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646A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646A
KR20210112646A KR1020200027911A KR20200027911A KR20210112646A KR 20210112646 A KR20210112646 A KR 20210112646A KR 1020200027911 A KR1020200027911 A KR 1020200027911A KR 20200027911 A KR20200027911 A KR 20200027911A KR 20210112646 A KR20210112646 A KR 20210112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sensor data
data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785B1 (ko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림헬스케어 주식회사(RIM Healthcare Co., 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림헬스케어 주식회사(RIM Healthcare Co., Ltd.) filed Critical 림헬스케어 주식회사(RIM Healthcare Co., Ltd.)
Priority to KR102020002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785B1/ko
Priority to US17/905,398 priority patent/US20230190161A1/en
Priority to PCT/KR2021/002688 priority patent/WO2021177751A1/ko
Priority to JP2022553047A priority patent/JP2023517305A/ja
Priority to DE112021001438.2T priority patent/DE112021001438T5/de
Publication of KR2021011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89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배뇨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감지 방법은 (a)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S)가 획득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S) 중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로서, 소변기 또는 좌변기가 구비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센서(300)와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때 획득된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Urination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뇨와 관련된 장애들로서, 배뇨곤란, 요폐, 지연뇨, 빈뇨, 야간뇨, 배뇨후 점적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연뇨 증상과 배뇨후 점적 증상은 노인층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그 원인은 방광염일 수도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급성 요폐 등일 수 있어서 다양하다.
그러나,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은 환자가 스스로 밝히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렵다. 보통 기존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환자가 직접 작성한 소변 체크 리스트인 배뇨일지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배뇨일지를 작성하는 것은 환자 입장에서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체크가 정확히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신체에 항상 장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배뇨 패턴을 감지함으로써, 배뇨 정보와 이를 이용한 배뇨 장애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18416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와 사정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데이터와 머신 러닝을 통해 획득된 배뇨 패턴 또는 사정 패턴을 비교하여 배뇨 여부 또는 사정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비교를 위한 다수의 데이터를 축적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9-0066407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좌변기에 착좌한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만이 감지하고, 소변기를 사용하는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는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72467호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소변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색깔, 혼탁도, 형태, 양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내용을 제시하나, 대소변에서 획득될 수 있는 정보를 제외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까지 반영하여 건강 상태를 분석하지 않아 분석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18416호(2019.09.05)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1898887호(2019.06.1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72467호(2020.0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측정 디바이스가 장착된 측정 대상 개체의 성별과, 소변기 또는 좌변기를 불문하고 높은 정확도로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배뇨 정보와 배뇨 장애까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 이미지를 촬영하여 측정 대상 개체의 건강 정보의 연산이 가능하되, 이미지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S)가 획득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S) 중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로서, 소변기 또는 좌변기가 구비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센서(300)와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때 획득된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1 센서 데이터(S1) 및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할 때 획득되는 제2 센서 데이터(S2)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거리 연산 모듈(23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상기 센서(3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상기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연산된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제1 높이(h1)에서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3 센서 데이터(S3)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제2 높이(h2)에서 상기 제1 높이(h1)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4 센서 데이터(S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h2)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장착된 측정 대상 개체의 무릎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300)는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소변기에 더 설치되며, 거리 연산 모듈(23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상기 소변기에 설치된 상기 센서(3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상태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소정의 진폭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진동 운동할 때 획득되는 제5 센서 데이터(S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제1 높이(h1)에서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3 높이(h3)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6 센서 데이터(S6)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5 센서 데이터(S5)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제3 높이(h3)에서 상기 제1 높이(h1)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7 센서 데이터(S7)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c)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의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중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정지하는 초기 시점의 데이터를 배뇨 시작 시점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시점의 데이터를 배뇨 종료 시점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d)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이 상기 배뇨 종료 시점과 상기 배뇨 시작 시점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배뇨 시간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e)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이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배뇨 시간과, 상기 배뇨량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입력 모듈(120)을 통해 측정 대상 개체의 성별 및 연령이 입력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이 상기 입력된 성별 및 연령에 따라 각각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배뇨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입력 모듈(120)을 통해 측정 대상 개체의 연령, 흡연 여부 및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며, (f) 촬영 모듈(110)이 소변이 포함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g) 이미지 연산 모듈(130)이 상기 입력된 연령, 흡연 여부 및 배뇨 시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c) 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되며, 자이로 센서(221)와 가속도 센서(222)를 포함하여, 그 움직임에 상응하는 상기 센서 데이터(S)를 발생시키며,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센서 데이터(S)를 배뇨와 관련된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 및 상기 소변기 또는 상기 좌변기가 구비된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는 상기 센서(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입력 모듈(120)을 통해 상기 측정 대상 개체의 성별, 연령, 흡연 여부 및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고, 소변이 포함된 영역을 촬영하며, 상기 입력된 연령, 흡연 여부 및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첫째, 측정 대상 개체의 성별과, 소변기 또는 좌변기를 불문하고 높은 정확도로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둘째,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 중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만을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기에, 실제로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인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된 배뇨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셋째, 사용자는 과도하게 불편하거나 번잡한 절차를 강요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진단 증상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의료진 입장에서도 환자의 일상 배뇨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보편적인 기준에 의하여 지연뇨 증상 등을 판단할 수 있어, 숙련도와 무관하게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다섯째, 이러한 데이터는 병원의 EMR 서버에도 기록될 수 있어서, 환자가 편하게 집에서 거주하면서도 모든 데이터들을 병원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이 누적되고 공유되어 의학 기술에 유용한 빅 데이터(Big Data)가 확보될 수도 있다.
여섯째, 소변 이미지를 촬영하여 측정 대상 개체의 건강 정보의 연산이 가능하되, 이미지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가 수행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뇨 감지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뇨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8은 여성인 측정 대상 개체에 의해 배뇨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남성인 측정 대상 개체에 의해 배뇨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유효 데이터 필터링에 사용되는 센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평균 배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측정 디바이스에서 배뇨가 감지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측정 디바이스의 센서부에서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의 일 양태이다.
도 15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앱 실행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에서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될 수 있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도시한다.
도 17 및 18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촬영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와,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이미지의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되는 픽셀의 색 정보에 따라 연산될 수 있는 다양한 건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용어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되는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법이 아님에 주의한다.
이하에서, 용어 "EMR"은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의미하며, 이와 관련된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부재를 "EMR 서버"로 지칭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측정 디바이스(200), 센서(300) 및 EMR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측정 대상 개체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용 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촬영 모듈(110), 정보 입력 모듈(120), 이미지 연산 모듈(130), 앱 실행 모듈(140), 통신 모듈(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모듈(110)은 사용자 디바이스(100)와 대면하는 영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변기 또는 좌변기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소변기 또는 좌변기 내부에 측정 대상 개체의 소변 또는 대변이 수용된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입력 모듈(120)은 측정 대상 개체의 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으로, 측정 대상 개체의 성명, 성별(여성 또는 남성), 연령, 흡연 여부 및 배뇨 시 통증 여부가 입력될 수 있다. 정보 입력 모듈(120)에 입력된 정보는 추후 이미지 연산 모듈(130)에 의한 건강 정보 연산 및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에 의한 배뇨 정보 연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연산 모듈(130)은 촬영 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건강 정보를 연산한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여, 촬영 이미지에 대해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앱 실행 모듈(140)에 의해 소변 색상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으며(도 17a),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측정 대상 개체의 성명, 연령, 흡연 여부가 입력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도 17b). 출력된 화면에서 성명, 연령 및 흡연 여부의 정보가 정보 입력 모듈(120)에 입력되고, 촬영 모듈(110)에 의한 촬영이 시작될 수 있다.
촬영 모드에서는, 소정 영역에 박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도 17c), 표시된 박스 내에 소변 또는 대변이 포함되도록 촬영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 모듈(110)에 의해 촬영이 수행되면 배뇨 시 통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되며(도 18d), 출력된 화면에서 배뇨 시 통증 여부가 정보 입력 모듈(120)에 입력될 수 있다.
촬영 모듈(110)에 의해 촬영이 완료되면, 이미지 연산 모듈(130)의 촬영 이미지에 대한 건강 정보가 연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의 건강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9에는 소변의 색에 따라 연산될 수 있는 다양한 건강 정보가 도시된다. 크게 Orange, Green, Brown, Purple, Bright yellow, Pale Yellow 등의 6가지 색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색에서도 명도에 따라 상이한 색들이 도시된다.
이미지 연산 모듈(130)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색 정보와 도 19에 도시된 색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색에 상응하는 건강 정보를 연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Orange 색이 가장 유사한 색으로 판단된 경우 탈수 증상 있음 등으로 건강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연산 모듈(130)에 의해 혈뇨로 판단된 경우(즉, 가장 유사한 색으로 Red가 판단된 경우), 도 18e와 같은 결과가 사용자 디바이스(100) 화면에 출력될 수 있으며,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도 18f와 같은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이미지 연산 모듈(130)은 단순히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의 색 정보만을 이용하여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것이 아닌, 정보 입력 모듈(120)에 입력된 정보를 더 이용하여 건강 정보를 연산하게 되는데, 즉 성별, 연령, 흡연 여부 및 배뇨 시 통증 여부의 정보를 더 이용하여 건강 정보를 연산하게 된다.
이는, 성별/연령/흡연 여부/배뇨 시 통증 여부에 따라 같은 색의 소변이라도 그 건강 정보가 달리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건강 정보의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통신 모듈(150)은 측정 디바이스(200) 및 EMR 서버(4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160)에는 촬영 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입력 모듈(120)에 입력된 정보, 이미지 연산 모듈(130)에 의해 연산된 건강 정보, 추후 설명될 배뇨 정보, 배뇨 장애 여부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측정 디바이스(200)는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과 같이 측정 대상 개체의 손목에 장착되고, 측정 대상 개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센서 데이터(S)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손목뿐만 아니라 임의의 신체 부위(일 예로, 발목)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의복 등에 부착되어 측정 대상 개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센서 데이터(S)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또한, 고유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고유의 식별자는 측정 디바이스(200)가 장착되는 측정 대상 개체에 상응하는 표시자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측정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듈(210), 센서부(220), 거리 연산 모듈(230),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 및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EMR 서버(4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센서부(220)는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센서 데이터(S)를 발생시키며, 자이로 센서(221), 가속도 센서(222) 및 온도 센서(2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압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221)와 가속도 센서(222)는 3축 회전 등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기압 감지 센서(미도시)는 기압을 감지하여 측정 디바이스(2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키며(기압은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높이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온도 센서(223)는 측정 디바이스(200)가 장착된 측정 대상 개체의 온도에 대한 온도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센서부(220)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센서 데이터(S)와 온도 데이터를 발생시키므로,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는 물론 배뇨와는 무관한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배뇨와 관련된 데이터만을 필터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센서 데이터(S) 중 유효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 데이터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 이전, 도 2를 참조하여 배뇨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공간(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간(10)이라 함은 소변기와 좌변기가 설치된 공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배뇨와 배변은 소변기와 좌변기가 설치된 공간(10)에서 이루어지므로, 측정 디바이스(200)가 공간(10) 내에 위치하였을 때 발생하는 센서 데이터(S)만을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간(10)에는 다수의 센서(301, 302, 303, 304)가 설치될 수 있으며, 거리 연산 모듈(230)은 측정 디바이스(200)와 센서(301, 302, 303, 304)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측정 디바이스(200)와 센서(301, 302, 303, 304)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공간(10)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측정 디바이스(200)와 센서(301, 302, 303, 304)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클 때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S)는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측정 대상 개체는 남성 또는 여성일 수 있으며, 성별에 따라 배뇨 패턴이 상이하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남성과 여성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배뇨 패턴에 기초하여 유효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변을 보기 위해 측정 대상 개체는 공간(10)으로 이동할 것이며, 따라서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된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1 센서 데이터(S1)가 획득된다.
다음,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측정 디바이스(200)와 공간(10) 내에 구비된 센서(301, 302, 303, 304)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연산될 것이며, 연산된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이는 공간(10)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기에 이는 노이즈로 판단한다.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요도 주변의 근육 또는 괄약근을 이완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며, 따라서 용변을 보는 시간만큼은 측정 대상 개체의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는다. 측정 디바이스(200) 입장에서는 움직임 없이 정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할 때 획득되는 제2 센서 데이터(S2)가 획득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5초 내지 9초일 수 있다.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은 상기한 제1 센서 데이터(S1) 및 제2 센서 데이터(S2)를 포함하는 센서 데이터(S)를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으며,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에 의한 배뇨 정보 연산, 그리고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에 의한 배뇨 장애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좌변기를 사용하는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 패턴에 기초하여 유효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변을 보기 위해 측정 대상 개체는 공간(10)으로 이동할 것이며, 따라서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된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1 센서 데이터(S1)가 획득된다.
다음,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측정 디바이스(200)와 공간(10) 내에 구비된 센서(301, 302, 303, 304)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값으로 연산될 것이며, 연산된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이는 공간(10)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기에 이는 노이즈로 판단한다.
좌변기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하의 탈의 과정과, 좌변기의 시트에 착좌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좌변기에 착좌하게 되면 서있을 때보다 측정 디바이스(2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인 높이가 낮아진다. 좌변기 착좌 전의 높이를 제1 높이(h1)라고 가정하면, 좌변기에 착좌하게 되면 측정 디바이스(200)가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에 위치하게 된다. 즉, 좌변기 착좌 시 측정 디바이스(200)가 제1 높이(h1)에서 제2 높이(h2)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3 센서 데이터(S3)가 획득된다. 착좌 뿐만 아니라, 하의 탈의를 위해서는 손을 허리 높이에서 무릎 높이 아래로 위치시켜야 하므로, 제1 높이(h1)에서 제2 높이(h2)로 변화하는 것은 하의 탈의 과정으로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높이(h2)는 측정 대상 개체의 지면으로부터 무릎까지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뇨 자세 분석 결과, 용변 시에는 손을 허벅지에 올려놓은 후 용변을 보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측정 대상 개체에 착용된 측정 디바이스(200) 또한 무릎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므로 제2 높이(h2)에 상응하는 센서 데이터(S)가 관찰될 것이다.
또한, 하의가 탈의되면 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체온이 저하되고, 소변을 본 후에도 체온이 저하되기 때문에, 체온 저하를 막기 위하여 근육의 떨림, 수축 등으로 일시적으로 체온이 상승하는 현상이 생리적으로 발생한다. 온도 센서(223)은 측정 대상 개체의 온도인 온도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온도 데이터의 수치가 증가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다.
다음,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할 때 획득되는 제2 센서 데이터(S2)가 획득된다.
다음, 측정 대상 개체는 하의를 착의하고, 착좌 자세에서 기립하게 된다. 이 때, 측정 디바이스(200)의 높이는 다시 제1 높이(h1)에 위치할 것이며, 측정 디바이스(200)가 제2 높이(h2)에서 제1 높이(h1)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4 센서 데이터(S4)가 획득된다.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은 상기한 제1 센서 데이터(S1), 제3 센서 데이터(S3), 제2 센서 데이터(S2) 및 제4 센서 데이터(S4)를 포함하는 센서 데이터(S)를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으며,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에 의한 배뇨 정보 연산, 그리고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에 의한 배뇨 장애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소변기를 사용하는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 패턴에 기초하여 유효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감지 방법의 경우, 좌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를 감지할 수 있으나, 소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측정 대상 개체의 배뇨를 감지하기는 어렵다. 이는, 좌변기에서 용변을 볼 때에는 좌변기에 착좌하는 과정이 이루어지지만, 소변기에서 용변을 볼 때에는 상기한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경우에도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용변을 보기 위해 측정 대상 개체는 공간(10)으로 이동할 것이며, 따라서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된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1 센서 데이터(S1)가 획득된다.
다음,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측정 디바이스(200)와 공간(10) 내에 구비된 센서(301, 302, 303, 304)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값으로 연산될 것이며, 특히 소변기 각각에 구비된 센서(302, 303, 304)와 측정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이는 소변기에 소변을 보기 위해 소변기 앞에 위치된 상태로 볼 수 있어 유효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이는 공간(10)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기에 이는 노이즈로 판단한다.
남성인 측정 대상 개체가 소변을 보기 위해 하의의 지퍼를 내리거나, 하의를 일부 탈의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측정 디바이스(200) 입장에서는 제1 높이(h1)에서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3 높이(h3)로 움직이게 될 것이며, 측정 디바이스(200)가 제1 높이(h1)에서 제3 높이(h3)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6 센서 데이터(S6)가 획득된다. 여기서, 제3 높이(h3)는 제1 높이(h1)보다는 낮지만 제2 높이(h2)보다는 높은 높이일 수 있다.
다음,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할 때 획득되는 제2 센서 데이터(S2)가 획득된다.
남성인 측정 대상 개체가 소변을 보고 난 이후에는, 잔뇨를 배출하기 위해 성기를 터는 행위를 수행한다. 측정 디바이스(200) 입장에서는 소정의 진폭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진동 운동하게 될 것이며, 측정 디바이스(200)가 소정의 진폭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진동 운동할 때 획득되는 제5 센서 데이터(S5)가 획득된다.
소변을 마친 측정 대상 개체는 지퍼를 올리거나, 하의를 착의하는 과정이 수반되며, 측정 디바이스(200)가 제3 높이(h3)에서 제1 높이(h1)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7 센서 데이터(S7)가 획득된다.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은 상기한 제1 센서 데이터(S1), 제6 센서 데이터(S6), 제2 센서 데이터(S2), 제5 센서 데이터(S5) 및 제7 센서 데이터(S7)를 포함하는 센서 데이터(S)를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으며,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에 의한 배뇨 정보 연산, 그리고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에 의한 배뇨 장애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즉,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은 상기한 제1 센서 데이터 내지 제7 센서 데이터, 그리고 온도 데이터의 수치가 증가하는 데이터의 조합을 통하여 센서 데이터(S)가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만을 포함하여도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으며, 두 가지 데이터 모두를 포함한 경우에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고,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여야만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도 있다.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포함하여야 하는 가짓수가 증가할수록 필터링의 정확성이 향상됨은 자명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필터링을 위하여 사용된 데이터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획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센서 데이터(S)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데이터이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위 데이터들이 동시에 획득되어야만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은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에 의해 필터링 된 유효 데이터에 포함된 제2 센서 데이터(S2) 중 측정 디바이스(200)가 정지하는 초기 시점의 데이터를 배뇨 시작 시점(t1)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t1) 이후 측정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시점의 데이터를 배뇨 종료 시점(t2)으로 연산하는 부분이다.
또한, 배뇨 종료 시점(t2)과 배뇨 시작 시점(t1)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고, 배뇨 시간을 이용하여 배뇨량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배뇨량은 배뇨 시간에 평균 배뇨량을 곱하여 연산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입력 모듈(120)에 입력된 성별 및 연령에 해당하는 평균 배뇨량 수치를 연산된 배뇨 시간에 곱하여 배뇨량을 연산할 수 있다.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은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에 의해 연산된 배뇨 시간과 배뇨량을 이용하여,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은 배뇨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시간보다 큰 경우 지연뇨 증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은 EMR 서버(400)에 접속하여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EMR 서버(400)는 측정 디바이스(200)로부터 센서 데이터(S)와 고유의 식별자, 연산된 배뇨 시간 및 배뇨량을 수신할 수 있는 부분이다.
EMR 서버(400)는 종래 널리 사용되는 어떠한 EMR 서버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측정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의 식별자를 저장하여야, 전달받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측정 디바이스(200)의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은 EMR 서버(400)에 접속하여, EMR 서버(400)에 저장된 배뇨 시간, 배뇨량을 이용하여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배뇨 장애 여부의 판단 결과, 배뇨 시간 그리고 배뇨량이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출력될 수도 있다.
위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뇨 감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공간
100: 사용자 디바이스
110: 촬영 모듈
120: 정보 입력 모듈
130: 이미지 연산 모듈
140: 앱 실행 모듈
150: 통신 모듈
160: 메모리
200: 측정 디바이스
210: 통신 모듈
220: 센서부
221: 자이로 센서
222: 가속도 센서
223: 온도 센서
230: 거리 연산 모듈
240: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
250: 배뇨 정보 연산 모듈
260: 배뇨 장애 판단 모듈
300: 센서
400: EMR 서버

Claims (17)

  1. (a) 측정 디바이스(20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속적인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S)가 획득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의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S) 중 배뇨와 관련된 유효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로서, 소변기 또는 좌변기가 구비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센서(300)와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때 획득된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1 센서 데이터(S1) 및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정지할 때 획득되는 제2 센서 데이터(S2)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거리 연산 모듈(23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상기 센서(3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상기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연산된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제1 높이(h1)에서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3 센서 데이터(S3)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제2 높이(h2)에서 상기 제1 높이(h1)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4 센서 데이터(S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h2)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장착된 측정 대상 개체의 무릎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00)는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소변기에 더 설치되며,
    거리 연산 모듈(230)이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와 상기 소변기에 설치된 상기 센서(3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거리 연산 모듈(230)에 의해 연산된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상태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소정의 진폭 이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진동 운동할 때 획득되는 제5 센서 데이터(S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 필터링 모듈(240)이,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1 센서 데이터(S1)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획득 이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미리 설정된 제1 높이(h1)에서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3 높이(h3)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6 센서 데이터(S6)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S)가 상기 제5 센서 데이터(S5) 획득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상기 제3 높이(h3)에서 상기 제1 높이(h1)로 움직일 때 획득되는 제7 센서 데이터(S7)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S)를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이 필터링된 유효 데이터의 상기 제2 센서 데이터(S2) 중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정지하는 초기 시점의 데이터를 배뇨 시작 시점으로 연산하고, 상기 배뇨 시작 시점 이후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가 움직이는 시점의 데이터를 배뇨 종료 시점으로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d)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이 상기 배뇨 종료 시점과 상기 배뇨 시작 시점의 차이를 배뇨 시간으로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배뇨 시간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e) 배뇨 장애 판단 모듈(260)이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배뇨 시간과, 상기 배뇨량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배뇨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 모듈(120)을 통해 측정 대상 개체의 성별 및 연령이 입력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배뇨 정보 연산 모듈(250)이 상기 입력된 성별 및 연령에 따라 각각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배뇨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 모듈(120)을 통해 측정 대상 개체의 연령, 흡연 여부 및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며,
    (f) 촬영 모듈(110)이 소변이 포함된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g) 이미지 연산 모듈(130)이 상기 입력된 연령, 흡연 여부 및 배뇨 시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상기 (c) 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8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8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측정 대상 개체에 장착되며, 자이로 센서(221)와 가속도 센서(222)를 포함하여, 그 움직임에 상응하는 상기 센서 데이터(S)를 발생시키며,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센서 데이터(S)를 배뇨와 관련된 상기 유효 데이터로 필터링하는 상기 측정 디바이스(200); 및
    상기 소변기 또는 상기 좌변기가 구비된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는 상기 센서(300);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 모듈(120)을 통해 상기 측정 대상 개체의 성별, 연령, 흡연 여부 및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고, 소변이 포함된 영역을 촬영하며, 상기 입력된 연령, 흡연 여부 및 통증 여부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건강 정보를 연산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7. 제1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27911A 2020-03-05 2020-03-0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39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911A KR102392785B1 (ko) 2020-03-05 2020-03-0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US17/905,398 US20230190161A1 (en) 2020-03-05 2021-03-04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urination using wearable device
PCT/KR2021/002688 WO2021177751A1 (ko) 2020-03-05 2021-03-04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2022553047A JP2023517305A (ja) 2020-03-05 2021-03-04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を用いた排尿検知方法及びシステム
DE112021001438.2T DE112021001438T5 (de) 2020-03-05 2021-03-04 Verfahren und system zum erfassen einer blasenentleerung unter verwendung einer tragbaren 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911A KR102392785B1 (ko) 2020-03-05 2020-03-0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46A true KR20210112646A (ko) 2021-09-15
KR102392785B1 KR102392785B1 (ko) 2022-05-02

Family

ID=7761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911A KR102392785B1 (ko) 2020-03-05 2020-03-05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90161A1 (ko)
JP (1) JP2023517305A (ko)
KR (1) KR102392785B1 (ko)
DE (1) DE112021001438T5 (ko)
WO (1) WO2021177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805B1 (ko) * 2022-02-28 2023-08-29 (주)레이아이 요류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887B1 (ko) 2017-04-21 2018-11-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3d 두부 계측 분석을 위한 3d 랜드마크 제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1174A (ko) * 2017-04-28 2018-11-07 심재훈 소변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KR20190063248A (ko) * 2017-11-29 2019-06-07 (주)유엔디 스마트 헬스케어 비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66407A (ko) * 2017-12-05 2019-06-13 김계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여성 배뇨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018416B1 (ko) 2015-12-18 2019-09-05 (의료)길의료재단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72467B1 (ko) 2018-03-29 2020-02-03 권동혁 대소변 분석을 이용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737A (ja) * 2000-07-06 2002-01-23 Toto Ltd 排泄物測定装置
KR20110098566A (ko) * 2010-02-26 2011-09-01 송태운 센서와 모니터가 설치된 소변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416B1 (ko) 2015-12-18 2019-09-05 (의료)길의료재단 사용자의 자세나 자세의 변화에 기초하여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내지 시스템, 배뇨 또는 사정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98887B1 (ko) 2017-04-21 2018-11-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3d 두부 계측 분석을 위한 3d 랜드마크 제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1174A (ko) * 2017-04-28 2018-11-07 심재훈 소변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KR20190063248A (ko) * 2017-11-29 2019-06-07 (주)유엔디 스마트 헬스케어 비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66407A (ko) * 2017-12-05 2019-06-13 김계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여성 배뇨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072467B1 (ko) 2018-03-29 2020-02-03 권동혁 대소변 분석을 이용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805B1 (ko) * 2022-02-28 2023-08-29 (주)레이아이 요류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1438T5 (de) 2023-01-12
KR102392785B1 (ko) 2022-05-02
US20230190161A1 (en) 2023-06-22
JP2023517305A (ja) 2023-04-25
WO2021177751A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369B1 (ko) 멀티센서를 이용한 운동 가이드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RU2573810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абсорбции текучего вещества в абсорбирующем продукте
US11911159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alcul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urination
US20090325766A1 (en) Exercise condition detection apparatus, exercise condition detection program, and exercise condition detection method
EP3399310A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health monitoring program
US11944438B2 (en) System for detecting female urination by using wearable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WO2018008155A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JP2018109597A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102392785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뇨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5303712B2 (ja) 下肢協調性評価システム
US20220044801A1 (en) Living body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health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Moore et al. Comparison of pedometer and activity diary for measurement of physical activit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R20200053108A (ko) 배뇨 장애 진단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931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subject
CN107426484A (zh) 多媒体信息的采集方法及装置
Rashid et al. Comparison of sway meter and Kinovea software as a tool of measurement for the sway parameters during quiet standing: An observational study
KR100680678B1 (ko) 배설물측정장치
JP2020124497A (ja) 排尿管理装置、排尿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0189073A (ja) 運動器機能向上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器機能向上の支援方法
KR102453322B1 (ko) 배뇨상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4591A (ko) 좌변기를 이용한 유-헬스 건강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0336A (ko) 근거리 통신 기반의 수면 중 무자각 발기 현상 진단 장치 및 방법
Bonifácio et al. Intra-and inter-rater reliability in photogrammetric pelvic tilt angles analysis
TWI645367B (zh) 復健資訊評估系統
KR20160067587A (ko) 지연뇨 증상 또는 배뇨후 점적 증상 진단을 위한 이동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