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250A -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250A
KR20210113250A KR1020217023915A KR20217023915A KR20210113250A KR 20210113250 A KR20210113250 A KR 20210113250A KR 1020217023915 A KR1020217023915 A KR 1020217023915A KR 20217023915 A KR20217023915 A KR 20217023915A KR 20210113250 A KR20210113250 A KR 20210113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c
messaging system
audio
central unit
softwa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217B1 (ko
Inventor
보스코 니콜라 달
Original Assignee
소셜 미디어 이모션스 에쎄.에레.엘레.
보스코 니콜라 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셜 미디어 이모션스 에쎄.에레.엘레., 보스코 니콜라 달 filed Critical 소셜 미디어 이모션스 에쎄.에레.엘레.
Publication of KR2021011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60Medium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2), 바람직하게는 즉석 메시징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시징 시스템은 전송자 장치와 수신자 장치 모두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에 의해 텍스트 메시지(60)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자 장치(4)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장치(6)를 포함하고,
-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은 메시징 시스템(2)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를 포함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 내부에 로딩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 내부에 로딩된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을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로부터 시작해서, 콘텐츠가 동일하지만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Y'', 31Y''', 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가 로딩 및 실행되고,
-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중앙 유닛(8)으로부터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D2, D3 및/또는 DX)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Y'', 31Y''', 31X)를 다운로딩하고 메시징 시스템(2)의 내부에서 이렇게 배출된 요소를 구현 및/또는 사용하도록 구성된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로딩 및 실행되며,
-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60) 및/또는 메시지(60)의 교환이 디스플레이되고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구현/디스플레이되는 제1 스크린(80)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60) 및/또는 메시지(60)의 교환의 디스플레이의 제1 스크린(80) 내부에 구현/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 유형을 갖는 경우 터치(82)에 의해 또는 클릭에 의해 또는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를 통해 선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영역(81)을 차지하는, 메시징 시스템.

Description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
본 발명은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즉석 메시징 시스템과 관련되며, 메시징 시스템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과 관련된다.
오늘날, 메시징 시스템에서, 특히, 즉석 메시징 시스템에서, 특정 기분을 표현하기 위한 심볼 그래픽 표현을 생성하기 위해 메시지 텍스트 내에서 캐릭터(문자, 숫자, 마침표 등)의 특정 조합을 사용하도록 계획된 이모티콘이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정 인코딩, 일반적으로 유니코드 유형의 인코딩과 연관 및 연결된 실제 이미지 대신인 이른바 "emoji®"가 또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emoji®는 이를 읽을 수 있는 적절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원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emoji®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교환에서, 전송자와 수신자 간에 상이한 이미지가 동일한 인코딩과 연관되어, 원치 않는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때때로,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특정 emoji®가 지원되지 않거나 전송자에 의해 사용되는 인코딩과 연관되는 이미지가 없는 일이 발생하여, 불편한 공백 또는 백색 사각형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WO2017/059524는 모든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드된 모든 그래픽 요소(가령, emoji®, 스티커, 밈)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전송될 메시지 내 그래픽 요소의 사용 또는 산입을 위한 사전 승인/승인 아키텍처 및 메커니즘이 없는(이 승인/활성화의 제어도 역시 없는) 메시징 시스템을 기술한다. 특히, 그래픽 요소가 포함된 메시지가 대응하는 수신자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그리고 중앙집중형 라이브러리로부터 다운로드될 때 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요소의 바이럴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이 요소는 전송자로서 전송될 새로운 메시지에 수신자에 의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WO2014/100682는 수신자 장치의 로컬 라이브러리에 이미 존재하지 않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포함된 메시지가 대응하는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중앙집중형 라이브러리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서버 상에 존재하거나, 수신자 장치의 로컬 라이브러리로 전송되는 메시징 시스템을 기술한다. 그런 다음, 수신자 장치의 로컬 라이브러리에 다운로드되면,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전송자로서 전송될 새로운 메시지에 수신자에 의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US2015/0327033은 그래픽 요소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이러한 그래픽 요소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폭이 0인 유니코드 시퀀스(ZW)가 메시지 자체에 삽입되는 메시징 시스템을 설명한다.
US9699299는 전송될 메시지를 준비할 때 전송하는 사용자에 의해 타이핑되도록 의도된 태그와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미세징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이 메시징 시스템에서 각각의 태그는 여러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와 연관될 수 있다. 특히, 새 메시지를 준비하는 동안 전송하는 사용자가 특정 태그에 해당하는 단어를 입력할 때마다, 소프트웨어는 두 개의 질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데, 하나의 질의는 전송자 장치에 로딩된 로컬 라이브러리와 관련되고 다른 하나의 질의는 중앙 서버에 로딩된 원격 메모리와 관련되고, 이는 이 태그와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 모두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수신자 장치의 로컬 라이브러리에 이미 존재하지 않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포함된 메시지가 대응하는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중앙집중형 라이브러리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서버 상에 존재하거나, 수신자 장치의 로컬 라이브러리로 전송된다. 따라서, 앞서 기재된 방법에 따르는 어느 경우에서라도 항상,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는 수신자 장치의 로컬 라이브러리로 다운로드되면, 전송자로서 전송될 새 메시지의 준비 단계에서 수신자에 의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WO2015/122993은 전송자와 수신자가 이들의 대화 내에서 전송자와 수신자의 각자의 아바타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기술한다. 이 시스템은 메시지 내에서 아바타를 고유 코드로 식별하지 않고 일련의 속성과 연관되는 값의 조합으로 식별하고 메시지 내에 메시지도 삽입하도록 구성된다.코드(ACC)가 전송자의 아바타와 수신자의 아바타 사이에 생성될 애니메이션의 유형을 나타낸다. 메시지를 올바르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수신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는 각자의 아바타의 애니메이션을 재구성한 후 디스플레이하며 메시지 내 ACC 코드를 식별한 후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을 복원하고, 전송자와 수신자 모두의 아바타의 개별 속성을 식별하여, 애니메이션에서 로컬하게 사용되도록 아바타를 재구성/조립할 수 있다.또한 이 메시징 시스템은 수신자의 장치로부터 수신 확인이 수신된 후에야 전송자의 장치 디스플레이 상에 애니메이션이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US 2007/0101005는 상이한 통신 장치들 간에 이모티콘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방법은 수신자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모티콘을 식별하고 추출하기 위한 변환 유닛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변환 유닛이 전송자 장치에서 관리하는 이모티콘의 트랜스코딩 테이블이 수신자 장치에서 관리되는 이모티콘에 저장되어 있는 이모티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다.
KR20050020386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두 대의 휴대폰 간에 이미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다양한 형식이나 해상도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 장치에서 표시하기에 적합한 그래픽 콘텐츠를 추출하는 변환 장치의 존재를 예측한다. 특히, 이를 위해 변환 유닛은 모든 송수신 장치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며, 이는 각 장치에 적합한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US 2007/0101005 및 KR20050020386의 솔루션은 그래픽 콘텐츠를 MMS로만 전송하도록 제공하여 전송할 수 있는 콘텐츠의 크기, 형식 및/또는 유형에 제한을 두기 때문에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
또한, 그래픽 콘텐츠(이미지와 비디오 둘 모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emoji® 또는 일반적인 이모티콘-스타일 일러스트레이션)를 메시지의 텍스트의 내부에 및/또는 메시지의 텍스트와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들 콘텐츠가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감소된 해송도 및 치수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며, 이는 그래픽 콘텐츠의 상세한 및/또는 예술적인 형태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즉석 메시징 시스템은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요청이 점점 더 증가하고 단순한 이모티콘 또는 전통적인 emoji®, 가령, "스마일리 얼굴"로 스타일화된 것과 상이하고 더 심도 있는 콘텐츠를 전달하는, 그래픽적으로 정교하고 복잡한 emoji®(즉, 아이디어, 물리적 물체, 개념, 및/또는 기분의 스타일화된 심볼 또는 일러스트레이션)의 경우에서 특히 더 그렇다.
또한, 현재, 한편으로는 사용자는 자신의 메시지에서 사용될 그래픽 콘텐츠(특히, emoji®)를 개인화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동시에, 새로운 그래픽 콘텐츠의 제작자에게,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광고하거나 대중에게 공개하는 동시에 자신의 창작물에 대해 (경제적으로도) 인정을 받는 것이 특히 어렵다. 본질적으로, 새로운 콘텐츠의 제작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쉽게 광고하고 공유하여 사용자가 메시지에서 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매 및/또는 다운로드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가질 필요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메시지의 텍스트 내에서 맞춤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사용/삽입할 수 있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메시지 내에서 메시지 자체의 텍스트와 일렬로 배치되는 그래픽 요소를 최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그래픽 요소를 충분히 확대되고 상세한 방식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여 그래픽 요소의 창의적 정교함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그래픽 요소를 확대된 방식으로 시각화하고 이 확대가 이 요소 그래프 자체가 디스플레이되는 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자동으로 적응되도록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기존 솔루션보다 더 빠르고 더 좋은 성능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 자체의 사용자에게 메시지에 삽입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IT 플랫폼의 특정 섹션, 바람직하게는 메시징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구매 및/또는 다운로드가 가능한 섹션과의 빠르고, 단순하며, 직관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메시지, 특히 그래픽 요소가 풍선 및/또는 개인화된 오디오 안에서 전달되는 메시지에서 사용될 풍선(즉, 테스트를 감싸는 프레임)을 커스텀화할 수 있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메시지에서, 특히, 커스텀화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풍선 내부에서 전달되는 메시지에서 사용될 아바타(즉, 예를 들어 채팅에서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때 본인을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그래픽 표현)를 커스텀화할 수 있게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기의 단말기에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시지의 송신자와 수신자 모두에 의해 동일한 그래픽 요소의 올바른 디스플레이를 보장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쉽게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이를 자신의 메시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메시지에 사용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다수의 단말에서 쉽고 빠르게 동기화할 뿐만 아니라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이 생성 및/또는 구매한 그래픽 요소만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즉, 자신이 보낸 사람인 메시지에 삽입) 그와 동시에 메시지 수신자로서 모든 그래픽 요소, 즉 자신이 만들지 않았거나 구매하지 않았거나 승인하지 않은 그래픽 요소를 올바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시지에서 사용될 그래픽 요소가 표준 유니코드 인코딩과 무관하고 따라서 유니코드 컨소시엄의 승인을 받지 않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시스템에 대한 개선 및/또는 대안인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능적 측면과 구현 측면 모두에서 전통적인 특성과 관련하여 대안적인 특성화를 갖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쉽고 직관적인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련된 하드웨어 장치에 의한 자원 소비를 줄이고 네트워크가 점유하는 대역을 더 적게 사용하도록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신속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목적 및 하기 설명으로부터 야기될 그 밖의 다른 것들은 청구항 1에 나타낸 특징을 갖는 시스템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 목적을 위해 보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래에 추가로 명확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의 기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데이터베이스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전송자 단말기 중앙 유닛으로 보낸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중앙 유닛에 의해 처리되는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아바타 선택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아바타 라이브러리를 나타내는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텍스트에 삽입할 그래픽 요소의 라이브러리가 있는 채팅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풍선 라이브러리를 갖는 채팅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휴대용 장치에서의 채팅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컴퓨터 브라우저의 채팅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에서 전송자로부터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 내에서 전송 사용자의 신원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아키텍처/메커니즘의 기능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승인된 그래픽/오디오 요소만을 송신 장치에서 동기화하고 사용하기 위한 아키텍처/메커니즘의 기능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휴대용 장치(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제1 스크린의 제1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전송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 메시지의 교환(채팅)이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메시지 내부에 그래픽 요소가 양식화된 그래픽 일러스트레이션(emoji®)의 형태로 삽입된다.
도 15는 도 14의 그래픽 요소가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기초하여 확대 및 최적화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6는 휴대용 장치(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제1 스크린의 제2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전송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 메시지의 교환(채팅)이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메시지 내부에 그래픽 요소가 양식화된 그래픽 일러스트레이션(emoji®)의 형태로 삽입된다.
도 17은 도 16의 확대된 상세를 도시한다.
도 18a는 휴대용 장치(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제1 스크린의 제3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전송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 메시지의 교환(채팅)과 타이핑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8b는 휴대용 장치(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고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제1 스크린의 제3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전송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 메시지의 교환(채팅)만 디스플레이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제2 스크린을 보여주면, 여기서 도 18b의 그래픽 요소가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기초하여 확대 및 최적화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20은 새로운 그래픽 요소를 시스템 자체에 로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의 기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제1 스크린의 메시지 내에 그래픽 요소를 먼저 디스프레이한 다음 제2 스크린에 이 확대된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의 기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스크린을 나타내며, 여기서, 도 18b의 그래픽 요소가 확대된 방식으로 나타나고 확대된 그래픽 요소의 동일한 모음/그룹에 속하는 그래픽 요소가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제2 스크린을 도시하며, 여기서 도 18b의 그래픽 요소가 확대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확대된 그래픽 요소와 연관된 추가 콘텐츠가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도 24는 그래픽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플랫폼의 스크린을 도시한다.
사전에, 이하 "메시지"(60)는 텍스트, 그래픽(정적 및 애니메이션 모두) 및/또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모두를 포함하는 모든 요소의 집합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풍선"으로 정의되는 단일 프레임 내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나타나거나 다른 채팅 메시지와 관련하여 간격을 두거나 그래픽적으로 분리된 방식으로 스크린 내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메시지(60)는 텍스트(39)만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31)만 포함하거나, 텍스트(39)와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31)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편리하게도, 그래픽 요소는 오디오 요소(예를 들어, 소위 "음성 메시지"의 재생) 및/또는 비디오에 대한 식별 및/또는 활성화 아이콘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아바타"는, 각각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때, 가령, 채팅에서,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스스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그래픽 표현을 의미한다.
특히 "그래픽 요소"는 풍선/메시지 프레임 내에서 텍스트와 함께 또는 텍스트 사이에 또는 텍스트 없이 삽입되는 일반적인 기호, 아이콘 또는 이미지(정적 및 애니메이션 모두)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들 이미지는 "이모지(emoj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개념, 감정 또는 기분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전체가 도면부호 2로 지시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메시징 시스템의 기반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에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자 장치(4)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장치(6)를 포함한다.
편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르는 메시징 시스템(2)은 PCT/IB2018/055193에 기재된 유형을 가지며, 상기 특허의 내용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HTTP 전송/통신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 따라 장치(4, 6)와 중앙 유닛(8) 간 데이터 전송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전송/통신 프로토콜은 보안되는데, 즉, 가령,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SSL(Secure Sockets Layer) 암호화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된 연결을 이용하는 HTTPS 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 장치(6)가 컴퓨터 또는 휴대용 유형 장치, 가령,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유닛(8)는 적어도 프로세서(10), 가령, 현실 또는 가상 원격 서버 및/또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포함한다.
중앙 유닛(8)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메시징 시스템(2)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와 연관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유닛(8) 내부에, 전통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및 이들(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생성, 조작, 관리 및 효율적인 질의를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로딩된다.
편리하게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데이터베이스(12)는 다음을 포함한다:
- 시스템의 각각의 사용자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세트(14); 특히, 이 데이터세트는 적어도 사용자의 고유한 ID 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가급적이면 이름과 성, 연락할 참조(가령, 이메일 주소) 및 기타 기존 데이터 등록을 포함함,
- 메시징 시스템(2)을 통해 관리 가능한 모든 그래픽 요소(정적 및 애니메이션 모두) 및/또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31)의 적어도 고유 식별 코드(ID)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요소 데이터세트(16); 특히, 그래픽 요소의 경우 이 데이터세트는 각각의 그래픽 요소에 대해 동일한 고유 식별 코드(ID)(30)을 포함함.
편리하게도, 특히 그래픽 요소의 경우, 동일한 요소 데이터세트(16)는 실제 이미지(31)를 정의하는 데이터(즉, 바람직하게는 base64 인코딩 또는 벡터 디지털 이미지에 따른 숫자 비트맵 표현), 이미지의 유형 및/또는 설명, 이미지의 축소된 미리보기(썸네일) 및 이 그래픽 요소의 저자/창작자의 ID 식별 코드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소 데이터세트(16)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ID)(30)에 추가하여, 또 다른/추가적인, 가령, 클라우드 내, 데이터베이스(47)의 주소/위치(가령, 웹 URL), 바람직하게는 이 데이터베이스(47) 내 대응하는 레코드의 정밀한 주소 또는 위치도 포함하며, 여기서 실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정의하는 데이터가 조직화된 방식으로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데이터베이스(12)의 데이터세스(16) 내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따르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단일 식별 코드(ID)(30)는 실제 요소(31)를 저장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내(또한 클라우드 내) 레코드를 식별하는 단일 주소/위치(바람직하게는 웹)에 대응한다.
편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2)에 의해 전송 가능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요소(31)는 요소 데이터세트(16)의 고유 식별 코드(3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2) 내에서 유니보컬하게(univocally) 식별된다. 특히, 이는, 데이터베이스(12) 내에서, 메시징 시스템(2)을 통해 관리 및 전송될 수 있는 각각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요소(31)에는, 나머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 모두와 확실히 구별되고 상이한 고유한 식별 코드가 장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요소 데이터세트(16)의 각각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0)는 데이터베이스(12) 내에 및/또는 중앙 유닛(8) 내부 어디든 제공되는 특정 할당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랜덤하게 생성되거나 지정(그리고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2)는 사용자 데이터세트(14)와 요소 데이터세트(16)가 데이터세트(14)의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사용 가능/고나리 가능한 데이터세트(16)의 요소(31)를 포함하는 관계(18)(기본적으로 또 다른 데이터세트를 구성함)에 의해 서로 연관된다.
바람직하게는, 관계 데이터세트(18)의 각각의 행은 사용자의 고유 식별 코드 ID(사용자 데이터세트(14)에서 파생됨), 특정 사용자와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0)(요소 데이터세트로부터 파생됨) 및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 내에서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느지 여부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2)는 관계(18)에서 데이터세트(16)의 동일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연관될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세트(14)의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 및 구조화된다. 편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는 모든 사용자의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즉, 각각의 사용자를 하나 이상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와 관련시킴으로써(따라서 그 반대도 마찬가지, 즉, 각각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관련시킴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는 데이터세트(14 및 16) 사이의 관계(18)의 규정에 따라, 자신과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만을 관리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즉, 메시지 내 전송자로서). 기본적으로, 특정 사용자와 특정 요소 간 관계(18)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그리고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고유 ID 식별 코드가 상기 요소의 고유 식별 코드(30)와 관련된 경우에만, 특정 사용자는 전송될 메시지 내에, 특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삽입하도록 활성화/승인된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가 전송될 메시지 내에서 특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허용하는 리포트(18)는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 내부에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생성/업로드하는 사람일 때 및/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 요소를 무료 또는 유료로 구매했기 때문에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 내에서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사용하도록 승인됐을 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2)는, 사용자 데이터세트(14)와 요소 데이터세트(16)가 데이터세트(14)의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세트(16)의 요소 및 데이터 세트(14)의 각각의 사용자가 (가령, 대응하는 구매를 함으로써)승인/활성화된 상태인 데이터세트(16)의 요소를 포함하는 두 가지 유형의 관계(18)(두 개의 추가 데이터세트를 실질적으로 정의함)에 의해 서로 연관되도록, 구성 및 구조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비용의 지불로 인한, 특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사용에 대한 승인/라이센스 요청을 중앙 유닛(8)에 전송하고,
- 요청을 수락한 후 소프트웨어는 중앙 유닛(8)에 요청을 보낸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와 요청이 있었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유니보컬 식별 코드(30) 간 관계(18)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 데이터세트(16)는 메시지의 풍선 자체 내부에, 임의의 텍스트(39)와 함께 또는 텍스트 사이에 삽입될 기호, 아이콘 또는 이미지(33)의 데이터 및/또는 참조(즉, 다른/추가 데이터베이스(47)의 주소 또는 위치)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세트(21) 및 메시지의 텍스트와 함께 또는 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이들 이미지(33)의 고유 식별 코드(ID)(2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들 이미지(33)는 emoj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개념, 아이디어, 객체, 감정 또는 기분을 양식화된 방식으로 표현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 데이터세트(16)는 일반적으로 아바타(35)로서 사용될 기호, 아이콘 또는 이미지의 데이터 및/또는 참조(즉,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 내 주소 또는 위치), 및 이의 고유 식별 코드(ID)(34)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세트(17)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 데이터세트(16)는 메시지의 텍스트를 둘러싸는 상이한 형태 또는 크기의 풍선(37)의 데이터(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 코드 포함) 및/또는 참조(즉,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 내 주소 또는 위치)를 포함하는 제3 데이터세트(19) 및 이의 고유 식별 코드(ID)(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세트(14)에 반드시 식별/등록되지는 않는 저자로서의 어느 사람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생성하고 이를 중앙 데이터베이스(12)의 요소 데이터세트(16)에 및/또는 추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47)에 적절하게 로딩하여, 사용자 데이터세트(14)에 식별/등록된 시스템(2)의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게 만들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2) 및/도는 추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47)로부터 요소 데이터세트(16) 내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 코드(30)에 의해 식별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그들의 장치 상에 로컬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고, 이로써, 이들은 메시징 시스템(2) 내에서 전송될 메시지에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더 잘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요소 데이터세트(16)는,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47)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47)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47)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 및 특히, 특정 포맷에 따라 적절하게 코딩된 디지털 이미지 또는 소리 또는 비디오를 정의하는 데이터의 세트를 정의/구성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편리하게는, 중앙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상기 중앙 데이터베이스(12)에 연결된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서, 초기 치수 및 상세도(D1) 및/또는 최대 도달 가능한 정도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정의하는 데이터(31)가 저장된다.
특히, 그래픽 요소의 경우, 따라서 중앙 데이터베이스(12)에서 또는 상기 중앙 데이터베이스(12)에 연결된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서, R1과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를 정의하는 데이터(31)가 저장된다. 따라서, 해상도 R1은 이미지의 높이 및 폭에서 인치당 픽셀 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해상도 R1는 이미지의 작성자 또는 다른 주체에 의해 로드된 원본/초기 이미지의 해상도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해상도 R1는 이미지의 모든 세부사항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고해상도 값이다. 적절하게는, 해상도 R1는 실질적으로 1080 x 1080 픽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DPI("dots for inches")가 72 이상이다. 특히, 적절하게는, 중앙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상기 중앙 데이터베이스(12)에 연결된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서, P1과 동일한 색 심도(즉, 각각의 픽셀이 취할 수 있는 색의 수를 나타내는 일반적으로 비트로 표현되는 파라미터)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를 정의하는 데이터(31)가 저장된다. 적절하게는, 색 심도(P1)는 이미지 자체의 저자 또는 다른 주체에 의해 로드된 원본/초기 이미지의 색 심도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색 심도(P1)는 이미지의 모든 색 세부사항을 알 수 있게 하는 높은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색 심도(P1)는 실질적으로 8비트 이상이다.
특히, 적절하게는, 중앙 데이터베이스(12)에서 또는 상기 중앙 데이터베이스(12)에 연결된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서, 길이에 대해 L1 와 동일한 픽셀 치수 및 높이에 대해 H1 와 동일한 픽셀 치수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를 정의하는 데이터가 정의된다. 적합하게는, 치수 L1 및 H1은 이미지 자체 또는 다른 주체에 의해 로드된 원본/초기 이미지의 치수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치수 L1 및 H1은 이미지의 모든 세부사항을 알 수 있게 하는 높은 값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치수 L1 및/또는 H1은 각각 실질적으로 1080픽셀 이상이다.
대안으로, 오디오 파일의 경우, 오디오 파일을 정의하는 데이터(31)는 중앙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 바람직하게는 "무손실" 형식으로, 즉 오디오 파일이 예를 들어 FLAC, APE 또는 ALE 형식으로 녹음된 경우에 실질저긍로 대응하는 세부사항의 레벨을 갖고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31)는 고 충실도, 즉, 적어도 1200kbit/분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해상도 R1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는 적어도 44.1kHz/16비트의 심도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비디오 파일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고 충실도의 높은 상세도을 갖는 비디오 파일을 정의하는 데이터는 중앙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 즉, 예를 들어 HD (1920x1080 픽셀) 또는 4K(3840 Х 2160 픽셀, 4096 Х 2304 픽셀 또는 4096 Х 3072 픽셀) 비디오에 대응하는 해상도 R1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레시브 모드로, 고 충실도 오디오를 갖고 저장된다.
전송자 및 수신자 장치(4, 6)는 두 장치가 통신하는 중앙 유닛(8)에 의해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텍스트 메시지(60)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 내부에 로드 및/또는 실행된다. 편리하게도, 휴대용 장치, 가령,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경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APP로도 알려진 네이티브 모바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적절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의 형태일 수 있다.
장치(4, 6)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로,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로, 사용자(저자)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로드하여, 메시징 시스템(2)의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해지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장치(4, 6)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장치 상에서 생성되었거나 로컬하게 이용 가능한 특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중앙 유닛(8)(도 21 참조)(31)로 전송하며, 중앙 유닛(8)은 이를 고유 식별 코드(30)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12) 내부에 저장한다.
편리하게도,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가 전송되고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 로딩될 때, 특히 높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이하, D1이라 함), 바람직하게는 획득 가능한 최대치 및/또는 생성될 때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표시하는 것에 대응하는 것을 가진다. 특히, 이미지의 경우, 해상도가 R1과 같으며 픽셀 치수 L1 및 H1, 또는 색 심도 P1를 가진다. 따라서,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이에 연결된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서, 따라서 R1과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가 로드 및 저장되고, 상기 이미지는 픽셀 치수 L1 및 H1 또는 색상 깊이 P1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편리하게도, 오디오 파일의 경우, 상세도 D는 예를 들어 비트레이트 및/또는 압축 코덱(형식)과 연관될 수 있다. 편리하게도, 비디오 파일의 경우, 상세도 D는 이미지의 상세도과 오디오 파일의 상세도의 조합과 연관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가 전송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60) 내에 사용/삽입되기 위해서, 고유 식별자(30)를 갖는 그래픽 요소(31)가 전송자 장치(4)의 로컬 메모리에서 사용 가능/존재해야 하며, 따라서 이 고유 식별 코드(30)는 메시지(60) 내부에 적절하게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 구조(20)는 후술되는 방법에 따라 중앙 유닛(8)으로 전송된다.
편리하게도, 메시징 시스템(2)은 중앙 유닛(8)에서 로드 및/또는 실행되고 사용자를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와 연관(특히, 이 사용자의 고유 식별 코드 ID를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0)와 연관)시키거나 그 반대로 연관시키는 관계(18)를 정의함으로써, 이 사용자는 전송될 메시지에서 관계(18)를 통해 자신과 연관된 그래픽 및/도는 오디오 요소(31)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유닛(8)에서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에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 이미 로드되어 있으며 D1과 동일한 높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로부터 시작해서, 동일한 콘텐츠 그러나 D2와 동일한 치수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D2는 D1보다 낮다.
적절하게는, D1과 동일한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로 로딩되자마자, D2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편리하게도,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첫 번째 구매가 이뤄질 때 또는 전송/수신 장치로의 첫 번째 다운로드가 이뤄질 때 또는 심지어 메시징 시스템(2) 내에서 사용될 필요가 있을 때 D2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D2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또한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의 데이터 세트 요소(16)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 로드 및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생성된 D2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D1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압축 버전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생성된 D2인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메시지(60)에서, 바람직하게는, 메시지 자체 내 단어들 사이에서, 사용 및 삽입될 적절한 크기 및/또는 상세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생성된 D2인 치수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D1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에 대해 동일한 형식 또는 상이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생성된 D2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D1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미리보기로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의 경우, 중앙 유닛(8)에서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 이미 로드되어 있으며, R1의 해상도를 갖고, 색 심도 P1을 가질 수 있는 파일부터 시작해서, 콘텐츠는 동일하지만 해상도가 R1보다 낮은 R2인, 그래픽 요소의 경우 P1보다 낮은 색 심도 P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파일(31Y)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편리하게도, 이미지의 경우, 중앙 유닛(8)에서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 내에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에 이미 로드되어 있으며 해상도 치수가 L1 및 H1인 이미지로부터 시작하여, 콘텐츠는 동일하지만 치수가 앞서 언급된 치수 L1 및 H1보다 낮은 L2 및 H2인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이미지(31Y)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생성된 해상도 R2를 갖는 이미지(31Y)는 해상도 R1을 갖는 시작 이미지의 "썸네일" 버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생성 후에 중앙 유닛(8)에 전송 및 저장되는 것에 대응한다.
편리하게도,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특정 사용자의 전송자 장치(4)의 디스플레이 상에 D2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표현되는 타이핑 키보드(77)가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앙 유닛(8)에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로 이미 로딩되어 있고, D1과 동일한 높은 크기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로부터 시작해서, 콘텐츠는 동일하지만 Dx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Dx는 D1보다 작고, 제1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중앙 유닛(8)에 대해 이뤄진 특정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상세도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특정 사용자의 전송자 장치(4)의 디스플레이 상에, 관계(18)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즉, 사용자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창작자로서 승인/활성화된 또는 구매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만 포함하는 타이핑 키보드(77)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데이터세트(14)에서 식별되고 이미 등록된 시스템(2)의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로드할 수 있도록(특히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에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이 경우, 중앙 유닛(8)에서 로딩되고 실행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식별 코드를 이렇게 로딩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1)와 연관시키는 새로운 관계(18)(바람직하게는, 앞서 정의된 제1 유형)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데이터세트(14)에서 식별되고 이미 등록된 시스템(2)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직접 또는 간접 구매에 의해, 무료로 또는 "요금" 납부에 의해, 승인/라이센스를 요청하고 획득하여, 전송될 메시지에서 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이 경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식별 코드와 이렇게 승인/라이센싱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1)를 연관시키는 관계(18)(바람직하게는 앞서 정의된 제2 유형)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통신 프로토콜, 바람직하게는 HTTPS에 기초하여 중앙 유닛(8)(서버)에 요청함으로써 텍스트 메시지(60)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요청은 POST 메소드에 의해 이뤄져서, 데이터 구조(20)를 검색 문자열(query-string)에 나타내지 않고 중앙 유닛(8)으로 전송할 수 있지만, 이 요청은 GET 메소드에 의해서도 이뤄져서 검색 문자열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구조(20)(도 3에서 "$ 데이터"로 정의됨)는 중앙 유닛(8)의 컴퓨터(10)에 로딩 및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의 입력으로서 전송될 필드의 모든 데이터/값/레코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조(20)는 다음 필드를 포함한다:
- 대화 식별 필드("id_conversation") 및/또는 수신자(24)(즉, "수신자 id"),
- 메시지(26)의 텍스트 필드(즉, "Text").
편리하게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조(20)는 전송자 식별 필드(22)(즉, "sender_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텍스트 필드(26)는 텍스트(39)(즉,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어 세트)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0) 모두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텍스트 필드(26) 내에 삽입된, 이 고유 식별 코드(30)가 라벨/프리-코딩된 캐릭터/기호(28) 상향 및/또는 하향에, 이들 사이에 적절하게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요소의 식별 코드 "123"이 프리-코딩된 캐릭터 "& #" 사이에 삽입되고 동일한 것이 제2 그래픽 요소의 식별 코드 "456"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구조(20)는 또한 풍선(32)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필드(즉, "ID_balloon") 및 아바타(34)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필드(즉, "ID_avata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구조는 또한 메시지(36)의 유형(즉, "MessageType")을 정의하고 그것이 단일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메시지인지 복수의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메시지인지를 가리키는 필드를 더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데이터 구조(20)의 필드(22, 24, 26, 32, 34 및 36)에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60)의 준비 및 전송 시점에서 전송자 장치(4)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설정 및 선택된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자체에 의해 자동으로 정의된 대응하는 값(38)을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신자 식별 필드(24) 및 메시지 텍스트 필드(26)는 사용자가 장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것을 기반으로 향상되는 반면, 전송자 식별 필드(22)는, 제공되는 경우, 장치 상의 디폴트 설정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직접 그리고 자동으로 향상될 수 있다.
말했듯이, 소프트웨어는 중앙 유닛(8)의 프로세서(10) 내부에서 로드되고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송자 장치(4)에 로드된 제1 소프트웨어 모듈 및 중앙 유닛(8)에 로드된 소프트웨어는 메시징 시스템(2)을 사용 중인 전송자 사용자(도 12 참조)를 인증하기 위한 아키텍처/절차를 구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메시징 시스템 내에서 전송 사용자의 신원의 올바름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전송 사용자의 이러한 인증 절차를 구현하기 위해 제1 소프트웨어는 다음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 전송자 장치(4)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징 시스템(2)에 로그인할 때 전송자 장치(4)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사용자 이름 및 암호)를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로 전송하는 작업,
-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가 수신된 데이터를 체크(즉, 메시징 시스템에 이미 등록된 사용자에게 대응하는지 여부를 체크 -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데이터세트(14)에 질의함으로써 체크 - )하고, 대응하는 사용자의 ID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 다른 것들 중에서 - 이 코드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하나의 컴퓨터 객체 X를 생성하는 작업,
- 유닛 소프트웨어(8)는 개인 키로 컴퓨터 객체 X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컴퓨터 객체 Y를 생성하는 작업,
-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는 암호화된 컴퓨터 객체 Y를 전송자 장치(4)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로 전송하고, 전송자 장치(4)는 이를 임시로 저장하는 작업.
- 적절하게는, 사용자가 - 전송자 장치(4)를 통해 - 텍스트 메시지(60)를 전송할 때 다음 작업이 수행된다:
-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 구조(20)와 암호화된 컴퓨터 객체 Y 모두를 중앙 유닛(8)로 전송하는 작업,
-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구조(20)를 처리하기 전에, 암호화된 컴퓨터 객체 Y를 해역하여 사용자 ID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객체 X를 추출하는 작업,
-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는 또한 이용 가능한 사용자 ID 식별 코드를 갖는 데이터 구조(20)를 처리하도록 진행하는 작업.
적절하게는, 이 경우 데이터 구조(20)는 전송자(22)의 식별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중앙 유닛(8)만이 상대 사용자의 ID 식별 코드를 알고, 소유하고, 추출하고, 검증함으로써, 전송자 장치(4)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전송 사용자의 코드를 찾고 변화 또는 클라이언트-측 변경의 가능한 위험과 함께 ("선명하게", 즉, 암호화되지 않은 방식으로) 중앙 유닛(8)으로 전송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데이터 구조(20)에 대해, 따라서 전송된 각각의 메시지에 대해, 중앙 유닛(8)은 특정 방식으로 - 그리고 어떠한 변경 가능성/위험도 없이 - 상기 메시지의 전송 사용자가 누구인지 도출할 수 있고, 따라서 이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할 수 있고 따라서 메시징 시스템(2) 내 등록됨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 내에서 전송될 메시지에서 올바르게 또는 사실상 승인/활성화되지 않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이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 보안 체크로서(도 11 참조), 중앙 유닛(8)에서 로딩 및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0)를 데이터 구조(20)(전송자 장치(4)로부터 상기 유닛(8)으로 전송됨)로부터 추출하는 것,
- 데이터 구조(20)를 전송했고 앞서 기재된 승인 단계 동안 발견된 ID 식별 코드를 갖는 사용자가 이전에 추출된 고유 식별 코드(30)와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전송될 메시지에 삽입/사용하도록 활성화/승인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 - 특히,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2)는 전송자 장치(4)를 이용해 데이터 구조(20)를 전송한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세트(14)로부터 도출된 데이터를 갖는) 사용자의 식별 코드와 구조(20)로부터 추출된 (그리고 요소 데이터세트(16)로부터 도출된 데이터를 갖는) 고유 식별 코드(30)를 연관시키는 임의의 관계(18)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도록 질의되며,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관계(18)가 존재하는지 여부(즉,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생성/로딩한 사람인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제1 질의가 이뤄질 수 있으며, 이 제1 질의의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에만, 제2 유형의 관계(18)가 존재하는지 여부(즉, 예를 들어 구매 후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사용하도록 활성화/인가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제2 질의가 이뤄짐 - ,
- 검증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데이터 교환에 적합한 형식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반환하기 위해 전송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요청의 처리를 계속하며, 반대로, 다른 한편으로는, 검증의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전송자 장치(4)에 의해 전송된 요청의 처리가 인터럽트/차단되고, 적절하게는, 대응하는 통지가 전송자 장치로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언급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는 전송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요청을 처리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교환에 적절한 형식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리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패킷(40)은 "json" 형식이지만 예를 들어 "yaml" 또는 "xml"과 같은 다른 형식일 수도 있다.
특히, 데이터 패킷(40)은 전송자 장치(4)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구조(20)의 필드의 값(38)이 적절하게 할당 및/또는 값이 소프트웨어로부터 자동으로 획득되는 일련의 필드(4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패킷(40)은 전송자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60)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정확하게 전송하고 수신자가 그의 장치에 메시지(60)를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는 다음 필드를 포함한다:
- 데이터 패킷(40)을 고유하게 식별하고 랜덤 또는 지정된 숫자 또는 영숫자 코드에 의해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구현되는 ID 42 필드(즉, "fieldIDmessage"),
-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되고 도 12에서 나타난 인증 절차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20)의 전송자 필드(22)의 값, 또는 바람직하게는 암호화된 컴퓨터 객체 Y로부터 시작하여 중앙 유닛(8)으로부터 획득된 대응하는 전송 사용자의 ID 식별 코드의 값이 할당되는 전송자 필드(44)(즉, "fieldMessageFrom"),
- 데이터 구조(20)의 수신자 필드(24)의 값이 할당된 수신자 필드(46)(즉, "fieldMessageTo"),
- 데이터 구조(20)의 메시지 텍스트 필드(26)의 값(38)과 바람직하게는 이 필드의 라벨(49)을 포함하며 메시지 본문과 관련된 필드(48)(즉, "fieldMessageBody"), 바람직하게는, 메시지 본문 필드(48)는 또한 아바타 식별 필드(34)의 라벨(49)과 대응하는 값(38) 및 데이터 구조(20)의 풍선 식별 필드(32) 모두를 포함함.
본질적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는 메시지 텍스트 필드(26)의 라벨(49)(즉, 메타데이터), 데이터 구조(20)의 아바타 식별자(34) 및 풍선 식별(32), 및 구조 자체 내에 이들 필드에 할당되는 대응하는 값(38)(즉,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은 또한 메시지(60)가 전송자 장치(6)에 의해 전송 및/또는 중앙 유닛(8)이 데이터 구조(20)를 수신한 대응하는 날짜 및/또는 시간 값이 할당되는 필드를 포함한다.
수신자 장치(6)에 로드되고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로부터 상기 유닛에 의해 준비되고 상기 장치로 향하는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6)로부터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중앙 유닛(8)으로부터의 다운로드, 또는 어떠한 경우에도 중앙 유닛(8)으로부터 수신자 장치(6)로의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전송은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는 HTTPS 프로토콜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를 이용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6)에 로드되고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지정 주파수에 따라 중앙 유닛(8)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여 - 따라서 "폴링(polling)"이라고 불리우는 클라이언트-서버 대화 모드 후에 -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즉, 메시지)의 가능한 존재/이용 가능성에 대해 중앙 유닛(8)에 질의하고, 그럴 경우, 중앙 유닛(8)으로부터 이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은 또한 예를 들어 장치(4, 6)와 중앙 유닛(8)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고, 중앙 유닛이"푸시 통지"라고 불리는 방법 후에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할 때 상기 장치에게 비동기식으로 통지하는 Google 클라우드 메시징 또는 Apple 푸시 알림 서비스와 같은 통지 플랫폼(50)을 포함한다. 특히,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는 또한 전송자 장치(4)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구조(20)에 기초하여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처리 및 준비한 후 통지 플랫폼(50)에 통지(52)를 전송한 후 이 경고를 대응하는 수신자 장치(6)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적절하게는, 중앙 유닛(8)이 통지 플랫폼(50)으로 전송하는 통지(52)는 통지를 전송하는 중앙 유닛(8)의 식별 코드, 통지가 전송되어야 하는 수신자 장치(6)의 식별 코드 및 이 통지(52)의 내용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수신자 장치로 전송되는 이 통지의 내용은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필드(42)를 적어도 포함하므로, 이 통지(52)를 수신한 수신자 장치(6)가 이 코드에 의해 식별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중앙 유닛(8)에 질의하도록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중앙 유닛에 의해 전송된 통지 플랫폼(50)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수신자 장치(6)로 전송된 통지(52)는 전체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포함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다시 말해, 중앙 유닛(8)은 플랫폼(50)을 통해 수신자 장치(6)에 즉시 전체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전송하고, 따라서 중앙 유닛(8)을 직접 조사할 필요 없이 디바이스 자체로부터 로컬로 다운로드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에 로드된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과의 양방향 연결이 설정 및 유지되는 제1 활성 상태 및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가 중앙 유닛(8)에 연결되지 않는 제2 휴지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그것이 상기 제1 활성 상태에 있을 때 수신 장치(6)가 비주기적으로, 통지(52)를 수신할 때에만, 통지 플랫폼(50)을 통해 그리고 "푸시 통지"라고 불리는 모드에 따라(즉, "폴링" 모드에 따라) 중앙 유닛(8)에 질문한다. 적절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활성 상태에 있는 특정 수신자 장치(6)로 향하는 새로운 데이터가 중앙 유닛(8)에서 이용 가능할 때, 소프트웨어는 상기 수신자 장치(6)로 중앙 유닛(8)에게 질문하기 위해 통지(52)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편리하게도,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휴지 상태에 있는 특정 수신자 장치(6)로 향하는 새로운 데이터가 중앙 유닛(8)에서 이용 가능할 때, 소프트웨어는 또한 - 바람직하게는 통지 플랫폼(50)을 통해 그리고 "푸시 통지"라고 불리우는 모드에 따라 - 수신자 장치(6)로 통지(52)를 전송하여, 이를 제1 활성 상태가 되도록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그렇게 함에 있어서, 중앙 유닛(8)은 다운로드할 새로운 데이터가 있을 때만 질문을 받고, 따라서 주기적으로 그리고 불필요하게 질문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무엇보다도 데이터 전송 대역을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를 이용해 메시징 시스템(2)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식별 코드와 (관계 18을 통해) 연관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식별 코드(30)를 다운로드 및 저장하는 제1 로컬 메모리(90),
- 제1 메모리에 다운로드 및 저장된 식별 코드(30)에 대응하는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다운로드 및 저장하는 제2 로컬 메모리(91).
바람직하게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치수 및/또는 상세도(D2)를 갖는 제2 로컬 메모리(91)에 다운로드 및 저장된다. 특히, 축소된 이미지(썸네일)(31y)는 해상도 R2로 제2 로컬 메모리(91)에 다운로드 및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로컬 메모리는 모두 대용량 메모리 또는 1차 메모리 또는 RAM 메모리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로컬 메모리(91)는 캐시 유형이다.
특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에 로드되고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 및 중앙 유닛(8)에 로드된 소프트웨어는 또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전송자 장치(4)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2)에 로그인할 때 자신의 장치(4 및/또는 6)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데이터(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중앙 유닛(8)으로 전송하며,
-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가 이렇게 수신된 로그-인 데이터를 검증하고(즉,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데이터세트(14)를 질의함으로써, 메시징 시스템에 이미 등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대방 사용자의 ID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코드를 이용해, 관계(18)를 통해 이 사용자의 ID 식별 코드와 연관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0')를 식별하고,
- 전송자 장치(4)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장치(4 및/또는 6)의 제1 로컬 메모리(90)로 이렇게 식별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식별 코드(30')를 다운로드하며,
- 전송자 장치(4)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이렇게 식별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장치(4 및/또는 6)의 제2 로컬 메모리(91)에 다운로드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동작은 일단 제1 소프트웨어 모듈(APP)이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에 다운로드되고 설치되면, 메시징 시스템(2)의 최초 사용 시에 수행된다. 편리하게도,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의 예비 동기화가 수행된다.
편리하게도,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장치 자체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핑/삽입 키보드(77)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장치 자체의 제1 메모리에 저장/존재하는 고유 식별 코드(30')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만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적절하게는, 전송자 장치(4)에서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다음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 전송자 장치(4)의 제1 로컬 메모리(90)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 코드(30')의 목록을 복원하는 동작,
- 이들 코드(30')를 사용하여, 전송자 장치(4)의 제2 로컬 메모리(91)로부터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복원하는 동작,
- 전송자 장치(4)의 타이핑 키보드(77)에서 이렇게 복원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바람직하게는, 타이핑 키보드(77)에서, 치수 및/또는 상세도(D2)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디스플레이되고, 특히 타이핑 키보드(77)에서 축소된 이미지가 해상도(R2)로 디스플레이된다(썸네일)(31Y).
수신 장치(6)에 로드 및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중앙 유닛(8)로부터 다운로드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처리하여 그 패키지의 필드(42, 44, 46 및 48)의 콘텐츠를 추출/디코딩할 수 있다.
특히, 이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텍스트 필드(26), 풍선 식별(32) 및/또는 아바타 식별(34)의 값(38)을 얻기 위해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메시지 본문 필드(48) 내용의 구문 분석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다음의 동작을 위해 구성된다:
- 본문 필드 메시지(48) 내부에서 이의 라벨(49)로 식별되면,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메시지 본문 필드(48) 및/또는 텍스트 필드(26)의 값(38) 내에서 직접, 프리코딩된 라벨/캐릭터/기호(28)를 검색하여, 그래픽 요소의 고유 코드(30)를 식별하는 동작,
- 추출된 고유 코드(30)에 의해 식별된 그래픽 요소(31)가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동작,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수신자 장치(6)의 제1 로컬 메모리(90)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 코드(30')를 검색하고,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 유닛(8)으로 요청을 전송하여,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로 -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6)의 제2 로컬 메모리(91)에서 -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에서 식별되지만 제1 로컬 메모리(90)에 존재하지 않는 그래픽 요소(31")를 다운로드하는 동작,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6)의 제2 로컬 메모리에서 -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6)의 제2 로컬 메모리(91)에서 -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다운로드되고 저장된다. 특히, 이미지(31)는 해상도 R2를 갖고 축소된(썸네일) 제2 로컬 메모리(91Y'')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타이핑 키보드(77)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D2)를 갖고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타이핑 키보드(77)에서 해상도 R2를 갖는 축소된 이미지(썸네일)(31Y)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편리하게도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는 특정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수신 시 다운로드되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D2)를 갖는 수신자 장치(6Y'')의 제2 로컬 메모리(91)에 저장되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항상 올바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더 구체적으로, 임의의 장치(4 및/또는 6)의 제2 로컬 메모리(91)에 다음이 기억/보존된다:
- 고유 코드(30')가 제1 로컬 메모리(90)에 저장/존재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제1 세트, 특히, 이들은 중앙 데이터베이스(12) 내에서 이 사용자가 메시징 시스템으로 생성/로드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또는 이들을 사용하도록 승인되었기 때문에 관계(18)를 통해 특정 사용자와 연관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이다.
- 제1 로컬 메모리(90)에 유니보컬 코드가 대신 저장/존재하는 제2 세트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 특히, 이들은 특정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수신할 때 중앙 유닛(8)로부터 다운로드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이며 이는 수신된 파일에 포함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올바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편리하게도, 제1 세트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및 제2 세트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D2)를 가진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세트 모두는 해상도 R2를 갖는 축소된 이미지(썸네일)(31Y)를 포함한다.
편리하게도, 언급된 바와 같이, 전송자(4) 및/또는 수신자(6) 장치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장치 자체(77)의 디스플레이 상에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핑/삽입 키보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장치의 제2 로컬 메모리(91)에 존재하는 제1 세트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만을 액세스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한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이 생성한 또는 사용을 승인 받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만 전송 메시지에서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자신이 수신한 메시지에 존재하는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항상 그리고 올바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징 시스템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편리하게도, 더 상세히, 장치 자체의 제1 로컬 메모리(90)에 존재하지 않는 식별 코드(30)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수신자 장치(6)에 의해 중앙 유닛(8)으로 전송되는 요청이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유니보컬 코드(30)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사용되어, 데이터베이스(12)에게 질의하고 요소 데이터세트(16)로부터 이 코드(30)와 고유하게 식별된 그래픽 요소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렇게 식별된 그래픽 요소의 데이터, 그리고 구체적으로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를 갖고 식별된 식별 코드(30)와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중앙 유닛(8)으로부터 요청 장치로 전송된다.
편리하게도,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요청 장치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에 요청을 전송하고 따라서 요청 장치의 로컬 메모리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제2 로컬 메모리(91)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메시지 본문 필드(48)에 존재하는 유니보컬 코드(30)에 의해 식별된 치수 및/또는 상세도(D2)(그리고 구체적으로 해상도 R2를 갖는 이미지)를 갖는 그래픽 요소(31Y'')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 패널(8)로의 요청이 HTTPS 프로토콜의 POST 법을 사용하여 전송되거나 WebSocket 기술에서 MQTT 프로토콜의 GraphQL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래픽 요소(31Y'')는 메시지(60)의 풍선(프레임)(37) 내부에 임의의 텍스트(39)와 함께 또는 텍스트(39) 사이에 삽입될 해상도 R2를 갖는 이미지(33)일 수 있으며, 필수가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emoji®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개념, 아이디어, 객체, 기분 또는 감정을 양식화된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편리하게도, 수신기의 장치(6)에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수신된 메시지(60) 풍선(37) 내부에, 홀로(텍스트가 없는 경우) 또는 메시지 자체의 텍스트(39)와 함께 또는 텍스트 사이에 크기 및/또는 상세도(D2)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된 메시지(60)의 풍선(37) 내부에 크기 및/또는 상세도(D2)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메시지 자체의 텍스트(39)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적절하게는, 수신자의 장치(6)에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교환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스크린(80)을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하나 또는 더 많은 상기 메시지의 풍선(37) 내부에 크기 및/또는 상세도 D2의 그래픽 요소(31Y'')가 디스플레이된다.
적절하게는, 수신자의 장치(6)에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교환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80)이 수신자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를 점유하도록 구성된 제1 컴퓨터 객체(VIEW)에 의해 정의되도록 구성된다.
편리하게도, 수신자의 장치(6)에 로드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교환(60)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화면(80) 내에서, 메시지(60)의 풍선(37) 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요소(31Y'')가 (손가락 및/또는 장치, 가령, 스타일러스에 의한) 터치(82)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포인터(마우스)에 의한 짧은 터치("탭")에 의해, 또는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또는 동작)를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영역(81)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래픽 요소(31Y'')에 의해 점유되는 디스플레이 영역(81)은 예를 들어 1초의 지정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거나 연장될 수 있거나 동적 터치(가령, 드래그, 핀치, 회전, 스와이프, 핀치-핀치 해제)일 수 있는 사용자 터치(82)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적절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가 메시지 내의 그래픽 요소의 존재를 적절하게 신호하는 프리코딩된 라벨/캐릭터/심볼(28)을 포함할 때, 제1 VIEW 컴퓨터 객체로부터 정의된 제1 스크린(80) 내에 제2 VIEW 컴퓨터 객체를 생성한다. 특히, 이 제2 컴퓨터 객체(VIEW)는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의 특정 위치 내에, 디스플레이될 그래픽 요소(31Y'')의 크기에 대응, 특히, 상기 요소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D2)에 대응하거나 약간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81)을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컴퓨터 객체 VIEW는 해상도 R2의 그래픽 요소(31Y'')를 그 내부에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2 컴퓨터 객체가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81) 내에서 시각화/구현된다.
적절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상도 R2의 그래픽 요소(31Y'')가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81)의 터치(82) 또는 클릭 또는 그 밖의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조작)가 대응하는 동작(84)을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동작(84)은 해상도 R2의 상기 그래픽 요소(31Y'')와 연관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요소의 재생을 활성화하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동작(84)은 장치 자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2 스크린(85)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동작(84)은 장치 자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2 (추가) 스크린(85)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그래픽 요소(31Y'')는 요소(31Y'')의 콘텐츠에 대응하고 R2보다 큰 해상도 R3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2 (추가) 스크린(85)에서, 그래픽 요소(31Y''')는 해상도 R2보다 크고 적절하게는 해상도 R1 이하일 수 있는 해상도 R3으로 구현/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해상도 R3은 해상도 R2보다 크지만 해상도 R1보다 약간 낮다.
적절하게는, 수신자의 장치(6)에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그래픽 요소(31Y''')가 R2보다 큰 해상도 R3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제2 (추가) 스크린(85)이 수신자 장치(6)의 전체 디스플레이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성되고 R2보다 더 높은 해상도로 상기 그래픽 요소(31Y''')를 포함하는 제3 컴퓨터 객체 VIEW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편리하게도, 이 제2 (추가) 스크린(85)에서 그래픽 요소(31Y''')는 최대로 상기 해상도 R1에 상응하고, 바람직하게는 최대로 이미지의 자체의 저자 또는 다른 주체에 의해 원본/초기 이미지가 메시징 시스템(2)에 로딩된 때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수평 또는 수직 치수를 갖는 해상도 R3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2 (추가) 스크린(85)에서, 그래픽 요소(31Y''')는 그래픽 요소(31Y'')의 해상도 R2에 대해 확대된 해상도 R3로 구현/디스플레이되고 또한 상기 그래픽 요소와 관련된 다른 정보, 가령, 저자의 데이터, 이 요소의 구매 횟수 등과 함께 구현/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2 (추가) 스크린(85)에서, 그래픽 요소(31Y''')에 추가로, 지시자, 가령, 하이퍼텍스트 링크(79)가 또한 구현되며, 터치 또는 클릭에 의한 이의 활성화는 상기 그래픽 요소를 구매 및/또는 다운로딩할 수 있는 전용 섹션을 참조한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장치,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6) 상에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중앙 유닛(8)으로부터, 상기 장치(6)에 의해 구현되기에 적절한 상세 정보 Dx를 갖는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며, 이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생성되면, 상기 장치에 로컬하게 다운로드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수신자 장치(6)에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으로부터 상기 장치(6)의 디스플레이에 적절한 해상도 Rx를 갖는 그래픽 요소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이 그래픽 요소가 생성되면, 상기 장치에 로컬하게 다운로드하여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를 나타낼 수 있다.
편리하게도, 이를 위해,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 의해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 및 중앙 유닛(8)에 로딩 및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 절차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중앙 유닛으로, 제1 소프트에어 모듈이 실행되는 상기 장치(6)의 디스플레이의 크기/해상도의 데이터(87)를 또한 포함하는 요청(질의)(86)을 전송함,
- 중앙 유닛 소프트웨어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로부터 시작하여,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치수/해상도에 대한 데이터(87)에 기초하여, D1보다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해상도에 특히 적절한 크기 및/또는 상세도 Dx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치수 및/또는 상세도 Dx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는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 의해 로컬하게 다운로드되어 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
적합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82) 또는 클릭에 의해 선택 가능한 영역(81)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스크린(80) 내에서 구현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를 생성하도록 이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치수 및/또는 상세도 Dx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는 제1 스크린(80)에서 제공되는 선택형 영역(81) 내에서 디스플레이/구현되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바람직하게는 해상도 R2)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x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는 제2 컴퓨터 객체 VIEW에 로딩되고, 메시지(60)의 텍스트(39)와 맞춰 풍선(37) 내부에 삽입된다.
적절하게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스크린(80)의 선택형 영역(82)을 터치 또는 클릭한 후 디스플레이 상에서 열리는 제2 (추가) 스크린(85) 내부에서 구현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를 생성하기 위해 이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치수 및/또는 상세도 Dx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는 제2 (추가) 스크린(85) 내에 디스플레이/구현되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3 (바람직하게는, 해상도 R3)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에 대응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 경우에, 치수 및/또는 상세도 Dx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는 제2 (추가) 스크린(85)에서 구현(표현)된다.
따라서,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요청(86)을 전송한 장치(6)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와 관련된 데이터(87)에 기초하여 아바타 이미지(35)를 생성 및/또는 풍선 크기(37)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적절하게는, 아바타 이미지(35) 및/또는 이렇게 생성된 풍선(37)은 구현될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고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스크린(80) 내에서 대응하여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객체 "VIEW"는 그 내부의 특정 레이아웃을 지원하고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 요소를 정의하는 컨테이너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으로부터 다운로딩된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의 메시지 본문 필드(48)에 담긴 아바타 식별자(34)에 대응하는 아바트 이미지(35) 및/또는 풍선 ID(32)에 대응하는 풍선 유형(37)가 수신자 장치의 로컬 메모리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중앙 유닛(8)으로부터 이들을 요청 및 다운로딩하도록 구성된다.
편리하게도, 아바타 식별 코드(34) 및/또는 풍선 식별 코드(32)는,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조(20)의 특정 필드에 의해 관리되거나, 프리코딩된 라벨/캐릭터/기호(28) 사이에 적절하게 위치된 데이터 구조의 텍스트 필드(26)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편리하게도, 풍선 내부의 텍스트(39)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이미지(33)의 값 외에, 데이터 구조(20)의 텍스트 필드(26) 내에서 아바타 ID(34) 및 풍선 ID(32)의 값은 "& #", "&%" 및 "& ^"와 같은 서로 다른 사전 코딩된 레이블/문자/심볼(28)을 사용할 수 있다.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의 필드의 내용에 기초하여 그리고 풍선 내부에 텍스트와 함께 삽입될 이미지(33),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이미 존재하거나 중앙 유닛(8)으로 적절하게 문의함으로써 장치에 의해 다운로딩된 아바타 이미지(35) 및/또는 풍선 이미지(37)를 이용해,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수신자 장치(6)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62) 상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 가령, 풍선에 삽입될 이미지(33), 아바타 이미지(35) 및/또는 풍선 이미지(37)와 함께 메시지(60)를 적절하게 구성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자 장치(6)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이미지(33)는 전송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풍선(37) 내부에 메시지(60)의 텍스트(39)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수신자 장치(6)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62)에서, 풍선(37)은 그 대화에서 전송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아바타(35)의 이미지에 가깝게 위치되고 및/또는 그래픽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앞서 기재된 시스템(2)은 메시지(60)의 텍스트(39)와 함께 삽입될 이미지(33)만의 또는 아바타 이미지(35) 또는 풍선(37)만의 관리/개인화/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된다.
또한 메시징 시스템(2)에 의해 관리되는 메시지(60)는 텍스트(39)만 또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만 (풍선, 빈 풍선 또는 풍선 없는 아바타 이미지로 삽입될 수 있는 이미지의 형태로) 나타내거나, 바람직하게는, 텍스트(39) 및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적절한 조합을 표시할 수 있다.
앞서 기재된 메시징 시스템의 동작은 아래에 나열되고 설명되는 일련의 단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징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장치(4 및/또는 6) 상에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우선 다운로드하고 설치해야 한다.
적절하게는, 사용자는 장치 상에서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고, 로그인하여 장치의 동기화 단계를 활성화하고 따라서 상기 코드(30')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로그인한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와 연관된 고유 식별 코드(30')를 (바람직하게는, 제1 로컬 메모리(90) 및 제2 로컬 메모리(91)에) 로컬하게 다운로드해야 한다.
편리하게는, 메시징 시스템(2)에 로그인함으로써, 제어 및 인증 절차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되고 바람직하게는 도 12의 흐름도에 표시된다.
사전에, 사용자는 전송자 장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메시지(60)의 텍스트(39)를 형성, 아바타(35) 및/또는 메시지에 사용될 풍선(37)(도 8 참조)를 선택(도 5 참조)하는 것 외에, 이 메시지에 포함될 이미지/기호(33)를 선택할 수 있다(도 7 참조).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고 입력된 것에 기초하여, 전송자 장치(4)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데이터 구조(20)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값(38)을 필드(22, 24, 26, 32, 34, 36)에 적절하게 할당하고,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요청을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에 전송한다.
적절하게는, 소프트웨어는 전송자 장치(4)에 의해 전송된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 교환에 적절한 포맷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20)을 준비한다.
또한, 수신자 식별 코드(24)에 기초하여, 중앙 유닛(8)은 대응하는 통지(52)를 준비하고 수신 장치(6)가 속하는 통지 플랫폼(50)으로 전송한다.
편리하게도, 복수의 수신자의 경우, 각각의 수신자 식별 코드(24)에 대해, 중앙 유닛(8)은 대응하는 통지(52)를 각각의 수신자 장치가 속한 통지 플랫폼(50)으로 전송한다(6).
그런 다음 통지(52)의 내용은 통지 플랫폼(50)에서 수신자 장치(6)로 전송되고, 수신자 장치(6)는 그 통지의 내용을 사용하여 중앙 유닛(8)에 직접 질문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준비되고 의도된 대응하는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를 다운로드한다.
통지 플랫폼(50)에 의해 전송된 통지(52)가 없는 경우 또는 이에 추가하여,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을 주기적으로 액세스하여 의도된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즉, 메시지)의 가능한 존재/가용성에 대해 질의할 수 있고, 존재할 경우 이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을 중앙 유닛(8)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수신자 장치(6)가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다운로드하면, 상기 장치에서 로드 및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고 이 패킷(40)의 필드 내용을 추출/디코딩하도록 분해한다. 특히, 메시지 텍스트 필드(26) 및 풍선 식별(32) 및/또는 아바타 식별(34) 필드의 값은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메시지 본문 필드(48)로부터 추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텍스트 필드(26) 내에서 프리코딩된 라벨/캐릭터/기호(28)를 검색함으로써,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코드(30)가 식별되고, 이것이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으로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중앙 유닛(8)은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12)에게 질의한 후,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추출하고 수신자 장치(6)로 전송하며, 그런 다음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는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저장되어 추가 가능한 후속 사용의 경우 로컬하게 용이하게 사용 가능해 질 수 있다.
편리하게도,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고유 코드(30)가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으로 어떠한 요청도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여, 아바타 식별자(32) 및/또는 풍선 식별자(34)는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의 필드 메시지 본문(48)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및/또는 데이터 구조(20)의 텍스트 필드(26) 내에서 적절한 프리코딩된 라벨/캐릭터/기호(28)를 검색함으로써 추출되고,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소프트웨어 모듈이 중앙 유닛(8)으로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중앙 유닛은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12)에게 질의한 후, 대응하는 아바타 이미지(35) 및/또는 풍선(37)을 추출하고 수신자 장치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의 필드의 내용에 기초하여 그리고 풍선 내부에 텍스트와 함께 삽입될 이미지(33), 수신자 장치(6)의 로컬 메모리에 이미 존재하거나 중앙 유닛(8)으로 적절하게 문의함으로써 장치에 의해 다운로딩된 아바타 이미지(35) 및/또는 풍선 이미지(37)를 이용해,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수신자 장치(6)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62) 상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 가령, 풍선에 삽입될 이미지(33), 아바타 이미지(35) 및/또는 풍선 이미지(37)와 함께 메시지(60)를 적절하게 구성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비고: 도 9).
바람직하게는, 메시징 시스템(2)은 즉석 및 비동기식 유형이며, 적절하게는, 휴대용 장치, 가령, 스마트폰 및 태블릿 간에, 그리고 적절한 포털/웹사이트를 액세스하는 컴퓨터를 통해 사용될 수 있다(도 10 참조).
적절하게는, 메시징 시스템(2)은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및/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징 시스템(2)은 즉석 유형이고 인터넷 기반이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징 시스템(2)은 GSM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셀룰러 네트워크를 필요로/사용하지 않는 유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자 장치(4) 및 수신자 장치(6)는 인터넷 연결을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자 장치(4) 및 수신자 장치(6)의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인터넷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적절하게 다운로드되는 전용 소프트웨어이다.
편리하게도, 메시징 시스템(2)은 동일한 텍스트 메시지(60)를 전송자 장치로부터 동일한 채팅을 수신하는 복수의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3개 이상의 전송자 장치 및/또는 3개 이상의 수신자 장치와 채팅을 생성할 수 있는 유형이다.
적절하게는, 메시징 시스템(2)은 캐릭터 제한(예를 들어, SMS를 위해 제공되는 메시지당 160개의 캐릭터 제한) 또는 크기(예를 들어, MMS의 경우 300 또는 600kB의 제한) 없이 텍스트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4 또는 6)를 조작함으로써, 특정 그래픽 요소의 저자는 해상도 R을 갖는 상기 그래픽 요소(31)를 중앙 유닛(81)으로 로드하고, 적절하게는 상기 중앙 유닛(8) 내부에 그러한 그래픽 요소가 해상도 R1로 저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유닛(8)에서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31Y)가 생성되고 콘텐츠는 동일하고 해상도는 R1보다 낮은 R2로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징 시스템의 사용자가 그래픽 요소(31)를 구매 또는 무료로 로컬하게 다운로드하도록 요청할 때, 중앙 유닛(8)은 로컬 다운로드에 대한 요청(86)을 만든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와 관련된 데이터(87)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형성된 (크기 및/또는 상세도 Dx에 대응하는) 해상도 Rx - 바람직하게는 해상도 R2 - 의 그래픽 요소 31X를 생성한다.
편리하게도, 해상도 Rx - 바람직하게는 해상도 R2 - 의 그래픽 요소가 전송 사용자의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구현되는 타이핑 키보드(77) 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선택되고 메시지에 삽입되면,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 스크린(80) 내에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 내부에서, 해상도 R2의 그래픽 요소(31Y) 및/또는 해상도 Rx의 그래픽 요소(31X)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지의 임의의 텍스트(39)와 함께 메시지(60) 내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적절하게는, 전송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1 장치(4)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구현되는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 스크린(80)을 조작하는 전송 사용자가 메시지(60) 내부에서 해상도 R2의 그래픽 요소(31Y)가 차지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81)을 (바람직하게는, "탭" 터치(82)에 의해) 클릭 또는 터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 때, 전송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1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항상 구현되는 제2 (추가) 스크린(85)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를 야기하고,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클릭/터치되는 동일한 그래픽 요소(31Y)가 해상도 R3를 갖고 디스플레이된다.
편리하게도, 그래픽 해상도 요소 R3가 전송 사용자의 제1 장치(4)에 이미 로컬하게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원격 유닛(8)으로, 제1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치수에 적절한(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확대된 해상도를 갖는 그래픽 요소(31Y)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1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치수 및/또는 해상도와 관련된 데이터(87)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한다. 따라서, 적절하게는, 상기 제1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에 관한 데이터(87)에 기초하여, 원격 유닛(8)은 그래픽 해상도 요소 R3를 생성하고, 그런 다음 제1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이를 구현하고 제1 장치(4)의 디스플레이에 구현되는 제2 (추가) 스크린(85)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자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2 장치(6)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구현되는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 스크린(80)을 조작하는 수신자 사용자가 메시지(60) 내부에서 해상도 R2의 그래픽 요소(31Y'')가 차지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81)을 (바람직하게는, "탭" 터치(82)에 의해) 클릭 또는 터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 때, 수신자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2 장치(6)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항상 구현되는 제2 (추가) 스크린(85)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를 야기하고,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80)에서 클릭/터치되는 동일한 그래픽 요소가 해상도 R3를 갖고 디스플레이된다.
편리하게도, 해상도 R3의 그래픽 요소(31Y''')가 수신자 사용자의 제2 장치에 아직 로컬하게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장치(6)에서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제2 장치(6)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적절한(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확대된 해상도를 갖는 (제2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와 관련된 데이터(87)를 더 포함하는) 요청(86)을 원격 유닛(8)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편리하게도, 상기 제2 장치(6)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에 관한 데이터(87)에 기초하여, 원격 유닛(8)은 상기 제2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해상도 R3의 그래픽 요소(31Y''')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이를 구현하고 제2 장치(6)의 디스플레이에 구현된 상기 제2 (추가) 스크린(85)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은 특히 그래픽 요소(이미지)에 대한 것이지만,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이 오디오 또는 비디오 요소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된 메시징 시스템(2)에 등록된 사용자의 장치와 인터페이싱하고 통신하며 메시징 시스템의 사용자가 구매 후(즉, 요금의 교환 시, 자람직하게는 가상 화폐를 통한 요금의 교환 시) 자신의 장치로 메시징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로컬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마켓으로서 역할하는 중앙 유닛(8)에서 구현된다.
또한, IT 플랫폼은 메시징 시스템(2)에 "저자"(또는 "아티스트")로 등록된 사용자가 플랫폼 자체 내에서 본질적으로 쇼케이스로서 역할 하는 페이지를 만들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생성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표현되는, 바람직하게는 컬렉션으로 모아진다. 바람직하게는, 플랫폼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는 판매 캠페인을 정의하기 위해 지정 기한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메시징 시스템(2)의 사용자는 다양한 "저자" 사용자의 쇼케이스 페이지를 보기 위해 그들의 장치를 통해 IT 플랫폼을 액세스한다. 하나 이상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선택되면, "사용자" 사용자는 유료 및/또는 무료로 이러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데이터세트(14)에서 식별된 구매자 사용자 "사용자"를 그에 의해 선택되고 획득된 데이터세트(16)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와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 레벨(12)에서 데이터베이스(18)가 생성된다. 적절하게는, "사용자" 사용자는 작업 중인 장치 및/또는 그와 관련된 다른 장치에 로컬로 다운로드한다.
바람직하게는, 앞서 언급된 IT 플랫폼은 메시징 시스템의 "저자" 사용자와 "사용자" 사용자가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섹션, 예를 들어 블로그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전술한 IT 플랫폼은 메시징 시스템의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생성하도록 한 명 이상의 "저자" 사용자에게 위임하는 섹션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플랫폼으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고 획득 가능한 그래픽 요소는 풍선 내부에 삽입될 이미지(emoji® 유형 일러스트레이션에 대응) 및/또는 풍선 자체 및/또는 아바타로서 사용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래픽 요소는 또한 아바타 이미지 또는 풍선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이미지에 액세서리로 추가되는 그래픽 표현(예를 들어, 코케이드, 스카프, 모자 등)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IT 플랫폼은 플랫폼으로부터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구매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아바타 이미지 액세서리로서 추가될 그래픽 표현을 구매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불한 요금의 제1 부분을 저자 또는 플랫폼 내에서 이들 그래픽 요소를 이용 가능하게 만드는 주체로 전송하고, 또 다른 부분이 전체 IT 플랫폼의 관리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적절하게는, IT 플랫폼은 특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구매에 대해 사용자가 지불한 요금 중 플랫폼 자체의 운영자를 위한 지분을 모아서 단일 개체, 바람직하게는 연대, 사회 및/또는 인도주의적 목적을 갖는 개체로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편리하게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스크린(85)에서, 해상도 R3의 그래픽 요소(31Y''')에 추가로, 이와 연관된 임의의 키워드 및/또는 동일한 모음, 상기 그래픽 요소(31)가 속하는 그룹 91(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상응하는 그래픽 요소에 의해 식별됨)의 다른 그래픽 요소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가) 스크린(85) 내에서, 해상도 R3의 그래픽 요소(31Y''')에 추가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31Y''')와 관련된 추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자체와 관련된 인터넷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의 추가 페이지, 가령, 콘텐츠의 창작자가 자신의 창작 및/또는 개인 정보를 삽입했을 수 있는 페이지에 대한 링크, 또는 콘텐츠 자체가 일부인 모음과 유사한 다른 모음을 포함하는 페이지로의 링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안으로 및/또는 추가로, 상기 제2 (추가) 스크린(85)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요소(31Y''')의 콘텐츠와 관련 및/또는 연결된 제품에 대한 프로모션 및/또는 할인 및/또는 상업적 제안을 제안하는 페이지로의 링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그래픽 요소(31)와 추가 콘텐츠 또는 추가 인터넷 페이지로의 링크의 연관, 및 각각의 그래픽 요소(31)와 연관된 데이터의 수정이 특정 스크린에 의해 플랫폼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가 선택되면, 선택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31)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팝업 윈도(92)가 열린다.
바람직하게는, IT 플랫폼 내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31)는 각각의 그래픽 콘텐츠 및/또는 오디오(31)에 할당될 수 있는 특정 키워드("태그")를 사용하여 다양한 그룹("모음")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제1 포맷이고, D2, D3 및/또는 DX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Y'', 31Y''', 31X)가 제1 포맷과 상이한 제2 포맷인 경우 상기의 사항이 적용됨이 이해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 및/또는 47)에서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을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가 제1 포맷이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에 로딩 및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상기 제1 포맷이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및/또는 47) 내부에 로딩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로부터 시작하여,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를 가지며 제1 포맷과 상이한 제2 포맷인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Y'', 31Y''', 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상당히 유리하다:
- 사용자가 맞춤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메시징 시스템으로 성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
- 메시지를 전송할 때 수신자의 장치에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의 성공적인 전송 및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함,
-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고유하게 식별되는 단일 중앙 유닛 및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장치 상에 로컬하게 존재하지 않을 때 중앙 유닛(8)으로부터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신속하게 다운로드하는 제1 모듈 소프트웨어의 구현을 이용해, 이들 요소가 메시지 내에서 항상 올바르고 완전히 구현/디스플레이됨이 보장되고 전송자와 수신자 간에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됨이 보장됨,
- 다운로드되면, 요소 자체가 장치의 로컬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특히, 이 다운로드가 항상 또는 연속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때문에, 특정 장치 상에 로컬하게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생성 및 다운로드하는 것이 최초 한 번만 발생하며, 이는 메시지 데이터의 로딩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장치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을 절약/최적화하고, 중앙 유닛으로의 호출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계산 처리 및 차지 대역을 감소시킬 수 있음,
- 각각의 사용자는 특히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덕분에 자신과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따라서 자신이 예를 들어 저자 및/또는 구매자로서 승인/활성화된 상태인 요소)만 전송될 메시지 준비에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올바르게, 완전히 그리고 모호하지 않게 수신된 메시지에 제공된 임의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사용자가 이 장치를 메시징 시스템에 등록하거나 이 장치 내에서 이 모듈을 다운로드/설정/처음 사용할 때만 각각의 장치에서 로컬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다운로드하도록 보장하므로 특정 사용자와 관련된 각 장치의 동기화 특히 빠르고 간단함,
- 사용자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를 생성하여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함,
- 사용자는 각각의 메시지에 대해 상이한 아바타 이미지 및/또는 풍선을 사용할 수 있음,
- 사용자가 풍선 자체 내부에 텍스트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개인화/사용자 정의 가능한 풍선 이미지(emoji® 유형 일러스트레이션에 대응)를 차례로 개인화/사용자 정의할 수 있도록 함,
-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 및 아바타 및/또는 이미지 풍선은 메시지와 함께 전송되거나 첨부되지 않는다, 특히,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 내에 텍스트로 삽입된 고유 식별 코드를 사용한다는 사실은 데이터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네트워크 대역폭이 메시지 교환에 사용되게 할 수 있음,
-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는 전송자 및/또는 수신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따라 최적화되고 조정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됨,
- 이 그래픽 요소로부터 차지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확대 및 최적화된 방식으로 메시지 내에 삽입 및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요소를 보는 것이 가능하며, 편리하게는, 그래픽 요소의 확대된 버전으로부터 요소 자체의 창작시 세부사항을 파악하고 인지하는 것이 가능함.

Claims (30)

  1.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2), 바람직하게는 즉석 메시징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시징 시스템은 전송자 장치와 수신자 장치 모두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에 의해 텍스트 메시지(60)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자 장치(4)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 장치(6)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은 메시징 시스템(2)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를 포함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 내부에 로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 내부에 로딩된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을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로부터 시작해서, 콘텐츠가 동일하지만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Y'', 31Y''', 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가 로딩 및 실행되고,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중앙 유닛(8)으로부터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D2, D3 및/또는 DX)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Y'', 31Y''', 31X)를 다운로딩하고 메시징 시스템(2)의 내부에서 이렇게 배출된 요소를 구현 및/또는 사용하도록 구성된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로딩 및 실행되며,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60) 및/또는 메시지(60)의 교환이 디스플레이되고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구현/디스플레이되는 제1 스크린(80)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60) 및/또는 메시지(60)의 교환의 디스플레이의 제1 스크린(80) 내부에 구현/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 유형을 갖는 경우 터치(82)에 의해 또는 클릭에 의해 또는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를 통해 선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영역(81)을 차지하는, 메시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제1 스크린(80)에서, D1보다 낮은 크기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의를 갖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82)를 터치함으로써 또는 클릭함으로써 또는 또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에 의해 선택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영역(81)을 점유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하나 이상의 메시지(60)를 포함하는 풍선/프레임(37) 내부에서 구현되는, 메시징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시스템은 인터넷에 기초하는, 메시징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는 제1 포맷을 정의하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 내부에 로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8)에서, 상기 제1 포맷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로부터 시작하여, 제1 포맷과 상이한 제2 포맷인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및/또는 DX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Y'', 31Y''', 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가 로딩 및 실행되는, 메시징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중앙 유닛(8)으로, 바람직하게는 요금의 지불 시, 특정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사용을 위한 승인/사용권 요청을 전송하며,
    요청의 수신 후, 상기 중앙 유닛(8)에서 로딩 및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중앙 유닛(8)으로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와 요청이 이뤄진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유니보컬 식별 코드(30) 간 관계(18)를 정의하는, 메시징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중앙 유닛(8)으로부터, 전송될 메시지(60)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데이터 구조(20)로부터 시작하여 향상된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을 획득하고, 구조화된 데이터 패킷(40)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 33, 35, 37)의 고유 식별 코드(23, 30, 32, 34)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 내에서 식별된 상기 고유 코드(23, 30, 32, 34)와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실행 중인 장치의 로컬 메모리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식별된 고유 코드(23, 30, 32, 34)와 연관된 이러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 33, 35, 37)를 중앙 유닛(8)으로 요청하고 상기 장치에 다운로딩하는 동작 - 상기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 33, 35, 37)는 상기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되고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또는 DX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 33, 35, 37)에 로컬하게 대응함 - ,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의 콘텐츠 및 식별된 유니보컬 코드(23, 30, 32, 34)와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에 기초하여,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실행 중인 장치(6)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되고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또는 DX를 갖는 전송된 메시지(60)를 나타내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31)는 상기 메시징 시스템을 이용해 전송될 메시지 내에 삽입되 이미지, 바람직하게는, 표의문자(ideogram) 및/또는 양식화된 그래픽 일러스트레이션을 포함하고,
    중앙 유닛(8)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내부에 로딩되거나 연관된 때 상기 그래픽 요소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는 상기 이미지의 상기 이미지의 해상도 R1에 대응하며,
    상기 그래픽 요소의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또는 DX는 상기 이미지의 해상도 R2, R3 또는 RX에 대응하는, 메시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해상도 R2, R3 또는 RX를 갖는 이미지가 메시지 교환(60)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크린(80) 내부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풍선/프레임(37) 내부에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 유형인 경우 터치(82)에 의해, 또는 클릭에 의해, 또는 그 밖의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에 의해 선택 가능한 영역(81)을 차지하는, 메시징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해상도 R2, R3 또는 RX를 갖는 이미지는 터치-스크린 유형의 디스플레이(82)에서 구현되는 타이핑 키보드(77) 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징 시스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상도 R2, R3 또는 RX를 갖는 상기 이미지(33)가 해상도 R1를 가지며 중앙 유닛(8)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작 이미지의 "썸네일" 버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메시징 시스템.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33)는 emoj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양식화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념, 아이디어, 객체, 분위기 또는 감정을 나타내는, 메시징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구조화된 데이터 패키지(40)가 메시지 내에 그래픽 요소의 존재를 적절하게 시그널링하는 프리코딩된 라벨/캐릭터/기호(28)를 포함할 때,
    메시지(60)의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스크린(80)을 형성하는 제1 컴퓨터 객체 VIEW,
    제1 컴퓨터 객체 VIEW 내에 형성되고, 제1 스크린(8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 내에서, 상기 메시지 내에서 디스플레이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 D3 또는 DX에 대응하거나 약간 더 큰 선택형 영역(81)을 차지하도록 구성된 제2 컴퓨터 객체 VIEW
    를 생성하는, 메시징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를 갖는 상기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X)가 차지하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80)의 선택형 영역(81)의 터치(82) 또는 클릭이 대응하는 조작(84)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상도 R2의 그래픽 요소 31Y''가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영역(81) 상에서 실행되는 터치(82) 또는 클릭 또는 그 밖의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 후, 대응하는 조작(8)이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84)은 해상도 R2의 그래픽 요소 31Y''와 연관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요소의 재생산을 활성화하는 것을 제공하는, 메시징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84)은 장치 자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2 스크린(85)을 자동으로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공하는, 메시징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스크린(85)에서 요소(31Y'')의 콘텐츠에 대응하고 R2보다 큰 해상도 R3을 갖는 그래픽 요소(31Y''')가 구현되는, 메시징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85)에서 그래픽 요소(31Y')에 의해 이전에 연관된 콘텐츠 및/또는 링크가 해상도 R2로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징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를 갖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X)가 차지하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80)의 선택형 영역(81)에서 수행되는 터치(82) 또는 클릭 또는 그 밖의 다른 외부 활성화 이벤트가, 동작(84)을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84)에서, 제1 스크린(80)이 구현된 상기 장치의 동일한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 선택형 영역(81)을 차지한 동일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X)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3을 갖고 구현되는 제2 스크린(85)이 디스플레이되고, D3은 D2보다 큰, 메시징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 Y'', 31X)가 D2보다 큰 해상도 D3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2 스크린(85)이 상기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전체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성된 제3 컴퓨터 객체 VIEW이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유닛(8)에서 로딩 및/또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2, 47)에 이미 로딩되어 있고 D1의 높은 크기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로부터 시작하여, 콘텐츠가 동일하지만 치수 및/또는 상세도는 Dx인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Dx는 D1보다 작고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중앙 유닛(8)으로 요청한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치수 및/또는 상세도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형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에서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제1 소프트웨어 모듈 및 중앙 유닛(8)에서 수행되는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은:
    장치(4, 6)가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중앙 유닛으로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이 수행되는 상기 장치(4, 6)의 디스플레이의 크기/해상도의 데이터(87)를 더 포함하는 요청(86)을 전송하고,
    중앙 유닛(8)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1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로부터 시작하여,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치수/해상도과 관련된 데이터(87)에 기초하여, D1 미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치수/해상도에 특히 적합한 치수 및/또는 상세도 Dx의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생성되고, 치수 및/또는 상세도 Dx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X)가 상기 장치로 로컬하게 다운로딩되어 메시징 시스템(2) 내에서 상기 장치에 의해 구현되게 하는 절차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시지 교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 스크린(80) 내에서 구현되는 터치(82) 또는 클릭에 의해 선택 가능한 영역(81)을 차지하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X)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제2 스크린(85) 내에서 구현되는 치수 및/또는 상세도 D3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 31X)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유닛(8)에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및/또는 포맷 D1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가 상기 중앙 유닛(8)의 상기 데이터베이스(12) 또는 추가 데이터베이스(47)로 로딩될 때, D1보다 낮은 치수 및/또는 상세도 및/또는 포맷 D2, D3 및/또는 DX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유닛(8)에 로딩 및/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은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전송자 장치 및/또는 수신자 장치에 의한 제1 요청이 이뤄질 때, 바람직하게는, 구매에 의해 이뤄질 때, 및/또는
    대응하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전송자 장치 및/또는 수신자 장치에 의한 최초 다운로드 요청이 이뤄질 때, 및/또는
    메시징 시스템 내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의 사용이 요구될 때,
    치수 및/또는 상세도 및/또는 포맷 D2, D3 및/또는 DX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의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메시지(60) 내에, 바람직하게는, 메시지의 단어들 사이에서 사용 및 삽입되기에 적절한 치수 및/또는 상세도를 갖는, 메시징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는
    중앙 유닛(8)의 데이터베이스(12) 내부에서,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를 이용해 메시징 시스템(2)에 로그인하는 특정 사용자의 고유 식별 코드(ID)와 연관된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의 식별 코드(30')를 다운로드 및 저장하는 제1 로컬 메모리(90),
    제1 메모리(90)에 다운로딩 및 저장되는 고유 식별 코드(30')에 대응하는 모든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를 다운로딩 및 저장하는 제2 로컬 메모리(91)
    를 포함하는, 메시징 시스템.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컬 메모리(91)에서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Y)가 치수 및/또는 상세도 D2를 갖고 다운로딩 및 저장되는, 메시징 시스템.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자 장치(4) 및/또는 수신자 장치(6)가 상기 전송자 장치 및/또는 수신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장치의 제1 메모리(90)에 저장/존재하는 고유 식별 코드(30')를 갖는 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요소(31')만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메시징 시스템.
KR1020217023915A 2019-01-11 2020-01-10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 KR102670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9000000457A IT201900000457A1 (it) 2019-01-11 2019-01-11 Sistema di messaggistica perfezionato
IT102019000000457 2019-01-11
PCT/IB2020/050173 WO2020144634A1 (en) 2019-01-11 2020-01-10 Improved messag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250A true KR20210113250A (ko) 2021-09-15
KR102670217B1 KR102670217B1 (ko) 2024-05-28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191593A1 (ru) 2021-08-24
CN113692733B (zh) 2024-02-27
CN113692733A (zh) 2021-11-23
US20220109647A1 (en) 2022-04-07
EP3909229A1 (en) 2021-11-17
SG11202107236QA (en) 2021-07-29
JP2022516733A (ja) 2022-03-02
US11477147B2 (en) 2022-10-18
IT201900000457A1 (it) 2020-07-11
WO2020144634A1 (en) 2020-07-16
CA3125704A1 (en) 2020-07-16
AU2020206018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7549B1 (en) Resource shar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921144B1 (ko) 하나 이상의 확장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US111596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ata between terminals
US10091003B2 (en) Mobile signature embedded in desktop workflow
US20170344257A1 (en) Enhanced Keyboard
US10503810B2 (en) Font personalization
KR102550427B1 (ko)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
US9699299B1 (en) Messaging including custom characters with embedded content
US11455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using a machine-readable code on a mobile device
US10616152B2 (en) Avoiding message conflict
JP2022530850A (ja) 改良を加えた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
CN104992087A (zh) 移动终端创新创意数据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2670217B1 (ko) 개선된 메시징 시스템
US11477147B2 (en) Messaging system with customized graphic or audio elements
EA045786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EA040331B1 (ru) Система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WO2020214344A1 (en) Reducing avoidable transmissions of electronic message content
WO2020214345A1 (en) Reducing avoidable transmissions of electronic message content
WO20161230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