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천판부와 이것에 이어지는 1 쌍의 세로벽부를 갖는 통상 부재와, 그 통상 부재보다 인장 강도가 낮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측에 상기 천판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1 쌍의 세로벽부의 내면에 접합되고, 그 통상 부재의 둘레벽부의 일부와의 사이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 상기 폐단면 공간에 충전된 수지, 를 갖고, 그 수지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인장 파단 신도가 80 % 이상, 상기 통상 부재 및 상기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의 접착 강도가 12 ㎫ 이상,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이 6 ㎫ 이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축 압괴하는 과정에 있어서, 통상 부재의 변형 저항 (deformation resistance) 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주름상자 형상으로 반복해서 좌굴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어, 충돌 에너지의 흡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의 축 압괴 시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실시예에 있어서, 축 압괴 시험에 사용한 시험체 (test specimen) 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예).
도 5 는,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실시예에 있어서, 축 압괴 시험에 사용한 시험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교예).
도 7 은, 실시예에 있어서, 비교예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을 시험체로 하여 축 압괴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충돌 하중과 축 압괴 변형량 (deformation volume) (스트로크)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실시예에 있어서, 발명예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을 시험체로 하여 축 압괴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충돌 하중과 축 압괴 변형량 (스트로크)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에 대해서, 도 1 및 도 2 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1)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부품 (outer parts) (5) 과 이너 부품 (inner parts) (7) 으로 이루어지는 통상 부재 (3) 를 갖고, 차체의 전부 또는 후부에 형성되어 그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통상 부재 (3) 의 둘레벽부의 일부인 아우터 부품 (5) 과의 사이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 그 폐단면 공간의 단면을 충만하는 수지 (11) 를 구비한 것이다.
<통상 부재>
통상 부재 (3) 는, 축 압괴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고, 천판부 (5a) 와 이것에 이어지는 1 쌍의 세로벽부 (5b) 를 갖는 것이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부 (5a) 와 세로벽부 (5b) 와 플랜지부 (5c) 로 이루어지는 해트 단면 형상의 아우터 부품 (5) 의 플랜지부 (5c) 와, 평판상의 이너 부품 (7) 의 양측 단부 (端部) 가 접합하여 통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통상 부재 (3) 를 구성하는 아우터 부품 (5) 과 이너 부품 (7) 은, 모두, 인장 강도가 590 ㎫ 급 이상 1180 ㎫ 급 이하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강판의 종류로는, 냉연 강판 (cold rolled steel sheet), 열연 강판 (hot rolled steel sheet), 아연계 도금 강판 (zinc-based coating steel sheet), 아연 합금계 도금 강판 (zinc alloy coating steel sheet), 알루미늄 합금계 도금 강판 (alluminum alloy coating steel sheet)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통상 부재 (3) 는, 차체 전부의 좌우 위치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체 골격 (automotive frame member) 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나, 그 차체 골격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는 크래쉬 박스와 같은 폐단면 구조를 갖는 자동차 부품에 이용되며, 그 자동차 부품은, 통상 부재 (3) 의 축방향 (길이 방향) 이 차체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그 차체에 배치 형성된다.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는, 통상 부재 (3) 보다 인장 강도가 낮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 (3) 의 내측인 아우터 부품 (5) 과 이너 부품 (7) 의 사이에 천판부 (5a) 를 가로지르도록 배치 형성된 대략 コ 자 단면 형상 (U-shaped cross section) 의 부재이며, 그 양단부가 아우터 부품 (5) 의 한 쌍의 세로벽부 (5b) 에 접합되고, 통상 부재 (3) 의 둘레벽부의 일부인 아우터 부품 (5) 의 천판부 (5a) 및 세로벽부 (5b) 와의 사이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의 양단부와 세로벽부 (5b) 는, 예를 들어 스폿 용접 (spot welding) 등에 의해 접합 (join) 되어 있다. 또한,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 아우터 부품 (5) 의 사이에 형성되는 폐단면 공간이란, 도 1 에 나타내는 통상 부재 (3) 의 축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폐단면이고, 그 폐단면이 통상 부재 (3) 의 축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된 공간을 말한다.
<수지>
수지 (11) 는,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 아우터 부품 (5) 의 사이에 형성된 폐단면 공간에 충전된 것이다.
수지 (11) 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 (curing agent)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소정의 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 처리 (heat treatment) 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11) 자체의 접착능 (adhesive capacity) 에 의해 아우터 부품 (5) 과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에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11) 는, 인장 파단 신도가 80 % 이상, 통상 부재 (3)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의 접착 강도가 12 ㎫ 이상,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이 6 ㎫ 이상의 물성 (property) 을 갖는 것이다. 이들 각 물성은 모두, 수지 (11) 를 가열 처리한 후의 값이다.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및 압축 공칭 응력은, 각각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한 값으로 하면 된다.
≪인장 파단 신도≫
소정의 간극으로 조정한 2 매의 강판 사이에 미경화 수지를 넣고, 소정의 조건으로 가열 경화시키고, 강판을 떼어내어 평판상 수지를 제조하고, 그 평판상 수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시험편을 제조한다. 이어서, 소정의 인장 속도로 수지가 파단할 때까지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수지 파단 시의 표선간 신장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그 측정한 수지 파단 시의 표선간 신장량을 초기의 표선간 거리로 나누어 백분율 표시한 값을 인장 파단 신도로 한다.
≪접착 강도≫
소정의 간극으로 조정한 2 매의 강판 사이에 미경화 수지를 넣고, 소정의 조건으로 가열 경화시켜, 시험편을 제조한다. 이어서, 그 시험편을 소정의 인장 속도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강판과 수지가 파단했을 때의 하중 (load) 을 측정한다. 그리고, 그 측정한 파단 시의 하중을 강판과 수지의 접착 면적으로 나눈 값 (= 전단 접착 강도 (shearing adhesive strength)) 을 접착 강도 (adhesive strength) 로 한다.
≪압축 공칭 응력≫
소정의 간극으로 조정한 2 매의 강판 사이에 미경화 수지를 넣고, 소정의 조건으로 가열 경화시켜, 강판을 떼어내어 평판상 수지를 제조한다. 이어서, 그 평판상 수지를 원기둥 형상으로 잘라내어 시험편을 제조한다. 그리고, 당해 시험편에 있어서의 원형상 면을 압축면으로 하고, 소정의 시험 속도로 공칭 변형 10 % 까지 압축했을 때의 하중에 대해, 초기의 시험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압축 공칭 응력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1) 에 있어서, 수지 (11) 의 종류 및 물성을 상기와 같이 규정하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 먼저, 수지 (11) 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통상 부재 (3) 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주름상자 형상으로 축 압괴 변형할 때에, 가열 처리에 의해 수지 (11) 를 가열 경화시켜, 12 ㎫ 이상의 접착 강도로 통상 부재 (3)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 접착함으로써, 통상 부재 (3) 의 변형에 추종하여 수지 (11) 가 변형할 수 있다.
인장 파단 신도가 80 % 이상임으로써, 통상 부재 (3) 의 축 압괴 변형에 추종하여 수지 (11) 가 변형할 때에 수지 (11) 자체가 파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착 강도가 12 ㎫ 이상임으로써, 통상 부재 (3) 의 축 압괴 과정에 있어서 수지 (11) 가 통상 부재 (3) 나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로부터 괴리하여 좌굴 내력 (buckling resistance) 이나 변형 저항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이 6 ㎫ 이상임으로써, 축 압괴 과정에 있어서, 통상 부재 (3) 가 주름상자 형상으로 변형해도, 수지 (11) 자체가 찌그러져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내력 (yield strength) 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지 (11) 의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및 압축 공칭 응력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의 종류나 조성 (composition), 나아가서는, 가열 처리의 온도나 시간을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또한, 경화제로는, 폴리아민계 (polyamine) (지방족 폴리아민 (aliphatic polyamine), 방향족 아민 (aromatic amine), 방향족 폴리아민 (aromatic polyamine), 폴리아미드아민 (polyamidoamine)), 산 무수물계 (acid anhydride curing agent), 페놀계 (phenol-based curing agent), 티올계 (thiol-based curing agent) 나 잠재성 경화제 (latent curing agent) 인 디시안디아미드 (dicyandiamide), 이미다졸 화합물 (imidazole compound), 케티민 화합물 (ketimine compound), 유기산 하이드라지드 (organic acid hydrazide) 등, 사용 환경·반응 온도 등에 따라 최적으로 선정되는 경화제가 좋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1) 은, 통상 부재 (3) 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축 압괴하는 과정에 있어서, 수지 (11) 는 통상 부재 (3)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로부터 괴리하는 일 없이 좌굴 저항을 향상시키고, 또한, 통상 부재 (3) 의 변형 저항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통상 부재 (3) 에 주름상자 형상으로 반복 좌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수지 (11) 는, 가열 처리한 후에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무엇보다, 폐단면 공간 (closed cross section space) 형성 벽부재 (wall part) (9) 와 아우터 부품 (5) 의 사이에 형성된 폐단면 공간에 충전하는 경화제의 양에 따라서는, 소정의 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 처리한 후의 수지 (11) 에 경화제가 잔류하지 않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1) 의 다른 양태로서, 가열 처리한 후의 수지 (11) 가 경화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소정의 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11) 자체의 접착능에 의해 아우터 부품 (5) 과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에 접착시킨 것이어도 된다.
가열 처리한 후의 수지 (11) 가 경화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는 것인 경우에 있어서도, 그 물성은, 인장 파단 신도가 80 % 이상, 통상 부재 (3)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의 접착 강도가 12 ㎫ 이상,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이 6 ㎫ 이상을 갖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지 (11) 의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및 압축 공칭 응력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가열 처리 전에 폐단면 공간에 충전하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의 종류나 조성, 나아가서는, 가열 처리의 온도나 시간을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경화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는 수지 (11) 가 상기 물성의 범위 내에 있으면, 통상 부재 (3) 에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축 압괴하는 과정에 있어서, 수지 (11) 는 통상 부재 (3)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로부터 괴리하는 일 없이 좌굴 저항을 향상시키고, 또한, 통상 부재 (3) 의 변형 저항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통상 부재 (3) 에 주름상자 형상으로 반복 좌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했으므로, 그 결과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실험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을 시험체로 하여 축 압괴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며, 축 압괴 시험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체 (31) 의 축방향으로 시험 속도 17.8 m/s 로 하중을 입력하여 시험체 길이 (시험체 (31) 의 축방향 길이 L0) 를 200 ㎜ 부터 120 ㎜ 까지 80 ㎜ 축 압괴 변형시켰을 때의 하중과 축 압괴 변형량 (스트로크) 의 관계를 나타내는 하중-스트로크 곡선의 측정 및 고속도 카메라에 의한 변형 상태의 촬영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한 하중-스트로크 곡선으로부터, 스트로크가 0 ∼ 80 ㎜ 까지의 흡수 에너지를 구하였다.
도 4 에, 발명예로 한 시험체 (31) 의 구조 및 형상을 나타낸다. 발명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1) (도 1 및 도 2) 을 시험체 (31) 로 하고, 축 압괴 시험을 실시한 것이다. 시험체 (31) 는, 아우터 부품 (5) 과 이너 부품 (7) 이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된 통상 부재 (3) 를 갖고, 아우터 부품 (5) 과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의 사이에 폐단면 공간이 형성되고, 그 폐단면 공간의 전체 영역에 수지 (11) 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터 부품 (5) 과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의 사이의 간극 높이를 1 ㎜, 3 ㎜, 8 ㎜ (도 4(a) ∼ (c)) 로 하였다.
아우터 부품 (5) 에는, 인장 강도 590 ㎫ 급 ∼ 1180 ㎫ 급, 판두께 1.2 ㎜ 또는 1.4 ㎜ 의 강판을 사용하고, 이너 부품 (7) 에는, 인장 강도 590 ㎫ 급, 판두께 1.2 ㎜ 의 강판을 사용하였다. 또,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에는, 인장 강도 270 ㎫ 급, 판두께 0.5 ㎜ 의 강판을 사용하였다.
수지 (11) 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소정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으로 가열 처리한 것이며, 가열 처리한 후의 수지 (11) 의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및 압축 공칭 응력의 각각의 값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하였다. 여기서,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및 압축 공칭 응력은, 각각 하기의 시험 방법을 별도 실시함으로써 구하였다.
<인장 파단 신도>
2 매의 강판의 간극을 2 ㎜ 로 조정하고, 그 사이에 미경화 수지를 넣고, 180 ℃ × 20 분 유지의 조건으로 가열 경화시키고, 강판을 떼어내어 두께 2 ㎜ 의 평판상 수지를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당해 평판상 수지를 덤벨 형상 (dumbbell shape) (JIS6 호 덤벨) 으로 가공하여 시험편을 제조하고, 인장 속도 (tensile speed) 2 ㎜/min 으로 수지가 파단할 때까지 인장 시험 (tensile test) 을 실시하고, 수지 파단 시의 표선간 신장량 (elongation between marked lines) 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측정한 수지 파단 시의 표선간 신장량을 초기의 표선간 거리 (= 20 ㎜) 로 나눈 값을 백분율 표시하고, 인장 파단 신도로 하였다.
<전단 접착 강도>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착체 (23) 및 피착체 (25) 는, 폭 25 ㎜, 두께 1.6 ㎜, 길이 100 ㎜ 의 강판 (SPCC) 으로 하고, 접착부 (adhesive portion) (폭 25 ㎜, 길이 10 ㎜) 에 미경화 수지 (27) 를 설치하고, 두께 0.15 ㎜ 로 조정한 상태에서, 180 ℃ × 20 분 유지의 조건으로 가열 경화한 것을 시험편 (21) 으로 하였다. 이어서, 시험편 (21) 을 인장 속도 5 ㎜/min 으로 피착체 (adherend) (23) 또는 피착체 (25) 와 수지 (27) 가 파단할 때까지의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파단 시의 하중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파단 시의 하중을 접착부의 면적 (접착 면적 : 폭 25 ㎜ × 길이 10 ㎜) 으로 나눈 값을 전단 접착 강도로 하였다.
<압축 공칭 응력>
2 매의 강판의 간극을 3 ㎜ 로 조정하고, 그 사이에 미경화 수지를 넣고, 180 ℃ × 20 분 유지의 조건으로 가열 경화시키고, 강판을 떼어내어 두께 3 ㎜ 의 평판상 수지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그 평판상 수지 시험편으로부터 직경 20 ㎜ 의 원기둥 형상으로 잘라낸 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그리고, 당해 시험편에 있어서의 직경 20 ㎜ 의 원형상 면을 압축면으로 하고, 시험 속도 2 ㎜/min 으로 공칭 변형 10 % 까지 압축했을 때의 하중에 대해, 초기의 시험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압축 공칭 응력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 대상으로서, 발명예의 통상 부재 (3)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 동일 형상으로서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험체 (33) (도 6) 를 사용한 경우와, 발명예와 동일 형상의 시험체 (31) 에 있어서 수지 (11) 의 물성이 본 발명의 범위 외인 경우를 비교예로 하고, 발명예와 마찬가지로 축 압괴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1 에, 발명예 및 비교예로 한 시험체의 구조, 수지의 종류,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의 각 조건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있어서, 발명예 1 ∼ 발명예 7 은, 통상 부재 (3) 를 구성하는 아우터 부품 (5) 과 이너 부품 (7) 에 사용한 강판의 인장 강도 (590 ㎫ 급 이상 1180 ㎫ 급 이하),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에 사용한 강판의 인장 강도 (270 ㎫ 급), 수지 (11) 의 종류,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압축 공칭 응력 모두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한 것이다.
그리고, 발명예 1 ∼ 발명예 4 는, 소정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으로 가열 처리한 후에, 수지 (11) 에 경화제가 잔류한 것이다. 또, 발명예 5 ∼ 발명예 7 은, 발명예 1 ∼ 4 에 비해 경화제의 양이 적고, 소정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으로 가열 처리한 후, 수지 (11) 에 경화제가 잔류하지 않았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들에 비해, 비교예 1 ∼ 비교예 4 는,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험체 (33) 를 사용한 것, 비교예 5 ∼ 비교예 7 은, 수지 (11) 의 종류를 에폭시 또는 우레탄으로 하고,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압축 공칭 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인 시험체 (31) 를 사용한 것이다.
도 7 및 도 8 에, 각각 비교예 1 에 관련된 시험체 (33) 및 발명예 1 에 관련된 시험체 (31) 를 사용하여 축 압괴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하중-스트로크 곡선 (load-stroke curve)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 은, 가로축을 충돌 개시부터 시험체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변형량을 나타내는 스트로크 (㎜) 로 하고, 세로축을 시험체에 입력한 하중 (kN) 으로 한 하중-스트로크 곡선이다. 그래프 중에 나타내는 흡수 에너지는, 스트로크가 0 ∼ 80 ㎜ 에 있어서의 충돌 에너지의 흡수량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비교예 1 은,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험체 (33) (도 6) 의 결과이며, 시험체 (33) 에 입력하는 하중은, 입력 개시 직후에 최대값 (약 300 kN) 을 나타내고, 그 후, 통상 부재 (3) 의 둘레벽부의 좌굴과 함께 하중의 값은 변동하였다. 그리고, 스트로크가 80 ㎜ 에 이른 시험 종료 시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6.5 kJ 였다.
도 8 에 나타내는 발명예 1 은, 아우터 부품 (5)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의 사이에 형성된 폐단면 공간에 수지 (11) 가 충전되고, 인장 파단 신도 (= 80 %), 접착 강도 (= 12 ㎫) 및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 (= 6 ㎫) 모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인 시험체 (31) 의 결과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하중-스트로크 곡선으로부터, 하중 입력 개시 직후의 최대 하중은 약 400 kN 이며, 전술한 비교예 1 에 비해 대폭 향상하였다. 또한, 스트로크가 10 ㎜ 이후에 있어서의 변형 하중은, 비교예 1 에 비하면 안정적으로 높은 값으로 추이하였다. 그리고, 스트로크가 0 ∼ 80 ㎜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에 대해서도, 비교예 1 에 비해 대폭 향상되어 13.1 kJ 가 되었다.
이와 같이, 발명예 1 에 있어서는, 아우터 부품 (5)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와의 사이에 수지 (11) 를 충전하고, 그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및 압축 공칭 응력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축 압괴 과정에 있어서 좌굴 내력 (buckling strength) 이 증가함과 함께 수지 (11) 가 박리되지 않고 변형 저항이 상승하고, 주름상자 형상의 압축 변형 (compression deformation) 이 생겨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축 압괴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체의 구조, 수지의 종류 및 접착 강도를 변경하여 축 압괴 시험을 실시하고, 스트로크가 0 ∼ 80 ㎜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의 측정 결과와 시험체 중량을 전술한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중의 시험체 중량은, 수지 (11) 가 충전된 시험체 (31) 에 있어서는 아우터 부품 (5), 이너 부품 (7),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및 수지 (11) 의 각 중량의 총합이다. 한편,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험체 (33) 에 있어서는, 아우터 부품 (5), 이너 부품 (7) 및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9) 의 각 중량의 총합이다.
전술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예 1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13.1 kJ 이며,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6.5 kJ 에 비해 대폭 향상하였다. 또, 비교예 1 보다 인장 강도가 높은 강판 (1180 ㎫ 급) 을 아우터 부품 (5) 에 사용한 비교예 4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 8.5 kJ) 와 비교해도, 발명예 1 에 있어서는 흡수 에너지가 대폭 향상하였다.
발명예 1 에 있어서의 시험체 중량은 1.28 ㎏ 이며, 수지를 충전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시험체 중량 (= 1.06 ㎏) 보다 증가하였다. 그러나, 발명예 1 에 있어서는, 흡수 에너지를 시험체 중량으로 나눈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10.2 kJ/㎏ 이며, 비교예 1 (= 6.1 kJ/㎏) 보다 향상하였다.
발명예 2 는, 수지 (11) 의 두께가 발명예 1 보다 작은 1 ㎜ 로 한 시험체 (31) (도 4(c)) 를 사용한 것이다. 발명예 2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9.8 kJ 이며, 비교예 1 (= 6.5 kJ) 에 비해 대폭 향상하였다. 또, 발명예 2 에 있어서의 시험체 중량은 1.12 ㎏ 이며, 발명예 1 보다 경량이었다. 그리고, 발명예 2 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8.5 kJ/㎏ 이며, 비교예 1 (= 6.1 kJ/㎏) 보다 향상하였다.
발명예 3 은, 아우터 부품 (5) 에 사용한 강판의 인장 강도 1180 ㎫ 급, 수지 (11) 의 두께 1 ㎜ 로 한 시험체 (31) (도 4(c)) 를 사용한 것이다. 발명예 3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12.6 kJ 이며, 비교예 4 (= 8.5 kJ) 에 비해 대폭 향상하였다. 또, 발명예 3 에 있어서의 시험체 중량은 1.13 ㎏ 이며, 발명예 1 보다 경량이었다. 게다가, 발명예 3 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11.2 kJ/㎏ 이며, 비교예 4 (= 7.9 kJ/㎏) 보다 향상하였다.
발명예 4 는, 아우터 부품 (5) 에 사용한 강판의 인장 강도 590 ㎫ 급, 수지 (11) 의 두께 3 ㎜ 로 한 시험체 (31) (도 4(b)) 를 사용한 것이다. 발명예 4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10.1 kJ 이며, 비교예 1 (= 6.5 kJ) 에 비해서도 대폭 향상하였다. 또, 발명예 4 에 있어서의 시험체 중량은 1.19 ㎏ 이며, 발명예 1 보다 경량이 되었다. 그리고, 발명예 4 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8.5 kJ/㎏ 이며, 비교예 1 (= 6.1 kJ/㎏) 보다 향상하였다.
발명예 5 는, 아우터 부품 (5) 에 사용한 강판의 인장 강도 590 ㎫ 급, 수지 (11) 의 두께 8 ㎜ 로 한 시험체 (31) (도 4(a)) 를 사용한 것이다. 발명예 5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13.1 kJ 이며,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6.5 kJ 에 비해 대폭 향상하였다. 또, 비교예 1 보다 인장 강도가 높은 강판 (1180 ㎫ 급) 을 아우터 부품 (5) 에 사용한 비교예 4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 8.5 kJ) 와 비교해도, 발명예 5 에 있어서는 흡수 에너지가 대폭 향상하였다.
발명예 6 은, 아우터 부품 (5) 에 사용한 강판의 인장 강도 1180 ㎫ 급, 수지 (11) 의 두께 1 ㎜ 로 한 시험체 (31) (도 4(c)) 를 사용한 것이다. 발명예 6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12.6 kJ 이며, 비교예 4 (= 8.5 kJ) 에 비해 대폭 향상하였다. 또, 발명예 6 에 있어서의 시험체 중량은 1.12 ㎏ 이며, 발명예 1 보다 경량이었다. 게다가, 발명예 6 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11.2 kJ/㎏ 이며, 비교예 4 (= 7.9 kJ/㎏) 보다 향상하였다.
발명예 7 은, 아우터 부품 (5) 에 사용한 강판의 인장 강도 590 ㎫ 급, 수지 (11) 의 두께 3 ㎜ 로 한 시험체 (31) (도 4(b)) 를 사용한 것이다. 발명예 7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10.1 kJ 이며, 비교예 1 (= 6.5 kJ) 에 비해서도 대폭 향상하였다. 또, 발명예 7 에 있어서의 시험체 중량은 1.19 ㎏ 이며, 발명예 1 보다 경량이 되었다. 그리고, 발명예 7 에 있어서의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8.5 kJ/㎏ 이며, 비교예 1 (= 6.1 kJ/㎏) 보다 향상하였다.
비교예 1 은,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험체 (33) (도 6) 를 사용한 것이며, 시험체 중량은 1.06 ㎏ 이었다. 그리고, 흡수 에너지는, 전술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6.5 kJ 이며,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6.1 kJ/㎏ 이었다.
비교예 2 는, 비교예 1 과 동일 형상의 시험체 (33) 에 있어서, 아우터 부품 (5) 에 판두께 1.4 ㎜ 의 강판을 사용한 것이며, 시험체 중량은 1.17 ㎏ 이었다. 비교예 2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7.0 kJ,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6.0 kJ/㎏ 이며, 흡수 에너지는 비교예 1 보다 증가하기는 했지만, 발명예 1 ∼ 발명예 7 에는 미치지 못했다.
비교예 3 은, 비교예 1 과 동일 형상의 시험체 (33) 에 있어서, 아우터 부품 (5) 에 인장 강도 980 ㎫ 급의 강판을 사용한 것이며, 시험체 중량은 1.06 ㎏ 이었다. 비교예 3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8.1 kJ,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7.6 kJ/㎏ 이며, 모두 비교예 1 보다 증가하기는 했지만, 발명예 1 ∼ 발명예 7 에는 미치지 못했다.
비교예 4 는, 비교예 1 과 동일 형상의 시험체 (33) 에 있어서, 아우터 부품 (5) 에 인장 강도 1180 ㎫ 급의 강판을 사용한 것이며, 시험체 중량은 1.07 ㎏ 이었다. 비교예 4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는 8.5 kJ,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7.9 kJ/㎏ 이며, 양쪽 모두 비교예 1 보다 증가하기는 했지만, 발명예 1 ∼ 발명예 7 에는 미치지 못했다.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 은, 발명예 2 에 관련된 시험체 (31) 와 동일 형상이지만, 수지의 종류, 또는, 수지의 인장 파단 신도, 접착 강도 및 압축 공칭 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인 시험체 (31) (도 4) 를 사용한 것이다.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 에 있어서의 흡수 에너지 및 단위중량당 흡수 에너지는, 발명예 1 ∼ 발명예 7 중 어느 것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에 의하면, 축방향으로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축 압괴하는 경우에 있어서, 충돌 에너지의 흡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사이드 멤버나 크래쉬 박스와 같은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어 주름상자 형상으로 축 압괴할 때에, 충돌 에너지의 흡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3 : 통상 부재
5 : 아우터 부품
5a : 천판부
5b : 세로벽부
5c : 플랜지부
7 : 이너 부품
9 :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
11 : 수지
21 : 시험편
23 : 피착체
25 : 피착체
27 : 수지
31 : 시험체
33 : 시험체

Claims (2)

  1. 차체의 전부 또는 후부에 형성되고, 그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축 압괴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으로서,
    인장 강도가 590 ㎫ 급 이상 1180 ㎫ 급 이하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천판부와 이것에 이어지는 1 쌍의 세로벽부를 갖는 통상 (筒狀) 부재와,
    그 통상 부재보다 인장 강도가 낮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측에 상기 천판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1 쌍의 세로벽부의 내면에 접합되고, 그 통상 부재의 둘레벽부의 일부와의 사이에 폐단면 (閉斷面) 공간을 형성하는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
    상기 폐단면 공간에 충전된 수지를 갖고,
    그 수지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인장 파단 신도가 80 % 이상, 상기 통상 부재 및 상기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의 접착 강도가 12 ㎫ 이상,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이 6 ㎫ 이상인,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2. 차체의 전부 또는 후부에 형성되고, 그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돌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축 압괴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으로서,
    인장 강도가 590 ㎫ 급 이상 1180 ㎫ 급 이하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천판부와 이것에 이어지는 1 쌍의 세로벽부를 갖는 통상 부재와,
    그 통상 부재보다 인장 강도가 낮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통상 부재의 내측에 상기 천판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1 쌍의 세로벽부의 내면에 접합되고, 그 통상 부재의 둘레벽부의 일부와의 사이에 폐단면 공간을 형성하는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
    상기 폐단면 공간에 충전된 수지를 갖고,
    그 수지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인장 파단 신도가 80 % 이상, 상기 통상 부재 및 상기 폐단면 공간 형성 벽부재와의 접착 강도가 12 ㎫ 이상, 압축 공칭 변형 10 % 에 있어서의 압축 공칭 응력이 6 ㎫ 이상인,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KR1020217025348A 2019-02-22 2019-12-12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KR102547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0116 2019-02-22
JPJP-P-2019-030116 2019-02-22
JP2019190730A JP7026088B2 (ja) 2019-02-22 2019-10-18 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
JPJP-P-2019-190730 2019-10-18
PCT/JP2019/048694 WO2020170569A1 (ja) 2019-02-22 2019-12-12 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334A true KR20210113334A (ko) 2021-09-15
KR102547461B1 KR102547461B1 (ko) 2023-06-23

Family

ID=7227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348A KR102547461B1 (ko) 2019-02-22 2019-12-12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26088B2 (ko)
KR (1) KR102547461B1 (ko)
CN (1) CN1134236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0682B1 (ja) 2020-08-19 2022-03-23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装置、機械部品の製造方法、機械装置の製造方法、車両の製造方法、機械部品、機械装置、車両、液圧成形方法、及び液圧成形用成形型
JP7078146B1 (ja) * 2021-02-09 2022-05-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該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075A (ja) 1999-05-12 2000-11-21 Tokai Rubber Ind Ltd 高剛性発泡体充填構造体
JP2001088740A (ja) * 1999-09-20 2001-04-03 Mazda Motor Corp 車体のフレーム構造
JP2006240134A (ja) 2005-03-04 2006-09-1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59894A (ja) * 2016-03-03 2017-09-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車両用構造部材
JP2018144529A (ja) * 2017-03-02 2018-09-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2523B1 (en) * 2003-06-04 2012-07-18 Sunstar Giken Kabushiki Kaisha Pasty heat-expandable filler composition and method of sound insulation by filling closed section of car body member
WO2010014565A1 (en) * 2008-07-29 2010-02-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Toughened expandable epoxy resins for stiffening and energy dissipation in automotive cavit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075A (ja) 1999-05-12 2000-11-21 Tokai Rubber Ind Ltd 高剛性発泡体充填構造体
JP2001088740A (ja) * 1999-09-20 2001-04-03 Mazda Motor Corp 車体のフレーム構造
JP2006240134A (ja) 2005-03-04 2006-09-1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59894A (ja) * 2016-03-03 2017-09-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車両用構造部材
JP2018144529A (ja) * 2017-03-02 2018-09-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26088B2 (ja) 2022-02-25
JP2020138722A (ja) 2020-09-03
KR102547461B1 (ko) 2023-06-23
CN113423615A (zh)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70569A1 (ja) 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
US8202376B2 (en) High-strength motor-vehicle frame part with targeted crash
CN105270477B (zh) 定制半成品部件和机动车组件
CN113365905B (zh) 车身骨架部件
US10442468B2 (en) Metal pipe and structural member using metal pipe
EP3569482B1 (en) Structural member and vehicle structural member
WO2019043899A1 (ja) 中空の部材
KR20210113334A (ko)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JP6540591B2 (ja) 車体側部構造
US20100180990A1 (en) Impact beam comprising precipitation hardenable stainless steel
EP4147950A1 (en) Automotive impact energy absorptive part
JP2019158028A (ja) 自動車用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品
EP4168293B1 (en) Rocker reinforcement and rocker for a vehicle
JP7184064B2 (ja) 自動車用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97269A (ja) 溶接構造用複合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
JP2023509623A (ja) 自動車用クラッシュボックスのための拡径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6786468B2 (ja) 車両用構造部材
JP6244827B2 (ja) 中空断面形状の自動車用構造部材
Weinhold et al. Crash energy management of aluminum components
JP4734129B2 (ja) 衝突特性に優れた自動車用強度部材
JP2021187433A (ja) 自動車用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29487A (ko)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 그 자동차용 충돌 에너지 흡수 부품의 제조 방법
JP2020189582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ドアビ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